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008Y1 - 복합형 스피이커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형 스피이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008Y1
KR860001008Y1 KR2019830002763U KR830002763U KR860001008Y1 KR 860001008 Y1 KR860001008 Y1 KR 860001008Y1 KR 2019830002763 U KR2019830002763 U KR 2019830002763U KR 830002763 U KR830002763 U KR 830002763U KR 860001008 Y1 KR860001008 Y1 KR 860001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eeter
scoker
woofer
sound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2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928U (ko
Inventor
마나부 가와우찌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도 세이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도 세이야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9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9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0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형 스피이커 시스템
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복합형 스피이커 시스템의 1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제1도는 그릴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그릴을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동상의 Ⅲ-Ⅲ, Ⅳ-Ⅳ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우퍼 4 : 지지아암
7 : 스코퍼 8 : 트위터
9 : 슈우퍼트위터
본 고안은 특히 카아스테레오용의 스피이커로서 리어트레이 또는 도어에 부착시켜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복합형 스피이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복합형 스피이커시스템의 종래예로서는 우퍼의 중앙에 스코커 또는 트위터를 우퍼의 프레임간에 걸쳐서 부착된 지지판에 고정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스코커, 트위터의 재생음은 중고역음(中高域音)이며 지향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의 스피이커시스템에 있어서는 우퍼로부터의 저역음과 음원(音源)이 동축으로 된다고 하는 이점은 있다고 하나 중고역음도 저역음과 같이 천정으로 향하여 방음하게 되므로 운전자들에게 중고역음이 도달되지 않아 충실한 재생음을 청취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결점을 시정하고저 하는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스코커와 트위터를 우퍼의 거의 중앙에서 기도(起倒) 자유로 형성함과 동시에 기립시에 스코커에 대하여 트위터가 높은곳에 위치하게 하므로써 중역음으로부터 고역음까지의 재생음을 충실하게 청취할수가 있는 복합형 스피이커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1a는 자기회로, 1b는 프레임, 1c는 파라형커브코운, 1d는 보빈, 1e는 보이스코일, 1f는 댐퍼로 이상은 공지의 통상의 형상에 있어서의 우퍼와 같은 구조이다.
2는 자기회로(1a)의 보올피이스(1a1)의 정부에 배면으로부터 삽입된 나사(3)에 의해서 고정된 합성수지제등의 기대(), 4는 상기나사(3)의 기대(2)로부터 돌출한 선단에 끼워넣어진 대략 U자상의 지지아암으로서 너트(5)의 죄어붙임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너트(5)의 상면에는 소공(5a)이 형성되어 있다.
6은 스코커(7), 트위터(8) 및 슈우퍼트위터(9)가 부착된 스피이커부착판으로서 스코커(7)를 끼고 트위터(8) 및 슈우퍼트위터(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트위터(8)와 슈우퍼트위터(9)를 잇는 선(L1)은 스코커(7)의 중심보다 제 2도에 있어서 상방 즉 부착판(6)을 회동한때에 스코커(7)보다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코커(7)의 프레임(7a)에는 합성수지등에 의한 스토퍼돌기(10a)를 지닌 고정부재(10)가 서로 대응한 위치에 고착되어 있어 이에 상기한 지지아암(4)의 양단이 나사(11)등에 의해여 회동자유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트위터(8)와 슈우퍼트위터(9)의 중심을 잇는 선(L1)과 지지아암(4)의 양단을 잇는 선(L2)과는 평행은 아니고 적의한 각도를 지니도록 지지아암(4)과 스코커(7)는 부착되어 있다. 또 스코커 (7)의 지지아암(4)과의 부착위치는 비교적 상방에 있어서 행해지고 있으므로 부착판( 6)은우퍼 (1)의 상면보다 그다지 돌출하는 일은없다. 여기서 부착위치가 저하하므로써 트위터(8), 슈우퍼트위터(9)가 우퍼(1)의 코운(1c)과 접촉하는 가능성이 생기므로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코운(1c)을 파라형 커브코운으로 하므로써 상기 접촉을 방지하고 있다.
1a는 스코커(7)의 자기회로(7b)의 하면에 고착된 부채상의 록판으로서 그 외주면에 일정간격의 요()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13, 14는 상기한 너트(5)의 소공( 5a)내에 삽입된 스프링과 보올로서 스프링(13)에 의해서 압압된 보올(14)이 상기록판 (12)의 요부(12a)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한 15는 코운(1c)의 내면과 기대(2)와의 사이에 부착된 제2댐퍼이다.
16은 그릴로서 상기 우퍼스피이커의 프레임(1b)에 있어서의 외주부(1b1)에 끼워 맞추어진 틀체(16a)와 이 틀체(16a)에 고정되는 철망(16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철망(16b)은 중앙부분이 직선상으로 융기된 형상으로 되어 있어 부착판 (6)을 회동한때에 스피이커(7 내지 9)가 접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에 의거하여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 각도면에 있어서 실선의 상태는 각 스피이커(7내지 9)가 수평상태 즉 부착판(6)이 옆으로 뉘인상태로 되어 있고, 고정부재(10)의 돌기(10a)가 지지아암(4)에 접촉하고 또한 보올(14)이 록판(12)의 중앙위치의 요부(12a)에 계합되어 정지되어 있다.
그리고 우퍼스피이커를 자동차의 리어트레이에 코운(1c)을 상면측으로 하고 또한 트위터(8)와 슈우퍼트위터(9)를 잇는선(L1)이 자동차의 좌석과 평행으로 되도록 부착한다. 이어서 부착판(6)을 가지고 운전자측으로 기립하면 스피이커(7 내지 9)의 방음면이 운전자의 방향으로 향한다.
이 회동시에 있어서 보올(14)은 록판(12)의 요부(12a)로부터 순차적으로 빠져나가 손을 놓은 위치에 있어서의 요부(12a)로 들어가 록판(12)의 회동을 저지하고 따라서 부착판은 고정된다.
또한 상기 부착판(6)의 기립에 있어서 보올(14)이 록판(12)의 최종요부에 계합 (제3도의 가상선)된 상태에 있어서는 스코커(7)의 자기회로(7b)의 배면이 너트(5)에 접촉하나 이 너트(5)는 나사(3)를 통하여 자화(磁化)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올(14)과 요부(12a)와의 계합외에 자력에 의해서 확실하게 고정되어 자동차의 진동등에 의해서도 덜거덕거림이 생기는 일이 없다.
일반적인 사용형태로 가장많은 경사각이 이상태이므로 특히 상기 2방식에 의한 고정은 유효하다.
또 스피이커(7 내지 9)를 기립한 상태에서 트위터(8)와 슈우퍼트위터(9)가 스코커(7)보다도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지향성이 큰 고역음은 높은 곳에서 운전자측으로 방음되게된다. 더우기 회전중심축선(L2)과 트위터(8), 슈우퍼트위터(9)를 잇는선(L1)이 각도를 지니고 있으므로 경사된 상태에서 슈우퍼트위터(9)의 쪽이 트위터(8 )보다 더욱 높은곳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초고역음은 트위터(8)보다 더욱 높은 곳으로부터 방음되며 따라서 운전자는 초고역음까지도 다른물체 예컨대 후부좌석의 등 기대기 베개에 의해서 차단되는 일없이 직접 음으로서 청취할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우퍼의 자기 회로에 고정된 지지아암에 스코커를 회동자유로 설치하였으나 틀체(16a)의 내측에 회동자유로 계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부착판(6)을 스코커( 7)에 설치한 고정부재(10)를 통하여 지지아암(4)에 부착 하였으나 이것은 부착판(6)의 이면에 돌편등을 형성하고 이돌편에 지지아암(4)을 부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어트레이에 부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어에 묻어 설치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우퍼에 스코커를 자유로 부착함과 동시에 이 스코커에 트위터를 부착하고 또한 스코커를 기립한때에 트위터가 스코커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도록하므로써 지향성이 큰 고역음이 중역음보다 높은 위치에서 방음되며, 따라서 운전자등에 대하여 직접음으로 도달되므로 충실한 재생음을 청취할수가 있는등의 효과를 지니는 것이다.

