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936B1 - 축적 컨베이어용 브레이크 어샘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축적 컨베이어용 브레이크 어샘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936B1
KR930000936B1 KR1019830000316A KR830000316A KR930000936B1 KR 930000936 B1 KR930000936 B1 KR 930000936B1 KR 1019830000316 A KR1019830000316 A KR 1019830000316A KR 830000316 A KR830000316 A KR 830000316A KR 930000936 B1 KR930000936 B1 KR 930000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tube
section
roller
drive shaf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209A (ko
Inventor
알. 반 데이 쉬 돈
Original Assignee
에르만코 인코오포레이티드
레온 씨. 커쉬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만코 인코오포레이티드, 레온 씨. 커쉬너 filed Critical 에르만코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40003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75Bra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61Accumulating articles
    • B65G47/263Accumulating articles the conveyor drive is taken from a longitudinally extending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축적 컨베이어용 브레이크 어샘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작동되는 라이브 로울러 축적 컨베이어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을 따라 절단한 구성요소를 절결하여 도시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을 따라 절단한 일부분을 절결하여 도시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축적 컨베이어의 구동축, 피구동축 및 풀리의 하나의 구간을 완전히 도시하고, 2개의 구간을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일부 절결 평면도.
제5도는 제2도의 5-5선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 절결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서의 6-6선을 따라 절단한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부분 절결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 컨베이어의 집단 모우드에 사용되는 트리거 어셈블리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2도의 7-7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절결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8-8선을 따라 절단한 트리거 어셈블리의 일부 절결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 컨베이어의 단일 모우드에 사용되는 트리거 어셈블리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 절결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10-10선을 따라 절단한 트리거 어셈블리의 측면도.
제11도는 집단 모우드에서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4개의 축적 구간용의 바람직한 공압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12도는 집단 모우드용의 제11도에 도시한 제어요소의 위치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13-13선을 따라 절단한 컨베이어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14도는 단일 모우드에서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컨베이어의 4개의 축적 구간용의 바람직한 공압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15도는 단일 모우드용의 제14도에 도시한 제어요소의 위치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16-16선을 따라 절단한 컨베이어의 부분 단면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컨베이어(라이브)로울러 18 : 브레이크 어셈블리
24 : 토크 튜브 38 : 공기 실린더
42 : 피스톤 로드 64 : 캠 로울러
82 : 공기 밸브 어셈블리
본 발명은 소정 통로를 따라 물품을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이브 로울러 컨베이어(live roller Conveyor)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력이 없는(이하 제로 압력이라고 함) 축적 컨베이어와 이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brake assemb lies)에 관한 것이다.
라이브 로울러 컨베이어, 특히 축적(accumulation) 컨베이어는 당업계에서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축적 컨베이어는 컨베이어에 의해 운송되고 있는 물품을 축적 수용하기 위해 컨베이어 로울러가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정지되도록 컨베이어 로울러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장치를 사용하고 있었다. 물품을 집적하는 위치로 운송하기 위해 로울러를 회전시키고, 하나이상의 물품이 직접 위치에 도달하면, 물품을 축적하기 위해 로울러는 정지된다.
그러나 장치의 하나가 미합중국 특허 제3,650,37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각각 로울러 아래의 풀리에 감겨진 O-자형 탄성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라이브 로울러가 기재되어 있다. 풀리는 피구동축을 따라 축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물품이 로울러에 의해 운송될때, 풀리는 피구동축을 따라 축선 방향으로 이동되고, 피구동축에 마찰 결합하여 풀리를 구동축과 함께 회전시키며, 그것에 의해 로울러를 O-자형 벨트를 통해서 구동시킨다. 물품이 컨베이어상의 소망의 위치에 도달하면, 물품이 컨베이어의 배출구에 접촉하든지, 이 물품이 선행하는 물품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물품의 이동은 정지된다. 물품이 선행하는 물품과 접촉하면, 정지한 물품의 아래에 있는 로울러는 그 위에 놓인 물품의 중량에 의해 원통면에 마찰력을 받아서, 피구동축과의 마찰결합에 의해서는 더이상 피구동축과 같이 풀리가 회전할 수 없는 위치까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풀리가 피구동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풀리가 피구동축에 대해 미끄러지게 되어 O-자형 벨트를 통해 라이브 로울러에 구동력을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구조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 구조에서 물품을 정지시키는 것은, 물품이 컨베이어의 배출구나 물품 사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므로, 물품이 대단이 정교한 경우, 예를들면, 손상을 받지 않도록 대단히 세심하게 취급해야 하는 전자부품의 경우에는, 부품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물품이 배출구나 기타의 물품에 전혀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그러한 장치는 물품이 그 축적장소에 도달한때, 구동 시스템의 여러 요소가 상대적으로 미끄러져서 접촉한 상태로된다. 따라서, 그들 요소가 쉽게 파손할 가능성이 있게되므로 요소를 빈번하게 교체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그와 같이 미끄러지는 풀리 또는 기타의 것과 조합시켜서 피구동축의 회전을 확실하게 제어하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장치가 개발되었다. 클러치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그러한 장치의 하나가 몰트 등에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3,840,110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몇개의 비교적 복잡한 구조의 클러치 장치가 기재되어 있고, 이 클러치 장치는 피구동축과 풀리를 구동축에 접속하여 물품을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피구동축과, 풀리와, O-자형 벨트와 컨베이어 로울러를 구동시키지만, 물품이 소망의 축적장소에 도달하면 그것을 감지하는 적당한 트리거 어셈블리의 작동에 의하여 피구동축을 확실하게 접촉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용을 행한다. 상기 클러치 장치는 운송중의 물품간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마찰열의 발생과 구동부품들간의 마모도 최소로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매우 구조가 복잡하여 다수의 수리부품을 준비할 필요가 있고, 조립과 보수를 한층 어렵게 할 뿐더러, 따라서 비교적 복잡한 장치가 된다.
