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367B1 - 오동차(梧柯茶)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동차(梧柯茶)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367B1
KR850000367B1 KR1019830003092A KR830003092A KR850000367B1 KR 850000367 B1 KR850000367 B1 KR 850000367B1 KR 1019830003092 A KR1019830003092 A KR 1019830003092A KR 830003092 A KR830003092 A KR 830003092A KR 850000367 B1 KR850000367 B1 KR 850000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ulownia
leaves
tea
flower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922A (ko
Inventor
김병연
Original Assignee
김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연 filed Critical 김병연
Priority to KR1019830003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367B1/ko
Publication of KR850000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동차(梧柯茶)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오동(梧棟)의 각 기관(器官)을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전통 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오동(梧棟)의 잎, 꽃 및 껍질을 적의 가공 처리하여 황록색의 오동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오동목(梧棟木)의 잎, 종자, 꽃은 중국 고서인 본촌강목, 등의 보감 등에 의하면 달고(甘味), 독성이 없는(無毒性)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그 용도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고서 등에 의하면 특히 오동목의 꽃은 이미 차(茶)로서의 용도로 사용되었던 흔적을 볼 수 있으며, 두통(頭痛) 제거에 유효한 약재로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사실을 근거하여 오동목의 각 기관(器官) 중에서 잎, 꽃 및 껍질을 이용하여 사람의 구미(口味)에 맞고 선택이 양호하여 영양이 풍부한 오동차를 과학적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오동의 잎(葉)은 엽록소(Chlorophill)가 풍부하고 각종 방향성물질(芳香性物質)이 풍부함은 물론 비타민 아미노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것을 적절히 가공하면 기호도가 매우 높은 엽차가 될 수 있으며 꽃과 껍질 역시 방향성 물질은 물론 각종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우수한 엽차의 원료가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아래 표는 본 오동차의 영양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오동의 각 기관을 시험 의뢰하여 분석된 시험 결과를 보인 것인다.
[표]
영양성분 분석 결과
Figure kpo00001
(주) 1. 검체 A : 잎 검체 B : 씨 검체 C : 꽃잎
2. 본 시험 결과는 서울특별시 종합기술시험 연구소의 분석 결과임.
한편, 동 연구소 시험결과에 의하면 비소 및 Cd, Pb등의 중금속 오염흔적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오동의 각 기관은 회분(mineral)이 풍부하고 단백질(protein) 함량이 대단히 높으며 오염물질 등 유해물질이 없음이 판명되었다.
또 오동의 잎과 및 꽃의 회분 및 아미노산 함량은 보통식물의 평균치 이상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이상의 점들을 감안하여 오동의 잎, 꽃 및 껍질이 차로서의 적당한 원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의 가공방법을 예의 검토한 결과 잎과 꽃 및 껍질을 먼저 절삭하여 건조한다 음 봉밀등 수용액에 침지하거나 분무하여 안정화시킨 다음 재건조후 밀봉제품화 하므로서 오동의 엽록소와 비타민 파괴를 극소화하는 동시에 기호도가 높은 인스탄트식 오동차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는바, 그 구체적인 방법을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 각 기관(器官)의 절삭처리
잎, 꽃, 껍질을 음지에서 잘 건조시킨 후 정선하여 절삭기로서 절삭한다.
이때 절삭 길이는 1-5mm가 적당하다.
제2공정 : 열풍 건조처리
절삭된 잎, 꽃, 줄기 껍질을 열풍 건조기에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건조시킨다. 이 건조공정은 절삭부의 유리수(遊離水)를 제거하고 각종 효소(酵素)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셀루라제(Cellulase), 포스포릴리아제, 해당효소(解糖酵素)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함이다. 이 때의 수분 함량은 10% 내외가 적당하다.
