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896Y1 - 다심 케이블용 접촉기 - Google Patents

다심 케이블용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896Y1
KR850001896Y1 KR2019840009839U KR840009839U KR850001896Y1 KR 850001896 Y1 KR850001896 Y1 KR 850001896Y1 KR 2019840009839 U KR2019840009839 U KR 2019840009839U KR 840009839 U KR840009839 U KR 840009839U KR 850001896 Y1 KR850001896 Y1 KR 850001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sulated
terminal cover
contact
bran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9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레사 마리아 훼더러 빌헬르므스
기스베르터스 마리아우른 프란체스코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디 너모아 앤드 캄파니
드놀드 에이호우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디 너모아 앤드 캄파니, 드놀드 에이호우르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디 너모아 앤드 캄파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8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31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multiphase cables, e.g. with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of a plurality of conductors

Landscapes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심 케이블용 접촉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의 1예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에 대해 90°회전된 측면도로서, 제1도의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측면도에 대해 90°회전된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접촉기용의 개조된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제2도 단자의 평면도.
제5도는 제3도 단자의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접촉기의 1예의 분해도.
제7도는 결연된 전기 도체들이 단자 커버에 배치된, 제2도 접촉기의 단자 커버의 평면도.
제8도,제9도 및 제10도는 1열로 각 요홈부내에 배치된 3개의 단자들을 지나는 단면을 나타내는, 제7도의 조립된 접촉기의 단면도들.
제11도, 제12도 및 제1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접촉기와, 전기 도체들을 적용시키기 위한 다수의 수단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제14도는 면지방지 커버가 사용된 본 고안의 접촉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단자(terminal)지지체와 결연물질의 단자 커버로 이루어진 다심 케이블(multiconductor cable)용 접촉기(contaetdevice)에 관한 것이다. 그 단자 지지체는 단자들이 배치되는 요홈부들을 가지고 있고, 그 단자들은 분기(分岐)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을 가지고 있다. 다심 케이블의 절연된 전기 도체들은 접점 커버를 지나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로 통과된다.
그러한 접촉기는 공개된 네델란드 특허원 제760329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의 기구에서는 절연된 전기도체들이 단자 커버의 별도의 구멍들을 통과하고 그 후 그 도체의 단부들이 단자 지지체에 위치된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의 가지(tine)부분들 사이에 압입되어 있는다. 단자 커버의 하부 표면은 분기된 절연물 관통접점들을 수용하기 위한 요홈부들을 가지고 있고, 각 요홈부에 횡으로 깊은 홈이, 절연물 관통 접점들의 가지부분들 사이에 압입된 전기 도체의 구부러진 단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점촉기를 조립한때 각 도체는 먼저, 연결된 그의 단부가 직각으로 구부러져야 하고, 그후 이구부러진 부분이 절연물 관통 접점의 가지부분 사이에 압입된다. 그 전기도체의 자유단부는 단자 커버의 해당구멍들을 통과한 다음, 그 구멍 밖으로 연장하여 있는 도체들의 단부들을 당긴후 그 단자 커버를 단자 지지체 위로 하강시켜 조립한다.
그러한 접촉기를 조립하기 위해 다수의 도체들을 사용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이 접촉기는 자동조립공정에 적용되지 못한다. 도체들중 하나가 수선되거나 대치되어야 할때, 단자 커버를 제거한 후 도체를 대치하고 다시 단자커버를 부착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수리작업중 나머지 도체들이 손상되거나 파열될 수 있다.
단자들에 접촉하여 있는 절연된 전기도체들의 길이의 일부분이 U형으로 구부려지고 지지되는 것이 특징인 본 고안의 접촉기에서는 전술한 단점들이 제거된다. U형으로 구부러진 도체의 기부는 단자와의 전기적접촉을 달성하기 위해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의 가지부분들 사이슬리트(slit)내로 압입된다.
