KR860001535B1 - 재봉틀의 직물압송기구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직물압송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535B1
KR860001535B1 KR1019810005032A KR810005032A KR860001535B1 KR 860001535 B1 KR860001535 B1 KR 860001535B1 KR 1019810005032 A KR1019810005032 A KR 1019810005032A KR 810005032 A KR810005032 A KR 810005032A KR 860001535 B1 KR860001535 B1 KR 860001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teeth
arm
sewing machin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926A (ko
Inventor
겡고 시오미
기꾸오 아이다
Original Assignee
도오교오 쥬우기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우찌야마 마히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5184830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0718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61489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34451Y2/ja
Application filed by 도오교오 쥬우기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우찌야마 마히도 filed Critical 도오교오 쥬우기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7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05B27/06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workpie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봉틀의 직물압송기구
본 발명의 배경과 더불어 다른 목적 및 유리한 점은 첨부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 따라 처치한 하기설명으로 부터 더욱 명백하여 질 것이다.
제1도는 제1 실시예의 상부 압송이빨 기구의 부분사시도.
제2도는 제 2 실시예의 상부 압송아암의 부분사시도.
제3도,제4도,제5도는 제3 실시예로서, 제3도는 오우버룩 재봉틀의 직물압송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4도는 압송아암의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제4 실시예의 상부 압송체의 부분사시도.
제7도는 제5 실시예의 상부 압송체의 부분사시도.
제8도는 제6 실시예의 상부 압송체의 부분사시도.
제9도,제10도는 제7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9도는 그 부분측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Ⅸ-Ⅸ선에 잇따른 단면도.
본 발명의 분야는 재봉틀의 직물압송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봉틀기구에 연동장치되어 직물의 상부면에서 4행정운동으로 직물을 압송하는 상부 압송이빨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종류의 상부 압송이빨은 하부 압송이빨인 주ㆍ부압송이빨과 공동작용을 하며, 주ㆍ부 압송이빨이 상승할때 하강한다. 즉, 주ㆍ부 압송이빨의 상하도위상(位相)에 대하여 역의 위상으로 상하동하면서 4행정운동 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더구나 바늘의 상하등과의 관련은 주ㆍ부 압송이빨과 상부 압송이빨이 직물에서 하방과 상방으로 분리되어 직물의 압송이 끝나면 바늘이 직물에 세차게 찔러 들어가게 되며, 바늘이 직물에서 빠져나오면 주ㆍ부 압송이빨과 상부 압송이빨이 상방과 하방으로 이동하고 직물에 접촉하여서 직물을 압송하는 관계에 있으며 더구나 상부 압송하은 일본국의 특원소 54-92329호 발명의 명세서 또는 특개소 53-25149호 공보등에 개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재봉틀기구에 연등장치되어 선단부가 4행정운동 하는 상부 압송아암에 고정 지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부 압송이빨은 바늘이 직물에서 빠져 나왔을 때는 직물의 상부면을 가압하고 직물에서 떨어지면서 상승할때는 바늘이 직물에 찔려 들어가게 된다.
