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836B1 - 파이프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836B1
KR860000836B1 KR8203967A KR820003967A KR860000836B1 KR 860000836 B1 KR860000836 B1 KR 860000836B1 KR 8203967 A KR8203967 A KR 8203967A KR 820003967 A KR820003967 A KR 820003967A KR 860000836 B1 KR860000836 B1 KR 860000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ugh
pipe
fixed
movabl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099A (ko
Inventor
프리아스 로버트
다레 카인 트로리
Original Assignee
떠블유 티 맥캐이, 재이알
인그럼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떠블유 티 맥캐이, 재이알, 인그럼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떠블유 티 맥캐이, 재이알
Priority to KR820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836B1/ko
Publication of KR84000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andcart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이프 운반장치
제1도는 착정 공사장에서 사용될 본 발명의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고정트러프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고정트러프의 측면도로서 가동트러프의 전단부가 점선으로 하강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고정트러프의 경사암의 부분 사시도로서 한쌍의 경사암이 점선으로 상승 또는 경사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적재암의 하강위치를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5도는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된 경사암의 부분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경사암을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그중 한개의 경사암이 상승 또느 경사위치에 있는 것을 점선으로 나타나고 있다.
제7도는 제2도에 도시된 고정트러프의 평면도로서 제5도 및 제6도의 경사암들을 도시하고 있다.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고정트러프의 저면도.
제9도는 제7도의 9-9선 단면도.
제10도는 제6도에 도시된 경사암들 중에서 한개의 암을 도시한 측면도.
제11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적재암 한개의 부분 절취 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12-12선 단면도로서 인양구의 움직임을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제13도는 제12도의 13-13선 적재암의 단면도.
제14도는 제1도에 도시된 고정트러프에 장착되어 있는 운반대차의 측면도로서 한개의 파이프를 고정트러프를 따라 밀어 올릴때의 움직임을 도시하고 있다.
제15도는 제14도와 유사한 측면도로서 운반대차가 파이프 파지 삽 장치와 결합되어 가동트러프 위로 밀고 올라가는 상태도.
제16도는 제14도의 16-16선 평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17-17선 단면도.
제18도는 제16도의 18-18선 단면도.
제19도는 제 1 및 14에 도시된 운반대차의 사시도.
제20도는 가동트러프가 하강위치에 있을때 파이프 파지가래 장치가 제1도에 도시한 가동트러프의 하단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예시도로서 암멤버들이 개방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21도는 제20도와 유사한 사시도로서 가동트러프속에 놓여있는 파이프를 그 가동트러프를 따라 이동시킬때 암멤버들의 폐쇠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가동트러프의 하단부가 하강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23도는 제22도와 유사한 측단면도로서 삽장치가 가동트러프 운반대차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파이프 D : 착정탑플랫홈
G : 지상 R : 적재대
30 : 장치 32 : 주지지후렘
34 : 고정트러프 36,38 : 양단부
40 : 가동트러프 42 : 상단부
44 : 하단부 46 : 마스터
48 : 구동장치 50 : 운반대차
52 : 가래(삽)장치 53 : 운반대장치
54 : 적재암장치 56 : 경사암장치
57 : 피봇장치 58 : 운전실
59 : 운전실부착장치 64 : 유압실린더장치
65 : 피봇점 66 : 수직동판
68 : 스롯트홈 70 : 무한체인
72 : 완충장치 74 : 경사암
76, 78 : 팔부분 80, 82 : 손부분
84, 86 : 손바닥면 88 : 구멍
90 : 실린더 92 : 하단부
94 : 피스톤봉상단 96 : 핀
98 : 연결판 100 : 수평멤버
102 : 핀 104 : 핀
105 : 피스톤봉 106 : 절취구
110 : 적재암 111 : 복스후렘구조물
112 : 유압실린더 114, 116 : 상하단부
118 : 적재암크로스 해드 아셈브리 120 : 피스톤봉
122 : 엽상체인 124 : 인양구
126 : 바퀴 128 : 삼각판
130 : 로울러튜브 132 : 엽상체인 쿨 레비스 아셈브리
134 : 로울러축 136 : 추
138 : 켐종차 139 : 접촉면
140 : 피봇아셈브리 140a : 축
142 : 연결판 144 : 구멍
145 : 텝 146 : 핀
146a : 축 150 : 바퀴
151 : 홈통 152 : 적재대
154 : 수직판 156 : 갈고리
160 : 바닥판 162 : 절취부
164 : 충격판 166 : 피복
168 : 후단부 170 : 암멤버
172 : 가로장 174 : 직립판
180 : 아셈브리 182 : 마스크구조
184 : 암멤버 186 : 운반대
188 : 무한체인 189 : 구동스포로켓트
192 : 전방부 194 : 제1걸쇠부
196 : 제2걸쇠부
본 발명은 착정탑과 파이프 적재대 사이에서 파이프제품을 운반하여 주기 위한 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육상공사장에서 사용될 파이프 운반 기계, 특히 해체가 용이하고 착정탑 현장 사이에 운반이 편리하여 새로운 현장에서 조립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파이프 적재대와 높다란 착정탑 플랫홈 사이에 파이프를 들어 올리고 내려주는 각종 방법과 장치가 사용되었다. 그러한 방법중의 하나는 와이어 케이블을 단순히 파이프에 걸고 착정탑 근처에 주차시킨 특럭에 탑재된 유압윈치로 들어올리게 되어 있었다. 크레인과 유압구동체인도 파이프를 인양하고 이동하는데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이 입증 되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착정탑과 파이프 적재대에서 파이프를 취급할 추갖거인 인원을 필요로 하며 파이프가 운발될 때에는 파이프 인양구조물로부터 이탈하거나 흔들리므로서 인원에 부상을 입히고 파이프 자체가 손상을 입거나 인접구조물에 손상을 입히는 위험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 그러한 문제를 감소시켜주는 기계들이 제작되었으나 그러한 기계들도 시간이 많이 걸리고 취급이 어려우며 또한 불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 하나의 고정트러프,파이프 적재대로부터 그 고정트러프로 파이프를 운반하는 장치, 고정프트러프로부터 가동트러프로 파이프를 이동시키는 운반장치, 가동트러프로부터 착정탑플랫홈으로 파이프를 내려놓는 장치로 이루어지는 기계가 제작되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이들 기계는 다루기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고정트러프의 양측에 위치시킨 한쌍의 파이프 적재암이 사용되었으나 이대 고정트러프의 양측에 설치된 지주상에서 오르내리는 파이프 인양구와 연결되는 적절한 일련의 스포로켓트상에 길다란 구동체인을 걸어서 사용하였으며 다른 한쌍의 운반암에도 유사한 구동체인과 인양구장치가 사용되었고 이들 스프로켓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무겁고 값이 비싼 모우터와 대형 단일축 구동장치가 사용되었다.