지지되고 U형으로 구부러진 도체 부분을 사용함에 의해, 단자 커버를 통해 도체를 별도로 통과시키지 않고도 절연물 관통 접점과 도체를 양호하게 접촉시키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것은, 그 도체를 개구부 또는 요홈부를 통해 절연물 관통 접점의 가지부분들 사이에서 아래로 압착함에 의해 간단히 달성될 수 있다. 그 U형은 양호한 응력 경감수단을 자공한다. 이들 도체가 단자 커버를 별도로 관통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도체의 수선 또는 대치가 매우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접촉기의 바람직한 일에서, 그 단자 커버에는, U형으로 구부러진 도체 부분을 수용지지하기 위한 요홈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그 요홈부들은 U형으로 구부러진 모든 도체 부분들이 평행한 면상에 있게 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단자 커버에는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을 위한 채널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채널들은 U형으로 구부러진 도체 부분들을 위한 요홈부에 형성되어 있다.
U형으로 구부러진 도체 부분들을 위한 단자 커버네 요홈부들은 단자커버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부 표면으로 연장하여 있다.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을 위한 채널들은 그 요홈부의 종방향에 횡으로 연장하는 슬로트들로 구성되어 있다. 조립된 접촉기에서, 슬로트내의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은 그 요홈부내까지 압입되어 있는다. 그 요홈부내에서,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의 양측부들은, 단자 커버의 상부 표면상의 요홈부위에서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절연전기도체의 부분을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의 가지부분들 사이에 압입하는데 여유가 있도록 요홈부의 벽돌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는다.
본 고안의 접촉기를 조립할 때, 먼저 단자 커버가 절연 단자들을 가진 단자 지지체상으로 하강된다.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은 단자 커버의 슬로트에 수용되어 요홈부내에서 단자커버의 상부표면으로 나와 있는다. 다음, 전기 도체들의 요홈부를 가로질러 종방향으로 단자 커버의 상부 표면에 배치된 후, 그들 도체는 요홈부내에서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의 가지부분들 사이로 연속적이고 개별적으로 동시에 압입될수 있다. 이것은, 요홈부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도체의 부분을 2개의 가지부분 사이 슬로트내까지 그요홈부내로 압입할 수 있는 평편한 스트립 형태의 앤빌(anvil)로 형성된 별도의 공구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그 절연물은 가지부분들의 날카로운 연부(緣部)에 의해 절단되고 코어(core)가 그 날카로운 연부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도체들에의 압박작용은 케이블 지지체에 의해 모든 도체들에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이 지지체는, 하부표면이 절연 전기도체들에 얹혀 있는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전기 도체들은 또한 단자 커버의 상부표면에 얹혀 있는다. 그 하부표면에는 전기도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서로 인접한 평행한 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체 압박수단이 단자 커버의 요홈부의 반대측에서 케이블 지지체의 홈들내로 배치된다. 그 도체압박수단은 단자 커버에 횡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핑거(finger) 또는 스트립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의 최대 폭 부분이 요홈부내에 위치된 절연물 관통 접점의 면에 횡으로 연장한다. 각 스트립 부분의 길이와 위치는, 케이블 지지체를 단자 커버상에 하강시킨 때 각 스트립 부분이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의 가지부분들 사이 슬리트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선택된다. 단자 커버에 케이블 지지체를 하강시킨 때 모든 도체들은 단자의 가지부분들 사이에 동시에 압입된다. 케이블 지지체를 제위치에 보지시키기 위해 콜램프(clamp)가 사용되어도 좋다. 이 클램프는 예를들어 접촉기를 위한 통상의 먼지보호 커버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접촉기는 자동식 조립수단에 특히 적당하다. 도체를 수선 또는 고체해야 하는 경우 오직 하나의 도체만이 취급될 필요가 있다. 케이블 지지체를 제외하고 접촉기의 모든 나머지부분은 제위치에 그대로 유지되어 있을 수 있다. 케이블 지지체가 체거된 때라도, 각 코어와 해당하는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과의 사이의 접촉이 유지된다. 각 도체를 단자 커버의 요홈부내로 그리고 절연물 관통 접점의 가지부분들 사이로 압입하기 위해 각 도체를 구부려 그 도체에 U형 만곡부를 형성하며, 그 만곡부는 단자 커버내 그의 위치에 의해 응력 경감수단을 제공한다. 이 응력경감은 페이블 지지체를 하강시켜 단자 커버의 상부표면에 고정시킴에 의해 증진될 수 있다. 케이블 지지체의 하부표면과 단자커버의 상부표면은 전기도체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서로 인접한 평행한 홈들을 가지고 있다.
