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171B1 - 수평 포대 제조기용 제품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포대 제조기용 제품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171B1
KR850001171B1 KR1019810000350A KR810000350A KR850001171B1 KR 850001171 B1 KR850001171 B1 KR 850001171B1 KR 1019810000350 A KR1019810000350 A KR 1019810000350A KR 810000350 A KR810000350 A KR 810000350A KR 850001171 B1 KR850001171 B1 KR 85000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roduct
filling
op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014A (ko
Inventor
프란시스 바드슬레이 로버트
모리스 마크스 윌리암
Original Assignee
제너럴 후드스 코오포레이션
토마스 에드워드 멕인타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후드스 코오포레이션, 토마스 에드워드 멕인타이어 filed Critical 제너럴 후드스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30005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6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volumetric devices or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Seasoning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평 포대 제조기용 제품 성형 장치
제1도는 수평 포대 제조기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품 분배 조립체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제품 분배 조립체의 일부 확대 평면도.
제3도는 제품 분배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작동 위치에 있는 구동 링크 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2도의 4-4선을 따라서 절취하여 도시한 제품 분배 조립체의 단면도로서, 다른 작동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제4도와 같은 단면도로서, 또 다른 작동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분배 조립체를 지나오면서 그 위에 입상 물질이 일정 형태로 퇴적된 웨브 재료의 일부 사시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흐르기 쉬운 입상 또는 분말상 제품을 담는 개개의 포대를 제조하여 충전시키고 밀봉시키도록, 수평 방향으로 급송되는 웨브 재료상에서 작동되는 포장 기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은 웨브 재료상의 정밀하게 한정된 지역에 소정의 형태로 제품을 퇴적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일정한 양의 제품을 포장하는데 필요한 웨브 재료의 양을 극소화시키도록 된 충전 장치에 관련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포장기계에 있어서, 제1 또는 저부 웨브는 급송 싸이클 중에 일시 정지하는 동안 미리 정해진 양의 제품이 웨브상에 떨어지는 곳인 충전 장치 아래의 수평 평면 내로 통상적으로 급송된다. 이 웨브가 충전 장치를 지나서 계속하여 급송될 때에, 제2 또는 상부 웨브는 급송로 내로 인입되어 저부 웨브와 그위의 제품을 덮게 된다. 그 다음에, 이들 2개의 웨브는 계속하여 급송되어 제품을 둘러싸고 있는 부위에서 상호 밀봉됨으로써, 입상 제품을 담고 있는 개개의 포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기계는 제이. 에이. 헤밀톤(J.A. Hamilton)에게 허여 된 미합중국특허 제4,048,782호에 기재되어 있다.
웨브 재료의 폭이 동시에 여러 줄로 된 복수개의 포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을 때에, 웨브 재료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늘어선 인접 포대 사이에서 상호 밀봉됨으로써 사각형 구조를 갖는 포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장치에서는, 입상의 흐르기 쉬운 제품물질이 제부 웨브의 제품 수납 지역 상에 떨어지거나 퇴적될 때에, 제품 퇴적물질이 불균일한 높이의 구상(丘狀) 또는 더미(pile)의 형태로 되는 경향이 있는데, 그 가장 높은 곳은 저부 웨브의 제품 수납 지역의 비교적 근소한 부분 상에만 놓이는 중앙부에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이 이와 같이 구상으로 되어 있을 때에, 제품을 상부 웨브로 효과적으로 둘러 싸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웨브 재료의 양이 구상으로 된 제품의 최대 높이를 수용하는 데 필요한 범위까지 충분히 팽창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양은 동일한 체적의 제품 물질이 웨브 재료의 제품 수납 지역의 대부분에 걸쳐서 평평하거나 거의 균일한 높이로 된 형태로 되어 있을 때 보다 상당히 더 많이 든다. 