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032B1 - 코오피 추출기 - Google Patents

코오피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032B1
KR860000032B1 KR1019810004337A KR810004337A KR860000032B1 KR 860000032 B1 KR860000032 B1 KR 860000032B1 KR 1019810004337 A KR1019810004337 A KR 1019810004337A KR 810004337 A KR810004337 A KR 810004337A KR 860000032 B1 KR860000032 B1 KR 860000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ircuit
nose
counter
comma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259A (ko
Inventor
히로유끼 오오따
류우호 나리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30008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오피 추출기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전기적 구성도.
제2(a)도 및 제2(b)도는 동실시예의 드립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전기히이터 4 : 구동회로
4 : 출력스위치 6 : 스타아트용 스위치
7 : 스톱용 스위치 8 : 진한커피용 스위치
9 : 보통 코피용 스위치 10,11 : 플립플롭 회로
13 : 카운터 17 : 앤드회로(제1의 판단회로)
19 : 앤드회로(제2의 판단회로)
본 발명은 전기 히이터에의 통전으로 온수를 생성하여 코오피가루를 수용한 코오피 추출용의 케이스내에 공급하는 코오피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코오피추출기에 있어서는 통상의 농도의 코오피액, 이른바 보통 코오피보다도 진한 이른바 진한 코오피가 필요할때는 보통 코오피의 경우보다 많은 코오피가루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것으로는 코오피가루가 낭비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고려하여연구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동일량의 코오피가루로 보통코오피와 진한 코오피를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코오피추출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은 60헤르쓰, 100V의 단상교류전원이고, 그 양단자간에는 바이메탈스위치(2), 전기히이터(3) 및 후기하는 구동회로(4)의 출력스위치(4a)의 직렬회로가 접속된다. 이경우에 전기히이터(3)은 도시를 생략한 급탕(드립)기구에 부속되는 것으로서 그 급탕(給湯)기구는 저수탱크에서 가열기에 공급된 물을 전기히이터(3)로 가열함으로서 끓은물은 생성하고, 생성된 끓은물을 그 비등압을 이용해서 코오피 가루를 수용한 코오피추출용익 케이스내에 공급하여 코오피액을 추출하도록 구성한다. (5)는 입력단자(I)가 상기 단상교류전원(1)에 접속된 분주회로이고, 이것은 게이트단자 G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부여되면 분주동작을 개시하고, 예를들면 1분마다 1개의 하이레벨의 출력펄스를 출력단자 O로부터 발생하도록 되어있다. (6)은 스타아트용 스위치이고, 이것은 압압조작되면 그 압압조작동안만 하이레벨의 스타아트 신호를 발생한다. (7)은 스톱용 스위치이고, 이것은 압압조작되면 그 압압조작되는 동안만 하이레벨의 스톱신호를 발생한다. (8)은 진한코오피용 스위치이고, 이것은 압압조작되면 그 압압조작되는 동안만 하이레벨의 진한코오피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9)는 보통 코오피용 스위치이고, 이것은 압압조작되면 그 압압조작되는 동안만 하이레벨의 보통 코오피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10) 및 (11)은 기억회로인 RS형의 플립플롭회로이고, 그 플립플롭회로(10)에 있어서의 세트입력단자 S에는 스타아트용 스위치(6)의 스타아트신호가 부여되어 리세트 입력단자 R에는 스톱용 스위치(7)의 스톱신호가 부여되고, 플립플롭회로(11)에 있어서의 입력단자 S에는 진한 코오피용 스위치(8)의 진한코오피 선택신호가 부여되어 리세트 입력단자 R에는 보통코오피용 스위치(9)의 보통코오피 선택신호가 부여되도록 되어있다. 