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041B1 - 타이머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041B1
KR890002041B1 KR1019850004461A KR850004461A KR890002041B1 KR 890002041 B1 KR890002041 B1 KR 890002041B1 KR 1019850004461 A KR1019850004461 A KR 1019850004461A KR 850004461 A KR850004461 A KR 850004461A KR 890002041 B1 KR890002041 B1 KR 890002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display
counter
grind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848A (ko
Inventor
류우호 나리따
마사히로 이마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60002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1/00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out driving mechanisms, e.g. egg timers
    • G04F1/005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out driving mechanisms, e.g. egg timers using electronic timing, e.g. counting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8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087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provided with means for displaying at will a time indication or a date or a part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Measurement Of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이머 장치
제1도는 전체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block 線圖).
제2도는 조작판의 정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표시장치의 각각 다른 표시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5도 부터 제7도는 작용 설명을 하기 위한 타임 차아트(time char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분쇄(mkll)용모우터(부하) 7 : 전기 히이터(heater)
15 : 1분용 카운터(counter) 16 :분을 주기로 하는 회로(分周回路)
17 : 시계설정키이(key) 18 : 분쇄 시간 설정키
19 : 스타르 키이(start key) 20 : 스톱키이
21 : 조작판 22 : 표시장치
25 : 시계용 카운터 31 : 부하용 카운터
37 : 분쇄 구동회로 40 : 추출(drip)구동회로
41 : 제어회로 42 : 판정회로
49 : 표시용 메모리
본 발명은 시계용 카운터와 부하의 운전시간을 제어하는 부하용 카운터를 구비한 타이머 장치와 관련되는 것이다.
종래로 부터 예를들면 원두커피의 분쇄로 부터 커피액의 추출 까지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커피제조기의 타이머 장치로서는, 시계용 카운터와 분쇄 시간을 제어하는 부하용 카운터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표시장치에 전술한 시계용 카운터인 카운트 값을 표시시키고 분쇄운전시에는 부하용 카운터의 카운터 값인 분쇄 잔존시간을 표시하도록하고, 또한 분쇄운전시에는 표시장치의 표시를 전술한 시계용 카운터의 초단위의 카운트값에 의거하여 점멸(點滅)시키도록한 구성의 것이 제안되어져있다.
위와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분쇄운전을 개시시키는 스타트키이의 조작에 의해 부하용 카운터의 카운트 동작이 개시되는 데, 그 스타트 키이의 조작시점은 고르지 않아서 일정하지 않으므로 부하용 카운터의 카운트 동작이 시계용 카운터의 초단이 카운트 동작과 일치한다고는 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이와같은 시계용 카운터의 초단위 카운트값에 의하여 표시장치에 의해 부하용 카운터의 카운트값표시를 점멸시킨 것으로서 표시를 점멸하는 타이밍과 표시의 전환타이밍이 일치하지 않아서 표시가 보기 힘들어 져서 오인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같은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것으로 그 목적은 표시장치에의해 부하용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점멸시킬 경우에, 그 점멸하는 타이밍과 표시를 전환시키는 타이밍을 일치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표시가 보기쉽게 되어 오인할 우려가 없는 타이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부하용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표시장치에 표시시킬 경우에 그 표시를 전술한 부하용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의하여 점멸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지금부터 본 발명을 커피 제조기에 적용한 하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우선, 제1도에 의거하여 커피 제조기의 운전회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1"은 100볼트, 60헤르쯔의 단상(單相)교류전원이며, 그 양 단자에는 전 원선(2)(3)이 접속되어있다.
"4"는 부하인 분쇄용 모우터이며 이것은 분쇄 용기안에 설치된 원두커피 분쇄용의 컷터(모두다 도시하지 않음)를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있다.
"5"는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닫혀질 수 있는 항상 열려 있는 분쇄용 스위치이다.
그리고 전술한 전원선(2)(3)사이에 분쇄용 모우터(4) 및 분쇄용 스위치(5)의 직렬회로가 접속되어있다.
"6"은 저수탱크로부터 물을 가열하는 가열기(모두다 도시하지 않음)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열 방지용 열동(熱動)스위치, "7"은 이 가열기에 설치된 전기 히이터이며, 이것이 전기가 통하게 되면 가열기안의 물이 가열되어 더운물이 되어 전술한 분쇄용기안으로 공급되도록 되어있다.