이와같이하여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서 고정트러프의 한쪽 측면에 있는 인양구가 상승운동을 하고 반대로 고정트러프의 한쪽 운반암만이 사용되기 때문에 때때로 불필요하고 불안전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고정트러프로부터 적재암으로 파이프를 옮기기 위하여 덤프 트러프 장치가 사용되었고 이 장치는 두쌍의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경사되는 가경트러프 부분을 사용하였으며 덤프 트러프 부분의 피봇점이 유압실린더의 한쪽 끝에 위치하고 있고 유압 실린더들이 전체 트러프 부분과 파이프를 들어 올려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약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종래의 기계에 있어서의 운성실은 적절한 제어선으로 연결된 독립된 운전실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운전실은 착정 공사장 사이를 이동할때 수송차량위에 올려 놓기 어려우며 트러프로부터 따로 인양하여 이동시켜야 했다.
종래 기계의 또 다른 문제점은 고정트러프와 경사 트러프 사이에 파이프를 운반하고, 경사트러프로부터 착정탑 플랫홈 위로 옮겨주기 위한 적절한 방법이 개발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몇몇 장치에 있어서는 가동트러프 근처에 인원을 배치하여 파이프를 갈고리로 걸어서 적절한 인양장치에 올려 놓아야 했고, 이러한 방법은 물론 시간이 걸리고 내용이 많이 들고 위험한 것으로 증명 되였으며, 파이프를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된 기계식 장치도 시간이 많이 걸리고 때때로 기계적으로 복잡한 것이었으며 이는 파이프를 부딪치게 하고 파이프 단부와 파이프 취급 장치의 구동체인들을 손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파이프 적재대로부터 착정탑으로 반대 방향으로 파이프를 운반하기 위한 개량된 기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레인이나 기타 유사한 인양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장비수송차량과 장비 설치용 플랫홈 사이에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파이프 운반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 적재암 중에서 한개만 을사용할때는 양쪽의 적재암을 연장시킬 필요가 없는 파이프 운반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파이프 운반기계 자체를 운반하는데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파이프 적재암을 고정트러프에 근접하여 평행하게 회전시키기 용이한 파이프 운반기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송에 편리하기 위하여 운전실이 기계에 부착되어 있고 기계위에 접어 눕힐 수 있게 되어있는 파이프 운반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파이프 적재대로 부터 착정탑으로 파이프를 짧은 시간에 운반할 수 있는 파이프 운반기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 단부를 착정탑 중앙에 근접하여 운반하고 파이프를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게 충분히 낮은 작업놓이로 위치시켜 줄수있는 파이프 운반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파이프를 고정트러프로부터 파이프 적재암으로 옮겨주기 위한 개량된 파이프 경사장치를 갖는 파이프 운반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트러프상에 고정된 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개량된 파이프 경사장치를 갖는 파이프 운반기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가 수평으로 고정된 트러프와 그 공정트러프와 교차 연결되는 경사트러프를 따라 착정탑 플랫홈으로 손상되지 않고 쉽게 이동할 수 있는 파이프 운반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장점들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파이프(P) 기타 파이프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장치(30)를 도시하고 있고 상기 장치는 플랫홈 통로상에 위치된 주지지후렘(32) 주지지후렘(32)에 의하여 지지되고 양단부(36)(38)를 갖고 있는 고정트러프(34), 상단부(42)가 착정탑플랫홈(D)의 하단부(44)에 한쌍의 마스트(46)(46)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가동트러프(40)로 구성되고 마스트(46)(46)들은 고정트러프의 전단부(38)에 착설되어 한개의 마스트 구동장치(48)가 가동트러프(44)를 마스트(46)(46)들 사이에서 상승 또는 하강 시킨다.가동트러프(40)의하단부(44)가 상승위치로 올라가는 가동트러프(40)의 상단부(42)는 착정탑플랫홈(D)쪽으로 계속 스라이딩 운동을 하여 착정탑플랫홈(D)위에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어 길다란 파이프를 가동트러프(40)로 부터 쉽게 내려 놓을수 있게 된다. 가동트러프(40)의 하단부(44)가 하강위치에 내려오게 되면 가동트러프(40)와 고정트러프(36)가 서로 근접하여 일렬로 정열하게 되어 파이프가 이들 사이를 스라이드 이동할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고정트러프(34)상에서 전단부(38)와 후단부(36)사이를 왕복구동되는 운반대차(50)를 가지고 있다. 상기 운반대차(50)는 파이프(P)의 한쪽 단부를 파지하도록 되어있는 가래장치(52)와 결합되어 있고, 가래장치(52)는 가동트러프(40)상에 착설된 운반대와 유사한 운반대 장치(53)과 결합되게 되어 있으며 운반대장치(53)도 마찬가지로 구동되어 가동트러프(40)를 따라 상단부(42)와 하단부(44)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한다. 운반대장치(53)도 마찬가지로 가래장치(52)와 결합하여 그 가래장치(52)에 의하여 파지된 파이프(P)를 고정트러프(34)와 착정탑 플랫홈(D)사이에서 가동트러프(40)를 따라 움직일수 있게 되어 있다. 가동트러프(40)의 하단부(44)가 하강위치에 있을때 파이프(P)를 파지하고 있는 가래장치(52)는 상기 두개의 트러프(34)(40)사이를 완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파이프(P)를 적재대(R)(R)와 고정트러프(34)사이에 운반하기 위한 적재암장치를 (54)가지고 있다. 파이프적재대 (R)(R)들은 고정트러프(34)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구조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어떠한 적당한 구조의 적재대도 사용할수 있고 적재암장치(54)는 고정트러프(34)의 한쪽 또는 양측에 설치할 수 있으며,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경사암장치(56)가 장치되어 있으며, 이 경사암 장치(56)는 파이프를 고정트러프(34)와 적재암장치(54)사이에 운반하여 주고 각 적재암(54)은 양쪽방향으로 피봇운동을 가능케하는 피봇장치(57)과 착설되어 있어서 적재암(54)들은 고정트러프 (34)옆에 나란히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체의 장치(30)를 운반하는데 용이하며 필요없을때는 특정한 적재암장치(54)는 접어둘수 있다.