그러므로 직물을 봉합하는 도중에 봉합부에서 직물을 들어낼수 없으며, 또 상부 압송이빨은 항상 봉합부 근처에 위치하고, 그것은 봉합부에서 떨어진 위치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바늘을 교환하는 작업이라던가 바늘에 실을 끼는 작업, 또는 실이 잘려진 것 등으로 봉합부나 루우버 등에 감겨진 실을 제거하는 작업을 할때 상부 압송이빨이 그들 작업을 방해하게 되어서 작업능율을 저하시키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재봉틀의 직물압송기구의 결점에 비추어서 연구된 것으로서, 직물의 봉합 도중에 있어서도 직물을 봉합부에서 들어낼수 있고, 그 위에 바늘의 교환작업, 실끼는 작업, 실이 잘린것 등으로 봉합부나 루우버등에 감겨진 실을 제거작업 하는 것이 용이한 재봉틀의 직물압송기구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은 바늘판 상부면에서 구동측에 연등장치되어 4행정운동 하는 상부 압송이빨을 고정한 지지멤버로서, 상부 압송이빨이 봉합부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격리되도록 수직층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함에 따라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이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제1도는 제1 실시예이다. (1)은 재봉틀에 대하여 그 축부 (2)를 회동히 자유롭도록 지지한 압송아암 지지체이며 그 한쪽 단부에 위쪽으로 늘린 다음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나온 지지멤버(3)를 일체가 되도록 형성하고 이 압송아암지지체(1)는 도해하지 않았으나 작업인의 조작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4)는 중앙부에 측부 (2)가 회동이 자유롭도록 헐겁게 물린 요동체이며, 그 상단부에는 재봉틀의 직물압송기구 중의 수평압송을 통제하는 수평압송축(도해 없음)에 일정한 위상차로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전후 구등멤버인 링 (5)을 연결하고 하단에는 직물압송방향에 직교하는 수평축 (8)을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며, 이 수평축 (8)에는 수평방향의 갈라적 부분 (6)을 갖는 연결체 (7)를 일체가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9)는 지지멤버로서의 상부 압송아암이며, 그 일단에 상부압송이빨 (10)을 지지함과 동시에 기부의 평탄부 (11)를 연결체 (7)의 갈라진 부분 (6)에 헐겁게 물리고 수직축으로 서의 수직방향의 핀 (12)에 따라 제1도에서 상부 압송아암 (9)이 핀 (1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13)은 상부 압송아암 (9)을 가압하는 압송축이며, 하단의 오목부 (14)에 상부 압송아암 (9)의 양측면을 헐겁게 물림과 동시에 상부 압송아암 상단면에 대면하는 부분에 굴림대 (15)를 마련한다. 압송축 (13)의 윗쪽은 재봉틀에/틀어물린 조절나사 (16)에 상하등이 자유롭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조절나사 (16)의 내부에 마련한 용수철 (17)에 의하여 항상 아래방향으로 작용하는 작용하는 탄성력을 받는다. (18)은 선단부에 직물절단용 칼(도해 없음)을 지지하는 메스아암이며, 그 축복(19)는 재봉틀기구에 연동하여 바늘(도해 없음)이 직물에 찔러들어간 동안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타이밍으로 요동한다. (20)은 메스아암 (18)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하고 역방향으로 연장하여나온 상하 구동멤버인 상하동 아암이며, 선단부에 지지한 굴림대 (21)는 기부를 상부 압송아암(9)의 하부면에 고정한 판용수철 (22)의 선단부 하부면에 대면하고 상기의 메스아암 (18)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서 판용수철 (22)을 끼워서 상부 압송아암 (9)을 용수철 (17)의 작용력에 저항하여 연결체 (7)의 수평축 (8)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었으며, 제1도에서와 같이 상부 압송이빨 (10)이 재봉틀 봉합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로 재봉틀을 구동하면 상부 압송이빨 (10)은 도시하지 않은 바늘판 아래쪽의 주ㆍ부 압송이빨의 상하등하는 위상에 대하여 역의 위상으로써 4행정운동을 한다.
즉, 우선 바늘이 높이 빠져나오는 시기에 링 (5)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요동체 (4)를 축부 (2)의 외주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이 요동은 수평축 (8), 연결체 (7), 핀 (12)을 개재하여 상부 압송아암(9)을 왼쪽으로 이동하는데, 이에 따라 상부 압송이빨 (10)은 용수철 (17)의 작용력에 따라 직물 상부면을 가압한 상태로 직물 압송방향으로 이동하여 직물을 압송하는바, 이때 연결체 (7)의 수평축 (8)은 요동체 (4)의 하단으로 대면하여 약간 회동한다.
