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222B1 - 테이프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테이프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222B1
KR860000222B1 KR8204909A KR820004909A KR860000222B1 KR 860000222 B1 KR860000222 B1 KR 860000222B1 KR 8204909 A KR8204909 A KR 8204909A KR 820004909 A KR820004909 A KR 820004909A KR 860000222 B1 KR860000222 B1 KR 860000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ail
tape
lever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562A (ko
Inventor
세이지 도미다
Original Assignee
사바 쇼오이찌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바 쇼오이찌,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바 쇼오이찌
Publication of KR84000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플레이어
제1도 및 제2도는 각가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 플레이어의 1실시예를 보이는 외관도 및 측 단면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각각 카세트 뚜껑에 조작자를 부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측단면도.
제6도는 테이프 플레이어기구부를 보이는 평면도.
제7도 내지 제9도는 각각 재생조작자와 헤드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측단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각각 상기 테이프 플레이어기구부를 보이는 측단면도.
제12도 및 제13도는 각각 동 테이프 플레이어 기구부의 동작 설명도.
제14도는 포즈 조작기구의 설명도.
제15도는 리일축부분의 변형예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캐비넷 12 : 카세트덮개
13 : 테이프 카세트 14 : 테이프카세트 수납부
15 : 기구수납부 16, 17 : 리일축
18 : 조작부 19 : 창부
20 : 재생조작자 21 : FF(fast forward)
22 : 리와인드 조작자 23 : 정지 조작자
24 : 장공(長孔) 25 : 테이프-라디오 절환 스위치
26 : 장공 27 : 메인샤시
28 : 헤드 샤시 29 : 회동축
30 : 재생헤드 31 : 핀치레버
32 : 핀치로울러 33 : 토오션 스프링
34 : 스프링 35 : 재생구동부재
36 : 축 37 : 조작축
38 : 축받이부 39 : 제1의 구동부
40 : 축 41 : 제2의 구동부
42 : 스프링 43 : 모우터
44 : 플라이 휘일 45 : 벨트
46 : 캡스턴 47 : 치차
48 : 축받이부 49 : 나사
50 : 로크부재 51 : 리일 캡
52 : 스프링 53, 54 : 치차
55 : 와샤 56 : 스프링
57 : 축 58, 59 : 치차
60 : 마찰부재 61 : 정지구
62 : 축받이부재 63 : 로크부재
64 : 리일 캡 65 : 스프링
66 : 치차 67 : 축
68 : 부착부재 69 : 티와인드 레버
70 : 치차 71 : 와샤
72 : 스프링 73 : 회동축
74 : 로크레버 75 : 스위치레버
76 : 리이프 스위치 77 : 스프링
78, 79 : 축 80 : 스톱 슬라이더
81 : 스프링 82 : 마찰레버
83 : 검출레버 84 : 축
85 : 캠부 86 : 포즈 조작부재
87 : 리이프 스위치 88 : 포즈 조작자
89 : 축받이 부재 90 : 로크부재
91 : 토오션 스프링
본 발명은 소형화 지향의 테이프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근래,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소형 경량으로 휴대에 적합한 동시에 특히 헤드폰을 사용한 재생전용이고 투 웨이(two-way)스테레오 타입의 것이 보급되어 있고, 헤드폰을 쓰고 예컨데 보행하면서 테이프 재생을 즐길 수 있게 되어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헤드폰 전용타입의 휴대용 테이프 플레이어는 이미 가능한한 소형화 되어있고, 현재 상태에서는 테이프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 케이스와 거의 같은 크기로까지 되어 있다.
그런데, 테이프 플레이어를 카세트 케이스와 거의 같은 크기로까지 소형화한 경우, 다음에 요망되는 것은, 테이프 플레이어 재생, FF(fast forward), 리와인드(rewind)등의 각종 동작상태 및 정지상태로 하기 위한 각 조작자의 형상 및 배치를 개선하여 보다 조작성을 향상시켜 사용하는데 형편이 좋도록 하는 점이다. 즉, 종래의 소형 테이프플레이어의 조작자는 그 형상이 테이프 플레이어 본체에 비례해서 소형인 동시에, 테이프 플레이어 기구부와의 관계로 1개소에 집중배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당연한 일이지만 조작하기 어렵고, 틀린 조작을 초래하기 쉬운 것이다. 그래서 종래부터, 테이프 플레이어 자체는 카세트 케이스와 거의 같은 크기로까지 소형화하는 반면, 조작자의 형상 및 배치는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크게하고, 또 예컨데 옆의 조작자까지 부주의로 조작할 수 없을 정도로 간격을 넓고 여유있게 하여 휴대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작성에도 뛰어난 소형테이프 플레이어의 개방이 강하게 요망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사정에 따라 이룩한 것으로, 조작성이 좋고, 구성이 유기적이고 보람있고, 소형화를 효과적으로 촉진한 극히 양호한 테이프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이 적용한 테이프 플레이어의 외관을 보이는 것이다. 즉, (11)은 대략 상자모양으로 테이프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 케이스와 거의 같은 크기로 구성된 캐비넷이다. 이 캐비넷(11)의 전면부는 그대로 카세트 덮개(12)로 되고, 도면중 화살표 A, B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즉, 상기 카세트 덮개(12)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하여 항상 화살표 A방향으로 부세(付勢)되어 있고, 이 부세력에 항거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된때, 캐비넷(1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로크부에 로크되어 폐(閉)상태로 되어진다. 그리고 상고 케비넷(11)의 측면에 설지되는 도시하지 않는 이젝트 조작자를 조작하므로써, 상기 로크부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고, 카세트 덮개(12)는 상기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되어 폐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캐비넷(11)내에는 제2도에 보이는 것처럼, 도면중 2점 쇄선을 포시하는 테이프카세트(13)를 수납하는 테이프 카세트 수납부(14) 및 후술하는 테이프 플레이어기구부, 회로부, 헤드부, 전지수납부등이 장착되는 기구수납부(14)내에는, 테이프 카세트(13)의 리일허브(reel hub)와 끼워맞추는 한쌍의 리일축(16),(17)(제2도에서는 리일축(17)만 도시)이 돌설되어 있다.
