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906B1 -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 - Google Patents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906B1
KR850001906B1 KR8202694A KR820002694A KR850001906B1 KR 850001906 B1 KR850001906 B1 KR 850001906B1 KR 8202694 A KR8202694 A KR 8202694A KR 820002694 A KR820002694 A KR 820002694A KR 850001906 B1 KR850001906 B1 KR 850001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guide
video tape
video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865A (ko
Inventor
노부오 오까다
다께후미 즈찌다
도요조오 우라가미
Original Assignee
이우에 가오루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에 가오루,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우에 가오루
Publication of KR84000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
제1(a)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의 개략적인 투시도.
제1(b)도는 제1(a)도에 사용되는 카아트리지의 요부의 분해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도시한 레코오더의 요부분해도.
제3(a)도는 언로우딩 상태를 도시한 레코오더의 여러 구동부에 대한 정입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화살표(A) 방향에서 본 정면도.
제4도는 레코오더에 사용되는 캐리지를 도시한 확대 분해도.
제5도는 제1회동 피벗아암상의 가이드블록의 상대위치를 도시한 투시도.
제6도는 제2회동 아암상의 아이드블록의 상대위치를 도시한 제5도와 유사한 도면.
제7도는 캐리지가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쪽으로 캐리지를 움직일때 일어나는 제1회동아암의 운동을 도시한 설명도.
제8도는 캐리지가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쪽으로 움직이는 동안의 제2회동아암의 운동을 도시한 제6도와 유사한 도면.
제9도는 캐리지가 비작동 위치에서 작동위치쪽으로 움직이는 동안의 제3회동 아암의 운동을 도시한 제6도와 유사한 도면.
제10도는 로우딩 상태에서의 가동부들을 도시한 제3도와 유사한 도면.
제11도는 비데오 카아트리지로부터 끌어내어진 비데오테이프의 주행경로를 도시한 개략 정입면도.
제12도는 고속재권취 또는 고속이송모드에서의 비데오테이프의 가상경로를 도시한 제11도와 유사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패널 (1a) : 측면패널
(2) : 전면패널 (3) : 카아트리지 호울더
(4) : 카아트리지 (4a) : 절결부
(4b) : 위치고정구멍 (5) : 위치결정핀
(6) : 감는 리일지지대 (7) : 공급 리일지지대
(8) : 캡스턴 (9) : 캡스턴구동모우터
(10) : 핀치로울러 (11) : 핀치로울러지지레버
(12) : 지지축 (13) : 가아드핀
(14) : 회전(앞쪽)가이드 실린더 (15) : 고정(뒷쪽)가이드 실린더
(16) : 임피이던스 로울러 (17) : 임피이던스 로울러지지레버
(18) : 지지축 (19) : 비틀림스프링
(20) : 자기소거헤드 (21) : 고정가이드 포스트
(22) : 자기녹화 및 또는 신호 재생헤드(녹화헤드)
(23)(24) : 고정가이드 포스트 (25) : 지지블록
(26)(27) : 중간가이드 포스트 (28) : ㄴ자 형상의 브래킷
(29) : 테이프 종단감지기 (30) : 워엄기어
(31)(32) : 베어링 (33) : 구동기어
(34) : 캐리지 (34a) : ㄷ자 형상의 홈
(34b) : 받침대 (34c) : 판스프링
(34d) : 지지축 (34e) : 돌기
(35)(36)(37) : 판형상의 레일 (35a)(36a)(37a) : 협지부
(38) : 제1회동아암 (38a) : 슬롯
(38b) : 돌출부 (39) : 제2회동아암
(39a) : 슬롯 (39b) : 돌출부
(39c) : 계합핀 (39d) : 제2가이드 플랜지
(39e) : 돌출편 (40) : 제3회동아암
(40a) : 계합핀 (40b) : 로울러
(41) : 제1슬라이드관 (41a) : 계합구멍
(41b) : 슬롯 (41c) : 돌출부
(42) : 제1가이드블록 (42a) : 돌출편
(43) : 제1가이드 플랜지부재 (43a) : 핀부재
(43b) : 부채꼴 형상의 플랜지 (43c) : 가이드 돌출부
(44) : 텐션스프링 (45) : 스프링
(46) : 고정나사 (47) : 제2슬라이드판
(47a) : 계합구멍 (47b) : 슬롯
(48) : 제2가이드 블록 (48a) : 돌출편
(49)(50) : 스프링 (51) : 제1가이드핀
(52) : 제2가이드핀 (53) : 제1경사가이드핀
(54) : 제2 경사 가이드핀 (55) : 재3가이드핀
(56) : 비틀림 스프링 (57) : 제1가이드판
(57a) : 제1캠날 (57b) : 제2캠날
(59) : 제2가이드판 (59a) : 오목 스토퍼
(59b) : 제3캠날 (60) : 제3가이드판
(61) : 제4가이드판 (62) : 제1가이드레일
(62a) : 내벽 (62b) : 제1외벽
(62c) : 제2외벽 (63) : 제2가이드레일
(63a) : 협지벽 (64) : 제1리테이너
(64a) : V자형상의 노치 (64b) : 회동규제부
(64c) : 제1고정편 (64d) : V자형상의 노치
(64e) : 제2고정편 (64f) : 협지편
(65) : 제2리테이너 (65a) : V자형상의 노치
(65b) : 고정편 (65c) : 협지편
(66) : α형상의 스프링 어셈블리 (66a) : 제1스프링판 회동편
(66b) : 제2스프링판 회동편 (66c) : 지지축
(67) : 톨니막대판 (67a) : 슬롯
(67b) : 계합편 (68) : 지지핀
(69) : 지지축 (70) : 피니언기어
(70a) : 원호형상의 절결부 (70b) : 풀리
(71) : 테이프 텐션레버 지지축 (72) : 텐션스프링
(73) : 텐션레버 (73a) : 테이프 텐션핀
(73b) : 절곡편 (74) : 텐션스프링
(75) : 회동위치감지장치 (76) : 스토퍼
(77) : 회동레버 (77a) : 로울러
(78) : 지지축 (79) : 스프링
(80) : 제4가이드핀 (81) : 스토퍼
본 발명은 비데오 테이프 카세트 혹은 카아트리지를 사용하는 형식의 비데오 테이프를 녹화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 즉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관한것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개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는 레코오더 캐비닛 상단에 있는 카아트리지 호울더에 비데오 카아트리지를 수평으로 삽입하여 자동으로 주행위치로 내려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이유는 카아트리지가 주행위치에 놓일때,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비데오 테이프를 카아트리지로부터 끌어내어 소정의 각도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주위에 감는 로우딩 순서가 필요하고, 비데오 테이프가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에 접촉하는 위치를 차지하여야만 한다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여겨져 왔기 때문이다.
반면, 시판되고 있는 대다수의 오디오 테이프 데크는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를 캐비닛 전면에 위치한 카세트 호울더내로 수직으로 삽입함으로서 테이프 데스크에 놓여지도록 하고, 제어 및 조절손잡이는 가로로 한쪽 위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 오디오 테이프 데크의 캐비닛 위에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고, 선반 사이의 공간의 높이가 제한된 선반에 데크를 놓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도 이와 같은 잇점의 제공이 오래전부터 요구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오디오 테이프 데크에서의 카세트 호울더와 유사한 방법으로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비데오 카아트리지 호울더가 배치될 경우, 카아트리지 호울더의 한쪽면에 위치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비데오 테이프를 감기에 앞서 일반적으로 카아트리지의 옆방향으로 끌어내어야 하기 때문에, 로우딩순서의 이행이 복잡하고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우딩 순서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호울더와 유사한 방법으로 통상의 오디오 테이프 데크를 배치한 카아트리지 호울더가 가지는 형식의 개량된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비데오 카아트리지 내의 테이프가 절결부를 통해 한쌍의 테이프 가이드 수단에 의해 카아트리지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끌어내어진 후 상기 방향과 수직 혹은 옆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비데오 테이프가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로 감겨지도록 대체로 M자 형상의 경로를 형성하는 소위 M자 형상의 로 우딩 방법의 순서를 간단하게 함으로서 비데오 테이프의 주행경로의 필요한 길이를 작은 값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비데오 테이프의 주행을 위하여 대체로 M자 형상의 경로의 형성은 통상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필요한 로우딩 디스크와 같은 것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므로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전체 크기(높이폭)를 효과적으로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데오 테이프의 주행경로와 각종 가이드핀의 왕복운동을 유효하게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로우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 카아트리지의 절결부 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테이프 가이드가 카아트리지로부터 비데오 테이프를 끌어낸 후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쪽으로 가로방향으로 잡아당길 때, 이들 테이프가이드가 대체로 동일한 경로를 따라 안내되고 용이하게 폭이 좁은 영역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로우딩 기구의 전체 높이 공간을 최소화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축상에 회동할 수 있게 상기 서로 길이가 다른 테이프 가이드가 회동 아암상에 착설되고 비데오 테이프가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에 대해서 대체로 M자 형상으로 밖으로 뻗어져 있으므로, M자 형상의 테이프 경로의 길이를 실제적으로 감소하는 데 있다.