다심 케이블용 접촉기에서, 연결부의 밀도 즉 접촉기당 코넥터와 단자의 수를 더 중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전술한 공지의 접촉기들에서 그 밀도를 중가시킬때 조립과 수선의 문제들이 또한 증가된다. 그러한 접촉기들의 통상의 칫수는 요홈부들의 중앙선들 사이 간격이 2.54mm(0.1인치)이고 1열에서 서로 반대로 배치되는 요홈부들의 수가 3개이다. 이것은 하나의 접촉기에 사용될 단자의 수를 제한한다. 또한 길이는 특히 모든 도체들이 평편한 케이블에서와 같이 일측부에서 접촉기에 공급되어야 할때 소정 칫수내에 있어야 한다. 공지의 접촉기들에서는 위로부터 또는 다른 반대측 측부로부터 단자 지지체의 상부 표면에 도체를 도입시키는 것이 보통이다.
이 문제는, 1얼의 요홈부들이 단자 지지체에서 서로 반대로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본 고안의 접촉기에 의해 해결된다. 단자 지지체 내의 단자들에서 그 단자의 중앙선과,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의 가지부분들 사이 슬리트와의 사이 간격이 서로 다르다. 슬리트와 단자의 중앙선 사이 간격이 다른 그 단자들은 서로 180°반대로 배치되어 있다.
3개의 요홈부의 경우, 1열에서 서로 반대로 배치된 것들 사이에 중앙단자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중앙단자와 슬리트는 그 단자의 중앙선과 일치하며, 다른 단자들의 슬리트는 그의 중앙선에 대해 편기되어 있으며 그 단자들은 서로에 대해 180°반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의 전술한 칫수에서 3개의 도체가 접촉기의 일측부로부터 단자 커버의 상부 표면에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단자는 사부부분(1), 중간부분(2) 및 하부부분(3)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그 단자는 U형으로 구부러진 전기 전도성 시이트(sheet)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부러진 시이트의 2개의 평행한 측부들은 위와 아래에서 길게 되어 있고 중간부분(2)의 연결 스트립(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 긴 상부부분은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을 형성하고, 그 각 접점은 슬리트(slit)(7)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는 1쌍의 직립 가지(tine)부분(5) 및 (6)으로 이루어져 있다. 슬리트(7)을 형성하는 그 가지부분(5) 및 (6)의 연부들은 날카롭게 되어 있어, 절연된 도체를 위로 부터 슬리트(7)내로 압압할때 절연물이 절단되고 슬리트(7)의 날카로운 연부들이 전기도체의 코어내로 침투하여 접촉이 이루어지도록한다. 그리하여 코어와 단자 사이에 매우 신뢰성 있는 접점이 형성된다.
제1도,제4도 및 제5도는 2개의 평행한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의 상부 부분을 나타낸다. 각 단자에서, 하나 이상의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통상 2개의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이 사용된다. 제6도,제12도 및 13도는 단자등 하나의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을 일에로 나타낸다. 제1도 에서는 단자당 2개의 절연물 관통 접점들이 사용된다.
중간부분(2)의 연결 스트립(4)는 측부 표면들의 우측 연부에 대해 소정 간격만큼 우측으로 편기(偏寄)되어 있게 하여 견부(才 部) 또는 지지기부base)(8)이 얻어지도록 한다. 단자를 단자 지지체(10)내에 배치시킨 때 그 견부가 단자 지지체(10)의 요홈부(11)내 캠(cam)상에 얹히게 된다.
중간부분(2)의 반대측 연부에는 날카로운 돌출가시(barb)(9)가 형성되어 있고, 요홈부(11)내에 배치된 때 그 가시(9)가 개구부의 측부의 물질내로 침투하여 단자가 그 요홈부(11)에서 빠질 수 없게한다.