제1도에 표시한 것처럼 상기 카세트 덮개(12)의 거의 중앙부에는 테이프 플레이어를 재생, FF, 리와인드, 정지의 각 상태로 하기 위한 조작부(18) 및 창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운데, 조작부(18)는 재생, FF, 리와인드 및 정지의 각 조작자(20) 내지(23)으로 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으나, 카세트 덮개(12)에 약간의 압압조작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조작자(20)는, 제2도에 표시한 것처럼, 카세트덮개(12)가운데, 테이프카세트(13)의 평면부와 대향하지 않고, 또 테이프 카세트(13)의 테이프노출면축에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FF 및 리와인드 조작자(21),(22)는 FF 및 리와인드시에 권취(卷取)축이 되는 리일축(16),(17)상에 그 회전축(161),(171)을 포함하도록 각 대응하여 각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지조작자(23)는 상기 FF 및 리와인드조작자(21),(2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창부(19)는 예컨데 투명 아아크릴 판등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테이프카세트(13)의 편면부에 형성된 주지의 테이프 투시창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창부(19)의 제1도중 좌단부는 리일축(16),(17)의 일부와 겹치도록 되어있고, 상기 테이프 투시창을 개재하여 테이프 주행 상태가 외부에서 눈으로 볼 수 있도록 되어있다. 요컨대, 상기 조작부(18)와 창부(19)와의 관계가, 리일측(16),(17)상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은 것이다. 또, 테이프 주행상태를 외부로 부터 눈으로 본다는 점에 관해서는 조작부(18)를 투명재료로 형성하도록해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카세트 덮개(12)가운데 재생조작자(20)와 FF, 리와인드 및 정지조작자(21)내지 (23)과의 사이에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 수납부(14)측에서 바깥쪽으로 향해서 넓어지는 태이퍼를 가지고 장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공(24)은 동조장치를 사용한 라디오수신시에 카세트 덮개(12)를 닫은 상태에서 선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테이프 플레이어는 단순히 테이프의 장생을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동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라디오방송도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라디오 전파의 수신, 동조, 검파 및 증폭등을 행하는 튜너 회로부를 테이프 카세트의 형상과 거의 같은 형상의 케이싱내에 수납하여 되는 동조장치를 사용하고 그 동조장치를 테이프카세트에 대신해서 테이프카세트 수납부(14)에 장착하므로써 행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조장치에 설치한 선국다이알을 조작하여 소망의 방송국을 선국하면, 그 수신전파는 검파 및 증폭된뒤, 접속단자를 개개하여 테이프플레이어내의 주 증폭회로에 도입되어서 헤드폰에서 재생되어, 여기에 라디오방송의 수신이 행해지는 것이다. 이때, 카세트 덮개(1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선국다이알이 장공(24)를 개재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되어, 카세트덮개(12)를 열지 않고, 선극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제1도중(25)는 테이프-라디오 절환 스위치이고, 상기 동조장치를 장착하여, 그 테이프-라디오 절환 스위치(25)를 라디오 측으로 하면, 재생, FF 및 리와인드 조작자(20)내지(22)를 조작하여도 테이프 주행용의 모우터가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있고, 전지전력의 절약에 이바지하도록 되어있다. 또, 상기 캐비넷(11)에는 그 측면에 도시하지 않지만 음량조절다이알, 테이프종류(노멀, 크롬, 메탈등)의 절환 스위치 및 헤드폰 자크 등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FF, 리와인드 및 정지조작자(21)내지 (23)의 카세트 덮개(12)에의 부착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제3도에 보이는 것처럼 카세트 덮개(12)의 대략 중앙부에는 장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공(26)의 1단부에는 한쌍의 축받이부(261),(261)(제3도에는 한쪽의 축받이부(261)만 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 덮개(12)의 장공(26)내에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FF 및 리와인드 및 정지조작자(21)내지(23)이 장착되는 것이다. 즉, 상기 FF, 리와인드 및 정지조작자(21)내지(23)은 각각 대략 장방형상의 판체이고, 그들의 각 1단부에는 각기 축받이부(211)내지(2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축받이부(211)내지(231)에 도시하지 않은 축을 관통시키고, 그 축의 양단부를 상기 카세트 덮개(12)의 축받이부(261),(261)에 지지되므로써, 각 조작자(21)내지(23)이 부착되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FF 및 리와인드 조작자(21),(22)는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카세트 덮개(12)를 열어놓은 상태로한 경우, 도면중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여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예컨대 축 받이부(211),(221)가 형성되어 있는 축과 반대축의 단부가, 카세트 덮개(12)의 장공(26)의 1단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계지부의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FF 및 리와인드 조작자(21),(22)의 테이프 카세트 수납부(14)와 대향하는 면에는, 한쌍의 리일축(16),(17)의 각 선단부와 대향하는 부분에 돌부(212),(2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세트 덮개(12)를 닫으면 상기 돌부(212),(222)가 리일축(16),(17)의 선단부에 당접하여, 양조작자(21),(22)는 약간 바깥쪽으로 밀어제자리로 물리치게 된다. 이때문에 FF 및 리와인드 조작자(21),(22)를 압압조작한 경우, 리일축(16),(17)이 축심방향으로 압압되게 되어, 이에 따라 테이프의 FF 및 리와인드가 행해지는 것이다.