브레이크 어셈블리가 이와 같은 켄베이어의 구동 및 피구동축과 결합되어 이때까지 사용되어왔다. 그러한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하나가 예를들어 플라이쇼어 등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696,912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물품이 소망의 축적장소에 도달하며, 그것을 감지하는 적당한 트리거 어셈블리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트리거 어셈블리는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접속된 케이블이나 체인으로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브레이크가 피구동축의 키이와 결합되어 피구동축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기계적인 키이 브레이크 장치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비교적 빈번하게 보수 및 조정을 필요로 하고 키이를 고정하는 작용에 의해 부품과 물품을 자주 조정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로압력 축적 컨베이어와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상술한 종래구조의 여러가지 결점들을 극복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제로 압력 축적 컨베이어와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의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부품들간에 발생하는 마찰열과 마모를 최소한으로 줄여 자주 유지 보수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감소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제로압력 축적 컨베이어와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의하면, 물품을 손상시키지 않고 물품을 신속하게 감속하기 위해 컨베이어의 구동부품에 확실하고 신속한 제동작용이 부여되고, 한편 구동부품들 사이에 미끄럼 마찰의 크게 일어나도 상기한 잇점들은 계속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조된 제로압력 축적 컨베이어와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전하며 정숙 운전을 실행할 수 있어, 컨베이어를 보수하고 조립하는 시간이 줄어지고, 또 많은 예비 부품을 준비해야 하는 필요성도 또한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거의 원통형인 표면을 가지는 회전가능한 구동축과 토크튜브로 이루어진다. 토크튜브도 또한 거의 원통형인 외부표면을 가지며, 구동축은 토크 튜브내에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다. 구동축의 원통형 표면의 직경은 토크튜브의 내경보다 약간 작아서, 구동축이 회전하면 토크튜브를 회전시키기 위해마찰 결합할 수 있지만, 그러나 토크튜브의 회전이 제한되는 때는 토크튜브에 대해 미끄러지게 된다.
클램핑면은, 토크튜브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여, 토크튜브의 외면으로부터 클램핑면이 떨어져서 구동축이 토크튜브를 회전시키는 제1위치와, 클램핑면이 토크튜브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이동되어 토크튜브가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2위치의 사이에서 토크튜브의 외면에 대해 이동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토크튜브는 유기 중합체인 나일론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동축은 경질금속인 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풀리가 토크튜브의 외면 위에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토크튜브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기 위해 토크튜브의 외면과 마찰 결합한다. 하지만, 클램핑면이 제2위치로 이동하면 풀리는 토크튜브의 외면에 대해 미끄럼 회전 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하나의 평면에 따라 물품을 운송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라이브 로울러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한 라이브 로울러와 토크튜브에는 다수의 무단 탄성벨트가 결합되어 토크튜브가 구동축에 의해 회전될때 로울러를 함께 구동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또한, 로울러에 의해 운송되는 물품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트리거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제어수단은 트리거 어세블리에 반응하여,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클램핑면을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트리거 어셈블리, 클램핑면, 토크튜브 등은 로울러를 단일 모우드나 집단 모우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특히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 로울러 제로압력 축적 컨베이어의 하나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대체로 컨베이어는 한쌍의 서로 떨어진 평행한 측부의 홈형 부재(10,12)를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 홈형부배는 개별적으로는 동력을 받는 복수의 횡방향 로울러(라이브 로울러)(1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각 로울러(14)의 상면은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고, 운송되는 물품은 이 통로를 따라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의 제로압력 축적 컨베이어의 구성 요소로는, 일반적으로, 컨베이어상의 소정의 장소에 물품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감시하는 트리거 어셈블리(16)와, 로울러(14)의 이동을 억제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18)와, 로울러(14)를 구동하기 위해 동력을 주는 구동기구(20)가 포함된다.
먼저 구동기구(20)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기구(20)는 일반적으로 컨베이어의 전 길이에 걸쳐 연속해서 뻗는 원통형이 직선축 즉 구동축(22)을 포함하고 있다. 구동축(22)은 냉간 압연강과 같은 경질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복수의 독립된 토크튜브(24)가 구동축(22)상에 동심으로 위치되어,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구간(a-b)에 각각 하나의 토크튜브(24a,24b,24c)가 설치되어 있다. 토크튜브(24)는 각각 유기중합체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유기중합체는 나일론이다. 적당한 나일론은, 예를들면, 나일론 6/6 LNP RL-4540이지만,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한다면, 당업자가 기타의 나일론이나 기타의 유기중합체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토크튜브은, 구동축(22)이 회전될때, 각 구동축의 원통면이 토크튜브 (24)의 내면과 마찰 결합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토크튜브(24)를 구동하도록 선택된다.
토크튜브(24a-24c)는 각각 서로 독립해서 회전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컨베이어 구간의 경계에 토크튜브(24)의 단부가 위치하도록 토크튜브를 제조하게 되며, 각 구간(a-c)의 경계의 토크튜브의 단부는 적당한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부착된 적당한 베어링(26) 뒤에 지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크튜브(24a-24c)의 각각에 미끄럼 가능한 풀리(28)가 설치되어 있다. 풀리(28)는 각각의 토크튜브(24)를 따라 전후로 축선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하나의 위치에 있으면 각각의 토크튜브와 함께 결합하여 토크튜브를 회전시키며, 이 축선방향 위치로부터 이동하면 토브튜브에 대해 미끄러져서 토크튜브와 함께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와 같은 작용이 미국 특허 제3,650,375호에 더욱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다. 풀리(28)도 또한 아세탈 수지와 같은 유기중합체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세탈수지의 바람직한 예는 덴린(Delrin)이다.
