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3189Y1 - 실내배선용 박스류 - Google Patents

실내배선용 박스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3189Y1
KR850003189Y1 KR2019830010059U KR830010059U KR850003189Y1 KR 850003189 Y1 KR850003189 Y1 KR 850003189Y1 KR 2019830010059 U KR2019830010059 U KR 2019830010059U KR 830010059 U KR830010059 U KR 830010059U KR 850003189 Y1 KR850003189 Y1 KR 850003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resent
construction
boxes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0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509U (ko
Inventor
정희관
Original Assignee
정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관 filed Critical 정희관
Priority to KR2019830010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3189Y1/ko
Publication of KR8500045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5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3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1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81Housings or casings incorporating or embedd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내배선용 박스류
첨부도면은 본 고안 합성수지제 박스류의 예시도로,
제1(a)도는 스윗치 또는 컨센터의 두개씩이 내설되는 종류의 박스를 본 고안으로 형성한 것을 예시한 전측면 사시도.
제1(b)도는 제1(a)도의 종단면확대도로,
배판부와 전측갑체부와를 분리표시한 것.
제1(c)도는 제1(a)도의 배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구성한 등기용박스의 전측면사시도.
제3도는 한개의 스윗치를 내설하는 종류의 박스를 본 고안으로 형성한 것의 전측사시도.
제4(a)도는 제3도의 박스에서 스윗치를 제거하고서 배판부와 전측갑체부와를 해체분리한 사시도.
제4(b)도는 제4(a)도를 조립한 것의 횡단면도.
제4(c)도는 본 고안 박스에 형성시킨 모서리구멍부를 경유하여 목제형틀판에 못으로 박스를 임시고정함을 설명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측갑체부 2 : 철근협지돌출부
2' : 협지용만곡부 3 : 배판부
4, 4' : 모서리구멍부 5 : 전측주연부
5' : 후측주연부 6 : 내향돌출전측주연부(공지)
7, 7', 7'' : 동일체형 박스류 8 : 배수공
9 : 목제형틀판 10 : 철근구조부
11 : 소원반형부 12 : 함입원부
13 : 스윗치, 또는 컨센터 14 : 고정용 못
15 : 못
본 고안은 실내배선에 사용하는 합성수지제 용도별박스류의 진보계량에 관한 것이다.
철근콩크리트 건물의 건축공사에서는 박스류의 배설시공을 병행함이 필요한 관례인 바, 철제박스류를 배설시공시 철제터널품(이는 충입되는 콩크리트몰탈이 경화되기까지 보유하는 철제형틀을 말함)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설명하면, 그 철제박스의 후측부를 선택되는 위치의 철근구조부에 용접착설하여 임시적으로 고정한 다음에, 그 박스의 전측개구부만을 노출시키고서 기타의 주위부는 매입되도록 건축용의 콩크리트몰탈을 충입후 경화시켰던 것이다.
그러므로, 철제터널품을 사용하는 건축공사에서 철제박스류의 배설시공을 병행하는 경우에는, 그 철제박스를 선택된 철근구조부에 용접시공함이 불가결의 요건으로 되기 때문에 번잠성과 비용부담을 가중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 철제터널품 아닌 목제형틀판을 사용하는 건축공사에서 박스류 배설시공의 병행에서는, 철제박스류의 배판부 중앙부의 천공된 몇개의 못구메을 경유하고서 그 목제형틀판에 길다란 못 몇개를 타입하여, 그 철제박스를 목제형틀판에 임시 고정한 다음에 건축용 콩크리트몰탈를 충입후 경화가 완결되면, 목제형틀판을 경화된 콩크를트로 부터 해체본리하고서 박스의 내측으로 돌출된 못 몇 개의 선단부를 절단제거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들의 못을 절단함에 있어서는, 그 첨제박스의 협소한 전측개구부를 경유하여 절단공구를 삽입하고 박스의 협소한 내측공간부 속에서 절단조작을 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크고 따라서 못의 절단작업은 그 능률이 크게 경감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첨제박스류의 시설공사에서 필요로 하는 용접시공의 폐단을 배제하는 것, 또 철제박스류에서 못구멍을 중앙부에 형성시켰음에서 기인되던 불편성을 편리화 하는 것, 또 건축공사에서는 박스의 시설공사를 병행함이 관례인 바, 이와 같이 박스의 시설공사를 병행시에, 박스의 외측여 충입되는 콩크리트몰탈의 중량과 유체적압력에 기인되는 박스에 대한 내향압력(외압)에 의하여 합성스지제 박스가 내향으로 굴곡변형되는 폐단이 있을 우려가 크므로, 이와 같은 굴곡변형의 폐단이 배제되는 합성스지 박스류를 얻는것, 또 철제터널품을 사용하는 건축공사가 수행되는 경우, 또는 목제형틀판을 사용하는 건축공사가 수행되는 경우에도 그 건축공사의 종류여하에 구애를 받음이 없이 박스의 시설공사가 병행될 수 있는 박스류를 얻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성취한 실내배선용 합성수지제 박스류의 고안이다.