다음에 바늘이 하강하여 직물에 찔려 들어가는 시기에 메스아암 (18)은 축부 (19)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굴림대 (21)는 상승하고 판용수철 (22)을 개재하여 밀어올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 압송아암 (9)은 연결체 (7)의 수평축 (8)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부 압송이빨 (10)은 직물 상부면에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링 (5)이 왼쪽으로 이동하면 요동체(4), 연결체(7) 상부 압송아암 (9)은 상기한바 직물을 압송할때와는 각기 반대 방향으로 요동 또는 이동하여, 이에 따라 상부 압송이빨 (10)은 직물 상부면에서 상승한 상태에서 제1도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복귀한다.
다시금 바늘이 상승하여 직물에서 빠져나올 때에 매스아암 (18)은 측부 (19)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글림대 (21)는 하강하며 상부 압송아암 (9)은 용수철 (17)의 작용력에 따라 연결체 (7)의 수평축 (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부 압송이빨 (10)은 하강하고, 직물 상부면에 대하여 용수철 (17)의 작용력에 따라 가압 접촉되어 최초의 상태로 되돌아 간다.
상기한 4행정의 운동을 되풀이 하므로써 상부 압송이탈 (10)은 직물 윗쪽에서 직물압송을 위한 4행정운동을 한다.
또 바늘의 교환이라던가 실끼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조절나사 (16)를 헐겁게 한다던가 용수철 (17)에 저향하여 압송축 (13)을 상승시켜서 그 오목부 (4) 하단을 상부 압송아암 (9) 상단보다 윗쪽으로 이동한 다음, 제1도의 상부 압송이암 (9)의 오른쪽을 자기앞으로 끌어당기면 상부 압송이암(9)은 핀(1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상부 압송이빨 (10)은 재봉틀의 봉합부에서 열어진 측쪽으로 이동한 상태로 바늘의 교환이라던가 실끼는 작업을 하게 된다.
제2도는 제2 실시예로서 상부 압송아암 (9)을 전방아암 (9a)과 후방아암 (9b)으로 분할하고 후방아암(9b)의 일단을 요동체 (4)의 하단에 대하여 직물 압송방향으로 직교하는 수평한 연결측 (23)에 따라 연결하며 후방아암 (9b)과 전방아암 (9a)과는 수직방향의 측선을 지닌 단구형 나사 (24)에 따라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하고, 전방아암 (9a)을 단구형 나사 (24)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한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 압송아암 (9a)선단부에 지지한 상부 압송이빨(도해 없음)은 직물압송을 위한 4행정운동과 바늘교환 또는 실끼는 작업을 할때의 봉합부에서 격리된 측쪽에의 이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3,4,5도는 제 3 의 실시예로서, (25)는 압송아암이며 후방의 기부를 제 1 도에서 보여준 압송아암 지지체(1)의 지지부 (3)에 대면하여 수직측선을 갖는 핀(26)에 따라,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하고, 압송아암 지지체 (1)는 전기한 바와 같이 이것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한 수평측선을 가진 측부(2)가 재봉틀 (27)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어 이 압송아암 지지체 (1)는 도시하지 않으나 작업인의 조작에 따라 제4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을 조작할 수 있다.
