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255B1 - 편(片)로드 실린더의 구동유압장치 - Google Patents

편(片)로드 실린더의 구동유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255B1
KR850001255B1 KR8200065A KR820000065A KR850001255B1 KR 850001255 B1 KR850001255 B1 KR 850001255B1 KR 8200065 A KR8200065 A KR 8200065A KR 820000065 A KR820000065 A KR 820000065A KR 850001255 B1 KR850001255 B1 KR 850001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port
switching
flush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397A (ko
Inventor
기찌오 나까지마
에이끼 이즈미
히로시 와다나베
유끼오 아오야기
가즈오 혼마
Original Assignee
니시모도 후미하라(西元文平)
히다찌겡끼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도 후미하라(西元文平), 히다찌겡끼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도 후미하라(西元文平)
Publication of KR830009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7/00Systems in which the movement produced is definitely related to the output of a volumetric pump; Telemotors
    • F15B7/06Details
    • F15B7/10Compensation of the liquid content in a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05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 F15B2211/50563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the pressure control means controlling a differential pressure
    • F15B2211/50581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the pressure control means controlling a differential pressure using counterbalance valves
    • F15B2211/5059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the pressure control means controlling a differential pressure using counterbalance valves using double counterbalance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片)로드 실린더의 구동유압장치
제1도는 종래의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유압장치의 유압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유압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유압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유압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유압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유압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유압회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압펌 A, B : 주관로
A, 1B : 펌프의 포오트 2 : 편로드 실린더
2A : 로드측 포오트 2B : 보텀측 포오트
4j, 4K : 입력 포오트 4l : 출력 포오트
4 : 릴리프 밸브 6, 7 : 체크밸브
8 : 탱크 9a, 10, b, 14b, 19a : 입력 포오트
9C, 10C, 14C, 19C : 출력 포오트 C : 저압관로
9, 10, 14, 14 : 플러싱 밸브 Pf: 절환압력
P0: 보충압력 P1, P2: 개방압력
Pc: 크래킹 압력 11, 16, 14j, 14K : 체크 밸브
14i : 통로 14h : 스푸울
본 발명은 편로드 실린더에 연결된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폐회로를 가진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 유압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폐회로 내부에 발생하는 과잉의 유체를 배출하는 플러싱 밸브를 구비한 유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 로드 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하여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의 일방의 포오트를 편 로드 실린더의 로드측 포오트에 연통시키는 주관로와, 유압펌프의 타방의 포오트를 편 로드 실린더의 보텀(bottom)측 포오트에 연통시키는 주관로를 포함한 폐회로가 제안되어 있다.
편 로드 실린더에 있어서는 그 피스톤 로드가 인입(引入)되어 로드측 포오트로부터 실린더 내부로 유입하는 유체 유량보다도 보텀(bottom)측 포오트로부터 실린더 밖으로 유출하는 유체 유량이 많고, 따라서 폐회로 내부에 과잉의 유체가 발생한다.
이 과잉의 유체는 폐회로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하여 양 주관로에 각각 접속되는 입력 포오트와, 유체 탱크에 접속되는 출력포오트를 가진 플러싱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플러싱 밸브는 통상의 양 입력 포오트와 출력 포오트와의 접속을 차단하고 있지만 주관로간에 소정의 차압(差壓)이 발생하면 저압측의 주관로에 접속된 입력 포오트를 출력포오트에 연통시키고 그것에 따라 저압측의 주관로로부터 폐회로 내부의 과잉의 유체를 유체탱크에 복귀시키도록 작용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이 폐회로를 사용한 구동 유압장치는 유압쇼벨의 쇼벨이나 부움과 같이 이동중 부하의 방향이 역전될 가능성이 있는 부재를 구동하는 편 로드 실린더에는 사용할 수 없다.
그 이유를 설명한다.
현재 편 로드 실린더가 유압 펌프로부터의 고압유에 의하여 단축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이때는 보텀측의 주관로가 저압으로 되어 있고, 플러싱 밸브는 보텀측 주관로를 유체 탱크에 접속시키는 절환위치로 되어 있어 과잉의 유체는 보텀측의 주관로로부터 플러싱 밸브를 거쳐 유체탱크로 배출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편 로드 실린더로 구동하고 있는 부하의 방향이 급변하여 부하에 따라 편 로드 실린더가 단축방향으로 구동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지금까지 저압측이었던 보텀측 주관로가 고압으로되어 플러싱 밸브가 중립위치를 지나 반대의 절환위치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플러싱 밸브가 중립위치에 도달하면 양 입력 포오트와 출력 포오트의 접속이 단절되기 때문에 폐회로 내부의 과잉의 유체의 유축 장소가 없어져, 편 포드 실린더는 급격하게 정지하고, 폐 회로 내부에 이상(異常)적인 고압이 발생하여 충격을 발생한다.
