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308B1 - 부하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부하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308B1
KR870001308B1 KR1019810004193A KR810004193A KR870001308B1 KR 870001308 B1 KR870001308 B1 KR 870001308B1 KR 1019810004193 A KR1019810004193 A KR 1019810004193A KR 810004193 A KR810004193 A KR 810004193A KR 870001308 B1 KR870001308 B1 KR 870001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oad
display
value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917A (ko
Inventor
히로유끼 오오따
나리따류우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3000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4Automatic starting or stopping devices; War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1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with timing of actuation of contacts due to a part rotating at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 H01H43/16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with timing of actuation of contacts due to a part rotating at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stopping automatically after a predetermined plurality of cycles of opera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하 구동 장치
제1도는 코오피 제조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요부의 전기적 구성을 보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9 : 모우터(부하) 33 : 세트스위치
39 : 디지탈표시기 47 : 구동회로
본 발명은 부하를 임의로 선택가능한 시간 구동하도록한 부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코오피미일에 있어서는 코오피원두가 수납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커터를 배설하고, 이 커터를 부하인 모우터로 회전시켜서 코오피 원두를 분쇄하여 이것으로서 코오피가루를 얻도록 한것이 있고, 이러한 구성의 코오피미일에 있어서는 모우터의 통전시간의 장단에 따라서 완성되는 코오피가루의 조밀상태가 달라지는 성질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코오피미일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수동스위치가 온조작되는 동안만 모우터에 통전시키는 구성으로 하거나, 또는 유사식 타이머로 모우터의 통전시간을 임의의 시간으로 설정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소망의 조밀상태로 미일한 코오피가루를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수동스위치를 사용한 전자(前者)의 구성에서는 미일시간(모우터의 통전시간)이 조작자의 육감으로 좌우되어서 일정하지 옷한 결점이 있고, 또 후자의 구성으로는 유사식 타이머의 시한시간설정 조작이 부정확해지기쉽고, 역시 미일시간이 일정하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하의 구동시간을 소망의 시간만 정확히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시간설정조작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특정의 구동시간으로 설정할 경우에 그 시간설정 조작을 보다 한층 정확하게 하는 부하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미일기구를 병설하는 코오피 제조기에 적용한 1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 1도에 따라 코오피제조기의 전체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1)은 기체이고, 이것은 미일기구(2) 및 분쇄후의 코오피가루중에 끓는 물을 적하해서 코오피액을 생성하는 급탕기구인 드립기구(3) 및 생성한 코오피액을 저류하는 컵(4)를 가진다. 