탄성중합체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 탄성벨트(30)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리(28)의 각각과 컨베이어의 각각의 로울러(14)에 형성된 원주홈 (31)의 둘레에 감겨져 있다. 벨트(30)는 각각 단면이 O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토크튜브(24)상에 복수의 풀리(28)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 풀리 대신에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각 토크튜브에 일체로 형성된 요면을 사용하여 대신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풀리(28)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떨어진 칼라(32)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이들 칼라(32)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토크튜브(24)의 외면에 고정되어 풀리(28)의 축선방향 운동을 제한하고, 또 인접한 풀리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구동기구(20)에 관한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탄성 구동벨트(30)과 로울러(14), 탄성벨트(30)과 풀리(28), 풀리(28)과 토크튜브(24a-24c)의 외면, 토크튜브(24a-24c)의 내면과 구동축(22)의 표면이 각각 서로 마찰 결합하고 있으므로 서로 결합되어 회전할 것이나,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구성요소의 일정부분의 어떤 억제 조건하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5도와 제6도에는 브레이크 어셈블리(18)가 상세하게 도시되었다. 브레이크 어셈블리(18)는 L-자 형상의 브래킷(34)을 포함하고, 이 브래킷의 수직의 다리부는 T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측부의 홈형부재(12)의 하나에 볼트(36)로 고정되어 있다. 트리거 어셈블리(16)의 하나로 부터 도관(40)을 통하여 공기를 받는 공기실린더 (38)가 브래킷(34)의 수평의 다리부에 결합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42)가 제5도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38)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다.
또한 블래킷(34)의 수평부는, 한쌍의 하방으로 뻗은 플랜지(44)를 포함하며, 그 사이에 본 발명의 클램핑 수단이 설치되고 있다. 클램핑 부재(46)은 유기중합체 또는 기타의 적당한 재료로 만들 수 있는 한쌍의 슈우(shoe)(48,50)를 구비한다. 상기 슈우(48,50)들은 가급적 강인한 나일론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슈우(48,50)은 한쪽면에서 피봇핀(52)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슈우(48,50)는 각각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형의 클램핑면(54)을 가지는 반 원통형의 부분을 포함하고, 이 부분은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클램핑 개소의 각각의 개소에 위치된 원통형 슬리브와 접촉하거나 그것으로부터 떨어져서 피봇핀(52)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하도록 하고 있다. 원통형 슬리브(56)은 토크튜브(24)에 부착되며,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 슬리브(56)는, 예를 들면, 록타이트(LOCTITE) 707활성화제에 의해 활성화된 록타이트(LOCTITE) 326 접착제와 같은 적당한 접착제에 의해 토크튜브에 적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통형 슬리브(56)는 항상 토크튜브(24)와 함께 회전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슈우(48,50)는 각각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피봇핀 (52)과는 반대 방향으로 뻗어있는 아암(58,60)을 포함하고 있다. 하방의 슈우(50)의 아암(60)의 단부는 하방으로 뻗어 있는 플랜지(44)의 저부 부근에서 플랜지 사이에 핀(62)에 의해 피봇 고정되고, 상방의 슈우(48)의 아암(58)은 피스톤 로드(42)에 고정되어 피스톤 로드에 의해 플랜지(44)를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러므로, 트리거 어셈블리(16)로부터의 도관(40)내의 공기의 유무에 따라서 상방의 슈우(48)는 피스톤 로드(42)에 의하여 제1위치나 제2위치로 피봇 운동된다. 상기 제1위치는 클램핑면(54)이 슬리브(56)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슬리브(56)과 토크튜브(24)가 구동축(22)에 의하여 회전되는 위치이며, 제2위치는 클램핑면(54)가 슬리브(56)과 토크튜브(24)가 구동축(22)에 의하여 회전되는 위치이며, 제2위치는 클램핑면(54)가 슬리브(56)와 결합하여 구동축에 의한 슬리브의 회전을 억제하는 위치이다.
이제부터는 트리거 어셈브리(16)에 대해서 제7도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들 도면에는 트리거 어셈블리가 컨베이어의 작동에 있어서 집단 모우드로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7도와 제8도에 도시된 트리거 어셈블리는 각각 측부 홈형부재(10,12)의 부근에 수평으로 배치된 E-자형 캠(64)을 포함하고 있다. 캠(64)는 차례로 길이가 짧은 상방으로 뻗어있는 3개의 다리부(66,68,70)을 포함하고 있다. 가장 긴 다리부(66)는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캠 로울러(72)를 포함하고 있는데, 캠 로울러(72)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의 양측에서 다리부(66)의 상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물품이 로울러(72)상에 없는 경우, 캠 로울러의 상면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울러(14) 상부의 평면 보다 약간 상방으로 뻗어있지만, 운송되는 물품이 로울러 (72)상에 위치되면, 이 물품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진다. 캠 로울러(72)는 로울러(14)의 상면의 상방으로 약 9.5㎜(3/8인치) 정도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자형 캠(64)의 중간의 다리부(68)는 캠의 피봇 설치부이다. 로드(74)가 컨베이어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고,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 홈형부재(10,12)에 설치되어 캠(64)을 측부 홈형부재에 피봇 고정하고 있고, 캠(64), 특히 로울러(72)를 제8도에 도시된 위치와 또 로울러(72)의 상면이 로울러(14)의 상면과 같은 평면으로 되는 낮은 위치 사이에 피봇 운동시키고 있다.
트리거 어셈블리(16)의 가장 짧은 다리부(70)는 로드나 튜브 형상의 평형추 (76)를 포함하고, 이 추도 또한 컨베이어를 가로질러 뻗으며, 컨베이어 지지대 양쪽에서 캠(64)의 다리부(70)와 접속하고 있다. 평형주(76)의 중량과 캠의 피봇로드(74)로부터의 추가 떨어진 거리는 다른힘이 없는 경우에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울러 (72)가 상방위치로 치우치는 정도로 하고 있다.
피봇로드(74)와 캠 로울러(72)와 컨베이어 로울러(14)의 회전축은 상호소정의 관계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봇로드(74)의 축은 로울러(14)의 축선(y)이 형성하는 평면에 있든지 그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캠 로울러(72)의 회전축은 로울러(72)가 최상위치에 있을때 로울러(14)의 상면의 평면 보다 하방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위치되고 E자형 캠(64)이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트리거 어셈블리가 물품의 흐름방향에 관계없이 컨베이어 위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배치와 형상에 의해, 예를 들어, 만약 이미 축적된 물품중 어느 것을 손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에, 물품이 컨베이어상의 어느쪽 방향으로든지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E-자형 캠(64)의 형상에 의해 트리거 어셈블리를 컨베이어에 부착하기 위해서 어떠한 라이브 로울러(14)도 제거할 필요는 없게된다.