압송아암 (25) 선단부에는 바늘받이구멍 (28a) 및 (28b) 및 실꿰메는 갈고랑이 (29) 및 바늘받이구멍에서 직물압송방향 앞쪽에 자기앞 쪽으로 구멍이 열린 상부 압송이빨홈 (30a), (30b)을 형성한 노루발 (31)을 직물압송방향으로 직교하는 수평방향의 축선을 갖는 핀 (32)에 의하여 지지한다. (33)은 압송체이며, 하단부의 갈라진 부분을 압송아암 (25) 상단부에 접촉시킴과 동시에 윗쪽을 재봉틀에 대하여 상하등이 자유롭도록 지지하고 재봉틀 (27)에 틀어넣은 조절나사 (34) 하단면과 압송체 (33)와의 사이에 마련한 압측용수철 (35)의 탄성력에 따라 항상 압송아암 (25)의 신단부를 아래쪽으로 가압한다. (36)은 주지하는 바와같이 압력해제레버이며, 압력해제레버의 조작에 따라 압송체 (33)의 한단부를 압송아암 (25)에 접촉하는 가압위치와 압송아암에서 상승하는 비가압위치에 이동 조작한다. (37)은 지지멤버로서의 상부 압송체이며, 그 후방의 갈라진 부분 (38)은 압송아암 (25)의 측단면에 대하여 칼러 (39)를 개재하여 나사 (40)로 고정한 뒷쪽 와셔(41)와 압송아암 측단면과의 겝에 칼러 (39)를 끼워서 헐겁게 몰린다. 상부 압송체 (37)의 전방에는 헐거운구멍 (42)을 형성하였는데 이 부분은 헐거운 구멍 (42) 안의 작은 지름의 칼러 (43)를 개재하여 나사 (44)로 고정한 큰 지름의 앞쪽 와셔 (45)에 따라 압송아암 (25)의 측단면에 대하여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46)은 상부압송이빨 분체로서 그 한쌍의 압송이빨 (10)이 노루발 (31)의 상부 압송이빨홈 (30a),(30b)에 대면하도록 상부 압송체 (37)의 전단부에 나사 (47)로 고정한다. (48)은 연결기구의 한편쪽 통체이며 그 기부를 상부 압송체 (37)의 한쪽 단부면에 나사 (49)로 고정함과 동시에 신단에는 직물압송방향과 직고하여 수평방향으로 열린 강합구멍 (50)을 형성한다. (9)는 제 1 도에서 보여준 상부 압송아암(단, 핀 (12)을 중심으로 측면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은 필요하지 않다)의 선단부이며 평소에는 아래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아 재봉틀기구에 연동하여서 봉합부 부근에 돌출하는 선단부가 주·부 압송이빨의 상하등 위상에 대하여 역의 위상으로써 4행정운동을 하며, 그 선단부에는 연결기구의 다른편 쪽의 통체(48)의 강합구멍 (50)에 대면하여 그에 물릴수 있도록 한 구상부 (51)를 형성한 감합체 (52)를 고정한다.
이 제 3 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3,4,5도의 상태는, 상부 압송체 (37)에 고정한 연결체의 한편의 통체 (48)의 감합구멍 (50)과 상부 압송아암 (9)에 고정한 연결체의 다른쪽의 감합체 (52)의 구상부 (51)가 맞물린상태이다.
이 상태로서 머시인이 구동하면, 도해하지 않았으나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바늘이 상하등하여 노루발 (31)에 대면하는 주·부 압송이빨도 직물압송을 위한 4행정운동을 하여 노루발과 협동하여 직물을 보낸다. 또 상부 압송아암 (9)도 머신기구에 연등하고 그 선단부의 구상부 (51)가 주·부 압송이빨의 상하등하는 위상에 대하여 역의 위상, 즉 주·부 압송이빨이 상승하면 하강하고, 그 다음에 압송방향으로 이동하며, 주·부 압송이빨이 하강하면 상승하여서 직물압송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4행정운동을 한다. 이 구상부 (51)의 4리정운동은 통체 (48)의 감합구멍 (50)을 개재하여 상부 압송체 (37)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부 압송체 (37)는 구상체 (51)가 하감하면 후단부의 갈라진 부분 (38)이 칼러 (39)를 중심으로 제 4 도에서 시계방항으로 회동하여 선단부의 상부 압송이빨 (10) 하부면이 직물을 바늘판 상부면으로 가압하고 잇따라서 구상체 (51)를 직물압송방향으로 이동하면 갈라진 부분이 칼러 (39) 부분에서 접동되어 상부 압송이빨 (10)에 의하여 직물을 압송하여, 다음으로 구상체 (51)가 상승하면 갈라진 부분이 칼러 (39)의 부분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부 압송이빨 (10)은 직물에서 상승하고 잇따라서 구상체 (51)를 압송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갈라진 부분이 칼러 (39)의 부분에서 접등하여 상부 압송이빨 (10)은 본래의 위치에 복귀하게 되어 상부 압송이빨 (10)은 직물압송의 4행정운동을 하게 된다.