제3공정 : 당액(糖液)의 분무 또는 침지처리
건조된 잎, 꽃 및 껍질을 물 : 봉밀(부피)= 2 : 1 정도로 혼합하여 균질한 다음 분무기에 넣고 분무시키든지 1 : 1 봉밀 수용액에 침지시킨 다음 건져낸다. 이때 봉밀수용액 대신 설탕, 맥아당, 이성화당 등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4공정 : 가압 안정화 및 로스팅
분문처리 또는 침지처리한 잎, 꽃 또는 껍질을 가압틀에 넣고 가압 안정화시킨 다음 개방솥에 넣어 로스팅시킨다. 이때의 수분 함량은 5∼10%정도가 바람직하다.
제4공정 : 가압안정화 및 로스팅
분무처리 또는 침지처리한 잎, 꽃 또는 껍질을 가압틀에 넣고 가압 안정화시킨 다음 개방 솥에 넣어 로스팅시킨다. 이때의 수분함량은5∼10%정도가 바람직하다.
제5공정 : 밀봉포장
재건조 처리한 오동차 원료를 투명 비닐, 알루미늄 팩, 또는 티백(Tea-bag)에 밀봉 포장하여 제품화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 오동차를 음용할시에는 주전자나 포트에 물을 넣고 제품화된 티백을 1봉지 넣고 1-5분간 100℃에서 끓는 물에 제품을 넣고 끓인 후 조리로서 받쳐 내어 음용하면 되는데 이때 엽록소와 방향성 물질 및 봉밀 등의 당류 기타 아미노산이 유리 또는 용출되어 기호성과 영양이 풍부한 황녹색 엽차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조공정 중 오동의 기관을 음건하면 엽록소의 파괴가 적은 것은 공지이다.
제2공정의 열풍건조는 가급적 열에 의하여 속이 유리수만 증산시키는 작용이 되도록 하여야 하고 장시간이 소요되면 비타민과 엽록소의 열에 의한 파괴가 일어나서 좋지 못하다.
이 열풍 건조 공정은 각종 효소의 활성화를 유도 촉진하여 끓여 음용할시에 엽록소와 방향성 물질의 용출이 쉬운 잇점을 주기도 한다.
제3공정의 당액처리는 음용시 설탕을 사용하지 않는 잇점을 줄 수 있어 고급제품으로 적당한 장점을 갖을 뿐 아니라 제품의 저장중에 곰팡이(Fungi)나 효모(Yeast)의 발생을 억제하여 부피 변질에 의한 보존성의 저하로 제품의 오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이 공정에서 비타민 등 영양성 물질을 강화할 수도 있으며 이성화당을 사용하여 처리하므로서 보양(保養) 가당(加糖)의 효과를 동시에 도모할 수도 있다.
제4공정의 가입으로서 보양 가당 처리한 영양 및 당액물질이 충분히 흡수되어 안정화 되도록 하며 이것을 개방솥에서 로스팅하므로서 제품의 풍미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오동잎과 꽃 또는 껍질을 잘 선별하여 수세(水洗)한다. 이때 잎사귀나 껍질은 엽록소가 잘 형성된 녹색부를 선별하므로써 제품의 기본 적성이 좋아 바람직하다. 선별 수세한 오동잎을 음지(陰地)에서 누긋 누긋할 정도로 잘 건조시킨 다음 절삭기로 1-5mm 두께로 절삭하였다. 절삭한 잎을 열풍건조기에 넣어 교반하면서 수분함량 10% 내외로 건조시켰다.
이때의 건조는 가급적 빠른 시간내에 수행하였다. 건조 시간은 투입 물량에 의해 다르게 할 수 있다. 건조 처리한 각 기간을 물 : 봉밀=1 : 1의 봉밀수용액에 약 5시간 정도 침지시켰다. 침지된 절삭잎을 가압틀에 넣어 숨을 죽인 다음 개방솥에 넣고 로스팅시켰다.
이때 수분함량이 7-10%이였다. 건조 로스팅된 제품을 5g, 10g, 50g, 100g 500g의 티백에 넣어 밀봉 히트씨링(Heat Sealing)하여 제품화하였다.