간 단자의 하부 부분(3)은 또 다른 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서로 접촉하여 있는 2개의 접촉단자(12)(13)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이들 접촉단자들은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될 필요는 없고 중간부분(2)의 일부로 형성되어도 좋다. 제2도,제4도와 제3제,제5도의 단자들 사이의 차이는 제2도 및 제4도의 단자에서는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이 중간부분(2)의 중앙선에 대해 편기되어 있다는 것이다. 제2도의 슬리트(7)은 사용되는 전기 도체들의 직경에 의해 결정되는 간격만큼 중앙선에 대해 좌측으로 치우쳐 있다. 단자 지지체(10)에 이들 단자를 배치한 때 각 셋트의 1쌍은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이 요홈부(11)의 각 열의 종방향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 있도록 180°반대로 배치되어 있는다.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이 중앙선에 대해 치우쳐 있지 않은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 다른 단자를 사용함에 의해 높은 연결 밀도가 본 고안에서 얻어질 수 있다.
중간부분(2)의 형태는 그 단자가 요홈부(11) 내에 밀접히 배치되도록 그 요홈부(11)의 형태에 적합하게 되어있다. 제6도에 그들 요홈부가 정방향단면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중간부분(2)의 단면도 유사하게 정방향이고, 이것을 제6도에서 볼 수 있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접촉기의 구성부분들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그 접촉기는 단자 지지체(10), 단자 커버(14) 및 케이블 지지체(15)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부분(10)(14) 및 (15)는 서로의 위에 분리되어 있는데, 하강시 각 부분은 필요한 상호 위치를 취한다. 케이블 지지체(15)와 단자 커버(14) 사이에, 절연외피(17)와 코어(18)을 가진 연결될 전기절연된 도체(16)이 도시되어 있다.
단자 지지체(10)은 3열의 동일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정방향 요홈부(11)을 가진 합성수지 블록(block)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 요홈부들 사이 간격, 즉 요홈부(11)의 중앙선들 사이간격은 이런 종류의 접촉기에서 통상 2.54mm(0.1인치)이다. 이 칫수는 주로표준화 되어있고 미국 및 유럽에서 사용된다. 그 요홈부(11)들 사이에 랜드(land)(19)가 형성되어 있고, 그 랜드는 요홈부(11)이 정방향 단면을 가지는 한동일 폭을 가지고 있다. 그들 랜드의 상부 표면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자를 위한 지지체로 작용하고, 그 랜드(19)의 상측부에 견부(20)이 얹힌다. 제2도 및 제3도에 따른 단자들은 도시된 요홈부들의 중앙열에 배치된다. 그열은 단자 커버(14)의 홈(21)의 방향과 평행하다. 중앙 개구내에 제3도에 따른 단자가 도입되고, 양측부 개구에는 제2도에 따른 단자가 서로에 대해 180°반대로 배치된다. 이들 단자들을 요홈부(11)내에 도입시킨때 가시(9)가 요홈부들 사이벽의 물질에 침투하여 단자들이 제위치에 확고히 보지되게 한다. 제6도의 요홈부들은 정방향 단면으로 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그 단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도 있고, 그 경우, 단자의 중간부분(2) 역시 그 개조된 단면에 적합하게되어야 하며, 그리하여 단자들이 요홈부들내에서 그들의 중앙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게한다. 제6도에 단자 커버(14)가 단자 지지체(10) 위에 부분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자 커버(14)는 그의 상측부에 평행한 홈(21)들을 가지고 있고, 그 홈(21)들은 각 도체의 둥근 외측표면이 홈의 일부위에 지지되도록하는 단면을 가지고 있다. 그 홈들의 방향에 횡으로 볼때 2개의 요홈부(11)사이 간격내에 3개의 평행한 홈(21)이 배치되어 있다.
