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603B1 - 카세트 테이프 데이터 레코더의 복조방법 - Google Patents

카세트 테이프 데이터 레코더의 복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603B1
KR850000603B1 KR8203763A KR820003763A KR850000603B1 KR 850000603 B1 KR850000603 B1 KR 850000603B1 KR 8203763 A KR8203763 A KR 8203763A KR 820003763 A KR820003763 A KR 820003763A KR 850000603 B1 KR850000603 B1 KR 85000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output
signal
threshold
demod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408A (ko
Inventor
강철회
배명진
Original Assignee
백영학
재단법인 한국전기통신 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학, 재단법인 한국전기통신 연구소 filed Critical 백영학
Priority to KR8203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603B1/ko
Publication of KR840001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9/00Demodulating pulses which have been modulated with a continuously-variabl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테이프 데이터 레코더의 복조방법
제1도는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된 변조신호 및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복조출력신호 파형의 실시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복조장치의 실시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을 도식적으로 표시한 유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타이밍 다이어그램.
제5도는 제2도의 임계값 레지스터의 내부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NT1: 카운터 TPR : 순시레지스터
THR : 임계값 레지스터 PS : 과거상태 포인터
본 발명은 마이크로 컴퓨터의 카세트 인터페이스 장치등과 같이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를 이용한 데이터레코더의 복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보조기억 장치로는 저가격이면서도 비교적 대용량이므로 흔히 사용된다.
종래 이들의 간단한 변조방법으로 이용되는 2상펄스(F-2F) 변조방법은 제1도와 같이 "0"이면 기본 주파수(F)의 방형파를, "1"이면 2배주파수(2F)의 방형파를 각각 오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기록토록하고 복조시에는 테이프 레코더의 출력신호를 적당한 임계레벨로 파형정형한 후 그 파형의 상승에지 에서부터 일정시간(T)이 지난후 그 파형이 계속 하이(H)레벨이면 "0"으로 로(L)레벨로전이 되었으면 "1"로 판정토록한 것이나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속도가 테이프의 시작과 끝에서 차이가 나므로 재생된 펄스의 폭이 달라져서 임계레벨의 선택폭이 아주 좁아지게되며 또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기록시 헤드를 특성이 직선적인 부분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ALC 회로를 사용하고 있어 기록신호에 따라 헤드의 바이어스 전압이 계속 변동되고 따라서 재생신호의 중점전위가 계속 변동하게 되므로 제1도에서와 같이 "0"과 "1"의 상태를 잘못 판정하는 오류가 자주 발생하게 되며, 특히 한 컴퓨터에서 기록된 테이프로 다른 컴퓨터에서 재생하고자 하면 각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속도, 헤드의 위치, 재생레벨 등 제특성의 불균일로 인하여 재생시 오류가 잦게 발생하므로 장치간의 호환성을 유지할수 없게되는등 여러가지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단점을 없이하기 위하여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속도, 헤드의 위치 및 재생레벨 등의 특성이 불균일하더라도 정확하게 기록된 정보를 복조할수 있도록 자기 테이프에서 재생된 복조신호를 "Low" 인가 또는 "High" 인가를 판단하도록 복조신호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임계레벨을 기준레벨로서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방법을 다시한번 설명하자면, 자기 테이프에서 재생된 복조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파형정형한 후, 임의 설정한 임계레벨과 비교하여 복조신호가 임계레벨보다 큰 경우에는 임계레벨의 값을 출력신호로 하고, 복조신호가 임계레벨보다 작을때에는 바로전의 복조신호와 현재의 복조신호의 합을 반으로 나누어 새로운 임계레벨로하고, 바로전의 기준 임계레벨에 현제의 복조신호를 비교하여 그 출력을 현재 복조신호의 출력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복조시 겉보기 임계레벨을 복조신호의 중점전위의 변동에 추종되도록한 것으로 다시 설명하면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복조신호를 일정한 임계레벨로 파형정형한 후 그 출력이 하이(H)레벨인 경우 카운터(CNT1)로 하이(H)레벨의 지속시간을 계수한 후로(L)레벨로 천이하면 계수를 중지하고 과거 상태포인터(PS)의 상태, 카운터(CNT1) 출력과 임계값 레지스터(THR) 출력의 비교결과를 살펴 카운터의 계수결과가 임계값 이상이면 "0"이고 미만이면 "1"로 판정하되, 과거상태와 판정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카운터(CNT1) 출력과 순시 레지스터(TPR)의 출력의 상가 평균을 취해 임계값 레지스터(THR)에 기억시키고 카운트(CNT1)의 출력은 순시 레지스터(TPR)에 기억시킨후 과거상태 포인터(PS)의 상태를 반전시킨다. 한편, 과거상태와 판정결과가 일치하면 아무일도 하지않는 것으로 복조출력은 과거상태 포인터(PS)의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의 소프트 웨어로도 실현할수 있지만 하드웨어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복조장치는 제2도와 같이 카운터(CNT1), 순시레지스터(TPR), 가산기(ADDER), 임계값 레지스터(THR), 비교기(COMP), 클록발진기(1), 카운터(CNT2), 디코더(CNT). D플립플롭(FF1) 및 과거값 포인터(PS),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G10)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테이프 레코더의 출력을 인버터(G1) (G2)로 파형정형하여 그 출력이 하이(H)이면 클록발진기(1)의 클록신호(
Figure kpo00001
)를 카운터(CNT1)로 계수하여 일단 계수가 끝나면 인버터(G6) 및 노아게이트(G5), 저항(R4) 및 콘덴서(C1)로 입력신호의 하강을 검출하여 리세트된 카운터(CNT2)로 클록신호(
Figure kpo00002
)를 계수하고 그 출력을 디코더(DECODER)로 복호화 한다.
