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964B1 - 트리거 어셈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트리거 어셈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964B1
KR930008964B1 KR1019830000315A KR830000315A KR930008964B1 KR 930008964 B1 KR930008964 B1 KR 930008964B1 KR 1019830000315 A KR1019830000315 A KR 1019830000315A KR 830000315 A KR830000315 A KR 830000315A KR 930008964 B1 KR930008964 B1 KR 930008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roller
cam
trigger assembly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208A (ko
Inventor
알. 데이비스 조나단
Original Assignee
에르만코 인코오포레이티드
레온 씨. 커쉬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만코 인코오포레이티드, 레온 씨. 커쉬너 filed Critical 에르만코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4000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61Accumulating articles
    • B65G47/263Accumulating articles the conveyor drive is taken from a longitudinally extending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리거 어셈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제 1 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작동되는 라이브 로울러 축적 컨베이어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2-2선을 따라 본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절결하여 도시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3-3선을 따라 본 바와 같은 일부분을 절결하여 도시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측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축적 컨베이어의 구동축, 피구동축 및 풀리로 되는 하나의 구간을 완전히 도시하고, 추가되는 두개의 구간을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일부 절결 평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5-5선을 따라 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 절결 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6-6선을 따라 본 바와 같은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부분 절결 측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 컨베이어의 집단작용의 모우드에 사용되는 트리거 어셈블리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 2 도의 2-2선을 따라 본 바와 같은 부분 절결 단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8-8선을 따라 본 바와 같은 트리거 어셈블리의 일부 절결 측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 컨베이어의 단일 작용 모우드에 사용하는 본 발명 트리거 어셈블리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 절결 단면도.
제 10 도는 제 9 도의 10-10선을 따라 본 바와 같은 트리거 어셈블리의 측면도.
제 11 도는 집단 모우드에 있어서의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4개의 축적 구간용의 바람직한 공압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 12 도는 집단 모우드용의 제 11 도에 도시한 제어요소의 위치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부분도.
제 13 도는 제 12 도의 13-13선을 따라 본 바와 같은 컨베이어의 일부측단면도.
제 14 도는 단일 모우드에 있어서의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컨베이어의 4개의 축적 구간용의 바람직한 공압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 15 도는 단일작용 모우드용의 제 14 도에 도시한 제어요소의 위치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켄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부분도.
제 16 도는 제 15 도의 16-16선을 따라 본 바와 같은 컨베이어의 부분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컨베이어 로울러 18 : 브레이크 어셈블리
24 : 토크 튜브 42 : 피스톤 로드
64 : 캠 72 : 캠로울러
82 : 공기밸브 어셈블리
본 발명은 소정의 통로를 따라 부품을 운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라이브 로울러 켄베이어(live roller convey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압력이 없는(이하 제로 압력이라 함) 축적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용의 트리거 어셈블리(trigger arrembly)에 관한 것이다.
라이브 로울러 컨베이어, 특히 축적(accumulation) 컨베이어에 관해서는 당업계에서 공지되어 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축적 컨베이어는 컨베이어에 의해 운송되고 있는 물품을 축적하기 위해 컨베이어 로울러가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정지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로울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장치를 사용하고 있었다. 물품을 집적하는 위치로 운송하기 위해 로울러를 회전시키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품이 집적위치에 도달하면, 물품을 축적하기 위해 로울러를 정지한다.
이와 같은 콘베이어와 제어장치가 미합중국 특허 제 3,969,912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물품이 그 소망의 축적위치에 있으면 그것을 감지하는 트리거 어셈블리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가지는 라이브 로울러 컨베이어가 기재되어 있다. 이 트리거 어셈블리는, 피구동축에 설치한 키이에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결합하기 위해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케이블 또는 체인으로 기계적으로 접속되며, 피구동축은 그것을 회전하지 않도록 체결하기 위해 컨베이어 로울러를 구동한다.
이 특허의 트리거 어셈블리는, 물품의 통로내에 뻗어있는 상부에, 로울러를 가지고 있는 피봇된 아암을 구비하고, 물품이 이 로울러상에 도달하면 로울러는 물품에 의해 압력을 받게되는 것이다.
