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947B1 - 프라스틱 적층 금속 수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라스틱 적층 금속 수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947B1
KR860000947B1 KR1019840001345A KR840001345A KR860000947B1 KR 860000947 B1 KR860000947 B1 KR 860000947B1 KR 1019840001345 A KR1019840001345 A KR 1019840001345A KR 840001345 A KR840001345 A KR 840001345A KR 860000947 B1 KR860000947 B1 KR 860000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cutlery
metal
plastic
calcium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042A (ko
Inventor
정흥수
Original Assignee
정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흥수 filed Critical 정흥수
Priority to KR1019840001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947B1/ko
Publication of KR850007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라스틱 적층 금속 수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통상의 금속 수저의 일면에 프라스틱을 적층피복하여 미려한 무늬를 현출시키면서 강도와 내마모성, 내열성등이 우수한 미장효과가 있는 고급수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저는 순수 금속제로만 되어있거나 합성수지로 만들어져 있어서 미려하지 못하고 고급스럽지 못하거나 또는 강도가 약하여 휘거나 또는 열에 약하여 녹거나 타버리는 약점이 있었다.
본원은 이와 같은 종래의 수저에 대한 결점을 개량 보강하면서 외관이 수려하고 고급스럽게 미장효과를 주면서도 내구성 즉, 파열, 파손이 잘 안되고 타거나 녹거나 휘지 아니하는 수저를 제조코저 한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녹슬지 않은 비철 금속을 수저의 기재로 하고 이 기재상에 페놀수지와 에폭시 수지에 석면 섬유와 자개를 배합한 적층액으로 적층피복하여 내열성과 내구성, 파열강도,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수저를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철 금속의 표면에 적층할 프라스틱제로서 가용성과 가용성이 있는 노보라크형 페놀 수지를 가열용융하여 에폭시 수지의 용융액과 배합하되 이것을 기재인 비철금속 수저의 한쪽면에 적층성형하기 직전에 경화제로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 활제(滑劑)로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및 경화 촉진제로서, 산화칼슘을 자기편과 함께 혼합하여 수저면에 통상의 방법으로 적층 성형 가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각 물질의 배합비율로 중량으로 하여 페놀수지의 경우 45-50%, 가장 좋기는 47%가 좋고, 에폭시 수지는 18-23%, 가장 좋기는 20%가 좋으며, 석면섬유도 대개 20-30%, 더 좋기는 25%가 가장 좋으며, 경화제인 헥사메틸렌 테트라민은 대개 5-10%, 가장 좋기는 6%가 좋으며, 활제인 스테아린산 마그네슘과 경화 촉진제인 산화칼슘은 각각 15-3%, 가장 좋은 량은 2%로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고, 미장효과와 보강효과를 주기위한 자개편은 필요에 따라 적당량 혼합한다.
이때 각 물질의 작용효과를 보면, 페놀수지는 노보라크형 페놀수지를 사용하므로서 별도의 유기용제가 필요없이 가열에 의해서 용융시킬 수가 있어서 에폭시 수지와 배합하였을 때 배합공정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가용, 가융성이기 때문에 배합물질들과의 점도 조절이 용이한점을 이용한 것이며, 또한 페놀수지는 그 제품의 강도와 내열성, 내약품성 등이 특히 우수하고 충격강도가 우수한 점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페놀수지 의 이와 같은 장점이 있는 반면 금속과의 점착성이 나빠 적층성형시 파열, 탈리현상의 우려가 있고 광택성이 저조하며, 강한 충격에 의해서는 균열, 파괴되는 결점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페놀수지의 결점을 보강하면서 상호 융합이 용이한 에폭시 수지를 용융배합하므로서 상기 페놀수지의 결점을 완전 해소하여 금속과의 접착을 강하게 하여 완전 밀착되게 함은 물론 강한 충격에도 절대로 파손 균열이 생기지 않게 하며, 고열에도 견디고 표면 광택성을 상승시켜주는 역활을 하게 한다.
이와 아울러 석면섬유를 배합하므로서 페놀수지의 취약점인 불에 약한 결점을 보강하여 불에 닿거나 고열의 물속에서도 변형소실이 없이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 내열성과 보강성을 부여한 것이다.
그외 경화제는 주지된 바와 같이 성형시에 가열용융된 재료를 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원 발명의 경우 헥사메틸렌 테트라민이 가장 우수한 경화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이물질이 가용, 가융성의 페놀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열경화 형으로 전환시키는 작용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활제로서 사용되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은 수저의 성형시에 금형에서 성형물이 부착되어 잘 떨어지지 않은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본원 발명의 경우에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이 가장 좋은 이형 효과를 나타낸다. 또, 경화촉진제로서의 산화칼슘은 상기 경화제에 의해서도 경화는 되지만 경화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경화를 촉진하여 량산을 하고져 사용한 것이다. 또 자개편은 제품표면에 미려한 장식효과를 표면에 광택성을 부여하면서 보강효과를 주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프라스틱 적층물을 비철 금속면에 부착성형하는 방법은 주형(注型)성형이나 이송(移送)성형등 공지의 성형방법으로 적층 성형한다.
이때 본원과 같은 물질들과 배합비가 아니면 통상의 순수 금속 성형이나 순수 프라스틱 재료만의 성형과는 달리 비철 금속과 프라스틱이 일체로 성형이 어렵거나, 설령 실시 금속 기재와 프라스틱의 부착, 성형되었다 하더라도 쉽게 탈리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원의 경우에는 물질의 특성과 배합비의 적정 조절에 의하여 이와 같은 결점이 없이 완전 일체로 성형하게 되므로 절대로 금속 기재와 프라스틱층이 균열, 탈리되지 않은 것이 본 원의 특징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된 본원 발명은 수저의 구조상 비철 금속인 기재와 적층된 프라스틱층으로 인하여 모양, 형상의 다양성을 부여히여 심미감을 주며, 프라스틱속에 박혀있는 자개로 인하여 우아하고 미련한 감을주게 되므로 고급 수저로서의 가치를 부여한다. 뿐만 아니라 표면광택이 우수하고 깨지거나 휘거나 부러지지 않고 견고성이 있는 것이 본원 발명 제품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Claims (1)