또, 플립플롭회로(10)의 세트출력단자 Q로부터의 세트출력신호는 원 쇼트 멀티바이브레이터(12)에 부여되도록 되어있고, 이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12)는 플립플롭회로(10)에서 하이레벨의 세트출력신호가 부여되면 그 기립에 의하여 트리거(trigger)되어서 1개의 하이레벨의 출력펄스 를출력단자에서 출력하고, 이것을 상기 분주회로(5)의 게이트단자 G에 부여하는 동시에 프리세트형의 카운터(13)의 프리세트 입력단자 PR에 부여하도록 되어있다. 이 카운터(13)에서 그 입력단자 IN에는 설정치기억회로(14)의 기억수치내용 예를들면 2를 표시하는 출력신호가 부여되고, 클럭입력단자 CK에는 제1의 입력단자에 상기 분주회로(5)의 출력펄스가 부여되는 앤드회로(15)의 출력신호가 부여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 카운터(13)은 프리세트 입력단자 PR에 펄스가 부여되면 설정치기억회로(14)의 기억수치내용 2가 초기설정치로서 프리세트되고, 그후 클럭입력단자 CK에 펄스가 부여될 때마다 감산에 의한 카운트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카운터(13)은 카운트내용이 2일때에는 출력단자 O2에서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카운트내용이 특정치인 1일때에는 출력단자 O1에서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카운트내용이 소정치인 0일때에는 출력단자 O0에서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이 출력단자 O0의 출력신호는 인버어터회로(16)을 개재하여 상기 앤드회로(15)의 제2의 출력단자에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7)은 제1의 판단회로인 앤드회로이고, 그 제1의 입력단자에는 상기 카운터(13)의 출력단자 O1의 출력신호가 인버어터회로(18)을 개재하여 부여되고, 제2의 입력 단자에는 상기 플립플롭회로(10)의 세트출력단자 Q의 세트출력신호가 부여되고, 제3의 입력단자에는 상기 플립플롭회로(11)의 세트출력단자 Q의 세트출력신호가 부여되도록 되어있다. (19)는 제2의 판단회로인 앤드회로이고, 그 제1의 입력단자에는 상기 플립플롭회로(10)의 세트출력단자 Q의 세트출력신호가 부여되고, 제2의 출력단자에는 상기 플립플롭회로(11)의 리세트출력단자
Figure kpo00001
의 리세트출력신호가 부여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들의 앤드회로(17) 및 (19)의 출력신호는 오어회로(20)을 개재하여 구동회로(4)에 부여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 구동회로(4)는 상기 출력스위치(4a)를 온오프하는 릴레이등을 구비한 것으로서, 오어회로(20)에서는 하이레벨의 출력신호인 구동지령신호가 부여되면 릴레이에 통전하여 출력스위치(4a)를 온동장시키고, 오어회로(20)에서 로우레벨의 출력신호인 정지지령신호가 부여되면 릴레이를 단전하여 출력스위치(4a)를 오프복귀하도록 되어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오피액을 제조할 때에는 급탕기구의 저수탱크내에 소망의 인원수분에 상당하는 양의물을 주입하여, 코오피액추출용의 케이스내에 그것에 적합한양의 코오피가루를 수용하고, 급탕기구의 가열기에 코오피액을 저류하는 병을 재치한다.
먼저 보통코오피를 얻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통 코오피용 스위치(9)를 압압조작하면, 이 보통코오피용 스위치(9)가 온하여 하이레벨의 보통코오피 선택 신호를 플립플롭회로(11)의 리세트입력단자 R에 부여하게 되어, 이 플립플롭회로(11)은 리세트상태가 되어서 리세트 출력단자
Figure kpo00002
