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917B1 -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 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60000917B1 KR860000917B1 KR1019830000544A KR830000544A KR860000917B1 KR 860000917 B1 KR860000917 B1 KR 860000917B1 KR 1019830000544 A KR1019830000544 A KR 1019830000544A KR 830000544 A KR830000544 A KR 830000544A KR 860000917 B1 KR860000917 B1 KR 8600009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cassette
- tape
- gear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a)도, 제1(b)도는 각각 본 발명에 적용된 테이프 레코오더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
제2도는 동일한 테이프 레코오더의 카세트뚜껑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동일한 카세트 뚜껑에 대한 조송(早送) 및 리와인드 조작버튼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동일한 테이프 레코오더의 기구부, 헤드부 및 카세트 홀더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카세트 홀더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동일한 테이프 레코오더 기구부를 상세히 도시하는 구성도.
제7도는 재생조작 버튼과 헤드부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8도는 동일한 재생조작 버튼이 조작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9도 내지 제12도는 각각 동일한 테이프 레코오더 기구부의 동작 설명도.
제13도는 정지 조작 버튼을 상세히 도시하는 사시도.
제14(a)도, 제14(b)도는 각각 스톱 슬라이더의 작용을 도시하는 동작 설명도.
제15도 및 제16도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리일 캡의 날개의 형상 및 작용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측면도.
제17(a)도 내지 제17(c)도, 제18도 및 제19(a)도, 제19(b)도는 각각 동일한 리일캡의 날개의 다른 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 배면도, 사시도 및 측면도.
제20도는 테이프 레코오더 기구부의 각 기어의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21도는 동 각 기어의 작용을 설명하는 측면도.
제22도는 재생조작버튼과 록레버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3(a)도, 제23(b)도는 각각 튜우너팩을 도시하는 정면도 및 배면도.
제24도는 동일한 튜우너팩을 카세트 홀더내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5도 및 제26도는 각각 본 발명에 적용된 테이프 레코오더의 다른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캐비닛 12 : 카세트 뚜껑
13 : 테이프 카세트 14 : 테이프 카세트 수납부
15 : 기구 수납부 16 : 헤드부
17, 18 : 리일축 19 : 조송 조작 버튼
20 : 리와인더 조작 버튼 21 : 재생 조작 버튼
22 : 정지 조작 버튼 23 : 창부
24 : 지지축 25 : 메인 샤시
26 : 캡스턴 27 : 모우터
28 : 카세트 홀더 29 : 재생 헤드
30 : 핀치로울러 31 : 헤드 샤시
32 : 재생 구동 부재 33 : 플라이 휘일
34 : 벨트 35 : 기어
36 : 축받침 부재 37 : 록 부재
38 : 리일 캡 39 : 스프링
40, 43 : 기어 44 : 마찰부재
45 : 고정구 46 : 축받침 부재
47 : 록 부재 48 : 리일캡
49 : 스프링 50 : 기어
51 : 장착부재 52 : 리와인드 레버
53 : 기어 54 : 록 레버
55 : 스위치 레버 56 : 리이프(leaf)스위치
57 : 스톱 슬라이더 58 : 마찰레버
59 : 검출레버 60 : 튜우너팩
본 발명은 소형화 지향의 카세트 테이프레코오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테이프레코오더에 있어서는 소형 경량으로 휴대에 적합한 동시에 특히 헤드폰을 사용한 재생전용의 2웨이 스테레오 타이프가 보급되고 있고, 헤드폰을 쓰고 예를들면 보행하면서 테이프 재생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헤드폰 전용형의 휴대용 테이프레코오더는 이미 최소한으로 소형화되고 있고 현재 상태에 있어서는 테이프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 케이스와 대략 동등한 크기로 까지 소형화되고 있다.
그런데 테이프레코오더를 카세트 케이스와 대략 동등한 크기로까지 소형화했을때, 특히 요망되는 것은 테이프레코오더를 재생, 조송, 리와인드 등의 각종 동작상태 및 정지 상태로 하기 위한 각 조작버튼의 형상 및 배치를 개선해서 더욱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사용하기 쉽도록 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소형 테이프레코오더의 조작버튼은 그 형상이 테이프레코오더본체에 비례해서 소형인 동시에 테이프레코오더 기구부와의 관계 때문에 한 장소에 집중 배치되고 있고, 이로인해 조작이 힘들고 오동작되기가 쉽다. 그래서 종래부터 테이프레코오더 자체는 카세트 케이스와 대략 동등한 크기로까지 소형화하는 반면 조작버튼의 형상 및 배치는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데까지 크게 하고, 또 예를 들면 인접된 조작버튼까지 잘못 조작하지 않게 그 간격을 넓게 충분히 취하고, 휴대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작성이 우수하고, 오동작동이 없는 소형 테이프레코오더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소형 테이프레코오더에 있어서는 단순히 테이프의 재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라디오 방송도 수신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이것은 라디오 전파의 수신, 동조, 검파 및 증폭등을 실시하는 튜우너 회로부를 테이프 카세트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케이싱 내에 수납해서 구성되는 튜우너 유니트(이하 튜우너팩으로 호칭한다)를 사용하고, 이 튜우너팩을 테이프카세트 대신에 테이프 레코오더의 테이프카세트 수납부에 장착하므로써 실시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튜우너팩을 사용할 수 있는 소형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도 상기의 요망 사항과 같은 취지의 개발이 강력히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따라 연구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오동작을 완전히 방지할 수가 있고, 소형화를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극히 양호한 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테이프 카세트 수납부에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또한 축심방향 슬라이드 조작이 자유롭게 설치된 리일축과 이 리일축을 조작위치에서 록 또는 록 해재할 수 있는 록 기구와 상기 리일축의 조작에 연동해서 테이프를 소정의 주행상태로 하는 테이프레코오더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일축에 설치되고 테이프 카세트의 리일허브에 형성된 돌부(突部)에 걸려서 이 리일허브를 회전시키는 날개에 대해 상기 테이프의 주행정지시에 상기 리일 허브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로 상기 릴축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날개가 상기 돌부를 압압하는 힘을 분할하고, 상기 릴축에 대하여 복귀 방향의 힘을 생성하는 경사부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 제1(b)도는 각각 본 발명에 적용된 테이프 레코오더를 정면 및 측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참조번호(11)는 대략 상자모양이고 테이프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케이스와 대략 동등의 크기로 형성된 캐비닛이다. 이 캐비닛(11)의 한편의 평면부는 그대로 카세트 뚜껑(1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 뚜껑(12)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1(b)도의 중앙화살표(A) (B) 방향으로 회전동작시켜서 개폐되도록 지지된다. 또, 상기 카세트 뚜껑(12)은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에서 각각 살짝 록되고, 흔들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카세트 뚜껑(12)에는 후반에서 상세히 설명될 카세트 홀더가 있다. 이 카세트홀더는 카세트 뚜껑(12)의 개폐동작에 연동하는 것으로, 제1(b)도중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테이프 카세트(13)를 유지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캐비닛(11)내에는 카세트 뚜껑(12)을 닫은 상태로 상기 테이프 카세트(13)를 수용할 수 있는 테이프 카세트 수납부(14) 및 후기하는 테이프 레코오더기구부, 회로부, 전지수납부등이 장치되는 기구 수납부(15)가 형성된다. 또, 상기 캐비닛(11)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13)의 테이프 노출면측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후기하는 재생헤드 및 핀치로울러등을 구비한 헤드부(16)가 설치된다. 이 헤드부(16)는 상기 카세트홀더와 같이 카세트 뚜껑(12)의 개폐동작에 연동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카세트 수납부(14)내에는 제1(a)도의 도시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13)의 도시를 생략한 한쌍의 리일허브에 끼워 맞추어지는 한쌍의 리일축(17), (18)이 각각 지지된다. 또, 상기 카세트 뚜껑(12)에는 조송 및 리와인드시에 테이프권취측이 되는 리일축(17), (18)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리일축(17), (18)의 회전축(171), (181)을 포함하도록 조송 조작버튼(19) 및 리와인더 조작버튼(20)이 각각 설치된다. 