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480B1 - 히이터회로의 상태판정 장치 - Google Patents

히이터회로의 상태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480B1
KR850001480B1 KR1019810004251A KR810004251A KR850001480B1 KR 850001480 B1 KR850001480 B1 KR 850001480B1 KR 1019810004251 A KR1019810004251 A KR 1019810004251A KR 810004251 A KR810004251 A KR 810004251A KR 850001480 B1 KR850001480 B1 KR 850001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output
level signal
switch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625A (ko
Inventor
류우호 나리따
히로유끼 오오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3000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히이터회로의 상태판정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전기적 구성도.
제2도는 동 실예에 있어서의 디지탈표시기의 1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 스위치 2 : 히이터
3 : 바이메탈스위치(온도 스위치) 4a : 출력스위치(제어용 스위치)
5 : 교류전원 A : 히어터회로
10 : 검지회로 11 : 신호 취출검
21 : 디지탈 표시기
본 발명은 전원의 양출력단에 대하여 히이터, 주 스위치, 통상적으로 상기 스위치보다 늦게 온되는 제어스위치 및 상기 히이터에 의하여 가열되는 피가열체가 소정온도에 도달했을 때 오프되는 상폐형(常閉形)의 온도스위치를 직렬로 접속해서 구성되는 히터회로의 상태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히터회로의 주스위치 및 온도 스위치의 온 상태등 2이상의 상태를 한개의 검치회로로 판정할 수가 있고, 이로 인해, 회로구성을 간소화하여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히이터회로의 상태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온수공급 기구 및 분쇄기구를 공유하는 코오피 제조기에 적용한 1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은 주스위치로써, 코오피원두의 분쇄용 및 코오피액의 추출용으로 겸용되는 케이스의 뚜껑(모두 도시생략)이 소정위치에 정상으로 세트된 상태시에만 온하는 구성이고, 상기 주 스위치(1), 히이터(2) 온도스위치인 바이메탈스위치(3) 및 제어용 스위치인 히이터 구동회로(4)의 출력스위치(4a)를 상기 열거 순서로 교류전원(5)의 양출력단자(5a),(5b)간에 직렬상태로 접속하고, 이와같이 형성된 직렬회로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 말하는 히이터회로가 구성된다. 그리고, 히이터(2), 바이메탈스위치(3) 및 출력스위치(4a)의 직렬회로에 분쇄용 모우터(6)및 후기하는 모우터 구동회로(7)의 출력스위치(7a)의 직렬회로를 병렬로 접속한다. 이 경우, 모우터(6)는 도시되지 않은 분쇄기구에 부속되는 것이고, 이 분쇄기구는 모우터(6)에 의하여 회전되는 커터를 상기 케이스내에 가지고, 그 케이스내에 수납된 코오피원두를 커터의 회전으로 분쇄하여 코우피가루를 생성한다. 또 상기 히이터(2)는 도시를 생략한 온수공급기구에 부속하는 것으로서, 이 온수공급기는 저수탱크에서 피가열체인 가열기에 공급된 물을 히이터(2)로 온수화하여, 이렇게 생성한 온수를 그 비등압을 이용하여 코오피가루를 수납한 상기 케이스내에 공급하여 코오피액을 추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바이메탈스위치(3)는 상기 가열기가 소정온도에 도달했을 때에 오프되는 상폐형 스위치이다. 한편, (8)은 교류전원(5)의 출력을 정류해서 이것을 후기하는 제어회로(9)의 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직류전원회로이고, 도면에서는 그 출력선중 저전위측(출력선 8a)만을 표시한다. (10)은 상기 히이터회로(A)의 상태판정 장치의 구성요소인 검지회로이고, 이하이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히이터회로(A) 중의 히이터(2) 및 바에메탈스위치(3)의 공통접속점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신호 취출점(11)을 구성하는 것이고, 이 신호취출점(11)을 저항(12)을 개재하여 검지회로(10)내의 PNP형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 접속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13)의 에미터를 교류전원(5)의 출력단자(5b)에 접속하는 동시에, 이 트랜지스터(13)의 콜렉터를 저항(14)을 게재하여 직류전원회로(8)의 저전위측 출력선(8a)에 접속하고, 다시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 및 에미터간에 저항(15)과 다이오드(16)의 병렬회로를 접속한다. 그리고, 이러한 검지회로(10)의 출력단을 이루는 트랜지스터(13)의 콜렉터를 라인(L1)에 접속한다.