이들 회동 아암은 카아트리지의 가로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캐리지 위에 회동할 수 있게 착설되고, 또 회동아암의 회동운동은 캐리지의 직선운동과 함께 적절한 가이드 수단에 의해 연동되어서 상기 테이프 가이드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안내하므로 로우딩 순서를 제한된 유효공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캐리지 위에 회동 가능하게 착설된 회동아암을 가지는 캐리지의 직선운동을 효과적으로 하게하여 비데오 테이프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안내하고, 상기 회동아암 위에 착설된 상기 테이프가이드 수단에 의해 대체로 M자 형상의 테이프 경로를 형성하므로서 로우딩 기구를 단순화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데오 테이프가 로우딩 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테이프 가이드가 카아트리지의 절결부 내에 대체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고, 비데오 테이프가 로우딩 되어 있을 때에는, M자 형상의 비데오 테이프 통로를 형서하기 위하여 상기 테이프 가이드가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로 부터 밖으로 이동하여 가이드 수단에 의해 카아트리지의 가로방향으로 실제적으로 동일한 경로를 따라 안내되고, 또한 상기 테이프 가이드가 폭이 좁은 영역을 통해 지나갈 수 있도록 로우딩 기구의 전체 높이 공간을 최소화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비데오 테이프를 감고 테이프 가이드가 움직일 동안에 테이프 가이드를 요동하지 않고 양쪽 방향으로 정확하게 안내하며 테이프 가이드의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 레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들 가이드 레일은 합성수지 물질을 일체적으로 성형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아트리지 절결부 내로부터 테이프를 끌어내는 제1가이드 수단과, 그 후 카아트리지의 가로 방향으로 테이프를 안내하는 제2가이드 수단과, 소정의 위치로 테이프를 안내하는 제3가이드 수단을 사용함으로서 효과적으로 비데오 테이프의 주행경로를 감소하고 또한 로우딩 기구를 단순화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프 가이드를 고정하는 리테이너가 지지레버상에 착설된 임피이던스 로울러를 가지는 회동부재의 각 운동의 행정을 규제하는 접촉면을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접촉면과 당접하는 회동부재의 위치가 주로 리테이너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리테이너와 임피이던스 로울러의 상대적 위치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해지게 하는 데 있다.
또한 별도의 스토퍼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부품의 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은 실린더 어셈블리가 카아트리지 앞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식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블록이 회동아암상에 접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어 리테이너에 대해 회동아암의 과행정 혹은 부과행정으로 부터 스프링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 블록이 리테이너와 견고하게 접촉됨과 동시에, 서로간에 소정의 각도로 떨어진 한쌍의 스프링 회동편으로 이루어진 부세수단에 의해 가이드 블록을 리테이너 쪽으로 부세하여 가이드 블록이 리테이너와 계합하는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에 대해 상기 테이프 가이드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위치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데오 테이프를 카아트리지에서 끌어내고 비데오 테이프의 주행경로를 제1테이프 가이드를 가지는 제1회동 아암의 각 운동에 의해 행한 후 제2회동아암과 계합하며, 제2테이프 가이드를 가지는 제2회동 아암이 각 운동하기 때문에 카아트리지의 절결부에서 제2테이프 가이드를 끌어낼 경우, 제2회동아암을 구동하기 위한 보조 구동 수단이 불필요해서 소정의 테이프 경로를 형성하는 로우딩 기구를 간단화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프 가이드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의 한쪽면이 절결되어 있으므로 테이프 가이드가 가이드 레일의 절결부를 통해 지나갈 동안 가이드 플랜지 부재는 캐리지상의 판스프링에 부세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의 다른쪽 면에 압접되어 접동 가능해지고 테이프 가이드가 폭이 좁은 영역으로 안내되므로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데오 테이프에 소정의 텐션을 인가하는 텐션기구는 톱니막대판 및 피니언기어의 배치에 의해 회동되도록 착설된 텐션레버로 구성되며 피니언 기어에는 상기 텐션레버에 형성된 절곡편과 계합하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텐션레버를 슬롯의 길이에 의해 한정된 소정의 거리를 통해 회동 할 수 있으며 비데오 테이프의 이송시 소정의 텐션으로 유지되므로 테이프 텐션핀에는 과도한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톱니 막대판의 이동 행정에 따라 스토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테이프 텐션핀의 동작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비데오 테이프를 정상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a)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개략적인 투시도로서 대체로 상부패널·하부패널,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 패널 및 전면·후면 패널로 조립된 직사각형의 캐비닛(c)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패널, 전면 패널 및 한 쪽의 측면 패널은 각각(1)(2)(1a)로 표시하며, 여기에 사용된 관련용어 "전면" 과 "후면"은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를 테이블이나 선반 혹은 텔레비젼 수상기와 같은 적당한 받침대 위에 놓았을 경우 사용자 또는 작동자가 보는 방향에 관련되어 있다. 상부·하부 패널 사이의 공간에 해당하는 캐비닛(c)의 높이는 전면패널(2)을 수평으로 놓았을 경우의 폭을 나타낸다.
전면패널(2)은 캐비닛(c)의 한쪽 또는 전면 패널(2)의 한쪽 단부에 인접하여 있는 카아트리지 호울더(3)를 가지고 있다. 이 카아트리지 호울더(3)는 호울더의 아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수평으로 연장된 선회축에 의해 개폐위치 사이에서 선회 운동을 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지지되며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린 상태에 있을때 위로부터 삽입되는 비데오 테이프 카아트리지를 받아들인다. 닫힌 상태에 있을 때는 카아트리지 호울더(3)는 전면 패널(2)과 대체로 동일한 면이 되는 외부면을 가진다.
이러한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에게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카아트리지(4)는 대체로 공급리일과 감는 리일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사이에 비데오 테이프가 현가되어 있고, 또한 절결부를 가지고 있어 이곳으로부터 카아트리지(4) 내의 테이프를 카아트리지(4)로 부터 끌어내어 장치의 녹화 혹은 재생 작업시 실린더 어셈블리 혹은 드럼 어셈블리 위에 놓여진다. 이 절결부는 카아트리지(4)의 서로 대향하는 긴변 중 한쪽변을 따라 카아트리지(4)의 서로 대향하는 짧은 변 사이에 실질적으로 가운데 부분에 한정되는 곳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아트리지 호울더(3)는 카아트리지(4)의 절결부가 아래로 향해서 호울더에 삽입되는 카아트리지(4)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위치되어 있다. 즉, 카아트리지 호울더(3)에 장착할 때에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를 아래로 향하게 해서 카아트리지(4)를 잡은 후, 카아트리지 호울더(3)에 삽입하여 손가락으로 카아트리지 호울더(3)를 누름으로서 호울더가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선회된다.
전면 패널(2)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의 오른쪽 부분 즉 카아트리지 호울더(3)의 우측면에 조정 및 조절손잡이와 기능계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손잡이와 계기를 착설하는 목적은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는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제1도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는 자기 비데오 테이프를 로우딩 및 언로우딩 하는 기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로우딩 및 언로우딩 기구에 대하여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로우딩 및 언로우딩 기구는 캐비닛(c) 내에 전면 패널(2)의 뒤쪽으로 위치한 대체로 직각외형인 수직샤시(s)에 구성되어 있다. 이 샤시(s)는 제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아트리지(4)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 고정구멍(4b)에 끼워지는 카아트리지 호울더(3)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한쌍의 위치결정핀(5)을 가지고 있다. 카아트리지(4)가 장착되어 카아트리지 호울더(3)가 닫힌 상태로 선회될 때, 이들 위치결정핀(5)이 카아트리지(4)의 각각의 위치고정구멍(4b)에 감합되고, 카아트리지 호울더(3)내에서 카아트리지(4)의 흔들림을 제거하기 위하여 카아트리지의 한쪽 면과 맞붙은 공지의 접속핀(도시하지 않음)과 결합되는 위치에 카아트리지(4)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수직샤시(s)에는 카아트리지(4)내의 감는 리일 및 공급리일과 함께 감합할 수 있는 감는 리일 지지대(6) 및 공급리일 지지대(7)와, 카아트리지(4)가 장착된 카아트리지 호울더(3)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카아트리지(4)의 절결부(4a)내로 돌출하는 캡스턴(8)과, 양쪽 방향으로 캡스턴(8)을 구동하는 공지의 구동전달 시스템을 통해서 캡스턴(8)이 동작되도록 결합된 캡스턴 구동모우터(9)와, 캡스턴(8)이 회전하고 있는 동안, 공급 리일로부터 감는 리일로 비데오 테이프를 그 사이에 끼워서 이송(또는 반대방향으로의 이송도 가능함)하기 위해서 캡스턴(8)과 감합하는 감합위치와 캡스턴(8)으로 부터 분리되는 이간된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운동 하도록 핀치로울러(10)를 가지는 핀치로울러 지지레버(11)가 착설되는 지지축(12) 등의 여러 가지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작부품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지지축(12)에는 캡스턴(8)과 핀치로울러(10)와의 사이의 니핑영역을 통해 지나가는 비데오 테이프의 바람직하지 않은 얽힘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가이드핀(13)을 가지고 있다.