또, 바늘의 교환작업이라던가, 실끼는 작업등을 하려면 바늘을 상승위치로 하고 압력해제레버 (36)를 조작하여 압송체 (33)를 압송아암 (25)에서 상승시킨 다음, 압송아암(25) 또는 상부 압송체 (37)의 선단부를, 측면쪽(제 5 도에서 아래쪽)으로 가압하면, 구상부 (51)와 감압구멍 (50)과의 감합연결이 해제되며 압송아암(25)은 후단부의 핀 (26)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부 압송이빨 (10)을 갖는 상부 압송체 (37)도 압송아암(25)와 함께 회동하여 노루발 (31)과 상부 압송이빨 (10)과는 머시인 봉합부에서 떨어진 위치에 이동하며 이 상태로서 바늘의 교환작업이라던가 실끼는 작업을 한다.
작업이 끝나면, 압송아암 (25) 또는 상부 압송체 (37)를 상기한 것과는 역방향으로 핀 (26)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통체 (48)의 감합구멍 (50)과 구상부 (51)와의 위치를 맞추어서 감합하여 압력해제레버 (36)를 조작하여 압송체(33)를 압송아암 (25) 상부면에 하강시키면 노루발 (31)과 상부 압송이빨 (10)은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상부 압송이빨 (10)에 의하여 직물의 압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 3, 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루발 (31)과 상부 압송이빨이 봉합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작업인의 조작에 따라 압송아암 지지체 (1)를 측부 (2)를 중심으로 제 4 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우선 압송아암 (25)이 용수철 (35)의 작용력에 저항하여 상승하여 노루발 (31)을 지지하는 부분에 통체 (48)의 하부면에 접한 다음에 다시금 압소아암 (25)을 상승시키면 통체 (48)는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 압송아암 (9)은 감합체 (52)를 개재하여 아래방향으로 작용력에 반하여 상승하며 상부 압송체 (37)도 그 선단부가 들어올려져서 상부 압송이빨 (10)은 직물 상부면에서 상승하게 되고 압송아암 지지체 (1)의 조작을 해제하면 압송아암 (25)과 상부 압송체 (37)와는 각기의 작용력에 따라 본래의 하강위치로 복귀한다.
더우기, 제 3 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 압송체 (37)의 후단부의 갈라진 부분을 칼러 (39)의 외주면에 대하여 직물압송방향의 접등과 직물압송방향의 접등과 직물압송방향으로 직교하는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한 회동과를 할수있는 구성을 나타냈으나 이 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제6도의 제4 실시예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부 압송체 (37)의 갈라진 부분을 압송아암 (25)의 단부면에 마련한 축(53)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한 네모난 섬패(54)에 접동이 자유롭게 한다던가 제7도의 제5 실시예와 같이 압송아암 (25)의 단부면에 축부 (55)를 회동이 자유롭게한 선회축틀 (56)의 구멍 (57)에 대하여 상부 압송체 (37) 후단부에 마련한 축 (58)을 전후접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한다 거나 또는 제8도의 제6 실시예와 같이 상부 또는 하부의 일단을 압송아암(25)의 단부면에 단구형 나사 (59)로 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한 수직방향의 링 (60)의 다른 단부에 대하여 단구형 나사 (61)로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하여도 선단부의 상부 압송아빨 (10)은 4행정운동을 할수 있다.
또 상기한바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압송이빨 (10)은 바늘받이멤버에서 직물압송방향 앞쪽에 배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바늘받이멤버에서 직물압송방향 후방에 상부 압송이빨을 배치하여도 좋다.