상기 미국 특허의 트리거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물품을 운송하기에 매우 편리한 점은 있으나, 이 트리거 어셈블리는 그것이 위치되어 있는 각각의 로울러 구간에 라이브 로울러의 적어도 하나를 없게하여 트리거 어셈블리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점은, 운송하는 물품의 길이가 짧으면, 즉 물품의 운송통로의 방향이 짧든지 또는 라이브로울러에 올려져 있는 물품저면의 마찰력이 약한 경우에 불리하다. 즉, 트리거 어셈블리를 수용하기 위해 라이브 로울러를 제거하면, 그 제거한 만큼 구동력이 상실되기 때문에, 물품이 짧든지 마찰력이 약하면 그 물품이 정지한 경우에 그것을 다시 운동시키기에 충분한 마찰력을 줄 수가 없게된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는, 라이브 로울러를 제거하지 않고서도 트리거 어셈블리를 설치할 수 있으면 매우 유리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 3,840,110호에는, 라이브 로울러를 제거할 필요가 없는 라이브 로울러 컨베이어용의 트리거 어셈블리가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 특허의 트리거 어셈블리는 물품의 운송방향과 반대방향에서는 물품의 운동을 방해하므로, 물품이 컨베이어위를 한쪽방향으로 밖에 운동할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어떤 컨베이어 시스템에서는, 물품을 양쪽방향으로 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제로압력 축적 컨베이어와 트리거 어셈블리는 상기한 종래의 결점들을 완전히 극복하였다. 본 발명의 제로압력 축적 컨베이어와 트리거 어셈블리는 컨베이어의 라이브 로울러를 제거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라이브 로울러와 운동되는 물품과의 사이를 최대한으로 구동 접촉한다. 또한 운송되는 물품은 트리거 어셈블리의 간섭을 받지않고 컨베이어상에서 어느 방향으로든지 용이하게 운동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한 제로압력 축적 컨베이어와 트리거 어셈블리는 안전하고 소음이 적고 복잡하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어서, 컨베이어의 보수의 필요성과 조립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예비부품의 비축량도 또한 감소한다.
본 발명은, 일평면에 배치되어 운송되는 물품의 운동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둔 복수의 회전 컨베이어 로울러를 가지는 컨베이어상에 물품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트리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 트리거 어셈블리는 세장한 캠수단과, 캠수단이 컨베이어 로울러의 회전축선에 있든지 그 상방에 있는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하도록 지지하는 수단과를 포함한다. 캠수단은, 지지수단으로 부터 간격을 두고, 캠수단의 일단부에 향해지도록 되어, 이 캠수단이 지지수단에 의해 컨베이어에 지지되면 한쌍의 간격을 둔 컨베이어 로울러 사이에서 상방으로 뻗는 제 1 렉수단을 포함한다. 제 1 렉수단의 상단부는 물품이 없는 경우에 컨베이어 로울러의 평면의 상방에 뻗은 제 1 상부위치와, 컨베이어위를 운동하고 있는 물품에 의해 압압되어서, 렉수단의 상단부가 컨베이어 로울러의 평면에 의해 정해지는 평면에 있는 제 2 하부위치와의 사이를 움직이게 된다. 또한 감지수단도 포함하고, 이 수단은 지지수단을 중심으로 하는 렉수단과 캡수단과의 운동에 응답하여 컨베이어의 운동을 제어한다.
상기한 트리거 어셈블리에는 렉수단의 상단부 부근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컨베이어 로울러 사이에 뻗어있는 로울러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로울러 수단은 컨베이어 로울러의 회전축선에 거의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 로울러 수단의 회전축선을 로울러 수단이 최상부 위치에 있으면 컨베이어 로울러의 평면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또,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복수의 라이브 컨베이어 로울러, 로울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트리거 어셈블리에 응답하여, 트리거 어셈블리의 렉수단이 그 제 1 위치에 있으면 구동수단에 컨베이어 로울러를 회전시키고, 트리거 어셈블리의 렉수단이 그 제 2 위치에 있으면 컨베이어 로울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과 병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제어수단은 컨베이어 로울러의 다른 구간을 단일 모우드나 집단 모우드를 작용시키기 위한 복수의 트리거 어셈블리와 구동수단과를 서로 접속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것에 의해 분명해질 것이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특히 제 1 도에서 3 도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 로울러 제로압력 축적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컨베이어는 일반적으로 한쌍의 간격을 둔 평행한 측부홈형 부재(10)(12)를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이들 홈형부재는 각자 움직일 수 있는 복수의 횡방향 로울러(1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각 로울러(14)의 상면은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은 통로를 형성하도록 공통의 평면에 위치 결정되고, 운송되는 물품은 이 통로를 따라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진행된다. 더우기, 제 1 도 내지 3 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로압력 축적 컨베이어의 구성요소에는, 일반적으로, 컨베이어상의 소정의 개소에 물품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감지하는 트리거 어셈블리(16)와, 로울러(14)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18)와, 로울러(14)를 구동하도록 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어셈블리(20)가 포함된다.