  1. 비철 금속을 기재로한 수저의 한면에 노보라크형 페놀수지 45-50 중량 %와 에폭시 수지 18-23 중량 %, 석면섬유 20-30%를 용융 혼합한 액을 적층성형하기 직전에 헥사메틸렌 테트라민 5-10%, 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및 산화칼슘 각각 1.5-3%중량 및 자개편 적량을 혼합하여 적층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스틱 적층 금속 수저의 제조 방법.
KR1019840001345A 1984-03-16 1984-03-16 프라스틱 적층 금속 수저의 제조 방법 KR860000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1345A KR860000947B1 (ko) 1984-03-16 1984-03-16 프라스틱 적층 금속 수저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1345A KR860000947B1 (ko) 1984-03-16 1984-03-16 프라스틱 적층 금속 수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042A KR850007042A (ko) 1985-10-30
KR860000947B1 true KR860000947B1 (ko) 1986-07-23

Family

ID=1923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345A KR860000947B1 (ko) 1984-03-16 1984-03-16 프라스틱 적층 금속 수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9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042A (ko) 1985-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wartz Encyclopedia of materials, parts and finishes
Murphy The reinforced plastics handbook
Harper et al. Plastics materials and processes: a concise encyclopedia
US5885503A (en) Mold process for producing a finished solid surface countertop
JP2021051070A (ja) 鍛造複合体製の時計部品
US5073589A (en) Composite backing structure for spray metal tooling
KR860000947B1 (ko) 프라스틱 적층 금속 수저의 제조 방법
JP2003063882A (ja) 人造大理石の製造方法
US4282125A (en) Polymer composition with a polyester basis and utilization thereof for the production of transparent flexible laminates with inert and/or fibrous filling materials
JPH04234451A (ja) チキソトロープ組成物
JPS6114424Y2 (ko)
WO2018140446A1 (en) Layered structure and melt functional fastener
JPH0260960A (ja) 成形材料
JPS6114425Y2 (ko)
JPS62259837A (ja) Frp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36417B2 (ko)
KR100240231B1 (ko) 글라스비드-충진된 성형수지 조성물
US1094656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rticles of agglomerated and reinforced cork.
CN107118488A (zh) 连续定向玻璃纤维增强高电气性能片状模塑料及制备方法
JPS56137920A (en) Pattern molding and its manufacture
JP2002284558A (ja) 人造大理石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950012973B1 (ko) 세라믹층이 형성된 씽크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23998A (ko) 플라스틱 성형품의 표면처리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플라스틱 성형품
Tasch Fiberglass as a medium for sculpture
JPS634609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