그러나, 이하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9)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경우, 이 제어회로(9)는 그 기능의 대부분을 마이크로컴퓨터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얻을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회로의 구성을 블록도로 표시한다. 즉, (17)은 교류전원(5)의 출력을 분주하는 분주기이고, 이것은 예를 들면 1Hz의 주기로 계수펄스 Pc를 출력한다. (18)은 수동조작상태시에만 온되는 세트스위치로서 이것이 온되었을 때만 AND회로(19)의 한쪽 입력단자에 하이레벨신호가 주어진다. 상기 AND회로(19)는 그 다른쪽 입력단자로 상기 계수펄스 Pc를 수신하도록 접속되어 있고, 따라서 이 AND회로(19)는 세트스위치(18)의 온조작기간중만 계수펄스 Pc를 통과시킨다. (20)은 예를 들면 16진의 업카운터이고 이것은 AND회로(19)로 부터 클럭입력단자 CK에 입력되는 펄스를 가산계수해서 그 계수내용을 티지탈신호 Sn으로서 출력한다. (21)은 7세그멘트 발광다이오드등으로 구성되는 예를들면 3자릿수의 디지탈표시기이고, 이것은 트랜스퍼게이트(transfer gate)(22)를 개재한 상기 디지탈신호 Sn을 박았을때 이 디지탈신호 Sn에 대응하는 수치(최대로서 2자리숫)를 표시한다. 또, 상기 트랜스퍼게이트(22)는 그 제어단자(22a)에 하이레벨신호가 입력되었을 때만 저임피이던스를 나타내어서 신호의 통과를 허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트랜스퍼 게이트도 동일한 구성의 것이다. (23)은 소정모오드 표시용 정보신호 Sd를 기억해서 구성되는 기억회로이고, 그 정보신호 Sd는 트랜스퍼게이트(24)가 도통상태를 표시했을 때에 상기 티지탈표시기(21)에 입력된다. 그리고 디지탈표시기(21)에 정보신호 Sd가 입력되면 이 디지탈표시기(21)는 제2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예를들면 LID로 표시한다. 한편, (25)는 수동 조작상태시에만 온되는 스타트 스위치이고, 이것이 온되었을 때에는 3입력형 AND회로(26)의 입력단자의 1개에 하이레벨신호가 공급된다. (27)은 동일하게 수동 조작상태시에만 온되는 스톱스위치이고, 이것이 온되었을 때에는 라인(L2)에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된다. (28)은 그 세트입력단자 S가 상기 AND회로(26)에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리세트입력단자 R은 라인(L2)에 접속된 R-S 플립플롭이고, 그 세트단자 Q로부터의 출력은 지연회로(29)를 개재하여 AND회로(30)의 한쪽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동시에 따른 AND회로(31)의 한쪽 입력단자에도 직접 인가되도록 되어 있고, 또 이 AND회로(31)의 다른쪽 입력단자는 상기 라인(L1)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지연회로(29)는 그 지연 시간이 예를 들면 20ms 정도로 설정된다. 이 지연회로(29)의 후단에 위치한 상기 AND회로(30)의 출력단자는 인버어터(32)를 개재하여 상기 트랜스퍼게이트(22)의 제어단자(22a)에 접속하는 동시에 트랜스퍼게이트(24)의 제어단자(24a)에 직접 접속되고, 이러한 접속에 의하여 상기 트랜스퍼게이트(22)는 AND회로(30)에서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고 있을때에 도통하고, 트랜스퍼게이트(24)는 AND회로(30)에서 하이레벨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때에 도통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33)은 그세트 입력단자 S가 AND회로(3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또 리세트입력단자 R이 라인(L2)에 접속된 R-S플립플롭이고, 그 세트출력단자 Q로 부터의 출력은 인버어터(34)를 개재하여 상기 AND회로(30)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또 수직상승신호를 받았을때 단시간 동안만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5)에 직접인가되는 동시에 지연회로(36)를 개재하여 AND회로(37)의 한쪽 입력단자에도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38)은 프리세트기능 및 클리어 기능을 갖춘 다운카운터이고, 이것은 그 데이터 입력단자 D에티지탈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이 입력 티지탈신호에 대응하는 수치를 프리세트하는 동시에 클력입력단자 CK에 펄스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프리세트치에서 감산계수하고, 또 클리어단자 CL에 하이레벨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그 계수값을 0으로 클리어한다. 