이들 조송 및 리와인더 조작버튼(19), (20)은 리일축(17), (18)의 회전축(171), (181)을 그 축심방향으로 압압하도록 조작가능으로 설치되며, 더욱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 상기 카세트 뚜껑(12)에는 상기 헤드부(16)와 대응하는 위치, 즉, 테이프 카세트(13)의 평면부와 대향되지 않는 위치에 재생조작 버튼(21) 및 정지조작버튼(22)이 카세트 뚜껑(12)표면에 대략 수직으로 압압조작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상기 카세트 뚜껑(12)의 대략 중앙부에는 창부(23)가 설치된다. 이 창부(23)에 예컨대 투명아크릴판 등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테이프 카세트(13)의 평면부에 형성된 주지의 테이프 투시창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창부(23)의 제1(a)도 중 우측단부는 리일축(17), (18)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이프 투시창을 개재하여 테이프 주행 상태가 외부로부터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테이프 주행상태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점에 관해서는, 조송 및 리와인드 조작버튼(19), (20)을 투명재료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 카세트 뚜껑(12)중, 조송 및 리와인드 조작버튼(19), (20)과 재생 및 정지조작버튼(21), (22)과의 사이에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 수납부(14)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확산되는 테이프를 가지는 긴 구멍(121)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121)은 튜우너팩을 사용한 라디오 수신시에 카세트 뚜껑(12)을 닫은 상태로 선국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 테이프레코오더는 단순히 테이프의 재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튜우너팩을 사용하므로써 라디오 방송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라디오전파의 수신, 동조, 검파 및 증폭등을 하는 튜우너회로부를 테이프카세트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케이싱 내에 수납해서 구성되는 튜우너팩을 사용하고, 이 튜우너팩을 테이프카세트 대신에 테이프카세트 수납부(14)내에 장착하므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튜우너팩에 설치된 선국 다이얼을 조작해서 원하는 방송국을 선국하면 그 수신 전파는 검파 및 증폭된 후 접속단자를 개재하여 테이프레코오더내의 주증폭회로에 도입되어서 헤드폭에서 재생되고, 여기에서 라디오 방송의 수신이 실시된다. 이때 카세트 뚜껑(12)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이 긴 구멍(121)을 개재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카세트 뚜껑(12)을 여는 일없이 선국동작을 할 수 있다.
또,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는 도시를 생략한 음량조정 다이얼, 테이프 종류(노오말, 크로옴, 메탈등)의 절환 스위치 및 헤드폰잭 등이 각각 설치된다.
여기에서 제2도는 상기 캐비닛(11)의 카세트 뚜껑(12)만 도시하는 것이다. 상기 재생조작 버튼(21) 및 정지 조작 버튼(22)이 삽입되는 카세트 뚜껑(12)내의 투시구멍(122), (123)에는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4개의 측부(124 내지 1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송 및 리와인드 조작버튼(19), (20)은 대략 4각형의 판형태이고, 카세트 뚜껑(12)에 형성된 제3도에서는 볼 수 없는 대략 4각형상의 투시구멍을 폐색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송 및 리와인드 조작 버튼(19), (20)의 이면측의 일단부에는 제3도의 도시와 같이 1쌍의 축받침부(191), (192) 및 (201), (202)가 각각 형성된다.
또, 상기 카세트 뚜껑(12)의 이면측에는 조송조작버튼(19)의 축받침부(191), (192)를 각각 지지하는 위치에 축받침부(193), (194) 및 (195), (196)가 형성된다. 또, 상기 카세트 뚜껑(12)의 이면측에는 리와인드 조작버튼(20)의 축받침부(201), (202)를 각각 지지하는 위치에 축받침부(203), (204) 및 (205), (20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축받침부(191 내지 196) 및 (201 내지 206)은 동일선상에 가지런히 위치하고, 그 정렬된 열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카세트 뚜껑(12)의 축부(125), (127)에는 투시구멍(128), (129)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3도중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12)의 축부(125)의 투시구멍(128)에 외부로부터 지지축(24)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이 지지축(24)이 상기 각 축받침부(191 내지 196) 및 (201 내지 206)을 관통하므로써 조송 및 리와인더조작버튼(19), (20)이 카세트 뚜껑(12)에 지지된다. 이때 지지축(24)의 양단부는 카세트 뚜껑(12)의 이면측에 형성된 축받침부(197), (207)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 상기 조송 및 리와인더 조작버튼(19), (20)은 일단이 상기 지지축(24)에 지지된 판 용수철(198), (208)의 타단부에 의하여 그 이면측의 대략 중앙부가 압압되므로써 지지축(24)을 중심으로 하여 카세트 뚜껑(12)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회전되도록 힘을 받지만, 상기 회전동작은 조송 및 리와인더 조작버튼(19), (20)의 연관부와 이 조송 및 리와인더 조작버튼(19), (20)이 삽입되는 카세트 뚜껑(12)의 투시구멍의 주측부에 형성된 도시를 생략한 겉어 맞춤부 끼리가 맞추어지므로써 조송 및 리와인더 조작버튼(19), (20)은 제2도의 도시와 같은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로인해, 상기 조송 및 리와인더 조작버튼(19), (20)은 상기 판용수철(198), (208)의 가압력에 반발해서 제2도중 아래쪽으로 압압조작이 가능해지는 것으로, 그 압압조작시에 조송 및 리와인더 조작버튼(19), (20)의 이면이 상기 리일축(17), (18)의 회전축(171), (181)를 각각 축심방향으로 압압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4도는 상기 기구수납부(15)에 장치되는 테이프 레코오더 기구부 및 헤드부(16), 카세트 홀더등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다. 즉 제4도에 있어서 참조번호(25)는 테이프레코오더 기구부의 메인샤시이고 상기한 리일축(17), (18)은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또한 축심방향 슬라이드 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또 상기 메인샤시(25)에는 후기하는 플라이 휘일의 회전축인 캡스턴(26) 및 상기 리일축(17), (18), 상기 캡스턴(26)을 회전구동시키는 모우터(27) 등이 각각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샤시(25)의 일단부에는 제4도중 화살표(A), (B) 방향으로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카세트홀더(28)가 지지된다. 이 카세트 홀더(28)에는 그 양단부에 도시를 생략한 테이프카세트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홀드부(281), (282)가 형성된다. 또 상기 카세트 홀더(28)의 대략 중앙부에는 재생헤드(29) 및 상기 캡스턴(26)에 접촉 및 분리할 수 있는 핀치로울러(30)가 각각 지지된다. 또 상기 카세트홀더(28)에는 상기 재생 및 정지조작버튼(21), (22)이 각각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 뚜껑(12)은 카세트홀더(128) 위에 씌워지는 것으로, 이때 재생 및 정지조작버튼(21), (22)은 카세트 뚜껑(12)에 형성된 투시구멍(122), (123) (제2도 참조)을 각각 통과해서 외부 조작시에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카세트 뚜껑(12)이 개방상태가 되면, 이것에 연동해서 카세트 홀더(28)는 제4도중 화살포(A)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5도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재생 및 정지조작버튼(21), (22), 재생헤드(29) 및 핀치로울러(30)는 상기 카세트홀더(28)와 함께 이동된다.
다음에 상기 테이프 레코오더기구부 및 헤드부(16)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제6도에서 메인샤시(25)의 도면중 하부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재생조작 버튼(21)이 제6도에서는 도시를 생략한 카세트홀더(28)에 지지되어 위치하고 있다. 이 메인샤시(25)중 재생 조작버튼(21)의 도면중 우측에는 헤드샤시(31)가 카세트홀더(28)에 지지되어 위치하고 있다. 이 헤드샤시(31)는 그 도면중 우측단부에 설치된 회전축(311)이 상기 카세트홀더(28)에 느슨히 삽입되므로써 제6도중 화살표(C), (D)방향으로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또 상기 헤드샤시(311)의 도면중 좌측단부에는 상기 재생헤드(301)가 창작된다. 또 상기 회전축(301)에는 핀치레버(30)의 일단부가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이 핀치레버(31)의 타단부에는 상기 핀치로울러(31)가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여기에서, 상기 헤드 샤시(311)는 일단부가 상기 헤드샤시(28)의 일측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축(311)을 권회하여 상기 카세트 홀더(28)에 고정되는 도시를 생략한 토오션 스프링에 의하여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제6도중 화살표(D)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힘을 받는다.