"8"은 나중에 설멍하는 바와같이 닫혀질 수 있는 항상 열려 있는 추출용 스위치이다.
그리고, 전술하는 전원선(2)(3)사이에 과열방지용 열동 스위치(6), 전기 히이터(7)및 추출용 스위치(8)이 직렬회로가 접속되어있다.
다음으로 제1도부터 제4도에 의거하여 저니술한 운전회로를 제어하는 타이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9"는 클럭펄스(clock pulse)의 발생회로이며, 이것은 도시한 극성(極性) 다이오드(10) 및 저항(11)을 직렬로 통하여 전원선(2)(3)사이에 접속된 발광 다이오드(12), 이 발광다이오드(12)로부터의 빛을 받아 들이는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13)와, 포토 트랜지스터(13)의 콜렉터, 에미터가 입력단자에 접속된 파형정형회로(波形整形回路)(14)로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이 파형정형회로(14)는 출력단자로부터 1초간에 60개의 클럭펄스(P14)를 출력하게된다.
"15"는 입력단자가 전술한 파형 정형회로(14)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1분용 카운터이며, 이것은 클럭펄스(P14)가 부여되므로써 이것을 분(分)을 주기로 하여 「0」초, 「1」초, 「2」초 ...「59」초의 카운트 동작을 반복하여 그 카운트 신호(S15)를 출력단자(OA)로부터 출력하는 동시에, 「59」초에서「0」초로 변화할때에 1분 펄스(P15)를 출력단자(Ob)에서 출력하게 되어있다.
「16」은 입력단자가 전술한 파형정형회로(14)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분을 주기로 하는 회로이며, 이것은 클럭펄스(P14)를 분을 주기로 하여 매1초마다 1초펄스(P16)를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17"은 시계설정키이, "18"은 분쇄시간 설정키이, "19"는 스타트키이, "20"은 스톱키이 이며, 이것들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 조작판(21)에 부착되어있다.
그리고, 이들 시계설정키이(17),, 분쇄시간설정키이(18), 스타트 키이(19) 및 스톱키이(20)는 누르게 되면 눌러 있는 동안 만큼 고레벨(high level)의 시계설정신호(S17), 분쇄시간설정신호(S18), 스타트신호(S19) 및 스톱신호(S20)를 각각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22"는 조작판(21)에 부착된4자리 숫자를 표시하는 세그먼트(segment)형의 표시장치이다.
그리고, 시계설정키이(17)은 출력단자는AND회로(23)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그AND회로(23)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는 전술한 분을 주기로 하는 회로(16)의 출력단자가 접속되어있으며, AND회로(23)의 출력단자는 트랜스퍼게이트(transfer gate)회로(24)를 통하여 시계용 카운터(25)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있다.
또한, 이 시계용 카운터(25)의 입력단자에는 또한 1분용카운터(15)의 출력단자(Ob)가 트랜스퍼 게이트회로(26)를 통해서 접속되어있다.
이 시계용 카운터(25)는 시간, 분을 카은트하는 것으로, 카운터 신호(S25)를 출력단자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전술한 트랜스퍼게이트 회로(24)의 게이트에는 시계 설정키이(17)의 출력단자가 접속되어있으며, 또한 트래스퍼 게이트 회로(26)의 게이트에는 시계설정키이(17)의 출력단자가 인버어터(inverter)회로(27)를 통해서 접속되어있다.
분쇄시간 설정키이(18)의 출력단자는AND회로(28)의 한쪽입력단자에 접속되고, 그AND회로(28)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는 본을 주기로하는 회로(16)의 출력단자가 접속되어있으며, AND회로(28)의 출력단자는 분쇄 시간설정용 카운터(29)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있다.
그리고, 분쇄시간설정용 카운터(29)의 출력단자는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30)를 통해서 다운 카운터(dowm counter)로 된 부하용 카우트(31)의 프리세트(pre set)단자(PR)에 접속되어있다.
이 부하용 카운터(31)는 클럭(clock)단자(CK)및 출력단자(D)외에 나타제로(NOT ZERO)단자(NZ)를 구비한 것이며, 나트 제로 단자(NZ)는 카운트값이「0」일때에는 저 레벨(low level)이 되며 카운트값이「0」이외일때에는 고 레벨이 된다.