카운터(CNT)의 계수결과는 임계값 레지스터(THR)의 출력과 비교기(COMP)에서 비교되어 디코더(DECODER)의 출력(Q0)이 하이(H)레벨로 될때 그 상승에서 D플립플롭(FF1)에 기억된다.
즉 계수결과가 임계값 이상이면 비교기(COMP)의 출력(AB)은 로(L)레벨이며, 미만이면 하이(H)레벨로 D플립플롭(FF1)에 현재의 상태로 기억되어 과기값 포인터(PS)의 결과와 일치하면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G10)의 출력이 로(L)레벨이 되어 아무일도 하지않고 카운트(CNT2)만 진행된다.
한편 현재의 상태가 과거의 상태와 일치되지 않으면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G10)의 출력은 하이(H)레벨이 되어 디코더(DECODER)의 출력(Q1)이 하이(H)레벨인 기간동안 카운터(CNT1)의 계수결과와 순시 레지스터(TPR)의 출력을 가산기(ADDER)로 가산하여 2로 나눈값 즉 평균값을 임계값 레지스터(THR)에 기억시킨다. 이때 주의할 점은 가산기(ADDER)의 출력은 2진수이므로 각 비트를 1비트씩 하위로 쉬프트하면 2로 나눈 결과가 된다는 점이다.
디코더(DECODER)의 출력(Q2)이 하이(H)레벨인 기간동안 카운터(CNT1)의 계수결과를 순시 레지스터(TPR)에 기억시키고 또 디코더의 출력(Q3)이 하이레벨이 되면 그 상승에서 과거치 포인터(PS)의 입력(D)에 접속된 반전출력(
Figure kpo00003
)을 기억시켜 과거치 포인터(PS)를 반전시키며, 그 출력(Q)이 도시되지 않은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된다.
이와 동시에 과거치와 계수결과의 일치여부와 무관하게 카운터(CNT1)를 리세트한다. 디코더의 출력(Q4)가 하이(H)레벨이 되면 이 출력은 인버터(G7)로 반전되어 앤드게이트(G4)에 연결되므로 계수를 정지하게 된다. 다시 테이프 레코더의 출력이 하이(H)레벨이 되면 상기의 동작을 반복케되는 것이다.
제3도는 상기의 과정을 도식적으로 표시한 유통도이며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타이밍 다이어 그램이다.
제5도에서는 제2도중 임계값 레지스터의 내부회로서 이 장치의 작용효과는 초기 임계값을 결정하고 작동되는 도중의 레벨을 임계유지한다. 처음 전원을 공급하면, 저항(R7)과 콘덴서(C3)의 시정수(τ)에 의해서 인버터(G13)의 출력이 하이(H)로 되고, 일정시간이 지난 다음 로(L)로 변한다.
인버터(G13)의 출력이 하이로(H)되는 순간은 가산기(ADDER)의 출력신호를 버퍼레지스터(BF2)에서 차단하는 한편, 인버터(G14)를 통하여 로(L)상태가 되어 버퍼레지스터(BF1)를 개방하면 스위치(SW1~SW7)들에 의해서 선택된 초기 임계상태 값은 임계값 레지스터(THR1)의 입력(I0~I7)에 도착되고, 또한 인버터(G13)의 신호(H상태)는 저항(R6)과 콘덴서(C2)의 시정수에 의해 지연된 다음 오아게이트(G12)를 통하여 임계값 레지스터(THR1)를 개방하여 출력(Q0~Q7)에 초기상태 레벨데이타가 셋트된다.
전원이 계속 공급될 경우, 인버터(G13)의 출력이 로(L)상태로 되어 반대로 버퍼레지스터(BF2)의 출력신호를 개방하고, 버퍼레지스터(BF1)의 출력신호를 차단한다.
이때는, 앤드게이트(G9)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임계값 레지스터(THR1)의 레벨값이 결정된다.