또, 상기 핀치레버(301)는 이 핀치레버(301)와 상기 헤드샤시(31)와의 사이에 도시를 생략한 코일 스프링이 장치되므로써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해서 도면중 화살표(C)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힘을 받는다. 여기에서 상기 핀치로울러(30)의 회전축(302)은 헤드샤시(31)에 형성된 긴 구멍(312)에 느슨히 삽입되도록 연장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핀치레버(301)의 상기 스프링에 의한 화살표(C)방향으로의 회전동작은 상기 회전축(302)이 긴 구멍(312)의 도면중 상단부에 접할때까지 진행된다.
또 상게 헤드샤시(31)의 제6도중 좌측하단부에는 제7도의 도시와 같이 재생구동부재(32)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는 걸어맞춤부(321)가 걸리게 된다. 이 재생구동부재(32)는 그 타단부에서 연장되는 장착부(322)에 형성된 투시구멍(323)내에 상기 메인샤시(25)에 돌출설치된 도시를 생략한 회전축이 끼워지므로써 도면중 화살표(E), (F)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그리고, 이 재생구동부재(32)의 기단부(324)의 도면중 위쪽에는 상기 재생조작버튼(21)이 도면중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자유롭게 상기 카세트 홀더(28)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재생조작버튼(21)의 제7도중 하면에서는 조작축(211)이 도면중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이 조작축(211)의 도면중 하단부에는 대략 원추형상의 제1의 구동부(212)의 저면이 장착된다. 상기 제1의 구동부(212)의 정점부는 축(213)을 개재하여 대략 원추 형상의 제2의 구동부(214)의 정점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 제2의 구동부(214)의 저면은 상기 재생구동부재(32)의 기단부(324)에 대향된다.
이로 인해, 상기 헤드샤시(31)의 상기 토오션 스프링에 의한 제6도중 화살표(D)방향의 회전은 상기 헤드샤시(31)의 단부가 재생구동부재(32)의 걸어맞춤부(321)의 단부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서 재생구동부재(32)가 제7도중 화살표(E)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기단부(324)가 제2의 구동부(214)의 저면을 압압하여 재생조작버튼(21)이 도면중 윗쪽으로 슬라이드 되었을때, 그 이탈이 방지된 위치까지 회전된다.
그리고, 지금, 재생 조작버튼(21)을 제8도의 도시와 같이, 도면중 아래쪽으로 압압조작하면 제2의 구동부(214)의 저면이 재생 구동부재(32)의 기단부(324)를 압압하고, 이 재생구동부재(32)가 제8도중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인해 재생구동부재(321)가 헤드샤시(31)를 상기 토오션 스프링력에 반발하여 압압하고, 이것에 의하여 헤드샤시(31)가 제6도중 화살표(C)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재생헤드(29)가 테이프 카세트의 도시를 생략한 테이프에 접촉되는 동시에 핀치로울러(30)가 상기 테이프를 개재하여 상기 캡스턴(26)에 접촉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핀치로울러(30)는 그것이 캡스턴(26)에 접촉되었을때, 상기 핀치레버(301)를 제6도중 화살표(C)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스프링력에 반발해서 핀치레버(301)가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제6도중 화살표(D)방향으로 압압 복귀되도록 위치관계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스프링력에 의해서 캡스턴(26)에 접촉된다. 또, 재생조작버튼(21)은 제8도에 도시하는 압압조작위치에로 록되는 것이나, 그 록기구에 대하여는 후에 설명한다.
여기에서 재차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메인샤시(25)의 도면중 우측상부에는 상기 모우터(27)가 장치된다. 이 모우터(27)의 회전축(271)에는 직경이 작은 폴리(pulley) (272)가 끼워부착된다. 또, 상기 메인샤시(25)의 도면중 하부에는 상기 플라이휘일(33)이 회전동작이 자유로게 지지되고, 이 플라이휘일(33)과 풀리(272)는 벨트(34)를 개재하여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플라이휘일(33)의 회전축이 상기 캡스턴(26)이 된다. 또, 상기 플라이휘일(33)에는 제9도의 도시와 같이 직경이 작은 기어(35)가 동축적으로 장치된다.
한편, 상기 메인샤시(25)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는 상기 1쌍의 리일축(17), (18)중 조송시에 권취측이 되는 리일축(17)은 제9도의 도시와 같이 메인샤시(25)에는 리일축(17)이 장착되는 부분에 투시구멍(251)이 형성된다. 이 투시구멍(251)내에는 대략 원통형상이고 도면중 하부에 이 투시구멍(251)보다 직경이 큰 플랜지부(361)가 있는 축받침부재(36)가 삽입되고, 투시구멍(251)의 테두리부와 플랜지부(361)의 테두리부가 나사(362)에 의하여 고착된다. 그리고, 이 축받침부재(36)내에는 리일축(17)의 회전축(171)이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축받침부재(36)보다도 윗쪽으로 돌출한 회전축(171)의 일부분은 대략 유저통상으로 형성된 록부재(37)의 저부에 형성된 투시구멍(371)을 통과한 후, 리일캡(38)에 끼워진다. 그리고, 리일캡(38)은 회전축(171)과 일체적으로 회전되지만, 록부재(37)는 회전축(171)과는 무관하게 구성된다. 또, 도면에서 상기 축받침부재(36)에 상단부와 록부재(37)의 저부와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39)이 개재되고, 회전축(171)은 록부재(37) 및 리일캡(38)을 개재하여 도면중 윗쪽으로 힘을 받는다. 또 상기 록부재(37)의 도면중 하단부에는 도면중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확대되는 테이퍼부(372)를 가진 플랜지상의 걸어맞춤부(373)가 형성된다. 상기 걸어맞춤부(373)는 상기 메인샤시(25)의 투시구멍(251)보다도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또, 상기 축받침부재(36)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된 회전축(171)의 일부분은 단부(171)를 개재하여 약간 직경이 작게 구성되고, 그 직경이 작은 부분에 직경이 작은 기어(40) 및 직경이 큰 기어(41)가 각각 끼워진다.
이들 기어(40), (41)는 회전축(171)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기어(40)는 회전축(171)에 고착되나, 나머지 기어(41)는 회전축(171)의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또, 기어(41)는 회전축(171)의 도면중 하단부에 장착된 와셔(411)와 기어(41)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412)이 개재되므로써 도면중 윗쪽으로 힘을 받지만, 이 기어(41)의 상방향 이동은 기어(41)가 기어(40)에 맞닿을 때까지 진행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샤시(25)중, 리일축(17)과 플라이휘일(33)과의 대략 중앙부에는 축(252)이 설치된다. 이 축(252)에는 제9도중 위쪽으로부터 직경이 큰 기어(42) 및 직경이 작은 기어(43)가 각각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42)와 기어(43)의 사이에는 대략 링 모양의 마찰부재(44)가 개재된다. 또, 상기 축(252)의 하부에는 대략 원통형이고 그 하단부에 플랜지부(451)를 가진 고정기구(45)가 끼워지고 이 고정기구(45)의 플랜지부(451)상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452)에 의하여 기어(43)는 마찰부재(44)를 개재하여 기어(42)를 압압하고 있다. 이로인해, 기어(42)와 기어(43)는 연동관계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기어(42)는 플라이휘일(33)의 기어(35)에 맞물리고, 기어(43)는 리일축(17)의 기어(41)에 맞물린다. 이때 기어(42)는 리일축(17)의 기어(40)와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 있으나, 제9도와 같이 기어(42)와 기어(40)는 도면중 상하로 어긋나 있으므로 맞물리지 않는다.