또한, 입상 물질이 웨브상에 구상으로 엉성하게 퇴적되어 있을 때에는, 흐르기 쉬운 물질이 일정하지 않게 구상으로 쌓여 있기 때문에 구상으로 된 물질에 의해 덮인 웨브의 정확한 면적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가 없다. 따라서, 물질이 웨브의 밀봉 지역까지 확실히 도달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는, 웨브의 제품 수납 지역이 다른 경우에 비해 더 커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흐르기 쉬운 입상 제품을 적합한 형태로 성형시킬 뿐만 아니라, 성형된 제품을 웨브표면에 정확하게 위치시켜 줌으로써 웨브 재료가 포대로 최적하게 제조되게 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의 장치를 수평 급송되는 저부 웨브상에서 수직으로 약간 운동하도록 장착된 조립체 내에 포함된다. 이 조립체는 개구부가 형성된 판을 포함하고 있는데, 각각의 개구부는 웨브 급송 중의 일시정지시에 판이 웨브와 접하여 내려질 때, 포대에 담겨질 제품의 형태를 성형시키는 성형틀로서 작용한다. 상기 성형판의 상부 표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것은 각각의 성형틀과 연결된 제품 충전실이 형성되어있는 충전 블록으로서, 각각의 충전 블록의 제품 충전실은 각각의 포대 내에 담겨질 소정량의 제품을 그로부터 수납하도록 된 충전 장치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충전 블록은 폐쇄된 위치에 있게 되어 각각의 제품 충전실과 각각의 성형틀과, 연통이 차단되어 있을 때에 충전기로부터 제품을 수납한다. 성형판이 웨브와 접하여 내려지면, 충전 블록이 작동되고 그 배출 위치로 슬라이드 되어 각각의 제품 충전실을 각가의 성형틀과 연통되게 위치시켜 줌과 동시에 입상 제품을 성형틀의 전지역에 걸쳐서 균일하게 살포시켜 준다. 이렇게 하여, 제품 물질의 퇴적물은 평평한 상부 표면을 갖게 되어 모든 퇴적물이 웨브의제품 수납 전지역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같은 깊이를 갖게 된다. 제품의 형태를 성형시키기 위해 성형판을 사용하면 웨브 재료의 밀봉지역으로 입상 제품이 흘러들게 될 가능성을 극소화시키는 효과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입상의 흐르기 쉬운 물질을 수평 포대 제조기 상에서 포장할 때에 포장 재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상의 흐르기 쉬운 물질을 수평 포대 제조기 상에서 포장할 때에 적합한 형태로 성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상의 흐르기 쉬운 물질이 수평 포대 제조기를 통해 급송되는 웨브상의 퇴적될 때에, 웨브 재료의 밀봉 지역 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술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수평 포대 제조기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1977년 9월 20일자로 조엘 에이. 해밀턴(Joel A. Hamilt on)에게 "제어식 필름 진행 장치(Controlled Film Advance Apparatus)"란 명칭으로 허여된 전술한 미합중국특허 제4,048,782호에 기재된 유형의 웨브 급송 개념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지지봉(6)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배치된 받침대(5)로 구성된 이동 가능한 프레임을 포함한다. 기계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한 지지봉(6)(도면에는 1개만 도시되어 있음)은 각각 복수개의 수직 링크(7)의 상단부에 피보트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링크의 저단부는 기계의 주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바아(8)(도면에는 1개만 도시되어 있음)에 피보트 가증하게 결합된다.따라서, 받침대(5)를 포함하는 가동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수평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장착되는데, 이 가동 프레임은 기계의 주프레임에 적합하게 저어널되고 그의 크랭크 암(11)이 연접봉(12)의 일단에 피보트 가능하게 결합된 연속 회전 주구동축(10)에 의해서 진동된다. 연접봉의 타단은 가동 프레임의 일부에 고정된 하향 브라켓(13)에 피보트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구동축(10)의 매회전시 마다 거기에 부착 또는 장착된 가동 프레임 및 모든 부품을 완전히 1회 진동시키는데, 이러한 진동은 1회의 웨브 급송 싸이클에 해당한다.