그리고, 부하용 카운터(31)의 클럭단자(CK)에는 전술한 파형 정형회로(14)의 출력단자가 트랜스퍼 게이트회로(32)를 통해서 접속되어있으며, 나트제로 단자(NZ)는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32)의 게이트에 접속되어있다.
이와같은경우, 부하용 카운터(31)는, 분을 주기로하는 회로를 내장하고 있어서, 클럭단자(CK)에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32)를 통해서 클럭펄스(P14)가 부여되면 이것을 분을 주기로 하게 하므로써 매1초마다 카운트 다운 하도록 되어있다.
스타트 키이(19)의 출력단자는 RS형의 플립플롭회로(33)의 세트 입력단자(S)에 접속되고, 스타트 키이(20)는 이 플립플롭회로(33)의 리세트 입력단자(R)에 접속되어있으며, 플립플롭회로(33)의 세트출력단자(Q)는 AND회로(34)의 한쪽 입력단자 및 트리거(trigger)회로(35)의 입력단자 및 100m/sec 정도의 시간이 지면되는 지연회로(36)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있다.
또한, 전술한 AND회로(34)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는 전술한 부하용 카운터(31)의 나트제로 단자(NZ)가 접속되고, 그 AND회로(4)의 출력단자는 분쇄구동회로(37)에 접속되어있다.
이와같은 경우 분쇄구동 회로(37)는 AND회로(34)로부터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고레벨의 분쇄구동신호(S34)가 부여도는 동안만큼 전술한 분쇄용 스위치(5)를 닫히 도록되어있다.
한편, 전술한 트리거 회로(35)의 출력단자는 전술한 트랜스퍼 게이트 호로(30)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지연호로(36)의 출력단자는 AND회로(38)의 한쪽입력 단자에 접속되어있으며, 그 AND회로(38)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는 전술한 부하용 카우터(31)의 나트제로 단자(NZ)가 인버어터 회로(39)를 통해서 접속되어있으며, 그리고 AND회로(38)의 출력단자는 추출구동회로(40)에 접속되어있다.
이와같은 경우, 추출 구동회로(40)는 AND회로(38)로부터 나중에 설명하는바와같이 고레벨의 추출구동신호(S38)가 부여되면 기간만큼 전술한 추출용 스위치(8)를 닫히도록 되어있다.
한편, "41"은 전술한 표시장치(22)를 제어하는 제어회로하며, 지금부터 이것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즉, "42"는 판정회로이며, 그 입력단자에는 1분용 카운터(15)의 출력단자(Oa)가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43)를 통해서 접속되어있는 동시에, 부하용 카운터(31)의 출력단자(D)가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44)를 통해서 접속되어있다.
그리고,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43)의 게이트에는 AND회로(38)의 출력단자가 접속되고, 트랜스퍼 게이트(44)의 게이트에는 AND회로(34)의 출력단자가 접속되어있다.
이경우, 판정회로(42)는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부여되는 타운트신호가 나타내는 카운트값의 제1자릿수의 수치가「0」및 짝수일때에는 출력신호를 고 레벨로 하고 홀수일때에는 출력신호를 저 레벨로 하도록되어있다.
그리고, 판정회로(42)의 출력단자는 AND회로(45)의 한쪽 입력단자에 접속되어있다.
AND회로(45)의 다른쪽 입력단자는 OR회로(46)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OR회로(46)의 한쪽의 입력단자는 AND회로(34)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있는 동시에 다른쪽의 입력단자는 AND회로(38)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있다.
또한, AND회로(45)의 출력단자는 OR회로(47)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OR회로(47)의 다른쪽 입력단자는 NOR회로(48)의 출력단장에 접속되고, NOR회로(48)의 한쪽의 입력단자는 AND회로(34)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있는 동시에 다른쪽의 입력단자는 AND회로(38)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있다.
그리고, OR회로(47)의 출력단자는 표시장치(22)의 입력단자와 표시용 메모리(49)의 출력단자 사이에 개재된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50)의 게이트에 접속되어있다.
또한, 표시용 메모리(49)의 입력단자에는 분쇄시간설정용 카운터(29)의 출력단자, 부하용 카운터(31)의 출력단자및 시계용 카운터(25)의 출력단자가 각각 트랙스퍼 게이트회로(51)(52)(53)를 통해서 접속되어있다.