한편, 상기 한쌍의 리일축(17), (18)중 리와인드시에 권취측이 되는 리일축(18)은 제10도의 도시와 같이 메인샤시(25)에 지지된다. 즉, 메인샤시(25)에는 리일축(18)이 장착되는 부분에 투시구멍(253)이 형성된다. 이 투시구멍(253)내에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도면중 하부에 이 투시구멍(253)의 테두리부까지 도달하는 장착부(461)가 있는 축받침부재(46)가 삽입되고, 투시구멍(253)이 테두리부와 장착부(461)가 도시되지 않는 나사등으로 고착된다. 그리고, 이 축받침부재(46)내에는 회전축(181)이 회전동작이 자유롭도록 삽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축받침부재(46)보다 윗쪽으로 돌출된 회전축(181)의 일부분은 대략 유저통상으로 형성된 록부재(47)의 저부에 형성된 투시구멍(471)을 통과한 후, 리일캡(48)에 끼워진다. 그리고, 리일캡(48)은 회전축(181)과 일체적으로 회전되지만 록부재(47)는 회전축(181)과 무관하게 구성된다. 또, 상기 축받침부재(46)의 도면중 상단부와 록부재(49)의 저부와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47)이 개재되고, 회전축(181)은 록부재(47) 및 리일캡(48)을 개재하여 도면중 위쪽으로 힘을 받는다. 또, 상기 록부재(47)의 도면중, 하단부에는 도면중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확대되는 테이퍼부(472)가 있는 플랜지상의 걸어맞춤부(473)가 형성된다. 이 계지부(473)는 상기 메인샤시(25)의 투시구멍(253)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또, 상기 축받침부재(46)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된 회전축(181)의 일부분에는 직경이 작은 기어(50)가 끼워진다. 이 기어(50)는 회전축(181)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샤시(25)중, 리일축(18)과 상기 축(252)과의 대략 중앙부에는 축(254)이 설치된다. 이 축(254)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장착부재(51)가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이 축(254)의 축심방향, 즉 도면중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자유롭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51)에는 리와인드레버(52) 및 기어(53)가 끼워진다. 또, 상기 장착부재(51)의 도면중 하단부와 상기 축(254)의 도면중 하부에 장치된 와셔(511)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512)이 개재되므로써 장착부재(51)는 도면중 위쪽으로 힘을 받고, 이 상태로 상기 기어(53)가 리일축(180)의 기어(50)에 맞물린다. 이때 기어(53)는 상기 기어(42)와 맞물리는 위치에 있으나, 제10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기어(53)와 기어(42)는 도면중 상하로 어긋나기 때문에 맞물려지지 않는다.
또, 상기 리와인드레버(52)는 판형태이고, 그 일단부에는 상기 기어(53), (50)의 맞물림부와, 리일축(18)의 록부재(47)의 도면중 하단부 사이에 메인샤시(25)의 투시구멍(253)을 통과해서 개재되는 연결부(521)가 형성된다. 또, 상기 리와인드레버(52)의 타단부는 상기 리일축(17)측까지 연장되고, 그 연장방향의 선단부에는 리일축(17)의 기어(41)의 평면부와 도면중 윗쪽으로부터 걸려치는 걸어맞춤부(522)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메인샤시(25)의 대략 중앙부에는 제6도와 같이 회전축(255)이 장치된다. 이 회전축(255)에는 록레버(54) 및 스위치레버(55)가 각각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즉, 상기 록레버(54)는 제7도, 제9도 및 제10도와 같이 상기 재생조작버튼(21)의 제1의 구동부(212)의 테이퍼부(215), 상기 리일축(17)의 록부재(37)의 테이퍼부(372) 및 상기 리일축(18)의 록부재의 테이퍼부(472)에 각각 걸리게 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의 걸어맞춤부(541 내지 543)가 상기 회전축(55)을 중심으로 하여 3방향으로 확대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스위치레버(55)는 상기 록레버(54)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고, 이 록레버(654)에 중첩해서 설치되고, 상기 재생조작버튼(21), 리일축(17), (18)의 각 테이퍼(215), (372), (472)는 각각 걸리게 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의 걸어맞춤부(551 내지 553)가 상기 회전축(255)을 중심으로 3방향으로 확대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스위치레버(55)의 제3의 걸어맞춤부(553)의 선단부에는 상기 모우터(27)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리이프스위치(56)에 걸리는 제4의 걸어맞춤부(55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레버(55)가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했을때 그 제4의 걸어맞춤부(554)에 압압되어 리이프스위치(56)가 온되고, 모우터(27)가 회전 구동된다. 또, 상기 스위치레버(55)의 제3의 걸어맞춤부(553)의 한 측부에는 돌출계합편(5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돌출계합편(555)과 메인샤시(25)의 소정위치에 코일스프링(556)이 끼워이게 되므로써 스위치레버(55)는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인해, 스위치레버(55)의 제1 내지 제3의 걸어맞춤부(551 내지 553)는 각 테이퍼부(215), (372), (472)에 압압된다.
한편, 상기 록레버(54)의 제3의 걸어맞춤부(543)의 한 측부에도 돌출 계합편(5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돌출 계합편(54)과 메인샤시(25)의 소정위치에 코일스프링(545)이 끼워지게 되므로세 록레버(54)는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인해 록레버(54)의 제1 내지 제3의 걸어맞춤부(541 내지 543)는 각 레버레부(251), (372), (4472)에 압압된다. 또 메인샤시(25)에는 리일축(17), (18) 근방에 각각 축(571), (572)이 설치된다. 이들 축(571), (572)은 양 리일축(17), (18)간에 제6도중 옆으로 길게 설치된 스톱 슬라이더(57)의 양단부에 형성된 긴 구멍(573), (574)에 각각 느슨히 삽입된다. 이로인해 스톱 슬라이더(57)는 제6도중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자유롭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 슬라이더(57)의 일단부에는 돌출 계합편(575)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샤시(25)중 스톱 슬라이더(57)의 돌출 계합편(575)의 제6도중 상부에는 축(576)이 돌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슬라이더(57)는 대략 중앙부가 상기 축(576)을 권회하여, 이 축(576)에 고착된 토오션 스프링(577)의 양단부가 그 돌출 계합편(575)의 양측부를 지지하므로써 제6도 중 좌우 어느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도 중립위치로 복귀되도록 유지된다. 또, 이 중립위치에서 스톱 슬라이더(59)의 일단부에 형성된 돌편(578)은 리일축(17)의 록부재(37)의 테이퍼부(372)의 근방에 위치한다. 또, 스톱 슬라이더(57)의 타단부에 형성된 돌편(579)은 리일축(18)의 록부재(47)의 테이퍼부(472)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지금, 테이프재생을 하기 위해 상기 재생조작버튼(21)을 조작하면, 앞의 제6도 및 제7도의 설명과 같이 헤드샤시(31)가 이동되어 제생헤드(29)가 테이프에 접촉하는 동시에 핀치로울러(30)가 테이프를 개재하여 캡스턴(26)에 접촉된다. 이때 재생조작버튼(21)이 제7도중 아래쪽으로 압압조작되므로써 그 제1의 구동부(212)의 테이퍼부(215)에 의하여 록레버(54) 및 스위치레버(55)의 제1의 걸어맞춤부(541), (551)가 압압된다. 이로인해 록레버(54) 및 스위치레버(55)는 스프링(545), (556)의 가압력에 반발해서 제6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재생조작버튼(21)을 제8도의 도시의 위치까지 압압조작하면 록레버(54)의 제1의 걸어맞춤부(541)가 제1의 구동부(212)의 저면부에 대향된다. 이로인해 록레버(54)는 스프링(545) 힘에 의하여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제1의 걸어맞춤부(54)는 제1의 구동부(212)의 저면부에 걸리고, 재생조작버튼(21)이 조작위치에서 록된다. 이때 스위치레버(55)는 테이퍼(215)에 의하여 압압되고, 그 제1의 걸어맞춤부(551)가 제1의 구동부(212)에 의하여 압압된 상태가 된다. 이로인해, 스위치레버(55)의 제4의 걸어맞춤부(554)가 리이프 스위치(56)를 온하고, 모우터(27)가 제6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플라이휘일(33)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회전력이 기어(35), (42), 마찰부재(44), 기어(43), (40) 및 회전축(171)을 개재하여 리일캡(38)에 전달되고, 리일캡(38)이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테이프재생 주행이 실시되는 것이다.