이와같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파이프(P)는 상기 장치(30)에 의해서 파이프적재대(R)(R)와 착정탑플랫홈(D)사이에 신속히 운반할수 있으며 착정탑플랫홈(D)상에 있는 파이프를 가동트러프 (40)속에 위치시키고 가래장치(52)로 파지된 다음 가동트러프(44)가 마스트 구동장치(48)에 의하여 마스트(46)(46)사이에서 고정트러프(34)의 전단부(38)로 하강함에 따라 파이프는 운반대(53)에 의해서 가동트러프(40)아래로 이동한다. 가동트러프(40)의 하단부(44)가 하강위치에 있을때는 가래장치(52)가 운반대 (53)로부터 분리되어 운반대차(50)에 결합된다.
이렇게하여 운반대차(50)가 고정트러프(34)상에서 후단부(36)로 움직임데 따라 파이프(P)는 그와함께 경사암장치(56)를 지나서 멈춘다.
그 다음 경사암장치(56)가 적재암장치(54)쪽으로 경사하여 이때 파이프(P)는 적재대(R)위에 놓일때까지 적재암장치(54)에 의해서 운반되고 파이프를 적지대(R)(R)로 부터 착정탑플랫홈(D)으로 운반할때는 역순으로 똑같이 실시하면 된다.
상기 모든 운반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 장치에 필요한 사람은 단 한사람으로 충분하고 본 발명은 운전실(58)과 그안에 장치된 적절한 제어판을 제공한다. 운전실(58)은 고정트러프(34)의 후단부(36)에 부착되며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운전실 부착장치(59)는 하나의 선회장치로 되어 있어서 전체장치(30)의 적재운반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트러프(34)상에 선회시켜 세우도록 되어있다.
마스터(46)의 구동장치는 한끝이 가동트러프(40)의 하단부(44)에 다른쪽 끝이 유압실린더장치에 연결된 구동체인(45)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 장치는 마스트(46)(46)에 근접하여 그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두개의 평행한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유압실린더에 유압이 가해지면 구동체인(45)이 가동트러프의 하단부(44)를 상승시키고 마스트(46)(46)들을 유압실린더장치(64)에 의하여 수직위치와 고정트러프(34)상에 누어있는 수평위치 사이를 회전할수 있게 되어있다. 유압구동장치(64)는 제1도의 화살표시와 점선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피봇점(65)을 중심으로 하여 마스트(46)(46)를 회전시킨다.
운반대차(50)는 제3도 및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면에 길이로 부착되어 고정트러프(34)의 중앙선을 연하여 만들어진 스롯트홈(68)속에 결합되는 수직등판(66)을 가지고 있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무한체인(70)이 수직동판(66)의 양단에 연결되어 대차(50)를 고정트러프(34)상에서 왕복 구동시킨다. 파이프(P)가 가동트러프(40)로부터 고정트러프(34)로 이동할때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무한체인(70)을 연하여 완충장치(72)가 사용되었다.
제4도 내지 제10도는 경사암장치(56)를 도시하고 있고, 경사암장치(56)는 두쌍의 경사암(74)을 가지고 있으며 각 경사암(74)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새가슴 모양을 하고 있다. 이 새가슴 모양의 경사암(74)은 팔부분(76)(78)과 손부분(80)(82)을 가지고 있으며 손바닥면(84)(86)들은 제4도에서 볼수있는 바와같이 경사암이 하강 또는 경사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고정트러프(34)의 치에 있을때 고정트러프(34)의 표면과 일치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팔부분(76)(78)에는 피봇연결을 위한 구멍(88)(89)들을 천설하였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린더(90)의 하단부(92)와 피스톤봉 상단(94)이 피봇연결 되어있고 하단부(92)는 연결판(98)에 착설된 핀(96)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연결판(98)은 후템(32)의 수평멤버(100)상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다. 피스톤봉상단(94)은 유착된 핀(102)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핀(10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구멍(88)에 착설되는 핀(104)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트러프(34)에 고정되고 유압실린더(90)에 유압이 가해지면 피스톤봉(105)이 신장하여 경사암(74)을 위로 밀어올려 핀(104)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경사암(74)이 회전함에 따라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트러프(34)상의 절취구(106)를 통하여 상승하며 이때 경사암(74)의 상부면(86)이 고정트러프(34)상에 놓여있는 파이프(P)아래로부터 파이프와 접촉을 이루면서 들어올려 파이프적재대(R)쪽으로 밀어서 굴린다. 각쌍의 경사암(74)들은 파이프의 길이보다 짧은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으며, 유압실린더(90)들은 동시에 압력이 가해져서 파이프를 똑같이 수평으로 들어 올리게 되어있다.