또한,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51)의 게이트에는 전술한 분쇄시간 설정키이(18)의 출력단자가 접속되어있다.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52)의 게이트에는 AND회로(54)의 출력단자가 접속되고, 그 AND회로(54)에 있어서 제1의 입력단자에는 분쇄 시간 설정키이(18)의 출력단자가 인버어터 회로(55)를 통해서 접속되고, 제2의 입력단자에는 시계설정키이(17)의 출력단자가 인버어터회로(56)를 통해서 접속되고, 제3의 입력단자에 AND회로(34)의 출력단자가 접속되어있다.
그리고,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53)의 게이트에는 NOR회로(51)의 출력단자가 접속되고, 그 NOR회로(57)의 한쪽의 입력단자는 전술한 분쇄시간 설정키이(18)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있는 동시에 다른쪽의 단자는 AND회로(54) 출력단자에 접속되어있다.
또한"58"은 입력단자가 전원선(2)(3)에 접속된 직류정전압(定電壓)전원회로이며, 이것은 전원선(2)(3)사이의 교류전압을 내린후 정류하고 또한 정전압화하여 출력단자 사이에 직류 정전압으로써 출력하는 것이며, 이 직류정전압이 각 회로에 공급되도록 되어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우선, 시계설정키이(17)를 누르게되면 고베레벨의 시계설정신호(S17)가 출력되어서 AND회로(23)의 한쪽의 입력단자 및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24)의 게이트에 부여하게 되며, 따라서 본을 주기로하는 회로(16)로 부터의1초에 펄스(P16)가 AND회로(23)및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24)를 거쳐 시계용 카운터(25)에 부여되며, 시계용 카운터(25)는 1초 펄스(P16)가 부여될때마다 즉 매1초마다 카운트 값을 변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분쇄시간 설정키이(18)로부터 고레벨의 분쇄시간설정신호(S18)는 출력되어있지 않으며, AND회로(54)이 출력신호도 저 레벨이므로 NOR회로(57)는 고레벨의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53)의 게이트에 부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시계용 카운터(25)의 카운트 신호(S25)가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53)를 거쳐서 표시용 메모리(49)의 입력단자에 부여된다.
또한, 이때에는 AND회로(34)(38)의 출력신호는 저 레벨이므로 NOR회로(48)는 고레벨의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OR회로(47)를 통해서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50)의 게이트에 부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표시용 메모리(49)의 내용 즉 시계용 카운터(25)의 카운트값이 표시장치(22)에 부여되어서 표시된다.
그래서, 표시장치(22)를 보면서 그 표시가 현재시각 예를들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1230」(12시30분) 일때에는 시계 설정키이(17)의 누르든것을 해제하며 이번에는 인버어터 회로(27)의 출력신호가 고 레벨이 되어 1분용 카운트(15)의 1분펄스(P15)가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26)를 통해서 시계용 카운터925)의 입력단자에 부여하게 되며, 시계용 카운터(25)의 카운트값은 1분펄스(P15)가 부여될때마다 즉 매 1분마다 변화하여, 표시장치(22)의 표시는「1232」(12시31분),「1232」(12시32분)...과 같이 변화하는 시계표시가 된다.
그리고, 커피를 제조할 경우에는 분쇄케이스안에 소정된량의 원두커피를 투입하여 저수 탱크안에 원두 커피량에 따른 양의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분쇄시간 설정키이(18)를 누르게 되며 이 분쇄시간설정키이(18)로부터 고레벨의 분쇄시간 설정신호(S18)가 출력되게 되며, 이것이 AND회로(28)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부여되므로서 분을 주기로 하는 회로(26)로 부터의 1초 펄스(P16)가 AND회로(28)를 통해서 분쇄시간 설정용 카우터(29)의 입력단자에 부여되게되며, 분쇄시간 설정용 카운터(29)는 1초펄스(P16)가 부여될때마다「1」,「2」...와 같이 업 카운트(up count)한다.