로부터 하이레벨의 리세트출력신호를 발생하게되어 이것으로서 보통 코오피용 스위치(9)가 선택압압 조작된 것을 기억한다. 다음에 스타아트용스위치(6)을 압압 조작하면 이 스타아트용스위치(6)가 온되어 하이레벨의 스타아트신호를 플립플롭회로(10)의 세트입력단자 S에 부여하게되고, 이 플립플롭회로(10)가 세트상태가 되어 세트 출력단자 Q에서 하이레벨의 세트출력신호를 발생하게되어, 이것으로 스타아트용 스위치(6)가 압압조작된 것을 기억한다. 그리고, 이 플립플롭회로(10)의 하이레벨의 세트출력신호 및 플립플롭회로(11)의 하이레벨의 리세트출력신호는 앤드회로(19)에 부여됨으로서, 앤드회로(19)는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이것을 오어회로(20)을 개재하여 구동회로(4)에 구동지령신호로서 부여하게되고, 구동회로(4)는 릴레이에 연속적으로 통전함으로서 제2(a)도에서 표시하는 바와같이 출력스위치(4a)를 연속적으로 온하게된다. 따라서, 바이메탈스위치(2) 및 출력스위치(4a)를 개재하여 전기히이터(3)이 통전되게되어 저수탱크에서 공급된 가열기내의 물이 전기히이터(3)의 발열에 의하여 가열되어서 열탕이 생성된다. 이와같이 생성된 열탕은 그 비등압으로 케이스내로 공급됨으로서 코오피액으로서 추출되고, 추출된 코오피액은 가열기에 재치된 병내에 유하저류된다. 이와같이 전기히이터(3)이 제2(a)도에서 표시하는 보통코오피용 드립패턴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통전됨으로서 케이스내에 연속적으로 급탕(드립)되어 코오피액이 추출되면 그 코오피액은 통상의 농도의 것이되어, 보통 코오피가 얻어진다. 그 다음에 급탕기구의 저수탱크내의 물이 다 소비되면 가열기와 물의 열교환이 없어지므로서 이 가열기의 온도가 급상승하게되어 바이메탈스위치(2)가 개방하여 급탕, 즉 코오피추출이 완료한다. 그 다음에는 바이메탈 스위치(2)가 단속적으로 개폐하여 전기히이터(3)을 통단전 제어하게되어, 이것으로서 가열기에 의하여 병이 가열되어 이 병내에 저류된 코오피액의 보온이 실시된다. 또 이와같은 보온을 정지시킬때는 스톱용스위치(7)을 압압조작하면 그 스톱용스위치(7)이 온해서 하이레벨의 스톱신호가 플립플롭회로(10)의 리세트입력단자 R에 부여하게되어 이 플립플롭회로(10)이 리세트상태로 반전하여 세트출력단자 Q의 세트출력신호를 로우레벨로 하고, 이것으로 상기의 스타아트용 스위치(6)이 압압조작된 것의 기억을 해제한다. 따라서, 앤드회로(19)는 한쪽의 입력신호가 로우레벨이 됨으로써 로우레벨의출 력신호를 발생하게되어 이것이 오어회로(20)을 개재하여 구동회로(4)에 정지지령신호로서 부여되기 때문에 이 구동회로(4)는 릴레이를 단전시켜서 출력스위치(4a)를 오프한다.
다음은 진한코오피를 얻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한코오피용 스위치(8)을 압압조작하면 이진한코오피용 스위치(8)이 온되어 하이레벨의 진한코오피 선택신호를 플립플롭회로(11)의 세트입력단자 S에 부여하게되어 이 플립플롭회로(11)의 세트상태로 반전하여 세트출력단자 Q에서 하이레벨의 세트출력신호를 발생하게되어, 이것으로서 진한코오피용 스위치(8)이 선택압압조작된 것을 기억한다. 다음에, 스타아트용 스위치(6)을 압압조작하면, 상기한 바와같이 플립플롭회로(10)이 세트상태로 반전하여 세트출력단자 Q에서 하이레벨의 세트출력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이 플립플롭회로(10)의 세트출력신호는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12)에 부여됨으로, 그 원쇼트 멀티바이브레이터(12)는 1개의 하이레벨의 출력펄스를 발생하여 분주회로(5)의 게이트단자 G 및 카운터(13)의 프리세트 입력단자 PR에 부여한다. 이것으로서, 분주회로(5)는 분주동작을 개시하는 동시에 카운터(13)에는 설정치 기억회로(14)의 기억수치내용 2가 초기설정치로서 프리세트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카운터(13)에 있어서의 출력단자 O2는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나 출력단자 O1, O0는 로우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게되어, 이 출력단자 O1의 로우레벨의 출력 신호가 부여되는 인버어터회로(18)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이된다. 