제12도 및 제13도는 파이프적재장치(54)를 도시하고 있는데, 적재장치(54)는 기본적으로 상단부가 피봇장치(57)에 의하여 고정트러프(34)에 피봇연결 되어 있고 하단부가 지상(G)가 놓여있는 적재암(1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압실린더(112)의 상, 하단부(114)(116)가 적재암(110)안에 착설되어 있으며, 그 적재암(110)은 두개의 서로 평행하게 연결된 복스후렘구조물(111)(111)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적재암크로스해드 아셈브리(118)가 유압실린더(112)의 피스톤봉(120)상단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하나의 엽상체인(122)의 한쪽 끝은 실린더 상단부(116)근처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쪽 끝은 인양구(124)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인양구(124)는 파이프(P)를 적재암(110)에 받아주고 엽상체인(122)에 의하여 잡아 당겨질때 파이프를 적재암(110)을 따라 고정트러프(34)로 올려주게 되어 있다. 적재암크로스해드 아셈브리(118)는 두 개의 평행한 바퀴(126)(126)를 가지고 있으며 이 바퀴(126)(126)들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스톤(120)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서 엽상체인(122)(122)을 감아 올리게 된다. 인양구(124)는 두개의삼각판(128)(128)으로 이루어져있고 한쪽 모서리가 로울러튜브(130)에 연결되어 있으며 로울러튜부(130)에는 한쌍의 엽상체인 클레비스아셈브리(132)(132)가 용접되어 있으며 이 엽상체인클레비스 아셈브리(132)(132)에 엽상체인(122)(122)이 부착되어 있고 하나의 로울러축(134)이 또한 삼각판(128)(128)을 다른쪽 모서리에서 서로 연결시키고 있으며, 두개의 추(136)(136)가 삼각판(128)(128)외측에 로울러축(134)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회전하게 되어 있으며, 이들 추(136)(136)는 로울러축(134)에서 아래로 메달려서 엽상체인(122)을 항상 팽팽하게 유지하기 위한 무게를 제공한다. 삼각판(128)(128)의 모서리에는 캠종차(138)가 부착되어 회전하고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양구(124)가 적재암(110)의 상단부로 이동하면 캠종차(138)가 접촉면(139)과 접동하여 고정트러프(34)쪽으로 이동하므로서 인양구(124)로 하여금 고정트러프(34)쪽으로 기울게하고 동시에 파이프(P)를 고정트러프(34)로 굴려 넣는다. 유압실린더(112)의 유압을 감압하고 피스톤(120)이 수축하면 인양구(124)는 추(136)(136)의 무게 때문에 적재암(110)을 따라 실린던 상단부(116)을 지나 지상(R)으로 내려 온다. 따라서 엽상체인(122)은 실린더의 상단부(116)로부터 하단부(114)로 내려오므로서 적재암(110)은 피스톤(120)이 적재암의 전체길이로 신장할 필요가 없게 된다.
제1도는 고정트러프(34)의 양측에 각각 한쌍의 적재암장치(54)(54)를 도시하고 있고 고정트러프(34)의 양쪽에 장치된 각 적재암장치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유압실린더들은 평행하고 똑같이 가압되므로 인양구(124)들이 각각 해당 적재암(11)을 따라 똑같은 속도로 상승하고 파이프가 수평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고정트러프(34)의 양측에 있는 적재암장치(54)(54)들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되어있고 고정트러프의 한쪽편의 인양구(124)는 파이프를 고정트러프 속으로 내려 놓는 동안 다른쪽 편의 인양구(124)는 상승위치에 위치시킬수 있다. 이것은 인양구가 한쪽편에서 파이프를 고정트러프위로 내려놓을때 다른쪽으로 파이프가 굴러나가지 않게하는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적재암장치(54)를 위한 피봇장치(57)는 적재암(110)으로 하여금 두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가능케 하여준다. (제4도)피봇장치(57)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축(140a)을 중심으로 선회를 가능케 하여주는 피봇아셈브리(140)에 의하여 고정트러프(34)의 측면에 부착된 브라켓판을 가지고 있다. 브라켓판은 또한 두쌍의 연결판(142)(142)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구멍(144(144)이 천공되어 있다. 각쌍의 연결판(142)(142)은 슬롯트홈을 형성하고 있어서 그 홈속으로 적재암(110)의 복스후렘(111)의 탭(145)(145)이 삽입된다. 상기 탭(455)(145)들도 연결판(142)(142)의 구멍(144)(144)들과 일치하는 구멍을 가지고 있어서 그 구멍을 통하여 핀(146)(146)이 삽입된다. 적재암(110)은 핀(146)(146)을(제11도)과 축(146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적재암(110)은 지상(G)에 세워지는 위치와 고정트러프(34)에 수평하게 접촉되는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다.
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차(50)는 하부면에서 아래로 뻗어내린 수직동판(66)을 가지고 있으며, 그 수직동판(66)은 고정트러프(34)의 스롯트홈에 삽입되게 되어 있다. 상기 수직동판(66)의 전, 후단부의 양측에는 두쌍의 바퀴(150)들이 부착되어 회전하고 바퀴(150)들은 고정트러프(34)의 상부면 아래에 길게 뻗어있는 홈통(151)속(제14도)에서 굴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동판(66)의 전후에 연결된 무한체인(70)이 대차(50)를 잡아당기면 바퀴(150)(150)에 의하여 굴러가게 된다. 대차(50)는 고정트러프(34)의 상부면과 형상과 동일한 바닥모양을 형성한 적지대(152)를 가지고 있고 적지대(152)의 후단부에는 수직판(154)이 부착되어있고 수직판(154)후면에는 두 개의 갈고리(156)(156)가 착설되어 수직판(154)의 상단부위에 연장되어 있다.
제2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래장치(52)는 고정트러프(34)와 가동 트러프(40)위에서 자유로히 스라이딩운동을 할수있도록 형성된 바닥판(160)을 가지고 있고 바닥판(160)의 전단부는 제16도에 도사한 바와같이 충격을 가장 크게 받고 접촉 손상을 제일 많이 받게될 부분에 절취부(162)를 형성하고 바닥판(160)의 중앙부에는 충격판(164)이 수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파이프(P)가 충돌하는 충격판(164)에 탄력성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피복(660)을 입혀서 충격력을 흡수함과 동시에 파이프 단부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160)의 후단부(168)에 약간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암멤버(170)(170)의 양단부에 가로장(172)을 부착하였다.
상기 가로장(172)은 가래장치(52)가 대차(50)에 의하여 이동될때 상기 대차(50)의 갈고리(156)(156)에 의하여 파지된다. 가래장치(52)는 바닥판(160)의 중앙에 충격판(164)과 암멤버(170)상이에 부착된 직립판(174)은 요구되는 구조적 지지력을을 제공하며, 가래징치(52)가 대차(50)에 의하여 이동될때는 제14도는 도시한 바와같이 가로장(172)은 갈고리(156)에 의하여 파지된다. 제1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대차(50)가 가래장치(53)와 함께 파이프(P)를 가동트러프(40)의 하단부(44)위로 밀러 올릴때 가래장치(53)는 후단부(168)를 중심으로 가로장(172)이 아래로 회전하여 갈고리(156)로부터 이탈하게 되므로서 가래장치(53)과 쉽게 가동트러프(40)위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는 것을 알수 있다. 본 발명은 가래장치(53)를 파지하고 가동트러프(40)를 따라 이동시키는두가지 방법을 제시하여 준다.