어떠한 통상의 수단에 의해서 기계의 일단 부근에 적합하게 장착된 스푸울(16)으로부터 공급된 제1 또는 저부 웨브(15)는 로울(17)상에서 안내되고 받침대(5)의 상부 표면을 지나서 인입되어 다음에 상술될 제품분배 조립체(20) 아래로 급송된다. 분배 조립체를 떠난 후에 제품 덩이를 갖게 된 저부 웨브(15)는 장치 상에 적합하게 지지된 스푸울(22)로부터 당겨져서 안내로울(23)상에서 안내되는 제2 또는 상부 웨브(21)로 덮여진다. 이 2개의 웨브는 다음에 웨브 밀봉소(도시하지 않았음)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곳에서 이 2개의 웨브가 그 밀봉 지역을 따라서 상호 밀봉됨으로써 각각의 제품 덩연를 위한 개개의 밀봉된 포대로 나누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웨브는 가동 프레임상에 장착된 급송 로울(25)쪽으로 진행되는데 그로부터는 개개의 밀봉된 포대가 웨브로부터 분리되어 다음 공정으로 넘겨진다. 급송로울(25)는 웨브를 각각의 공급 스푸로울로부터 계속하여 철수시키도록 이 2개의 웨브를 계속하여 파지하면서, 진동 프레임의 전방 행정(제1도에서 볼 때 좌측에서 우측으로)시에 작동되지 않도록 (회전되지 않도록)제어된다. 이러한 반 싸이클 진동시에 웨브는 프레임 자체의 운동에 의해서만 진행되고 급송 로울(25)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는 진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가동 프레임의 전진 운동시의 웨브 이동의 정도는 포대 1개의 길이가 된다. 그러나, 다음의 반 싸이클의 웨브급송시의 프레임의 후퇴운동(우측에서 좌측으로)시에, 급송 로울러는 가동 프레임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웨브를 기계의 주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포대 1개의 길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계속하여 전진시키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2개의 웨브 급송의 반 싸이클 중에 웨브가 포대 2개의 길이와 동등한 거리를 진행하게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처음의 반 싸이클시에는 급송 로울이 작동되지 않고 가동 진동 프레임에 대한 웨브의 운동이 없기 때문에 웨브는 주 기계 프레임에 대하여 포대 1개의 길이만큼 진행한다. 다음의 반 싸이클 시에는 작동된 급송 로울(25)가 웨브를 주 프레임에 대하여 포대 1개의 길이만큼 계속하여 진행시키는데, 이 때에 웨브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프레임 및 그 위에 장찍된 모든 장치에 대하여 포대 2개의 길이에 해당하는 거리 마큼 진행된다. 처음의 반 싸이클시에 급송 로울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비록 웨브가 주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진행될지라도 가동 프레임에 대한 웨브의 운동은 없게 된다. 상기 처음의 반 싸이클을 이제부터 웨브 급송 싸이클의 일시 정지 기간으로서 언급하겠다.
흐르기 쉬운 입상 물질로 된 포장될 제품(30)은 복수개의 가요성관 또는 호오스(27)이 연결된 충전 장치(26)으로부터 분배 조립체(20)으로 전달되는데, 충전 장치는 호퍼(28)로부터 공급을 받는다. 충전 장치는 각각의 웨브 급송 싸이클의 신호시에 소정량의 제품을 방출시킬 수 있는 통상적인 종류의 것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종전 회전 형태의 웨브 급송 장치는 각각의 웨브 급송 싸이클마다 포대 2개의 길이만큼 웨브를 급송시키기 때문에, 충전 장치는 웨브 재료의 각각의 열에 있는 2개소의 연속한 제품 수납지역 상에 제품을 퇴적시키기 위해서 2개의 독립된 제품 덩이를 동시에 각각의 웨브 재료 열마다 방출시키도록 만들어진다.
각각의 웨브 급송 싸이클시에 충전 장치로부터 제품을 받는 분재 조립체(20)은 제2도 내지 제5도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 조립체는 받침대(5)상에 위치되는 개방 사각형 프레임(31)을 포함하는데, 이 프레임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받침대(5)에 고정된 수직 안내봉 또는 지주(33)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추어 진베어링 블록(32)가 제공되어 있어서 프레임 및 전체 조립체가 제한된 양만큼 받침대(5)쪽으로 및 그로부터 수직 이동되게 한다. 각이 진 지지봉(34)에 의해서 프레임 부재(31)로부터 하향 돌설된 것은 개구부(36)이 형성되어 있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성형판(35)이다. 개구부는 수평 단면 형태가 일반적으로 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그 측면벽은 내향으로 경사져 있어서 판의 상부 표면에서 보다 저부 표면에서의 크기가 약간 더 크게 된다. 성평판(35)의 저부 표면은 개구부(36)에 인접한 지역을 제외하면 평평한데, 이 지역은 이하 상술하는 바와같이 판이 웨브(15)와 접촉되도록 내려질 때에 접촉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약간 돋우어져 있다.
