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636Y1 - 잉크 리본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잉크 리본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636Y1
KR850000636Y1 KR2019850001778U KR850001778U KR850000636Y1 KR 850000636 Y1 KR850000636 Y1 KR 850000636Y1 KR 2019850001778 U KR2019850001778 U KR 2019850001778U KR 850001778 U KR850001778 U KR 850001778U KR 850000636 Y1 KR850000636 Y1 KR 850000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k ribbon
gears
belt whee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1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섭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주식회사
이재연
하인츠 디터 캐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주식회사, 이재연, 하인츠 디터 캐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1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6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6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3/00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ink ribbons or like character-size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33/1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 B41J33/16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with drive applied to spool or spool spindle
    • B41J33/22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with drive applied to spool or spool spindle by gears or pulleys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잉크 리본 이송장치
제1도는 프린트기의 일측에 본 고안 이송장치를 설치한 개략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개략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전달기어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
제4a도는 구동벨트가 좌측방향으로 이행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본 고안 장치의 확대 평면도.
제4b도는 구동벨트가 우측방향으로 이행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본 고안 장치의 확대 평면도.
제5a도는 제4a도의 A-A선에 의한 확대 측면도.
제5b도는 제4b도의 B-B선에 의한 확대 측면도.
제6도는 이송 장치의 일예를 보인 개략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기어 14 : 최종기어
C,D : 전달기어 16,16' : 상부기어
17,17' : 동체 18,18' : 하부기어
19,19' : 동체 22,22' : 클러치스프링
본 고안은 프린트기에 사용하는 무단 잉크 리본(endless ink ribbon)을 일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잉크 리본 이송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헤드 뭉치를 이송 조종하는 벨트에 의하여 구동되는 벨트 바퀴측의 기어와 잉크 리본을 케이스내에 끌어들이게 하는 최종기어와의 사이에 상·하 기어가 동일축상에서 서로 공회전되게 한 2조의 전달기어를 서로 맞물리게 축설하고 이들 전달기어들의 상·하 기어 사이에는 각각 코일형 클러치 스프링을 삽설하여, 상기한 벨트 바퀴가 벨트에 의하여 좌·우로 회동할때 클러치 스프링의 토오크 작용에 의하여 전달기어들의 회전 방향이 변환되면서 최종기어를 항상 일방향으로 유도 회전되도록한 잉크 리본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린트기에 사용하는 잉크 리본 이송장치는 여러가지 종류가 알려져 있으나, 그중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식의 프린트기에 있어서는 스탭모우터(1)의 회전축(2)에 직결한 벨트 바퀴(3)와 벨트(4)에 의하여 구동되는 벨트바퀴(5)의 회전축(6)에 기어(7)를 고정하여, 헤드 뭉치(8)가 벨트(4)에 의하여 좌·우로 가변 이송됨에 