또, 이 다운카운터(38)는 그 계수값이 예를들면 0이 아닌 기간중에만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하여 이 하이레벨신호에 의하여 상기 모우터 구동회로(7)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있고, 상기와 같이 동작되면 상기 모우터 구동회로(7)는 그 출력위치(7a)를 온한다. 또 다운카운터(38)의 데이터입력단자 D는 트랜스퍼게이트(39)를 개재하여 상기 업카운터(20)의 출력단자 P에 접속되고, 클록입력단자 CK는 AND회로(40)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또 클리어입력단자 CL 은 상기라인(L2)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AND회로(40)의 한쪽 입력단자는 상기 계수펄스(Pc)를 수신하도록 접속되고, 또 다른 쪽 입력단자는 상기 다운카운터(38)의 출력단자 P에 접속된다. 또 트랜스퍼게이트(39)의 제어단자(39a)는 상기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5)의 출력을 받도록 상기 출력에 접속된다. 또 다운카운터(38)의 출력단자 P는 인버어터(41)를 개재한 후에 2갈래로 분기되어 상기 AND회로들(26,37)의 각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AND회로(26)의 나머지 입력단자는 인버어터(42)를 개재하여 AND회로(37)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또, 상기 AND회로(37)의 출력단자는 지연시간이 예를들면 10ms정도의 지연회로(43)을 개재하여 AND회로(44)의 한쪽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이 AND회로(44)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는 라인(L1)이 접속된다. (45)는 그 데이터입력단자 D가 하이레벨신호원(46)에 접속된 D플립플롭으로써, 그 클리어입력단자 CL은 라인 (L2)에 접속하는 동시에 클럭입력단자 CK는 AND회로(44)의 출력단자에 접속하고 있다. (47)은 D플리플롭(45)의 출력이 하이레벨신호로 수직상승했을 때 이것에 응답해서 소정기간만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이고, 그 출력은 인버어터(48)를 개재하여 AND회로(49)의 한쪽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동시에 버저구동회로(50)에도 직접인가되도록 구성된다. 이 버저구동회로(50)는 하이레벨신호가 입력되는 기간중만 코오피액의 추출완료표시용의 버저(51)을 울린다. 한편, 상기 AND회로(49)는 그 출력을 상기 히이터 구동회로(4)에 인가하도록 접속되고, 이 히이터구동회로(4)는 하이레벨신호가 입력되는 기간중 동작되어서 그 출력스위치(4a)를 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AND회로(49)의 다른쪽 입력단자는 AND회로(37)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오피액을 제조할 때에는 온수 공급기구의 저수탱크내에 필요한 인원수분에 상당하는 양의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케이스내에 그것에 상당하는 양의 코오피 원두를 수납한 상태로 이 케이스 뚜껑을 세트시키고, 다시 온수공급기구의 가열기에 코오피액을 저장하는 병을 재치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코오피원두를 분쇄한다. 이 경우에, 세트 스위치(18)을 온 조작해서 그 온조작상태를 유지하면 분주기(17)로 부터의 계수 펄스 Pc가 AND회로(19)를 개재하여 업카운터(20)에 인가되어 이것이 계수펄스 Pc를 가산계수하게 되어, 그 계수 내용이 디지탈신호 Sn으로서 출력되게 된다. 이때, 후기에서 알수 있듯이 AND회로(30)에서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스 퍼게이트(22)가 도통되면, 디지탈표시기(21)에 상기 디지탈신호 Sn가 수신되어 이 디지탈표시기(21)에는 상기 디지탈신호 Sn에 대응한 수치가 0→1→2→3...으로 점차증가하여 표시되므로 조작하는 이러한 표시가 임의의 수치 예를 들면 12가 되었을때 세트스위치(18)의 온조작을 해제한다. 이와같이 세트스위치(18)의 온 조작이 해제되면, AND회로(19)에 하이레벨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되어 이 AND회로(19)가 계수펄스 Pc의 통과를 저지하게 되므로, 업카운터(20)는 계수동작을 정지하여 그 계수결과인 계수값 12를 기억하는 동시에, 이러한 계수값 12에 대응하는 디지탈 신호 Sn을 출력한다.