성형판(35)의 상부 표면은 매끄럽고 평평하게 되어 있고, 제품 충전실(42)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가능한 충전 블록(41)의 그에 대한 이동 운동을 지지한다. 1개의 제품 충전실은 성형판(35)에 있는 각각의 개구부와 연결된다. 제품 충전실(42)도 또한 일반적으로 사각형인 수평 단면 형태로 되어 있고, 그에 연결된 개구부(36)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를 갖는다. 충전 블록(41)의 상부 표면에서 각각의 충전실(42)와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개구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장치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관(27)중의 하나에 부찍된 연결관(43)이 삽통됨으로써, 충전실이 장치의 각각의 웨브 급송 싸이클시에 포장될 제품을 수납하도록 충전 장치와 연통되게 한다.
충전 블록(41)은 덮개판(45) 내에 내장되는데, 덮개 판의 측연부는 충전 블록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충전블록이 덮개판에 의해 제공된 하우징 내에서 약간 수직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드식으로 밀접하게 끼워진다. 충전 블록의 상부에 안치되고 덮개판(45)의 상부와 접한 압축스프링(46)은 충전 블록을 하향으로 압압시킨다. 충전 블록의 저면은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충전실과 인접한 지역에서 약간 돌출되어 있어서, 충전 블록과 성형판 사이의 접촉면적을 극소화시키면서 각각의 충전실의 연부 주위에서는 견고한 유지 접촉면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충전 블록(41)이 제4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4도에 도시된 위치로 성형판(35)의 표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덮개판(45)에는 전체 조립체의 프레임(31)에 고정된 브라켓(49)내에 각각의 단부가 지지된 축(48)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진 베어링을 보유한 1조의 베어링 블록(47)이 제공된다. 필요하다면, 축(48)을 위한 보호판(51)을 양 블록(47) 사이에 제공하여 축부분을 먼지나 기타 이물질로부터 청결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충전 블록의 위치에서는, 성형판(35)의 표면상에 위치한 제품 충전실(42)가 각각의 개구부(36)과 일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품 충전실 내에 수납된 제품은 충전실이 각각의 개구부에 대하여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는 한 그 안에 보유된다. 제5도에는 충전 블록이 제품 방출 위치로 이동 또는 슬라이드되어 그의 제품 충전실을 성형판에 있는 각각의 개구부 상에 위치시켜 그와 일치되도록 이동시킬 때의 충전 블록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품은 개구부 내로 방출되게 되는데, 개구부는 저부 웨브와 함께 제품의 형태를 성형시키는 성형틀을 형성한다. 충전 블록은 제품 방출 위치로 및 그로부터 슬라이드될 때에 각각의 성형틀의 전면적에 걸쳐서 입상 제품을 살포시켜 줌으로써, 평평한 상부 표면을 가진 입상 물질의 퇴적물이 성형되게 한다. 물론, 각각의 성형틀의 체적은 각각의 동작시에 퇴적될 제품의 체적과 일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성형틀은 빈틈이 없을 뿐만 아니라 충전 블록이 그 본래의 밀폐 위치로 복귀한 후에는 성형판의 상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로 되는 상부 표면으로 완전히 충전된다.
슬라이드 운동은 충전 블록 덮개판(45)에 고정된 브라켓(53)에 일단이 피보트 가능하게 연결된링크(52)를 포함하여서 된 장치를 통하여 충전 블록(41)로 전달된다. 링크의 타단은 기계를 횡단하여 연장되는 축(54)에 피보트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축의 각각의 단부는 받침대(5)의 저면에 적합하게 고정된 베어링 블록(57)내에 형성된 요동축(55)에 의해서 보유된 벨 크랭크(56)의 한쪽 암 내에 지지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 크랭크(56)의 다른쪽 암은 수직 연결봉(58)에 연결되는데, 이 연결봉의 저단부는 기계의 주 프레임에 고정된 필로우 블록(pillow block)(63) 내에 적합하게 저어널 된 축(62)에 의해서 보유된 벨 크랭크(61)의 한쪽 암에 연결된다. 벨 크랭크(61)의 다른쪽 암은 연결봉(64)에 의해서 직동식캠 유니트(66)의 출력 요소(65)에 연결되는데, 상기 직동식 캠 유니트는 주축(10)으로부터 구동되고, 웨브급송 싸이클에시에 적당한 시간에 전술한 링크 장치를 통하여 작동되어 충전 블록을 그 폐쇄 위치와 방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시키게 된다.