그 한 방범은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바께스아셈브리(180)가 사용되고 바께스아셈브리(180)는 마스트구조(182)(182)를 잡아당기는 체인구동징치(도시되지 않았음)을 가지고 있고, 다수의 암멤버(184)들이 상기 마스트구조(182)에 부착되어 있다. 바께스아셈브리(180)는 또한 가동트러프(40)의 하단부(44)에 근접할때 암멤버(184)들을 개폐하기 위한 장치(도시되지 않았음)을 가지고 있다. 이 장치는 바께스 아셈브리(180)가 구동체인에 의하여 하단부(44)로부터 당겨질때 암멤버(184)들을 폐쇄시키고, 바께스아셈브리(180)가 상기 하단부(44)에 접근할때 압멤버(184)들을 개방하여 주는 켐구동작요을 제공한다. 암멤버(184)들은 가래장치(52)를 포함하여 충격판(164)을 감싸고 폐쇄하여 가동트러프(40)를 따라 이동한다.
제22도 및 제23도는 제2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실시예는 가동트러프(40)의 전체길이를 따라 구동스트로켓트(189)주위를 도는 무한체인(188)에 의하여 구동되는 운반대(186)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는 비교적 길다란 전방부(192)의 앞부분으로 부터 아래로 내려온 제1걸쇠부(194)가 있는 약간 개량된 가래장치를 가지고 있다. 제1 걸쇠부(194)는 운반대(186)상에 착설된 제2걸쇠부(196)와 결합하게 되어있고, 제2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래장치(52)가 가동트러프(40)로 이동하고 운반대(186)가 체인(188)에 의하여 가동트러프(40)위로 당겨질때 상기 두 걸쇠부(194)(196)가 서로 결합한다. 이와같은 결쇠작용과 해제작용은 가래장치(52)가 두 트러프 사이를 움직일때 위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후단부(168)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의 영역내에 속하는 본 발명의 수많은 변형, 응용 및 개량방법에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36)

  1. 하나의 트러프(34)와 그 트러프(34)의 측면에 인접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이프(P)적재대(R)사이에 파이프(P)를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서, 한쪽끝이 트러프(34)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끝이 트러프(34)밑에 있는 한표면에 지지되는 적재암(110), 파이프(P)가 적재대(R)와 트러프(34)사이에서 적재암(110)을 따라 이동할때 파이프(P)를 받쳐주기 위한 하나의 파이프 인양장치인 인양구(124), 유압이 가해질때 인양구(124)를 적재암(110)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적재암(110)과 결합되어 있는 유압실린더(112), 그리고 유압실린더 장치를 인양구(124)에 연결하여 주기위한 엽상체인(122)의 연결장치로 구성되는 파이프 운반장치.
  2. 청구범위 1에서 상기 유압실린더(112)장치는 적재암(110)에 대략 평행하게 부착되는 파이프운반장치.
  3. 청구범위 2에서 연결장치는 엽상체인(122)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운반장치.
  4. 청구범위 3에서 상기 엽상체인(122)장치는 한쪽끝이 유압실린더(122)장치의 실린더 단부(116)에 부착되고 다른쪽끈은 인양구(124)에 부착되어있으며 이 엽상체인(122)장치는 유압피스톤 상단부의 적재암크로스해드 아셈브리(118)주위를 돌게되어 있어서, 유압실린더(122)장치가 가압될때 인양구(124)가 피스톤봉(120)에 의하여 적재암(110)을 따라 움직이게 되어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5. 청구범위 2에서 인양구(124)가 적재암(110)의 상단에 위치할때 그 인양구(124)를 트러프(34)쪽으로 경사시켜서 파이프(P)를 인양구(124)로부터 트러프(34)로 굴려 옮겨주기 위한 경사장치를 가지고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6. 청구범위 5에서 경사장치는 인양구(124)에 연결되어있는 캠장치(138)와 적재암(110)의 상단부에 캠접축면(139)을 가지고 있으며 인양구(124)가 적재암(110)의 상단부쪽으로 이동할때 캠장치(138)가 캠접촉면(139)에 접착하게됨으로서 인양구(124)를 경사시키게 되어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7. 청구범위 4에서 상기 파이프 운반장치는 인양구(124)가 적재암(110)상단부에 위치할때 그 인양구(124)를 트러프(34)쪽으로 경사시키므로서 파이프(P)를 인양구(124)로부터 트러프(34)이 굴러옮겨 주도록하기 위한 경사장치를 가지고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8. 청구범위 7에서 경사장치는 인양구(124)에 연결되어 있는 캠장치(138)와 적재암(110)의 상단부에 캠접촉면(139)을 가지고 있으며, 인양구(124)가 엽상체인(122)에 의하여 적재암(110)의 상단부쪽으로 이동할때 캠장치(138)가 캠접촉면(139)에 접촉하므로서 인양구(124)를 경사시키도록 되어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9. 청구범위 8에서 상기 장치는 인양구(124)에 무게를 달아서 엽상체인(122)장치를 팽팽하게 유지하여 주기위하여 인양구(124)에 부착된 추(136)를 가지고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10. 청구범위 9에서 상기 파이프 운반장치는 적재암(110)으로 하여금 트러프(34)에 평행한 제1수평축(146a)을 중심으로 회전할수 있게하는 제1연결관(142)와 적재암(110)으로 하여금 상기 제1수평축에 직각을 이루는 제2수평축(140a)을 중심으로 회전할수 있게 하여주는 제2피봇연결 장치를 가지고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11. 청구범위 10에서 트러프(34)는 제1 및 제 2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적재암(110)은 제1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12. 