제6도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기준 임계레벨값이 변화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최초의 복조신호(P1)가 스위치(SW1~SW7)들에 의하여 선택된 초기임계 상태값보다 크게되면 기준임계 레벨값의 변화가 없고 복조신호(P2)에서 복조신호(P3)으로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복조신호(P2)와 복조신호(P3)의 합에 절반값으로 기준임계레벨이 변화되며, 복조신호(P2)일때의 기준 임계레벨에 복조신호(P3)가 비교되므로 확실한 값의 출력이 나오게되는 것이며, 복조신호(P3)와 복조신호(P4)의 관계처럼 복조신호 파형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기준 임계레벨이 복조신호(P4)의 값으로 하강되는 것이며, 이때에는 복조신호(P3)에서의 기준 임계레벨과 복조신호(P4)가 비교되어 복조신호(P4)의 값은 논리 "1"로서 판정되는 것이며, 그 다음의 복조신호(P5)의 값은 복조신호(P4)와 변화가 없으므로 복조신호(P4)의 기준 임계레벨과 복조신호(P5)가 비교되어서 그 출력논리는 "0"으로 판정되는 것이다.
결국 바로전에 결정된 기준 임계레벨(An)에 현재의 복조출력(Pn)을 비교하여 이 값을 출력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파형정형시 임계전압은 일정케 하더라도 계수결과의 비교기준인 임계값을 항상 과거치와 현재치의 평균값으로 취해 가변 되도록 함으로써 겉보기 임계레벨이 변동되어 테이프 레코더의 중점전위의 변동에 추종토록한 것으로 녹음테이프의 특성이나 테이프 레코더의 특성차이에 의한 복조오류가 거의 없고 또 장치간의 호환성을 언제나 유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 기록된 신호를 파형정형하여 복조케된 카세트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파형정형된 신호의 하이(H)레벨의 지속시간을 카운터(CNT1)로 계수하고 로(L)레벨이 될때 계수결과와 임계값 레지스터(THR)의 출력을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이면 "0", 미만이면 '1"로 판정하되 과거상태와 판정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카운터(CNT1)의 계수결과와 순시레지스터(TPR)의 출력이 상가 평균을 임계값 레지스터(THR)에 기억시키고, 계수결과는 순시 레지스터(TPR)에 기억시키며, 과거상태 포인터(PS)의 상태를 발전시키도록하여 겉보기 임계레벨이 테이프 레코더 복조신호의 중점전위의 변동에 추종되도록한것을 특징으로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복조방법.
KR8203763A 1982-08-23 1982-08-23 카세트 테이프 데이터 레코더의 복조방법 KR85000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3763A KR850000603B1 (ko) 1982-08-23 1982-08-23 카세트 테이프 데이터 레코더의 복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3763A KR850000603B1 (ko) 1982-08-23 1982-08-23 카세트 테이프 데이터 레코더의 복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408A KR840001408A (ko) 1984-04-30
KR850000603B1 true KR850000603B1 (ko) 1985-04-30

Family

ID=1922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763A KR850000603B1 (ko) 1982-08-23 1982-08-23 카세트 테이프 데이터 레코더의 복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6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408A (ko) 198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117B1 (ko) 디지탈 신호 처리장치의 파형 정형회로
US5418659A (en) Reliable time-domain demarcation of split formats in embedded-servo, zoned-data recording disk drives
EP0196216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igital signals
KR850000603B1 (ko) 카세트 테이프 데이터 레코더의 복조방법
US3961367A (en) Self-clocking, error correcting low bandwidth digital recording system
JP2977194B2 (ja) トラッククロス信号補正装置
JPH06150635A (ja) デューティ検出回路
JPH01217768A (ja) スレッショルドトラッキング方式
US4053738A (en) Programmable data envelope detector
US4003085A (en) Self-clocking, error correcting low bandwidth digital recording system
JP2523551B2 (ja) 磁気テ−プ信号のデユ−テイ判別装置
JPH0827311B2 (ja) デユ−テイ判別装置
US4543620A (en) Code generating apparatus
JPH0522281B2 (ko)
US53963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consecutive program recordings with a VCR using a program end signal
JP3148358B2 (ja) 信号のデューティ比識別回路
JPH045060Y2 (ko)
KR860002165Y1 (ko) Mfm 디지탈 변조 회로
JPS63182911A (ja) デユ−テイ検出回路
US4152731A (en) Read circuit for distinguishing false peaks in an alternating current playback signal
JP2693085B2 (ja) 信号のデューティ比識別回路
JP3232834B2 (ja) 復調装置
JP2641066B2 (ja) カウンタ装置
JPH0230107B2 (ja) Jikikirokuyomitorihoshiki
JPS59140756A (ja) バイフエ−ズマ−ク変調回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