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533B1 - 재봉선 압압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선 압압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533B1
KR860001533B1 KR1019830001711A KR830001711A KR860001533B1 KR 860001533 B1 KR860001533 B1 KR 860001533B1 KR 1019830001711 A KR1019830001711 A KR 1019830001711A KR 830001711 A KR830001711 A KR 830001711A KR 860001533 B1 KR860001533 B1 KR 860001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line
pressing
sewing
cloth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400A (ko
Inventor
후미오 미나구찌
Original Assignee
아이시 세이끼 가부시끼 가이샤
나까이 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시 세이끼 가부시끼 가이샤, 나까이 료오 filed Critical 아이시 세이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3000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533B1/ko
Publication of KR84000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05B27/04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arranged above the workpie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봉선 압압 재봉틀
제1도는 종래의 바느질 재봉틀의 천평윗실 인장시의 천 및 이송치차 관계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재봉선 압압 부재를 갖춘 재봉틀의 정면설명도.
제3도는 제2도 도시 주요부의 부품전개설명도.
제4도는 제2도 도시 부품중의 일부의 확대사시도.
제5-1도 내지 제5-4도는 각기 본 발명에 의한 재봉선 압압시의 작용 설명도.
제6도는 제1도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압압 재봉틀에 의한 천 및 이송치차의 단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상축 3 : 편심캠
4 : 롯드 5 : 롯드 지지암
10 : 압봉 11 : 압봉지지대
12 : 이송암 13 : 연결롯드
14 : 굴림대 16 : 압압부착재
17 : 압압대 18 : 용수철
20 : 재봉선 압압체 23 : 압압체
24 : 압압부착체지지대 27 : 탄성체
28 : 바늘판 29 : 천평
32 : 이송치차
본 발명은 재봉선 압압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재봉틀 봉제에 있어서 보게되는 천 수축의 발생원인의 하나로, 윗실 장력의 영향에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지고 있다.
종래의 통상 재봉틀에서는, 천평의 윗실 인장즉상사점 직전시에는 이송치차는 바늘판표면상에 있어 천이송 행정중에 있다. 이때 봉제후의 재봉선은 이송치차와의 압압에 의해 압착되어 있기는 하나 그 힘이 그 부분에 집중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천평 상사점 직전의 인장장력으로 봉제후의 재봉선까지 필요이상으로 인장되어, 상기 천수축의 좋지못한 현상이 발생하였다(제1도 참조).
본 발명은 천평이 상사점 직전부터 상사점에 걸쳐, 이송치차가 바늘판 표면보다 아랫쪽에 타이밍 위치로 하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축에 연동하여 상하운동하는 바늘판의 바늘구멍후방에 배치된 재봉선 압압에 의해 봉재후의 재봉선을 집중적으로 압압하여 상기 천수축의 발생을 방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재봉선 압압재봉틀에 있어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1)의 재봉틀 기계테두리이고, (2)는 상축, (3)은 상축(2)과 일체로 회전하는 편심 캠으로, 그 편심캠(3)위에는 전후진 가능하게 롯드(4)의 기부가 부유 감착된다. (5)는 롯드 지지암으로, 그 일단은 핀(6)에 의해 상기 롯드(4)의 다른 끝에 부유감착된다.
그렇게 하여 그 롯드 지지암(5)은, 기계 테두리(1)에 고착한 축수상자(7)에 상축(2)과 평행으로 설치된 축(8)위에서, 베어링(9)을 사이에 두고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10)은 압봉이고, (11)은 압봉지지대로, 그 압봉지지대(11)에는 요동이 자유롭게 이송암(12)이 지지되어 그 이송암(12)의 하단부는 연롯결드(13)의 일단에 연결하고, 그 상단부에는 굴림대(14)가 장착된다.
그렇게해서, 상기 연결롯드(13)의 다른 끝은 결합된 (15)에 의해 상기 롯드지지암(5)에 연결되어 있다.
(16)은 압압부착재로, 상기 압봉(10)에 고정된 압압받침대(17)의 구멍 (17a)을 통하여, 용수철(18), 칼라(19)가 삽입되어 압봉(10)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압압부착체(16)의 하단에는 긴구멍(20a)이 있는 재봉선(20)이, 보내는 방향으로 부착조정 가능하게 나사멈춤(21)되어, 그 재봉선(20)의 압압부(20b)는 상기 압압받침대(17)에 셋트(22)된 압압체(23)의 구멍(23a)에 마주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압부착체(16)의 윗쪽축위에는 부착체지지대(24)가 상기 굴림대(14)윗쪽에 위치하여 고착(25)되어, 용수철받이(26)가 장착된다.
(27)은 , 그 일단으로 상기 용수철받이(26)를 압압하는 탄성체로서, 상기 재봉선 부착체(16)는 용수철(18)에 의한 윗쪽으로의 힘을 받지만 이 용수철 힘보다는 센 상기 탄성체(27)에 의해 전체적으로 보아 아랫쪽으로 압압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재봉선(20)의 압압부(20b)는 압압체(23)의 구멍(23a)내에 위치하고 재봉틀 베드위에 바늘판(28)위에 내려눌려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29)는 천평, (30)은 침봉, (31)은 봉침, (32)는 이송치차이다.