요홈부(22)가 각 홈(21)에 형성되어 있고, 채널 또는 슬로트(23)이 그 요홈부(22)위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슬로트(23)은 단자 커버(14)의 하부 표면에 까지 연장하여 있다. 제6도에서 단자커버(14)를 단지 지지체(10)상으로 하강시킨때 슬로트(23)은 단자 지지체(10)의 요홈부내 가장 우측 측부에 배치된 단자의 일부를 형성하는 분기된 절연물 관통접점을 수용한다. 요홈부(22)의 깊이는, 도체(16)의 부분이 요홈부(22)내에 압입된 후 도체(16)의 코어(18)과 가지부분(5) 및 (6)사이에 양호한 접촉을 달성하도록 충분하게 높이, 2개의 가지부분(5) 및 (6)의 상부부분이 그들사이 슬리트(7)과 함께 그 요홈부(22)내에 수용되도록 하는 깊이로 되어있다. 제6도에 요홈부(22)의 저부가 직각으로 되어 있으나 둥글게 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접촉기를 조립한 때 먼저, 단자들이 도시된 방식으로 단자 지지체(10)의 요홈부(11)내에 배치된다. 제6도에 3개의 요홈부들만이 채워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예에 제한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다음 단자 커버(14)가 단자지지체(10)의 상부 표면위로 하강되고, 그후 모든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이 해당슬로트(23)내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다음, 도체(16)이 홈(21)내에 배치된다. 그 도체(16)은 어느 경우에도 요홈부(22)의 전체에 연장하여야 하고, 도체가 요홈부내에 압입된 후 그 도체의 U형으로 구부려진 부분으로 그 요홈부(22)를 완전히 채우도록 충분한 길이의 도체가 그 요홈부 측벽에 남아있어야 한다. 제11도,제12도 및 제13도를 참조할 것. 모든 필요한 도체들을 배치한 후 케이블 지지체(15)가 단자 커버(14)의 상부 표면에 압착된다. 그 케이블 지지체(15)는 또한, 평행한 홈(24)를 가지고 있고, 그 홈(24)는 단자 커버(14)의 홈(21)과 함께 전기도체(16)을 보유한다. 케이블 지지체(15)의 각 홈(24)내에는 스트립형태의 앤빌(anvil)(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앤빌은 케이블 지지체(15)와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진다. 그 케이블 지지체(15)를 단자 커버(14)상에 하강 시킨때 각 앤빌(25)는 상응하는 요홈부(22)내로 삽입된다. 앤빌(15)의 전방은 도체(16)의 절연외피(17)을 위한 둥근 중공(中空)의 원통형 지지표면(26)을 형성한다. 각 앤빌의 중간부에는 개구부(27)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27)의 폭은, 그의 양측부의 2개의 나머지 패드(pad)들이 절연물 관통 접점의 슬리트(7)의 양측부의 위치에 위치하도록하는 폭으로 되어 있다. 도체(16)의 요홈부(22)를 지나 연장하여 단자 커버의 홈(21)내에 배치되고 케이블 지지체(15)가 단자커버(14)상으로 하강된때 요홈부(22)상의 도체(16)의 부분은 절연물 관통 접점의 가지부분(5)와 (6)사이에서 하방으로 압입되고, 그 가지부분(5)와 (6)에 의해 절연물(17)이 절단된 후 코어(18)이 슬리트(7)내로 도입된다. 그 결과 코어(18)과 단자 사이에 양호한 전기 접촉이 달성된다.
전술한 바로부터, 단자 커버(14)상에 케이블 지지체(15)를 하강시킨때 홈(21)내의 모든 도체(16)이 상응하는 분기된 절연물 관통접점과 거의 동시에 접촉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요홈부(22)들 내에 다수의 도체들을 압입하기 위해, 케이블 지지체(15)에 특정 압압수단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 도체들은 해당 요홈부(22)들의 각각 내로 그리고 가지부분(5)와 (6) 사이에, 단부 표면이 도시된 앤빌(25)와 같이 형성된 적당한 도구에 의해 개별적으로 압입될 수도 있다.
요홈부(22)내에 위치된 도체의 U형 부분 외에도, 케이블 지지체(15)가 앤빌(25)와 함께 도체(16)을 위한 추가응력 경감부를 제공한다. 영구적인 케이블 지지체(15)와 앤빌(25) 대신, 도체들이 상응하는 형태의 도구에 의해 요홈부(22)와 분기된 절연물 관통접점의 슬리트(7)내에 동시에 압입될 수도 있다. 이 특정 도구는 요홈부들의 수에 일치하는 앤빌(25)들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도체들을 배치한 후 그 특정 도구는 앤빌(25)가 없는 케이블 지지체(1)로 대치될 수 있다.