이 결과로, 인버어터회로(18)의 하이레벨의 출력신호, 플립플롭회로(10)의 하이레벨의 세트출력신호 및 플립플롭회로(11)의 하이레벨의 세트출력신호가 부여되는 앤드회로(17)은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게되어, 이것이 오어회로(20)을 개재하여 구동회로(4)에 구동지령신호로서 부여되게 됨으로, 구동회로(4)는 릴레이에 통전되어 출력스위치(4a)를 온하게된다. 이것으로 전기히이터(3)이 통전되어서 급탕기구는 상기와 같이 케이스내에 급탕을 개시한다. 그다음에 일정시간 ta(예를들면 1분)만 경과하면 분주회로(5)가 1개의 하이레벨의 출력펄스를 발생하여 앤드회로(15)의 제1의 입력단자에 부여하게되어, 이때에는 앤드회로(15)의 제2의 입력단자에는 카운터(13)의 출력단자 O0의 로울레벨의 출력신호가 인버어터회로(16)을 개재하여 하이레벨의 신호로서 부여되고 있으므로 이 앤드회로(15)는 하이레벨의 출력신호, 즉 출력펄스를 발생하여 카운터(13)의 클력입력단다 CK에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카운터(13)은 설정치 2에서 1만 감산하는 카운트 동작을 실시하여 그 카운트치가 특정치인 1이 되어 출력단자 O1이 하에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인버어터회로(18)의 출력신호가 로우레벨의 된다. 따라서, 앤드회로(17)은 1개의 입력신호가 로우레벨이 됨으로서 로울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게되어, 이것이 노어회로(20)을 개재하여 구동회로(4)에 정지지령신호로서 부여되어, 출력스위치(4a)가 제2(b)도에서 표시하는 바와같이 오프되어 전기히이터(3)을 단전하게 되어, 급탕기구에 의한 케이스내에의 급탕(드립)이 정지된다. 그리고, 전기히이타(3)의 일정시간 ta(예를들면 1분)의 통전에 의하여 케이스내에 공급된 끓는 물은 케이스내의 코오피가루전액에 침투하여 코오피 가루에 함유된 코오피의 진한 성분의 추출을 촉진케한다. 그 다음에, 또 일정시간 tb(예를들면 1분)만 경과하면 분주회로(5)가 다시 1개의 하이레벨의 출력펄스를 발생하게되어, 이것이 앤드회로(15)를 개재하여 카운타(13)의 클럭입력단자 CK에 부여됨으로, 이 카운터(13)은 지금까지의 카운트치 1에서 1을 감산하도록 카운트 동작해서 그 카운트치가 소정치인 0가 되고, 출력단자 O0에서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카운터(13)의 출력단자 O1의 출력신호는 로울레벨이 되어서 인버어터회로(18)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이 되어 앤드회로(17)은 재차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이것을 오어회로(20)을 개재하여 구동회로(4)에 구동지령신호로서 부여하게되고, 출겨스위치(4a)가 제2(b)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재차 온되어 전기히이터(3)에 통전하게되어, 급탕기구가 케이스내에 급탕을 재개한다. 한편 카운터(13)의 출력단자 O0의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이 되면 인버어터회로(16)의 출력신회는 로우레벨이 되어 그후 분주회로(5)가 하이레벨의 출력펄스를 발생해도 이것이 카운터(13)의 클럭입력단자 CK에 부여되는 일은 없고, 따라서 카운터(13)은 그 카운트치가 소정치인 0의 상태에서 카운트 동작을 정지하게 된다. 이것으로 의하여 그다음에는 앤드회로(17)은 연속적으로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게 되어 구동회로(4)는 출력신호(4a)를 연속적으로 온하게되어 급탕기구에서 케이스내로 연속적인 급탕이 실시되어서 코오피액의 추출이 이루어진다. 그다음에 동작은 상기의 보통코오피를 얻는 경우와 동일하다. 이와같이 전기히이터(3)이 제2(b)도에서와 같이 진한 코오피용 드립패턴에 의하여 통단전 제어됨으로서 코오피가루전체를 사전에 수분을 공급하여 코오피의 엑스(extract)분의 추출을 꾀한후, 연속적으로 급탕해서 코오피액의 추출을 실행하면 그 코오피액은 상기의 보통 코오피보다도 농도가 진한 것이되어, 진한코오피가 얻어지는 것이다.
