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572Y1 - 코오킹 장치 - Google Patents

코오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572Y1
KR850002572Y1 KR2019820002698U KR820002698U KR850002572Y1 KR 850002572 Y1 KR850002572 Y1 KR 850002572Y1 KR 2019820002698 U KR2019820002698 U KR 2019820002698U KR 820002698 U KR820002698 U KR 820002698U KR 850002572 Y1 KR850002572 Y1 KR 850002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welfare
main shaft
foot pedal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2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480U (ko
Inventor
세키후미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34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4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5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4Sett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12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796Puller or pusher means, contained force multiplying operator
    • Y10T29/53826Arbor-type pr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lide Fasteners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오킹 장치
제1도는 이 고안의 코오킹장치의 실시예를 표시한 일부 절단 측면도.
제2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제1도의 II - II 선, III - III 선 및 IV- IV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주축 26 : 작동로드
31 : 스톱퍼 33 : 검지레버
36 : 하형(下型) 44 : 상형(上型)
이 고안은 단추, 아이렐(eyelet), 훅(hook)등을 복지(服地)에 부착시키는 코오킹(caulking)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코오킹장치는 일반적으로 테이블에 설치된 하형(下型)과, 이 하형위에 배치되어 모오터등으로 승강하는 상형(上型)이 달려있으며, 이 테이블 위에 복지를 올려놓고 발 페달을 밟아서 상형이 내려와서 단추등의 부품을 코오킹하도록 되어있다. 이때, 복지가 기울어진 상태로 놓여있으면 단추등이 기울게 되어 모양이 나빠지므로, 복지는 수평으로 바르게 올려놓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복지를 손으로 잡아서 인위적으로 테이블위에 올려놓기 때문에 바르게 올려놓기가 어려웠다. 또한 복지를 올려놓는
이 고안은 상술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지를 정확히 올려놓지 않는한 발페달을 밟아도 상형이 동작하지 않게하여, 정확하게 단추를 달 수 있고, 안전성이 있는 코오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1)은 프레임이며, 상부에는 축 지지부(2)(3), 하부에는 테이블(4)이 있으며, 이 테이블(4)은 기대(基台)(5)에 부착되어 있다. 축 지지부(2)(3)에는 베어링(6)(7)을 거쳐서 주축(8)이 지지되어 있다. 이 주축(8)의 일단에는 풀리(9)가 베어링(10)을 거쳐서 지지되어 있다. 이 풀리(9)는 모오터(도시안됨) 사이에는 벨트(11)가 걸쳐져 있다. 이 풀리(9)와 주축(8)은 다음과 같이 1회전 클럿치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주축(8)에는 다각형으로된 보스(boss)(12)와 키이(13)를 거쳐서 고착되어 있고, 풀리(9)의 내주(內周)에는 링(14)이 고착되어 있다. 이 보스(12)와 링(14)사이에 중간링(15)이 링(14)에 대하여 잘 회전되도록 끼워져 있다. 이 중간 링(15)에 형성된 여러개의 긴구멍(15a)에 로울러(17)가 끼워져있으며, 각 로울러(17)는 상기 보스(12)와 외주(外周)와 링(14)의 내주에 접촉되어 있다. 중간 링(15)의 일부는 풀리(9)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이 돌출부(15')에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다(제3도 참조). 