또, 재차 제4도에 도시한 것처럼, FF 및 리와인드 조작자(21),(22)가 서로 대향하는 측부에는 돌출편(213),(2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지조작자(23)의 양측부에는 상기 돌출편(213),(223)과 도면중 상방에서 계합하는 凹부(232),(232)(제4도에서는 한쪽의 요부(232)만 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문에, 정지조작자(23)를 압압조작하면 FF 및 리와인드 조작자(21),(22)가 함께 압압 조작되게 되는데, 이때의 조작 스트로오크(stroke)는 FF 및 리와인드 조작자(21),(22)를 단독으로 조작할때의 스트로오크보다도 짧게되도록 후술하는 스톱 슬라이더로 규제되어 있다.
다음에 전기 재생조작자(20)의 부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6도는 전기 테이프 플레이어 기구부의 구성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메인샤시(27)의 도면중 하부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재생조작자(20)가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메인샤시(27)중 재생조작자(20)의 도면중 오른쪽에는, 헤드샤시(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헤드 샤시(28)는 그 도면중 우단부에 끼워진 회동축(29)이 메인샤시(27)에 지지되는 것에 의하여, 도면중 화살표 C, D방향으로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헤드샤시(28)의 도면좌단부에는, 재생헤드(30)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회동축(29)에는, 핀치레버(31)의 1단부가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이 핀치레버(31)의 타단부에는 핀치로울러(32)가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샤시(28)는, 제7도에 보이는 것처럼, 1단부가 그 헤드샤시(28)의 1축부에 계착(係着)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동축(29)을 권회하여 상기 메인샤시(27)에 돌설된 도시하지 않은 돌부에 계착되는 토오션 스프링(33)에 의하여, 회동축(29)을 중심으로 도면증 화살포 D방향으로 회동부세되어 있다. 또 상기 핀지레버(31)는, 헤드샤시(28)의 1축부에 형성된 돌출편(281)과 그 핀치레버(31)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코일모양의 스프링(34)가 계착되므로써, 회동축(29)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중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부세되어 있다. 이 핀치레버(31)의 화살표 C방향의 회동은, 그 핀치레버(31)의 타단부가 상기 헤드샤시(28)의 돌출편(281)과 당접하는 위치까지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헤드샤시(28)에는 그 재생헤드(30)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편(28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282)은 측면이 대략 L자모양으로 형성된 재생구동부대(35)의 1단부에 당접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재생구동부재(35)는, 제8도에 도시한 것처럼, 메인샤시(27)의 도면중 하부에 있어서, 전기 기구수납부(15)에 형성된 축(36)이 그 재생구동부(35)의 각 부를 관통하므로써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구동부재(35)는 그 1단부가 상기 기구수납부(15)의 도시하지 않은 측벽에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그 도면중 시계방향의 회동에 대해서는 제8도에 도시한 위치까지로 규제되어 있다. 이때문에, 상기 토오션 스프링(33)에 의하여 제7도중 화살표 D방향으로 부세된 헤드샤시(28)의 회동도, 제8도에 도시한 위치까지로 되어 있다.
한편, 전기 재생조작자(20)의 제8도중 하부에는, 조작축(37)의 1단부가 끼워붙어져 있다. 이 조작축(37)의 다른 단부는, 도면중 하방으로 뻗어나가고, 전기 캐비네트(11)내의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축받이부(38)를 삽통(揷通)하고 있고, 이 조작축(37)은 도면중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조작축(37)의 축받이부(38)를 삽통한 도면중 하단부에는, 대량 원추형상의 제1의 구동부(39)의 밑면이 부착되어 있다. 이 제1의 구동부(39)의 꼭대기부는 상기 조작축(37)보다도 직경이 작은 축(40)을 개재하여 대략 원추형상의 제2의 구동부(41)의 꼭대기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의 구동부(41)의 밑면은, 전기 재생구동부재(35)의 다른 단부에 대향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축(37), 제1의 구동부(39), 축(40) 및 제2의 구동부(41)는, 메인샤시(27)에 형성된 투공(271)을 삽통하여 제8도면중 상하 방향 슬라이드 자재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재생조작자(20)의 도면중 하단부와 축받이부(38)의 도면중 상부에 형성되 단부(381)와의 사이에는, 코일모양의 스프링(42)이 개재되어 있고, 재생조작자(20)는 도면중 상방에의 이동은, 제1의 구동부(39)의 밑면이 축받이부(38)의 도면중 하단부에 당접할때까지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축(37), 제1의 구동부(39)축 (40) 및 제2의 구동부(41)는, 예컨데 합성수지재로를 모울드 성형하여 일체적은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조작축(37)은 축받이부(38)의 도면중 하방에서 삽통시켜서 재생조작자(20)과 연결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지금 제8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재생조작자(20)를 스프링(42)의 부세력에 항거하여 도면중 하방으로 압압조작하였다고 한다. 그러면, 제9도에 도시한 것처럼, 제2의 구동부(41)의 밑면이 재생구동부재(35)의 타단부를 압압하고, 그 재생구동부재(35)가 제9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문에 재생구동부재(35)의 1단부가 헤드샤시(28)의 돌출편(282)을 압압하고, 이 헤드샤시(28)가 토오션스프링(33)의 부세력에 항거하여, 제7도중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재생헤드(30)가 테이프카세트의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에 접속되는 동시에, 핀치로울러(32)가 상기 테이프를 개재하여 후숲하는 캡스턴에 압접되는 것이다. 여기서, 핀치로울러(32)는, 그것이 캡스턴에 압접된때, 스프링(34)의 부세력에 항거하여 핀치레버(31)가 회동축(29)을 중심으로 하여 제7도중 화살표 C방향으로 밀어 제자리로 오도록 위치관계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스프링(34)의 부세력에 의하여 캡스턴에 압접되도록 되는 것이다. 또, 재생조작자(20)은 제9도에 도시하는 압압조작위치에서 로크되는 것이나, 그 로크기구에 대하여는 뒤에 기술한다.