한편 보통 코오피용 스위치(9)을 선택압압조작했을 경우에서도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하여 스타아트용 스위치(6)을 압압조작하면 플립플롭회로(10)이 세트상태가 되어 그 세트출력단자 Q의 세트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이 되기 때문에 카운터(13)에 초기설정치 2가 프리세트되어 카운터(13)은 카운트동작을 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통코오피용 스위치(9)의 압압조작후에 있어서 일정시간 ta(예를들면 1분)의 경과이전에 진한 코오피용 스위치(8)을 압압조작 변경했을때는 리세트상태의 플립플롭회로(11)이 세트상태로 반전되어서 그 세트출력단자 Q의 하이레벨의 세트출력신호를 앤드회로(17)에 부여하게 됨으로, 구동회로(4)가 카운터(13)의 카운트동작에 의한 제어를 받도록 변경되는 것이고, 이경우에도 진한코오피가 얻어진다. 또 보통코오피용 스위치(9)의 압압조작후에 있어서 일정시간 ta의 경과후 일정시간 tb(예를들면 1분)의 경과이전에 진한코오피용 스위치(8)을 압압조작변경한 경우에는 상기한 것과 같이 구동회로(4)가 카운터(13)의 동작에 의한 제어를 받도록 변경되어, 이때에는 카운터(13)의 카운트치가 이미 특정치 1이되어 있기 때문에 즉시 출력스위치(4a)가 오프되어서 급탕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의 일정시간 tb가 경과하면 카운터(13)의 카운트치가 0가 되어 급탕정지시간내의 진한코오피용 스위치(8)가 압압조작변경된 시점이후의 나머지시간만 급탕이 정지되고, 추출되는 코오피액으로서는 진한 코오피에 가까운 것이 된다. 또, 보통코오피용 스위치(9)의 압압조작후에 있어서 일정시간 ta및 tb의 경과후에 진한코오피용스위치(8)을 압압 조작 변경한 경우에는 이때에는 이미 카운트(13)이 카운터동작을 정지하고 그 카운트치가 0가 되어 연속급탕이 개시되고 있으므로 실질적인 변경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보통 코오피가 얻어지게 된다.
그러나, 카운터(13)의 카운트치가 소정치인 0가 되었을 때에 그 출력단자 O0의 출력신호를 인버어터회로(16)을 개재하여 앤드회로(15)에 부여함으로서 카운터(13)의 카운트동작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은 다음의 이유에 기인한다. 즉, 진한 코오피 추출시에 있어서 카운터(13)의 카운트치가 0가 된후에도 클럭입자 CK에 펄스를 부여하여 카운터(13)에 카운트동작을 실시한 경우에는 카운터(13)의 카운트용량에 적합한 사이클로 그후도 출력단자 O1의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이 되는 시기가 생기고, 따라서 일정시간 tb의 경과후의 연속급탕기간에서 재차 급탕을 정지하는 기간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카운터(13)의 카운트치가 한번 0가 된 시점에서 그 카운터(13)의 카운트동작을 정지시키면 상기와 같은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 스타아트용 스위치(6)이 한번 압압조작되었을때에 플립플롭회로(10)을 세트상태로 하여 이 스타아트용 스위치(6)이 압압조작된 것을 기억시키는 구성으로한 것은 다음의 이유에 기인하는 것이다.
즉, 진한코오피 추출시에 있어서, 스타아트용 스위치(6)의 온에 의한 스타아트신호에 의하여 직접 원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12)를 트리거하는 구성을 상정(想定)했을 경우에는, 한번 스타아트용 스위치(6)이 압압조작되어서 원 쇼트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출력펄스에 따라 카운터(13)에 초기 설정치 2가 프리세트된후, 착오로 스타아트용 스위치(6)가 재차압압조작되는 사태가 발생하면, 이때에도 원쇼트멀티바이브 레이터(12)의 출력펄스에 따라 카운터(13)에 초기설정치 2가 재차프리세트되어서 이 카운터(13)의 프리세트치는 4가되고, 따라서 일정시간 ta(예를들면 1분)의 급탕(드립)후 일정시간 tb(예를들면 1분)의 급탕정지라는 제2도에 나타내는 진한코오피용 드립패턴을 실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플립플롭회로(10)에 의하여 스타아트용스위치(6)의 최초의 압압조작을 기억하는 구성으로하면, 그후의 스타아트용 스위치(6)의 압압조작은 무효화되어서 제2(b)도에 표시하는 진한코오피용 드립패턴을 확실히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회로(4)를 제외하는 제어회로부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해도 된다.