한편 고레벨의 분쇄시간 설정신호(S18)는 NOR회로(57)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부여되게 되므로 그 NOR회로(57)의 출력신호는 저 레벨이 되어 트랜스퍼 게이트 NOR회로(53)는 OFF상태가 되며, 따라서, 표시용 메모리(49)에는 시계용 카운터(25)로부터의 카운트 신호(S25)는 부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고레벨의 분쇄시간설절 신호(S18)는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51)의 게이트에 가해지므로 이번에는 분쇄시간 설정용 카운터(29)의 카운트신호(S29)가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51)를 통해서 표시용 메모리(49)에 부여되게 되며, 따라서 표시장치(22)는「1」,「2」...와 같이 분쇄설정 시간표시를 행하게 된다.
그래서 표시장치(22)의 표시를 보고 예를 들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두커피량에 다른 가장 적당한 분쇄 설정시간인「7」초가 되었을때에 분쇄시간 설정킹(18)의 눌렀던것을 해제하게 되면 분쇄시간 설정신호(18)의 출력이 정지되어서 분쇄시간 설정용 카운터(29)의 카운트 동작이 정지도고, 그 카운트 값이「7」이 된다.
또한, 분쇄시간 설정신호(S18)의 출력이 정지되면 트랜스퍼 제이트 회로(51)가 OFF상태가 되며,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53)는 ON상태로 되므로 표시장치(22)는 재차 시계표시를 행하게 된다.
그후, 스타트 키이(19)를 짧은 시간동안 누르므로써 고레벨의 스타트 신호(S19)를 출력시키게되면 그저레벨에서 고레벨로 작동되므로써 플립플톱회로(33)가 세트 상태로 바꾸어져서 세트 출력단자(Q)의 세트출력신호를 고 레벨로 하게되며, 이 세트 출력신호가 저 레벨에서 고 레벨로 작동되므로써 트리거 회로(35)가 트리거 되어서 트리거 펄스를 출력하게 되며, 이 트리거 펄스가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30)의 게이트에 부여된다.
이로써 분쇄시간 설정용 카운터(29)의 카운트 신호(S29)가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30)를 통해서 부하용 카운터(31)의 프리세트 단자(PR)에 부여하게 되며, 이 부하용 카운터(31)에는 카운트 (31)에는 카운트 신호(S29)가 나타내는 카운트값「7」이 프리세트된다.
그리고, 부하용 카운터(31)에 카운트값「7」이 프리세트되면 그나트 제로 단자(NZ)의 출력신호가 고레벨이 되므로, AND회로(34)는 양 입력 신호가 고레벨이 되어 고레벨의 분쇄 구동신호(S34)를 출력하게 되며, 분쇄 구동회로(37)는 이 분쇄 구동신호(S34)가 부여되어서 분쇄용 스위치(5)를 폐쇄시키므로써 분쇄용 모우터(4)에 전기가 통하게 되어 커터를 회전시키게 되며, 따라서 원두커피의분쇄가 시작된다.
또한, 부하용 카운터(31)의 나트제로(NZ)의 고레벨 출력신호는 트랜스퍼 게이트 호로(32)의 게이트에도 부여되므로 파형정형회로(14)로부터의 클럭퍼스(P14)가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32)를 통해서 부하용 카운터(31)의 클럭단자(CK)에 부여되게 되므로 부하용 카운터(31) 매 1초마다 카운트 다운(coun down)하게된다.
또한 전술한 AND회로(34)로부터의 고레벨의 분쇄구동신호(S34)는 AND 회로(54)의 제3의 입력 단자에 부여되도록 되어있으며, 이때에는 AND회로(54)에 있어서는 분쇄시간 설정신호(S18)가 출력되어있지 않으므로 인버어트 회로(55)로부터의 고레벨의 출력신호자 제1의 입력단자에 부여되며, 시계설정신호(S17)가 출력되어있지 않으므로서 인버어터 회로(56)로부터의 고 레벨의 출력신호가 제2의 입력단자에 부여되여 있으므로 AND회로(54)는 고 레벨의 출력신호를 출력하여서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52)의 게이트에 부여되게 된다.
이로인하여 표시용 메모리(49)의 입력단자에 부하용 카운터(31)루부터의 카운트신호(S31)가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52)를 통해서 부여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AND회로(34)로 부텅듸 고레벨의 분쇄구동신호(S34)는 트랜스퍼게이트 회로(44)의 게이트에도 부여되므로 부하용 카운터(31)로부터의 카운트 신호(S31)가 트랜스퍼게이트 회로(44)를 통해서 판정회로(42)에 부여되게 된다.