다음에 테이프 조송을 하기 위하여 제11도의 도시와 같이 상기 조송조작버튼(19)을 압압조작하면, 리일축(17)의 리일캡(38)이 도면중 아래방향으로 압압되고, 이것에 따라 록부재(37)가 스프링(39)의 가압력에 반발해서 도면중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 록부재(37)의 아래방향 이동은 도면에서 그 하단부가 축받침부재(36)의 플략지부(361)와 접촉할때까지 진행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는 록부재(37)의 테이퍼부(372)에 의하여 스위치레버(55)의 제2의 걸어맞춤부(552)가 압압되고, 이 스위치레버(55)가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록레버(54)의 제2의 걸어맞춤부(542)가 록부재(37)의 걸림부분(373)에 걸리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리이프 스위치(56)가 온되는 동시에 리일축(17)은 압압조작된 위치에서 록된다. 이때 리일축(17)이 압압조작되는데 따라 회전축(171)도 도면중 아래방향으로 하강되어 이 회전축(171)에 끼워진 기어(40), (41)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인해 기어(41)는 기어(43)에서 이탈하고, 기어(40)는 다른 기어(42)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플라이휘일(33)의 제6도중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은 기어(35), (42), (40) 및 회전축(171)을 개재하여 리일캡(38)에 전달되고, 리일캡(38)이 제6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고속회전되고, 이것으로 테이프 조송주행이 실시된다.
또, 테이프리와인드를 하기 위하여 상기 리와인드조작버튼(20)을 압압조작했을때, 제12도의 도시와 같이 리일축(18)의 리일캡(48)이 도면중 아래쪽으로 압압되고, 이것에 따라 록부재(47)가 스프링(49)의 가압력에 반발하여 도면중 아래쪽으로 슬라이드된다. 이 록부재(47)의 아랫방향 이동은 도면에서 그 하단이 축받침부재(46)의 장착부(461)와 접촉할때까지 진행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는 록부재(47)의 테이퍼부(472)에 의하여 스위치레버(55)의 제3의 걸어맞춤부(553)가 압압되고, 이 스위치레버(55)가 제6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록레버(54)의 제3의 걸어맞춤부(543)가 록부재(47)의 걸림부부(473)에 걸리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리이프 스위치(56)가 온되는 동시에 리일축(18)은 압압조작된 위치에서 록된다. 이때, 록부재(47)의 도면중 하단부가 리와인드 레버(52)의 연결부(521)를 도면중 아래쪽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리와인드레버(52) 전체가 도면중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로인해 기어(50)와 기어(53)는 맞물린채 도면충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되고, 이때 기어(53)는 기어(42)와 맞물리게 된다. 또, 리와인드레버(52)의 걸어맞춤부(522)에 의하여 기어(41)가 스프링(412)의 가압력에 반발하여 도면충 아래쪽으로 슬라이드되기 때문에 기어(41)는 기어(43)에서 이탈된다. 이로인해 플라이휘일(33)의 제6도중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은 기어(35), (42), (53), (50) 및 회전축(181)을 개재하여 리일캡(48)에 전달되고, 리일캡(48)이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고속회전되므로 테이프의 리와인드가 실시된다.
다음에 상기 재생, 조송 및 리와인드 상태로 정지 조작버튼(22)을 조작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 정지조작버튼(22)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카세트홀더(28)에 제13도중 상하방향으로 스라이드 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단, 상기 정지조작버튼(22)은 제13도중 상방의 슬라이드에 대하여는 이탈방지되어 카세트홀더(28)에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제13도중 상기 정지조작버튼(22)의 하면으로부터는 조작축(221)이 도면중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이 조작축(221)의 하단부는 코일스프링(222)을 통과한 후, 대략 원추형상의 구동부(223)의 저면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록레버(54)의 제1의 걸어맞춤부(541)는 상기 구동부(223)의 테이퍼부(224)에도 스프링(545) (제6도 참조)의 가압력에 의해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정지조작버튼(22)은 스프링(222)에 의하여 이탈방지되는 위치까지 제13도중 위쪽으로 힘을 받고 있다. 이로인해 정지조작버튼(22)을 스프링(222)의 가압력에 반발해서 제13도중 아래쪽으로 압압조작하면 그 테이퍼부(224)에 의하여 록레버(54)의 제1의 걸어맞춤부(541)가 제13도중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록레버(54)가 제6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재생, 조송 및 리와인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제1의 구동부(212), 록부재(37), (47)의 어느 한쪽이 록레버(54)가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의 걸어맞춤부(541 내지 543)에 의하여 록된다. 이로 인해 테이프레코더가 상기 3종류의 동작상태중 어느 동작상태에 있어서도, 정지조작버튼(21)을 조작해서 록레버(54)가 제6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써 결국 록이 해제되고 정지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정지조작버튼(22)은 제13도중 아래쪽으로 압압조작될때 그 조작 스트로오크가 구동부(223)에 록레버(54)의 제1의 걸어맞춤부(541)가 걸리지 않는 정도의 얕은 위치로 규제되고, 정지조작버튼(22)은 조작위치에서 록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테이프레코오더에는 재생시에 테이프가 종단에 도달되면 자동적으로 정지상태가 되는 자동 정지기구가 장비되어 있다. 즉, 제6도 및 제9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제9도중 기어(43)의 하부에는 마찰레버(58)의 일단부가 주지의 마찰기구를 개재하여 설치된다. 이 마찰레버(58)는 상기 기어(43)가 회전되면 그 회전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그리고, 상기 마찰레버(58)의 타단부에는 긴 구멍(581)이 형성되고, 이 구멍(581)내에는 검출레버(59)의 일단부에 돌출설치된 핀(591)이 느슨히 삽입된다. 이 검출레버(59)는 그 대략 중앙부에서 메인샤시(25)에 돌출설치된 축(592)으로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또, 상기 걸출레버(59)의 타단부중 한쪽의 측부는 기어(42)에 설치된 캡부(421)의 측면에 맞닿게 된다. 또, 상기 검출레버(59)의 타단부에는 2개의 핀(593) (594)이 돌출 설치된다. 이중 한쪽 핀(593)은 상기 록레버(54)의 제2의 걸어맞춤부(542)와 대양되고, 다른쪽 핀(54)은 기어(42)의 평면부에 형성된 만곡상의 작동벽(422)과 걸릴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테이프 재생 상태에서는 플라이휘일(33) 및 기어(35)가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로인해 기어(42), (43)가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인해 기어(43)의 회전력에 의하여 마찰레버(58)는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힘을 받고, 검출레버(59)도 축(592)을 중심으로 하여 동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때, 검출레버(59)는 그 타단부가 캠부(421)에 접점하고 있으므로 결국 축(592)을 중심으로 요동운동을 하고 있고, 안정된 재생상태가 계속된다. 이와같은 재생상태로 테이프가 종단에 도착하면 리일축(17)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것에 의하여 기어(41) (43)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 기어(42)와 기어(43)의 사이에는 활성이 발생한다. 그리고, 기어(43)의 회전 정지에 의하여 마찰레버(58) 및 검출레버(59)에는 가압력이 부여되지 않게 된다. 