이 현상은 감금(監禁)현상이라고 불리워지는 것으로서 절대적으로 피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 로드 실린더를 구동하는 펌프를 포함한 폐회로와 그 폐회로로부터 과잉의 작동유체를 배출시키는 플러싱 밸브를 갖고, 더구나 편 로드 실린더가 로드 진입방향으로 구동되고 있는 도중에서 플러싱 밸브가 절환되어도 감금 상태를 발생기키지 않는 신규의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유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러싱 밸브를 일방의 절환위치로부터 타방의 절환위치로 이동하는 사이 항상 적어도 어느 일방의 입력 포오트가 출력 포오트에 연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통상위치에 있는 플러싱 밸브를 통하여 연통하는 주관로와 유체 탱크와의 사이에 플러싱 밸브의 절환에 필요한 압력을 상기 주관로 내부에 발생시키는 잔압(殘壓)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제1도에 나타낸 종래 제안되어 있는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 유압장치를 설명한다.
제1도는 참조하여 설명하면 편 로드 실린더(2)는 피스톤(2C) 및 피스톤의 일방의 측면에 고정되어 실린더 밖으로 신장되어 있는 로드(2D)를 가지고 있다.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 유압장치는 가변용량 유압펌프(1), 펌프(1)의 포오트(1A)와 실린더(2)의 로드측 포오트(2A)를 연결하는 주관로(A), 펌프(1)의 포오트(1B)와 실린더(2)의 보텀측 포오트(2B)를 연결하는 주관로(B)를 가지는 폐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양 주관로(A), (B)에는 교차 릴리프밸브(3) 및 플러싱 밸브(4)가 접속되어 있다. 플러싱 밸브(4)는 몸체(4a), 스푸울(Spool)(4b), 스프링(4C), (4d), 밸브씨이트(4e), (4f), 압력실(4g), (4h), 출구실(4i), 입력포오트(4j), (4K) 및 출력 포오트(4l)등으로 이루어진다.
출력 포오트(4l)에는 릴리프 밸브(5)를 가진 저압관로(C)가 접속되어 있으며 그 관로(C)는 유체탱크(8)에 인도되어 있다. 또 양주관로(A), (B)에는 유체탱크(8)로 부터의 유체 보충관(D)이 체크밸브(6), (7)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플러싱 밸브(4)의 압력실(4g), (4h)에는 입력포오트(4j), (4h)를 거쳐 주관로(A), (B)의 압유가 도입되고 있다. 주관로(A), (B)간의 차압(差壓)이 작을때에는 플러싱 밸브(4)는 스프링(4C), (4d)에 의해 중립 위치에 있고, 입력포오트(4j), (4K)는 출력포오트(4l)로부터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주관로(A), (B)는 동시에 주관로(C)에서 차단되어 있다. 주관로(A), (B)간에 플러싱 밸브(4)의 절환압력 이상의 차압이 발생한 때에는 플러싱 밸브(4)의 압력실(4g), (4h)간에 차압이 발생하여 스푸울(4b)이 이동하고 저압측의 주관로만을 저압관로(C)에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저압측의 주관로의 압력이 릴리프밸브(5)의 개방압력 즉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릴리프 밸브(5)는 열려저압측의 주관로로부터의 유체가 플러싱 밸브(4) 및 릴리프밸브(5)를 거쳐 유체탱크(8)에 배출된다.