따라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아암(9)으로 지지된 유성기어(10)가 좌 또는 우로 이동 회전되면서 최종기어(14)에 각기 맞물린 일측 전달기어(11) 또는 타측 전달기어(12)(13)를 통하여 최종기어(14)를 항상 좌측방향으로 회동되게 함으로써, 제1도에 도시된 잉크리본 케이스(b) 내부의 기존 맞물림 바퀴(15)(15')에 의하여 잉크리본(a)을 케이스(b)내에 끌어들이게 하고 그 케이스(b)의 타측으로부터는 잉크리본(a)이 물려나오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과 작용을 가지는 종래의 이송장치는 헤드뭉치(8)의 위치를 순간적으로 변동시키는 벨트(4)의 이동 방향이 바뀜에 따라 벨트 바퀴(5)측의 기어(7)에 아암(9)을 통하여 좌·우로 이동되게 설치된 유성기어(10)가 양측 전달기어(11),(12)에 번갈아가면서 충돌되어 맞물리게 되므로, 상호 맞부딪치는 유성기어(10) 및 양 전달기어(11),(12)가 쉽게 마모, 또는 손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유성기어(10)가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좌·우로 변환 이동되기 때문에 그 변환시마다 공백시기를 갖게 되며, 그 공백시기에는 잉크리본(a)의 이송이 일시 멈추게 되는 결함이 발생되므로, 이와같은 공백시기에도 계속 작동되는 헤드(8')로 하여금 이송이 정지된 상태에 있는 잉크 리본의 같은 자리를 반복하여 때리게 되는 폐단을 갖게 됨으로써 잉크리본(a)의 부분 부분에 집중적인 손상을 가하게 됨은 물론, 그 시기에 인자되는 문자의 선명도를 현저히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이송장치의 결함 및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인바 벨트 바퀴측의 기어와 최종기어 사이에 전달기어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부기어와 하부기어가 동일축상에서 서로 공회전되게한 2조의 전달기어를 소정의 위치에 각기 축설하여 벨트 바퀴측의 기어와 전달기어 그리고 최종기어가 서로 맞물려지게 함과 더불어, 각 전달기어의 상부기어와 하부기어의 동체 외면에 좌권된 코일형 클러치 스프링을 삽설하여 상기 벨트 바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할 때 상기한 스프링에 토오크가 발생하여 그 스프링의 내경이 각각 신축 작용됨에 따라, 각 기어의 동체에 조임력 또는 이완력이 발생하여 각 전달기어에 구비된 상·하 기어의 회전 방향이 변환되면서 최종기어를 항상 일정방향으로 회동되게 한 것으로, 이와같은 본 고안 이송장치의 목적은 전달기어들이 정위치에 축설된 상태에서 1회전 방향만이 변환되게 함으로써 기어 상호간의 충돌을 배제할 수 있게 하여 각 전달기어들의 손상을 방지하고 그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잉크리본을 끊일사이 없이 이송하게 하여 인자시에 헤드가 잉크리본의 같은 자리를 반복하여 때리지 못하게 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 상태를 제3도 내지 제5도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의 부호중 종래예의 구성과 같은 부분에는 편의상 동일 부호로 표기하였다.
벨트(4)에 의하여 구동되는 벨트바퀴(5)의 회전축(6)에 고정한 기어(7)와 최종기어(14) 사이에 2조의 전달기어(C),(D)를 축설하는 것에 있어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기 다른 크기의 기어(16)(18),(16')(18')를 상·하에 가지는 양 전달기어(C),(D)(이하 제1, 제2전달기어라 칭함)의 동체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상부기어(16)(16')의 동체(17)(17')와 하부기어(18)(18')의 동체(19)(19')로 분리 형성하고, 각 상부기어(16)(16')의 동체(17)(17')에는 축공(20)(20')을 뚫어서 각 축공(20)(20')에 하부기어(18)(18')의 동체(19)(19')에 형성한 돌축(21)(21')을 축설하여 그 상부기어(16)(16')와 하부기어(18)(18')들이 동일축상에서 각각 공회전되게 하고, 각 상부기어(16)(16')와 하부기어(18)(18')사이에는 상기한 각 동체(17)(19),(17')(19')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내경을 가지는 코일형 클러치 스프링(22)(22')(이하, 스프링이라 칭함)을 각각 삽설하여 각 스프링(22)(22')의 내면이 각 동체(17)(19),(17)(19')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하고, 이와같이 된 제1, 제2전달기어(C),(D)를 상기 벨트바퀴(5)와 최종기어(14) 사이에 설치하되, 제1전달기어(C)의 하부기어(18) 일측이 상기 벨트바퀴(5)측의 기어(7)에 맞물리게 하는 동시에, 그 타측이 제2전달기어(D)의 하부기어(18')에 맞물리게 하고, 그 상부에 위치하는 양 전달기어(C),(D)의 상부기어(16)(16')가 최종기어(14)에 각기 맞물리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스탭모우터(1)의 