여기에서, 전기 테이프 플레이어 기구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재차 제6도에 도시한 것처럼 메인샤시(27)의 도면중 우상부에는 테이프주행용의 모우터(43)가 부착되어 있다. 이 모우터(43)의 회전축(431)에는 직경이 작은 풀리(432)가 끼워붙어져 있다. 또, 상기 메인샤시(27)의 도면중 우하부에는 플라이휘일(44)가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고, 이 플라이휘일(44)와 풀리(432)와는 벨트(45)를 개재하여 회전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라이 휘일(44)의 회전축이 전기 캡스턴(46)으로 되어져 있다. 또 상기 플라이휘일(44)에는 제10도에 도시한 것처럼 직경이 작은 치차(47)가 동축(同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메인샤시(27)의 대략 중앙부에는, 전기 한쌍의 리일축(16),(17)이 각각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중 FF시에 감는 축이 되는 리일축(16)은, 제10도에 보이는 것처럼 해서, 메인샤시(27)에 지지되어 있다. 즉, 메인샤시(27)에는 리일축(16)이 부착되는 부분에 투공(27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공(272)내에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도면중 하부에 이 투공(272)보다도 직경이 큰 플랙지부(481)를 가지는 축받이부재(48)가 삽통되고, 투공(272)의 주연부와 플랜지부(481)의 주연부가 나사(49),(49)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의축받이 부재(48)내에 회전축(161)이 회전자재로 삽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축받이부재(48)보다도 도면중 상방에 돌출한 회전축(161)의 부분은 대략 유저통상(有低筒狀)으로 형성된 로크부재(50)의 밑부분에 형성된 투공(501)을 삽통한후, 리일캡(51)에 끼워붙어져 있다. 그리고, 리일캡(51)은 회전축(161)과 일체적으로 회전되는 것인데, 로크부재(50)는 회전축(161)과 무관계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축받이부재(48)의 도면중 상단부와 로크부재(50)의 밑부와의 사이에는 코일모양의 스프링(52)가 개재되어 있고, 로크부재(50) 및 리일캡(51)을 개재하여 회전축(161)은 도면중 상방으로 부세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크부재(50)의 도면중 하단부에는 도면중 하방에서 상방으로 넓어지는 테이퍼부(502)를 가진 플랜지모양의 계지부(50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부9503)는 상기 메인샤시(27)의 투공(272)보다도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축받이부재(48)에서도 도면중 하방에 돌출한 회전축(161)의 부분은 단부(162)를 개재하여 약간 직경이 작게되어 있고, 그 직경이 작은 부분에 직경이 작은 치차(53) 및 직경이 큰 치차(54)가 각각 끼워맞추어져 있다. 이들치차(53),(54)는 회전축(161)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이중치차(53)는 회전축(161)에 고착되는데, 치차(54)는 회전축(161)의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또 치차(54)는 회전축(161)의 도면중 하단부에 부착된 와샤(55)와 치차(54)와의 사이에 코일모양의 스프링(56)이 개재되므로써, 도면중 상방으로 부세되는데, 이 치차(54)의 도면중 상방의 이동은 치차(54)가 치차(53)에 당접하는데까지로 되어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샤시(27)가운데, 리일축(16)과 플라이휘일(44)와의 대략 중앙부에는, 축(57)이 식설(植說)되어 있다. 이 축(57)에는 제10도중 상방에서 직경이 큰 치차(58) 및 직경이 작은 치차(59)가 각각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치차(58)과 (59)와의 사이에는 대략 링(ring)모양의 마찰부재(60)가 개재되어 있다.
또, 상기 축(57)의 도면중 하부에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도면중 하단부에 플랜지부(611)를 갖는 정지구(61)가 끼워붙어져 있고, 그 정지구(61)의 플랜지부(611)상에 설치된 코일모양의 스프링(62)에 의하여 치차(59)는 마찰부재(60)를 개재해서 치차(58)를 압압하고 있다. 이때문에, 치차(58)과 (59)는 연동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치차(58)는 플라이휘일(44)의 치차(47)에 맞물려져있고, 치차(59)는 리일축(16)의 치차(54)에 맞물려져 있다. 이때, 치차(58)는 리일축(16)의 치차(53)와 맞물려지는 위치에 있는데 제10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치차(58)과 (53)은 도면중 상하로 벗어나 있기 때문에 맞물려 있지 않다.
한편, 전기 한쌍의 리일축(16),(17)중 리와인드시에 권치측이 되는 리일축(17)은 제11도에 도시한 것처럼하여, 메인샤시(27)에 지지되어 있다. 즉 메인샤시(27)에는 리일축(17)이 부착되는 부분에 투공(27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공(273)의 주연부까지 달하는 부착부(621)를 가지는 축받이부재(62)가 삽통되고 투공(273)의 주연부와 부착부(621)가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받이부재(62)내에 회전축(171)이 회전자재로 삽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축받이부재(62)보다도 도면중 상방으로 돌출한 회전축(171)의 부분은 대략 유저통상(有底筒狀)으로 형성된 로크부재(63)의 밑부에 형성된 투공(631)을 삽통한후 리일 캡(64)에 끼워붙여저 있다. 그리고 리일 캡(64)은 회전축(171)과 일체적으로 회전되는 것인데, 로크부재(63)는 회전축(171)과 관계없이 되어 있다. 또, 상기 축받이부재(62)의 도면중 상단부와 로크부재(63)의 밑부와의 사이에는 코일모양의 스프링(65)이 개재되어 있도, 로크부재(93) 및 리일 캡(64)를 개재하여 회전축(171)은 도면중 상방으로 부세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크부재(63)의 도면중 하단부에는 도면중 아래에서 위로 넓어지는 테이퍼부(632)를 가진 플랙지모양의 계지부(6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부(633)는 상기 메인샤시(27)의 투공(273)보다도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축받이부재(62)보다도 도면중 아래쪽으로 돌출한 회전축(171)의 부분에는, 직경이 작은 치차(66)가 끼워붙어져 있다. 이 치차(66)는 회전축(171)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샤시(27)가운데, 리일축(17)과 전기 축(57)과의 대략 중앙부에는, 축(67)이 식설되어 있다. 이 축(67)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착부재(68)가 회전자재로, 또 이 축(67)의 축심방향 즉 도면중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하게 삽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재(68)에는 리와인드 레버(69) 및 치차(70)가 끼워붙어져 있다. 또 상기 부착부재(68)의 도면중 하단부와상기 축(67)의 도면중 하부에 장착된 와샤(71)와의 사이에, 코일모양의 스프링(72)이 개재되므로써, 부착부재(68)는 도면중 위쪽으로 부세되어 있고, 이 상태로 상기 치차(70)가 리일축(17)의 치차(66)에 서로 맞물려져 있다. 이때 치차(70)는 전기치차(58)가 맞물리는 위치에 있는데, 제11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치차(70)과 (58)과는 도면중 상하로 벗어나 있기 때문에 서로 맞물려저 있지 않다.