청구범위 11에서 상기 파이프 운반장치는 인양구(124)로부터 경사장치에 의하여 트러프(34)로 굴러 옮겨진 파이프(P)가 제2측면 밖으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발지하기 위하여 트러프(34)의 제2측면에 연결된 장치를 가지고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13. 청구범위 12에서 상기 파이프 운반장치는 적재암(110)으로 하여금 상기 트러프(34)에 평행한 제1수평축(146a)을 중심으로 회전할수 있게하는 제1피봇연결장치와 적재암(110)으로 하여금 상기 제1수평축(146a)에 직각을 이루고 제2수평축(140a)을 중심으로 회전할수 있게하여주는 제2피봇연결장치를 가지고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14. 청구범위 13에서 상기 파이프 운반장치는 적재암(110)으로 하여금 상기 트러프(34)에 평행한 제1수평축(146a)을 중심으로 회전할수 있게하는 제1피봇연결 장치와 적재암(110)으로 하여금 제1수평축(146a)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제2수평축(140a)을 중심으로 회전할수 있게하여주는 제2피봇연결장치를 가지고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15. 하나의 트러프(34)와 그트러프의 최소한 한쪽 측면에 인접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이프(P)적재대(R)사이에 파이프(P)를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나의 트러프(34), 한쪽끝이 트러프(34)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끝은 트러프(34)밑의 지면에 지지되어 있는 제1적재암(110), 파이프(P)가 파이프 적재대(R)와 트러프(34)사이에서 적재암(110)를 따라 이동할때 파이프를 받쳐주기 위한 제1파이프 인양구(124), 유압이 가해지면 제1인양구(124)를 제1적재암(110)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적재암과 결합되어 있는 제1유압구동 실린더 장치(112), 제1실린더 장치(112)를 제1인양구(124)에 연결하여 작동시키기 위한 제1연결장치인 엽상체인(122), 한쪽끝이 제1적재암(110)으로 부터 간격을 두고 트러프(34)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끝이 트러프(34)의 밑에 있는 지면에 지지되어 있는 제2적재암(110), 파이프(P)가 파이프 적재대(R)와 트러프(34)사이에서 제2적재암(110)을 따라 이동할때 파이프(P)를 받쳐주기 위한 제2인양구(124), 유압이 가해지면 제2인양구(124)를 제2적재암(110)을 따라 이동시키리 위하여 제1적재암(110)과 결합되어있는 제2유압구동실린더(112)장치, 제2실린더(112)장치를 제2인양구(124)에 연결하여 작동시키기위한 제2연결장치인 엽상체인(122), 제 1 및 제2유압구 동실린더(112)(112)장치를 동시에 가압하여 제 1 및 제2파이프 인양구(124)가 파이프(P)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제어장치들로 구성되는 파이프 운반장치.
  16. 하나의 트러프(34)와 그 트러프(34)의 최소한 한쪽 측면에 인접되어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이프 적재대(R)사이에 파이프(P)를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나의 트러프(34), 한쪽끝이 트러프(34)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끝은 트러프(34)밑에 있는 지면에 지지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적재암(110), 파이프(P)를 적재암(110)의 길이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인 유압실린더(112), 적재암으로 하여금 트러프(34)에 평행한 제1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할수 있게하는 제1피봇연결장치와 적재암(110)으로 하여금 상기 제1수평축에 직각을 이루는 제2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하는 제2피봇연결장치들로 구성되는 파이프 운반장치.
  17. 착정탑플랫홈(D)위에 파이프(P)를 올리고 내려주기 위한 장치로서, 착정탑플랫홈(D)보다 높이가 낮고 한쪽단부(38)가 착정탑쪽으로 근접하여 위치하면서 파이프(P)를 옮겨 받아 지지하기 위한 고정트러프(34)장치, 상기 고정트러프(34)장치의 한쪽단부(38)에 위치하는 지주장치인 마스터(46),고정트러프(34)장치와 일렬로 정열되어있고, 상승위치와 하강위치 사이에서 대략 수직운동을 하기 위하여 지주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제1단부(44)와 착정탑에 인접되어 있는 제2단부(42)를 가지고 있으면서 파이프(P)를 옮겨받아 지지하기 위한 가동트러프(40)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하강위치는 고정트러프(34)장치의 한쪽끝에 인접되어 있어서 가동트러프(40)장치와 고정트러프(34)장치 사이의 파이프(P)이송을 가능케하고, 상승위치는 고정트러프(34)장치의 한쪽끝으로부터 위로 높이 이격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파이프 운반장치는 가동트러프(40)장치의 제1단부(44)가 하강위치에 있을때 파이프(P)를 길이로 고정트러프(34)장치를 따라 한쪽단부(38)을 지나서 상기 가동트러프(40)장치 위로 이동시켜주고, 가동트러프(40)장치가 하강위치로 내려왔을때 파이프(P)를 가동트러프(40)장치로부터 내려서 고정트러프(34)장치 위로 옮겨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운반대차(40), 가동트러프(40)장치의 제1단부(44)를 상승 및 하강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하여 지주장치인 마스터(46)에(위치하는 구동장치(45), 가동트러프(140)장치가 상승위치에 있을때 파이프(P)를 가동트러프(40)장치로 부터 착정탑플랫홈(D)으로 운반하기 위한 이송장치인 운반대장치(53)상기 고정트러프(34)장치의 한쪽끝으로부터 반대편에 위치하는 장비 운전실(58), 상기 운전실(58)을 고정트러프(34)장치의 후단부(36)상에 부착시키기 위한 연결장치인 운전실 분착장치(59)를 가지고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18. 청구범위 17에서 상기 운전실 부착장치(59)는 피봇연결 장치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운반장치.