Claims (1)

  1. 우퍼(1)에 고정된 지지아암(4)과 이 지지아암(4)에 대하여 회동자유로 부착된 스코커(7)와 이 스코커(7)를 기립방향으로 회동한때에 이 스코커의 음축보다 높은 위치로 음축이 위치하도록 스코커(7)에 부착된 트위터(8)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복합형 스피이커 시스탬.
KR2019830002763U 1982-03-31 1983-03-29 복합형 스피이커 시스템 KR86000100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2044965U JPS58149887U (ja) 1982-03-31 1982-03-31 複合形スピ−カシステム
JP44965 1982-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928U KR840005928U (ko) 1984-11-10
KR860001008Y1 true KR860001008Y1 (ko) 1986-05-23

Family

ID=3005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2763U KR860001008Y1 (ko) 1982-03-31 1983-03-29 복합형 스피이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49887U (ko)
KR (1) KR8600010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69900B1 (en) * 2006-01-04 2017-10-11 Boston Acoustics, Inc. Audio speaker having a tweeter capable of continuous ro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7598Y2 (ko) * 1978-06-12 1982-08-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149887U (ja) 1983-10-07
JPS6342788Y2 (ko) 1988-11-09
KR840005928U (ko) 198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28468Y2 (ko)
JP2783839B2 (ja) スピーカ装置
JP3101992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における音響装置
KR860001008Y1 (ko) 복합형 스피이커 시스템
JP3063297U (ja) スピ―カの取付構造
JPS6342789Y2 (ko)
JPS6342787Y2 (ko)
JPH01889A (ja) テレビ用スピ−カ・システム
US20080031486A1 (en) On-wall loudspeaker and mounting apparatus
JP2605380Y2 (ja) スピーカボックス
JPS5843336Y2 (ja) 複合型スピ−カシステム
JPS5831694A (ja) スピ−カ装置
JPH0139031Y2 (ko)
JPH0132472Y2 (ko)
JPS60241398A (ja) 車載用複合型スピ−カ
FR2338616A1 (fr) Emetteur de son
JP3016091U (ja) 反射式仮想フルレンジ型スピーカー
US20030063757A1 (en) Acoustical speaker apparatus
JPH0112476Y2 (ko)
JP2004172717A (ja) スピーカ装置の接続構造
JPH0645865U (ja) 車載用スピーカ装置
JP2564407Y2 (ja) 壁埋込型音響再生システム
KR20040000196A (ko) 스피커 시스템
KR860001870Y1 (ko) 차재용(車載用)스피이커유닛
JP2628457B2 (ja) スピーカー用音響改善部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ダイナミックコーンスピーカー及びスピ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5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