또, 상기 리와인드 레버(69)는 판상체이고, 그 일단부에는 상기 치차(70),(66)의 교합부(膠合部)와, 리일축(17)의 로크부(63)의 도면중 하단부와의 사이에 메인샤시(27)의 투공(273)을 삽통하여 개재되는 연결부(69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와인드 레버(69)의 타단부는 전기리일축(16)측까지 연설(延說)되어 있고, 그 뻗은 방향성단부에는, 리일축(16)의 치차(54)의 평면부와 도면중 상방에서 계합(係合)하는 계합부(69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재차 제6도에 도시한 것처럼, 몌 메인샤시(27)의 대략 중앙부에는 회동축(73)이 식설되어 있다. 이 회동축(73)에는 로크레버(74) 및 스위치레버(75)가 각각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로크레버(74)는 제8도, 제10도 및 제11도에 보이는 것처럼 전기 재생조작자(20)의 제1의 구동부(39)의 테이퍼부(391), 전기 리일축(16)의 로크부재(50)의 테이퍼부(502) 및 전기 리일축(17)의 로크부재(63)의 테이퍼부(532)에 각각 계합할 수 있는 제1내지 제3의 계합부(741)내지(743)이 상기 회동축(73)을 중심으로 하여 3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서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스위치레버(75)는 상기 로크레버(74)와 대략 같은 모양으로, 이 로크레버(74)에 겹쳐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재생조작자(20), 리일축(16),(17)의 각 테이퍼부(391),(502),(632)에 각각 계합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의 계합부(751)내지 (753)이 상기 회동축(73)을 중심으로 하여 3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서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스위치레버(75)의 제3의 계합부(753)의 선단부에는, 전기 모우터(4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리이프스위치(76)와 계합하는 제4의 계합부(75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스위치레버(76)가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때 제4의 계합부(754)에 압압되어서 리이프스위치(76)가 ON되고, 모우터(43)가 회전구동되는 것이다. 또, 상기 스위치레버(75)의 제3의 계합부(753)의 한측부에는 돌출계합편(75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계합편(755)과 메인샤시(27)의 소정위치에 코일모양의 스프링(77)이 계착(係着)되므로써, 스위치레버975)는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부세되고 있다. 이 때문에 스위치레버(75)의 제1내지 제3의 계합부(751)내지(753)은 각 테이퍼부(391),(502),(632)에 압압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로크레버(74)의 제3의 계합부(743)의 한 측부에도 돌출계합편(744)이 형성되어 있다. 또, 메인샤시(27)에는 리일축(16),(17)의 근방에 각각 축(78),(79)가 식설되어 있다. 이들 축(78),(79)는 양 리일축(16),(17)사이에 제6도중 가로로 길게 설치된 스톱슬라이더(80)의 양단부에 형성된장공(801),(802)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이때문에 스톱슬라이더(80)은 제6도중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로 되어있다. 그리고, 스톱슬라이더(80)의 한측부에는 돌출 계합편(803)이 형성되고, 이 돌출계합편(803)과 상기 로크레버(74)의 돌출계합편(744)과의 사이에, 코일모양의 스프링(81)이 계착되어 있다. 이때문에 상기 로크레버(74)는 제 6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부세되고 그 제1내지 제3의 계합부(741)내지(743)이 전기 각 테이퍼부(391),(502),(632)에 압압되어 있다. 또, 상기 스톱슬라이더(80)는 제6도중 왼쪽방향으로 부세되게 되는 셈인데, 이 스톱슬라이너(80)의 도면중 왼쪽방향의 이동은, 장공(802)의 도면중 우단부가 축(79)가 당접하는 위치까지로 된다. 이 위치에서, 스톱 슬라이터(80)의 1단부에 형성된 돌편(804)는 리일축(17)의 로크부재(63)의 테이퍼부(632)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스톱 슬라이더(80)의 타단부에는, 돌편(805)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편(805)을 리일축(16)의 로크부재(50)의 테이퍼부(502)와 대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지금 테이프재생을 하려고, 전기재생조작자(20)를 조작하였다고 하자. 그러면, 앞서 제8도 및 제9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헤드샤시(28)가 이동되고 재생헤드(30)가 테이프에 접촉되는 동시에 핀치로울러(32)가 테이프를 개재하여 캡스턴(46)에 압접된다. 이때, 재생조작자(20)가 제8도중 아래쪽으로 압압조작되므로써, 그 제1의 구동부(39)의 테이퍼부(391)에 의하여, 로크레버(74) 및 스위치레버(75)의 제1의 계합부(741),(751)이 압압된다. 이때문에 록크레버(74) 및 스위치레버(75)는 스프링(81),(77)의 부세력에 항거하여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재생조작자(20)를 제9도에 도시한 위치까지 압압조작하면, 로크레버(74)의 제1의 계합부(741)가 제1의 구동부(39)의 저면부에 대향하게 된다. 이때문에 로크레버(74)는 스프링(81)의 부세력에 의하여 제6도 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제1의 계합부(741)는 제1의 구동부(39)의 저면부에 계합하고, 재생조작자(20)가 조작위치에서 로크되는 것이다. 이때 스위치레버(75)는 제9도에 표시한 것처럼, 그 제1의 계합부(751)가 제1의 구동부(39)에 의하여 압압된채로 되어진다. 이때문에, 스위치레버(75)의 제4의 계합부(754)가 리이프스위치(76)를 ON으로 하고, 모우터(43)가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플라이휘일(44)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회전혁이 치차(47),(58), 마찰부재(60), 치차(59),(54) 및 회전축(161)을 개재하여 리일 캡(51)에 전달되고 리일캡(51)이 제6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여기에 테이프 재생주행이 행해지는 것이다.