이하 이것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기체(1)의 하분부 의좌 우양측에는 모우터수납부(5) 및 컵재치대(6)을 각각 형성하고, 또 상반부의 좌우 양측에는 케이스 장착부(7)및 저수탱크,(8)을 각각 형성한다. (9)는 컵재치대(6)에 장착한 보온판(6)의 하면에 밀접해서 형성한 가열반으로, 전기히이터 예를들어 시이즈(sheath)히이터(10)과 가열파이프(11)을 평행으로 매설하고 있고, 그리고 이 가열파이프(11)의 일단부를 상방으로 연장하여 저수탱크(8)의 도시를 생략한 출수구에 연결해서 급수파이프(12)로 하고, 또 다른 단부를 케이스장착부(7)의 상부로 연장해서 급탕파이프(13)으로 하고 있다. (14)는 케이스장칙부(7)에 장착한 케이스이고, 이것은 상기한 미일기구(2)와 드립기구(3)의 쌍방에 공통의 것으로서, 이 케이스(14)의 저벽(14a)의 중앙부에 형성한 축통부(15)에는 구동축(16)을 회전가능으로, 또한 누수가 방지되어 삽통 된다. 그리고, 구동축(16)의 상단부에는 코오피원두 분쇄용의 커터(17)를 장착하고, 한편 하단부에는 커플링(18)을 장착하고, 이 커플링(18)을 모우터수납부(5)내에 비치한 부하인모우터(19)의 커플링(20)과 연결하고 있다. (21)은 케이스(4)내에 틀체의 필터지지체(22), 누수방지부재(23)에 의하여 커터(17)의 하방에 위치하여 장착한 여과용의 필터이고, 이것으로서 커터(17)에 의해 분쇄된 코오피가루를 받도록 구성된다.(24)는 상기케이스(14)의 저벽(14a)에 형성된 추출구이고, 이것은 상기 컵재치대(6)에 상방으로 대응하도록 되어있다. (25)는 상기 케이스(14)의 상면개구부에 착탈가능으로 장착한 뚜껑이고, 이 대략 중앙부에는 환상의 벽부(25a)가 돌설되는 동시에 이 벽부(25a)의 내측에 위치하여 주탕공(注湯孔)(25b)가 형성된다. (26)은 덮개체이고, 이것은 기체(1)의 상면개구부인 케이스장착부(7) 및 저수탱크(8)의 상면 개구부에 착탈가능으로 장착된다. (27)은 상기 가열반(9)의 하면부에 장착된 온도조절용의 바이메탈 스위치이고, 이것으로서 가열반(9)의 온도가 소정치로 제어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제2도에는 상기의 코오피 제조기에 있어서의 전기회로 구성중 본 발명의 요지에 직접관계한 부분만이 표시되어 있고, 이하 이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28)은 교류전원이고, 그 양단자간에 스위칭소자, 예를들면트라이액(triac)(29) 및 상기 모우터(19)의 직렬회로를 접속한다. (30)은 펄스 발생기이고, 이것은 교류전원(28)의 출력을 파형정형하는 정형회로(31)과 이 정형회로(31)의 출력을 분주하는 분주회로(32)로 구성되고, 이 분주회로(32)는 예를들면 1Hz의 주기로 계수펄스 Pc를 출력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33)은 수동조작상태시에만 온 되는 세트스위치이고, 이것은 온 되었을때만 라인 L1은 개재하여 AND 회로(34)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하이레벨신호가 부여된다. 상기 AND 회로(34)는 그 다른쪽의 입력단자에 상기 계수펄스 Pc를 받도록 접속되고, 따라서 이 AND회로(34)는 세트스위치(33)의 온 조작기간중에만 계수펄스 Pc를 통과시킨다. (35), (36)은 각 한쪽의 입력단자가 각각 상기 AND 회로(34)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AND 회로이고, AND 회로(35)의 출력단자는 OR 회로(37)을 개재 하여 업카운터(38)의 클럭 입력단자 CK에 접속된다.
상기 업카운터(38)은 예를들면 16진(進)의 것으로서, 그 클럭입력단자 CK에 입력되는 펄스를 가산계수하여 그 계수내용을 디지탈신호 Sn로서 출력한다. (39)는 7세그멘트 발광다이오드등으로 구성되는 예를들면 2자리수의 디지탈표시기이고, 이것은 상기 디지탈신호 Sn를 입력으로서 받아서 이것에 대응한 수치를 표시한다. (40)은 비교기이고, 이것은 상기 디지탈신호 Sn를 기준치발생부(41)에서의 기준치신호 Sc와 비교하고, 이들이 일치했을 때에만 하이 레벨신호로 되는 일치신호 Sa를 출력하는 동시에 다른 기간은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에 기준치신호 Sn이 출력되었을때 다시 말하면 디지탈 표시기(39)에 수치 12가 표시되었을 때에 일치신호 Sa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러한 비교기(40)의 출력은 상기 AND 회로(35)의 입력 단자에 인버어터(42)를 개재해서 부여되고, 또 상기 AND 회로(36)의 입력단자에도 직접부여되도록 접속된다. (43)은 AND 회로(36)으로 부터의 출력을 입력단자 T에 받는 플립플롭이고 이것은 그 입력단자 T에 펄스가 인가 돌때마다 출력단자 Q로 부터의 출력이 반전하는 구성이고 이 출력단자 Q는 OR회로(37)을 개재하여 업카운터(38)의 클럭입력단자 CK에 접속된다. 