먼저 구동 어셈블리(2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 1 도 내지 4 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어셈블리(20)는 컨베이어 전장에 걸쳐 연속적으로 뻗어있는 것이 바람직한 원통형의 직선축 즉 구동축(22)을 포함하고 있다. 구동축(22)는 냉간압연강과 같은 경질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 도와 6 도에 도시한 복수의 개개의 토크튜브(24)는 구동축(22)상에 그것과 동축으로 위치 결정되고, 제 1 도 내지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진 구간(a)-(c)에 각각 하나의 토크튜브(24a), (24b), (24c), (24d)가 위치된다. 토크 튜브는 각각 유기 중합체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유기중합체는 나일론이다. 적단한 나일론은 예를들면 6/6 LNPRL-4540 나일론이지만, 당업자라면 다른 나일론이나 기타의 유기 중합체도 선택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토크튜브(24)의 내경과 구동축(22)의 외경과 또는 구동축(22)과 토크튜브의 재료 및 이들 구성요소의 표면특성 등은, 구동축(22)이 회전할때, 이 축의 원통면이 토크튜브(24)의 내면과 마찰 결합하는 것에의해 각각의 토크튜브를 구동하도록 선택한다.
토크튜브(24a)-(24c)는 각각 서로 독립하여 회전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별개의 독립한 토크튜브(24)를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컨베이어 구간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각 컨베이어 구간의 경계에 있어서의 토크튜브(24)의 단부는 적당한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부착한 베어링(26)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크 튜브(24a)-(24c)의 각각에 풀리(28)가 지지되어 있다. 풀리(28)는 각 토크튜브(24)를 따라 전후로 축선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을 하며, 하나의 축선방향 위치에 있으면 각각의 토크튜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하고, 이 축선방향 위치로부터 변위하면 그 토크튜브에 상대적으로 미끄러져서 토크튜브와는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그와 같은 작용이 미합중국 특허 제3,650,375호에 기재되어 있다. 풀리(28)도 또한 아세탈수지와 같은 유기 중합체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아세탈수지의 종류는 댈린(Delrin)이다.
바람직한 것은 탄성중합체로 만든 탄성벨트(30)가,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리(28)의 각각과 컨베이어의 각각의 로울러(14)에 설치한 원주홈(31)과의 둘레에 감겨져 있다. 벨트(30)는 각각 단면이 0-자 형상을 한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토크튜브(24)상에 복수의 풀리(28)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들 풀리 대신에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각 토크튜브(24)에 일체로 형성한 요면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풀리(28)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 2 도 내지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진 칼라(32)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이들 칼라는 간격진 위치에서 토크튜브(24)의 외면에 부착되어서 풀리(28)의 축선방향 운동을 제한하고, 또 인접한 풀리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구동 어셈블리(20)에 대한 이상의 설명에 의해 탄성벨트(30)과 로울러(14), 탄성벨트(30)와 풀리(28), 풀리(28)와 토크튜브(24a)-(24c)의 외면, 토크튜브(24a)-(24c)의 내면과 구동축(22)의 표면이 각각 서로 마찰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후 상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구성요소가 있는 그대로 어떤 조건하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 5 도와 6 도에는 브레이크 어셈블리(18)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크 어셈블리(18)는 L자형상의 브래킷(34)을 포함하며, 이 브래킷의 수직의 렉부는 T -자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측부홈형 부재(12)의 한쪽에 볼트(36)로 고정되어 있다.
트리거 어셈블리(16)의 하나로부터 통로(40)을 통하여 공기를 받아들이는 공기실린더(38)가 L-자형 브래킷의 수평의 렉에 지지되어있고, 피스톤로드(42)가 제 5 도와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38)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다.