다음에, 테이프 FF를 하려고, 제12도에 도시한 것처럼 전기 FF조작자(21)를 압압조작하였다고 하자. 그러면, 리일축(16)의 리일캡(51)이 도면중 아래쪽으로 압압되고, 이에 수반하여 로크부재(50)가 스프링(52)의 부세력에 항거하여 도면중 아래쪽으로 슬라이드된다. 이 로크부재(50)의 도면중 아래로의 이동은 그 도면중 하단부가 축받이부재(84)의 플랜지부(481)와 당접하기가지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로크부재(50)의 테이퍼부(502)에 의하여 스위치레버(75)의 제2의 계합부(752)가 압압되고, 이 스위치레버(75)가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공시에, 로크레버(74)의 제2의 계합부가 로크부재(50)의 플랜지부(503)에 계합된다. 이때문에, 전기 리이프스위치(76)가 ON되는 동시에, 리일축(16)은 압압조작된 위치에서 로크되어있다. 이때, 리일축(16)이 압압조작되는데 수반하여, 회전축(161)도 도면중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이 회전축(161)에 끼워붙여진 치차(53),(54)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문에, 치차(54)는 치차(59)에서 이탈하고, 치차(53)이 치차(58)과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플라이휘일(44)의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은 치차(47),(58),(53) 및 회전축(161)을 개재하여 리일캡(51)에 전달되고, 리일 캡(51)이 제6도중 방시계 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되고, 여기에 FF주행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 테이프 리와인드를 하려고해서, 전기 리와인드 조작자(22)를 압압조작 하였다고 하자. 그러면, 제13도에 도시한 것처럼, 리일축(17)의 리일캡(64)이 도면중 아래로 압압되고, 이에 수반하여 로크부재(63)가 스프링(65)의 부세력에 항거해서 도면중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 로크부재(63)의 도면중 아래에의 이동은, 그 도면중 하단부가 축받이부재(62)의 부착부(621)에 당접하기까지로 되어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로크부재(63)의 테이퍼부(632)에 의하여 스위치레버(75)의 제3의 계합부(753)가 압압되고, 이 스위치레버(75)가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동시에 로크레버(74)의 제3의 계합부(743)가 로크부재(63)의 플랜지부(633)에 계합된다. 이때문에 전기 리이프스위치(76)가 ON되는 동시에, 리일축(17)은 압압조작된 위치에서 로크되어 있다. 이때, 로크부재(63)의 도면중 하단부가, 리와인드 레버(69)의 연결부(691)를 도면중 하방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리와인드레버(69)전체가 도면중 아래쪽으로 슬라이된다. 이 때문에 치차(66)과(70)과는 서로 맞물려진채 도면중 아래쪽으로 슬라이드되고 이때 치차(70)는 치차(58)와 맞물려진다. 또, 리와인드 레버(69)의 계합부(692)에 의하여, 치차(54)가 스프링(56)의 부세력에 항거하여 도면중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되므로, 치차(54)는 치차(59)에서 이탈된다. 이때문에, 플라이휘일(44)의 제6도중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은 치차(47),(58),(70),(66) 및 회전축(171)을 개재하여 리일 캡(64)에 전달되고, 리일 캡(64)이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고속회전되고, 여기에 테이프 리와인드 주행이 행해지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재생, FF 및 리와인드 상태에서, 정지조작자(23)를 조작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재생, FF 및 리와인드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제1의 구동부(39), 로크부재(50),(63)의 어느 것인가가 로크레버(74)가 대응하는 제1내지 제3의 계합부(741)내지(743)에 의하여 로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지 조작자(23)를 조작하는 일은, 앞서 기술한 바와같이 FF 및 리와인드 조작자(21),(22)를 함께 조작하는 일이다. 여기서 상기 FF 및 리와인드 조작자(21),(22)를 함께 조작한 경우, 양 리일축(16),(17)이 예컨데 제11도중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때문에 테이프 플레이어가 상기 3종류의 동작상태중의 어떤 동작상태이드라도, 리일축(16),(17)의 각 로크 부재(50),(63)의 테이퍼부(502),(632)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의해서, 로크레버(74)의 제2 또는 제3의 계합부(742),(743)가 압압되어, 로드레버(74)가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 결국 로크가 해제되고 정지상태로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과 같이 양리일축(16),(17)이 압압조작된때 전기 스톱슬라이더(80)는 그 돌편(804)이 리일축(17)의 로크부재(63)의 테이퍼부(632)에 의하여 압압되므로, 제6도중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때 리일축(16)도 압압되어 있으므로, 그 로크부재(50)의 테이퍼부(502)(직경이 큰 부분에), 스톱글라이더(80)의 돌편(805)이 당접한다. 즉 양리일축(16),(17)의 테이퍼부(502),632)의 직경이 큰 부분사이에 스톱슬라이더(80)가 끼이게 된다. 이때문에 양리일축(16),(17)은 이들을 단독으로 조작한 때보다도 깊은 위치까지 조작되지 않도록 규제된다. 그리고, 이 양 리일축(16),(17)이 규제되는 위치란, 결국 양 로크부재(50),(63)이 로크레버(74)의 제2 및 제3의 계합부(742),(743)와 함께 로크되어 버리지 않는 정도의 얕은 위치이다. 이때문에, 정지조작자(23)를 조작하여도, 양 리일축(16),(17)은 조작위체이서 로크되지 않아도록 되어있다. 