이상 설명한 각 소자(33)내지 (43)은 이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디지탈 표시기(39)에 표시되는 표시치를 스위치(33)의 조작 기간중에만 점차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스텝시킴과 동시에 그 표시치의 스텝시에 특정의 수치(일례로, 12)를 다른 것보다 길게 디지탈표시기(39)에 표시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제어회로(A)를 구성하게된다. 한편, (44)는 수동조작상태시에만 온되는 스타이트 스위치이고, 이것이 온 되었을 때는 라인 L2를 개재하여 트랜스퍼게이트(45)의 제어단자(45a)에 하이레벨신호가 부여된다. 상기 트랜스퍼게이트(45)는 그 제어단자(45a)에 하이 레벨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만 저임피이던스를 나타내고 신호의 통과를 허용하는 구성을 이룬다. (46)은 상기 트라이액(29), 트랜스퍼게이트(45)등과 함께구동회로(47)을 구성하는 프리세크기능을 가지는 다운카운터이고, 이것은 그 데이터입력단자 D에 디지탈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이 입력디지탈 신호에 대응한 수치를 프리세트하는 동시에 클럭입력단자 CK 에펄스가 입력될때마다 상기 프리세트치에서 감산계수하는 구성이다. 또, 이 다운카운터(46)은 그 계수치가 예를들면 0 이외에 있는 기간중 하이레벨신호로되는 동작명령신호 So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있고, 이러한 다운카운터(39)의 출력단자 P는 버퍼앰프(48)을 개재하여 상기 트라이액(29)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또 다운카운터(46)의 데이터입력단자 D는 트랜스퍼게이트(45)를 개재하여 상기 업카운터(8)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클럭입력단자 CK는 AND회로(49)의 츨력단자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AND 회로(49)의 한쪽의 입력단자는 상기 계수펄스 Pc를 받도록 접속되고, 또 다른쪽의 입력단자는 상기 동작명령신호 So를 받도록 접속된다. 또, 상기한세트스위치(33), 스타아트 스위치(44) 및 디지탈표시기(39)는 예를들면 제1도에서와 같이 기체(1)의 측부에 배설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오피액을 제조할 때, 저수탱크(8)에는 소망의 인원수분에 해당하는 양의 물을, 그리고 케이스(14)에는 그것에 알맞는 양의 코오 피원두를 각각 수망의 인원수분에 해당하는 양의 물을, 그리고 케이스(14)에는 그것에 알맞는 양의 코오피원두를 각각 수납한 상태에서 우선 전원스위치(도시생략)를 온 조작하는 동시에 세트스위치(33)을 온 조작해서 그 온조작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에는 업타운터(38)에서 예를들면 0에 대응한 디지탈신호 Sn이 출력되어 있고 비교기(40)이 로우 레벨신호를 출력하고 있기 때문에 이 로우레벨신호를 인버어터(42)를 개재하여 받는 AND 회로(35)가 신호의 통과를 허용한 상태에 있고, 또 로우레벨신호를 직접받는 AND회로(36)은 차단 상태에 있다. 이로 인해 세트스위치(33)의 온 조작에따라 펄스 발생기(30)으로 부터의 계수펄스 Pc가 AND회로(34), (35) 및 OR 회로(37)을 개재하여 업카운터(38)의 클럭입력 단자 CK에 부여되어 이것이 이 계수펄스 Pc를 가산 계수하게되고, 이 계수냉용이 디지탈신호 Sn에 대응한 수치가 0→1→2→3…와 같이 차례로 증가하도록 스텝되면서 표시되지만, 그 스텝의 속도는 계수펄스 Pc의 출력주기가 1Hz이기 때문에 매초 1씩이 된다. 그리고 업카운터(38)에 AND회로(34)등을 통과한 12개의 계수펄스 Pc가 입력되어 이 업카운터(38)에서 수치 12에 대응한 디지탈신호 Sn이 출력되면 디지탈 표시기(39)에 수치12가 표시되는 동시에 비교기(40)에서 일치신호 Sa(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이 일치신호 Sa를 인버어터(42)를 개재하여 받은 AND 회로(35)가 차단 상태를 나타내어 계수펄스 Pc의 통과를 저지하게 되고, 이것을 대신하여 AND 회로(36)이 계수펄스 Pc의 통과를 허용하게 된다. 그리고, AND회로(34)를 통과한 13개째의 계수펄스 Pc가 AND 회로(36)을 개재하여 플립플롭(43)의 입력단자 T에 부여되면 이 플립플롭(43)은 그 출력단자 Q에서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하도록 반전한다. 이로인해 업카운터(38)에 있어서는 그 가산계수가 진행되지 않고 따라서 수치 12에 대응하는 디지탈신호 Sn을 출력한 채로의 상태를 유지하고, 당연히 디지탈표시기(39)에 의한 표시수치도 12인 채로 스텝하지 않는다. 