카아트리지(4)로 부터 끌어 내어진 테이프는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를 180°정도 회전하여 녹화 및/또는 재생헤드 어셈블리와 접촉되며, 이하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는 카아트리지의 호울더(3)의 한쪽 면상의 수직샤시(S)위에 전면패널(2) 방향으로 뻗어서 제3도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S)의 대각선 방향에서 위쪽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서 착설된다. 이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는 앞쪽 가이드 실린더 즉 회전 가이드 실린더(14) 또는 뒤쪽 가이드 실린더 즉, 고정 가이드 실린더(15)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샤시(S)에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앞뒤에 놓이며, 앞쪽(회전) 가이드 실린더(14)와 뒤쪽(고정)가이드 실린더(15) 사이의 한정된 원형 테이프 경로를 가지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바깥쪽에 노출되어 있는 자기녹화 및/또는 재생헤드 어셈블리와 비데오 테이프가 접촉하면서 공지의 기술에 의해 그 주위로 비데오 테이프가 이송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족래의 나선형상의 주사형식인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 있어서, 가이드 어셈블리 둘레로 비데오 테이프가 이송될 때 , 비데오 테이프는 자기녹화 및/또는 재생헤드 어셈블리 회전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현가되어 있어야만 하므로,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샤시(S)에 대해 앞쪽 가이드 실린더(14)와 뒤쪽 가이드 실린더(15)로 구성되어 있는 목적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에 인접해서 위쪽으로 경사져서 비데오 테이프의 이송을 안정하게 하기 위하여 텐션을 인가하는 임피이던스 로울러(16)가 있다.
이 임피이던스 로울러(16)는 작동 및 비작동 위치 사이를 회동 운동할 수 있도록 샤시(S)에 견고하게 고정된 지지축(18)상에 착설되는 회동 가능한 지지레버(17)에 착설되어 있으나,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지지축(18)에 대해서 비틀림 스프링(19)의 부세력에 의해 항상 시계방향으로만 부세되므로 작동위치를 취한다. 지지레버(17) 위에는 비데오 테이프상의 녹화정보를 소거할 때 동작하는 자기소거헤드(20)와 이 헤드(20)에 인접해서 고정가이드 포스트(21)가 견고하게 착설되어 있다.
상기 지지레버(17)와 대향하는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의 한쪽에는 비데오 테이프 상에 음성정보 및 제어신호를 녹화 혹은 재생하는 자기녹화 및/또는 재생헤드(22)와 이 재생헤드(22)의 양 옆에 간격을 두고 한쌍의 가이드 포스트(22)가 샤시(S)에 고정되어 지지블록(2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S)의 하단 가장자리의 실제로 중간점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여 견고히 고착된 대체로 L자형상의 브래킷(28)을 가지고 있다. 이 브래킷(28)은 수직샤시(S) 쪽으로 돌출한 간격을 두고 놓인 한 쌍의 가이드 포스트(26)(27)와 이 가이드 포스트(26)(27) 사이에 위치한 테이프 감지기(29)를 가지고 있고, 이 테이프 종단감지기(29)는 원통형 몸체 또는 케이싱내에 착설된 감지코일로 구성되어 있어 비데오 레이프가 카아트리지(4) 내의 공급리일로 부터 감는 리일로 완전히 이송되었을 때 비데오 테이프의 족단을 감지하고, 종단임을 지시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로우딩 및 언로우딩 기구는 닫힌 상태에서 카아트리지 호울더(3)내의 카아트리지의 옆 방향으로 비데오 테이프를 끌어내는 동작과, 이 비데오 테이프를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를 둘레로 180°정도 갇고 해제하는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카아트리지 내로 회수하는 모든 기능을 제1, 제2, 제3회동아암이 착설되어 있는 캐리지(34)의 선형 왕복운동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샤시(S)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캐리지를 왕복 이동시키는 선형 구동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히,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 선형구동 기구는 샤시(S)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있는 워엄기어(30)로 구성되며, 이 워엄기어(30)는 샤시(S)와 견고하게 베어링(31)(32)에 의해 양단부가 저어널 지지된다. 이 워엄기어(30)는 샤시(S)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모우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며, 베어링(31)과 인접하는 워엄기어(30)의 한쪽 단부에 견고하게 착설된 구동기어(33)와 결합되는 구동축을 가지고 있다. (34)는 캐리지로서 길다란 직각단면의 몸체를 가진 형태로 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34)의 밑면과 상면을 따라 한쌍의 ㄷ자 형상의 홈(34a)이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또한 캐리지(34)의 한쪽 측면에는 워엄기어(30)와 감합하여 구동되도록 대체로 반원의 단면에 나선형상의 톱니홈(34f)(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캐리지(34)는 그 위에 견고히 착설되거나 혹은 일체적으로 형성된 받침대(34b)와, 나선형상의 톱니홈(34f) 반대쪽에 받침대(34b) 옆으로 직각으로 돌출하여 뻗어 있는 판스프링(34c)을 가지고 있으며, 이 받침대(34b) 및 판스프링(34c)의 기능은 이하에 설명한다.
캐리지(34)는 샤시(S)에 견고히 착설된 대체로 판형상의 레일(35)(36)(37)을 통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캐리지(34)의 한쪽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형상의 홈(34f)과 워엄기어(30)가 맞물려 있다.
레일(35)은 샤시(S)의 전체 길이와 대체로 같으며, 캐리지(34)의 밑면홈(34a)을 하부에서 받치도록 결합되는 협지부(35a)를 가지고 있는 반면, 레일(36)(37)은 캐리지(34)의 상면홈(34a)을 상부에서 받치도록 결합되는 각각의 협지부(36a)(37a)를 가지고 있고, 레일(36)(37)은 샤시(S)의 길이방향으로 견고히 배치되고 이들 사이의 중간이 절단되어 있으나, 이 절단부분의 길이는 캐리지(34)의 길이보다 짧으므로 캐리지(34)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상술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워엄기어(30)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캐리지(34)는 비작동 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워엄기어(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나, 워엄기어(30)의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은 캐리지(34)를 작동 위치에서 초기의 비작동위치로 되돌아간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34)는 제 1, 제 2, 제 3 회동 아암(38)(39)(40)을 가지고 있다. 이들 회동아암(38)(39)(40)은 사선형상의 톱니홈(34f)의 반대편에 캐리지(34)로부터 돌출한 지지축(34d)에 서로 겹쳐서 일단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착설되어 있고, 제1회동아암(38)은 캐리지(34)에 가장 가깝게, 제3회동아암(40)은 가장 멀리 위치하고 있으며, 이들 회동아암(38)(40) 사이에 제2회동아암(39)이 착설되어 있다.
제1회동아암(38)은 타단부에 슬롯(38a)과 돌출부(38b)가 형성되어 있고, 제1슬라이드판(41)과 제1가이드블록(42)을 가지고 있다. 제1슬라이드판(41)은 계합구멍(41a)과, 슬롯(41b)을 가지고 있으며 가이드 돌출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회동아암(38)은 제1가이드블록(42) 사이에 위치하는 제1슬라이드판(41)의 반대편 한쪽에 위치하는 제1가이드 플랜지부재(43)를 가지고 있다.