따라서, 이때는 디지탈 표시기(21)가 12를 표시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 다음, 스타트 스위치(25)를 온 조작하면, 이 경우에는 후기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인버어터들 (41,42)에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고 있으므로 AND회로(26)에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고, 이 하이레벨신호를 세트입력단자 S로 수신한 R-S플립플롭(28)이 세트되어 그 세트출력단자 Q로 부터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뚜껑이 소정위치에 정상으로 세트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주 스위치(1)가 오프되어 있고, 또 출력스위치(4α)도 오프되어 있으므로 신호취출점(11)에서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 대하여 검지전류인 베이스전류가 인가되는 일이 없고, 이 트랜지스터(13)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라인(L1)에는 직류전원회로(8)의 저전위측 출력선(8a)의 전위에 따라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어, AND회로(31)는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한 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R-S플리플롭(33)도 리세트 상태를 유지하고 그 세트출력단자 Q에서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R-S플립플롭(28)에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었을 때는 그 하이레벨신호가 지연회로(29)를 개재하여 AND회로(30)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또이 AND회로(30)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는 R-S플립플롭(33)으로 부터의 로우레벨 신호가 인버어터(34)를 개재하여 인가되므로, 결과적으로 이 AND회로(30)에서 하이레벨 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서 트랜스퍼게이트(24)가 도통한다. 이 결과로 기억회로(23)로 부터의 정보신호 Sd가 디지탈표시기(21)에 입력되어 이것이 LID(제2도 참조)로 표시되어 이것으로서, 뚜껑이 정상으로 세트되어 있지 않다는 상황이 표시된다. 또, 이러한 뚜껑이 정상으로 세트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스타트스위치(25)가 온 조작되었을 때에는 상기와 같이 R-S플립플롭(33)에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5)가 구동되는 일이 없고, 트랜스퍼게이트(39)가 비도통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다운카운터(38)의 데이터입력단자 D에 디지탈신호 Sn가 입력되는 일이 없고, 이 다운카운터(38)는 초기상태 즉 그 계수값이 0인 상태에서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한 상태를 계속유지하므로, 모우터 구동회로(7)에 의하여 그 출스위치(7a)가 온되는 일이 없고, 이것으로 모우터(6)의 비통전상태가 유지된다. 즉, 뚜껑이 정상으로 세트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분쇄동작이 개시되는 일이 없다.
한편 케이스의 뚜껑이 소정위치에 정상으로 세트된 상태에서는 주스위치(1)가 온되고, 또한 출력스위치(4a)가 오프되어 있기 때문에 교류전원(5)의 출력단자(5b)측이 하이레벨이 되는 반파기간마다 신호취출점(11)에서 트랜지스터(13)에 대한 베이스전류가 공급되어서, 이 트랜지스터(13)가 교류전원(5)의 주파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온된다. 이로 인해 라인(L1)에는 트랜지스터(13)가 온될 때마다 간헐적으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뚜껑이 정상으로 세트안된 상태에서 스타트스위치(25)를 온조작한 후에 상기한 것과 같이 디지탈표시기(21)에 의한 LID표시에 따라서 뚜껑을 정상으로 다시 세트했을때와 뚜껑이 정상세트된 상태에서 스타트 스위치(25)를 온조작했을 때에는 AND회로(31)의 양입력단자에 하이레벨신호가 입력되어 이 AND회로(31)가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R-S플립플롭(33)이 세트되어 그 세트출력단자 Q로부터 하이레벨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이 하이레벨신호에 의하여 구동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5)가 단시간 동안만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스퍼게이트(39)를 도통하기 때문에, 상기 업카운터(20)가 기억한 디지탈신호 Sn가 다운카운터(38)의 데이터입력단자 D에 인가되고, 이 다운카운터(38)는 입력된 디지탈신호 Sn에 대응한 수치 12를 프리세트하는 동시에 출력단자 P에서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해서 모우터 구동회로(7)를 동작한다. 