본 발명의 재봉선 압압재봉틀 구성은 이상과 같이하여 이루어지고, 이하, 그 작동의 상세한 것을 제5-1도 내지 5-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1도의 상태는, 이송치차(32)가 하사점에 있고, 천평(29)이 상사점을 지나 다소 아랫쪽으로 내려가기시작한 위치를 도시한다. 이 상테에서 재봉선(20)은 탄성체(27)와 용수철(18)에 의해 바늘판 표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편심캠(3)의 작용으로 롯드(4), 롯드지지암(5), 연결롯드(13), 이송암(12)의 각 부재를 사이에 두고 굴림대(1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부착체지지대(24)에 접촉한다. 그래서 이송치차(32)는 반시계 방향으로 작동하여 바늘판표면과 일치하는 데까지 이동한다. 또한, 재봉선(20)은 바늘판표면으로부터 떨어지려고 하고 천평(29)은 도시하지 않는 가마에 윗실을 공급하기 위해 아랫쪽으로 내린다. 이 상태를 제5-2도에 도시하였다.
제5-2도에서 다시 상축이 회전하면, 굴림대(24)도 다시 시계방향으로 요동운동하고, 탄성체(27)에 버티어 부착몸체지지대(24)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재봉선 부착체(16) 및 이것에 고착되게된 재봉선(20)도 함께 상승한다. 이송치차(32)는 천이송 작동을 시작하나, 재봉선(20)은 상승하고 있으므로, 이 천이송운동에 장애됨이 없이, 천평(29)은 하사점을 지나 조금 상승한 곳에 있다. 즉 제 5-3도에 이상태를 도시한다.
여기부터 다시 상축이 회전하면 굴림대(14)는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여 부착체지지대(24)로부터 떨어지려고 한다. 이때 이송치차(32)는 이송을 끝내고 바늘판의 아래 가라앉으려하고, 천평은 상사점의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를 도시한 것이 제5-4도이다.
상기 설명과 같이 제5-4도에서 제5-1도의 상태에 걸쳐서, 천평은 상사점에 달하고 윗실의 인장이 행하여진다.
즉, 제6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이송치차(32)는 천의 이송을 끝내고, 그 하사점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때 압압체(23)의 구멍(23a)을 통해, 재봉선(20)의 압압부(20b)에서 천의 바느질끝 제2바늘선이후 (제1바늘선은 텐션대책을 위해 푸는 것이 바람직하다)를 집중적으로 압착하는 한편 그 부착위치를 이송전후 방향으로 조정가능케하였으므로, 천이송에는 관계없고 더구나 봉제후의 재봉선에 윗실장력이 영향을 주는 불편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어 봉제의 마무리 상품가치를 높일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압봉으로부터 천이송 앞쪽방향 전방에 위치하여, 상축으로부터 연동되어 상하운동하는 압압부착체와, 상기 압압부착체에 부착된 재봉선과 그 재봉선의 재봉선 압압부는 압압에 있어서의 바늘구멍의 이송방향쪽 전방에 설치한 통공내에 대향위치되어, 천평의 상사점 바로 앞에서 상사점에 걸쳐 이송치차가 바늘판 표면보다 아랫쪽에 위치할때, 상기 재봉선의 재봉선 압압부가 바늘판위의 천을 압압토록한 재봉선 압압 재봉틀.
  2. 압봉으로부터 천이송쪽 방향전방에 위치하여 상축으로부터 연동되어 상하운동하는 압압부착체와, 상기 압압부착체에 부착된 재봉선과 그 재봉선은 그 부착위치를 이송전후방향으로 조정가능케되어, 그 재봉선 압압부는 압압에 있어서의 바늘구멍의 이송방향쪽 전방에 설치한 통공내에 대향배치되고, 천평의 상사점 바로 앞에서 상사점에 걸쳐 이송치차가 바늘판표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할때, 상기 재봉선의 재봉선 압압부에서 바늘판위의 천을 압압하도록한 재봉선 압압 재봉틀.
KR1019830001711A 1983-04-22 1983-04-22 재봉선 압압 재봉틀 KR860001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1711A KR860001533B1 (ko) 1983-04-22 1983-04-22 재봉선 압압 재봉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1711A KR860001533B1 (ko) 1983-04-22 1983-04-22 재봉선 압압 재봉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400A KR840008400A (ko) 1984-12-14
KR860001533B1 true KR860001533B1 (ko) 1986-10-02

Family

ID=1922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711A KR860001533B1 (ko) 1983-04-22 1983-04-22 재봉선 압압 재봉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5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400A (ko) 1984-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0029B2 (ja) ミシンの送り機構
KR860001533B1 (ko) 재봉선 압압 재봉틀
US3828704A (en) Combined upper and lower feed for sewing machines
US3282237A (en) Device for tensioning the presser foot of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US5634417A (en) Fabric presser foot device of a sewing machine
KR890016241A (ko) 실분리-및 실긴장장치를 가지는 단추구멍 재봉기
US4018172A (en) Feed regulator clamping device
JPS6021752B2 (ja) 縫目押えミシン
JPH05153Y2 (ko)
JP2000300876A (ja) ミシンの間欠布送り装置
US4269128A (en) Low inertia tandemly mounted presser mechanism
US5136956A (en) Seam forming device of blindstitching machine for fabric end at sewing start
JPS6327674Y2 (ko)
JPH07121314B2 (ja) ミシンの上糸供給装置
US4221181A (en) Throat plate for above the bed feed system
JPS64220Y2 (ko)
US1217329A (en) Sewing and binding machine.
US1410860A (en) Feed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JPS6334629Y2 (ko)
JP2003220289A (ja) ミシンの生地押え装置
JPH0722622B2 (ja) 上下送り本縫いミシンにおける縫い不良防止方法
KR860001536B1 (ko) 솔기압압 미싱
JPS60256488A (ja) ミシンにおける布送り装置
US2445297A (en) Feeding and presser mechanisms for sewing machines
JP2973035B2 (ja) 刺繍縫いミシンにおける布押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