[실시예 2]
오동의 잎, 꽃 껍질을 각각 잘 선별 수세한 다음,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다류로 제품화하되 건조 처리한 원료에 봉밀수용액(물 : 봉밀=2 : 1부피비임)을 분무기에 넣어 분무처리하거나 이성화당수용액을 분무기에 넣어 분무 처리한 다음 잎 : 꽃: 줄기=1 : 1 : 1(부피비)로 혼합하여 5g, 10g, 50g, 100g, 500g 알루미늄팩 또는 투명 비닐봉지에 넣어 밀봉 씨링하여 제품화하였다.
이와같이 제품화한 오동차를 포트에 넣어 끓여 차의 적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 능 시 험 결 과
Figure kpo00002
(주) 1. 패널은 10명(여자5명 남자5명)이며 "+"로 표시함
2. 색택이 좋다고 답변한 3명은 황갈색에 가깝다고 의견을 제시함.
3. 향이 보통이다 라고 답변한 2명은 오동향이 난다고 의견을 제시함.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제까지 개발되지 않았던 식품 소재인 오동목의 잎, 꽃 또는 줄기의 엽차를 원료로서 개발하므로서 전통차(傳統茶)화 할 수 있으며 국민보건 향상은 물론 농촌의 산림경제를 윤택하게 할 수 있는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오동잎과 꽃 또는 껍질 뿌리를 집 즙을 내어 다려 액기스를 만들어 차로 복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선별 수세한 오동목의 잎, 꽃 또는 뿌리를 음지에서 건조하고 절삭한 다음 열풍으로 건조하여 당액물질에 침지 또는 분무시킨후 가압틀에 넣어 안정화 시키고 이것을 개방 솥에서 로스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원료의 절삭폭이 1-5mm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봉밀수용액이 물 : 봉밀=1 : 1-2 : 1(부피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30003092A 1983-07-07 1983-07-07 오동차(梧柯茶)의 제조방법 KR850000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3092A KR850000367B1 (ko) 1983-07-07 1983-07-07 오동차(梧柯茶)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3092A KR850000367B1 (ko) 1983-07-07 1983-07-07 오동차(梧柯茶)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922A KR850000922A (ko) 1985-03-14
KR850000367B1 true KR850000367B1 (ko) 1985-03-23

Family

ID=1922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092A KR850000367B1 (ko) 1983-07-07 1983-07-07 오동차(梧柯茶)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3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922A (ko) 198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64318A (zh) 鲜花酱及其制备方法
CN109170841A (zh) 一种食用菌即食脆片的制备方法
KR101135423B1 (ko) 훈제 옻오리 및 그 제조방법
CN104629990B (zh) 一种鲜花酒及其制备方法
DeLong How to dry foods: the most complete guide to drying foods at home
KR100878397B1 (ko) 곡물의 제조방법
Ward The encyclopedia of food
JP2007215534A (ja) 新しい抽出方法の発見
KR102130919B1 (ko) 기능성 연잎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02181B1 (ko) 미꾸라지 튀김이 들어있는 쌈의 제조방법
KR850000367B1 (ko) 오동차(梧柯茶)의 제조방법
CN108157842A (zh) 一种糯米海鸭蛋及其制备方法
Ward The Grocer's Encyclopedia...
KR20010018234A (ko)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 첨가 녹차와 그 제조 방법
KR100294387B1 (ko) 산나물무침의제조방법
KR20210131815A (ko) 분말 양념을 이용한 코다리찜 제조 방법
JP3814228B2 (ja) 保存性の改善された紫バジルの葉の製造方法
KR100453702B1 (ko) 청매실 또는 청살구를 이용한 과실김치의 제조방법 및 장기 저장방법
JP6981712B2 (ja) 柿果実処理方法
KR102441308B1 (ko) 신선도 및 보존성이 우수한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포장방법
KR102218728B1 (ko) 맨드라미 백김치의 제조방법
KR960011711B1 (ko) 자색 고구마의 색소추출 방법
CN105962216A (zh) 一种葫芦茶防暑清热酸菜丝及其制备方法
JP2000333598A (ja) 食品の鮮度保持剤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の鮮度保持方法
KR100532134B1 (ko) 대나무 통을 이용한 약(藥)돈육 조리방법 및 약(藥)돈육통조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1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