한편, 기어(42)의 회전은 계속되기 때문에 캠부(421)도 회전하고, 검출레버(59)는 캠부(59)의 최대직경의 길이만큼 축(592)을 중심으로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위치에서 정지된다. 그 결과 기어(42)의 회전으로 그 작동벽(422)의 외측부분이 검출레버(59)의 핀(594)에 접하게 되고, 이 작동벽(422)의 만곡형상이 따라 핀(594)을 나아가서는 검출레버(59)를 상기 정지위치보다 다시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검출레버(59)의 핀(593)이 록레버(54)의 제2의 걸어맞춤부(542)에 접하고, 이 록레버(54)를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인해 재생조작버튼(21)의 조작 위치에서의 록이 해제되고 이것으로 자동정지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톱 슬라이더(57)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제14(a)도에서 스톱 슬라이더(57)는 상기와 같이 메인샤시(25)에 도면중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고, 제6도에 도시하는 토오션 스프링(577)에 의하여 통상 제14(a)도의 도시와 같이 중립위치로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스톱 슬라이더(57)는 그 중립 위치에서 양단부에 형성되는 돌편(578), (579)이 리일축(17), (18)의 각 록부재(37), (47)의 테이퍼부(372), (472)의 제14(a)도중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같은 상태로 제14(b)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예를들면 리와인드 조작버튼(20)을 조작해서 리일축(18)을 도면중 아래쪽으로 밀어넣고, 상기와 같이 록레버(54)의 제3의 걸어 맞춤부(543)에 의하여 밀어넣은 위치에서 록하면, 리일축(18)의 록부재(47)의 테이퍼부(472)가 스톱 슬라이더(57)의 돌편(579)을 압압하므로 스톱 슬라이더(57)는 상기 토오션 스프링(577)의 가압력에 반발해서 제14(b)도중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때 스톱 슬라이더(57)의 돌편(572)은 리일축(17)의 축받침 부재(36)에 대략 접촉하는 위치로 되고, 이 돌편(578)은 축받침 부재(36)의 플랜지부(361)와 록부재(37)의 걸림부분(373)과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로인해 제14(b)도에 도시하는 리와인드 상태로 상기 조송 조작버튼(19)을 조작하려 해도 리일축(17)의 록부재(39)의 걸어맞춤부(373)가 스톱 슬라이더(57)의 돌편(578)에 접촉해서 정규의 압입(押人)위치, 즉, 록레버(54)의 제2의 걸어맞춤부(552)에 록되는 위치까지 압입되는 것이 저지된다. 또, 상기와 반대로 리일축(17)이 정규의 압입위치에서 록레버(54)에 록되는 조송상태로는 스톱 슬라이더(57)의 돌편(572)이 록부재(37)의 테이퍼부(372)에 의하여 압압되므로 이 스톱 슬라이더(57)는 상기 토오션 스프링(577)의 가압력에 반발하여 제14(a)도중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더 된다. 이때 스톱 슬라이더(57)의 돌편(579)은 리일축(18)의 축받침부재(46)의 장착부(461)와 록부재(47)의 걸림부분(473)간에 개재된다. 이로인해 조송상태로 리와인드 조작버튼(20)을 조작하려해도 리일축(18)의 록부재(47)의 걸림부분(473)이 스톱 슬라이더(57)의 돌편(579)에 접촉되고, 정규의 압입위치까지 압입되는 것이 저지된다.
또, 상기 조송 및 리와인드 조작버튼(19), (20)을 동시에 조작하려 했을때, 양 리일축(17), (18)이 압입되나, 이때 각 록부재(37), (47)의 테이부(392), (472)가 스톱 슬라이더(57)를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 양 리일축(17), (18)은 다같이 정규의 압압위치까지 도달되지 않게 구성된다.
즉, 리일축(17), (18)은 선택적으로 어느 한쪽만이 압입 위치에서 록되도록 구성되고, 요컨대 2개의 조송 및 리와인드 조작버튼(19), (20)의 압입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테이프 레코오더에 의하면 우선 조송 및 티와인드 조작버튼(19) (20)을 카세트 뚜껑(12)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24)을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카세트 뚜껑(12)의 측부(125)에 형성된 투시구멍(128)을 통과해서 카세트 뚜껑(12) 내부에 도입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극히 용이하다. 즉, 카세트 뚜껑(12)에 대하여 제3도에 도시하는 형으로 지지축(24)을 장착하고자 할때 투시구멍(128)을 설치하지 않고 실시하면 각 축받이부(191 내지 197, 201 내지 207)의 구성이 상당히 복잡하게 되는 것은 명백하고 이것에 따라 조립작업이 곤란해진다.
한편 카세트 뚜껑(12)은 소형화 지향을 취하므로써 그 내부에 테이프카세트(13)가 꼭맞는 크기로 해야하므로, 상기 조송 및 티와인드 조작버튼(19), (20)을 장착하기 위한 지지기구를 형성하는 공간은 극히 좁다. 즉, 반대로 말하면 극히 좁은 공간으로 실현할 수 있는 이른바 스페이스 팩터가 우수한 지지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이다.
그러므로, 제3도와 같이 카세트 뚜껑(212)의 측부(125)에 투시구멍(128)을 형성하고, 이 투시구멍(128)을 개재하여 지지축(24)을 카세트 뚜껑(12)내에 도입하므로써 각 축받침부(191 내지 197, 201 내지 207)는 단순히 지지축(24)이 삽입되는 투시구멍을 구비하는 것만으로 되고, 극히 구성이 간단하고, 스페이스 팩터가 좋은 동시에 조립작업을 쉽게할 수가 있다. 또, 제3도에서 카세트 뚜껑(12)의 측부(125), (127)에 각각 투시구멍(128), (129)을 형성하도록 했으나, 이것은 어느 한쪽만으로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양리일축(17), (18)의 양쪽 압압장지에 대해서는 양리일축(17), (18) 사이에 스톱 슬라이더(57)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실현되고,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양쪽 압입을 방지할 수 있고, 테이프레코오더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고, 소형화에 좋은 결과를 준다.
다음에 제15도는 상기 리일축(17), (18)의 리일캡(38), (48)의 형상을 나타낸다. 즉, 대략원통상의 리일캡(38), (84)의 외주측면에는 테이프카세트의 양 리일 허브에 각각 내주 방향을 향해서 돌출설치되는 돌부(통상 콤팩트 테이프카세트에서는 1개의 리일허브에 대해서 6개 있다)에 걸려서 이 리일캡(38), (48)의 회전력을 리일허브에 전달하기 위하여 측면이 대략 마름모꼴을 이루는 날개(381), (481)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리일캡(38), (48)중 조송시에 회전력이 전달되어서 테이프가 감기는 쪽이 되는 리일캡(38)의 날개(381)의 작용에 대하여 제1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리일캡(48)의 날개(481)의 작용에 대하여는 리일캡(38)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16도에 있어서 조송상태로 리일캡(38)이 도면중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구동 상태에 있으면 리일캡(38)의 날개(381)중, 도면중 하부의 한쪽의 경사부(382)가 테이프카세트의 리일허브에 형성된 돌부(도면중 2점쇄선으로 표시)(383)를 압압하고, 이 리일허브를 회전시킨다.
이와같은 조송상태에서 테이프가 종단에 도달하면 리일허브의 회전이 정지되므로 리일캡(38)은 그 날개(381)의 경사부(382)가 돌부(383)에 접하게 되어 회전이 정지된다. 여기에서 앞의 설명과 같이 정지조작버튼(21)을 조작하면 록레버(54)의 제2의 걸어맞춤부(542)가 록부재(37)의 걸림부분(373)에서 이탈되므로 리일캡(38)은 제9도에 도시하는 스프링(39)의 가압력에 의하여 제16도중 위쪽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동시에 리일캡(38)의 경사부(382)가 돌부(383)를 압압하므로써 리일캡(38) 자체에 제16도중 위쪽으로 향하여 부력(Ps1)이 발생한다. 이 부력(Ps1)은 날개(381)에 경사부(382)를 형성하므로써 이 경사부(382)가 돌부(383)를 압압했을때 리일캡(38)에 가해지는 진정한 힘(Pv1)이 리일캡(38)의 회전방향으로 작용하는 힘(P1)과 부력(Ps1)으로 분할되어서 발생한다. 즉 리일캡(38)의 회전토오크를 T1, 날개(381)의 회전반경을 r1으로하면
의 관계가 있고, 경사부(382)의 제16도중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수직선에 대한 각도를 β1으로 하면 상기 부력 (Ps1)은
으로 주어진다.