그리고, 이 판정회로(42)는 카우니트 신호(S31)가 나타내는 카운트 값이「0」및 짝수일때 에는 출력신호가 고 레벨로 되고 홀수일때에는 출력신호가 저 레벨이 되므로 이 경우에는 출력신호는 카운트 신호(S31)가 나타내는 카운트 값이「6」,「4」,「2」및「0」일때에는 고 레벨이되고, 이 고 레벨의 출력신호는 AND회로(45)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부여된다.
또한, 이 AND회로(45)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는 전술한 고 레벨의 분쇄 구동신호(S34)가 부여되여 있으므로 전술한 판정회로(42)의 고 레벨의 출력신호는 AND회로(45) 및 OR회로(47)를 통해서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50)의 게이트에 부여되도록 되므로 표시용 메모리(49)로부터의 카운트 신호(S31)안의「6」,「4」,「2」및「0」의 카운트 값이 표시장치(22)에 부여된다.
이로 인항여 표시장치(22)는 1초점등, 1초 소등의2초 주기로 점멸 표시하게 되며 즉「7」초는 소등무표시, 「6」초는 점등표시,「5」초는 소등무표시,「4」초는 점등표시...「0」초는 점등표시와 같이 준쇄 잔존시간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5도, 제6도 및 제7도는 종래의 예와 본 실시예의 표시상태의 다른점을 표시한 것으로, 각도면의 (a)는 시계1초(1분용 카운터(15)의 제1자릿수), 각도면의(b)는 시계1초 단위와 같은 기간동안의 점멸 타이밍(LOW는 표시, HIGH는 무표시)을 나타낸다.
제5도는 분쇄운전 스타트시점(스타트 키이(19)를 누르는 시점)이A점일 경우이며, 부하용 카운터(31)의 카운트값은 제5(c)도와 같이 된다.
종래에는 제5(b)도의 점멸 타이밍으로 점멸표시를 하고 있었으므로 분쇄잔존시간의 표시는 제5(d)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되며, 점등 표시중에 표시수치가 바뀌는 시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제5(e)도는 본 실시예의 점멸 타이밍을 나타낸것으로서, 이것은 판정회로(42)의 출력신호이며, 그리고 제5(f)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분쇄잔존시간의 표시상태이며, 표시점멸의 타이밍과 표시수치의 전환 타이밍이 일치하고 있다.
제6도는 분쇄 운전 스타트시점이B점인 경우이며 제6(c)도의, 제6(d)도, 제6(e)도, 제6(f)도는 제5(c)도의 제5(d)도, 제5(e)도 및 제5(f)도에 대응한다.
이 경우도 시계1초 단위와 부하용 카운터(31)가 자주 동기(同期)하므로 종래에 있어서도 본실시예와 같은 표시상태가 된다.
또한, 제7도는 분쇄운전의 스타트 시점이c점인 경우이며, 제7(c)도의 제7(d)도, 제7(e)도 및제7(f)도는 제5(b)도의 제5(d)도, 제5(e)도 및제5(f)도에 대응한다.
이 경우에도 종래에는 불규칙한 표시상태가된다.
한편, 부하용 카운터(31)의 카운트값이「0」이 되면 그 나트제로 단자(NZ)의 출력신호가 저 레벨이 되므로 AND회로(34)는 고 레벨이 분쇄구동신호(S34)의 출력을 정지 하게되며, 분쇄구동회로(37)는 분쇄용 스위치(5)를 개방시켜서 분쇄운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부하용 카운터(31)의 나트제로 단자(NZ)의 출력신호가 저 레벨이 되면 인버어트 회로(39)의 출력신호가 고 레벨로 되며,따라서 AND회로(38)는 고 레벨의 추출 구동시니호(S38)를 출력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추출 구동회로(40)는 추출용 스위치(8)를 폐쇄시키게 되어 전기 히이터(7)에 전기가 통하게 되어 분쇄케이트 안에 급탕(給湯)을 개시하게 되므로 커피액의 추출이 시작된다.