이 돌출부(15')의 내주에는 주축(8)이 고착되어 있는 캠(18)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 캠(18)과 중간 링(15)사이에는 인장스프링(46)이 걸려있다.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프레임(1)에는 축(19)을 거쳐서 걸림레버(20)가 달려있고, 이 걸림레버(20)의 걸림턱(21)과 중간링(15)의 걸림턱(16)이 맞물려있다. 이 걸림레버(20)에는 걸림핀(22)이 달려있고, 이 걸림핀(22)은 캠(18)에 닿는 L자형 레버(23)의 걸림홈(24)에 맞물려있다. 이 걸림레버(20)와 레버(23)사이에 인장스프링(25)이 걸려있다. 이 레버(23)는 스프링(45)에 의해서 캠(18)에 눌려있다. 이 레버(23)하단은, 작동로드(26)의 상단에 핀(27)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작동로드(26)는 가이드(28)에 상하로 잘 움직이도록 삽입되어 스프링(29)으로 상방으로 당겨져있다.
번호(47)은 작동로드(26)가 올라가는 것을 규제하는 스톱퍼볼트이다. 이 작동로드(26)는 체인(30)을 거쳐 발 페달(도시안됨)에 연결되어 있다. 이 작동로그(26)에는 스톱퍼(31)가 고착되고, 이 스톱퍼(31)는, 프레임(1)이 축(32)으로 연결된 한쌍의 검지레버(33)(33)의 상단에 걸려있다. 검지레버(33)(33)하단부는 테이블(4)상방을 따라 앞으로 뻗어있고, 그 끝에는 검지판(34)(34)이 달려 있다. 이 검지판(34)(34)은 레이블(4)에 고정타사(35)를 거쳐 부착되는 하형(36)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번호(37)은 검지레
주축(8) 끝에는 편심륜(38)이 고착되고, 이 편심륜(38)의 편심축(39)에 링크(link)(40)가 연결되어 있고, 이 링크(40)에는 가이드(41)에 상하로 잘 움직이도록 삽입된 승강로드(42)가 연결되어 있다. 이 승강로드(42)의 하단에는 상형의 부착부(43)가 달려있고, 이 상형부착부(43)에 필요한 상형(44)을 부착하게 된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모오터를 사용하여 풀리(9)는 항상 회전하고 있다. 도면에 표시된 상태에서는 걸림레버(20)와 중간링(15)의 각 걸림턱(16)(21)이 맞물려 있기 때문에 중간링(15)과 링(41)사이에서 공회전하며, 주축(8)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발 페달을 밟아도 스톱퍼(31)가 검지레버(33)에 걸려있으므로 작동로드(26)가 내려가지 않고, 공회전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복지를 양손으로 들고 검지판(34)(34)위로부터 테이블(4)에다 눌러대든가, 또는 복지를 검지판(34)(34)에 살짝 올려놓고 다른 손가락으로 검지판(34)(34)을 아래로 누르면, 검지레버(33)(33)가 제1도의 시계방향 반대쪽으로 회전하여 상단이 스톱퍼(31)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발페달을 밟으면 작동로드(26)가 내려가고, 레버(23)도 내려간다. 레버(23)가 내려가므로, 걸림홈(24), 핀(22)을 거쳐 걸림레버(20)가 아래로 움직이고 걸림턱(16)(21)과의 물림이 분리된다. 이것으로 중간링(15)은 걸리는 것이 없는 상태가 되고, 로울러(17)가 보스(12)의 모서리쪽으로 밀리게 되어, 로울러(17)와 풀리(9)의 링(14)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며, 링(14)이 회전이 로울러(17), 보스(12)를 거쳐 주축(8)으로 전달된다. 주축(8)의 회전에 따라 캠(18)이 회전하고, 캠의 돌출부(18')가 레버(23)를 밀면 걸림홈(24)과 걸림핀(22)의 물림이 분리되기 때문에 인장스프링(25)의 힘으로 걸림레버(20)가 위로 움직이고, 1회전한 중간링(15)의 걸림턱(16)을 걸리게 하고, 이것으로 주축(8)은 1회전하고 멈춘다. 주축(8)의 1회전으로 편심륜(38), 링크(40)를 거쳐 승강로드(42)가 승강동작을 해서 상형(44)과 하형(36)사이에서 단추등의 부품을 복지에 코오킹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 고안에 의하면, 한쌍의 검지레버를 하향의 양측에 배치하고, 이 검지레버에다 1회전 클럿치를 작동시키는 작동로드를 걸리게해서, 양쪽 검지레버가 복지로 눌렸을 때 이 걸림이 분리되도록 만들었으므로, 복지가 바르게 수평으로 놓이지 않는한, 발 페달을 밟아도 1회전 클럿치는 작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형이 내려오지 않기때문에 복지가 기울어진 상태로 부품이 부착되는 일이 없으며, 정확한 부착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복지를 올려놓는 조작 도중에 발 페달을 잘못 밟더라도 양쪽 검지레