나아가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압송체 (37)의 신단부와 상부 압송아암 (9)과의 연결기구로서 구상부 (51)와 통체 (48)의 감합구멍 (50)에 의한 기구를 도해하였는바 상부 압송체 (37)와 상부 압송아암 선단부에 감합구멍을 형성하고 그들 감합구멍에 대하여 감합축을 착탈하도록 하여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수 있다.
전기한 제3 실시예의 상부 압송이빨의 기구에 있어서는 재봉틀 봉합부 후방의 한쪽 측면쪽으로 직물절단용 칼 구동아암이라던가 바늘 상하등기구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노루발 (31)을 지지하는 압송아암 (25)이 후방에서 봉합부에 대면하여 연장하여 나와있기 때문에 상부 압송이빨 (10)을 구동하기 위한 상부 압송아암 (9)의 기부는 봉합부에서 직물압송방향으로 상당히 떨어진 위치에서 직물압송기구의 전후동 구동멤버에 연결되었으며 또한 상부 압송이빨 (10)이 봉합부를 지나가서 직물 압송방향 바로 앞으로 뻗은 장소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부 압송아암 (9)의 기부에서 상부압송이빨 (10)까지의 거리가 길고 또 부품의 연결부에 운동을 허용하기 위한 헐거운 갭이 있으며 또한 상부 압송이빨 (10)에 의하여 두꺼운 기지도 봉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바늘판 상부면으로 부터의 상승량이 노루발 (31)의 두께보다도 어느 정도 높게 상승하는 4행정운동의 바퀴자국을 이동하므로 상부 압송아암 (9)이 직물압송을 위한 4행정운동을 하였을때 선단부의 상부 압송이빨 (10)은 직물압송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진동하여 노루발 (31)의 두께보다도 윗쪽으로 상승한 다음에 하강하였을때 상부 압송이빨 (10)하부면이 노루발 (31)에 형성한 상부 압송이빨홈 (30a) 및 (30b)의 측면쪽 상부면에 부딪혀서 충격음을 발생한다거나 상부 압송이빨 (10)을 절단 훼손한다거나 또는 상부 압송이빨 (10)이 직물압송노루발 (31)의 상부면에 멎게 되어서 직물에 접촉하지 않으므로서 상부 압송기능을 저해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또 이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압송이빨 (10)의 폭을 좁게 하면 직물상부면에 접촉하는 상부 압송이빨 (10)의 면적이 적어져서 상부 압송이빨 (10)에 의한 직물을 압송하는 힘이 감소되면 반대로 식물압송의 상부 압송이빨홈 (30a), (30b)의 폭을 넓게 하면, 그 부분의 노루발 (31)의 하부면에 대면한 하부 압송이빨과의 직물을 옆에 끼어드는 면적이 감소하여서 하부 압송이빨에 의한 직물압송력이 감소한다. 라고 하는 서로 모순된 결점이 발생하며 실질적으로 그것들의 폭은 한정되어 있다. 나중에 상술하는 제7 실시예에서는, 이와같은 제3 실시예의 결점을 해소하도록 연구되어 있다. 제9도 및 제10도에서는 제3, 4, 5도의 제3 실시예의 노루발에 변경을 가한 제7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제9, 10도에서는 제3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멤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쳤으며 설명은 생략한다. 제 7실시예의 노루발 (31)은 상부 압송이빨홈(30a)의 양측으로 대면하도록 세우고 상부 압송이빨홈 (30a)에 평행하는 윗쪽방향의 홈을 갖고 있으며 상부 압송이빨 (10)의 양측을 헐겉게 물린 한쌍의 압송이빨 안네 (62)를 가지고 있다. 이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압송이빨 (10)의 선단부는 그 4행정운동의 전체범위에 걸쳐 한쌍의 압송이빨안내 (62)의 내면측에서 운동한다.