또한 AND회로(34)로 부터의 분쇄구동신호(S34)의 출력이 정지되면, AND회로(54)이 출력신호가 저 레벨이 되며, 이로인하여 트래스퍼게이트 회로(52)가 OFF상태로 되어 부하용 카운터(31)로 부터의 카운트 신호(S31)가 표시용 메모리(49)에는 부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AND회로(54)의 출력신호가 저 레벨이고 또한 분쇄시간 설정신호(S18)가 출력되어있지 않으므로서 NOR회로(57)의 출려신호는 고 레벨로 되며, 이번에는 시계용 카운터(25)의 카운트 신호(S25)가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53)를 거쳐서 표시용 메모리(49)에 부여된다.
더구나 AND회로(38)로부터의 고 레벨의 추출구동신호(S38)는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43)의 게이트에도 부여되므로 1분용 카운터(15)의 카운트신호(S15)가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43)를 거쳐서 판정회로(42) 입력단자에 부여되게 되어 판정회로(42)는 카운트 신호(S15)가 나타 내는 카운트 값중 제1자릿수의 카운트 값이「0」및 짝수일때에는 출력신호를 고 레벨로 하게되어 이 출력신호는 AND회로(45)의 한쪽 입력단자에 부여된다.
이때, AND회로(45)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는 고 레벨의 추출 구동신호(S38)가 OR회로(46)를 통해서 부여되어 있으므로 판정회로(42)의 고레벨출력신호는 AND회로(45)및 OR회로(47)를 거쳐 트랜스터 게이트 회로(50)의 게이트에 부여되게 되며, 따라서 표시장치(22)는 2초 주기로 점멸하여 시계표시를 행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같이 분쇄운전중 혹은 추출 운전중 혹은 추출 운전의 종료 시에 스톱키이(20)를 짧은 시간 동안만 눌러서 스톱신호(S20)를 출력시킨 경우에는 플립플롭 회로(33)가 리세트 상태로 바꾸어져서 그 세트 출력단자(Q)의 세트 출력신호를 저 레벨로 하게 되므로써 AND회로(34), (38)의 각 한쪽의 입력신호가 저 레벨리 되어 분쇄구동신호(S34)혹은 추출구동신호(S38)의 출력을 정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분쇄 운전시에는 분쇄잔존시가니을 카운트 다운하여 분쇄운전시간을 제어하는 부하용 카운터(31)의 카운트값에 의거하여 표시장치(22)의 수치표시를 점멸시키도록 했으므로 수치표시의 정멸타이밍과 수치표시의 전화타이밍을 일치킬 수 있으므로 점멸할때마다 수치가 전환되는 규칙적인 점멸표시가 되어 표시가 보기쉽게 되어서 오인할 우려가 없어지는 것이다.
또한, 위와같은 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22)의 표시를 2초 주기로 점멸시키도록 했는데, 이 점멸하는 주기는 소망하는 대로 설성하면 된다.
또한 위와같은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커피제조기에 적용시킨 경우인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시계용 카운터와 부하용 카운터를 갖추어서 부하를 운전 할때에는 부하용 카운터의 타운트값을 표시 점멸시키도록한 전기 기기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
그외 본 발명은 전술하고 또한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아나에서 적당히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타이며 장치는 설명한 바와같이 부하의 운전시에는 부하용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그 카운트값에 의거하여 점멸표시시키도록 했으므로 표시점멸의 타이밍과 표시전환의 타이밍을 일치시킬 수 있게 되어 표시가 보기쉽게 되어서 오인할 우려가 없는 뛰어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시계용 카운터와, 부하의 운전시간을 제어하는 부하용 카운터와, 표시장치를 구비한 타이머 장치에 있어서, 이 표시장치는 평상시에는 전술한 시계용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표시시켜서 전술한 부하의 운전시에는 전술한 부하용 카운트의 카운트 값을 그 카운트값에 의거하여 점멸표시시키는 제어회로를 구비하여서 된 타이머 장치.