이것은 운송되는 물품이 운송통로의 방향에 있어서 길이가 짧은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트리거 어셈블리는 볼트(80)에 의해 측부 홈형부재(12)에 지지된 L-자형 브레킷(78)도 포함하고 있다. 브래킷(78)과 트리거 어셈블리의 작동부품은 브레이크 어셈블리(18)가 설치되어 있는 측부 홈형부재(10) 보다는 측부 홈형부재(12)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트리거 어셈블리와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모두 같은 측부 홈형부재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조립과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들 두개의 어셈블리를 별개의 측부 홈형부재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자형 브래킷(78)도 또한 수평의 다리부를 포함하고, 이 다리부에는 공압식 공기밸브 어셈블리(82)와 조절가능한 조정기구(84)이 지지되어 있다.
공압식 공기밸브 어셈블리(82)는 두개의 도관(40,90)가 접속되어 있는 T-자형 연결기구(88)를 가지는 밸브몸체(86)를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관(4 0)은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공기실린더(38)에 접속되어 있다. 도관(90)은 제7도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86)의 저면에 접속되어 있지만, 이 밸브몸체는 컨베이어의 상류측에 인접한 트리거 어셈블리의 밸브 몸체이다. 제7도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의 저부에 접속된 도관(90)은 다음의 하류쪽의 트리거 어셈블리의 T-자형 연결기구로부터 혹은 제11도에 도시된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뻗으며 T-자형 연결기구(88)의 좌측까지 수평으로 뻗어있는 도관(90)은 다음의 상류쪽의 트리거 어셈블리에 연결된다.
브래킷(78)의 수평 다리부(94)상의 지점에는 캠 종동부 아암(96)과 로울러 (98)가 피봇 결합되어 있다. 플런저 로드(100)은 제7도와 제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86)내의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밸브몸체(86)내로 연쟝한다. 플런저 로드 (100)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64)의 하측에 캠 로울러(98)를 압접시키기 위해 상측으로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정기구(84)는 볼트(10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볼트는 브래킷 (78)의 수평방향 다리부를 통하여 상방으로 나사 결합되어 캠(64)이 피봇 운동용의 조절가능한 조정기구로서 작용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02)는 캠(64)의 하측에 접촉하여 캠 로울러(72)가 상술한 바와 같이 로울러(14)의 상부평면 위의 상방으로 소망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조절된다. 볼트(102)가 소정의 조절위치로 이동되면, 로크너트(104)에 의해 그 위치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7도와 제8도에 도시된 트리거 어셈블리(16)은 컨베이어의 작동에 있어서 집단 모우드용을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이다. 제9도와 제10도에는 컨베이어의 작동에 있어서 단일 모우드용으로 사용되는 트리거 어셈블리(16')가 도시되어 있다. 단일 모우드인 경우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이미 설명된 제7도와 제8도에 도시된 집단 모우드인 경우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여러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 트리거 어셈블리(16')의 구성 요소에서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16)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였고, 어느면에서 집단모우드용과 상이한 구성요소에는 첨자 「'」를 첨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집단 모우드용과 단일 모우드용의 트리거 어셈블리(16,16')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트리거 어셈블리(16')에서는 공기도관의 접속이 다른것과, 추가의 파일롯(pilot)밸브 어셈블리(106)가 단일 모우드용 트리거 어셈블리에 설치된 점이다.
단일 모우드용 트리거 어셈블리(16')의 밸브몸체(86')는 하방으로 뻗어있는 T자형 연결기구(88')를 포함하고, 이 통로는 인접한 컨베이어의 구간에서 트리거 어셈블리(16')의 밸브몸체(86')를 서로 접속하는 한쌍의 도관(108)을 가지고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의 도관(110)이 밸브몸체(86')로부터 각 파이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파일롯 작동자(114) 위의 T자형 연결기구(112)에까지 뻗어있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연결기구(112)로부터 뻗어있는 다른쪽의 도관(116)은 연결기구(112)로부터의 공기를 제1도, 10도 및 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하류쪽 트리거 어셈블리(16')의 파일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밸브몸체 (118)의 저부로 보낸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브레이크 어셈블리와 제로압력 축적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계적 구성요소가 설명되었으며, 집단 모우드와 단일 모우드의 컨베이어의 작동과 그 제어회로와의 작용을 이하에 설명한다.
집단 모우드는 주로 제11도 내지 제13도를 참조로 하여 트리거 어셈블리(16)의 작용에 대해 설명되며 제7도와 제8도이 내용과 관련하여도 다소 설명한다. 브레이크 어셈블리(18)와 구동기구(20)은 집단 모우드와 단일 모우드에 있어서 동일하다.
집단 모우드의 연속적인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이 모우드에서의 일반적 작동이, 컨베이어로부터 하나의 물품이 제거될때마다 그 상류쪽에 이는 물품이 전부 동시에 하나의 위치씩 전진하다고 하는 것을 서술해둔다.
제11도 내지 제13도에 있어서, 하나의 물품(A)이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a-d)의 각각에 위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즉, 물품(Aa)이 구간(a)에서 트리거 어셈블리 (16)의 캠 로울러(72) 위에 위치되고, 물품(Ab)이 구간(b)에서 트리거 어셈블리(16)의 캠 로울러(72) 위에 위치되는 등등이다.