이후 AND 회로(34)를 통과한 14개째의 계수펄스 Pc가 AND 회로(36)을 개재하여 플립플롭(43)에 부여되면 이 플립플롭(43)의 출력이 하이레벨신호로 반전함으로써 이 하이레벨신호에 의하여 업카운터(38)의 계수치가 12에서 13으로 증가한다. 그러면 비교기(40)에서 재차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어 원 상태로 복귀하여 디지탈표시기(39)의 표시수치는 재차 1초마다 스텝되어서 13→14→15→0→1…로 점차 증가된다. 즉 세트스위치(33)을 온 조작시켜서 디지탈표시기(39)에 의한 표시수치를 스텝시킬때에는 수치 12만이 다른 수치보다 2배 길계표시된다. 또, 상기 수치 12는 미일기구(2)에 의하여 가장 빈번하고 또 보통으로 실시되는 미일시간, 예를들면 12초를 근거로 정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다른 수치로도 되고, 또 복수의 수치를 다른 수치보다 길게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리하여, 조작자는상기와 같은 디지탈표시기(39)에 의한 표시수치를 눈으로 보면서 그 표시가 임의의 수치, 예를들면 12가되었을 때에 세트스위치(33)의 온조작을 해제한다. 이와같이 세트스위치(33)의 온조작이 해제되면 라인 L1에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지 않게되어 AND회로(34)가 계수펄스 Pc의 통과를 저지하게 됨으로써 업카운터(38)은 계수동작을 정지하여 그 최종적인계수과인 계수치 12를 기억하는 동시에, 이러한 계수치 12에 대응한 디지탈신호 Sn을 출력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디지탈표시기(39)는 12를 표시한 채로의 상태가 된다. 이후, 스타아트스위치(44)를 온 조작하면 트랜스퍼 게이트(5)가 신호의 통과를 허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업카운터(38)가 기억한 디지탈신호 Sn이 다운카운터(46)의 데이터입력단자D에 부여되기 때문에 이 다운카운터(46)은 입력된 디지탈 Sn에 대응한 수치 12를 프리세트하는 동시에 출력단자 P에서 동작명령신호 So를 출력한다. 그러면 이 동작명령신호 So를 버퍼앰프(48)을 개재하여 제이트에 받은 트라이액(29)가 온되어 모우터(19)에 통전되기 때문에 커터(17)이 회전되어 케이스(14)내의 코오피원두이 분쇄가 개시된다. 또, 이것과 동시에 동작명령신호 So가 AND회로(49)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부여되어서 이 AND 회로(49)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 부여되는 계수펄스 Pc가 이것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계수펄스 Pc를 그클럭입력단자 CK에 받는 다운카운터(46)이 감산계수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이러한 감산계수 동작은 상기 프리세트치 12를 기준으로 개시되어서 그 계수치는 12→11→10…으로 점차적으로 감소하게된다. 그리고 다운카운터(46)의 계수치가 0가 되면, 그 출력단자 P에서는 동작명령신호 So를 대신해서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게 됨으로써 트라이액(27)이 오프되어서 커터(17)의 회전이 정지하고, 이것으로 인해 코오피원두의 분쇄가 종료되는 동시에 AND 회로(49)가 차단상태를 나타내고 다운 카운터(46)에 대한 계수 펄스 PC의 입력이 정지된다. 이리하여 다운카운터(46)의 계수치가 12에서 0이 되기까지의 시간은 계수펄스 Pc의 출력주기가 1Hz임으로 12초가되고, 따라서 상기와 같은 코오피원두의 분쇄시간(미일시간)은 12초로 제어된다. 이리하여 코오피원두가 분쇄된 후, 컵(4)을 컵재치대(6)의 보온판(6a)에 재치하면 컵(4)의 상면개구가 케이스(14)의 추출구(24)에 대응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를 생략한 급탕용 조작스위치를 온하며, 바이메탈스위치(27)을 개재하여 시이즈 히이터(10)이 통전되어서 발열하게 되어 이것에 따라 보온판(6a)에 의하여 컵(4)가 예열되는 동시에 저수탱크(8)에서 급수파이프(12)를 통해서 공급된 가열파이프(11)내의 물이 가열되어서 열탕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열탕은 그 비등압에 의해 급탕파이프(13)을 상승하여 그 선단부인 급탕구(13a)에서 뚜껑(25)의 벽부(25a)의 내측에 공급되어 주탕공(25b)에서 케이스(14)내에 적하공급되어, 이것으로 급탕(드립)이 실시된다. 또, 케이스(14)내에 공급된 열탕은 코오피가루 및 필터(21)를 통과해서 코오피액으로 추출되고, 그 코오피액은 케이스(14)의 추출구(24)에서 컵(4)내에 유하저류된다. 그리고 저수탱크(8)내의 물이 모두 소비되면 코오피액의 추출이 완료된다.