제1도의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현재 편 로드 실린더(2)의 피스톤 로드(2D)가 부하(도시않음)를 구동하면서 우방향으로 작동하게 한다. 이 경우에는 펌프(1)의 포오트(1A)로부터 고압의 압유가 토출되어 포오트(2A)를 통해 실린더 내부로 송입(送入)된다. 따라서 주관로(A)가 고압측이 되어 플러싱 밸브(4)의 스푸울(4b)은 우방향의 절환위치로 이동하므로 입력포오트(4K)는 출력포오트(4l)에 연통한다. 실린더(2)의 피스톤(2C)이 이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는, 피스톤(2C)의 이동속도는 포오트(1A)로부터 포오트(2A)에 유입하는 유량으로 정해지고 이때 포오트(2B)로부터 송출되는 유량이 포오트(2A)로부터 공급되는 유량보다도 로드(2D)의 용적에 상당하는 량만큼 많다. 또 펌프(1)의 포오트(1B)로부터의 흡입량은 포오트(1A)로부터의 토출량 즉 포오트(2A)를 통해 실린더(2)에 공급되는 유량과 동일하기 때문에 주관로(B)에서는 실린더(2)의 포오트(2B)로부터 송출되는 유량과 포오트(2A)를 통해 송입(送入)되는 유량의 차, 즉 로드(2D)의 용적에 상당하는 유체가 과잉유가 된다. 이 과잉의 유체는 플러싱 밸브(4)와 저압관로(C)를 거쳐 유체 탱크(8)에 복귀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만약 로드(2D)에 연결한 부하의 방향이 역전하여 부하가 로드(2D)를 우방향으로 밀어내는 경우가 발생한 것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는 펌프(1)는 브레이크로서 작용하여 주관로(B)가 고압측이 된다. 이 때문에 플러싱 밸브(4)의 밸브 스푸울(4b)은 우방향의 절환위치로부터 즉시 좌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시한 중립 위치를 거쳐 좌방향의 절환위치에 달한다.
그렇지만 스푸울(4b)이 이동 도중에서 중립위치로 오면 주관로(A), (B)의 양방 모두가 유체 탱크(8)에 복귀하는 저압관로(C)에서 차단되기 때문에 과잉의 유체가 흘러갈 장소가 없어져 상술한 바와 같이 감금현상이 발생하여 편로드 실린더(2)는 급격하게 정지하고, 폐회로 내부에 이상(異常)한 고압이 발생하여 충격을 발생하게 된다. 또 플러싱 밸브(4)의 밸브 스푸울(4b)이 좌방향의 절환위치에 달하면 저압측의 주관로(A)가 저압관로(C)에 연통하게 되어, 실린더(2)의 포오트(2B)로부터 송출되는 유체는 모두 펌프(1)의 포오트(1B)에 유입되고, 포오트(1A)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는 주관로(A)에 유입되어, 과잉의 유체가 플러싱 밸브(4), 저압관로(C)를 통하여 탱크에 송출되고, 그 나머지가 포오트(2A)를 통해 실린더(2)내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 피스톤(2C)의 이송 속도는 포오트(2B)로부터 송출되어 포오트(1B)에 흡입되는 유량으로서 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도의 장치에서는 부하의 방향이 변화한 경우에는 감금 현상을 발생하고 따라서 유압쇼벨 등의 토목기계의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감금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1도와 같은 부분은 동일 부호를 나타내고 있다.
제2도에 있어서 플러싱 밸브(9)의 2개의 입력 포오트(9a), (9b)는 주관로(A), (B)에 각각 접속되고 출력포오트(9C)는 저압관로(C)에 접속된다.
플러싱밸브(9)는 절환위치(9A), (9E) 및 통상의 중립위치(9C)를 가진다. 플러싱 밸브(9)의 수압부(9d)(9e)는 주관로(A), (B)의 압력을 각각 받아 주관로(A), (B)간의 차압이 작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스프링(9f), (9g)의 동일한 스프링력에 의하여 중립위치(9C)에 있다. 절환위치(9A)에 있어서는 주관로(A)가 페실되고 주관로(B)가 저압관로(C)에 접속되며, 절환위치(9E)에 있어서는 주관로(A)가 저압관로(C)에 접속되고 주관로(B)가 페실되는 것은 종래의 플러싱 밸브(4)와 같다.
본 실시예의 플러싱 밸브(9)에서는 중립위치(9C)에 있어서 주관로(B)가 저압관로(C)에 접속되어 있다. 또 중립위치(9C)로부터 절환위치(9A)로 절환도중의 과도적인 상태(이하 절환도중위치(9B)라고 함)에 있어서도 주관로(B)와 저압관로(C)와의 연통상태는 유지되어 있다. 한편 중립위치(9C)로부터 절환위치(9E)에 절환도중의 과도적인 절환도중위치(9D)에서는 주관로(A), (B)가 저압관로(C)에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하여 플러싱 밸브(9)는 양 절환위치(9A), (9E)의 사이의 어떠한 위치에 있어도 일방의 주관로를 저압관로(C)에 연통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5)는 주관로(B)에 플러싱밸브(9)를 절환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잔압장치를 구성하는 것으로, 그 개방압력 즉, 설정압력(P1)은 플러싱 밸브(9)의 절환압력(Pf)과 유체보충관(D)으로부터 보충되는 유체의 압력 즉 유체 탱크(8)내의 압력(P0)의 합보다 크게 결정되어 있다.