이것으로 출력스위치(7a)가 온되어서 모우터(6)에 통전되기 때문에, 커터가 회전하여 케이스내의 코오피원두의 분쇄가 개시된다. 또, 이것과 동시에 하이레벨신호가 회로(40)의 한쪽 입력단자에 인가되어 이 AND회로(40)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계수펄스 Pc가 이것을 통과하게 되므로, 이러한 계수펄스 Pc를 그 클럭입력단자 CK로 수신한 다운 카운터(38)는 감산 계수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이러한 감산계수동작은 상기 프리세트값 12를 기준으로 개시되어서 그 계수값은 12→11→10....으로 차례로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다운카운터(38)의 계수값이 0이되면, 그 출력단자 P로 부터는 하이레벨신호 대신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므로, 모우터구동회로(7)의 동작이 정지되고 그 출력스위치(7a)도 오프되고, 이것으로 인해 모우터(6)가 단전되어서 코오피 원두의 분쇄동작이 완료하는 동시에 AND회로(40)가 차단상태가 되어서 다운카운터(38)에 대한 계수펄스 Pc의 입력이 정지된다. 이리하여, 다운카운터(38)의 계수값이 12에서 0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계수펄스 Pc의 출력주기가 1Hz이기 때문에 12초가 되고, 따라서 상기와 같은 코오피원두의 분쇄시간은 12초로 제어된다. 또, 상기와 같이 R-S플립플롭(33)의 세트출력단자 Q로 부터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에는 이 하이레벨신호가 인버어터(34)에 의하여 반전되어서 AND회로(30)에 입력되기 때문에 이 AND회로(30)는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트랜스퍼게이트(22)가 도통되어서 디시탈표시기(21)는 업 카운터(20)에서의 디지탈신호 Sn에 대응한 수치 12를 표시하게 된다. 또, 스타트스위치(25)의 온 조작이전에는 리세트 상태에 있는 R-S플립플롭(28)이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있으므로, 지연회로(29)를 개재하여 이로우 레벨신호를 수신하는 AND회로(30)는 상기한 바와같이 레벨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또, 지연회로(29)는 라인(L1)에 출력되는 하이레벨신호가 간헐적이기 때문에 이것을 보상하기 위해서 설치된 것이다.
그런데, 이상과 같이 분쇄 동작이 완료되면 코오피액의 추출동작으로 자동적으로 이행된다. 즉, 다운 카운터(38)에서 로우레벨 신호가 출력되어 분쇄동작이 종료하면, 상기 로우레벨신호를 수신한 인버어터(41)가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하이레벨신호는 AND회로(37)의 한쪽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AND회로(37)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는 상기 플립플롭(33)에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된 시점(다시 말하면 분쇄동작이 개시된 시점)에 그 하이레벨 신호가 지연회로(36)에 개재하여 입력되므로, 결과적으로 이 AND회로(37)는 분쇄동작을 완료함과 동시에 그때까지 출력된 로우레벨신호 대신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하고, 자연회로(43)을 기재하여 이 하이레벨신호를 AND회로(44)의 한쪽 입력단자에 인가하는 동시에 AND회로(49)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도 직접 인가한다. 이 경우에, AND회로(37)에서 하이레벨 신호가 출력된 순간에는 AND회로(44)의 한쪽 입력단자(지연회로(43)에 접속된 입력단자)에 로우레벨 신호가 인가되고, 이 AND회로(44)가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하고 있기 때문에, D플립플롭(45)은 초기상태(클리어상태)를 나타내고, 그 출력단자 Q로부터는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고,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47)도 비구동상태에서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하고, 이 로우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인버어터(48)는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AND회로(37)에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된 순간에 이것을 수신한 AND회로(49)가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하이터 구동회로(4)는 동작되어서 출력스위치(4a)를 온시키고, 이로 인해 히이터(2)가 통전 발열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출력스위치(4a)가 온되었을 때에는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 대하여 신호취출점(11)에서 베이스전류가 공급되지 않아 이 트랜지스터(13)가 오프되므로 라인(L1)에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어 라인(L1)에 접속된 AND회로(44)의 입력단자에 로우레벨신호가 인가된다. 