단자들이 배치된 단자 지지체(10), 그 단자 지지체(10)상으로 하강된 단자 커버(14) 및 도체(16)이 배치된 케이블 지지체(15)는 먼지 방지 커버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그 먼지 커버는 3개의 합성수지 부품(10),(14) 및 (15)들 사이에 부가적인 압박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먼지 커버는 클램프를 구비하여도 좋다.
제7도는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의 가지부분들 사이에 다른 도체들을 도입시킨 후의 단자커버(14)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제6도의 예와 달리, 제7도의 예에서는 각 단자가 2개의 분기된 절연물 관통접점을 가지고 있다. 제7도의 평면도에서는 그 접점들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7도는 3개의 도체(16)의 요홈부(11) 사이 2.54mm의 간격내에 배치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제8도,제9도 및 10도는 단자 커버(14)와, 단자들이 요홈부(11)내에 배치된 단자 지지체(10)의 단면들을 각각 나타낸다. 제8도는 제7도의 중앙열을 지나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제9도는 상부열을 지나는 단면도를 나타내며, 제10도는 제7도의 하부열을 지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8도,제9도 및 제10도는 중양열의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이 단자의 중앙열과 일치하는 반면, 제9 및 10도의 외측열들의 절연물 관통 접점들은 중앙선에 대해 치우쳐 있는 것을 명백히 나타낸다. 이것은, 3개의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들이 각각 별도의 도체(16)과 접촉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하여 3개의 도체들이 일측부에서 접점의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이들 3개의 도체들이 단자 지지체(10)의 2개의 요홈부(11)들 사이의 1핏치의 간격을 차지한다.
제 8도,제9도 및 제10도는 단자들이 견부(20) 및 (8)에서 단자 지지체의 요홈부(11)에 얹히는 방식을 또한 나타낸다. 가시(barb)(9)는 단자들을 위한 부가적인 안전수단을 형성한다.
제11도 및 제3도는 도체(16)을 배치하기 위한 개조된 예들을 나타낸다.
제11도의 예에서, 먼저 도체(16)이 배치 및 연결된 후, 그 도체들의 절연물이 접촉기의 연부에서 동시에 절단된다. 번호(28)을 참조할 것. 이 예에서 도체들은 단자 커버(14)의 상부 표면에서 접촉기에 적용된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당 2개의 절연물 관통 접점이 사용된다.
제12도의 예에서는 도체들이 위로부터 적용된다. 여기서도 유사하게 모든 도체들의 절연물이(28)에서 절단된다. 제12도의 예에서는 도체들이 역시 위로부터 적용되지만 홈(21)의 표면에서 절단된다.
하나의 단일 도체가 별개로 수선 또는 대치되어야하는 경우, 케이블 지지체(15)만이 들어올려 제거될 필요가 있고, 그후, 수선될 도체가 요홈부(22)와 절연물 관통 접점에서 당겨 빼내는 것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다음, 새로운 도체가 배치 및 연결된 후 케이블 지지체(15)가 단자 커버상으로 다시 하강되어 조립된다.
제11도, 제12도의 예들은 제13도의 예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제11도 및 제12도의 예들의 모든 도체(16)들이 단일의 절단 작동에서 절단될 수 있고 절단 표면들이 접촉기의 측부와 일직선상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적어도 제11도의 예에서는 그 절단 작동후 모든 도체(16)들이 지지된다.
제14도의 접촉기에서, 2개의 절반부(29)로 구성된 먼지 방지 커버가 사용된다. 그 절반부(29)들은 단자 지지체(10), 단자 커버(14) 및 케이블 지지체(15)들 주위에 서로 압착고정 되어 그들 부품들을 고정보지한다. 도체(16)들은 역시 2개의 절반부(30)으로 구성된 파이프를 통해 안내된다. 물론, 도체의 수는 도시된 3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될 예들은 특정 경우에 좌우된다. 본 고안의 접촉기는 다른 구조의 케이블에도 사용될 수 있다. 평편한 케이블의 경우, 각 도체 또는 와이어는 먼저 분리될 필요가 있다. 코어(17)은 중공이 아닌 단단한 것일 수 있으나 또한 표준 타입의 것이어도 좋다.