구동에 의하여 벨트(4)가 좌·우로 이동하는데 따라 헤드뭉치(8)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제4a도와 같이 벨트 바퀴(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그 회전축(6)에 고정된 기어(7)가 이에 맞물린 제1전달기어(C)측의 하부기어(1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기어(18)의 동체(19)는 제5a도와 같이 스프링(22)의 중간 하부측 내면에 마찰되어 회전하여 그 스프링(22)을 하단부의 감김 방향 즉, 화살표(e)방향으로 접동회전하게 되는 바, 이 순간에는 상부기어(16) 동체(17) 및 그 외주면부에 감겨진 스프링 (22)에는 하부기어(18)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그 스프링(22)에는 좌측 방향으로 토오크가 발생하여 그 내경이 축소됨으로써 상부기어(16)와 하부기어(18)의 동체(17)(19)가 함께 조여져 상부기어(16)도 함께 우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상부기어(16)와 맞물린 최종기어(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케이스(b) 내부에 설치된 맞물림 바퀴(15)(15')가 구동되어 잉크리본(a)은 케이스(b)의 내부로 끌어당기어 잉크리본(a)의 이송이 진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전달기어(C)의 회전에 의한 잉크리본(a)의 이송이 진행되는 동안 타측 즉, 제2전달기어(D)측의 상부기어(16')는 최종기어(14)와 맞물린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부기어(16')의 동체(17')는 그에 감겨진 스프링(22') 자체의 상향 감김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내면을 마찰 접동하므로 그 스프링(22')은 화살표(f) 방향으로 토오크가 발생하여 스프링(22')의 상부 내경이 확대됨에 따라 그 스프링(22')과 상부기어 동체(17')간의 접촉이 이완된 상태에서 상부기어(16')는 최종기어(14)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따라 돌게되는 동시에, 그 하부기어(18')는 이와 맞물린 타측 하부기어(18)에 의하여 상부기어(16')와는 반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그 동체(19')가 그에 감겨진 스프링(22')의 하향 감김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내면을 마찰 접동하는 고로, 그 스프링(22')의 하부는 화살표(g) 방향의 토오크가 발생하여 스프링(22')의 내경을 확대시키게되므로, 하부동체(19')와 스프링(22')간의 접촉 역시 이완된 상태에서 상부기어(16')와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동된다.
이와 반대로 제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벨트바퀴(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기어(7)가 제1전달기어(C)측의 하부기어(18)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그 하부기어(18)의 동체(19)는 제5b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스프링(22)의 하부내면을 마찰 접동하는 고로 스프링(22)은 화살표(e')방향으로 토오크가 발생하여 그 스프링(22)의 내경을 확대시켜 원활하게 회동됨에 따라, 상부기어(16) 및 그 동체(17)에는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하부기어(18)가 제2전달기어(D)의 하부기어(18')를 우회전시키게 되며, 이와같이 하여 회전되는 하부기어(18')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동체(19')가 스프링(22')의 하부 내면을 마찰 접동하게 되므로, 그 스프링(22')은 화살표(g') 방향으로 토오크가 발생하여 그 내경이 축소되고, 상·하 동체 (17')(19')를 함께 조이게 됨으로써 상부기어(16')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최종기어(1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한 바와같이 잉크리본(a)을 케이스(b)내에 끌어들이게 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최종기어(14)와 맞물려진 제1전달기어(C)의 상부기어(16)는 최종기어(14)가 좌회전하는데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동체(17)로 스프링(22)의 상부 내면을 마찰 접동하게 되어 그 스프링(22)은 화살표(h)방향으로 토오크가 발생하므로 동체(17)에 가해진 조임력이 풀어져서 그 상부기어(16)는 상기 하부기어(18)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원활하게 회동된다.
