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7904A - 인쇄 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7904A
KR850007904A KR1019850002521A KR850002521A KR850007904A KR 850007904 A KR850007904 A KR 850007904A KR 1019850002521 A KR1019850002521 A KR 1019850002521A KR 850002521 A KR850002521 A KR 850002521A KR 850007904 A KR850007904 A KR 850007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image data
flatness
calculating
eff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812B1 (ko
Inventor
도오루 오자끼 (외 2)
Original Assignee
야마모도 다꾸마
후지쓰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07452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181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12782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67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7043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4858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48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08387A/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도 다꾸마, 후지쓰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도 다꾸마
Publication of KR850007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2Glob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the whole pattern, e.g. using frequency domain transformations or autocorr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40Analysis of texture
    • G06T7/41Analysis of texture based on statistical description of tex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68Image quality insp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쇄 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인쇄패턴들의 밀도와 그의 평탄성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의 개통도.
제2도는 밀도와 평탄성이 검출될 인쇄문자 패턴들의 예시도.
제3도는 분절도로서 분절내의 화소배열도.

Claims (16)

  1. 각 분절내의 다수의 영상데이타의 밀도분포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과, 각 분절내의 유효영상 데이타의 영역으로 상기 밀도분포를 정상화시키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 기사상에 인쇄된 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밀도분포 계산수단은, 각 분절내의 상기 다수의 영상 데이타를 수신하여 그의 차동값을 발생시키는 차동회로와, 상기 차동값들을 수신하고, 예정된 값으로 수신된 차동값들을 변별하고 그리고 그 수신된 값들을 상기 변별에 반응하여 특정한 값으로 변환시키는 제1변별변환회로와, 각 분절내의 상기 다수의 영상데이타를 수신하고, 예정된 값으로 그 수신된 영상데이타를 변별하고 그리고 그 수신된 영상데에타를 상기 변별에 반응하여 특정한 값으로 변환시키는 제2변별변환회로와, 상기 제1 및 제2변별변환 회로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합성하여 인쇄 팬턴들의 유효영역을 찾기 위한 회로와, 그리고 유효영역을 참조하여 영상데이타의 밀도 도수 분포도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기사상에 인쇄된 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정상화수단은, 발견된 유효영역을 근거하여 유효분절들을 판정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유효분절 수단에서 판정된 상기 유효분절들의 밀도도수분포도의 총유효 영역 A와 예정된 값들에 관련하여 상기 밀도 도수분포도의 부분유효영역 Bi(i=1,2,…N)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각 유효 분절내의 밀도 평탄성을 나타내는 비 Ci=Bi/A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인쇄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유효 분절 판정수단은 협동하는 돌출데이타 계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데이타 계산수단은 유효 분절내의 영상데이타의 수를 계수하며, 상기 합성수단은 상기 돌출데이타 계산수단에서 계수된 상기 돌출데이타를 근거하여 인접한 분절들을 합성하는 것이 특징인 인쇄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밀도분포 계산수단은 합성회로의 입력단자들에서 제1변별 변환회로로 부터 출력된 신호와 그것을 동기시키도록 예정된 시간에 제2변별 변환회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해 상기 제2변별 변환회로와 상기 합성회로간에 배치된 지연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인쇄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밀도분포 계산 수단은, 각 분절내의 상기 다수의 영상데이타를 수신하여 그의 차동값을 발생시키는 차동회로와, 상기 차동값을 수신하고, 그수신된 차동값들을 예정된 값과 변별하고 그리고 상기 변별에 반응하여 수시된 차동값들을 특정한 값으로 변환시키는 변별 변환회로와, 중심부분에 대하여 인접한 구획들상에 놓여있는 영상 데이타의 최대값을 추출하기 위한 회로와 중심부분에서의 영상 데이타와 최대값을 수신하여 변별 변환 회로로부터 출력신호에 반응하여 수신된 데이타 중 하나를 출력시키는 선택기와, 그리고 영상 데이타의 밀도 도수분포도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인쇄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정상화 수단은, 상기 밀도 도수분포도 계산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밀도 