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660B1 - 압연(壓延)로울 - Google Patents

압연(壓延)로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660B1
KR850000660B1 KR1019800004161A KR800004161A KR850000660B1 KR 850000660 B1 KR850000660 B1 KR 850000660B1 KR 1019800004161 A KR1019800004161 A KR 1019800004161A KR 800004161 A KR800004161 A KR 800004161A KR 850000660 B1 KR850000660 B1 KR 850000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olling
rolls
rolling mill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946A (ko
Inventor
도시유끼 가지와라
니시히데도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00004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660B1/ko
Publication of KR830003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18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연(壓延)로울
제1도는 본 발명의 압연 로울을 구비한 압연기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압연로울의 동체끝부의 확대도.
제4(a)도, 제4(b)도, 제4(c)도는 로울의 관계를 나타낸 배치도.
제5도는 로울간 헤르쯔 편평량과 로울간의 선하중(線荷重)과의 관계를 나타낸도면.
제6도는 소직경 로울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판폭과 최소작업 로울직경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8도 및 제9도는 압연 로울 동체끝부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도면.
제10도는 로울에 가해지는 하중분포 설명도.
제11도 및 제12도는 다른 형식의 압연기에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압연로울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로울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로울 및 이로울을 압연재의 판폭에 따라 이동 조절함으로써 압연재의 형상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압연기에 사용되는 압연로울에 관한 것이며 , 특히이 이동 로울의 축단부 형상의 칫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심히 요구되는 판형 압연재의 판 두께의 정밀도나 평탄도(형상)향상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등은 이미 상작업(上作業)로울과 상보강(上補强)로울간 및 하작업(下作業)로울과 하보강(下補强)로울간에 각기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중간로울을 배치함과 동시에 작업로울 벤더를 설치한 압연기를 제안하였다(미국특허 제3818743호 참조).
이와 같은 압연기는 로울의 축방향이동에 따라 로울간의 접촉길이를 변화시켜 작업로울의 벤딩을 제어하려고 하는 것으로서 로울 축방향 이동과 작업 로울벤더 작용에 의해 압연기의 형상 제어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연설비 전체의 효율향상과 조업성향상 및 제품불량율의 향상, 에너지절감등에 관해서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그런데 축방향 이동 로울을 포함한 압연기에서는, 압연기의 중심선에 대하여 로울 배치가 좌우 비대칭이 되기 때문에, 축방향 이동로울과 이와 접하는 로울간의 로울 축방향 접촉하중 분포 역시비대칭이되며, 특히 방향 이동로울의 동체끝부에서의 하중이 가장 커진다. 그리고 동체끝부의 형상을 끝부가 스텝모양으로 변화하는 단(段)이진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이 부분에서 로울이 급격하게 비접촉으로 되기 때문에 로울 표면부근에 극단적인 응력집중이 발생한다. 이와같이 축방향 이동 로울의 동체끝부는 종래형의 압연로울에 비하면 하중면에서는 이중의 악조건하에 놓여지게 되며, 로울의 수명저하나 스포올링(Spalling)이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또 이동로울의 동체끝부가 단이진형의 경우에는 이 단부에 의해 인접 로울에 줄무늬 모양의 상처가 생기며 결국 로울의 수명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이 줄무늬가 압연재의 판폭내측에 발생할 경우는 압연재에도 줄무늬가 전달되어 압연성형품으로서의 가치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종래, 압연기의 로울의 재질은 단조강 또는 주강이지만, 이 악조건을 해결하기 위해 이러한 재질을 사용한 로울의 강도를 단번에 비약적으로 높이려고 하여도 현실적으로 곤란하며 또한 값비싼 재질을 선정하는 것은 로울의 원가를 비싸지게 하므로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로울재질 강도를 사용하면서 충분한 로울 수명과 내(耐)스포올링성 및 상처등이 없는 고품질의 압연성형품을 확보하는 것이 이종류의 압연에 있어서의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그리고 또 이러한 종류의 압연기에서는 본질적으로 형상제어 특성이 증가 하지만, 이 형상제어 능력을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는 형상칫수가 되도록 이동로울의 동체끝부를 선정하는 것도 대단히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자등은 로울 동체끝부를 원호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그 곡율반경(曲率半徑)을 로울직경과의 비율로 무차원으로 표시하여 특정(特定)하는 것에 관하여 이미 검토하였다(일본국 특허공보소 제53-16784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 검토 결과는 동체끝부 기점에 대한 해결 방법을 얻은 것에 불과하였다˙ 즉 이동로울의 동체끝부가 인접로울의 동체 중앙에 접한 상태에서 하중이 가해지면 양로울의 접촉부분에서 편평(偏平)변형이 생겨 양 로울간의 축방향 접촉길이가 하중이 없을때 보다도 길어 진다.