따라서 상기 리일캡(38)에는 상기 스프링(39)에 의한 가압력과 상기 부력(Ps1)이 가해지게 되고, 확실히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경사부(382)가 없는 종래의 리일캡의 날개에서는 테이프 종단 도달시에 날개가 리일허브의 돌부(383)에 강하게 접하게 되었을때 정지 조작버튼(22)을 압압해도 스프링(39)의 가압력만으로는 리일캡이 원 위치로 복귀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오동작을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날개(381)에 경사부(382)를 형성하므로써 확실히 리일캡(38)을 원 위치까지 복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스프링(39)도 스프링력이 강한 것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조송조작버튼(19)의 압압조작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날개(381)의 형상을 제16도의 도시와 같이 대략 마름모꼴로 하면 리일캡(38)은 다른쪽의 리일캡(48)과 겸용할 수 있다. 즉, 양쪽의 리일축(17), (18)의 리일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리일캡(38), (48)의 날개(381), (481)의 형상으로는 제17(a)도 내지 제17(c)도의 도시와 같이 해도 된다. 또 제17(a)도와 제17(c)도는 리일캡(38)의 현상을 나타내고, 동도면(b)은 리일캡(38)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우선, 리일캡(38)의 날개(381)는 그 도면중 대략 아래절반에서 리일캡(38)의 외주 측면에 대하여 대략 접선하는 경사를 가지고 돌출되고, 이 돌출면이 리일캡(38)의 중심선에 평행으로 형성된 수직부(384)와, 제17(a)도중 대략 절반이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B1)의 각도를 가지는 경사부(382)로 구성된다. 또, 리일캡(48)에는 상기 수직부(384) 및 경사부(382)와 동일한 수직부(484) 및 경사부(482)가 리일캡(38)과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테이프 조송 상태에서는 경사부(382)가 리일허브의 돌부(383) (제17도에서는 도시생략)에 접촉되어 테이프 주행이 실시되고, 테이프 종단 도달시에는 상기 설명과 같이 경사부(382)의 작용에 의한 부력이 작용하여 리일캡(38)은 제17(a)도중 위쪽으로 복귀된다. 이로 인해 리일캡(38)의 수칙부(384)가 리일허브의 돌부(383)에 대향하게 된다. 따라서 정지상태로 상기 제16도의 설명과 같이 돌부(383)가 경사부(382)에 대향한 채로의 상태보다 리일허브가 리일캡(38)에서 빠지기 쉬워지고, 테이프카세트를 꺼내기가 용이해진다.
또, 제17도의 도시와 같은 날개(381), (481)의 형상에 의하면, 예를들어 리일캡(38), (48)을 합성수지재료로 모울드 성형할 경우 그 성형이 용이하다.
또, 리일캡(38), (48)의 날개(381), (481)의 형상으로는 상기 이외에 제18도 및 제19(a)도, 제19(b)도에 각각 도시된 형상으로 해도되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상기 리일캡(38), (48)의 날개(381), (481)의 경사부(382), (482)의 각도(β1)로는 실제상 18°전후가 좋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리일캡의 날개에 테이프 주행 정지시에 리일축을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생성하는 경사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부분이다.
다음에 제20도의 도시와 같이 각 기어(35), (40), (42), (50), (53)의 기어의 이는 경사가 부여되어 이른바 헬리컬 기어로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설명한 리일캡(38), (48)의 경사부(382), (482)와 같은 목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요컨대 테이프종단도달시에 리일캡(38), (48)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부력을 얻기 위한 것이다. 즉, 여기에서도 리일캡(38)에 관하여 주체적으로 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21도에서 기어(42)가 상기 플라이휘일(33)로부터의 회전력을 받아서 도면중 화살표(H)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로인해 리일캡(38)이 도면중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송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면, 이러한 조송상태로 테이프가 종단에 도달하면 리일허브의 회전이 정지되므로 리일캡(38) 및 기어(40)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리고, 정지조작버튼(22)을 조작하면 상기 스프링(39)의 가압력에 의하여 리일캡(38)이 제21도중 위쪽으로 복귀된다. 이때, 기어(42)에는 상기 플라이휘일(33)로부터의 회전력이 전달되고 있으므로 기어(40), (42)의 이의 경사에 의하여 제21도중 상방향을 향해서 부력(Ps2)이 발생한다. 이 부력(Ps2)은 리일캡(38)의 회전 정지 즉 기어(40)의 회전정지시에 기어(42)의 헬리컬 기어가 기어(40)의 헬리컬 기어를 압압했을 때 기어(40)에 가해지는 진정의 힘(Pv2)이 기어(40)의 회전방향으로 작용하는 힘(P2)과 부력(Ps2)으로 분할되어생기는 것이다. 즉, 기어(40)의 회전토오크를 T2, 기어(40)의 반경을 r2로 하면
의 관계가 있고, 기어(40)의 헬리컬 기어의 토오션각을 β2로 하면 상기 부력 Ps2는
로 부여된다.
따라서 상기 리일캡(38)에는 상기 스프링(39)에 의한 가압력과 상기 부력(Ps1), (Ps2)이 첨가되므로써 보다 확실한 복귀가 실시된다. 또, 리와인드시에는 리일캡(48)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다음에 제22도는 재생 조작버튼(21)의 제1의 구동부(212)와 록레버(54)의 제1의 걸어맞춤부(541)의 관계를 도시하는 것이다. 즉, 재생조작버튼(21)이 조작위치에서 록되는 상태로 록레버(54)의 제1의 걸어맞춤부(541)는 재생조작버튼(21)의 제1의 구동부(212)의 저면중 조작축(211)에서 보아서 제22도중 화살표(A)방향으로 개방되는 카세트홀더(28)의 개구되는 측과 반대측의 저면에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재생상태로 카세트 뚜껑(12)이 열리면 카세트홀더(28)가 제22도중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카세트홀더(28)에 지지되는 재생조작버튼(21)도 동일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인해 재생조작버튼(21)과 일체적인 제1의 구동부(212)가 록레버(54)의 제1의 걸어맞춤부(541)에서 이탈되는 방향, 즉 제22도중 화살표(Ⅰ)방향으로 이동되어 재생조작버튼(21)은 비 조작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재생상태에서 잘못 카세트의 뚜껑(12)이 개방되었을때, 자동적으로 정지상태가 되므로 테이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재생상태에서는 핀치로울러(30)가 테이프를 개재하여 캡스턴(26)에 접촉되어 있고, 이 상태로 카세트 뚜껑(12)이 열리면 테이프카세트 및 핀치로울러(30)는 카세트홀더(28)와 같이 이동되므로 결국 핀치로울러(30)와 캡스턴(26) 사이에서 테이프가 찰과되어서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로인해, 재생상태로 카세트 뚜껑(12)이 열렸을때 자동적으로 정지상태로 하여 핀치로울러(30)를 캡스턴(26)에서 분리시키므로써 테이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재생조작버튼(21)의 제1의 구동부(212)는 카세트홀더(28)의 회전중심에서 조작축(211)에 의하여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설치된다. 이로인해 카세트 뚜껑(12)이 약간 열리는 것만으로도 제1의 구동부(212)의 제22도중 화살표(Ⅰ)방향의 이동량을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확실히 재생조작버튼(21)을 록해제 할 수 있고, 테이프의 보호를 할 수 있다. 이점에 관해서 이 종류의 종래의 테이프레코오더에 있어서도 카세트 뚜껑의 개방동작에 연동시켜서 재생조작버튼을 록해제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구조는 재생조작버튼을 카세트홀더가 아니고 캐비닛에 설치하도록 하고, 카세트홀더의 개방동작에 연동하는 록해제부재를 개재하여 재생조작버튼의 록해체를 하도록 구성하므로 록 해제를 위한 전용부재를 설치해야 하고 기구가 복잡화되고 소형화 취지에 위배되는 동시에 실제상 카세트 뚜껑을 대략 완전히 열린 위치까지 개방해야 재생조작버튼이 록해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제22도에 도시하는 구성에 의하면 재생조작버튼(21)을 카세트홀더(28)에 설치하고, 이 카세트호울더(28)의 개방동작에 연동해서 재생조작버튼(21)이 이동되는 것을 이용하여 록해제를 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록해제를 위한 별도 부재가 불필요하고 구성이 간단해지고 소형화에 적합한 동시에 카세트 뚜껑(12)을 약간 여는 것만으로써 록해제가 실행되기 때문에 확실한 테이프보호가 가능하다.