그밖에 본 발명은 상기 설명이나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변형실시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구동명령신호, 정지명령신호가 부여되어 급탕기구의 전기히이터를 통단전제어하는 구동회로를 설치하고, 스타아트용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카운트동작을 개시하는 카운터를 설치하고, 보통 코오피용스위치 및 진한 코오피용 스위치의 선택조작 상태를 기억하는 기억회로를 설치하고, 또 이 기억회로가 진한 코오피용 스위치의 조작을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구동회로에 대하여 상기 스타아트용스위치의 조작과 같이 구동명령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카운터가 특정치가 되어 있는 동안에 정지명령신호를 부여하여 그후 구동지령신호를 부여하는 제1의 판단회로를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기억회로가 보통 코오피용 스위치의 조작을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구동회로에 대하여 상기 스타아트용스위치의 조작과같이 연속적으로 구동지령신호를 부여하는 제2의 판단회로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동일량의 코오피가루를 사용해도 보통 코오피용스위치 및 진한코오피용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서 보통 코오피와 진한 코오피를 선택적으로 추출할수 있고, 따라서 코오피가루의 소비절약을 꾀할수 있는 등의 실용적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의하면 카운터가 설정치에서 카운트 동작을 개시하여 소정치에서 카운트동작을 정지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연소급탕에 의한 코오피추출시에 필요없이 급탕이 일시저으로 정지되는 등의 일을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의하면, 스타아트 스위치가 한번 조작된 후는 스톱용스위치가 조작되지 아니하는한 그 이후의 조작이 무효가 되는 구성으로했기 때문에 카운터가 여분의 카운트 동작을 해서 특정치로 되기까지의 시간이 어긋나는 문제가 없고, 확실히 진한 코오피를 얻을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정정) 전기히이터에 통전함으로서 물을 끓여서 코오피가루를 수용한 코오피액 추출용의 케이스내에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구동명령신호, 정지명령신호가 부여됨으로서 상기 전기히이터를 통단전제어하는 구동회로와 스타아트용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카운트동작을 개시하는 카운터와, 보통코오피용 스위치 및 진한 코오피용 스위치의 선택조작상태를 기억하는 기억회로와, 이 기억회로가 진한코오피용 스위치의 조작을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구동회로에 대하여 상기 스타아트용 스위치의 조작과 함께 구동명령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카운터가 특정치로 되어있는 동안에 정지명령신호를 부여하고, 그후에 구동명령신호를 부여하는 제1의 판단회로와, 상기 기억회로가 보통코오피용 스위치의 조작을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구동회로에 대하여 상기 스타아트용 스위치의 조작과함께 연속적으로 구동명령신호를 부여하는 제2의 판단회로를 구비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코오피 추출기.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카운터는 설정치에서 카운트동작을 개시하고, 소정치에서 카운트동작을 종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피추출기.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스타아트용 스위치는 한번 조작된 후는 스톱용 스위치가 조작되지 않는한, 그후의 조작이 무효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코오피추출기.
KR1019810004337A 1981-01-19 1981-11-12 코오피 추출기 KR860000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5926 1981-01-19
JP1981005926U JPS57118024U (ko) 1981-01-19 1981-01-19
JP5926 1981-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259A KR830008259A (ko) 1983-11-16
KR860000032B1 true KR860000032B1 (ko) 1986-01-30

Family

ID=2980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337A KR860000032B1 (ko) 1981-01-19 1981-11-12 코오피 추출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118024U (ko)
KR (1) KR8600000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118024U (ko) 1982-07-22
KR830008259A (ko) 198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517101A (en) Recorder provided with heating means
US200700177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liquid
US4459524A (en) Food processor
US2526566A (en)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electric circuit
KR860000032B1 (ko) 코오피 추출기
JPS6121328B2 (ko)
EP0057079B1 (en) Control device for coffee extractor
JPS6364971B2 (ko)
JPH01320019A (ja) 電気炊飯器
JPS5685189A (en) Control circuit for ink roller mechanism
JPS62238942A (ja) 電気ポツトの制御方法
JPH01153115A (ja) ジャーポットの出湯装置
JPS6389125A (ja) コ−ヒ−メ−カ−
JPS6132007B2 (ko)
KR860000029B1 (ko) 전기밥솥
GB895848A (en) A device for heating soup or other liquids
JPS5758023A (en) Control circuit of hot water circulating device
JPS62186822A (ja) コ−ヒ−抽出器
JPS572930A (en) Combustion apparatus for liquid fuel
KR850001480B1 (ko) 히이터회로의 상태판정 장치
JPS6311121A (ja) コ−ヒ−沸し器
JPS6343620A (ja) コ−ヒ−メ−カ−
JPH05207936A (ja) コーヒー抽出装置
JPH0542046A (ja) 電気湯沸器
JPS5531253A (en) Microwave oven with rice cook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