본 고안 박스류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의 예시도에 따라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해체분리식 사출성형법으로 내향돌출전측주연부(6)가 배설된 실내배선용 합성수지제 용도별박스류의 형성에 있어서, 두갈래한쌍형 철근협지돌출부(2)의 한쌍 이상을 배판부(3)의 후측에 배설하고, 전측에는 전측갑체부(1)의 후측주연부(5')가 외상 감합되는 전측주연부(5)를 형성하며, 네군데의 모서리부에 모서리구멍부(4)(4)(4)(4)를 통설한 배판부(3)와, 모서리구멍부(4')(4')(4')(4')를 모서리부에 통설하고, 전측주연부(5)를 외측으로 부터 합치감삽하는 후측주연부(5') 배설의 전측갑체부(1)와를, 그 전측주연부(5)와 후측주연부(5')에서 감착고정하여 용도별 박스류(7)(7')(7'')…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배설용 박스류의 고안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박스류는 공지인 용도별형태와 크기로 되는 여러 종류의 박스를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을 공통구성으로 하고서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 박스류의 종류는 도면에 표시한 박스류(7)(7')(7'')에만 국한됨이 없으며, 용도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실내배선용 합성수지제 박스류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 소원반형부(11)는 이를 타격함으로서 함입원부(12)에서 분리하여 배선관삽입공을 형성시키는 공지구조부이다. 고정용못(14)의 사용은 필수요건이 아니다. 협지용만곡부(2')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천정에 배설하는 박스 이외의 박스류에는, 그 내향돌출전측주연부(6)의 일측에 가능하면 배수공(8)을 통설함에 의하여 콩크리트몰탈로 부터 스며드는 물이 박스로 부터 자연배출되게 한다.
그리고 상술한 공지의 내향돌출전측주연부(6)는 전측갑체부(1)의 전측에 반드시 동일체로 하고서 형성시킨다. 그리고 철근협지돌출부(2)는 배판부(3)와의 동일체형으로, 또는 배판부(3)의 주연부로부터 횡으로 삽탈되는 별개형의 구성으로도 실시하는 바, 이는 본 고안에서 임의 선택한다.
철근협지돌출부(2)를 상술의 삽탈식으로 구성시는, 합성스지 사출성형에서 편리성이 있게 되는 바, 이는 공지의 사출성형법에서 이용하는 해제분리개별성형법의 응용으로 되며, 그 작용효과는 상술한 동일체형의 철근효지돌출부(2)와 같다. 또 전측주연부(5)와 후측주연부(5')와의 감착고정에서는, 전측주연부(5)와 후측주연부(5')와를 접착제로 합착함이 바람직하나, 필수요건은 아니다.
본 고안 박스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철제터널품 방식의 철근콩크리트 건축공사시에 본 고안박스의 배설시공을 병행함에 있어서는, 본 고안박스의 배판부(3)에 배설된 두갈래한쌍형 철근협지돌출부(2)의 협지용만곡부(2')(2')에서 선택되는 부분의 철근구조부(10)를 협지하여 본 고안의 박스를 임시고정한 다음에, 이 임시고정된 박스에 외측으로 건축용 콩크리트몰탈이 충입되게 하고서 경화시킨다. 그러므로 철제박스류를 사용시에 부대적으로 수행되던 번잡하고도 비용부담이 부가되는 용접시공의 폐단을 배제하고서 박스의 시설공사가 경편히 수행되는 성과가 있는 바, 이는 배판부(3)의 배면부에 배설된 철근협지돌출부(2)가 갖어오는 성과이다. 그리고, 그 건축공사가 목제형틀판(9) 사용방식인 경우에는, 모서리구멍부(4)… 및 (4')…에 못을 삽통하고서 그 목제향틀판(9)에 못(15)(15)…을 타입함으로서 박스를 제4(c)도와 같이 목제형틀판(9)에 임시고정한 다음, 임시고정된 박스와 외측에 건축용 콩크리트몰탈이 충입되게 하고서 경화시킨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박스는, 건축공사의 종류여하에 구애됨이 없이 그 건축공사와 병행시설함이 가능한 박스로 되는 성과과 있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콩크리트몰탈의 경화가 완결후, 그 목제형틀판(9)을 해체분리하여 제거하면 모서리구멍부(4)… 및 (4')…에 못이 삽통된 그대로 이들 못의 선단부가 자유공간부에로 노출되는 것이다.
자유공간부에 노출된 못을 절단함은 종래의 철제박스에서와 같이 박스의 협소한 내측공간부에로 노출된 못을 절단하는 경우보다 절단작업의 편리성과 능률성이 향상되는 성과가 있다.
그리고 건축공사와 박스의 시설공사의 병행에서는 콩크리트몰탈이 박스의 외측으로 충입되므로, 콩크리트몰탈이 절단하는 경우보다 절단작업의 편리성과 능률성이 향상되는 성과가 있다.
그리고 건축공사와 박스의 시설공사의 병행에서는 콩크리트몰탈이 박스의 외측으로 충입되므로, 콩크리트몰탈이 경화되기에 앞서는 단계에서는, 콩크리트몰탈의 자체중량과 몰탈이 갖는 유체적 압력이 박스에 대하여 외압(내향압력)으로 작용하므로, 특히 박스의 전측갑체부(1)는 내향굴곡을 유발하는 폐단이 유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박스에서는 그 전측갑체부(1)에 공지의 내향돌출전측주연부(6)가 내향돌출형으로 돌설되어서 전측갑체부(1)의 전측부를 외압에 대하여 크게 보강하며, 또 후측주연부(5')는 [배판부(3)의 전측주연부(5)에 외삽고정 되어서 전측갑체부(1)의 후측부도 외압에 대하여 크게 보강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박스의 시설공사시에 본 고안의 박스가 외측으로부터 충입되는 콩크리트몰탈의 유체압력적 외압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박스가 내향굴곡변형되는 폐단이 방지되는 성과도 보유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박스를 전측주연부(5)와 후측주연부(5')에서 감착고정하여 본 고안의 박스를 형성하기 이전의 단계에서는, 배판부(3)와 전측갑체부(1)가 개별분리로 개별형성되기 때문에, 이들 각각의 구조부를 사출성형별으로 개별성형후에 전측주연부(5)와 후측주연부(5')에서 접착제를 중간에 칠하고 합치감착하여 본 고안의 입체형박스를 향성함으로서, 공지의 해체분리식 개별사출성형법이 응용되게 하였다. 그러므로 합성수지 사출성형법으로 박스를 형성함에 있어서도, 능률화가 기대되는 성과도 본 고안이 보유하는 것이다.