제2도의 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주관로(A), (B)간의 차압이 플러싱 밸브(9)의 절환압력(Pf)보다 작고 플러싱 밸브(9)가 중립위치(9C)에 있는 상태에서 가변용량 유압펌프(1)를 운전하여 피스톤(2C)을 우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주관로(A)내의 압력이 상승한다. 주관로(A)는 저압관로(C)로부터 플러싱 밸브(9)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주관로(A), (B)간의 절환압력(Pf)이상의 차압이 발생하여 플러싱 밸브(9)를 절환위치(9A)로 옮길수 있다.
따라서 저압측의 주관로(B)는 플러싱 밸브(9)를 거쳐 저압관로(C)에 접속되고, 과잉의 유체는 유체탱크(8)에 배출된다. 역으로 피스톤(2C)을 좌방향으로 구동할 경우에는 펌프(1)의 포오트(1B)가 토출 포오트가 되고, 주관로(B)가 고압이 된다. 이때 플러싱 밸브(9)는 중립위치(9C)이며 주관로(B)는 저압관로(C)에 연통하고 있지만 저압관로(C)내에는 릴리프 밸브(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관로(B) 내압력은 적어도 릴리프밸브(5)의 개방압력(P1)으로 상승한다.
한편 저압측 주관로(A)는 체크밸브(6)를 거쳐 유체탱크(8)에 연통되어 유체가 보충되어 있기 때문에 주관로(A)내는 최고에서도 유체탱크(8)내의 압력(P0)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P1>Pf+P0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주관로(A), (B)간에는 플러싱 밸브(9)의 절환압력(Pf)보다 큰 차압이 발생하고, 이것에 의하여 플러싱 밸브(9)는 절환위치(9E)로 옮겨져 고압측의 주관로(B)와 저압관로(C)의 접속이 끊어진다.
따라서 주관로(B)에는 소망의 고압이 발생하여 실리더(2)의 피스톤(2C)에 작용하여 피스톤을 좌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피스톤의 좌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유체가 포오트(2A)로 부터 주관로(A)에 배출된다.
이 배출량은 포오트(2B)에서 유입하는 유량에 비교하여 적은 량이며 따라서 주관로(A)내에는 유체가 부족하지만 이 부족분은 유체 탱크(8)로 부터 유체 보충관(D) 및 체크 밸브(6)를 거쳐 보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편 로드 실리더(2)의 피스톤(2C)을 유압펌프(1)에 의해 우방향으로 구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주관로(A)가 고압측이 되고, 주관로(B)가 저압측이 되어 플러싱 밸브(9)는 절환위치(9A)로 되어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로드(2D)에 작용하는 부하의 방향이 역전하여 부하가 로드(2D)를 우방향으로 밀어내도록 작용하면 주관로(A)가 고압측의 상태로부터 주관로(B)가 고압측의 상태로 절환되어 플러싱 밸브(9)의 위치는 절환위치(9A)로부터 절환도중위치(9B), 중립위치(9C), 절환도중위치(9D), 절환위치(9E)로 이동된다.
플러싱 밸브(9)가 절환위치(9A)로부터 중립위치(9C)에 달할때까지는 항상 주관로(B)가 저압관로(C)에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실린더(2)의 보텀측 포오트(2B)로부터 배출되는 량과 로드 측 포오트(2A)를 통해 실린더내에 유입하는 유량과의 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과잉의 유체는 주관로(B)로부터 플러싱 밸브(9)및 저압관로(C)를 거쳐 유체탱크(8)에 배출된다. 절환 도중위치(9D)에서는 양주관로(A), (B)가 저압관로(C)에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과잉의 유체는 주관로(A) 및 (B)로부터 플러싱 밸브(9)를 거쳐 저압관로(C)에 배출된다. 절환위치(9E)에서는 주관로(A)가 저압관로(C)에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과잉의 유체는 주관로(A)로부터 플러싱밸브(9), 저압관로(C)를 거쳐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러싱 밸브(9)가 절환위치(9A)로 부터 절환위치(9E)로 옮겨지는 사이 항상 주관로(A), (B)의 어느 일방의 저압관로(C)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편 로드 실린더(2)의 보텀측으로부터 유출하는 과잉의 유체가 플러싱 밸브(9) 및 릴리프 밸브(5)를 거쳐 유체 탱크(8)에 방출되어 유체의 감금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폐회로내의 고압 발생 및 충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옵셋 타입의 플러싱 밸브(10)가 사용된다.