또한 브래킷(34)의 수평렉부는, 사이에 클램핑 수단(46)을 지지하고 있는 한쌍의 하방으로 뻗은 플랜지(44)를 포함한다.
클램핑 수단(46)은 유기중합체 또는 기타 적당한 재료로 만들어진 한쌍의 슈즈(shoes)(48)(5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슈즈들은 가급적 강인한 나일론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슈즈(48)(50)은 피봇핀(52)에 의해 한쪽면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슈즈(48)(50)은 각각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어진 클램핑면(54)을 가지는 대략 반원통형의 부분을 포함하고, 이 부분은 피봇핀(52)을 중심으로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부착위치의 각각의 위치에 위치된 원통형 슬리이브(56)와 접촉하거나 그것에서 떨어지거나 피봇핀(52)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원통형 슬리이브(56)는, 예를들면 LOCTITE 707 활성화제에 의해 활성화된 LOCTITE 326 접착제와 같은 적당한 접착제에 의해 관계되는 토크튜브에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통형 슬리이브(56)은 항상 토크튜브(24)와 함께 회전한다.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슈즈(48)(50)는 각각 그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피봇된(52)과는 반대방향으로 뻗어있는 아암(58)(60)을 포함한다. 하방의 슈즈(50)의 아암(60)의 단부는 하방으로 뻗어있는 플랜지(44)의 저부부근에서 플랜지 사이에 핀(62)에 의해 피봇되고, 상방의 슈즈(48)의 아암(58)은 피스톤 로드에 의해 플랜지(44) 사이를 수직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러므로, 관계가 트리거 어셈블리(16)으로 부터의 통로(40)내의 공기의 유무에 따라서 상방의 슈즈(48)는 피스톤로드(42)에 의해서 제 1 위치나 제 2 위치로 피봇 운동되게 된다. 상기 제 1 위치는 슬리이브와 토크튜브(24)를 구동축(22)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클램핑면(54)이 슬리이브(56)의 외면과의 접촉을 해제하는 위치를 의미하며, 제 2 위치는 클램핑면(54)이 슬리이브(56)에 결합하여 구동축에 의하 슬리이브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이제부터는 트리거 어셈블리(16)를 제 7 도와 8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들 도면에는 트리거 어셈블리가 컨베이어를 후술하는 집단작용 모우드용의 상태로서 도시하고 있다.
제 7 도와 8 도에 도시한 트리거 어셈블리는 측부홈형 부재(10), (12)의 각각에 인접하여 수평으로 배치한 E-자 형 캠(64)을 포함하고 있다. 캠(64)은 순서대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방으로 뻗은 세개의 렉부(66)(68)(70)를 포함한다. 가장 긴 렉부(66)는, 컨베이어의 폭에 걸쳐서 뻗어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의 양측에서 해당 렉부(66)의 상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캠로울러(72)를 포함하고 있다. 물품이 로울러(72)상에 없을때, 캠로울러의 상면은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울러(14)의 상부의 평면보다 약간 상방으로 뻗어있지만, 운송되는 물품이 로울러(72)상에 있으면, 이 물품에 의해 하방으로 눌러지게 되는 것이다. 캠로울러(72)는 로울러(14)의 상면의 상방을 약 3/8인치(9.5mm) 정도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자형 캠(64)의 중간 렉부(68)는 이 캠의 피봇지지부로서, 로드(74)가 컨베이어의 횡방향으로 뻗어,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홈형 부재(10)(12) 사이에 지지되어 캠(64)을 측부홈형 부재에 피봇결합하고 있고, 이 캡(64), 특히, 그 로울러(72)가 제 8 도에 도시한 위치와 또 로울러(72)의 상면이 로울러(14)의 상면과 같은 평면으로 되는 낮은 위치로 피봇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트리거 어셈블리(16)의 가장 짧은 렉부(70)는 로드나 튜브형상의 평형추(76)를 포함하고, 이 평형추(76)도 또 컨베이어를 가로질러 뻗어 양측의 캠(64)의 렉부(70)를 접속하고 있다. 평형추(76)의 중량과 캠 피봇로드(74)로부터의 이 추의 간격은 기타의 힘이 없는 경우에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울러(72)가 그 상방위치로 밀리는 정도로 한다.