상기한 본실시예에 의하면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세트스위치(33)의 조작에 의하여 디지탈표시기(39)에 임의의 수치를 디지탈표시시킨후 스타아트스위치(44)를 조작하면 상기와 같이 표시된 수치에 대응한시간만 코오피원두 분쇄용의 모우터(19)에 통전하여 미일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코오피원두의 미일시간을 소망의 시간만 정확시 실시할 수 있다.
또, 미일시간은 디지탈표시기(39)에 디지탈 표시되는 수치를 보면서 세트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단화하여 오조작의 염려가 없다. 또한 디지탈 표시기(39)의 표시는 가장 빈번하고 또 보통으로 실시되는 미일시간에 대응하는 수치를 다른 수치보다 길게표시하는 구성임으로 그 미일시간을 선택조작을 보다 한층 정확히 실시할 수 있다.
또, 본발명은 상기 설명과 같이 도면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들면 단체의 코오피미일 또는 후드프로세서 등에 넓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요지를 이탈하기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형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설명으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부하의 구동시간을 소망의 시간만 정확히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시간설정 조작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특정의 구동시간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그 시간 설정조작을 보다 한층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부하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부하를 임의로 선택가능한 시간동안 구동시키는 부하구동 장치에 있어서, 부하의 구동기간을 표시하는 디지탈 표시기(39)와, 이 디지탈 표시기(39)에 표시되는 표시치를 스위치(33)의 조작기간 중에만 차폐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스텝시키는 동시에 그 표시치의 스텝시에 특정의 수치를 다른것 보다 길게 디지탈 표시기(39)에 표시시키는 제어회로(A)와, 상기 디지탈 표시기(39)에 최종적으로 표시된 수치에 대응한 시간동안만 상기 부하(19)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부하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A)가 특정의 기준치신호 Sc를 발생하는 기준치 발생부(41), 업카운터(38)에서 출력된 디지탈 신호 Sn을 상기 기준치 신호와 비교하고, 이들이 일치했을 때에만 하이레벨 신호인 일치 신호 Sa를 출력하는 비교기(40) 및 입력단자 T에 인가된 펄스를 그 출력단자 Q에서 반전시키는 구성으로된 플립플롭(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47)이 스타이트 스위치(44)의 온 조작에 의해 신호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태가 되는 트랜스퍼게이트(45), 디지탈신호 Sn에 대응한 수치를 프리세트하는 동시에 그 출력단자 P에서 동작명령 신호 So를 출력하는다운 카운터(46) 및 상기 동작명령 신호 So에 의해 온 상태가 되어 모우터(19)를 통전시키는 트라이액(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구동장치.
KR1019810004193A 1980-12-29 1981-10-31 부하 구동 장치 KR870001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7393 1980-12-29
JP55187393A JPS57112828A (en) 1980-12-29 1980-12-29 Load driv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917A KR830006917A (ko) 1983-10-12
KR870001308B1 true KR870001308B1 (ko) 1987-07-13

Family

ID=1620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193A KR870001308B1 (ko) 1980-12-29 1981-10-31 부하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112828A (ko)
KR (1) KR8700013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976Y2 (ja) * 1977-05-27 1983-02-18 株式会社クボタ ねじ連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112828A (en) 1982-07-14
KR830006917A (ko) 1983-10-12
JPS6345213B2 (ko) 1988-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0702A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coffeemaker
US4406217A (en) Coffee maker
US4468406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brewing coffee and machine therefor
EP0055144B1 (en) Food processor
US4566802A (en) Electronic cycle timer for a household appliance
US4438324A (en) Electric rice cooker
EP0057993B1 (en) Coffee maker
KR870001308B1 (ko) 부하 구동 장치
US4644571A (en) Timer
EP0057079B1 (en) Control device for coffee extractor
KR890002042B1 (ko) 타이머 장치
US4687909A (en) Apparatus for heating an air stream
JPH0116491B2 (ko)
KR850001480B1 (ko) 히이터회로의 상태판정 장치
JPH024284B2 (ko)
KR870001490B1 (ko) 코오피 제조기
JPS6346685B2 (ko)
JPS62685B2 (ko)
JPS6341575B2 (ko)
JPS6343085B2 (ko)
JPS6132009B2 (ko)
JPS6132007B2 (ko)
JPS5978490A (ja) 焙焼機の制御回路
JPS6132008B2 (ko)
JPH0461827A (ja) 炊飯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