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3209A - 제로압력 컨베이어와 브레이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제로압력 컨베이어와 브레이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3209A
KR840003209A KR1019830000316A KR830000316A KR840003209A KR 840003209 A KR840003209 A KR 840003209A KR 1019830000316 A KR1019830000316 A KR 1019830000316A KR 830000316 A KR830000316 A KR 830000316A KR 840003209 A KR840003209 A KR 840003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tube
assembly
brake assembly
drive
clamp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936B1 (ko
Inventor
알. 반 데어 쉬 돈
Original Assignee
티. 알. 엠브컬
에르만코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 알. 엠브컬, 에르만코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티. 알. 엠브컬
Publication of KR840003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75Bra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61Accumulating articles
    • B65G47/263Accumulating articles the conveyor drive is taken from a longitudinally extending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로압력 컨베이어와 브레이크 어셈블리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작동되는 라이브로울러 컨베이어의 부품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로울러 컨베이어에서 단합구동으로 작동하는 트리거 어셈블리의 선택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네개의 부분으로 된 단합구동방식의 컨베이어를 제어하기 위한 선택된 공기압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Claims (28)

  1.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원기둥형상의 구동축과 원통형의 토크투브가 포함되고
    상기한 토크튜브의 외형도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한 구동축은 토크튜브내로 연장되고, 구동축의 직경은 토크튜브의 내경보다 약간 작아서 구동축과 토크튜브사이에는 마찰이 작용될 수 있어서 구동축이 회전되면 토크튜브도 회전하게 되는데 다만 구동축의 회전을 제한할때에는 약간의 미끄럼이 일어난다. 그리고 토크튜브의 외주면에는 클램핑표면이 감싸여 있고, 상기한 클램핑표면은 제1위치와 제2위치사이에서 운동하게 되는데 상기한 제1위치는 구동축이 토크튜브를 구동시킬때 클램핑표면이 토크튜브와 접하여 운동되는 위치를 의미하고, 제2위치는구동축으로부터 받는 토크튜브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토크튜브의 외주면에 클램핑표면을 접촉시키게 되는 위치를 의미하는 바 상술한 내용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토크튜브가 유기물질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토크튜브의 재료인 유기물질이 나일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축을 경질금속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브레이크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축을 경질금속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토크튜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감싸는 원통형 상의 슬리이브가 고체이고, 상기한 클램핑표면이 제1위치와 제2위치사이에서 움직일때 상기한 슬리이브수단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7. 제6항에있어서, 상기한 슬리이브수단이 금속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클램핑수단에는 적어도 한쌍의 클램핑표면과 피봇수단이 포함되고, 상기한 피봇수단은 한쌍의 클램핑표면을 제1위치와 제2위치사이에서의 피봇작동시키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토크튜브는 나일론으로 되고 구동축은 경질금속이며, 원통형 금속으로 된 슬리이브는 토크튜브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한 클램핑 표면이 제1위치와 제2위치사이에서 움직일때 슬리이브외주면에 접촉되 움직이고 상기한 클램핑수단에는 적어도 한쌍의 클램핑 표면과 피봇수단이 공급되고, 상기한 피붓수단은 제1위치와 제2위치사이에서 피봇작동되기 위하여 상기한 한쌍의 클램핑표면에 결힙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폴리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토크튜브의 외주면상에 결합되고 토크튜브의 축상에서 운동하며 토크튜브의 외주면상에 마찰결합되어 클램핑표면 수단이 상기한 제2위치에서 운동할때 상기한 토크튜브의 외주면에서 미끄럼이 일어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토크튜브가 회전할때 항상같이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토크튜브와 상기한 폴리가 유기물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풀리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토크튜브의 외주면상에 결합되고 토크튜브의 축상에서 운동하여 토크튜브의 외주면상에 마찰결합되어 클램핑표면수단이 상기한 제2위치에서 운동할때 상기한 토크튜브의 외주면에서 미끄럼이 일어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토크튜브가 회전할때 항상같이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플리가 유기물질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적하물을 운송하고 지탱하기 위해 다수의 라이브로울러를 공급하고 토큐튜브와 상기한 라이브로울러에는 다수의 무한궤도 탄성밸트를 걸어 토크튜브가 구동축에 의해 회전동력을 받을때 상기한 라이브로울러도 함께 구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조합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라이브로울러상에서 운송되는 적하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트리거어셈블러와 상기한 제1위치와 제2위치사이에서 클램핑표면을 운동시키기 위하여 트리거어셈블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공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조합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켄베이어는 로울러평면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몇개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에는 상기한 트리거 어셈블리와 상기한 브레이크 어셈블리가 공급되고 다수의 토크튜브가 제공되어 상기한 각 구역에는 토크튜브들은 각기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조합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로울러를 단합구동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트리거 어셈블리가 제어수단과, 클램핑표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조합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로울러를부분, 구동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트리거 어셈블리가 제어수단과 클램핑표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조합품.
  19. 제9항에 있어서, 적하물을 운송하고 지탱하기 위해 다수의 라이브로울러를 공급하고 토크튜브와 상기한 라이브로울러에는 다수의 무한궤도 탄성벨트를 걸어 토크튜브가 구동축에 의해 회전동력을 받을때 상기한 라이브로울러도 함께 구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조합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라이브로울러상에서 운송되는 적하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트리거 어셈블리와 상기한 제1위치와 제2위치에서 클램핑표면을 운동시키기 위하여 트리거 어셈블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공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조합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한 켄베이어는 로울러평면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몇개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에는 상기한 트리거 어셈블리와 상기한 브레이크 어셈블리가 공급되고 다수의 토크튜브가 제공되어 상기한 각 구역에서 토크튜브들은 각기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조합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로울러를 단합구동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트리거 어셈블리가 제어수단과 클램핑표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조합품.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로울러를 부분 구동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트리거 어셈블리가 제어수단과 클램핑표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조합품.
  24. 제10항에 있어서, 작하물을 운송하고 지탱하기 위해 다수의 라이브로울러를 공급하고 토크튜브와 상기한 라이브로울러에는 다수의 무한궤도 탄성벨트를 걸어 토크튜브가 구동축에 의해 회전동력을 받을때 상기한 라이브로울러도 함께 구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조합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한 라이브로울러상에서 운송되는 적하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트리거어셈블리와 상기한 제1위치와 제2위치에서 클맹핑표면을 운동시키기 위하여 트리거 어셈블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공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조합품.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한 켄베이어는 로울러평면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몇개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에는 상기한 트리거 어셈블리와 상기한 브레이크 어셈블리가 공급되고 다수의 토크튜브가 제공되어 상기한 각 구역에서 토크튜브들은 각기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조합품.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로울러를 단합 구동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트리거 어셈블리가 제어수단과 클램핑 표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조합품.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로울러를 부분 구동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트리거 어셈블리가 제어수단과 클램핑표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조합품.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30000316A 1982-01-27 1983-01-27 축적 컨베이어용 브레이크 어샘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KR930000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322282A 1982-01-27 1982-01-27
US343222 1982-01-27
US343,222 1982-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209A true KR840003209A (ko) 1984-08-20
KR930000936B1 KR930000936B1 (ko) 1993-02-11