  19. 청구범위 17에서 상기 피봇연결장치는 운전실(58)을 고정트러프(34)장치의 전단부쪽으로 회전시켜 고정트러프(34)장치상에 눕힐수 있게 되어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20. 파이프(P)를 하나의 트러프(34)상에 옆으로부터 올려받고 내려주는 장치로서 주지지후렘(32)위에 착설되어 파이프(P)를 받아 지지하거나 길이방향으로 이송할수 있는 표면구조를 가지고 있는 하나의 트러프(34), 그 트러프(34)의 표면 아래쪽에 위치하여 한쪽단부(80)가 상기 트러프(34)의 한쪽 측연부에 피봇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부분(82)은 파이프(P)와 접촉하여 밀어 올려주도록 되어있는 제1경사암 장치(56), 유압실린더(90)의 하단부(92)는 상기 트러프(34)아래쪽의 후렘(32)에 피붓트핀(96)으로 연결되며 상단부(94)는 상기 제1경사암장치(56)의 양 부분(80)(82)사아의 중간구멍(89)에 피봇연결되는 제1유압실린더(90)장치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1경사암장치(56)는 제1유압실린더(90)장치가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면 한쪽 손수분(80)의 구멍(88)을 중심으로 선회운동을 하면서 다른쪽손부분(82)가 트러프(34)표면의 절취구(106)를 통하여 상승운동을 하므로서 파이프(P)를 트러프의 측방으로 밀어내는 작용을하며 반대로 상기 제1유압실린더(90)장치가 수축하면 제2단손부분(82)는 트러프(34)의 표면 아래로 하강하여 파이프(P)와 접촉운동을 하지 않게되고 따라서 파이프(P)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할 수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21. 청구범위 20에서 상기 파이프 운반장치는 제1경사암 장치로부터 파이프(P)의 길이보다 짧은 거리에 이격되어 트러프(34)의 표면 아래에 위치하여 한쪽손부분(80)은 트러프(34)의 한쪽측연부에 피봇연결되어있고 다른쪽 단부 손부분(82)는 파이프(P)와 접촉하여 운반작업을 실시하도록되어 있는 제2경사암장치(56), 또 하나의 유압실린더(90)의 하단부(92)는 트러프(34)아래쪽 주지지후렘(32)에 피봇트핀(96)으로 연결되고 피스톤봉 상단(94)는 제2경사암장치(56)의 제1단부 손부분(80)과 제2단부 손부분(82)사이의 구멍(89)에 피봇연결되는 제2유압실린더(90)장치들로 구성되며, 제2경사암장치(56)는 제2유압실린더(90)장치가 작동할때 제1손부분(80)을 중심으로 선회운동을 하면서 제2손부분(82)가 트러프(34)표면의 절취구(106)을 통하여 상승하여 트러프(34)위에 놓여있는 파이프(P)를 들어올려 트러프(34)측면으로 밀어내며, 반대로 제2유압실린더(90)장치가 수축하면 제2손부분(82)가 트러프표면 아래로 하강하여 위치하므로서 트러프(34)위에 있는 파이프(P)는 제2경사암장치(56)의 제2손부분(82)와 접촉작용을 하지않게 되므로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수 있게되며, 제1 및 제2유압실린더 장치(90)(90)들은 동시에 작동하므로 제1 및 제2경사암장치(56)(56)의 제2단부(82)들은 파이프(P)를 수평상태로 트러프(34)위로 올리고 내려주도록된 파이프 운반장치.
  22. 청구범위 21에서 상기 파이프 운반장치는 트러프(34)의 표면 아래에 위치하여 한쪽손부분(80)이 트러프(34)의 반대쪽 측연부에 피봇연결되고 다른쪽 손부분(82)는 파이프(P)와 접촉하여 작업하는 제3경사암장치(56), 다른쪽 유압실린더(90)의 하단부(92)가 트러프(34)밑에 있는 후렘(32)에 피봇연결되어 있고, 피스톤봉상단부(94)는 제3적재암(75)장치의 제1손부분(80)과 제2손부분(82)사이의 구멍(89)에 피봇연결되는 제3유압실린더(90)장치들로 구성되며 제3경사암장치(56)은 제3유압실린더(90)장치가 작동할때 제1손부분(80)을 중심으로 선회운동을 하면서 제2손부분(82)가 트러프(34)의 절취구(106)을 통하여 상승하여 파이프(P)를 밀어올려 트러프(34)의 반대쪽 측면으로 밀어내며, 제3유압실린더(90)장치가 수축하면 제2단부(82)가 트러프 표면 아래로 하강하여 파이프(P)와 접촉운동을 하지않고 파이프(P)는 트러프(34)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수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23. 착정탑플랫홈(D)위에 파이프(P)를 들어올리고 내리기 위한 장치로서 착정탑플랫홈(D)보다 높이가 낮고 한쪽단부(38)가 착정탑쪽으로 근접하여 위치하면서 파이프(P)를 옮겨받아 지지하기 위한 고정트러프(134)장치, 고정트러프(34)장치의 한쪽단부(38)에 위치하는 마스터(46)장치, 고정트러프(34)장치와 일렬로 정열되어있고, 상승위치와 하강위치 사이에서 대략 수직운동을 하기 위하여 마스터(46)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제1단부(44)와 착정탑에 연접되어 있는 제2단부(42)를 가지고 있으면서 파이프(P)를 옮겨받아 지지하기 위한 가동트러프(40)장치를 구성되어 있고 하강위치는 고정트러프(34)장치의 한쪽끝에 연결되어 있어서 가동트러프(40)와 고정트러프(34)장치 사이의 파이프(P)이송을 가능케하고, 상승위치는 고정트러프(34)장치의 한쪽단부(38)로부터 위로 높이 이격되어 있으며, 가종트러프(40)장치의 제1단부(44)를 하강위치와 상승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게 하기 위하여 마스터(46)장치에 장치된 구동장치(45), 가동트러프(40)장치의 제1단부(44)와 하강위치에 있을때 파이프(P)를 길이로 고정트러프(34)장치를 따라 한쪽단부(38)을 지나서 가동트러프(40)장치위로 이동시키고 가동트러프(40)장치가 하강위치로 내려왔을때 파이프(P)를 가동트러프(40)장치로부터 내리고 고정트러프장치위로 이송하여주는 제1운반대차(50), 가동트러프(40)장차기 하강위치에 있을때의 제1단부(44)와 상승위치에 있을때의 제2단부(42)사이에서파이프(P)를 길이로 가동트러프(40)장치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2운반대장치(53), 그리고 파이프가 제1 및 제2운반대장치에 의해서 이동될때 제 1운반대차(50) 및 제2운반대장치(53)사이에 옮겨질때 파이프를 파지하여 주기위한 삽 장치를 가지고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24. 청구범위 23에서 상기 파이프 운반장치는 파이프가 고정트러프(34)장치 위에서 길이로 이동될때 삽장치(52)와 제1운반대차(50)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장치의 갈고리(156)와 가로장치(172)를 가지고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25. 청구범위 24에서 상기 파이프운반장치는 파이프가 길이로 가동트러프(50)장치위에서 이동될때 삽장치(52)와 제2운반대장치(53)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장치인 제 1, 제2걸쇠부(194)(196)를 가지고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26. 청구범위 24에서 상기 제1연결장치는 십장치(52)가 고정트러프(34)장치로부터 동트러프(40)장치로 이동할때 삽장치와 제1운반대차(50)를 분리시키게 되어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27. 