이때 상기한 동체끝부 형상을 곡율반경(R)의 원호형으로 하더라도, 이것만으로 정확하게 접촉부 기점에서의 응력집중이나 줄무늬 상처는 방지할 수 있지만, 하중에 의해 진장된 부분의 형상 칫수가 부적당하다면 여기서 로울간의 접촉이 급격하게 단절되어 그 결과 마치 단이 진 형상의 동체끝부를 사용한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 압연기는 압연하중이나 압연재판폭이 변해도 항상 양호한 압연이 가능하며 약 50%의 압하율(壓下率)에서의 고압하에서의 압연도 충분히 가능하지만, 이와 같은 고압하에 서의 압연에 있어서는 로울간의 편평 변형량을 무시할 수 없으며, 단지로울 동체끝부를 원 호형으로 한 것만으로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압연 하중이 작용하여 로울간의 접촉길이가 신장하더라도 항상 이동 로울의 동체끝부에 의하여 응력집중을 완화하고, 스포올링 발생이나 로울의 상처를 방지하여 로울 수명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압연기의 형상 제어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압연 로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로울의 상체를 방지함으로써, 나아가서는 압연재의 상처를 방지하여 압연성형품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압연로울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조강 또는 주강 재질같은 단단한 로울에 있어서도 상술한 압연 하중하에서 응력집중이나 스포올링 및 상처 문제가 해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원가가 비싸지지 않는 경제적인 압연 로울을 제공하는 것도 또한 별도의 목적이다. 축방향 이동로울의 이동량 조절 또는 이동량 조절과 굽힘강성이 높은 작업로울에 대한 굽힘력 조절의 병용에 의해 압연재의 형상 제어를 행하는 압연기에 사용되는 압연로울이며, 또한 압연기의 규격이나 용도(예를들면, 알루미늄용, 철용, 경질재용등)가 다른 각종 압연기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동체끝부 형상칫수를 구비한 압연로울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재를 압연해야할 압연재에 접촉하고, 또한 로울면 길이의 15%이상의 직경을 가진 굽힘 강성이 높은 상하 한쌍의 작업로울과 이 작업로울의 중심을 잇는 선상에 거의(동일중심 선상을 포함)위치하도록 작업 로울의 상하 또는 편측으로 배치되며 한편 압연재의 판폭에 따라 로울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한쌍의 이동로울을 포함하며, 이 이동로울의 축방향 이동의 조절에 따라 압연재의 형상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압연기에 사용되는 압연로울에 있어서 이동 로울의 동체끝부를 그 선단(先端)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시킴과 동시에 동체 끝부의 기점보다 선단으로 향하여 100mm 이내에서 직경이 작아지는 량이 반경 0.3mm이상이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로울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압연기에서는 이동로울의 동체끝부를 압연재의 연부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있도록 설정하여 양호한 형상 제어를 행하려는 것이다.