웨브 급송 싸이클시의 적당한 시간에 분배 조립체를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성형판(35)를 웨브(15)와 접촉되게 하강시켜서 웨브 급송 싸이클의 일지 정지 기간 동안 웨브상에 성형된 제품덩이를 수납시킨 다음에 전체 조립체를 상승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급송 로울(25)의 작동에 의해서 성형판 및 전체 분배 조립체에 대하여 웨브가 진행 및 급송되는 웨브 급송 싸이클의 잔여 기간 동안에 웨브상에 방금 퇴적된 제품 상에서 그로부터 떨러져서 성형판을 상승시키도록 된 장치도 제공된다. 분배 조립체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장치는 분재 조립체의 프레임(31)에 고정된 베어링 스터드(72)에 그 상단부가 피보트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봉(1)을 포함하는데, 조립체의 각각의 측면에 상기봉 및 스터드 1개씩 있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봉(71)의 저단부는 기계의 주 프레임에 고정된 필로우 블록(75)에 장착된 요동축(74)에 의해 보유된 요동 암(73)에 연결된다. 축(74)도 또한 연결봉(77)에 의해서 직동식 캠 유니트(79)의 출력 요소(78)에 연결된 수직 요동 암(76)을 보유하고 있는데, 상기 직동식 캠 유니트는 웨브 급송 싸이클의 적당한 시간 도안에 작동되어 제3도에 도시된 분배 조립체를 성형판(35)와 함께 받침대(5)의 상부 표면상에 배치된 웨브(15)와 접촉되게 내려진 위치로 하강 및 상승시킨다.
캠 유니트(79)의 작동시기는 실질적으로 웨브 급송 싸이클중의 절반 싸이클의 일시 정지 전 기간 동안에 성형판(35)를 웨브(15)와 접촉되게 내려진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때이다. 이러한 싸이클 기간 동안에 캠 유니트(66)은 충전 블록(41)과 그 내부의 제품 충전실942)를 폐쇄 위치로 다시 후퇴시키도록 관련 링크 장치를 작동시킨다. 웨브 급송 싸이클의 일시 정지 기간의 종료전에 폐쇄 위치로 다시 후퇴시키도록 관련 링크 장치를 작동시킨다. 웨브 급송 싸이클의 다음 절반 싸이클 또는 비정지기간 동안에 캠 유니트(79)는 분배 조립체를 충분한 간격 만큼 충분한 시간 동안 상승시킴으로써 성형판(35)가 앞서의 웨브 급송 절반 싸이클시에 웨브상에 위치되어 이동되는 성형판 제품(30)에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관련 링크 장치를 통해서 작용한다. 이러한 급송 싸이클의 비정지 기간 동안에, 충전 블록(41)은 폐쇄 위치에서 유지되고, 충전장치(26)은 웨브 급송싸이클의 다음 정지 기간동안에 웨브의 후속 제품 수납 지역상에 퇴적시키기 위해서 충전 블록의 가각의 충전실에 소정량의 제품을 전달하도록 작동된다.