이것을 바꾸어 말하면, 정지조작자(23)의 조작 스트로우크는 FF 및 리와인드 조작자(21),(22)를 단독으로 조작한 스트로우크보다도 짧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이 실시예로 설명하는 테이프 플레이에는 재생시에 테이프가 종단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정지상태로 되는 자동정지기구가 장비되어 있다. 즉, 제6도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치차(59)의 제10도중 하부에는, 마찰레버(82)의 1단부가 주지의 마찰기구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마찰레버(82)는 상기 치차(59)가 회전되면 그 회전방향으로 부세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찰레버(82)의 타단부에는 장공(8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821)내에 검출레버(83)의 1단부에 돌설된 핀(831)이 유감(遊嵌)되어 있다. 이 검출레버(83)는, 그 대략 중앙부에서 메인샤시(27)에 돌설된 축(84)에 의하여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검출레버(83)의 타단부중 한쪽의 축부는 치차(58)에 설치된 캠부(85)의 측면에 당접된다. 또, 상기 검출레버(83)의 타단부에는, 두개의 핀(832),(833)이 돌설되어 있다. 이중, 핀(832)은 전기 로크레버(74)의 제2의 계합부(742)와 대향하고 있고, 다른쪽의 편(833)은 치차(58)의 편면부에 형성된 만곡상(灣曲狀)의 작동벽(581)과 계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테이프 재생상태에서는, 플라이 휘일(44) 및 치차(47)가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의하여 치차(58),(59)가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다. 이때문에, 치차(59)의 회전력에 의하여 마찰레버(82)는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부세되고, 검출레버(83)도 축(84)를 중심으로 하여 동도면중, 시계방향으로 부세된다. 이때, 검출레버(83)는 그 타단부가 캠부(85)에 접점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축(84)을 중심으로 요동운동을 행하고 있고, 안정된 재생상태가 계속된다. 이와같은 재생상태로 테이프가 종단에 도달하면 리일축(16)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것에 의하여 치차(54),(59)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 치차(58)과 (59)의 사이에는 활성(滑性)에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치차(59)의 회전정지에 의하여, 마찰레버(82) 및 검출레버(83)에는 부세력이 부력(付力)되지 않게 된다. 한편, 치차(58)의 회전은 계속되므로, 캠부(85)도 회전하고 있고, 검출레버(83)는 캠부(85)의 최대직경의 길이만큼 축(84)을 중심으로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위치에서 정지된다. 그러면, 치차(58)의 회전에 의하여, 그 작동벽(581)의 외측부분이 검출레버(83)의 핀(833)에 당접하고, 이 작동벽(581)의 만곡형상에 따라서 핀(833)이더나아가서는 검출레버(83)를 상기 정지위치보다도 더욱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검출레버(83)의 핀(832)이 로크레버(74)의 제2의 계합부(742)에 당접하고, 이 로크레버(74)를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문에, 재생조작자(20)의 조작위치에서의 로크가 해제되고, 여기에 자동정지가 행해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양리일축(16),(17)을 조작용으로 사용토록 하였으나, 이것은 테이프카세트에 그 뚜껑 방향으로 형성되는 투공(캡스턴 삽통공, 가이드핀 삽통공)등을 이용하여 조작자를 설치토록 해도 좋다. 즉, 테이프 카세트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캡스턴 삽통공, 가이드핀 삽통공 및 리일축 삽통공(리일하브)의 3종류 각 한쌍의 투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투공에 조작부재(상기 실시예에서는 리일축16,17)를 삽통시켜서, 이것을 조작하도록하면 장소를 찾이하지 않도고 조작부재를 부착할 수가 있고, 소형화에 호적하는 것이다.
제14도는 테이프카세트(13)의 한쪽의 캡스턴 삽통공(131)을 이용하여 포즈조작부재(86)을 부착하도록한 것이다. 즉, 테이프카세트 수납부(14)에 테이프카세트(13)를 장착한 경우, 한쪽의 캡스턴 삽통공(도시하지 않음)에는 캡스턴(46)이 삽통되고, 다른쪽의 캡스턴 삽통공(131)에 포즈조작부재(86)가 삽통된다. 이 포즈조작부재(86)는 메인샤시(27)에 대하여 도면중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하에 지지되어 있고, 메인샤시(27)의 도면중 하부에서 주지의 푸시푸시(push-push)기구에 연결되는 동시에, 리이프 스위치(87)와 계합되어 있다.
또, 카세트덮개(12)에는 상기한 FF, 리와인드 및 정지조작자(21)내지 (23)등과 같이 포즈조작자(8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포즈조작자(88)를 한번 압압조작하면, 포즈조작부재(86)가 도면중 아래쪽으로 밀어내려지고, 그 위치에서 로크된다. 이때, 리이프스위치(87)이 OFF하고, 모우터(43)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고, 테이프주행이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재차 포즈조작자(88)를 압압조작하면, 포즈조작부재의 로크가 해제되고, 리이프스위치(87)가 본래의 ON상태로 되돌아가고, 테이프주행이 재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우선 카세트덮개(12) 자체에 각종 조작자를 설치하도록하였으므로, 조작자의 형상을 크고도 넓게 여유있게 배치할 수가 있고, 조작성을 극히 좋게할 수가 있고, 테이프 플레이어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일도 없다. 여기서, 상기 각 조작자는 카세트 덮개(12)와 일체적으로 몰드(mold)성형하여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컨데 카세트 덮개(12)의 조작자가 되는 부분을 엷게 하여 탄성을 갖게하여, 약간의 압압조작을 가능하도록 하면 효과가 있다.