제2도에 나타낸 플러싱 밸브(9)의 위치(9A), (9B), (9C)는 개구면적(開口面積)이 다소 상이한 정도의 차이이므로 이들의 위치를 1개의 위치(10C)로 한 것이 제3도의 플러싱 밸브(10)이다.
따라서 통상위치(10C)는 절환위치 및 절환 도중위치를 겸용하고 있다. 잔압장치로서는 체크밸브(11)와 릴리프 밸브(5)의 2개를 조합시킨 것이 사용된다.
또 유체 보충장치로서는 유체탱크(8)외에 챠지 펌프(Charge Pump) 1 (12) 및 챠지(Charge)용의 릴리프 밸브(13)가 사용된다. 릴리프 밸브(13)의 개방압력에 의하여 챠지 펌프(12)의 최고 압력이 설정되고, 이 챠지펌프(12)에 의하여 적극적으로 주관로(A), (B)에 유체가 보충된다. 이 때문에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 탱크(8) 하나에 의하여 유체 보충장치가 구성되는 것에 비교하여 폐회로의 유체의 입환(入換)이 빨라진다.
제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릴리프 밸브(5)의개방 압력을 (P1), 플러싱 밸브(10)의 절환 압력을 Pf, 체크밸브(11)를 열기 위한 압력 즉, 크래킹(Cracking)압력을 Pc, 릴리프 밸브(13)의 개방압력을 P2로 하면 이들의 압력관계는 P1+Pc>Pf+P2라고 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해져 있으면 플러싱 밸브(10)의 통상위치(10C)에서의 구동개시시에 주관로(B)가 고압측이 되는 경우에서도 주관로(B)의 압력은 최저에서도 P1+Pc가 되는 한편 저압측의 주관로(A)의 압력은 최고에서도 유체보충장치에 의하여 보충되는 개방압력(P2)이기 때문에 주관로(A), (B)사이에는 절환압력(Pf)이상의 차압이 발생하고 플러싱 밸브(10)를 절환동작 시킬 수 있고, 그 까닭으로 편로드 실린더(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4도는 잔압장치의 1개를 구성하는 체크 밸브를 플러싱 밸브(14)의 내부에 설치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플러싱 밸브(14)의 스푸울(14h)에는 중립위치에서 입구포오트(14b)와 출력 포오트(14c)를 연통하는 통로(14i)가 설치되고, 이 통로(14i)에는 포핏(Poppet) (14j) 및 스프링(14k)으로 이루어진 체크 밸브가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포핏(14j) 및 스프링(14k)으로 이루어진 체크 밸브와 릴리프 밸브(5)가 잔압장치를 구성한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절환위치(10C)에 있어서 주관로(B)로부터 저압관로(C)로 유출하는 압유는 체크밸브(11)를 통하기 때문에 그 통과 저항에 의해 동력 손실이 발생하는 것에 대하여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스푸울(14h)이 좌측으로 이동한 절환 위치에 있어서 주관로(B)로부터 저압관로(C)로 유출하는 압유는 통로(14i) 및 체크 밸브를 통하지 않고, 몸체(14l)와 스푸울(14h)로 형성된 통로를 통하기 때문에 동력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제4도에 있어서 14f, 14g는 스프링, 14m, 14n은 밸브 씨이트, 14p, 14q는 압력실이다.
제5도는 릴리프 밸브(5)를 챠지용의 릴리프 밸브(13)로 겸용시킨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릴리프 밸브(5)를 생략할 수 있고, 회로가 간단하게 되며, 신뢰성을 향상시켜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제6도는 잔압장치를 체크 밸브(11) 한개에 의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체크 밸브(11)의 크래킹 압력(Pc)은 Pc>Pf+P2가 되도록 정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플러싱 밸브(9)의 중립위치(9C)에서의 구동개시에도 주관로(B)에 플러싱 밸브(9)를 절환하는 것으로 충분한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체크 밸브(11)는 릴리프 밸브의 직렬 결합이 아니기 때문에 압력설정이 정확하고 또, 상호간섭도 없어진다. 체크 밸브(15)는 주관로(A)가 지압관로(C)에 접속된 경우의 최고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2내지 제5도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러싱 벨브의 통상위치에서 저압관로(C)에 접속된 것은 주관로(B)로 되어 있지만, 제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러싱 밸브(19)의 통상 즉 중립위치(19C)에서 주관로(A)가 저압관로(C)에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편 로드 실린더(2)의 로드측의 과잉의 유체는 체크밸브(16), 플러싱 밸브(19) 및 릴리프 밸브(5)를 거쳐 유체 탱크(8)에 방출된다. 제7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잔압장치는 체크 밸브(16) 및 릴리프 밸브(5)에 의해 구성된다.