청구범위 25에서 상기 제2연결장치인 제1, 제2걸쇠부(194)(196)은 삽장치(52)가 가동트러프(40)장치로부터 고정트러프(34)장치로 이동할때 삽장지(52)와 제2운반대 장치를 분리시키게 되어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28. 청구범위 23에서 상기 장치(30)는 파이프(P)가 고정트러프(34)장치위에서 길이로 움직일때 삽장치(52)와 제1운반대차(50)를 연결하고, 한편 삽장치(52)가 고정트러프(34)장치로부터 가동트러프(40)장치로 이동할때 삽장치(52)와 제 1운반대차(50)를 분리시켜주는 제1 연결장인 갈고리(156)과 가로장치(172)와 파이프가 길이로 가동트러프(40)장치 위에서 이동될때 삽장치(52)와 제2운반대장치(53)를 연결하여주고, 삽장치(52)가 가동트러프(40)장치로부터 고정트러프(34)장치로 이동할때 삽장치(52)와 제2운반장치를 분리시켜주는 제2연결장치인 걸쇠부(194)(196)를 가지고 있으며 이때 삽장치(52)는 파이프가 고정트러프(34)장치의 한쪽단부(38)의 반대편 단부(36)와 가동트러프(40)이 장치의 제2상단부(42)사이에서 이동할때 파이프를 계속 파지하고 있도록 되여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29. 청구범위 28에서 상기 제1연결장치는 제1운반대차(50)에 부착되어 있는 갈고리(156)장치와 삽장치(52)에 부착되어 있는 가로장치(172)를 가지고 있으며, 가로장치(172)는 갈고리(156)장치와 결합할수 있게되어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30. 청구범위 28에서 상기 제2연결장치인 걸쇠부(194)(196)는 삽장치(52)에 부착된 직립부인 충격판(164), 제2운반장치에 부착된 암(ARM)멤버(184)장치, 그리고 파이프(P)가 고정트러프(34)장치로부터 가동트러프(40)장치로 이동한후에 암멤버(184)장치를 직립부인 충격판(164)주위를 폐쇄하여주고 파이프가 고정트러프(34)장치와 가동트러프(40)장치 사이에서 이동할수있게 암멤버(184)장치를 열어주기 위하여 제2운반장치인 아셈브리(18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장치(control meaus)를 가지고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31. 청구범위 30에서 상기 직립부 충격판(164)는 삽장치(52)의 수직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파이프 운반장치.
  32. 청구범위 31에서 상기 집립충격판(164)는 파이프가 접촉하는 표면에 탄력성 피복(166)을 구성한 파이프 운반장치.
  33. 청구범위 30에서 제어장치는 제2운반대장치(53)가 가동트러프(40)장치의 제1하단부(44)에 접근하고 떠날때 작동하게 되어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34. 청구범위 28에서 상기 제2연결장치는 삽장치(52)에 부착된 제1걸쇠부(194)와 제운반대장치(53)에 부착된 제2걸쇠부(196)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걸쇠장치를 가지고 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35. 청구범위 29에서 상기 삽지장치(52)는 고정트러프(34)장치와 가동트러프(40)장치 사이를 이동할때 상하로 선회하며, 두가지트러프(34)(40)장치(고정 및 가동)가 서로 맞닿는 부분은 둔각을 이루고있고, 상하 선회운동은 삽장치(52)가 가동트러프(40)장치로 이동할때 가로장치(172)를 갈고리(156)로부터 분리시키고 삽장치(52)가 고정트러프(34)장치로 이동할때 가로장치(172)를 갈고리(156)와 결합시켜 주는 작용을 하는 파이프 운반장치.
  36. 청구범위 34에서 삽장치(52)는 고정트러프(34)장치와 가동트러프(40)장치 사이를 이동할때 상하로 회전하며, 그 회전작용은 삽장치(52)가 가동트러프(40)장치로 이동할때 제1걸쇠부(194)와 제2걸쇠부(196)가 잠겨지게하고 십장치(52)가 고정트러프(34)장치로 이동할때 제1 및 제2걸쇠부(194)(196)를 풀어주게 되어있는 파이프 운반장치.
KR8203967A 1982-08-31 1982-08-31 파이프 운반장치 KR860000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3967A KR860000836B1 (ko) 1982-08-31 1982-08-31 파이프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3967A KR860000836B1 (ko) 1982-08-31 1982-08-31 파이프 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099A KR840001099A (ko) 1984-03-28
KR860000836B1 true KR860000836B1 (ko) 1986-07-02

Family

ID=1922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967A KR860000836B1 (ko) 1982-08-31 1982-08-31 파이프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8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099A (ko) 198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789B1 (ko) 파이프 및 관제품 취급장치
US4018349A (en) Transhipment installation, particularly for containers
US5088783A (en) Load handling apparatus
JP3039445B2 (ja) コンテナクレーン
JP2008189396A (ja) 昇降搬送装置
US2916166A (en) Shuttle lift for parking machine
US4527508A (en) Hoist-type material finishing line
KR860000835B1 (ko) 파이프 운반장치
KR860000836B1 (ko) 파이프 운반장치
US2297572A (en) Hoisting apparatus
JPS6019602A (ja) 取扱物の移載装置
US4161209A (en) Apparatus for handling the starting strand of a metal strand casting plant
JPH11189394A (ja) コンテナクレーン
JPH0256474B2 (ko)
JPS63300100A (ja) 重量物運搬装置
CN215991977U (zh) 果实装卸装置及果园作业机械
JP2879330B2 (ja) 昇降運搬機
JP4037945B2 (ja) 運搬車の昇降荷役装置
JP2552338B2 (ja) 荷役機械
CN110424907A (zh) 一种水平输送管柱装置
RU2025432C1 (ru) Устройство и.и.сташевского для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их бревен со дна реки
JPH05132147A (ja) 角管及び形鋼の段積み装置及び段積み方法
EP0524913A1 (en) Apparatus for the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of goods, in particular between quays and vehicle platforms
JP2501999Y2 (ja) レンガ積機用レンガ搬送装置
JPH05139513A (ja) 荷取りフオー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