그런데 압연하중의 작용에 따라 이동로울과 인접로울간의 접촉부와 비접촉부의 경계점이 로울의 헤르쯔(Hertz) 편평(扁平)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압연로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로울의 동체끝부를 선단으로 향하여 점차적으로 지름을 좁게하는 한편, 동체끝부의 기점보다 선단으로 향하여 100mm 이내에서의 직경이 작아지는 량을 반경 0.3mm이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산으로 구한 소정위치에 동체끝부 기점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경계점이 압연 하중하에서 변동되어도 양호한 형상제어를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응력 집중의 완화와 스포올링이나 로울의 상처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압연로울을 구비한 6단(段)압연기로서, 제1도는 압연기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이다.
압연재(1)을 직접 압연하는 상하 한 쌍의 작업로울(2),(3)은 로울하우징(4)내에 보전된 금속받침대(5),(6)에 의해 양단(兩段)이 축받침되어 있다. 또 각 금속받침대 (5),(6)는 로울하우징(4)에 설치된 좌우돌출부(7),(8)의 내측에 각각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 돌출부(7),(8)에는 상하 작업로울의 벤딩용 유압램(ram)(9),(10)이 내장되어 있다.
작업로울 (2),(3)에 각각 접촉하는 상하 한쌍의 중간로울 (11),(12)은 상하작업로울 (2),(3)과 거의 동일한 중심선상에 위치 하도록 배치되는 한편 그 양단은 금속받침대(13),(15)에 지지되어 있다. 각중간로울(11),(12)은 서로 반대쪽으로 동체끝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끝이 가늘게 되어있다. 중간로울(11),(12)의 상하에는 각 로울이 거의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상하 한쌍의 보강로울(15),(16)이 배치되는 한편 그 양단은 로울 하우징(4)내에 설치된 금속받침대(17),(18)에 지지되어 있다. 또 금속받침대(18)의 하부에는 로울의 가압조작(加壓操作)을 주관하는 유압램(19)과 그 실린더(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로울용 금속받침대(13),(14)는 중간로울(11),(12)이 상하 및 로울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보강로울용 금속받침대(17),(18)의 凹부(21),(22)내에 수납보전되어 있다. 상기중간로울(11),(12)은 각각 일단(一端)에 연결된 축(23),(24)을 거쳐 도시하지 않은 중간로울 축 방향이동수단에 의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작업로울(2),(3)은 각각 자유 이음매(25),(26) 및 회전축(27),(28)을 거쳐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회전 되도 록되어 있다.
본 압연기는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연재의 판폭에 따라 중간 로울의 동체끝부를 엇갈리게(예를들어 끝이 가늘어지는 동체끝부의 기점을 압연재의 연부 또 그 근방에 설정한다) 함으로써 보강로울과의 접촉 하중에 따른 모멘트에 의해 작업로울 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럼으로써 작업로울의 양단부에서 압연재를 과도하게 압연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 작업 로울의 한쪽끝부가 보강로울에 의하여 구속되지 않게되고 벤딩용 유압램에 의한 로울의 벤딩 효과도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압연로울의 동체끝부의 형상 칫수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중간로울 동체끝부의 확대도이며, 동체끝부의 로울축 방향길이(X), 곡율반경(R), 동체끝부 선단의 직경이 작아지는 량의 여유량(Y), 동체부의 직경(D) 및 동체끝부의 기점(개시위치)(S)으로 한다. 제4도는, 각 로울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제4(a)도는 압연 하중이 영(Zero)인 상태, 제4(b)도는 압연 하중이 작용한 결과 동체끝부가 전장(全長)에 걸쳐서 다른 로울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 및 제4(c)도는 압연 하중이 작용하여도 동체끝부는 다른 로울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려면, (1), 제4도(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 이동 로울의 동체끝부에 있어서, 압연하중하에서도 접촉상태가 되지 않은 충분한 여유칫수(Y)을 갖는 점과, (2) 압연 하중하에서 로울간의 접촉 길이가 신장함으로써 이동 로울의 동체끝부에서의 접촉부와 비접촉부의 경계가 이동되더라도 로울의 강도(强度)나 상처등의 문제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동체끝부 형상이 되도록 하는점, (3)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압연기의 형상 제어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된 동체끝부가 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상기(1)의 여유칫수(Y)을 구하기위해서는 하중하에서 발생하는 로울간의 접촉 변형량을 구할 필요가 있다. 이 로울간의 변형량에는 두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그 하나는 이른바 헤르쯔 편평이라고 불리우는 변형이다. 제5도는 두개의 로울(29),(30)간에 발생하는 헤르쯔 편평량(δ)과 이들의 로울에 가해지는 선하중(P)(로울축 방향 단위 길이 당의 하중)과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구한결과로서, 이론 식은 다음 같다.