본 고안의 접촉기의 형상 및 칫수는 DIN 41612 코넥터 시스템에 적용된다. 그러나, 다른 칫수 또는 1열이상의 요홈부들을 갖는 코넥터들을 제조하기 위해 본 고안의 범위내에서 자유로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오직 3개의 요홈부들이 1열에서 서로 엇갈려 배치된 접촉기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고안은 연결부, 도체 및 단자들의 높은 밀도에 의해 공간이 제한되는 곳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이들 문제는, 별도의 도체들을 평편한 표면으로 부터 U형으로 단자 커버(14)의 상부 표면 아래에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그 도체들을 분기된 절연물 관통 접점의 가지부분들사이 요홈부의 하부부분내로 압입함에 의해 해결된다. 그들 인접하는 절연물 관통 접점들 사이에는, 다른 단자들의 그들 절연물 관통 접점을 그 단자의 중앙선에 대해 180°반대로 배치함에 의해 충분한 절연이 유지된다. 이것은 또한 별도의 도체들의 수선을 용이하게 한다.
본 고안은 도시된 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범위내에서 개조 및 추가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Claims (1)

  1. 단자지지부재와, 단자지지부재 상부표면상에 위치되는 단자커버로 구성되고, 이들 단자지지부재와 단자커버는 절연물질로 만들어지고, 단자지지부재는 단자지지부재상부표면으로부터 단자커버로 연장하는 분기된 절연관통접점으로 구성되는 단자를 수용하는 요홈부를 가지며, 단자커버는 분기된 절연관통접점을 지나는 다심케이블의 절연된 전기도체를 안내하는 다심케이블용 접촉기에 있어서, 단자커버는 다심케이블의 절연된 전기도체의 U형부분을 수용하는 요홈부를 가지고, 요홈부는 그의 길이방향이 도체의 안내방향과 일치하며 단자커버상부표면으로부터 대향하는 단자커버 저부표면으로 연장하여 있고, 단자커버는 또한 분기된 절연관통접점을 수용하는 슬로트를 포함하며, 각 슬로트는 단자커버 저부표면으로 부터 윗쪽으로 연장하고 U형 도체부분을 위한 요홈부내로 개구되고, 슬로트의 폭방향은 요홈부길이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단자커버가 단자지지부재상부에 위치된 후에 조립된 접촉기내에서 분기된 절연관통접점이 요홈부내에서 요홈부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각 U형 도체부분은 요홈부내에 압입되어 U형 도체부분의 하부부분이 분기된 절연관통접점의 가지부분사이에서 슬로트내로 압입되어 단자와의 전기적접촉을 이루고 분기된 절연관통접점의 양촉부에서 가지부분이 가지부분사이에서 하부분을 압압할때 확정되기에 충분한 공간이 요홈부와 각 슬로트내에 잔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케이블용 접촉기.
KR2019840009839U 1980-05-09 1984-10-08 다심 케이블용 접촉기 KR85000189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692 1980-05-09
NL8002692A NL8002692A (nl) 1980-05-09 1980-05-09 Kontaktinrichting voor een meeraderige kabe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567A Division KR830006834A (ko) 1980-05-09 1981-05-07 다심 케이블용 접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896Y1 true KR850001896Y1 (ko) 1985-08-31

Family

ID=198352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567A KR830006834A (ko) 1980-05-09 1981-05-07 다심 케이블용 접촉기
KR2019840009839U KR850001896Y1 (ko) 1980-05-09 1984-10-08 다심 케이블용 접촉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567A KR830006834A (ko) 1980-05-09 1981-05-07 다심 케이블용 접촉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039978B1 (ko)
JP (1) JPS575276A (ko)
KR (2) KR830006834A (ko)
AT (1) ATE7183T1 (ko)
BR (1) BR8102694A (ko)
CA (1) CA1161135A (ko)
DE (1) DE3163167D1 (ko)
HK (1) HK13586A (ko)
MX (1) MX150051A (ko)
NL (1) NL80026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10886B (en) * 1981-12-01 1985-12-11 Bunker Ramo Electrical connector member
DE3315688A1 (de) * 1982-09-29 1984-03-29 Karl 7298 Loßburg Hehl Steckersystem zur verbindung eines elektronischen steuergeraetes mit einer arbeitsmaschine
CH665733A5 (de) * 1983-04-29 1988-05-31 Karl Hehl Kontaktleiste.