도수분포도내에 내포된 배경 데이타를 분리시키기 위한 수단과, 배경 데이타가 상기 배경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되는 밀도 도수분포도의 총유효영역 A와 예정된 값을 참조하여 상기 밀도 도수 분포도의 부분유효영역 Bi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유효 분절들내의 밀도 평탄성을 나타내는 비 Ci=Bi/A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인쇄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정상화 수단은 밀도평탄성 계산수단에서 유효 분절들만에 대한 상기 비의 계산을 시행하도록 각각의 총영역 A를 참조하여 유효분절들을 찾아내기 위해 상기 영역계산수단과 상기 밀도 평탄성 계산 수단간에 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인쇄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밀도분포 계산수단은, 각 분절내의 상기 다수의 영상데이타를 수신하여 그의 차동값들을 발생시키는 차동회로와, 상기 차동값과 영상데이타를 수신하여 수신된 차동값을 예정된 값과 비교하고 그리고 상기 비교된 출력에 반응하여 영상 데이타 또는 상수값중 어느것을 출력시키는 변별 선택회로와, 그리고 영상데이타의 밀도도수 분포도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인쇄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정상화 수단은, 상기 밀도도수 분포도 계산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밀도도수 분포도내에 내포된 배경데이타를 분리시키기 위한 수단과 배경 데이타가 상기 배경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되는 밀도도수 분포도의 총 유효영역 A와 예정된 값들을 참조하여 상기 밀도도수 분포도의 부분 유효영역 Bi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유효분절들 내의 밀도 평탄성을 나타내는 비 Ci=Bi/A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인쇄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정상화 수단은, 밀도평탄성 계산수단에서 유효분절들에 대해서만 상기 비의 계산을 시행하도록 각각의 총영역 A를 참조하여 유효분절들을 찾아내기 위해 상기 영역계산수단과 상기 밀도평탄성 계산수단사이에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인쇄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판정수단에서 상기 판정값을 근거하여 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인쇄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다수의 영상데이타를 보분절데이타로 묶어주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인쇄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14. 제2항에서, 상기 장치는 메모리내의 분절영역으로 상기 영상 데이타를 기억시키기 위한 메모리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인쇄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15. 제1항에서, 상기 장치는 영상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인쇄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16.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50002521A 1984-04-13 1985-04-13 인쇄패턴의 농담과 균일성 평가장치 KR900004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74521A JPS60218165A (ja) 1984-04-13 1984-04-13 濃淡むら検出回路
JP59-074521 1984-04-13
JP59127827A JPS616774A (ja) 1984-06-21 1984-06-21 濃淡むら検出装置
JP59-127827 1984-06-21
JP59270437A JPS61148584A (ja) 1984-12-21 1984-12-21 濃淡むら検出回路
JP59-270437 1984-12-21
JP60048897A JPS61208387A (ja) 1985-03-12 1985-03-12 濃淡むら検出回路
JP60-48897 1985-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904A true KR850007904A (ko) 1985-12-09
KR900004812B1 KR900004812B1 (ko) 1990-07-07

Family

ID=27462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521A KR900004812B1 (ko) 1984-04-13 1985-04-13 인쇄패턴의 농담과 균일성 평가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36315A (ko)
EP (1) EP0159880B1 (ko)
KR (1) KR900004812B1 (ko)
AU (1) AU558127B2 (ko)
CA (1) CA1226948A (ko)
DE (1) DE358748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1392A (en) * 1986-02-13 1989-05-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pulse width modulation with improved sensitivity
US5333113A (en) * 1988-04-15 1994-07-2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ecording and using scene information in a photographic system
JPH02301295A (ja) * 1989-05-15 1990-12-13 Dainippon Printing Co Ltd ビデオプリンタ装置
US5194720A (en) * 1991-04-25 1993-03-1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on-line integrated decoding and evaluation of bar code data
DE59208384D1 (de) * 1991-08-12 1997-05-28 Koenig & Bauer Ag Qualitätskontrolle einer Bildvorlage z. B. eines gedruckten Musters
DE4142481A1 (de) * 1991-08-12 1993-02-18 Koenig & Bauer Ag Qualitaetskontrolle einer bildvorlage z. b. eines gedruckten musters
US5337122A (en) * 1993-06-23 1994-08-09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ICR printing quality control