이들 캠 로울러(72)들이 물품(A)에 의해 눌려지면, 각 밸브몸체(86)의 캠 종동부 아암(96)도 눌려지고, 그러면 제7도와 제8도에 도시하는 밸브몸체(86)의 밸브가 열려 공기는 제11도에 도시한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도관(90)을 통하여 구간(a)에서의 밸브몸체(86)에 공급되고, 이어서 이 밸브몸체를 통해 T자형 연결기구(88)와 도관(40)에 공급되고, 이어서 이들 도관을 통해서 구간(a)에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공기실린더(38)에 공급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공기실인더(38)가 작동하여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42)를 하방으로 작동시켜 슈우(48,50)의 클램핑면 (54)으로 구간(a)에서 토크튜브(24z)와 슬리브(56)을 고정하게 억제하고, 따라서 토크튜브(24a)의 회전을 억제하여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구동축(22)에 걸리는 구동력을 컨베이어 로울러(14)로 부터 차단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기는 또 구간(a)에서 T-자형 연결기구(88)로 부터 도관 (90)을 통해서 구간(b)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밸브몸체(86)로 공급된다. 캠 종동부 아암(96)도 캠 로울러(72)상에 위치하고 있는 물품(Ab)에 의해서 눌려지므로, 구간(b)의 밸브몸체(86)의 밸브도 열려져서 공기를 T-자형 연결기구로 공급하고, 구간 (B)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를 작동하여 이 구간에서의 로울러(14)에 동력을 공급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공기는 도관(90)을 지나 구간(c)의 다음의 상류쪽 밸브몸체 (86)에 공급된다. 따라서 각 구간에서의 밸브몸체(86)의 모든 밸브가 열려져 각 구간에 있는 브레이크 어셈블리(18)에 공기가 공급되어 로울러(14)를 완전히 정지시키고, 축적될 물품(Aa-Ad)이 전부 축적된다.
물품(Aa)이 컨베이어의 배출구에서 제거되면, 제8도에 도시된 평형추(76)에 의해 부여된 힘에 의해 구간(a)의 트리거 어셈블리(16)와 로울러(72)가 상승한다. 로울러(72)가 올라가게 되면, 구간(a)의 캠 종동부 아암(86)도 올라가고, 제7도와 제8도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100)는 스프링 힘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구간(a)의 밸브몸체(86)의 밸브를 닫는다. 밸브가 닫히면, 모든 밸브몸체(86)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전 시스템에의 공기공급이 중단된다. 따라서 구간(a)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공기실린더(38)에 접속한 도관(40)에는 공기가 더이상 공급되지 않고,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42)가 상승하여 슈우(48,50)를 서로 떨어지도록 피봇 이송시켜 슬리브(54)와의 접촉이 분리된다. 이렇게 되면, 슬리브(54)는 이제 더이상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의하여 억제되지 않으며, 연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구동축(22)의 구동작용이 토크튜브(24a)내의 내부에 작용하여 토크튜브를 구간(a)의 풀리, O-형 벨트 및 컨베이어 로울러(14)와 함께 회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간(a)의 밸브몸체(86)로의 공기공급이 중단되면, 더이상공기는 이 밸브몸체의 T자형 연결기구(88)과 도관 (90)를 통해서 구간(b)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다음의 상류쪽 밸브몸체로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캠 종동부 아암(96)이 구간(b)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다음의 상류쪽 밸브몸체로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캠 종동부 아암(96)이 구간(b)의 물품(Ab)에 의해 계속 눌려지고 있어도, 구간(a)의 밸브몸체(86)의 밸브가 닫혀 있으므로 도관(40)에는 공기가 없다. 이와 같이 공기가 구간(b)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공기실린더(38)은 피스톤 로드(42)를 구간(b)의 피스톤 로드(42)와 마찬가지로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구간(b)의 토크튜브(24b)에 대한 억제력을 해제한다. 따라서, 이러한 집단 모우드에서는 각각의 트리거 어셈블리가 서로 효과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구간(a)의 밸브몸체(86)에 있어서 공기가 차단되면 전체 시스템에서도 공기공급이 찬단되는 것이 명백하다. 공기공급이 차단되면 모든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동력을 잃게 되고, 선두로 되는 물품(Ab)이 구간(a)에 들어가고 구간(a)에서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로울러(72)에 접촉할때까지 모든 물품 (Ab-Ad)을 동시에 전진시킨다.
물품(Ab)이 구간(a)에서 로울러(72)에 접촉하면, 이 구간의 밸브몸체(86)의 밸브가 다시 열려져 공기를 T자형 연결기구(88)를 통해 도관(40)과 실린더(38)로 보내고 구간(a)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을 작동시키고, 또, 이러한 공기가 도관(90)을 통해 구간(b)의 밸브몸체(86)에 공급된다. 만일 물품(Ac)이 아직 구간(b)의 캠 로울러(72)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구간(b)의 밸브몸체(86)의 밸브는 계속 닫혀져 있게 되어, 구간(b)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은 동력이 제거된 상태로 유지되고, 구간(b)의 컨베이어 로울러(14)는 물품(Ac)이 구간(b)의 캠 로울러(72)에 접촉할때까지 계속 작동된다.
단일 모우드에서의 작용이 주로 제14도 내지 제16도 및, 제9도 및 제10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단일 모우드에서는, 한번에 하나의 물품(A)밖에 운송되지 않는다. 하나의 물품이 정지 위치에서 소정의 축적 개소까지 이동되는 도상에 있으면, 다음의 물품은 도상에 있는 물품을 대신하기 위해 운송되기 시작한다. 이들 물품은 상기 집단 모우드의 경우와 같이 동시에 운송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도, 먼저 물품(Aa-Ad)이 제15도와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간 (a-d)의 각각의 축적개소에 위치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간(a)의 물품(Aa)이 구간(a)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캠 로울러(72)위를 이동하며, 물품(Ab)은 구간(b)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캠 로울러(72)위에서 이동되고 있는 등등이다.
단일 모우드에서는 제14도에 도시된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도관(108)을 경유하여 병렬로 모든 밸브에 동시에 공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집단 모우드와는 달리, 모든 밸브몸체(86')가 작동되어 각각의 컨베이어 구간에 물품(A)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공기를 공급할 준비를 하게 된다. 공기 공급원으로 부터 구간(a)의 파이롯 밸브 어셈블리 (106)의 밸브몸체(118)에 까지 뻗어있는 도관(116) 또한, 밸브를 개방할 준비가 되어 있는 이러한 밸브몸체에 공기를 공급한다.