다음에 제23(a)도, 제23(b)도는 상기한 튜우너팩(60)을 도시하는 것으로 제23(a)도는 튜우너팩(60)중 카세트 뚜껑(12)과 대향하는 면을 도시하고, 제23(b)도는 메인샤시(25)와 대향하는 면을 도시한다. 즉, 튜우너팩(60)의 카세트 뚜껑(12)과 대향하는 면에는 카세트 뚜껑(12)에 형성된 긴 구멍(121) (제1도 참조)을 통과해서 외부 조작이 가능한 선국다이얼(601) 및 상기 카세트 뚜껑(12)의 창부(23)를 개재하여 외부로부터 볼 수 있도록 한 동조 표시부(602), 밴드표시부(603), 수신주파수표시부(604) 등이 각각 배설된다. 또 튜우너팩(60)의 메인샤시(25)와 대향되는 면에는 상기 테이프카세트 수납부(14)에 장착되었을때 리일축(17), (18)을 피하기 위한 요부(605), (606) 및 이튜우너팩(60)에 의하여 수신, 동조, 검파, 증폭등이 된 수신신호를 테이프레코오더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단자(607)등이 각각 배설된다.
그리고, 상기 튜우너팩(60)은 테이프카세트와 같이 제2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카세트 뚜껑(12)을 열어 제24도에는 생략된 카세트호울더(28)에 지지되는 것으로 카세트 뚜껑(12)을 닫으므로써 그 접속 단자(607)가 캐비닛(11)내의 접속단자(608)에 접속되고, 상기 수신신호가 캐비닛(11)내의 회로부에 도입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24도의 도시와 같이 튜우너팩(60)에는 카세트 뚜껑(12)을 연상태로 그 카세트 뚜껑(12)의 개구선단이 되는 측부(126)에 대응하는 측면에 밴드 절환스위치(609)가 형성된다. 이로인해 카세트 뚜껑(12)을 여는 것만으로 튜우너팩(60)을 카세트홀더(28)에서 꺼내지 않고도 밴드절환스위치(609)를 조작할 수 있고, 극히 취급이 용이하다.
이점에 관해서 종래의 튜우너팩 사용 테이프레코오더에 있어서는 튜우너 팩의 제23(a)도에 도시하는 평면부의 소정 위치에 밴드절환스위치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튜우너팩을 카세트홀더에서 꺼내지 않으면 조작을 할 수 없고, 조작성이 나쁘다. 또, 밴드절환스위치를 외부조작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카세트 뚜껑에 대응하는 위치에 밴드절환스위치 삽입용의 투시구멍을 형성하면되나, 이와같이 하면 튜우너팩 사용시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으나 테이프 카세트 사용시에는 외관이 좋지 못하다.
그러나, 제24도의 도시와 같이 튜우너팩의 카세트 뚜껑(12)의 개구선단이 되는 측부(126)에 대응하는 측면에 밴드 절환스위치(609)를 설치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카세트 뚜껑(12)을 약간 여는 것만으로 조작이 가능하고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외관상도 좋아진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밴드 절환스위치(609)와 대응되는 캐비닛(11)의 측면(11)에 절결부를 형성하고, 밴드절환스위치(609)를 카세트 뚜껑(12)을 닫은 상태로 외부조작가능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절결부는 캐비닛(11)의 측면(111)에 형성되므로 종래의 것에 비교해서 외관상이 유리해진다. 또, 튜우너팩(60)의 측면에 설치되는 스위치로서는 밴드 절환스위치(609)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라디오 전파의 수신에 사용하는 입의의 조작버튼(예를들면 선국 다이얼등)도 된다.
여기에서 제25도 및 제26도는 각각 상기의 테이프레코오더의 다른 외관형상을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한 설명과 동일부분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표시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밖에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오동작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소형화를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극히 양호한 카세트 테이프레코오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 카세트 테이프 수납부(14)에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리일축(17, 18)과 상기 리일축(17, 18) 선단에 설치되는 카세트 테이프의 리일허브에 형성된 돌부에 걸치게해서 상기 리일허브를 회전시키는 날개(381, 481)와 상기 리일축(17, 18)을 회전 구동하는 리일축 구동기구(35, 42, 43, 53)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 장치는 리일축 록기구(54)를 추가로 갖고, 상기 리일축(17, 18)은 축심방향 슬라이더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드 조작위치에서 상기 리일축 록기구(54)에 해제 가능하게 록되어 상기 리일축구동기구(35, 42, 43 및 53)에 걸리어서, 카세트 테이프를 소정의 속도로 권취구동하고, 또한 상기 날개(381, 481)는 카세트 테이프의 주행정지시 상기 리일허브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리일축(17, 18)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날개(381, 481)가 상기 리일허브에 형성된 돌부를 압압하는 힘을 분할하고 상기 리일축(17, 18)에 대하여 비조작위치 방향으로의 복귀력을 생성하는 경사부(384, 481)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7-37744 | 1982-03-10 | ||
JP37744 | 1982-03-10 | ||
JP57037744A JPS58155564A (ja) | 1982-03-10 | 1982-03-10 | カセットテ−プレコ−ダ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3883A KR840003883A (ko) | 1984-10-04 |
KR860000917B1 true KR860000917B1 (ko) | 1986-07-18 |
Family
ID=1250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30000544A KR860000917B1 (ko) | 1982-03-10 | 1983-02-10 |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58155564A (ko) |
KR (1) | KR86000091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2407B1 (ko) * | 2006-08-23 | 2008-04-15 | 김경수 | 무 봉제 팬티와 그 제조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
-
1982
- 1982-03-10 JP JP57037744A patent/JPS58155564A/ja active Granted
-
1983
- 1983-02-10 KR KR1019830000544A patent/KR8600009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628854B2 (ko) | 1987-02-25 |
KR840003883A (ko) | 1984-10-04 |
JPS58155564A (ja) | 1983-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60000917B1 (ko) |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 장치 | |
KR880000238B1 (ko) |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 |
US4587583A (en) | Tape player | |
US4841403A (en) | Lid spring locking structure in a magnetic tape cassette | |
KR870000516B1 (ko) |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 장치 | |
KR860000222B1 (ko) | 테이프 플레이어 | |
JPS628856B2 (ko) | ||
JPS626595Y2 (ko) | ||
JPS626597Y2 (ko) | ||
JPS634313Y2 (ko) | ||
JPS626596Y2 (ko) | ||
JPS6224862B2 (ko) | ||
JPS628853B2 (ko) | ||
JP3395231B2 (ja) | 電子機器における電池収納装置 | |
KR860001255B1 (ko) | 테이프 레코오더 | |
JPS628855B2 (ko) | ||
JPS628851B2 (ko) | ||
JPH0636267B2 (ja) | 記録又は再生装置 | |
JPS628849B2 (ko) | ||
JPS6224863B2 (ko) | ||
JP2536537Y2 (ja) | 磁気テープカセット | |
JPH0227421Y2 (ko) | ||
JPS5963047A (ja) | カセツトテ−プレコ−ダ装置 | |
US5269480A (en) | Adaptor for rewinding or fast-forwarding an 8 mm video tape in a video home system video tape rewinder | |
JPS642282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0707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