제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변용량 유압펌프(1)가 최대 경전(傾轉)으로 운전되어, 편 로드 실린더(2)가 로드진입방향으로 구동되고 또 주관로(A)가 고압측으로 되어 있을때에는 체크 밸브(11)를 통하는 유량 즉, 과잉의 유량은 최대가 된다. 이것에 대하여 제7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체크밸브(16)를 통하는 과잉의 유량이 최대가 되는 것은 가변용량 유압펌프(1)가 최대 경전으로 운전되어 편 로드 실린더(2)가 로드 진입방향으로 구동되고 또 주관로(B)가 고압측이 되어 있을 때이다. 이 때의 피스톤(2C)의 이동속도는 제3도의 경우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발생하는 과잉의 유량도 제3도의 경우에 비하여 작다.
따라서 체크밸브(16)를 통하는 유량이 제3도의 체크밸브(11)의 통과 유량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체크 밸브(16)의 용량을 작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잔압장치로서는 도시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체크 밸브나 릴리프 밸브외에 드로틀 또는 드로틀과 체크 밸브나 릴리프 밸브를 조합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싱 밸브를 일방의 절환위치로부터 타방의 절환위치로의 이등하는 사이 항상 주관로의 어느 일방을 저압관로에 접속하는 구조로 했기 때문에 편 로드 실린더가 로드진입 방향으로 구동되어 있는 도중에서 부하방향의 절환에 의해 플러싱 밸브가 절환될 때에도, 유체가 폐회로 내에 감금되는 현상이 없어지고, 이상(異常)적인 고압 및 충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러싱 밸브의 통상 위치에서 접속되는 주관로에서 저압 관로까지의 유압회로중에 유체의 유통에 의해 충격 압력을 주관로에 발생시키는 잔압장치를 설치하고, 잔압장치의 충격압력을 플러싱 밸브의 절환압력과 유체 보충장치의 개방압력의 합보다 크게 했기 때문에 플러싱 밸브가 중립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도 기동시에 플러싱 밸브를 절환하는데 충분한 차압을 주관로간에 발생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편 로드 실린더를 확실하게 구동할 수 있다.

Claims (8)

  1. 로드측 포오트(2A)와 보텀측 포오트(2B)를 가지는 편 로드 실린더(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유압장치로서 2개의 포오트(1A), (1B)를 가지는 유압펌프(1)와, 그 유압펌프의 일방의 포오트(1A)를 상기 편 로드 실린더(2)의 로드측 포오트(2A)에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로드측 주관로(A)와, 상기 유압펌프의 타방의 포오트(1B)를 편 로드 실린더(2)의 보텀측 포오트(B)에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보텀측 주관로(B)와, 상기 주관로에 작용유체를 보충하는 유체보충장치와 주관로(A), (B)에 각각 접속된 2개의 입력포오트(4j), (4k)와 1개의 출력포오트(4l)를 가지며, 저압측의 입력 포오트를 출력포오트에 연통시키도록 작동하는 플러싱 밸브와 그 출력포오트를 유체탱크(8)에 접속하는 저압관로(C)등을 가지는 편 로드 실린더(2)의 구동 유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밸브(9, 10, 14, 19)를 일방의 입력포오트를 출력포오트에 접속하는 제2절환 위치로 부터 타방의 입력 포오트를 출력포오트에 접속하는 제2절환 위치로의 이동하는 사이 항상 일방의 포오트가 출력 포오트에 연통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플러싱 밸브가 통상의 위치에 있을때 출력포오트에 연통하는 입력포오트에 적속된 주관로로부터 유체탱크에 이르는 유압 회로중에 플러싱 밸브의 절환에 필요한 압력을 주관로 내에 발생시키기 위한 잔압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유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밸브(9, 10, 14, 19)가 로드측 주관로(A)와 보텀측 주관로(B)의 차압이 소정의 절환압력(Pf)을 초과했을때 절환되도록 작동하는 스푸울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 유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잔압장치가 저압관로(C)에 배치된 릴리프 밸브(5)를 포함하고, 그 릴리프 밸브(5)의 개방압력(P1)이 유체탱크(8)의 압력(P0)과 플러싱 밸브(9)의 절환압력(Pf)의 합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유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밸브(10)가 통상의 위치에 있어서 보텀측 주관로(B)에 접속된 입력 포오트(10b)를 출력포오트(10C)에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잔압장치가 저압관로(C)에 배치된 릴리프 밸브(5)와, 입력 포오트(10)와 보텀측 주관로(B)와의 사이에 배치된 체크 밸브(11)등을 가지고 상기 릴리프 밸브(5)의 개방압력(P1)과 체크밸브(11)의 크래킹 압력(Pc)의 합이 릴리프 밸브(13)의 개방 압력(P2)과 플러싱 밸브(10)의 절환압력(Pf)의 합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유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밸브(19)가 통상의 위치에 있어서 로드측 주관로(A)에 접속된 입력 포오트(19a)를 출력포오트(19C)에 연통시켜 있으며, 상기 잔압장치가 저압 관로(C)에 배치된 릴리프 밸브(5)와 상기 입력포오트(19a)와 로드측 주관로(A)의 사이에 배치된 체크밸브(16)등을 