EP0726456A4 (en) * 1993-10-26 1998-11-25 Asahi Chemical Ind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INHOMOGENICITY OF GLOSS AND THICKNESS OF A PRINTED IMAGE
US5588094A (en) * 1994-01-03 1996-12-24 Tektronix, Inc. Post-processing bit-map decimation compensation method for printing high quality images
US5563985A (en) * 1994-01-05 1996-10-08 Xerox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method to reduce marking material coverage in printing processes
US6081340A (en) * 1997-03-31 2000-06-27 Xerox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method to reduce marking material coverage with non-linear specifications
JP2002229280A (ja) * 2001-01-31 2002-08-14 Sharp Corp トナー位置ずれ検出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トナー位置ずれ検出方法
JP5701182B2 (ja) 2011-08-18 2015-04-15 株式会社Pfu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701181B2 (ja) * 2011-08-18 2015-04-15 株式会社Pfu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025184B1 (ko) * 2013-07-31 2019-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49227A (en) * 1963-08-16 1966-11-23 Ibm Apparatus for measuring means values of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e.g. a printedsheet
US3842422A (en) * 1973-10-12 1974-10-15 Transidyne Ge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signals
US4005434A (en) * 1975-03-24 1977-01-25 Helena Laborator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phic densitometer display
JPS57188177A (en) * 1981-05-15 1982-11-19 Fuji Xerox Co Ltd Picture signal processing device
US4573798A (en) * 1981-09-16 1986-03-04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attern area percentage for engraving films
JPS5885448A (ja) * 1981-11-17 1983-05-21 Ricoh Co Ltd 記録濃度関連値検出方法
GB2115256B (en) * 1981-12-19 1986-01-29 Konishiroku Photo Ind Picture image discriminating apparatus
GB2114847B (en) * 1981-12-26 1986-02-12 Konishiroku Photo I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between linear and tonal picture video signals
DE3382418D1 (de) * 1983-01-26 1991-10-31 Ibm Deutschla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ermitteln und einregeln der druckqualitaet eines druck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59880A2 (en) 1985-10-30
KR900004812B1 (ko) 1990-07-07
EP0159880A3 (en) 1988-05-11
CA1226948A (en) 1987-09-15
DE3587488T2 (de) 1993-11-18
EP0159880B1 (en) 1993-08-04
DE3587488D1 (de) 1993-09-09
AU4108585A (en) 1985-10-17
AU558127B2 (en) 1987-01-22
US4736315A (en) 198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7904A (ko) 인쇄 패턴들의 밀도와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US4888646A (en) Optimal image-quality selection apparatus
JPS5698634A (en) Printed matter testing device
EP0310032B1 (en) Motion detection circuit
US4747149A (e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KR910005102A (ko)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
EP0154449A2 (en) Real time character thinning system
KR910012995A (ko) 화상가공장치
KR920003750A (ko)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
KR900015024A (ko) 상관연산장치
CA2028092A1 (en) Binary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4449239A (en) Method and circuit for segmentation of characters from a serially-read character sequence
JPS5758477A (en) Video recorder
JPS5520470A (en) Signal processing method in surface defect detection of high-temperature tested material
EP0160364A2 (en) Binarizing system of picture image signals
JPS5757096A (en) Correlation tracking device
JPS54155731A (en) Graphic collation system
JPH04339471A (ja) 画像領域識別装置
JPS5738066A (en) Picture area discriminating method
JPS5672784A (en) Character reader
JP3294871B2 (ja) 網点領域抽出装置
JPS55119781A (en) Binary system
KR100205228B1 (ko) 신경회로망
KR920006875A (ko) 마크검사방법
JPS59158479A (ja) 文字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