제1가이드 플랜지부재(43)는 대체로 부체꼴 형상의 플랜지(43b)와, 이 부채꼴형상의 플랜지(43b)의 한쪽 단부에 일단이 견고하게 부착된 핀부재(43a) 및 이 핀부재(43a) 반대쪽에 부채꼴 형상의 플랜지(43b)에 견고히 부착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돌출부(43c)가 일체가 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들 부품(38)(41)(42)(43)은 제1회동아암(38)내의 슬롯(38a)과 제1슬라이드판(41)의 개합구멍(41a)을 통해 뻗어있는 핀부재(43a)와 함께 결합된 후 제1가이드블록(42)내에 봉해진다. 이 상태에서 제1회동아암(38)상의 돌출부(38b)가 제1슬라이드판(41)의 슬롯(41b)을 통해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제1회동 아암(38)과 제1가이드블록(42) 사이에 착설된 제1슬 라이드판(41)은 슬롯(38a)의 (41b)일단부에 각각 끼워지는 핀부재(43a) 및 돌출부(38b)와 함께 제1회동 아암(38)의 양쪽에서 축방향의 외부쪽으로만 한쌍의 텐션스프링(44)에 의해 탄성적으로 항상 부세되고 있다. 제1가이드 블록(42)은 핀부재(43a)의 새로축을 중심으로 제1슬 라이드판(41)에 대해서 회동운동을 할 수 있으나, 단지 절결부분과 맞물린 돌출부(41c)와 함께 제1슬 라이드판(41)에 접촉하는 제1가이드블록(42)의 제한된 한쪽면상에도 시하지않은 절결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운동이 한정되고 있다. 또한, 제1가이드블록(42)은 돌출부(41c)와 맞물려 제1가이드블록(42)내의 최초의 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스프링(45)에 의해 항상 부세되고 있으므로 제1회동아암38), 제1슬라이드판(41) 및 제1가이드블록(42)을 일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제1가이드블록(42)에는 제1가이드핀(51) 및 제1경사 가이드핀(53)이 견고하게 착설되어 있으며 제1회동 아암(38)으로부터 외부로 향해 뻗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이하 설명된다.
제2회동 아암(39)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회동 아암(38)과 비슷한 구조의 형태로 되어 있으나, 길이가 약간 짧다. 특히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회동 아암(39)에는 한쪽 단부 에슬롯(39a) 및 돌출부(39b)가 형성되어 있고, 제2슬라이드판(47)및 제2가이드블록(48)을 가지고 있다. 제2슬 라이드판(47)에는 개합구멍(47a) 및 슬롯(47b)이 형성되어 있고, 슬롯(39a)을 통해 고정나사(46)로 제2회동 아암(39)과 제2가이드블록(48)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위치시킨후, 최종적으로 제2가이드블록(48)내에 봉입됨과 동시에 돌출부(39b)는 슬롯(47b)내로 수용된다. 또한 제2회 동아암(39)에는 계합핀 (39c) 및 제2가이드 플랜지(39d)가 있으며, 제2가이드 플랜지는 제2가이드 블록(39d)의 반대쪽의 제2회동 아암(48)상에돌 출되어 있고, 슬롯의 선단쪽에 착설되며, 제2회동 아암(39)의 대체로 중간부분에 돌출편(39a)과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텐션스프링(49)(50)은 제2회동 아암(39)과 제2슬 라이드판(47) 사이에 제2회동 아암(39)과 캐리지(34)사이에 각각 현가되어 있으므로, 정상 상태에서, 제2회동 아암(39), 제2슬라이드판(47) 및 제2가이드블록(48)은 서로 일체가 되게 결합되어 제1회동 아암(38)상부 에지지축(34d)에 의해 회동 자재케 착설되어 있다.
제1회동 아암(38)에 있어서의 제1가이드블록(42)과 마찬가지로, 제2가이드블록(48)에는 제2가 이드핀(52) 및 제2경사 가이드핀(54)이 견고히 착설되어 있으며 제2회동 아암(39)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들 가이드핀 (51)(52) 및 경사가이드핀(53)(54)은 비데오 테이프의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수단의 각 부품이다.
제3회동 아암(40은 제1및 제2회동 아암(339)에 비해서 구조(8)) 간단하며 이들 중 길이가 가장 짧다가 회동 아암(40)의 일단부에는 테이프 경로를 제한하는 수단이며 또 다른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가이드핀(55)과 상기 제3회동 아암(40)과 상기 가이드핀(55) 사이에 제3가이드핀(55)과 동축 상에 위치하는 로울러(40b)가 착설되어 있고, 또한 중간 위치에 계합핀(40a)이 착설되어 있으며, 상기 계합핀(40a)과 캐리지(43)위의 지지축(34d)사이에는 비틀림 스프링(56)이 착설되어 있다.
이하 언로우딩 위치에서 로우딩 위치로 제1회동 아암 내지 제3회동 아암(38)(39)(40)을 유도하는 가이드 기구에 대하여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가이드 기구는 제1, 제2, 제3및 제4가이드판(57)(59)(60)(61)과, 제1, 제2가이드레일(62)(63)로 구성되며, 이들은 샤시(S)에 견고히 지지되어 있다. 특히 제1가이드판(57)은 대체로 1자 형상의 일단부를 형성하여 샤시(S)의 저면 가장자리에 견고히 착설되고, 타단부는 서로가 연결되어서 제1캠날 및 제2캠날(57a)(57b)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캠날(57a)(57b)은 계합편(40a)와 아래로부터 접촉하여 제3회동 아암(40)을 지지하도록 위치하고, 카아트리지(4)내의 절결부(4a)로부터 제3가 이드핀(55)을 카아트리지(4)가 비작동 위치로부터 동작위치로 웁직일때 소정의 경로를 따라 유도한다.
제1가이드판(57)에는 앞쪽으로 돌출하며 착설된 테이프 종단검출기(58)가 착설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기(58)는 카아트리지(4)내의 감는 리일로부터 공급리일로 비데오 테이프가 완전히 감겼을때 비데오 테이프의 종단을 검지하도록 동작한다.
제2가이드판(59)에는 캡스턴 베어링판을 통해 샤시(S)에 고착되어 있으며, 오목스토퍼(59a)와 이 오목스토퍼(59a)에 연결된 제3캠날(59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스토퍼(59b) 및 제3캠날(59b)은 제2회동아암(39)상에 있는 계합핀(39c)을 수용 하도록 형성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캐리지(34)가 비동작 위치로 부터 동작위치로 움직일때 카아트리지(4)의 절결부(4a)에서 제2가이드블록(48)을 소정의 경로로 유도한다.
제3가판이드(60)은 ㄴ 자형상의 제1가이드판(57)의 수평면 위에 견고하게 착설되어 있으며, 제2회동 아암(39)상의 계합핀(39c)이 제2가이드판(59)으로부터 이간된 후에 제2회동 아암(39)의 측면 돌출편(39e)과 당접하면서 소정의 경로를 따라 연속해서 제2회동 아암(39)을 유도하도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4가이드판(61)은 상기 녹화헤드 지지블록(25) 상에 견고하게 착설되어 있으며, 로우딩 완료 직전에 상기 제3회동 아암(40)의 로울러 (40b)가 계합하고, 이 로울러(40b)가 계합되고, 이 로울러(40b)에 의해 제3회동 아암(40)을 로우딩 완료 위치까지 유도한다.
제 1 가이드 레일(62)은 상기 제 1 회동 아암(38)을 언로우딩 위치로부터 로우딩 완료 위치까지 유도하기 위하여 대체로 V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언로우딩 위치로부터 로우딩 완료 위치까지 연속해서 제 1 회동 아암(38)을 유도하는 내벽(62a)과 언로우딩위치로부터 V자 형상의 제 1 가이드 레일(62)의 저부에 해당하는 위치 즉 중간위치 까지 뻗어있고 내벽(62a)으로부터 이간된 제 1 외벽(62b) 및 상기 중간 위치로부터 로우딩 완료 위치까지 제 1 회동 아암(38)을 유도하는 내벽(62a)으로부터 이간된 제 2 외벽(62c)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외벽(62b)(62c)은 상기 중간위치에서 절단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62)은 언로우딩 위치로부터 로우딩 위치로 제 1 회동 아암(38)이 이동할 동안은 내벽(62a) 및 제 1 외벽(62b)에 의해 제 1 가이드 플랜지 부재상의 가이드 돌출부(43c)를 샤시(S)면과 평행방향으로 이동을 제어하고, 또 상기 중간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사이는 캐리지(34)의 판스프링(34c)의 부세력에 의해 가이드 돌출부(43c)가 내벽(62a)에 압접되어 위치 규제된다. 또한 그곳에서부터 로우딩 완료위치 까지는 상기 제 2 외벽(62c)이 제 1 가이드 플랜지부재(43)의 부채꼴 형상의 플랜지부 (43b)를 협지하여 샤시(S)와 수직방향으로 위치 규제됨과 동시에 상기 내벽(62a) 및 제 2 외벽(62c)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돌출부 (43c)를 샤시(S)와 수평방향으로 위치 규제한다. 제 2 가이드 레일(63)은 상기 제 2 회동 아암(39)을 로우딩 완료 직전으로부터 로우딩 완료위치까지 유도하며, 제 2 회동 아암(39)상의 제 2 가이드 플랜지(39d)를 협지하는 협지벽(63a)이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어서 여기에 암접되면서 이동하는 제 2 회동 아암(39)을 위치 규제한다.