가지고, 릴리프 밸브(5)의 개방압력(P1)과 체크밸브(16)의 크래킹 압력(PC)의 합이 릴리프 밸브(13)의 개방압력(P2)과 플러싱 밸브(19)의 절환압력(Pf)의 합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 유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압장치가 플러싱 밸브(9)의 통상의 위치에 있어서 출력포오트(9C)에 접속한 입력포오트(9b)의 상류에 배치된 체크밸브(11)를 가지며, 그 체크 밸브(11)의 크래킹 압력(Pc)이 릴리프밸브(13)의 개방압력(P2)과 플러싱 밸브(9)의 절환압력(Pf)의 합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 유압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밸브(14)가 통상의 위치에서 입력포오트의 일방(14b)을 출력포오트(14c)에 연통시키는 통로(14i)를 포함한 스푸울(14h)을 가지며, 상기 잔압 장치는 통로내에 배치된 체크 밸브(14j, 14k)와 저압관로(C)내에 배치된 릴리프 밸브(5)를 가지고, 릴리프 밸브(5)의 개방압력(P1)과 체크밸브(14j, 14k)의 크래킹 압력(Pc)의 합이 릴리프 밸브(13)의 개방압력(P2)과 플러싱 밸브(14)의 절환압력(Pf)의 합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유압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보충장치가 저압관로(C)에 접속된 챠지펌프(12)와, 챠지펌프(12)의 토출압력을 일정하게 보전하는 릴리프 밸브(13)와, 저압관로(C)를 체크밸브(6)를 거쳐 각각 주관로(A, B)에 연통시키는 관로를 가지며 상기 잔압장치가 플러싱 밸브(9)의 통상의 위치에 있어서 출력포오트(9C)에 접속한 입력포오트(9b)의 상류에 배치된 체크밸브(11)를 가지고, 그 체크밸브(11)의 크래킹 압력(Pc)이 절환 압력(Pf)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 로드 실린더의 구동유압 장치.
KR8200065A 1981-01-10 1982-01-09 편(片)로드 실린더의 구동유압장치 KR850001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001614A JPS57116913A (en) 1981-01-10 1981-01-10 Hydraulic drive unit for single rod type cylinder
JP?81-1614 1981-01-10
JP1614 1981-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397A KR830009397A (ko) 1983-12-21
KR850001255B1 true KR850001255B1 (ko) 1985-08-26

Family

ID=11506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065A KR850001255B1 (ko) 1981-01-10 1982-01-09 편(片)로드 실린더의 구동유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20626A (ko)
EP (1) EP0056230B1 (ko)
JP (1) JPS57116913A (ko)
KR (1) KR850001255B1 (ko)
DE (1) DE327222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5502U (ko) * 1984-09-17 1986-04-14
JPS624903A (ja) * 1985-06-29 1987-01-10 Kawasaki Heavy Ind Ltd 油圧シリンダの負荷反転補償回路
US4713936A (en) * 1985-11-18 1987-12-22 Deere & Company Motor seal protector valve
JPH0222061A (ja) * 1988-07-12 1990-01-24 Nikka Kk 圧空式粉体散布装置
US4953639A (en) * 1989-09-08 1990-09-04 Ingersoll-Rand Company Closed loop hydraulic drill feed system
JPH0790400B2 (ja) * 1989-10-18 1995-10-04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プレスのダイクッション装置
DE4422424A1 (de) * 1994-06-28 1996-01-04 Schloemann Siemag Ag Hydrostatische Getriebe
DE19702417A1 (de) * 1997-01-24 1998-07-30 Mannesmann Rexroth Ag Vorrichtung zum Verstellen von Rampen
US6481202B1 (en) * 1997-04-16 2002-11-19 Manitowoc Crane Companies, Inc. Hydraulic system for boom hoist cylinder crane
US5937646A (en) * 1997-07-10 1999-08-17 Mi-Jack Products Hydraulic charge boost system for a gantry crane
DE20109476U1 (de) * 2001-06-07 2002-10-10 Liebherr-Machines Bulle S.A., Bulle Druckbegrenzungsventil
DE10343016B4 (de) * 2003-09-17 2010-08-26 Brueninghaus Hydromatik Gmbh Hydraulisches Steuer- und Stellsystem mit Volumenausgleich
FR2861816B1 (fr) * 2003-11-04 2006-04-14 Bosch Rexroth Dsi Sas Distributeur hydraulique comprenant un element d'entree avec valve de balayage
DE102004029409A1 (de) * 2004-06-18 2006-01-05 Jungheinrich Ag Druckmittelbetätigte Stell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Fahrzeuglenkvorrichtung