캠 피봇로드(74), 캠 로울러(72) 및 컨베이어 로울러(14)의 회전축선을 상호 소정의 위치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 피봇로드(74)의 회전축선은 컨베이어 로울러(14)의 축선 y이 형성하는 평면에 있든지 그 상방의 평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캠 로울러(72)의 회전축선은 로울러(72)가 그 최상부 위치에 있으면 로울러(14)의 상면의 평면보다 하방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 로울러(72)가 그 최상부 위치에 있을때, 컨베이어 로울러(14)의 상면의 평면상방으로 약 3/8인치(9.5mm) 이상 뻗지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위치 결정되면, E-자형 캠(64)의 형상과 더불어서 트리거가 물품의 이송방향에 특히 관계없이 컨베이어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와 같이 위치 결정하고 그러한 형상으로 하면, 예를들면, 만약 이미 축적된 물품중 어느 것을 손으로 저지하든지 컨베이어를 역방향으로 주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물품이 컨베이어 위를 어느쪽 방향으로도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E-자형 캠(64)의 형상과, 그 렉부(66)의 위치와 형상에 의해, 당해 트리거 어셈블리를 컨베이어에 부착하기 위하여 라이브 로울러(14)를 제거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렉부(66)는 인접한 로울러(14) 사이의 공간에 끼워져서 로울러(14)의 간섭을 받지 않고 상하위치 사이를 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운송되는 물품이 운송통로의 방향에 있어서 짧은 길이를 가지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제 7 도, 8 도에 도시한 트리거 어셈블리는 또, 볼트(80)에 의해 측부홈형 부재(12)에 지지된 L-자형 브래킷(78)도 포함하고 있다. 브래킷(78)과 트리거 어셈블리의 작용 부품과는, 브레이크 어셈블리(18)가 지지되어 있는 측부홈형 부재(10) 보다는 측부홈형 부재(12)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트리거 어셈블리와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모두 같은 측부홈형 부재에 지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조립과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들 두 어셈블리를 별개의 측부홈형 부재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자형 브래킷(78)도 또 수평의 렉부를 포함하고, 이 렉부에는 공기밸브 어셈블리(82)와 조절가능한 리미트스톱(Limit stop)(84)이 지지되어 있다.
공기밸브 어셈블리(82)는 두개의 통로(40)과 (90)이 접속된 T-자형 부착통로(88)를 가지는 밸브몸체(86)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로(40)는 제 5 도와 6 도에 도시한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공기실린더(38)에 접속되어 있다. 통로(90)은 제 7 도와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몸체(86)의 저부에 접속되어 있지만, 이 밸브몸체는 컨베이어의 인접한 트리거의 밸브몸체이다. 제 7 도와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몸체의 저부에 접속된 통로(90)는 다음 하류측의 트리거 어셈블리의 T-자형 부착통로에 있으나,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뻗어서, T-자형 부착통로(88)의 좌측까지 뻗어 있는 통로(90)는 다음 상류쪽 트리거 어셈블리의 통로에 있다.
제 8 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브래킷(78)의 수평렉상의(94)지점에 피봇 결합된 부품들은 캠 종동자아암(96)과 로울러(98)이다. 플런저 로드(100)은 제 7 도와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몸체(86)내의 밸브를 작동하기 위하여 밸브몸체(86)내로 연장된다. 플런저 로드(100)은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로울러(98)를 캠(64)의 하측에 압접시키기 위해 스프링 압력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미트 스톱(84)은 볼트(10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볼트는 브래킷(78)의 수평방향 렉부를 상방으로 끼워넣어 캠(64)의 피봇운동용의 조절가능한 리미트 스톱으로서 작용한다. 볼트(102)는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64)의 하측에 접촉하여 캠 로울러(72)가 상기한 바와 같이 상로울러(14)의 상부평면의 상방으로 소망의 거리만큼 돌출하도록 조절된다. 볼트(102)를 조절위치로 움직이면, 로크너트(104)에 의해 볼트를 그 위치에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7 도와 8 도에 도시한 트리거 어셈블리(16)는 컨베이어의 집단작용 모우드용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의 단일작용 모우드용에 사용하는 트리거 어셈블리(16')를 제 9 도와 10 도에 도시한다. 이 트리거 어셈블리(16')의 구성요소는 제 7 도와 8 도에 도시한 트리거 어셈블리(16)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러한 트리거 어셈블리(16)에 있어서 상기한 것과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를 붙였고, 집단 모우드용과 다른 구성요소에는‘'’를 붙여서 이하에 설명한다.