물품(Aa)이 구간(a)의 캠 로울러(72)를 누르고 있으므로, 캠 종동부 아암(96)도 눌려진다. 따라서,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100)도 마찬가지로 눌려지고 구간(a)의 밸브몸체(86')의 밸브를 개방하여, 도관(110)을 통해서 구간(a)의 파이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파일롯 작동자(114)위의 T-자형 연결기구(112)에 공기를 공급한다. 파일롯 작동자(114)에 공기가 공급되면, 파일롯 작동자(114)는 파이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밸브몸체(118)의 밸브를 작동시켜 공기 공급원으로 부터 뻗어 있는 도관(116)으로 부터 도관(40)을 통해서 구간(a)의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실린더 (38)에 공기를 공급한다.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8)에 공급된 공기는 피스톤 로드 (4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슈우(48,50)를 함께 이동시키고, 구간(a)의 슬리브(56)와 토크튜브(24)를 고정시킨다. 이 고정작용에 의해 토크튜브(24a)의 운동이 억제되어 계속 회전하고 있는 구동축(22)이 토크튜브에 대해 미끄러지게 되며, 구간(a)의 로울러 (14)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완전히 부하된 상태에서, 즉 각 구간(a-d)에 각각 물품(Aa-Ad)이 위치된 상태에서, 구간(a)의 T자형 연결기구(112)로 부터 도관(116)을 통해 구간(b)의 파이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밸브몸체(118)로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설명한 바와 같이, 구간(a)의 T자형 연결기구(88')로 부터 도관(108)을 통하여 구간(b)의 T-자형 연결기구(88')에 공기가 계속해서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구간(b)의 물품(Ab)이 구간(b)의 캠 로울러(72)위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구간(b)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캠 종동부 아암(96)이 눌려지고 구간(b)의 밸브몸체(86')의 밸브를 개방하여 도관(110)을 통해 구간(a)의 파이롯 밸브 어셈블리 (106)의 파일롯 작동자(114)에 접속된 T-자형 연결기구(112)에 공기가 공급된다. 이 T-자형 연결기구에 공급된 공기는 파일롯 작동자(114)를 작동시켜 밸브몸체 (118)의 밸브가 공급된다. 이 T-자형 연결기구에 공급된 공기는 파일롯 작동자(114)를 작동시켜 밸브몸체(118)의 밸브를 개방하여 공기가 도관(40)을 경유해서 구간(b)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 공기는 구간(b)의 실린더(38)의 피스톤 로드(4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슬리브(65)와 토크튜브(24b)를 고정하고 이들의 운동을 억제하여 구동축(22)를 토크튜브에 대해 미끄러뜨려서 구간 (b)의 로울러(14)의 동력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상류쪽에서 계속되고, 따라서 각 구간(a-d)에 물품(Aa-Ad)이 축적되어 있으므로 구간의 각 부분의 로울러(14)는 전부 정지된다.
물품(Aa)가 컨베이어 구간(a)으로 부터 제거되면, 구간(a)에 있어서, 캠 로울러(72)가 상승하여 구간(a)에서의 밸브몸체(86')의 캠 종동부 아암(96)도 또한 상승하게 된다. 이후, 구간(a)의 밸브몸체(86')의 밸브가 닫혀지고 구간(a)의 파이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파일롯 작동자(114)에 접속된 T-자형 연결기구(112)에 까지 뻗어 있는 도관(110)으로의 공기가 차단된다. 이후, 파이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밸브몸체(118)의 밸브도 또한 닫혀지고 공기공급원과 도관(116)으로 부터 도관(40)과 구간(a)의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피스톤 로드(42)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슈우(48,50)을 서로 분리시키고, 슬리브(56)과 토크튜브 (24a)를 분리하고, 이들 슬리브와 토크튜브가 구동축(22)에 의해 다시 회전되어 구간 (a)의 로울러(14)를 작동시킨다.
구간(a)의 밸브몸체(86')의 밸브가 닫혀지면, 구간(a)의 파일롯 작동자(114)의 T-자형 연결기구(112)로 뿐만 아니라 구간(b)의 파이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밸브몸체(118)에 가지 뻗어 있는 도관(116)으로의 공기도 차단되다. 이와 같이 공기가 차단되면, 밸브몸체(118)로 부터 구간(b)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에 까지 뻗어 있는 도관(40)에도 공기가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도 동력이 차단되고, 이것에 의해 토크튜브(24b)로 부터의 억제력도 제거되어 구동축(22)은 구간(b)의 토크튜브(24b)를 회전시켜 로울러(14)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다음의 물품(Ab)은 구간(b)로 부터 운송되어 구간(a)에 있어서 제거된 물품 (Aa)을 대신한다.
그러나, 이때에는 구간(c,d)에 남은 물품의 어느것도 이동하지 않는다. 이들 물품은 물품(Ab)이 구간(b)의 캠 로울러(72)를 지날때까지는 이동하지 않는다. 물품 (Ab)이 아직 존재하여 구간(b)의 캠 로울러(72)와 그 캠 종동부 아암(96)을 누르고 있는한, 밸브몸체(86')의 밸브가 개방되어 도관(108)로 부터 구간(b)의 밸브몸체(85')와 도관(110), 구간(b)의 파이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파일롯 작동자(114)에 접속된 T자형 연결기구(112) 및 도관(116)을 통해서 구간(c)의 밸브몸체(118)와 도관(40)을 통해 구간(c)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에 계속 공급되어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작동시키고 구간(c)의 토크튜브(24c)의 회전을 억제한다.