또, 카세트 덮개(12)에 조작부(18)와 투시부(19)와의 경계가 리일축(16),(17)위에 걸치도록 설치하였으므로, 테이프주행상태 및 테이프 잔량(殘量)등을 용이하게 외부에서 볼수 있는 것이다. 그 위에 테이프카세트(13)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각종 투공(캡스턴 삽통공, 가이드핀 삽통공 및 리일축 삽통공)에 조작부재를 삽통시켜서 테이프 카세트(13)의 평면부측에서 조작하도록 하였으므로, 조작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캐비넷(11)내에 특별히 설치할 필요가 없고, 스페이스적으로 유리하며, 특히 테이프 플레이어의 소형화에 충분히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특히 테이프카세트(13)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각종 투공중 리일축 삽통공에 본래 삽통되는 것인 리일축(16),(17)을 축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부재로서 이용하고 있으므로, 구성이 헛되지 않고 유기적이어서, 확실한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FF 및 리와인드시에 감는 측이 되는 리일축(16),(17)을 FF 및 리와인드조작에 제공하도록 하였으므로, 과오조작을 방지하고, 보다나은 조작성의 향사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과 같이, 리일축(16),(17)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이 자재하게 설치하고, 조작위치에서 로크시키는 동시에, 리일축(16),(17)과 모우터(43)를 선택적으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하고, 동시에 모우터(43)에 전력공급을 행하는 리이프스위치(76)를 시키도록한 점이 이 발명의 특징이 되는 부분이다.
그위에, 리일축(16),(17)으로서는 회전에 제공하는 리일 캡(51),(64)와, 로크 및 리이프스위치(76)의 ON,OFF에 제공하는 로크부재(50),(63)과를 동축적이고도 별체로 설치하였으므로, 테이프플레이어 기구부측에서의 스프링 부세력등 불필요한 축압이 리일 캡(51),(64)에 가해지지 않고, 테이프의 안정된 주행을 방해하는 일이 없는 것이다.
여기서, 리일축(16),(17)을 조작위치에서 로크하는 동시에 리이프스위치(76)를 ON시키는 수단으로사는 제15도에 도시한 것처럼 행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 리일축(16)에 대하여 설명하면, 리일축(16)은 그 회전축(161)이 메인샤시(27)에 취착(取着)된 축받이부재(89)에 의하여, 도면중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로 또한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161)의 도면중 하부에는 로크부재(90)의 일단부가 계합되어 있다. 이 로크부재(90)의 타단부는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고, 토오션 스프링(91)에 의하여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또, 로크부재(90)의 1단부에는 도시한 바와같이 테이퍼부(90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일축(16)이 도면중 하방으로 압압조작되면, 이에 연동하여 로크부재(90)가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때, 로크레버(74) 및 스위치레버(75)가 테이퍼부(901)에 의하여 압압되어 회동되도록 되는 것이다. 또, 로크시에는 로크레버(74)가 로크부재(90)의 도면중 상단부에 계합되고, 리일축(16)이 조작위치에서 로크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외에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이 발명에 의하여 조작성이 좋고 구성이 유기적으로 불필요한데가 없고, 소형화를 효과적으로 촉진한 극히 양호한 테이프 플레이어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테이프정 및 역방향 주행시에 각각 감은 측이되고,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이 자재로 지지되어 되는 제1및 제2의 리일축과, 이 제1및 제2의 리일축을 각각 조작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기구와, 이 제1및 제2의 리일축의 조작에 연동하며 제1및 제2의 리일축과 모우터와를 선택적으로 회전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력 전달기구와, 전기 제1및 제2의 리일축의 조작에 연동하여 전기 모우터에 전력공급을 행하는 스위치를 온시키는 스위치부재와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플레이어.
KR8204909A 1981-11-06 1982-11-01 테이프 플레이어 KR860000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8164 1981-11-06
JP56-178164 1981-11-06
JP56178164A JPS5880152A (ja) 1981-11-06 1981-11-06 テ−プレコ−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562A KR840002562A (ko) 1984-07-02
KR860000222B1 true KR860000222B1 (ko) 1986-03-15

Family

ID=1604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909A KR860000222B1 (ko) 1981-11-06 1982-11-01 테이프 플레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80152A (ko)
KR (1) KR8600002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5060A (ja) * 1983-05-20 1984-12-04 Pioneer Electronic Corp 小型カセツトテ−ププレ−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562A (ko) 1984-07-02
JPS6223384B2 (ko) 1987-05-22
JPS5880152A (ja) 198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222B1 (ko) 테이프 플레이어
JPH033294B2 (ko)
KR880000238B1 (ko)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JPS628856B2 (ko)
JPS6224862B2 (ko)
KR860000917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 장치
KR870000516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 장치
JPS628851B2 (ko)
JPS6224863B2 (ko)
KR860001255B1 (ko) 테이프 레코오더
JPS628849B2 (ko)
JPS626596Y2 (ko)
JPS59151350A (ja) テ−プレコ−ダ装置
JPS642282Y2 (ko)
JPS626595Y2 (ko)
JPS626597Y2 (ko)
JPS634313Y2 (ko)
JPS647415B2 (ko)
JPS628855B2 (ko)
JPS6010434A (ja) カセツトテ−プレコ−ダ装置
JPH0227421Y2 (ko)
JPS628853B2 (ko)
US4222536A (en) Device for sensing and indicating the end of a tape in a tape recorder
US4597024A (en) Tape recorder having soft-touch control of an erase head
JPH0418384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