여기에서 상기지연회로(43)의 지연시간은 AND회로(37)에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된 시점에서 출력스위치(4a)가 온되어서 라인(L1)에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는 시점까지의 지연시간보다 길고, 예를 들어 그 지연시간은 10ms로 설정되므로, AND회로(37)에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된 시점에서 하이레벨 신호가 AND회로(44)의 양 입력단자에 동시에 입력되는 사태가 지연회로(43)의 지연작용에 의하여 저지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D플립플롭(45)은 초기 상태를 유지한채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이 히이터(2)가 통전발열되면, 저수탱크에서 공급된 가열기내의 물이 이히이터(2)에 의하여 가열되어서 온수화되고, 이렇게 생성된 온수는 그 비등압으로 케이스내에 공급됨으로서 코오피액으로서 추출되어, 추출된 코오피액은 가열기에 제치된 병내로 흘러 저장된다. 이러한 코오피액의 추출 동작에 의하여 저수탱크의 물이 모두 소비되면, 가열기와 물과의 열교환이 없어져서 이 가열기의 온도가 급상승하게 되므로, 이것을 검지한 바이메탈 스위치(3)가 오프되어 히이터(2)가 단전되고, 이로 인해 코오피액의 추출동작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코오피액의 추출동작이 완료, 즉 바이메탈스위치(3)가 오프되면,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 대하여 신호취출점(11)에서 재차 베이스신호가 인가되어서 이 트랜지스터(13)가 온하여 이로 인해 라인(L1)에 하이레백신호가 간헐적으로 출력되게 된다. 그러면, AND회로(44)의 입력단자에 하이레벨신호가 입력되어서 이 AND회로(44)가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D플립플롭(45)이 트리거되어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이것에 따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7)가 소정기간만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로 인해, 버저구동회로(50)가 소정기간만 온 되어 이 기간중 버저(51)가 울리게 되어, 이것으로서 코오피액의 추출동작이 종료되었다는 정보가 알려진다.
또, 버저(51)가 울리는 기간중, 즉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7)에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기간중에는 그 하이레벨 신호가 인버어터(48)에 의하여 로우레벨신호로 반전되어 AND회로(49)에 입력되기 때문에, 이 AND회로(49)로 부터 로우 레벨신호가 출력되어 하이터구동회로(4)의 동작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코오피액의 추출동작 종료후는 바이메탈 스위치(3)가 단속적으로 온,오프해서 히이터(2)를 통전 및 단전하게 되어, 이것으로서 가열기에 의하여 병내의 코오피액의 보온이 실시된다. 이러한 보온을 정지시킬 경우에는 스톱스위치(27)를 온조작한다. 그러면, 이러한 온 조작으로 라인(L2)에 출력되는 하이레벨 신호에 의하여, R-S플립플롭들(28,33) 다운카운터(38) 및 D플립플롭(45)이 모두 리세트 또는 클리어 되고, 특히 R-S플립플롭(33)의 리세트에 의해 AND회로(37)에 로우레벨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이것의 후단 AND회로(49)로 부터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어, 이것으로 히이터 구동회로(4)의 동작이 정지되어 히이터(2)가 단전, 즉 보온이 정지된다. 또, 상기한 코오피액의 추출동작중에 스톱스위치(27)를 온조작하면, 동일하게 히이터(2)가 단전되어서 코오피액의 추출동작이 도중에서 정지된다. 또 분쇄 동작중에 스톱스위치(27)가 온조작되었을 때는 다운카운터(38)의 개수값이 0으로 클리어되어 다운카운터(38)에서 로우레벨 신호가 출력되므로 모우터 구동회로(7)의 동작이 정지되어서 모우터(6)가 단전되고, 이로 인해 분쇄동작이 동작에서 정지된다. 