집단작용 모우드용 트리거 어셈블리(16)와 단일작용 모우드용 트리거 어셈블리(16')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트리거 어셈블리(16')에서는 공기통로의 접속이 다른것과, 추가의 파일롯(pilot)밸브 어셈블리(106)를 설치한 점이다.
트리거 어셈블리(16')의 밸브몸체(86')는 하방으로 뻗어있는 T-자형 부착통로(88')를 포함하고, 이 통로는 컨베이어의 인접한 구간에 있어서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밸브몸체(86')를 접속하는 한쌍의 통로(108)를 가진다.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의 통로(110)가, 밸브몸체(86')로부터 각 파일롯 밸브조립체(106)의 파일롯 작동자(114)에 접속된 T-자형 부착통로(112)까지 뻗어있다.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T-자형 부착통로(112)에서 뻗어있는 다른 통로(116)가 제 1 도, 10 도 및 1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의 하류측 트리거 어셈블리(16')에 있어서의 파일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벨브몸체(118)의 저부에 공기를 보낸다.
본 발명의 제로압력 축적 컨베이어와, 브레이크 어셈블리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계적 구성요소를 설명하였으므로, 집단작용 모우드와 단일작용 모우드의 컨베이어와 그 제어회로와의 작용을 이하에 설명한다.
때에 따라서는 다른 도면에 참조하겠지만, 집단작용 모우드는 주로 제 11 도 내지 13 도를 참조하고 또 트리거 어셈블리(16)의 작용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제 7 도와 8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브레이크 어셈블리(18)과 구동 어셈블리(20)는 집단작용 모우드와 단일작용 모우드용이 서로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집단작용 모우드의 작용순서를 설명하기 이전에 이 모우드에서의 일반적 작용이, 컨베이어로 부터 하나의 물품씩을 제거할때마다 그 상류측에 있는 물품이 전부 동시에 하나의 위치씩 전진한다고 하는 것을 서술해 둔다.
제 11 도 내지 13 도에 있어서, 하나의 물품(A)이 도시한 바와 같이 축적구간(a)-(d)의 각각에 위치되어 있다고 가정하다. 즉 물품(Aa)이 구간(a)에 있어서 트리거 어셈블리(16)의 캠 로울러(72)상에 놓여지고, 물품(Ab)이 구간(b)에 있어서 트리거 어셈블리(16)의 캠 로울러(72)상에 놓여지는 것이다.
이들 캠 로울러(72)가 물품(A)에 의해 압하되면, 각 밸브몸체(86)의 캠 종동자 아암(96)도 압하되고, 또 제 7 도와 8 도에 도시하는 밸브몸체(86)의 밸브가 열려서 제 11 도에 도시한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통로(90)을 통하여 구간(a)에 있어서의 밸브몸체(86)에 도달하고, 이어서 이 밸브몸체를 통해 T-자형 부착통로(88)와 통로(40)에 흐르고, 이어서 이들 통로를 경유하여 구간(a)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공기실린더(38)에 공기가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제 5 도 및 6 도)(42)를 하방으로 움직여서 슈즈(48)(50)의 클램핑 표면(54)로 하여금 구간(a)에 있어서의 토크튜브(24a)와 슬리이브(56)을 클램핑하여 억제시키고, 따라서 토크튜브(24a)의 회전을 억제하여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구동축(22)에 걸리는 구동력을 컨베이어 로울러(14)로부터 차단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기는 또 구간(a)에 있어서의 T-자형 부착통로(88)로부터 통로(90)를 경유하여 구간(b)에 있어서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밸브몸체(86)로 흐른다. 캠 종동자 아암(96)도 또 캠 로울러(72)상에 위치하고 있는 물품(Ab)에 의해서 압하되므로, 구간(b)에 있어서의 밸브몸체(86)의 백브도 열려지고, 공기를 T-자형 부착통로(88)로 보내어, 구간(b)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를 가압하며 이 구간에 있어서의 로울러(14)에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공기는 통로(90)를 경유하여 구간(c)에 있어서의 다음의 상류측 밸브몸체(86)에 공급된다. 따라서 각 구간에 있어서의 밸브몸체(86)의 모든 밸브가 열려져서 각 구간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에 공기가 공급되어 로울러(14)를 완전히 정지시키고, 물품(Aa)-(Ad)가 모두 축적된다.