제 7 실시예는 재봉틀 봉합부의 바늘보다도 직물압송방향 바로 앞에 배치되어 4행정운동하여 직물을 압송하는 오우버록재봉틀의 상부 압송이빨 (10)에 대하여 그 4행정운동의 전체 범위에 걸쳐 그 양측을 안내하는 압송이빨안내 (62)를 노루발 (31)에 형성하였으므로 상부 압송이빨 (10)은 그 운동중에 노루발 (31)의 압송이빨홈 (30a) 및 (30b)에서 직물압송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벗어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상부 압송이빨이 노루발의 압송이빨홈 측면쪽 상부면에 부딪히는 충격음을 발생하거나 상부 압송이빨을 절단 훼손하거나 하는 일이 없이 재봉틀을 고속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봉제 작업능율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상부 압송이빨에 의한 직물압송 기능을 안정화할 수 있고 나아가서 상부 압송이빨과 직물압송 노루발의 압송이빨홈을 제외한 부분과의 면적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부 및 하부의 압송이빨에 의한 직물압송력을 안정화하고 직물압송량을 정확히 하여 봉제품의 품질을 향상하는 등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은 바늘판 아래쪽의 하부 압송이빨의 상하등 위상에 대하여 역의 상하등 위상으로서 직물 윗쪽에서 4행정운동을 하여 직물을 압송하는 직물압송이빨 (10)을 지지하는 지지멤버로서의 상부 압송아암 (9) 또는 상부 압송제 (37)로 하여금 언제나 상부 압송이빨 (10)에 직물압송을 위한 4행정운동을 전달함과 동시에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상부 압송이빨을 봉합부에서 측면쪽으로 떨어진 방향에 회동변위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므로 언제나 직물에 대하여 상부 압송이빨의 기구로서의 기능을 다함과 동시에 바늘의 교환, 바늘에 실을 끼는 작업, 실의 끊어졌을 때 봉합부라던가 루우버에 얽힌 실을 제거작업등 할때, 상부 압송이빨이 그들 작업을 방해하는 일은 없으므로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작업능율을 향상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바늘판에 대하여 출몰 전후동하는 하부 압송이빨과 이 하부 압송이빨과 일정한 위상차로 연동하여 직물을 압송사도록 하부 압송이빨에 대하여 상하동 위상을 역으로 하고 전후동 위상을 동일하게 하여서 바늘판 상부면에서 구동멤버로 연동장치하여 4행정운동을 하는 상부 압송이빨을 고정한 지지멤버를 장비하였으며 전기한 지지멤버는 상부 압송이빨을 봉합부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측면쪽으로 격리하도록 수직측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직물압송기구.
  2. 전기한 구동멤버는 전후 구동멤버와 상하 구동멤버로 구성되었으며 이에 의하여 상부 압송이빨이 직물압송방향에의 이동, 윗쪽방향에의 이동, 직물압송방향에 대하여 역방항에 로의 이동, 아래쪽 방향에의 이동의 4행정운동을 되풀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 1의 재봉틀의 직물압송기구.
  3. 전기한 지지멤버는 상부 압송아암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상부 압송아암은 선단부에 상부 압송이빨을 마련하여 후단부에서 전후 구동멤버에 연결됨과 동시에 수직측을 중심으로 측면쪽으로 회동하는 것이 자유로우며, 중간부 하부면에서 상하 구동멤버와 접촉하고 윗쪽에서 용수철에 따라 아래방향의 탄성력을 받고있는 특허 청구의 범위 2의 재봉틀의 직물 압송기구.
  4. 전기한 지지멤버는 선단부에 상부 압송이빨이 있는 상부 압송체로 구성되었으며 선단부에 상부 압송이빨이 출몰하는 상부 압송이빨홈에 부착한 노루발을 갖고 있어 후단부에서 수직측을 중심으로 측면쪽으로 회동이 자유로운 압송아암에 전기한 상부 압송체가 전후동 또는 상하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었으며 전기한 상부 압송체는 후단부에서 전후 구동멤버에 연결되어 중간부 하부면에서 상하 구동멤버와 접촉하여 윗쪽에서 용수철에 의한 아래쪽 방향의 탄성력을 받고있는 상부 압송아암에 착탈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2의 재봉틀의 직물압송기구.