제3도 내지 제5도에는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는 여러 부품 및 위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웨브 급송 싸이클의 시작점으로서 그 처음 절반 싸이클은 비정지기간이고 다음의 절반 싸이클은 정지기간이다. 받침대(5)와 그 위에 장착된 전체 분배 조립체(20)을 포함하는 가동 프레임은 구동축(10)에 의해 보유된 크랭크 암(11)에 의해서 그 진동 운동의 한계까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체 조립체의 진행 운동의 범위는 장치에 의해서 제조될 포대 1개의 종방향 길이와 같다. 이러한 웨브 급송 싸이클의 시점에서 분배 조립체 상승 장치가 바로 작동을 개시하여 성형판(35)를 웨브(15)로부터 상승시킨다. 충전 블록(41)은 제품이 들어 있지 않은 제품 충전실(42)와 함께 밀폐된 위치에 있게되는데, 제품은 앞서의 웨브 급송 싸이클의 정지 기간 동안에 충전 블록의 작용에 의해서 웨브 상에 퇴적되어 제품 성형틀 내에 있게 된다. 기계가 처음의 절반 싸이클 증에 있을 때에 전체 분배 조립체는 신속하게 상승되어 성형판(35)를 앞서의 웨브 급송 싸이클시에 웨브상에 퇴적된 제품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상승시킨다. 전체 분배 조립체는 이 싸이클 기간 동안에 작동되는 급송 로울(25)에 의해서 웨브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계속하여 진행되는 동안에 우측으로 부터 좌측으로 후퇴하게 된다. 또한 이 싸이클 기간 동안에 충전 장치(26)은 소정량의 제품을 충전 블록(41) 내의 각각의 제품 충전실(42)에 분배시키도록 작동된다.
제4도에는 웨브 급송 싸이클의 처음 절반 싸이클시에 비정지 기간을 통해 대략 중간 시점에서 조립체 부분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비정지 절반 싸이클의 중간 시점에서 충전 블록은 폐쇄 위치에서 유지되고 그 내부의 제품 충전실(42)는 충전 장치로 부터의 또 다른 입상 제품(30)을 수닙하게 된다. 웨브(15)는 후퇴하는 분배 조립체에 대하여 대략 포대 1개 길이의 거리만큼 진행된다.
기계가 완전한 웨브 급송 싸이클의 중간 시점에 도달하고 분배 조립체(20)이 그 복귀 운동의 한계에 도달하게 될때, 조립체는 다시 하강되기 시작함으로써 성형판(35)가 싸이클의 정지기간 시작 후 및 급송 로울(25)가 작동 정지된 후에 바로 웨브와 점하게 된다. 이 웨브 급송 싸이클의 중간 시점에서 웨브는 포대 2개의 길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분배 조립체에 대하여 진행됨으로써 분배 조립체가 다시금 웨브의 각각의 열에 있는 후속하는 2개의 제품 수납 지역과 일치하게 된다. 기계가 계속하여 웨브가 분배 조립체와 함께 진행하는 때인 웨브 급송 싸이클의 정지 기간에 처해 있을 때, 충전블록(41)이 작동되며 그 폐쇄 위치로부터 제5도에 도시된 제품 방출 위치로 이동되고 다음에는 제품 방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소정량의 제품을 성평판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각각의 성형틀 내에 퇴적시키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품은 성형틀의 전지역에 걸쳐서 살포되어 입상 물질의 각각의 퇴적물이 웨브의 미리 정해진 표면적에서 필수적으로 평평한 형태와 균일한 깊이로 제한되게 되어 최소량의 포장 재료를 가지고도 그 포장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충전 블록은 웨브 급송 싸이클의 정지 기간 종료 전에 그 폐쇄 위치로 복귀되는데(제3도 참조), 이 위치에서 충전 블록은 다음 웨브 급송 싸이클의 처음 절반 동안 다음의 제품을 받도록 유지되어 다음 웨브 급송 싸이클의 정지기간 동안에 이 제품을 방출시키도록 작동될 때까지 유지된다.