Figure kpo00001
여기에 E : 영레이쇼, ν : 프아송비(pission's ratio)
이 결과에 의하면 두개의 로울(29),(30) 직경의 합(d1+d2)의 실용상의 범위에서는, 대개하기의 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δ≒3×10-4P
여기에 δ : mm, P : kg/mm
현실의 압연기에서 채용되는 로울간의 선압(P)은 대개하기의 범위에 있다. (a)P=200∼500kg/mm : 소형압연기, 알루미늄용압연기, 철용스킨패스(Skinpass)질압연기등.
( b) P=800∼1000kg/mm : 대형압연기, 경질재용(硬質材用)압연기.
따라서, (a)에 속하는 압연기에서는 δ=0.06내지 0.15mm, (b)에 속하는 압연기에서는 δ=0.24내지 0.3mm가 된다. 따라서, 압연하중하에 헤르쯔편평이 발생하여도 두개의 로울이 확실하게 비접촉이 되도록하기 위해 한쪽 로울에만 여유량(Y)을 주려고 하면 Y
Figure kpo00002
0.3mm가 된다. 로울의 여유량(Y)을 좌우하는 또하나의 로울의 변형은 로울의굽힘에 의한 로울간의 접촉 길이의 증가이다. 즉,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약 상대 작업 로울(2)의 직경이적고 그 강성이 낮으면 상대 작업로울(2)은 크게휘어져 충분한 여유량(Y)이 아니면 로울간의 접촉길이가 극단적으로 길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Y를 크게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본 출원에 관한 압연기와 같이, 로울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로울의 접촉이 완전히 단절되는 부분을 발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압연기에서는 상대로울, 특히 상대로울이 작업로울과 같이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어느 일정한 최소 한계치가 존재하게 된다. 제7도는, 보강로울 직경 ø1400mm중간 로울 직경 ø650mm, 로울면길이 1420mm인 로울칫수의 압연기를 대상으로 하여 이론 계산에 의해 구한 판독과최소작업로울 직경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며, 작업로울 직경(D')과 판폭(B)간에는 D'
Figure kpo00003
0.2B인 관계를 만족해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관계는 실용적 로울 칫수 범위에서는 일반적으로 성립한다. 또 이 관계식은 이른바 압연재가 복합적으로 신장하지 않게 하기 위한 한계치에 상당하며, 바꿔말하면 로울축방향이동에 의해 그 후방에서 지지부를 상실하게 되는 부분에서 상대로울이 급격하게 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한계치이기도 하다. 그런데 실제의 압연기에 있어서는, 압연중의 압연재의 지그재그 이동을 고려하여 압연재의 판폭보다 100내지 150mm정도 큰 로울면 길이를 가진 압연기가 적용된다. 예를들면 최대판폭 800mm의 압연재의 경우 필요한 작업로울 직경은 160mm, 로울면 길이는 900내지 950mm이기 때문에 로울면 길이에 대한 작업로울 직경의 비로 표시하면 17내지 18%가 된다. 본 발명은 로울면 길이에 대한 작업로울 직경의 비가 최소한 15% 이상인 벤딩 강성이 높은 작업로울을 구비한 압연기에 적용되기 때문에 작업로울은 1개의 로울(제1도의 경우 상하에 각 1개 배치된 중간로울)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소한계치 이상의 로울 직경을 상대로울에 선정하는 한 그 로울의 급격한 휨에 의한 접촉부의 신장은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한 바를 정리하면 축방향 이동을 행하는 로울 동체끝부에 있어서의 여유량은 반경 0.3mm이상이면 좋다. 다음에 상기(2)의 동체끝부의 형상에 관하여 기술한다. 압연하중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체끝부에 0.3mm이상의 여유량(Y)을 부여하면 동체끝부에 인접로울과 접촉하는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생긴다. 이 접촉부와 비 접촉부의 경계부에서의 응력집중이나 줄무늬 발생을 방지 하기 위해 이동로울의 동체끝부 직경은 축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을 작게하여 동체끝부를 원호로 형성하는 경우 200mm이상의 곡선반경이 바람직하다. 