  5. 전기한 노루발에는 상부 압송이빨의 양측에 대면하여 세워놓은 상부 압송안내멤버가 형성되어 있는 특허 청구의 범위 4의 재봉틀 직물압송기구.
KR1019810005032A 1980-12-25 1981-12-21 재봉틀의 직물압송기구 KR860001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84830 1980-12-25
JP184830 1980-12-25
JP55184830A JPS57107187A (en) 1980-12-25 1980-12-25 Upward feeding mechanism of sewing machine
JP161489 1981-10-29
JP16148981U JPS5934451Y2 (ja) 1981-10-29 1981-10-29 オ−バ−ロツクミシンの上送り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926A KR830007926A (ko) 1983-11-09
KR860001535B1 true KR860001535B1 (ko) 1986-10-02

Family

ID=2648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5032A KR860001535B1 (ko) 1980-12-25 1981-12-21 재봉틀의 직물압송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860001535B1 (ko)
DE (1) DE3150806C2 (ko)
IT (1) IT12105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4219C1 (de) * 1984-04-14 1986-02-06 Union Special Gmbh, 7000 Stuttgart Naehmaschine mit Obertransporteinrichtung
DE3704820A1 (de) * 1986-12-19 1988-06-30 Rockwell Rimoldi Spa Vorrichtung zum steuern und einstellen der oberen transportvorrichtung an ueberwendlichnaehmaschin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0809A (en) * 1969-03-17 1970-09-29 Robert E Porter Work feeder for sewing machine
IT1017975B (it) * 1974-08-07 1977-08-10 Rockwell Rimoldi Spa Trasporto superiore a rullo per macchine per cucire
US4166422A (en) * 1978-09-06 1979-09-04 Porter Robert E Top feed for sewing machine
IT1109911B (it) * 1979-01-05 1985-12-23 Rockwell Rimoldi Spa Dispositivo di regolazione per il meccanismo di trasporto del lavoro di macchine per cuc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150004A0 (it) 1981-12-23
IT1210598B (it) 1989-09-14
DE3150806A1 (de) 1982-07-29
KR830007926A (ko) 1983-11-09
DE3150806C2 (de) 1985-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9464A (en) Walking foot feed for sewing machines
KR860001535B1 (ko) 재봉틀의 직물압송기구
JPH07136363A (ja) ミシンの送り機構
JP4020692B2 (ja) 針送りミシン
US4080089A (en) Automatic drilling machine
US4567838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dropping feed dog and lifting presser foot simultaneously
US3196815A (en) Sewing machine having lower and upper work-feeding members
JPS6350036B2 (ko)
US4603647A (en) Sewing machine with edge trimmer
JP2008237658A (ja) 穴かがりミシン
KR100364337B1 (ko) 상향이송기구를구비한평바느질재봉틀
US4216734A (en) Sewing machine with universal upper feed
JPH0424064A (ja) ミシン
GB709383A (en) An improved cloth-feed drive for sewing machines
KR860001541B1 (ko) 자수기의 대기장치(Waiting means for an embroidery machine)
US1592446A (en) Blindstitch sewing machine
JPS6017552B2 (ja) ミシンの上送り機構
US2036828A (en) Skip-stitch sewing machine
JP3511184B2 (ja) ルーパ駆動装置
JPS5934451Y2 (ja) オ−バ−ロツクミシンの上送り機構
US1311880A (en) Planooraph co
US1947950A (en) Blind stitch sewing machines
JPH0711740Y2 (ja) ミシンの間歇押え装置
US4448140A (en) Recessed top feed for sewing machines
US1144797A (en) Feeding mechanism for sewing-mach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