제6도에는 저부 웨브가 분배 조립체를 떠난 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웨브 상에는 포대 구조물 내에 밀봉되기 전에 상부 웨브(21)에 의해서 덮히기 전의 개개의 입상 물질의 제품(30)이 배치되어 있다. 몇 개의 제품 퇴적물이 정확하게 정렬된 종렬 및 횡렬로 배치됨으로써 몇 개의 종렬 및 횡렬 사이에 정확하게 한정된 밀봉 지역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각각의 퇴적물은 일반적으로 약간 큰 크기의 사각형 기부와 약간 작은 크기의 사각형 상부를 갖기 때문에 측면이 내향으로 경사진 납작한 퇴적물 형태로 된다. 이는 제품의 측면이 떨어져 나가거나 부서져서 밀봉지역내로 확산되게 됨으로써 상부 및 저부 웨브사이에 양호한 밀봉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해하게 되는 것을 극소화시킴으로써 급송 재료에 대한 협태 보전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각각의 퇴적물의 형태는 포대의 내부 면적을 최대로 활용하게 됨으로써 소정량의 제품 포장에 필요한 웨브 재료의 양을 극소화시킨다. 동시에 이러한 형태는 포대의 내부 면적에 걸쳐서 제품이 더욱 균일하게 분포되기 때문에 포대가 더욱 납작한 형태의 것으로 되게 한다. 따라서 제조 완료된 포대는 포대 내의 제품이 그 내부 면적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더욱 작은 크기로 빈 공간도 별도없이 선적, 저장 등을 위해서 상자 내에 더욱 효과적으로 적층되거나 살릴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형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웨브 급송 싸이클의 일부(여기에서는 웨브 급송 싸이클 중의 정지 기간이라고 업급하였음) 동안에 분배 조립체가 웨브와 함께 진행되는 포장 기계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기재된 분배 장치 및 개념은 분배 조립체가 웨브와 함께 진행되지 않고 급송 싸이클의 정지 기간이 웨브가 정지하는 때인 연속한 진행단계 사이의 시간이 되는 간헐식 웨브 급송 방식을 채용한 다른 급송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변형을 할 수도 있다.

Claims (1)

  1. 연속된 웨브 급송 싸이클을 통해서 가용성 포장 재료의 웨브(15)를 수평 평면에서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5), 각각의 웨브 급송 싸이클시에 웨브(15, 21)상에 퇴적될 입상의 흐르기 쉬운 제품(30)의 소정량을 방출시키도록 웨브(15)상에 배치된 충전장치(26) 및 퇴적된 제품(30)을 미리 정해진 형태로 성협시켜서 각각의 웨브 급송 싸이클시에 웨브의 미리 정해진 지역내에 분배시켜 주도록 된 제품 분배 조립체(20)을 갖고 있는 포장기에 있어서, 제품 분배 조립체가, 웨브상에 배치되고 미리 정해진 형태에 해당하는 구조의 개구부(36)형성되어 있으며, 웨브와 접촉 및 분리되게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웨브와 접할 때는 웨브와 함께 그 내부의 개구부에서 분배된 흐르기 쉬운 제품을 성형 및 배치시키기 위해 평평한 상부가 개방된 공동을 형성하는 제품 성형판(35)와, 제품 수납 위치와 제품 방출 위치 사이로 성형판(35)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성형판(35)의 각각의 개구부(36)과 연결되고 충전장치(26)과 연통되며 제품 수납 위치에 있을 때와 개구부로부터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에 충전장치(26)으로부터 소정량의 제품을 수납하도록 된 공등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품 방출 위치로 이동될 때에 내부의 각각의 공동을 성형판(35) 내의 각각의 개구부(36)과 연통되도록 배치시키어 제품(30)이 웨브 상에 퇴적되고 공동의 구조에 일치하는 평범한 상부 구조로 살포되게 하는 제품 충전 블록(4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포대 제조기용 제품 성형장치.