물품(Ab)이 구간(b)의 캠 로울러(72)로 부터 이동되면, 캠 로울러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구간(b)의 밸브 몸체(86')의 밸브를 폐쇄시킨다. 밸브가 폐쇄되면, 도관 (110), T자형 연결기구(112), 구간(c)의 파이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밸브몸체 (118)에 접속된 도관(116)으로의 공기가 차단된다. 이 밸브몸체(118)가, 구간(c)의 밸브몸체(86')에 눌려진 캠 종동부 아암(96)으로 부터 뻗어 있는 도관(110)으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고 있기 때문에 개방되어 있다할지라도, 구간(c)의 브레이크 어셈블리 (18)의 실린더(38)에 까지 뻗어 있는 도관(40)에는 더이상 공기가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동력을 차단하고, 구간(c)의 토크튜브(24c)를 회전시키기 시작하여 구간(c)의 로울러(14)를 회전시키고, 구간(a)로 이동한 물품(Ab)을 대신하기 위해 물품(Ac)을 구간(b)을 향해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일 모우드에서는, 각각의 물품이 하나씩 개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 예로, 구간(a,b)에 물품이 축적되고, 이들 구간의 로울러(14)가 정지되어도 모든 구간에 물품이 채워질때까지 물품(Ac,Ad)은 상류쪽 구간으로 계속 이동될 것이다. 이것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공급원으로 부터 뻗어 있는 도관(108)이 각각의 밸브몸체(86')에 병렬로 접속되어서 각각의 캠 종동부 아암(96)이 눌러지지 않는때에는 밸브몸체는 작동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품(Aa,Ab)이 구간(a,b)에 있어서의 각각의 축적된 위치에 있지만 물품(Ac)이 구간(c)의 위치에 까지 아직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구간(c)의 캠 로울러(72)는 눌러지지 않을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구간(c)의 캠 종동부 아암(96)은 상승되어서 구간(c)의 밸브몸체(86')의 밸브를 폐쇄하고, 구간(c)의 파이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파일롯 작동자(114)의 T-자형 연결기구(112)에 접속된 도관(110)으로의 공기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공기가 없으면, 파일롯 작동자(114)는 밸브몸체 (118)의 밸브를 폐쇄하고 도관(40)와 구간(c)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 (38)로의 공기를 차단하여 브레이크 어셈블리에의 동력을 차단하고, 구간(c)에서의 토크튜브(24c)가 구동축(22)에 의해 회전되어서 구간(c)의 컨베이어 로울러(14)를 구동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물품(Ac)은 구간(c)의 캠 로울러(72)를 누를때까지 공급되며, 이 물품이 캠 로울러(72)를 누르면 구간(c)의 로울러(14)는 동력이 차단된다.
제11도 내지 제16도에는 컨베이어의 4개의 구간밖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는 것없이 필요에 따라 구간의 수가 증감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어회로가 공압 시스템으로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한다면, 대신에 유압식이나 전기적 및 기계적 제어장치가 선택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 상기 설명된 제로압력 축적 컨베이어와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의하면, 각각의 물품이 그 축적개소에 도달하면, 라이브 로울러(14)를 확실하게 감속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축적되어 있는 물품이 서로 접촉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명백한 이점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의하면, 본 발명의 여러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에 의한 미끄러짐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마모와 열의 발생이 최대로 감소되며 따라서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감소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하는 몇가지 예를 예시한 것에 불과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와 범위를 벗어나는 것없이 여러 변경이 당업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7)

  1.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원통형의 표면을 가지는 회전 가능한 구동축(22)과; 원통형의 외면을 가지고 구동축(22)이 속으로 뻗어 있는 토크튜브로서, 구동축이 토크튜브의 내부에 마찰 결합할 수 있어서 구동축이 회전되면 이 축에 의해 토크튜브는 회전되지만, 이 토크튜브의 회전이 억제되면 구동축이 토크튜브에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도록, 내경이 구동축의 원통형 외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관상의 토크튜브(24)와 ; 토크튜브(24)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며, 토크튜브의 외면으로 부터 떨어져서 회전하는 구동축(22)이 토크튜브를 회전시키는 제1위치와, 토크튜브의 외면과 접촉하여 토크튜브가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토크튜브의 외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클램핑면(5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튜브(24)가 유기중합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중합체가 나일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2)을 경질 금속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2)을 경질 금속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튜브(24)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그 외면에 고정된 견고한 원통형의 슬리브(56)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면(54)은 상기 슬리브의 외면부분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6)를 금속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튜브(24)가 나일론으로 만들어지고, 구동축(22)이 경질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견고한 원통형 금속 슬리브(56)가 토크튜브를 둘러싸고 그 외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토크튜브(24)의 외면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풀리(28)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튜브(24)와 풀리(28)가 유기중합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11. 제8항에 있어서, 토크튜브(24)의 외면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풀리(28)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가 유기중합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13. 컨베이어에 있어서, 원통형의 표면을 가지는 회전 가능한 구동축(22)과; 원통형의 외면을 가지고 구동축(22)이 속으로 뻗어 있는 토크튜브로서, 구동축이 토크튜브의 내부에 마찰 결합할 수 있어서 구동축이 회전되면 토크튜브는 이 축에 의해 회전되지만, 이 토크튜브의 회전이 억제되면 구동축이 토크튜브에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도록, 내경이 구동축의 원통형 외면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관상의 토크튜크(24)와; 토크튜브 (24)외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며, 토크튜브의 외면으로 부터 떨어져서 회전하는 구동축(22)이 토크튜브를 회전시키는 제1위치와, 토크튜브의 외면과 접촉하여 토크튜브가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2위치의 사이에서 토크튜브의 외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클램핑면(54)으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어셈블리와 ; 평면을 따라 물품을 지지하여 운송하는 회전 가능한 복수의 라이브 로울러(14)와; 토크튜브 (24)가 상기 구동축(22)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로울러를 구동하도록 상기 로울러와 상기 토크튜브 둘레에 감긴 복수의 무한 탄성벨트(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14)에 의해 운송되는 물품의 존재를 감지하는 트리거 어셈블리(16,16') 및, 상기 제1 및 제2위치 사이를 상기 클램핑면(54)이 움직이도록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에 응답하여 공압적, 유압적,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공기실린더(38) 및 도관(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로울러(14)는 상기 평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진 구간(a-d)으로 구분되고, 로울러의 각 구간은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 (16,16')의 하나 