특히 동체끝부의 기점은 응력집중이 발생하기 쉬운 개소이기 때문에 곡율반경 200mm이상의 원호로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3)의 점에 관하여 기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응력집중이나 상처의 면에서는 동체끝부를 될 수 있으면 완만하게 직경을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완만하게 하면 압연하중 작용에 의해 축방향 이동 로울과 인접 로울간의 접촉길이가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압연재연부에 대하여 이동로울 동체끝부가 정확하게 위치를 결정해질수 없으며 충분한 형상제어 특성이 확보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등의 검토 결과에 의하면 로울간 선압(P)이 800내지 1000kg/mm의 대형압연기인 경우에 있어서 로울간의 접촉부와 비접촉부의 경계점에 대한 로울 축방향 이동량은 10mm이내가 바람직하다고 판명되었다.
이하 이와 같은 축 방향 이등량을 개량하기 위한 조건에 관하여 검토한다. 지금 로울간 선압(P)이 800kg/mm인 경우의 축방향 이동량을 X2, P=1000kg/mm인 경우의 축방향 이동량을 X1로 하고 다시 계산을 간단화하기 위하여 동체끝부 형상이 곡율반경(R)의 원호로 취하게 되면 다음식과 같이 나타내진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P=800kg/mm인 경우의 헤르쯔편평량 δ=0.24mm, P=1000kg/mm인 경우의 δ=0.3mm이다.
Figure kpo00004
이들 2식에 의해 X1을 구하면 9.47mm가 되기 때문에 대게 동체끝부의 기점으로 부터 선단(先端)으로 향하여 100이내에서 여유량(Y)을 반경 0.3mm 이상으로 하면 좋다. 또 압연하중 작용하에 있어서의 동체끝부의 접촉부와 비접촉부의 경계점은 동체끝부의 기점(S)보다 선단쪽에 위치하고 있지만, 선단쪽으로 이행(移行)하면 할수록 로울간 선압은 낮아지게 되므로 동체끝부의 선단쪽을 동체끝부 기점에 있어서의 곡율 반경(R)보다 더 작은 R로 한다든가 급구배의 직선에 의하여 빠져나가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동체끝부의 기점으로 부터 반경 0.3mm이상의 여유량을 가진 로울 축방향 위치까지의 길이는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가능한한 동체끝부의 로울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하고 또한 동체끝부 기점에 있어서의 강도상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실시예로서는, 곡율반경이 300내지 400mm정도의 원호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 소형 압연기에 관해서는 동일한 계산은 생략하지만, 같은 압연기에 관해서의 압연 하중 변화분은 작아지기 때문에 동체끝부의 기점으로 부터 반경 0.3mm이상의 여유량을 가진 로울 축방향 위치까지의 길이를 100mm보다 작은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8도 및 제9도는 동체끝부의 다른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 제8도는 대개 여유량(Y)이 0.5mm까지의 부분은 반경 5000mm원호로 하고, 그보다 멀리있는 부분은 반경 500mm원호로 하며 반경 5000mm 원호부와 반경 5000mm 원호부를 순조롭게 이음으로써, 급하게 여유를 준예이며, 제9도는 마찬가지로 동체끝부보다 면 부분 직선상으로 한예이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하면 동체끝부의 기점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를 짧게할 수 있기 때문에 로울 연마 작업이 줄어들고 로울 동체끝부의 연마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짧은 동체끝부 길이로 큰 여유량(예를들면 압연사고시등의 최악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1mm정도의 헤르프 편평량)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하는 중간 로울의 동체끝부에 관해서만 설명했지만, 제10도에 나타난 것처럼 이동하는 중간로울에 인접하는 로울의 동체끝부가 중간 로울의 동체부에 접하게 된다. 이들 접촉부에서는 제10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로울간의 접촉하중 분포는 작은 값이되어 로울 강도상의 문제는 없으나 상처면에서 고려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로울의 동체끝부를 점차 적어지는 지름으로 하면된다. 