KR1019850004461A 1984-09-14 1985-06-24 타이머 장치 KR890002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3083 1984-09-14
JP59193083A JPH0797741B2 (ja) 1984-09-14 1984-09-14 タイマ−装置
JP59-193093 1984-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848A KR860002848A (ko) 1986-04-30
KR890002041B1 true KR890002041B1 (ko) 1989-06-08

Family

ID=1630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461A KR890002041B1 (ko) 1984-09-14 1985-06-24 타이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44571A (ko)
JP (1) JPH0797741B2 (ko)
KR (1) KR890002041B1 (ko)
DE (1) DE3532528A1 (ko)
GB (1) GB2165671B (ko)
NL (1) NL85024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7758A (en) * 1988-04-08 1989-08-15 Worldtronics International Cycle timer for household appliance
US4872402A (en) * 1988-07-06 1989-10-10 Black & Decker Corporation Carafe-operated coffee brewing system
JPH05161551A (ja) * 1991-12-11 1993-06-29 Kazuo Enomoto コーヒーメーカ
ATE146054T1 (de) * 1992-07-01 1996-12-15 Sintra Holding Ag Gerät zum zubereiten von heissen getränken
FR2699388B1 (fr) * 1992-12-22 1995-03-17 Philips Electronique Lab Appareil pour infuser un produit.
DE4331164C1 (de) * 1993-09-14 1994-12-22 Hgz Maschinenbau Ag Steuerung für einen Kaffeemaschinenautomaten
US5417145A (en) * 1993-09-17 1995-05-23 National Controls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ffee grinder and brewer
US5660336A (en) * 1995-02-10 1997-08-26 National Controls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ffee grinder and brewer
US7013795B2 (en) * 2002-01-10 2006-03-21 Conair Corporation Grind and brew coffe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7861A (ko) * 1971-10-19 1973-07-06
US4196582A (en) * 1975-01-06 1980-04-08 Ebauches S.A.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watch
US3953964A (en) * 1975-02-13 1976-05-04 Timex Corporation Single switch arrangement for adjusting the time being displayed by a timepiece
JPS52101739A (en) * 1975-10-31 1977-08-26 Toshiba Corp Digital timer for electronic range
US4164844A (en) * 1977-07-13 1979-08-21 Societe Suisse Pour L'industrie Horlogere Management Services S.A. Timepiece display indicator
CH625667B (fr) * 1977-12-21 Ebauches Electroniques Sa Piece d'horlogerie electronique avec signal acoustique signalant un mode de fonctionnement particulier.
CH628490B (de) * 1978-08-08 Bbc Brown Boveri & Cie Elektrooptische anzeigevorrichtung.
US4379339A (en) * 1978-12-18 1983-04-05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Electronic timer
US4459524A (en) * 1980-12-24 1984-07-10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Food processor
DE3170063D1 (en) * 1980-12-27 1985-05-23 Toshiba Kk Coffee maker
DE3263605D1 (en) * 1981-01-22 1985-06-13 Toshiba Kk Coffee maker
US4566802A (en) * 1984-08-16 1986-01-28 Worldtronic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cycle timer for a household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65671A (en) 1986-04-16
DE3532528A1 (de) 1986-03-27
GB8522614D0 (en) 1985-10-16
GB2165671B (en) 1987-10-14
JPH0797741B2 (ja) 1995-10-18
NL8502497A (nl) 1986-04-01
JPS6171717A (ja) 1986-04-12
US4644571A (en) 1987-02-17
KR860002848A (ko) 1986-04-30
DE3532528C2 (ko) 1989-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041B1 (ko) 타이머 장치
US4330702A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coffeemaker
US4459524A (en) Food processor
US4412481A (en) Coffee maker
KR890002042B1 (ko) 타이머 장치
EP0057079B1 (en) Control device for coffee extractor
EP0135930B1 (en) Power source off delay timer with liquid crystal display
KR850001480B1 (ko) 히이터회로의 상태판정 장치
KR870001308B1 (ko) 부하 구동 장치
JPH0116491B2 (ko)
JPS5927843Y2 (ja) 炊飯器の表示装置
JPS6343085B2 (ko)
JPS6132007B2 (ko)
KR910009442Y1 (ko) 전기약탕기의 제어회로
JPS6341575B2 (ko)
JPS6132009B2 (ko)
JPS61181419A (ja) コ−ヒ−ミル
JPS62189024A (ja) コ−ヒ−抽出器
JPS6132008B2 (ko)
JPH024284B2 (ko)
JPS6324220B2 (ko)
JPS6346685B2 (ko)
JPH0524770B2 (ko)
JP2002058158A (ja) 電力給電契約対応電力負荷設備
JPS621363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