EP0171737B1 (en) * 1984-08-07 1990-12-2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 wire branching connector device
JP2548543B2 (ja) * 1985-08-28 1996-10-30 コンチネンタル−ワ−ト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ポレイシヨン 複ワイヤー平ケーブル用絶縁接続装置
US4728299A (en) * 1985-08-28 1988-03-01 Continental-Wirt Electronics Corporatio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for flat cable having closely spaced wires
EP0471483A1 (en) * 1990-08-03 1992-02-19 Canon Kabushiki Kaisha Surface reforming method, process for production of printing plate, printing plate and printing process
TW218938B (en) * 1993-04-12 1994-01-11 Whitaker Corp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E19712846C1 (de) 1997-03-26 1998-08-13 Siemens A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zwischen einem Messerschneidkontakt und dem Kontaktende eines Leiters
JP4916982B2 (ja) * 2007-09-19 2012-04-1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多芯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38085B (de) * 1965-03-22 1967-04-06 Amp Inc Elektrischer Verbinder fuer Bandkabel
DE2022029B1 (de) * 1970-05-05 1971-04-15 Krone Kg Elektrische Klemmanschlussverbindung
SE7803525L (sv) * 1977-04-11 1978-10-12 Bunker Ramo Elektriskt anslutningsdon
US4160574A (en) * 1977-04-11 1979-07-10 Bunker Ramo Corporation Connector for flat wire cables having improved contacts and integral strain relief means
DE2726226A1 (de) * 1977-06-10 1978-12-14 Stocko Metallwarenfab Henkels Elektrische steckverbindung
DE2747395C2 (de) * 1977-10-21 1979-12-2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Vorrichtung zum lötfreien Anschluß eines drahtförmigen Lei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834A (ko) 1983-10-06
JPS575276A (en) 1982-01-12
DE3163167D1 (en) 1984-05-24
EP0039978A1 (en) 1981-11-18
ATE7183T1 (de) 1984-05-15
NL8002692A (nl) 1981-12-01
EP0039978B1 (en) 1984-04-18
CA1161135A (en) 1984-01-24
HK13586A (en) 1986-03-07
MX150051A (es) 1984-03-05
BR8102694A (pt) 198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3935A (en) Electrical connector
US4260209A (en) Transmission cable connector
US7670193B2 (en) Connector with insulation piercing contact and conductor guiding passageway
US3985416A (en) Opposed edge slotted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EP0331688B1 (en) Cover retention system
US4073560A (en) Electrical connector
US3715457A (en) Two piece flat cable connector
US4484791A (en) Connector for multiconductor flat insulated cable
US4153325A (en) Method and connector for terminating twisted pair and ribbon cable
US5194014A (en) Cable connector and contact terminal therefor
US4551579A (en) Construction of a connection for flat cables
KR970000284B1 (ko) 관통 절연부 이동 판 터미널
US7249962B2 (en) Connector assembly
KR850001896Y1 (ko) 다심 케이블용 접촉기
US4133596A (en) Electrical connector
US6406323B2 (en) Multi wire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a method of making multi wire terminations
EP0095271A1 (en) Low profile connector providing high density application
US4824394A (en) IDC connectors with rotated conductor pairs and strain relief base molded onto cable
US4537455A (en) Electrical connector
US4441779A (en) Contact device for a multiconductor cable
KR870006683A (ko) 인쇄 회로판 또는 접촉 핀 호울더에의 케이블 연결용 코넥터
US4364622A (en) Connector for flat cable
US4279074A (en) Method of terminating flat multi-conductor transmission cable
US5114362A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a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3993393A (en) Round conductor flatcab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