또, 지연회로(36)는 분쇄동작의 개시시, 즉 R-S플립플롭(33)에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된 일순간에 있어서, AND회로(37)의 양 입력단자에 대하여 하이레벨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상기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히이터회로(A)에 있어서의 주 스위치(1)의 온상태 및 출력스위치(4a)의 온동작시기 및 바이메탈 스위치(3)의 오프동작시기를 한개의 검지회로(10)에 의하여 판정할 수 있으므로 회로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검지회로(10)의 출력을 받는 제어회로(9)의 입력부를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할 경우, 1개의 입력 포오트로서 3종류의 입력신호를 받을 수가 있기 때문에, 남은 입력포오트를 다른 기능용으로 전용할 수 있고, 제어회로(9)의 기능을 한층 더 다채롭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어용 스위치로서 소망의 시간후에 온되는 타이머 스위치와 주스위치를 가지고 구성되는 전기 취반기에 적용해도 되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변형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전원의 양 출력단자에 대하여 히이터, 주 스위치, 통상적으로 상기 주스위치보다 늦게 온 되는 제어용 스위치 및 상기 히이터에 의한 피가열체가 소정온도에 도달했을 때에 온되는 상폐형 온도 스위치를 직렬로 접속하는 히이터회로에 대하여 그 히이터회로의 주스위치 및 온도 스위치의 온 상태등 2이상의 상태를 1개의 검지회로에 의하여 판정할 수가 있고, 이것으로서 회로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히이터회로의 상태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전원(5)의 양출력단자에 대하여 히이터(2), 주스위치(1), 통상적으로 상기 주스위치(1)보다 늦게 온되는 제어용 스위치(4a) 및 상기히이터(2)에 의하여 가열되는 피가열체가 소정온도에 도달했을 때에 오프되는 상패형의 온도스위치(3)를 직렬로 접속해서 구성되는 히이터 회로에 있어서, 이 히이터회로중의 신호취출점(11)과 상기 전원(5)의 한쪽 출력단자(5a) 사이에 상기 히이터(2)와 주스위치(1)를 접속하는 동시에 이 신호취출점(11)과 전원(5)의 다른쪽 출력단자(5b) 사이에 상기 제어용 스위치(4a)와 온도스위치(3)를 접속하고, 상기 주스위치(1)가 온이고 또한 상기 제어용 스위치(4) 및 온도스위치의 적어도 한쪽이 오프일때에만 상기 신호 취출점(11)에서 검지전류를 수신하는 검지회로(10)를 설치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이터 회로의 상태판정 장치.
KR1019810004251A 1981-01-22 1981-11-06 히이터회로의 상태판정 장치 KR850001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94 1981-01-22
JP56008194A JPS57121183A (en) 1981-01-22 1981-01-22 Heater circuit state identify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625A KR830008625A (ko) 1983-12-10
KR850001480B1 true KR850001480B1 (ko) 1985-10-10

Family

ID=1168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251A KR850001480B1 (ko) 1981-01-22 1981-11-06 히이터회로의 상태판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121183A (ko)
KR (1) KR8500014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121183A (en) 1982-07-28
KR830008625A (ko) 1983-12-10
JPS643315B2 (ko) 1989-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0702A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coffeemaker
US5072095A (en) Vessel warmer utilizing timer reset means responsive to removal of vessel
US4566802A (en) Electronic cycle timer for a household appliance
EP0057993B1 (en) Coffee maker
US2526566A (en)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electric circuit
JPH0356725B2 (ko)
US4762055A (en) Coffee makers
KR850001480B1 (ko) 히이터회로의 상태판정 장치
KR890002041B1 (ko) 타이머 장치
EP0057079B1 (en) Control device for coffee extractor
KR890002042B1 (ko) 타이머 장치
JPS6132008B2 (ko)
JPS6341575B2 (ko)
JPS6132009B2 (ko)
JPS6343085B2 (ko)
KR870001308B1 (ko) 부하 구동 장치
JPS5927843Y2 (ja) 炊飯器の表示装置
JPH0116491B2 (ko)
KR930009753B1 (ko) 전기 온수기의 제어회로
JPS5933102Y2 (ja) 自動販売機の再販防止回路
JPH0524773B2 (ko)
JPS6132007B2 (ko)
JPH0247400Y2 (ko)
JPS615820A (ja) 電気湯沸し器
JPS63168118A (ja) 鍋なし表示付炊飯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