KR1019810000350A 1980-02-04 1981-02-04 수평 포대 제조기용 제품 성형 장치 KR850001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246 1980-02-04
US06/118,246 US4359072A (en) 1980-02-04 1980-02-04 Product shaping mechanism for horizontal pouch-making mach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014A KR830005014A (ko) 1983-07-23
KR850001171B1 true KR850001171B1 (ko) 1985-08-19

Family

ID=223774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350A KR850001171B1 (ko) 1980-02-04 1981-02-04 수평 포대 제조기용 제품 성형 장치
KR1019810003453A KR890002200B1 (ko) 1980-02-04 1981-09-16 속용성 감미제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453A KR890002200B1 (ko) 1980-02-04 1981-09-16 속용성 감미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4359072A (ko)
EP (1) EP0044859B1 (ko)
JP (1) JPH0255284B2 (ko)
KR (2) KR850001171B1 (ko)
AR (1) AR226448A1 (ko)
AT (1) ATE12919T1 (ko)
AU (1) AU537835B2 (ko)
BE (1) BE887386A (ko)
BR (1) BR8106439A (ko)
CA (1) CA1153683A (ko)
DE (1) DE3170084D1 (ko)
DK (1) DK154059C (ko)
ES (1) ES8205691A1 (ko)
FI (1) FI63361C (ko)
IE (1) IE50561B1 (ko)
IL (1) IL61964A (ko)
IT (1) IT1170691B (ko)
MX (1) MX154428A (ko)
NO (1) NO153328C (ko)
PH (1) PH17199A (ko)
WO (1) WO19810022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77108B1 (it) * 1995-12-19 1997-11-04 Opem Srl Macchina per produrre, da film continuo, cialde di caffe' rotonde, e non, per macchine automatiche da caffe' espresso
JP4313861B2 (ja) * 1997-08-01 2009-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ーブアレ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3254A (en) * 1959-01-26 1963-09-10 U S Perlite Corp Acoustical ti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3351977A (en) * 1965-08-03 1967-11-14 American Excelsior Corp Shaping apparatus
US3718164A (en) * 1971-11-17 1973-02-27 Allied Chem Powder feeding device
US3751205A (en) * 1972-04-20 1973-08-07 D Patten Apparatus for forming and handling roof tiles
US4048782A (en) * 1976-10-04 1977-09-20 Hamilton Joel A Controlled film advance apparatus
US4105383A (en) * 1977-04-08 1978-08-08 David Jack Hanson Brick mol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7199A (en) 1984-06-19
DE3170084D1 (en) 1985-05-30
BR8106439A (pt) 1981-12-29
ATE12919T1 (de) 1985-05-15
AR226448A1 (es) 1982-07-15
BE887386A (fr) 1981-06-01
EP0044859B1 (en) 1985-04-24
IL61964A (en) 1983-05-15
NO153328C (no) 1986-04-30
ES499055A0 (es) 1982-06-16
IT8147721A0 (it) 1981-02-04
NO153328B (no) 1985-11-18
EP0044859A1 (en) 1982-02-03
AU6775681A (en) 1981-08-31
IT1170691B (it) 1987-06-03
EP0044859A4 (en) 1982-06-18
MX154428A (es) 1987-08-17
CA1153683A (en) 1983-09-13
JPH0255284B2 (ko) 1990-11-27
IE50561B1 (en) 1986-05-14
FI63361B (fi) 1983-02-28
KR830006935A (ko) 1983-10-12
US4359072A (en) 1982-11-16
DK437181A (da) 1981-10-02
NO813300L (no) 1981-09-29
KR890002200B1 (ko) 1989-06-23
FI812959L (fi) 1981-09-23
DK154059B (da) 1988-10-10
AU537835B2 (en) 1984-07-12
WO1981002281A1 (en) 1981-08-20
KR830005014A (ko) 1983-07-23
ES8205691A1 (es) 1982-06-16
IE810201L (en) 1981-08-04
DK154059C (da) 1989-04-03
JPS57500063A (ko) 1982-01-14
FI63361C (fi) 198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724B1 (ko) 제품 공급용 유닛
KR20040016997A (ko) 제조용 장치, 방법 및 가요성 백
JP3404095B2 (ja) 容積測定充填機および充填方法
JPH0458340B2 (ko)
WO2001042088A1 (en) A device for feeding articles to a blister band
US5549144A (en) Compression filler for aerateable powders
EP0561444B1 (en) Machine for filling containers with cosmetic products
US3217760A (en) Machine and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KR850001171B1 (ko) 수평 포대 제조기용 제품 성형 장치
US2363014A (en) Packing machine
JPH0541482B2 (ko)
US3498022A (en) Devices for filling storage containers with rod-shaped products and especially cigars
US2689974A (en) Mold filling device for making sheet materials
US7198077B1 (en) Filler apparatus for multiple chamber receptacles
JPH08300194A (ja) 粉体充填装置及び粉体充填方法
SU1742124A1 (ru) Дозатор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JP2778982B2 (ja) 袋を充てんしかつ閉鎖する装置
JPS5850870Y2 (ja) 高粘度粒状物供給装置
GB2164912A (en) Filling containers
SU1271467A1 (ru) Разравн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SU1613379A1 (ru) Способ объемного дозировани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US1210403A (en) Can-filling machine.
SU409922A1 (ko)
SU72135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дозировани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в коробки
US931561A (en) Can-fill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