다음에 로우딩 및 언로우딩 기구인 제1, 제 2 회동 아암(38)(39) 상의 제1, 제 2 가이드블록(42)(48)을 로우딩 완료 위치에서 각각 고정하는 제1, 제 2 리테이너(64)(65)에 대해서 제 2 도, 제 5 도 및 제 6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 리테이너(64)는 제 1 회동 아암(38)상의 제 1 가이드블록(42)과 감합하기 위하여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위의 제 1 가이드레일(62)의 한단부에 인접해서 위치하고 로우딩 완료 위치에서 제 1 가이드블록(42)을 고정한다.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 리테이너(64)는 제 1 고정편(64c)과 일체가 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가이드블록(42)의 선단이 감합하는 V 자형상의 노치(64a) 및 임피이던스 로울러 지지레버(17)의 단부와 당접하여 제 1 가이드블록(42)의 회동규제를 행하는 회동규제부(64b)를 가지는 제 1 고정편(64c)과, 상기 제 1 가이드 플랜지부재(43)의 핀부재(43a)와 감압하는 V 자형상의 노치(64d)를 가지는 제 2 고정편(64e)과 제 1 회동 아암(38)상에 착설된 제 1 가이드블록(42)의 돌출편(42a)과 협지하는 협지편(64f)으로 구성된다.
제 2 리테이너(65)은 제 2 회동 아암(39) 상의 제 2 가이드블록(48)과 감합하기 위하여 제 2 가이드테일(63)의 상단부에 인접해서 배치되며 로우딩 완료위치에서 제 2 가이드블록(48)을 고정한다.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2 리테이터(6)는 제 2 가이드블록(48)의 한단부와 감합하기 위하여 대체로 V 자형상의 노치(65a)를 각각 가지는 한쌍의 이간된 고정편(65b)과, 제 2 가이드블록(48)의 돌출편(48a)을 협지하는 협지편(65c)으로 구성된다.
α형상의 스프링 어셈블리(66)는 제 2 리테이너(65)에 인접해서 지지축(66c)에 회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이 α형상의 스프링 어셈블리(66)는 한쌍의 제 1, 제 2 스프링판 회동편(66a)(66b)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지지축(66c)에 대해 서로 소정의 각도로 이간되어 있다. 이 스프링 어셈블리(66)는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항상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부세되고 있으며 제 1 스프링판 회동편(66a)을 V자 형성의 노치(65a)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테이프 텐션 기구를 제 2 도와 제3 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톱니막대패(67)은 상기 워엄기어(30)에 평행하게 착설되고 중앙부의 슬롯(67a)에 끼워진 지지핀(68) 및 지지축(69)에 의해 샤시(S)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톱니막대판(67)의 왼쪽 단부에는 캐리지(34)의 돌출부(34e)와 계합하는 계합편(67b)을 가지고 있다. 피니언기어(70)는 원호형상의 슬롯(70a)과 동일축상에 착설되는 피니언기어(70)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폴리(70b)를 가지고 있으며, 샤시(S)와의 사이에 있는 텐션스프링(72)에 의해 테이프텐션레버 지지축(71)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항상 부세되므로 톱니막대판은 항상 오른쪽으로 부세된다. 또한, 이들 텐션기구는 샤시(S)의 반대쪽에 피니언기어(70)의 한쪽에 상기 지지축(71)에 U자형상의 텐션레버(73)가 회전 가능하게 착설되어 있고, 상기축(71)에서 떨어진 쪽의 테이프텐션레버(73)의 단부에는 텐션핀(73a)이 착설되어 있다. 또한, 이 텐션레버(73)는 샤시(S)쪽으로 절곡되어 피니언기어(70)의 부책꼴형상의 슬롯(70a)과 감합하는 절곡편(73b)을 가지고 있으며, 텐션레버와 피니언기어(70) 사이에 현가된 텐션스프링(74)의 부세력에 의해 축에 대해서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된다.
테이프 텐션레버 지지축(71) 부근에서의 텐션레버(73)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광전식 위치감지기(75)가 사용된다. 이 감지기(75)는 일반적인 광전커플로 이루어지며, 감지되는 빛의 강도에 따라 출력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이 감지되는 빛의 양은 텐션레버(73)의 위치에 따라 변한다. 위치감지기(75)로부터의 출력신호는 다음에 설명하는 방식에 의해 테이프 텐션핀(73a)에 의해 비데오 테이프에 적절한 텐션을 주기 위해 감지된 빛의 세기에 따라 공급리일지대(7)를 구동시키는 구동모우터(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76)은 톱니막대판(67)의 슬라이드를 규제하는 샤시(S)에 부착된 스토퍼이다.
상기에 설명한 테이프 경로를 형성하는 수단 외에도, 샤시(S)에 착설된 지지축(78)에 회동자제케 지지되는 회동레버(77)가 스프링(79)에 의해 지지축(78)을 둘레로 반시계방향으로 항상 부세한다. 이 회동레버(77)는 선단에 착설된 제 4 가이드핀(80)과 그 사이에 동축상에 착설된 제 3 회동 아암(40)의 측부와 접동하는 로울러(77a)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79)에 의한 회동레버(77)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샤시(S)에 부착된 스토퍼(81)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로우딩 및 언로우딩 기구의 동작에 대해서 제 3 도 및 제 7 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카아트리지(4)가 장착된 상태, 즉 언로우딩 상태에서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34)가 워엄기어(30)상의 왼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워엄기어(30)에 의해서 제 1 회동아암(38)은 제 1 가이드레일(62)의 시작점으로 안내되고, 제 2 회동 아암(39)은 그 계합핀(39c)이 제 2 가이드판(59)의 오목스토퍼(59a)에 계합하며, 제 3 회동 아암(40)은 그 계합핀(40a)이 제 1 가이드판(57)의 제 1 캠날(57a)의 단부에 계합하고 있다. 또 회동레버(77)의 로울러(77a)는 제 3 회동 아암(40)의 회동단부 부근의 측부에 계합하고, 텐션레버(73)는 톱니막대판(67)의 왼쪽에 위치함으로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카아트리지(4)의 절결부(4a)내에는 캡스턴(8), 제1, 제 2 가이드블록(42)(48), 제 3 가이드핀(55), 테이프 텐션핀(73a) 및 제 4 가이드핀(80)이 대체로 일열로 나란히 위치한다. 또한, 핀치로울러레버(11)는 제 1 가이드판(57)에 당접하여 지지축(12)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위치에 있으며 캡스턴(8)과 핀치 로울러(10)는 충분히 이간하고 있다.
그 후 카아트리지(4) 감지스위(도시하지 않음)가 닫혀지면 구동 모우터(도시하지 않음)가 정방향으로 구동되어 워엄기어(30)가 정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캐리지(34)가 지지레일(35)(36)(37)을 따라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제 2 및 제 3 회동 아암(38)(39)(40)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회전가이드 실린더(1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먼저, 제 1 회동 아암(38)은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34)의 이동에 의해 선단이 제 1 가이드 레일(62)에 안내되어서 절결부(4a)내로 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경사지게 하강해서 형성된 제 1 가이드레일(62)의 한쪽면을 절결한 절결부에 도달하면 캐리지(34)의 판스프링(34c)에 의해 위쪽으로 부세되어 제 1 가이드레일(62)의 내벽(62a) 쪽으로 압접되면서 안내되고, 중간 가이드 포스트(26)(27)와 ㄴ자 형상의 브래켓(28) 사이의 폭이 좁은 부분을 통과한다. 그 후, 제 1 가이드플랜지 부재(43)가 제 1 가이드레일(62)의 내벽과 제 2 외벽(62a)(62c)사이로 유도되어 협지되어서 샤시(S)와 고정가이드 실린더(15) 사이를 기어들면서 상승해서 제 1 가이드블록(42)이 제 1 리테이너(64)의 V형상의 노치(64a)에 감합하고, 다시 캐리지(34)의 오른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 1 회동 아암(38)의 선단이 오른쪽으로 더 올라가게 되지만, 제 4 도의 제 1 가이드블록(42)과 일체가 된 제 1 슬라이드판(41)이 제 1 회동 아암(38)에 대해서 슬라이드함으로서 제 1 가이드블록(42)의 위치는 바뀌지 않는다. 그리고, 캐리지(34)가 오른쪽 단부까지 도달하여 감지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구동모우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이 끊어지며, 캐리지(34)가 정지하고, 제 1 회동 아암(38)은 제 1 리테이너(64)에 대해서 소정의 오우버 스트로크 때문에 정지한다.
따라서, 제 1 가이드블록(42)은 스프링(44)(44)의 부세력에 의해 제 1 리테이너에 압접된 위치 그대로 위치 고정된다.