DE102004061559A1 (de) * 2004-12-21 2006-06-29 Brueninghaus Hydromatik Gmbh Hydraulischer Antrieb
DE102008060066A1 (de) * 2008-12-02 2010-06-10 Robert Bosch Gmbh Hydrostatischer Antrieb mit Spülvorrichtung
DE102011119427A1 (de) * 2011-11-25 2013-05-29 Robert Bosch Gmbh Hydraulikanordnung
CN103307060B (zh) * 2013-06-18 2016-02-03 南京埃斯顿自动化股份有限公司 直驱式伺服泵控电液混合驱动的液压缸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6476074B2 (ja) 2015-06-03 2019-02-27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6831711B2 (ja) * 2017-02-01 2021-02-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圧駆動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0527A (en) * 1945-06-15 1949-08-30 Anthony Co Hydraulic drive for refuse body and safety control therefor
US2716995A (en) * 1950-09-23 1955-09-06 Gen Motors Corp Valve for reversible fluid pump
US2657533A (en) * 1951-03-26 1953-11-03 Borg Warner Hydraulic control system
US2650473A (en) * 1951-07-07 1953-09-01 Caterpillar Tractor Co Pump and motor hydraulic system and control therefor
US2927429A (en) * 1958-05-01 1960-03-08 Carlson Martin Reversible hydraulic door operator system
US3636708A (en) * 1970-04-13 1972-01-25 Scott Equipment Co Fluid makeup system
DE2249181C3 (de) * 1972-10-06 1979-07-19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Hydraulische Lenkbegrenzung für Servolenkanlagen,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CA1032064A (en) * 1976-04-09 1978-05-30 Minoru Saruwatari Pump jack device
DE2706091A1 (de) * 1977-02-12 1978-08-17 Orenstein & Koppel Ag Antrieb mit einem an einen geschlossenen hydraulischen kreislauf angeschlossenen differentialzyl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56230A1 (en) 1982-07-21
JPS57116913A (en) 1982-07-21
DE3272226D1 (en) 1986-09-04
US4520626A (en) 1985-06-04
KR830009397A (ko) 1983-12-21
EP0056230B1 (en) 1986-07-30
JPS6233442B2 (ko) 1987-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255B1 (ko) 편(片)로드 실린더의 구동유압장치
KR100296238B1 (ko) 비-셔틀식압력보상기를갖는유압제어밸브시스템
US4531369A (en) Flushing valve system in closed circuit hydrostatic power transmission
KR19990023485A (ko) 파일럿 솔레노이드 제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유압식 제어 장치
EP0952358B1 (en) Hose rupture control valve unit
US5273069A (en) Operation valve with pressure compensation valve
US5535663A (en) Operating valve assembly with pressure compensation valve
US3267961A (en) Valve
KR100289419B1 (ko) 분류밸브부착 방향제어밸브
KR960016821B1 (ko) 유압구동장치
US6212886B1 (en) Hydraulic drive system and directional control valve apparatus in hydraulic machine
US4787294A (en) Sectional flow control and load check assembly
KR0155989B1 (ko) 방향제어밸브
EP0209019A2 (en) Hydraulic control system
US3746040A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US5253672A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system
US3465788A (en) Hydraulic control valve with void prevention means
CN109210025B (zh) 防空化液压回路
US3048016A (en) Hydraulic drive for electric switchgear
EP0231876B1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system
US5255705A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system
JPH02134401A (ja) 油圧制御装置
EP0092315A2 (en) Hydraulic pump control
JPH0112961B2 (ko)
KR970011610B1 (ko) 중장비의 로드센싱형 유압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