이상과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튜브(24)는 상기 각 구간에서 상기 토크튜브의 하나 이상과 함께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복수의 토크튜브(24a-24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린더(38)과 도관(40)은 상기 로울러의 각 구간(a-d)의 클램핑면(54)과 상기 집단모우드용 트리거 어셈블리(16)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실린더(38)과 도관(40)은 상기 로울러의 각 구간 (a-d)의 클램핑면(54)과 상기 집단모우드용 트리거 어셈블리(16)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튜브(24)가 나일론으로 만들어지고, 구동축(22)이 경질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견고한 원통형 금속 슬리브(56)가 토크튜브를 둘러싸고 그 외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14)에 의해 운송되는 물품의 존재를 감지하는 트리거 어셈블리(16,16') 및, 상기 제1 및 제2위치 사이를 상기 클램핑면(54)이 움직이도록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에 응답하여 공압적, 유압적,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공기실린더(38) 및 도관(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로울러(14)는 상기 평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진 구간(a-d)으로 구분되고, 로울러의 각 구간은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 (16,16')의 하나 이상과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튜브(24)는 상기 각 구간에서 상기 토크튜브의 하나 이상과 함께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복수의 토크튜브(24a-24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린더(38)와 도관(40)은 상기 로울러의 구간(a-d)의 클램핑면(54)과 상기 단일모우드용 트리거 어셈블리(16')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린더(38)와 도관(40)은 상기 로울러의 각 구간 (a-d)의 클램핑면(54)과 상기 집단모우드용 트리거 어셈블리(16)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3. 제13항에 있어서, 토크튜브(24)의 외면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풀리(28)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14)에 의해 운송되는 물품의 존재를 감지하는 트리거 어셈블리(16,16') 및 상기 제1 및 제2위치 사이를 상기 클램핑면(54)이 움직이도록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에 응답하여 공압적, 유압적,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공기실린더(38) 및 도관(40)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로울러(14)는 상기 평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진 구간(a-d)으로 구분되고, 로우러의 각 구간은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 (16,16')의 하나 이상과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튜브(24)는 상기 각 구간에서 상기 토크튜브의 하나 이상과 함께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복수의 토크튜브(24a-24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린더(38)와 도관(40)은 상기 로울러의 각 구간 (a-d)의 클램핑면(54)과 상기 단일 모우드용 트리거 어셈블리(16')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린더(38)와 도관(40)은 상기 로울러의 각 구간 (a-d)의 클램핑면(54)과 상기 집단 모우드용 트리거 어셈블리(16)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KR1019830000316A 1982-01-27 1983-01-27 축적 컨베이어용 브레이크 어샘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KR930000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322282A 1982-01-27 1982-01-27
US343222 1982-01-27
US343,222 1982-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209A KR840003209A (ko) 1984-08-20
KR930000936B1 true KR930000936B1 (ko) 1993-02-11

Family

ID=2334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316A KR930000936B1 (ko) 1982-01-27 1983-01-27 축적 컨베이어용 브레이크 어샘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2) JPS58137629A (ko)
KR (1) KR930000936B1 (ko)
AU (1) AU557275B2 (ko)
CA (1) CA1201677A (ko)
DE (1) DE3237599A1 (ko)
GB (1) GB2114084B (ko)
MX (1) MX1585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3321T1 (de) * 1985-08-01 1989-06-15 Conveyor Units Ltd Foerderer mit antriebsrollen.
GB9026520D0 (en) * 1990-12-05 1991-01-23 Conveyor Mfg Co Ltd Braking system for live roller conveyor
DE10210402A1 (de) * 2002-03-08 2003-10-02 Abus Kransysteme Gmbh & Co Kg Laufrad für Fahrwerke von Hebezeugen
CN110203627A (zh) * 2019-07-20 2019-09-06 湖南信芯电子技术有限公司 吸塑盘排版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6389B1 (ko) * 1969-03-03 1974-09-30
US3696912A (en) * 1969-05-05 1972-10-10 Fred J Fleischauer Brake for roller conveyors
US3650375A (en) * 1969-05-05 1972-03-21 Ermanco Inc Drive for roller conveyors
JPS4936389U (ko) * 1972-07-03 1974-03-30
US3840110A (en) * 1972-07-24 1974-10-08 Ermanco Inc Conveyor apparatus
JPS5439331B2 (ko) * 1972-09-09 1979-11-27
JPS4946061A (ko) * 1972-09-12 1974-05-02
JPS5418781U (ko) * 1977-07-08 1979-02-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137629A (ja) 1983-08-16
AU557275B2 (en) 1986-12-18
DE3237599C2 (ko) 1993-08-05
AU8785282A (en) 1983-08-04
MX158571A (es) 1989-02-15
GB2114084B (en) 1985-08-29
KR840003209A (ko) 1984-08-20
JPH0747366Y2 (ja) 1995-11-01
DE3237599A1 (de) 1983-08-04
CA1201677A (en) 1986-03-11
GB2114084A (en) 1983-08-17
JPH07932U (ja) 199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2644A (en) Zero pressure accumulation conveyor and trigger assembly
US3770102A (en) Accumulator with transport override
US4096942A (en) Roller type of conveyor
US3724642A (en) Accumulator with braking
US4819788A (en) Zero pressure accumulation conveyor and brake assembly
US3768630A (en) Accumulator with automatic override
CA1046972A (en) Accumulating conveyor
US3138238A (en) Powered diverter
JPH032514Y2 (ko)
US4264005A (en) Powered roller conveyor with drive disengaging means
CA1151581A (en) Drive/take-up assembly for accumulating live roller conveyor systems
WO1996033930A1 (en) Powered conveyor belt turn
US4372441A (en) Accumulating conveyor
US5083657A (en) Spur conveyor assembly
RU223069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тары на линии конвейера
US4301914A (en) Accumulating conveyor
JPS61238603A (ja) 物品集積型搬送装置
JPH0549566B2 (ko)
KR930000936B1 (ko) 축적 컨베이어용 브레이크 어샘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US4238029A (en) Accumulating conveyor
KR930008964B1 (ko) 트리거 어셈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US5699891A (en) Device for displacing workpiece carriers
US5005693A (en) Line shaft accumulation conveyor
US3104007A (en) Conveyor
US6035998A (en) Dual sensor trigger assembly for live roller convey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