다음에 제 2 회동 아암(39)은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34)의 이동에 의해 계합핀(39c)이 제 2 가이드판(59)의 오목스토퍼(59a)로부터 탈출하여 스프링(50)에 의해 캐리지(34)쪽으로 부세되면서 제 3 캠날(59b)에 의해서 절결부(4a)내로 부터 비데오 테이프를 인출한다. 그리고, 제 2 가이드블록(48)은 제 1 가이드블록(42)과 대체로 동일한 궤적을 그리며 하강하여, 계합핀(39c)과 제 3 캠날(59b)이 이간하면 돌출편(39e)과 제 3 가이드판(60)이 계지하고 캐리지(34)의 받침대(34b)에 계지되어, 상기 캐리지(34)와 평행인 상태로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 1 회동 아암(38)과 제 2 회동 아암(39)은 서서히 선단이 벌어진다. 그리고, 제 2 회동 아암(39)은 제 2 가이드레일(63)에 압접되면서 안내되어 일부분이 샤시(S)와 고정가이드 실린더(15) 사이로 끼어들면서 상승하고, 제 2 가이드블록(48)은 제 2 리테이너(65)에 감합하기 직전에 제 6 도에 도시한 스프링 어셈블리(66)의 제 1 스프링판 회동편(66a)을 압압하고, 이 스프링 어셈블리(6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제 2 가이드블록(48)이 V형상의 노치(65a)(65a)에 감합하면 스프링 어셈블리(66)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제 2 스프링판 회동편(66b)이 제 2 가이드블록(48)의 측부를 V형상의 노치(65a)(65a)쪽으로 압접한다. 다시 캐리지(34)가 이동해서 오른쪽에 도달하면 정지되며, 제 2 회동아암(39)은 제 2 리테이너(65)에 대해서 소정의 오우버 스트로크 때문에 정지한다. 따라서, 제 2 가이드블록(48)은 스프링(49)의 부세에 의해 제 2 리테이너(65)에 압접된다. 여기서, 제 2 회동아암(39)의 오우버스트로크는 제 1 회동 아암(38)의 오우버스트로크 보다 약간 작기 때문에 압접력도 약간 약하나,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66)의 압접력과 어울려서 제 2 가이드블록(48)을 위치 고정하는데 충분한 압접력을 언을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회동 아암(38)(39)의 선단이 벌어짐으로서 테이프는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14)(15)에 소정의 각도, 예를들면 180°로 감겨지나, 제 1 회동 아암(38)은 제 2 회동아암(39)보다 먼저 제 1 리테이너(64)에 위치 결정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테이프는 제 1 가이드 블록(42)쪽으로 부터 서서히 감겨지고, 즉, 회전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14)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겨지므로 테이프의 현가가 매우 용이하게 행해진다.
다음에 제 3 회동 아암(40)은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합핀(40a)이 제 1 가이드판(57)에 계합하고 있으며, 캐리지(34)의 이동에 의해 제 1, 제 2 캠날(57a)(57b)을 따라서 안내되고, 선단의 제 3 가이드핀(55)은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블록(42)(48)과 대체로 동일한 궤적을 그리며 카아트리지(4)의 절결부(4a) 내로 부터 테이프를 인출한다. 그리고, 계합핀(40a)과 제 1 가이드판(57)이 이간한 후, 제 2 회동아암과 마찬가지로 캐리지(34)의 받침대(34b)에 계지되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또 제 4 가이드판(61)에 로울러(40b)가 당접하면 약간 상승하여 제 2 회동 아암(39)과 소정각도로 선단이 벌어져서 캐리지(34)의 정지에 의해 제 4 가이드판(61)상에서 정지하고, 비틀림스프링(56)의 부세력에 의해서 위치 고정된다.
상기 제 3 가이드핀(55)에 의해 녹화헤드(22) 및 고정가이드 포스트(23)(24)에 테이프가 접촉된다. 또,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34)의 이동에 의해, 톱니막대판(67)은 오른쪽으로의 슬라이드가 허용되기 때문에, 텐션스프링(72)에 의해 부세되어 있는 피니언기어(7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톱니막대판(67)을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70)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는 테이프 텐션레버(73)도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테이프 텐션핀(73a)은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블록(42)(48) 및 제 3 가이드핀(55)에 선행해서 테이프를 카아트리지(4)의 절결부(4a) 내에서 끌어낸다.
회동하는 테이프 텐션핀(73a)은 중간가이드 포스트(62)(27)와 ㄴ자 형상의 브래킷(28) 사이의 폭이 좀은 부분을 통과해서 중간 가이드 포스트(26)(27)에 테이프를 감는다. 또, 상기 톱니막대판(67)이 슬라이드 해서 스토퍼(76)에 당접하면, 캐리지(34)와의 계합이 해제된다. 그리고 테이프 텐션핀(73a)은 회동위치 검출 장치(75)에 계합하고, 피니언 기어(70)의 원호 형상 절결부(70a)에 끼워진 절곡편(73b)의 회동 범위 내에서 동작하여 테이프 텐션을 감지한다.
다음에, 회동 레버(77)상의 제 4 가이드판(80)은, 로울러(77a)가 스프링(79)의 부세력에 의해 제 3 회동아암(40)의 측면에 계합하고 있으므로 카아트리지(4)의 절결부(4a) 내에 있으나, 제 3 회동 아암(40)의 이동에 따라 그 측면을 가이드로 회동하여 테이프를 인출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과의 계합이 해제된 후에는, 스토퍼(81)에 계합하여, 그 위치에서 규제된다.
또, 핀치로울러 레버(11)는 핀치로울러 압착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로우딩 완료 직전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핀치 로울러(10)를 캡스턴에 압착시킨다.
제10도에 있어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로우딩이 완료하면, 제 1 회동 아암(38)은 워엄 기어(30)에 대해서 대체로 직교로 배치되고, 제 3 회동 아암(40)은 대체로 평행으로 배치되며, 제 2 회동 아암(39)은 제 1 회동 아암(38)과 제 3 회동 아암(40)과의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 각 회동 아암(38)(39)(40)의 회동 중심인 지지축(34d)은,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14)(15)의 축심보다도 수평 방향에 대해서 카아트리지(4)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즉,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14)(15)에 감겨진 테이프의 중심점이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의 축심 보다도 카아트리지(4)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프 통로를 형성한다. 즉 공급리일로 부터 끌어낸 테이프는 먼저 중간 가이드 포스트(26)(27)에 의해 대체로 180°경로가 변경되어 카아트리지(4)와의 접촉을 파한 후, 테이프 텐션핀(73a)에 의해 테이프 텐션이 검출되고, 고정가이드 포스트(21), 자기소거헤드(20), 임피이던스 로울러(16)에 접촉한다.
또한, 제10도에 도시한 임피이던스 로울러 지지레버(17)는 상기 제 1 리테이너(64)의 회동규 제부(64b)에 계합하기 때문에,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14)(15)에 접촉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임피이던스 로울러(16)를 통과한 테이프는 제 1 가이드 핀(51)에 안내된 후, 제 1 경사 가이드핀(53)에 소정 각도로 감겨짐으로서, 카아트리지(4)면에 대해서 소정각도 경사져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14)(15)에 안내되어 180°정도 감겨진 후, 다시 제 2 경사 가이드핀(54)에 소정 각도로 감겨짐으로서, 상술한 테이프의 경사가 보정되어 제 2 가이드핀(52)을 통과한 후, 고정 가이드 포스트(23), 녹화헤드(22) 및 고정 가이드 포스트(24)에 접촉하고, 대체로 수직으로 안내되어 제 3 가이드핀(55)에 의해 대체로 90°정도 경로가 변경된 후, 샤시(S)에 거의 평행으로 안내되며, 중간 가이드 포스트(26)(27)와 ㄴ자 형상의 브래킷(28)과의 폭이 좁은 사이를 통과해서 제 4 가이드핀(80)에 접촉한다. 그 후, 테이프 주행로 규제 가이드핀(13)을 통해서 핀치 로울러(10)로의 말려드는 것을 방지하며 핀치로울러(10)와 캡스턴(8) 사이를 경유해서 감는 리일에 감긴다.
또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실린더 둘레에 감긴 비데오 테이프의 중간 지점은 상기 카아트리지와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의 세로축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카아트리지로부터 짧은 거리로 이간 되어 있다.
또한, 이 로우딩 상태에서 기록 혹은 재생 조작이 행해지면 캡스턴(8), 감는 리일 지지대(6) 및 공급 리일 지지대(7)가 구동되어 테이프가 주행되면, 녹화 헤드(22)에 의해 테이프상에 소망의 녹화·재생이 행해지나, 급송 혹은 되감는 조작이 행해지면, 구동 모우터(도시하지 않음)의 역회전에 의해, 캐리지(34)가 제11도에 도시한 위치, 즉 테이프가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14)(15)로부터 이간된 위치까지 이동하여 테이프통로가 단축된 상태(제12도에 도시한 위치로 캐리지(34)가 이동된 상태)에서 급송, 되감는 동작이 행해진다. 그 리고, 다시 녹화 혹은 재생 조작이 행해지면 상술한 로우딩 상태로 복귀한다.