Claims (1)

  1. 발 페달로 1회전 클럿치를 작동시켜 주축을 1회전시켜서 상형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여 상형과 하형사이에서 부품을 부착시키는 코오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형의 양측에 한쌍의 검지레버를 배치하고, 이 검지레버에다 상기 발 페달에 연결된 작동로드를 걸리게하고, 양쪽검지레버가 눌렸을 때 이 걸림이 분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오킹장치.
KR2019820002698U 1981-04-09 1982-04-08 코오킹 장치 KR85000257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270 1981-04-09
JP1981051270U JPS595698Y2 (ja) 1981-04-09 1981-04-09 加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480U KR830003480U (ko) 1983-12-26
KR850002572Y1 true KR850002572Y1 (ko) 1985-10-24

Family

ID=1288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2698U KR850002572Y1 (ko) 1981-04-09 1982-04-08 코오킹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485541A (ko)
EP (1) EP0063277B1 (ko)
JP (1) JPS595698Y2 (ko)
KR (1) KR850002572Y1 (ko)
AU (1) AU529549B2 (ko)
CA (1) CA1198884A (ko)
DE (2) DE3261590D1 (ko)
ES (1) ES511236A0 (ko)
GB (1) GB2099535B (ko)
HK (1) HK58987A (ko)
MY (1) MY87004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60438A (en) * 1983-12-29 1989-09-26 Nippon Notion Kogyo Co., Ltd. Apparatus for attaching fasteners to web-like materials
JPH0232651Y2 (ko) * 1985-08-16 1990-09-04
GB2189859B (en) * 1986-04-28 1989-11-29 Burn James Int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 guard for a press machine
FR2599599B1 (fr) * 1986-06-09 1991-05-31 Valibus Marcel Dispositif pour machine a poser des boutons
JPH033547Y2 (ko) * 1986-07-16 1991-01-30
DE3819090A1 (de) * 1988-06-04 1989-12-07 Schaeffer Gmbh Maschine zum ansetzen von nieten, druckknoepfen oder dergleichen
US5261515A (en) * 1992-11-19 1993-11-16 Scovill Fasteners Inc. Safety disconnect for the pedal operator rod of an attaching machine
JP2000158194A (ja) * 1998-11-25 2000-06-13 Mti:Kk 溝カム機構及び溝カム機構を利用した安全装置を具備するプレ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349A (en) * 1911-10-26 1912-12-17 Vance P Wilkins Safety device for die-presses and analogous machines.
US1121066A (en) * 1913-01-06 1914-12-15 Benjamin Electric Mfg Co Power-press.
US1085529A (en) * 1913-09-23 1914-01-27 Herman R Blumberg Safety attachment for presses.
DE357181C (de) * 1919-09-20 1922-08-19 Weingarten Vorm Hch Schatz A G Schutzvorrichtung fuer Pressen, Stanzen u. dgl.
US1440894A (en) * 1921-02-17 1923-01-02 Jacob I Robin Safety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utomatic machines
US1862651A (en) * 1930-04-09 1932-06-14 Victor Mfg And Gasket Company Protecting device
US2199501A (en) * 1938-05-24 1940-05-07 Bendix Aviat Corp Safety device for punch presses
GB773373A (en) * 1953-09-21 1957-04-24 Lawrence Steinmetz Fastener applying machine
US2936454A (en) * 1956-08-31 1960-05-17 Ind Dev Corp Hook-stay setting machine
US3292837A (en) * 1965-03-19 1966-12-20 North And Judd Mfg Company Stapling machine
GB1087830A (en) * 1966-08-25 1967-10-18 North And Judd Mfg Company Stapling machine
GB1576476A (en) * 1977-01-12 1980-10-08 Brevets Ind Sarl Soc D Expl De Machine for fastening butt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8302438A1 (es) 1983-02-16
DE3261590D1 (en) 1985-01-31
JPS595698Y2 (ja) 1984-02-21
CA1198884A (en) 1986-01-07
AU529549B2 (en) 1983-06-09
DE63277T1 (de) 1983-04-14
KR830003480U (ko) 1983-12-26
JPS57167728U (ko) 1982-10-22
EP0063277A1 (en) 1982-10-27
AU8227282A (en) 1982-11-25
MY8700429A (en) 1987-12-31
EP0063277B1 (en) 1984-12-19
US4485541A (en) 1984-12-04
ES511236A0 (es) 1983-02-16
GB2099535B (en) 1985-01-03
GB2099535A (en) 1982-12-08
HK58987A (en) 198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2572Y1 (ko) 코오킹 장치
DE3560443D1 (en) Door drive device with a lock mechanism for a lift
KR880000596Y1 (ko) 의류 파스너 조립장치
JP2002046955A (ja) エレベータかごの非常止め装置
EP1004431A2 (en) Cam mechanism and pressing apparatus
KR930008534Y1 (ko) 수문의 하강속도 제어용 구동력 제동 장치
US4709644A (en) Sewing machine presser foot lifting apparatus
US2626028A (en) One revolution clutch
KR0115114Y1 (ko) 기계식 프레스기의 안전장치
US1472751A (en) Stopping device for folding machines
US2463515A (en) Safety device for machinery
JPH0350453Y2 (ko)
KR900009300Y1 (ko) 편직기의 양말 자동분리장치
KR900006701Y1 (ko) 프레스의 로울링형 키 또는 슬라이딩형 키에 적용할 수 있는 안전 장치부 제동판
KR900004481Y1 (ko) 스냅단추 부착기의 이중낙하 방지장치
US1739550A (en) Idler pulley drive particularly for ring spinning and doubling frames
KR100403392B1 (ko) 리벳팅 프레스의 안전장치
KR940002136Y1 (ko) 디에이티용 카세트 하우징의 승강장치
US1862871A (en) Reverse gear mechanism
ATE142598T1 (de) Fangvorrichtung für aufzüge oder ähnliches
US3196816A (en) Stop motion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KR920000227Y1 (ko) 북링(Book Ling)자동펀칭장치
KR820000893Y1 (ko)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의 스페이스 부분에 잔존하는 엘레멘트 각부의 제거장치
KR890002725Y1 (ko) 수표 양면 압인기의 상부 압인로울러 제어장치
JPS5936773Y2 (ja) リンク切離し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