Claims (1)

  1. 해체분리식 사출성형별으로 내향돌출전측주연부(6)가 배설된 실내배선용 합성수지제 용도별박스류의 형성에 있어서, 두갈래 한쌍형 철근협지돌출부(2)의 한쌍 이상을 배판부(3)의 후측에 배설하고, 전측에는 전측갑체부(1)의 후측주연부(5')가 외삽감합되는 전측주연부(5)를 형성하며, 네군데의 모서리부에 모서리구멍부(4)(4)(4)(4)를 통설한 배판부(3)와, 모서리구멍부(42)(4')(4')(4')를 모서리부에 통설하고, 전측주연부(5)를 외측으로부터 합치감삽하는 후측주연부(5') 배설의 전측갑체부(1)와를, 그 전측주연부(5)와 후측주연부(5')에서 감착고정하여 용도별의 박스류(7')(7')(7'')…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배선용 박스류.
KR2019830010059U 1983-11-28 1983-11-28 실내배선용 박스류 KR850003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059U KR850003189Y1 (ko) 1983-11-28 1983-11-28 실내배선용 박스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059U KR850003189Y1 (ko) 1983-11-28 1983-11-28 실내배선용 박스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509U KR850004509U (ko) 1985-07-22
KR850003189Y1 true KR850003189Y1 (ko) 1985-12-24

Family

ID=1923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0059U KR850003189Y1 (ko) 1983-11-28 1983-11-28 실내배선용 박스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31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509U (ko) 198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5973A (en) Form assembly for building framework
US4742655A (en) Device in concrete structures
ITUB20156233A1 (it) Cassero per la produzione di un elemento di fondazione in calcestruzzo, in particolare un plinto con barre di armatura a vista orizzontali; plinto realizzato con tale cassero e struttura comprendente tale plinto.
EP0065486A3 (en) A constant cross-sectional elongated piece of work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is piece of work
KR850003189Y1 (ko) 실내배선용 박스류
EP0056173B1 (en) Air grating for use in the masonry of a building
KR100746669B1 (ko) 직교되는 보강재를 갖는 한 쌍의 익스펜디드 메탈라스를이용한 매립형 거푸집 시스템
KR200141836Y1 (ko) 내.외장재를 갖춘 벽체 시공용 패널
US4106743A (en) Adjustable bulkhead for concrete wall forms
WO1983002128A1 (en) Prefabricated concrete reinforcement element and method for making reinforcement joints
JPS5919051Y2 (ja) 亀裂誘発目地棒
ES2147814T3 (es) Elemento de encofrado.
FI117722B (fi) Menetelmä ja laite betonirakenteen raudoitetun työsauman valmistamiseksi
KR930005580Y1 (ko) 결착구에 의하여 조립되는 거푸집 단열 판넬
JP2710012B2 (ja) 建設用型枠
JP3000451B2 (ja) 型 枠
JPH0531159Y2 (ko)
KR200221413Y1 (ko) 거푸집설치용 고정못
JP2512327Y2 (ja) 地中梁用コンクリ―ト型枠
JPS6039379Y2 (ja) 梁フレ−ム
GB2125873A (en) A method of construction
CA1103950A (en) Form assembly for building framework
KR200178985Y1 (ko) 표면처리용 패널
JPS6321620Y2 (ko)
JPS6443645A (en) Joint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ing bar in concrete gro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