이와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본 고안 잉크 리본 이송장치는 벨트 바퀴(5) 측의 기어(7)와 최종기어(14) 사이에 상부기어(16)(16')와 하부기어(18)(18')가 동일축상에서 개별적으로 회전되게 한 2조의 전달기어(C),(D)를 소정 위치에 축설하고, 이들 양 상·하부기어(16)(18),(16')(18')의 동체(17)(19),(17')(19') 외면에는 좌권된 클러치 스프링(22)(22')을 삽설하여, 상기한 벨트바퀴(5)의 회동방향이 변환되는데 따라 각 상부기어(16)(16')와 하부기어(18)(18')의 회동방향이 변동되게 하는 동시에, 각 스프링(22)(22')에 토오크가 발생하여 그 스프링(22)(22')의 내경이 신축됨에 따라 서로의 회동방향이 원활히 전환되게 하여, 양 전달기어(C),(D)들이 시간의 여유 즉, 공백시차를 두지 않고 그 회동방향이 즉시 변환되게 함으로써 최종기어(14)를 항상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여 잉크리본을 간단없이 이송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

  1. 벨트 바퀴측의 기어(7)와 최종기어(14) 사이에 전달기어를 설치하여 잉크리본을 일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프린트기의 잉크리본 이송장치에 있어서, 클러치 스프링(22)(22')이 삽설되는 2조의 상·하부 동체(17)(19),(17')(19')가 각기 동일축선상에 분리 유착되어 그 상·하측부에 형성한 상·하부기어(16)(18),(16')(18')가 개별적으로 공회전되게 한 제1 및 제2전달기어(C),(D)를 소정의 위치에 각기 축설하되, 상기 하부기어(18)가 벨트바퀴 측 기어(7) 및 하부기어(18')에 각기 맞물리게 하고 각 상부기어(16)(16')가 최종기어(14)에 맞물리게 하여, 벨트 바퀴측기어(7)의 회전방향 변환시에 발생되는 각 클러치 스프링(22)(22')의 토오크 변환에 의하여 각 기어의 회전 방향이 전환되며 최종기어(1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리본 이송장치.
KR2019850001778U 1983-02-22 1985-02-22 잉크 리본 이송장치 KR850000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778U KR850000636Y1 (ko) 1983-02-22 1985-02-22 잉크 리본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30000777 1983-02-22
KR2019850001778U KR850000636Y1 (ko) 1983-02-22 1985-02-22 잉크 리본 이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777A Division KR840003466A (ko) 1983-02-25 1983-02-25 잉크리본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636Y1 true KR850000636Y1 (ko) 1985-04-18

Family

ID=2662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1778U KR850000636Y1 (ko) 1983-02-22 1985-02-22 잉크 리본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6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2136A2 (en) Sheet feeding apparatus in a printer
US5755522A (en) Winding mechanism for recording paper
GB2259961A (en) Torque-transmitting means in paper sheet feeding apparatus
US20130051885A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3529703A (en) Closed loop spring clutch
US2756855A (en) Helical spring friction clutch
KR850000636Y1 (ko) 잉크 리본 이송장치
US4771636A (en) Transmission apparatus
KR100495474B1 (ko) 벨트 차동 장치
US5704606A (en) Sheet feeding apparatus for a printer
US5898452A (en) Thermal transfer color recording device
JP2001080783A (ja) ベルト駆動装置の搬送ベルトの偏動矯正方法
JPS6196252A (ja) 可変ピツチ径チエ−ン歯車
JPH0674311A (ja) 回転力伝達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4971467A (en) Printer
US3549071A (en) Angularly adjustable drive coupling
SU1237826A1 (ru) Передача с гибкой св зью
KR102535759B1 (ko) 양방향 권입 방식의 열전사 리본 인쇄장치
US3196999A (en) Intermittent clutch with friction band operated by rolling means and cam
JPS62191357A (ja) スプリングロ−ラ
JPH01247858A (ja) チェーン伝動機構
KR940009868B1 (ko) 브이씨알의 릴 구동장치
KR0136735Y1 (ko) 릴 구동장치의 벨트 이탈방지구조
JP2836234B2 (ja) 非接触型トルク伝達装置
KR100216463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 동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