Family

ID=2334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316A KR930000936B1 (ko) 1982-01-27 1983-01-27 축적 컨베이어용 브레이크 어샘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2) JPS58137629A (ko)
KR (1) KR930000936B1 (ko)
AU (1) AU557275B2 (ko)
CA (1) CA1201677A (ko)
DE (1) DE3237599A1 (ko)
GB (1) GB2114084B (ko)
MX (1) MX1585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3321T1 (de) * 1985-08-01 1989-06-15 Conveyor Units Ltd Foerderer mit antriebsrollen.
GB9026520D0 (en) * 1990-12-05 1991-01-23 Conveyor Mfg Co Ltd Braking system for live roller conveyor
DE10210402A1 (de) * 2002-03-08 2003-10-02 Abus Kransysteme Gmbh & Co Kg Laufrad für Fahrwerke von Hebezeugen
CN110203627A (zh) * 2019-07-20 2019-09-06 湖南信芯电子技术有限公司 吸塑盘排版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6389B1 (ko) * 1969-03-03 1974-09-30
US3696912A (en) * 1969-05-05 1972-10-10 Fred J Fleischauer Brake for roller conveyors
US3650375A (en) * 1969-05-05 1972-03-21 Ermanco Inc Drive for roller conveyors
JPS4936389U (ko) * 1972-07-03 1974-03-30
US3840110A (en) * 1972-07-24 1974-10-08 Ermanco Inc Conveyor apparatus
JPS5439331B2 (ko) * 1972-09-09 1979-11-27
JPS4946061A (ko) * 1972-09-12 1974-05-02
JPS5418781U (ko) * 1977-07-08 1979-02-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137629A (ja) 1983-08-16
AU557275B2 (en) 1986-12-18
DE3237599C2 (ko) 1993-08-05
AU8785282A (en) 1983-08-04
MX158571A (es) 1989-02-15
GB2114084B (en) 1985-08-29
KR930000936B1 (ko) 1993-02-11
JPH0747366Y2 (ja) 1995-11-01
DE3237599A1 (de) 1983-08-04
CA1201677A (en) 1986-03-11
GB2114084A (en) 1983-08-17
JPH07932U (ja) 199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318987D1 (de) Federkupplungseinheit mit reduzierten radialen lagerkräften
KR20030066364A (ko) 롤러 컨베이어
ATE194321T1 (de) Förderrolle
MY106357A (en) Drive system roller apparatus.
KR850001115A (ko) 시트재 운반장치
ATE138880T1 (de) Hochgeschwindigkeitsrollenbau
KR840003209A (ko) 제로압력 컨베이어와 브레이크 어셈블리
US4401208A (en) Accumulating conveyor system
KR920701031A (ko) 휴대용 윈치
US5244435A (en) Reversing axes belt steering pulley
IL43728A (en) Driving pulley mechanism
KR920008652Y1 (ko) 롤러 컨베이어 장치
ES248113Y (es) Rodillo de friccion para transportador de rodillos arrastra-dos
JPH0253654B2 (ko)
JP3226054B2 (ja) フリーフローコンベア
AU4597299A (en) Tapered roller screw apparatus and its driven device
US6328195B1 (en) Devices for driving a guide roller
SU663643A1 (ru) Приводной ролик
ES242415Y (es)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para persinas de arrollar.
US3620091A (en) Power amplifier
US6355136B1 (en) Ball screw tire tread guide
SU171249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центрировани лент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SU90688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центрировани движущегос полотна
SU977317A1 (ru) Ролик конвейера
CA2019885A1 (en) Material handling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