또 상기 로우딩 상태로부터 언로우딩 조작이 행해지면, 로우딩시와는 정반대의 동작으로 테이프가 카아트리지(4) 내에 수납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충분히 설명하였으나, 이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다양한 변화와 변경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가이드핀을 가지는 제 1, 제 2 회동 아암(38)(39)에 의해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14)(15) 둘레에 비데오 테이프를 감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각종 테이프 가이드의 구동은 와이어 혹은 체인을 사용함으로서 효과적으로 할 수도 있으며 적절한 가이드 수단에 의해서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출발 위치로부터 중간위치 까지 이동할 동안 한쪽 방향으로 가이드블록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제 1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것과, 중간 위치로부터 로우딩 완료위치 까지 이동할 동안에는 양쪽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형성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는 중간 위치에서 로우딩 완료 위치로 이동할 동안에는 샤시(S)에 수직 방향으로 매우 정확하게 위치하여야만 비데오 테이프를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감을 수 있으며 언로우딩 위치로부터 중간 위치까지 이동할 동안에는 샤시(S)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위치는 정확성이 그다지 요구되지 않으나, 중간 위치로부터 로우딩 완료 위치까지 샤시(S)에 대해 수직방향으로의 이동할 동안은 비데오 테이프를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감는 동작이 정밀도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언로우딩 위치에서 중간 위치까지의 가이드 레일을 가이드 블록의 정확한 안내를 위하여 양쪽 방향으로 제어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임피이던스 로울러와 유사한 임피이던스 로울러를 제 2 가이드 블록에 인접해서 위치시켜도 되며 이 경우에는 캐리지가 이동할 동안 비데오 테이프를 매우 안정되게 유도한다.
또한, 제 2 가이드 블록을 위하여 대체로 α형상의 비틀림 스프링 어셈블리와 기능이 유사한 압압부재를 제 1 리테이너와 감합하는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변화와 변경은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4)

  1. (정정) 비데오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를 통하여 그 외부로 노출된 비데오 테이프를, 상기 카아트리로부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카아트리지의 한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쪽으로 인출하여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소정의 각도로 감는 형식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비데오 테이프가 현가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카아트리지의 절결부 내에 위치하고, 테이프가 현가되어 있을 때에는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로부터 비데오 테이프를 카아트리지의 길이 방향으로 인출하고 소정의 각도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감는 동작을 할 수 있는 적어도 한쌍의 테이프 가이드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2.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실린더 둘레에 감긴 중간지점은 상기 카아트리지와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의 세로축 사이의 길이 보다 상기 카아트리지로부터 짧은 거리로 이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3. (정정) 비데오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를 통하여 그 외부로 노출된 비데오 테이프를, 상기 카아트리지로 부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카아트리지의 한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쪽으로 인출하여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소정의 각도로 감는 형식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비데오 테이프가 현가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내에 위치하며, 카아트리지로부터 적어도 비데오 테이프를 인출하는 제 1, 제 2 및 제 3 테이프 가이드와, 테이프가 현가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서로가 일정하게 이간되어 소정의 각도로 적어도 비데오 테이프의 일부를 감는 동작을 할 수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 테이프 가이드가 각각 착설된 제 1 및 제 2 회동 아암과, 비데오 테이프의 주행을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회동 아암과는 반대쪽에, 상기 제 2 회동 아암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간되어 있는 상기 제 3 테이프 가이드가 착설된 제 3 회동 아암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4. (정정) 비데오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를 통하여 그 외부로 노출된 비데오 테이프를, 상기 카아트리지로 부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카아트리지의 한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쪽으로 인출하여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소정의 각도를 감는 형식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비데오 테이프가 현가되어 있는 않을 때에는 카아트리지의 절결부 내에 위치하고 비데오 테이프가 현가되어 있을 때에도 적어도 비데오 테이프를 인출하는 제 1, 제 2 및 제 3 테이프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비데오 테이프를 소정의 각도로 감는 상기 제 1 및 제 2 테이프 가이드가 각각 착설된 제 1 및 제 2 회동 아암과, 비데오 테이프를 인출한 후 주행경로를 한정하는 상기 제 3 테이프 가이드가 착설된 제 3 회동 아암과 좌우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회동 아암이 각각 착설된 캐리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5. (정정) 비데오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를 통하여 그 외부로 노출된 비데오 테이프를, 상기 카아트리지로 부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카아트리지의 한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쪽으로 인출하여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소정의 각도로 감는 형식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비데오 테이프가 현가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내에 대체로 일열로 나란히 위치하고, 테이프가 현가되어 있을 때에는 동작하여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고 소정의 각도로 비데오 테이프를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감는 복수개의 테이프 가이드 수단과, 상기 각각의 테이프 가이드 수단이 착설되어 있는 서로 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회동 아암과, 카아트리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복수개의 회동 아암을 지지하고 있는 공통지지축을 가지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캐리지의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레일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6. (정정) 비데오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를 통해 그 외부로 노출된 비데오 테이프를, 상기 카아트리지로부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카아트리지의 한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쪽으로 인출하여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소정의 각도로 감는 형식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비데오 테이프가 현가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카아트리지의 절결부 내에 위치하고, 비데오 테이프가 현가되어 있을 때에는 동작하여 상기 카아트리지의 절결부 내로부터 비데오 테이프를 인출하는 복수개의 테이프 가이드 수단과 일단부에 상기 복수개의 테이프 가이드 수단이 착설되어 있고 서로 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회동 아암과, 상기 카아트리지에 대해 직선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회동아암을 지지하는 공통 지지축을 가지는 캐리지와, 비데오 테이프의 주행 경로를 따라 안내하고, 상기 카아트리지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회동 아암과 상기 캐리지를 안내하는 안내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7. (정정) 비데오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를 통하여 그 외부로 노출된 비데오 테이프를, 상기 카아트리지로 부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카아트리지의 한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쪽으로 인출하여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소정의 각도로 감는 형식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내로부터 비데오 테이프를 인출하여 소정의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제 1 가이드 수단과, 상기 제 1 가이드 수단에 의해 안내된 비데오 테이프를 상기 카아트리지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캐리지상에 착설된 제 2 가이드 수단과, 상기 제 2 가이드 수단에 의해 안내된 비데오 테이프를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제 3 가이드 수단과, 일단부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테이프 가이드 수단을 각각 가지는 제 1, 제 2 및 제 3 회동 아암과, 상기 카아트리지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회동 아암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착설된 캐리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8. (정정) 비데오 테이프를 카아트리지에서 인출하여 소정의 각도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감는 한쌍의 테이프 가이드 수단과, 상기 테이프 가이드 수단을 테이프 로우딩 위치에 고정시키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에 인접해서 비데오 테이프의 주행경로에 배치되는 임피이던스 로울러와, 상기 임피이던스 로울러가 착설되고 회동 가능한 임피이던스 로울러 지지부재와, 상기 임피이던스 지지부재 및 상기 리테이너와의 접촉에 있어서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각 운동을 규제하며 상기 임피이던스 로울러 지지부재를 한쪽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9. (정정) 비데오 테이프가 현가되어 있을 때에는 비데오 테이프를 카아트리지에서 인출하여 소정의 각도로 가이드 실린더 둘레에 감고, 이동 가능한 테이프 가이드 수단과, 상기 테이프 가이드 수단을 지지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테이프 가이드 수단을 소정 위치에 고정하며 상기 가이드 블록과 감합 가능한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에 인접해서 회동 가능하게 착설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을 압압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스프링판 회동편을 가지는 압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10. (정정) 비데오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를 통하여 그 외부로 노출된 비데오 테이프를, 상기 카아트리지로부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카아트리지의 한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쪽으로 인출하여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소정의 각도로 감는 형식의 비데오 레코오더에 있어서, 테이프가 현가되어 있을 때에는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내로부터 비데오 테이프를 인출하기 위하여 제 1 테이프 가이드 수단을 지지하고 회동 가능한 제 1 회동 아암과, 상기 카아트리지의 길이 방향으로 대체로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 1 회동 아암을 지지하고 있는 캐리지와, 제 2 테이프 가이드 수단을 지지하고 있는 비데오 테이프의 주행경로를 규제하는 제 1 회동 아암과 연동 가능한 제 2 회동 아암과, 상기 제 2 회동 아암의 회동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11. (정정) 비데오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를 통하여 그 외부로 노출된 비데오 테이프를, 상기 카아트리지로부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카아트리지의 한쪽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간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쪽으로 인출하여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소정의 각도로 감는 형식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카아트리지로부터 비데오 테이프를 소정의 위치로 인출하고, 안내하도록 착설된 테이프 가이드 수단과, 한쪽 단부에 착설된 