또, 동 도면에 있어서는 작업로울 끝을 원호상으로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하 작업로울과 상하보간로울간에 각각서로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중간로울을 구비한 6단 압연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강 로울이 4단 압연기 또는, 제1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상작업 로울러와 상보강 로울간에 서로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중간로울을 구비한 다단(多段)압연기등 각종형의 압연기에 본 발명에 관한압연로울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압연로울의 전장에 걸쳐서 크라운이 부여되는 로울일지라도 적용되며, 이 경우 압연 로울동체끝부의 기점은 크라운의 곡을 또는 테이퍼의 정도가 급히 변화하는 점이고 각생라하면 좋다.

Claims (1)

  1. 압연재를 압연하기 위해 압연재에 접촉하는 굽힘강성이 높은 상하 한쌍의 작업로울과, 상기 작업로울측단의 중심을 잇는 선상에 거의(동일 중심선상에 포함)위치 하도록 작업 로울의 상하 또는 편측에 배치되는 한편 압연재의 판폭에 따라 로울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한쌍의 이동로울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로울의 축방향 이동조절에 의해 압연재의 형상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 압연기에 사용되는 압연로울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울의 동체끝부를 그 선단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시킴과 동시에 동체끝부로 부터 선단을 향해 100mm이내에서의 직경의 작아지는 량이 반경으로 0.3mm이상이 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면로울.
KR1019800004161A 1980-10-30 1980-10-30 압연(壓延)로울 KR850000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161A KR850000660B1 (ko) 1980-10-30 1980-10-30 압연(壓延)로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161A KR850000660B1 (ko) 1980-10-30 1980-10-30 압연(壓延)로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946A KR830003946A (ko) 1983-06-30
KR850000660B1 true KR850000660B1 (ko) 1985-05-09

Family

ID=1921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161A KR850000660B1 (ko) 1980-10-30 1980-10-30 압연(壓延)로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6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946A (ko) 198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26903B1 (en) Rolling mill
US4543810A (en) Six-high rolling stand
EP0043869B2 (en) Roll for rolling mill
US4631948A (en) Roll stand with braced and offset working rolls
KR850000660B1 (ko) 압연(壓延)로울
JPS6210722B2 (ko)
KR100216299B1 (ko) 6단 압연기
JPH069686B2 (ja) 多ロ−ル圧延スタンド
JP2007514546A (ja) 板幅の関数として最適化されたシフト形態
JPS61126903A (ja) 板材の圧延方法および圧延機
JPH11226610A (ja) 多段圧延機、及び、これを用いた形状制御方法
JP2970824B2 (ja) 圧延機
JPS61119307A (ja) 多段圧延機
JP3848462B2 (ja) H形鋼の圧延方法
JPH06262216A (ja) 圧延機
JPS5853311A (ja) 多段クラスタ圧延機
KR850000281B1 (ko) 압연기의 압연방법
CA1302743C (en) Method of controlling strip crown in planetary rolling
JPS5853304A (ja) 熱間仕上タンデムミル
JPS5881504A (ja) 圧延ロ−ル
JPS5853312A (ja) 多段クラスタ圧延機
JPS642443B2 (ko)
JPS5853308A (ja) 多段クラスタ圧延機
JPS5853310A (ja) 多段クラスタ圧延機
JPS61150704A (ja) 圧延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508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