상기 테이프 가이드 수단을 가지는 회동 아암과, 카아트리지의 길이 방향으로 대체로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고 상기 회동 아암을 지지하고 있는 캐리지와, 상기 테이프 가이드 수단이 일체가 되게 조립된 가이드 부재와, 양쪽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를 동작 가능하게 제어하는 소정의 부분이 절결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소정의 위치를 통과할 때에만 타단부로 상기 가이드 부재를 압송동적할 수 있도록 상기 캐리지상에 착설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12. (정정) 비데오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를 통하여 그 외부로 노출된 비데오 테이프를, 상기 카아트리지의 한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쪽으로 인출하여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소정의 각도로 감는 형식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카아트리지로부터 비데오 테이프를 소정의 위치로 인출하고 안내하도록 착설된 가이드 수단과, 상기 테이프 가이드 수단과, 일체가 되게 조립된 가이드 부재와, 양쪽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를 동작 가능하게 제어하는 소정의 부분이 절결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소정의 위치를 통과할 때에만 타단부로 상기 가이드부재를 부세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13. (정정) 비데오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를 통하여 그 외부로 노출된 비데오 테이프를, 상기 카아트리지의 한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쪽으로 인출하여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소정의 각도로 감는 형식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카아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톱니 막대판과, 상기 톱니 막대판에 맞물린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형성된 절결부와, 상기 톱니 막대판이 소정의 위치로 움직일 때 피니언 기어의 상기 절결부에 의해 규제된 소정의 각도를 통해 소정의 위치로 회동하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동축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텐션레버와 상기 절결부 내에 끼워지도록 상기 텐션레버에 형성된 절곡편과, 비데오 테이프가 현가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내에 위치하고 상기 텐션레버상에 착설된 텐션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14. (정정) 비데오 카아트리지의 절결부를 통하여 그 외부로 노출된 비데오 테이프를, 상기 카아트리지로부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카아트리지의 한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쪽으로 인출하여 상기 가이드 실린더 어셈블리 둘레에 소정의 각도로 감는 형식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카아트리지의 절결부 내로부터 비데오 테이프를 인출하는 테이프 가이드 수단과, 상기 테이프 가이드 수단과 일체가 되게 조립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테이프 가이드 수단의 수평 및 수직이동방향에 대해 상기 테이프 가이드 수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감압하는 가이드 레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KR8202694A 1981-06-18 1982-06-17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 KR850001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94796 1981-06-18
JP56094796A JPS57208660A (en) 1981-06-18 1981-06-18 Cassette type vt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865A KR840000865A (ko) 1984-02-27
KR850001906B1 true KR850001906B1 (ko) 1985-12-30

Family

ID=1412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694A KR850001906B1 (ko) 1981-06-18 1982-06-17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4583136A (ko)
EP (1) EP0068313B1 (ko)
JP (1) JPS57208660A (ko)
KR (1) KR850001906B1 (ko)
DE (1) DE327997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8660A (en) * 1981-06-18 1982-12-21 Sanyo Electric Co Ltd Cassette type vtr
JPS58118561U (ja) * 1982-02-02 1983-08-12 赤井電機株式会社 カセツト式ビデオテ−プレコ−ダ
JPS58118560U (ja) * 1982-02-02 1983-08-12 赤井電機株式会社 カセツト式ビデオテ−プレコ−ダ
JPS58170044U (ja) * 1982-05-10 1983-11-12 赤井電機株式会社 カセツト式テ−プレコ−ダ
US4752844A (en) * 1984-03-31 1988-06-21 Alpine Electronics Inc. Tape cassette loading device in a magnetic tape recorder-reproducer apparatus
US4750062A (en) * 1984-04-19 1988-06-07 Alpine Electronics Ltd. Rotatable tape loading device in a magnetic tape recorder-reproducer apparatus
US4697214A (en) * 1984-12-18 1987-09-29 Casio Computer Co., Ltd. Tape loading device
EP0198102B1 (en) * 1985-04-17 1990-08-29 Sanyo Electric Co., Ltd. Tape loading mechanism
JPH0369054A (ja) * 1989-08-09 1991-03-25 Toshiba Corp 駆動内容切換え装置
JP2548992B2 (ja) * 1989-12-25 1996-10-3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H0457240A (ja) * 1990-06-22 1992-02-25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KR950006036B1 (ko) * 1990-07-13 1995-06-07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Vtr 일체형 비디오 카메라
JP3008551B2 (ja) * 1991-05-31 2000-02-14 ソニー株式会社 カム機構
JP2555952Y2 (ja) * 1991-11-19 1997-11-26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ビデオ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US6396655B1 (en) * 2000-07-26 2002-05-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ape loa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0904A (en) * 1969-09-22 1973-11-06 N Kihara Mechanism for engaging a magnetic recording tape in a cassette and for withdrawing the tape from the cassette and placing the tape in engagement with the guide drum of a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DE2062916A1 (de) * 1969-12-23 1971-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ndkassette
US3702383A (en) * 1971-05-06 1972-11-07 Sony Corp Tape loop forming and threading mechanism for use with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BE788832A (fr) * 1971-09-21 1973-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pareils d'enregistrement et de reproduction magnetique
US3940791A (en) * 1974-08-19 1976-02-24 Ampex Corporation Magnetic tape transport
JPS5731390Y2 (ko) * 1975-06-23 1982-07-09
JPS6035743B2 (ja) * 1976-02-25 1985-08-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2134414A (en) * 1976-05-04 1977-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tape device
US4138699A (en) * 1976-06-04 1979-02-06 Victor Company Of Japan, Ltd. Automatic tape loading 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5382406A (en) * 1976-12-28 1978-07-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recorder/reproducer of helical scanning system
DE2713524A1 (de) * 1977-03-26 1978-10-26 Bosch Gmbh Robert Geraet zur aufzeichnung und/oder wiedergabe von informationen auf bandfoermigen aufzeichnungstraegern
JPS5487512A (en) * 1977-12-24 1979-07-12 Sony Corp Cassette type vtr
AT356402B (de) * 1978-05-05 1980-04-25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JPS554754A (en) * 1978-06-26 1980-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tape device
JPS554768A (en) * 1978-06-27 1980-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tape device
JPS5534366A (en) * 1978-09-04 1980-03-10 Hitachi Ltd Pinch-roller driver of magnetic recording reproducing device
US4191976A (en) * 1978-09-26 1980-03-04 Data General Corporation Circuit indicating phase relationship
JPS5833610B2 (ja) * 1978-12-28 1983-07-21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テ−プ位置検出装置
JPS55160362A (en) * 1979-05-31 1980-12-13 Sony Corp Tape loader
CA1166351A (en) * 1980-03-07 1984-04-24 Hiroyuki Umeda Tape loading apparatus in 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57208660A (en) * 1981-06-18 1982-12-21 Sanyo Electric Co Ltd Cassette type vt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279978D1 (en) 1989-11-16
EP0068313A2 (en) 1983-01-05
KR840000865A (ko) 1984-02-27
US4727441A (en) 1988-02-23
EP0068313B1 (en) 1989-10-11
US4723183A (en) 1988-02-02
JPS57208660A (en) 1982-12-21
EP0068313A3 (en) 1985-10-16
US4583136A (en) 198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906B1 (ko)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
USRE35396E (en) Cartridge shutter actuating device in .Iadd.a Magneto optical .Iaddend.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3964098A (en) Tape deck with drive motor remote from drive roller
US4616274A (en) Tape end detecting device for extractable tape type cassette
JPH0370304B2 (ko)
JP3033225B2 (ja) テーププレーヤ
US4701817A (en) Loading and ejecting mechanism for a magnetic tape cassette apparatus
KR0149638B1 (ko) 겸용식 기록 및 재생장치
US6267313B1 (en) Wide tape cartridge
US4166283A (en) Self-threading helical scan video cassette recorder
US5012364A (en) Tape-loading mechanism for 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selective use of tape cassettes of two different sizes
US4626938A (en) Tape loading device in 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7408736B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EP0743638A2 (en) Deck mechanism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006941A (en) Reversible drive mechanism for a tape recording apparatus
EP0356213A2 (en) Tape loading apparatus for cassette tape player
JP3044809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2893987B2 (ja) テーププレーヤ
US5568339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operable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 cassettes
JP3008528B2 (ja) テーププレーヤ
US4015293A (en) Cutaway tape guide for selectively cooperating with a capstan and guiding a tape
US6654199B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reduced number of guide posts
JPS6338428Y2 (ko)
KR900005639Y1 (ko) 브이씨알의 고속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JPS6235160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