물품(Aa)이 제거되면, 제 8 도에 도시한 평형추(76)에 의해 적용된 힘에 의해 구간(a)에 있어서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로울러(72)가 상승한다. 캠 로울러(72)가 상승하면, 구간(a)에 있어서의 캠 종동자 아암(96)도 또한 상승하고 제 7 도와 8 도에 도시한 플런저 로드(100)도 스프링힘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구간(a)에 있어서의 밸브몸체의 밸브를 닫는다. 이 밸브가 닫히면, 모든 밸브몸체(86)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당해 시스템 전체로의 공기의 공급은 중단된다. 따라서 구간(a)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에 접속한 통로(40)에는 더이상 공급되지 못하고, 제 5 도와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42)는 상승하여 슈즈(48)과 (50)를 상호 떨어지도록 피봇 운동시켜서 슬리이브(54)와의 접촉을 피하도록 운동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슬리이브(54)는 이제 더이상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의하여 억제되지 않으며, 회전하고 있는 구동축(22)의 구동작용이 토크튜브(24a)의 내부에 작용하여 토크튜브를 구간(a)에 있어서의 그 풀리, 0-형 벨트 및 컨베이어 로울러(14)와 함께 회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간(a)에 있어서의 밸브몸체(86)로의 공급이 중단되면, 더이상 공기는 이러한 밸브 몸체의 T-자형 부착통로(88)와 통로(90)와를 경유하여 구간(b)에 있어서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다음의 상류측 밸브몸체로는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캠 종동자 아암(96)이 구간(b)에 있어서의 물품(Ab)에 의해 계속 압하되고 있을 지라도 구간(a)에 있어서의 밸브몸체(86)의 밸브가 닫혔으므로 통로(40)에는 공기가 없다. 이와 같이 공기가 없으면 구간(b)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은 이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피스톤로드(42)를 구간(a)에 있어서의 피스톤로드(42)와 마찬가리로 상방으로 운동시켜서 구간(b)에 있어서의 토크튜브(24b)에 대한 억제력을 제거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집단모우드에 있어서는 각각의 트리거 어셈블리가 서로 효율적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간(a)에 있어서의 밸브 몸체(86)에 있어서 공기가 차단되면, 당해 시스템에서 차단된다. 공기공급이 차단되게 되면, 모든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동력을 잃게 되고, 그때에 선두로 되는 물품(Ab)이 구간(a)에 들어가고 이 구간에 있어서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로울러(72)에 접촉하도록 될때까지 물품(Aa)-(Ad)의 모두를 동시에 전진시킨다.
물품(Ab)이 구간(a)에 있어서의 로울러(72)에 접촉하면, 이 구간에 있어서의 밸브몸체(86)의 밸브가 다시 열려져 공기를 T-자형 부착통로(88)를 경유하여 통로(40)와 실린더(38)로 보내고 구간(a)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을 리세트하고, 또한 이 공기를 통로(90)를 경유하여 구간(b)에 있어서의 밸브몸체(86)로 보낸다.
만약 물품(Ac)이 아직 구간(b)에 있어서의 캠 로울러(72)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구간(b)에 있어서의 벨브몸체(86)의 밸브는 계속 닫혀져 있게되어 구간(b)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는 동력이 제거된 상태로 유지되고, 구간(b)에 있어서의 컨베이어 로울러(14)를 물품(Ac)이 구간(b)에 있어서의 캠 로울러(72)에 접촉할때까지 계속 작동된다.
단일 모우드에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서, 주로 제 14 도- 제 16 도를 참조하였지만, 제 9 도와 제 10 도도 참조한다. 단일 모우드에서는, 한번에 하나의 물품(A) 밖에 전진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도 또한, 물품(Aa)-(Ad)이 존재하여, 제 15 도, 1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간(a)-(d)의 각각에 있어서의 각 축적위치를 각각의 물품이 차지하고 있다는 가정한다. 즉 구간(a)에 있어서의 물품(Aa)이 구간(a)에 있어서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캠 로울러(72)상에 있고, 물품(Ab)이 구간(b)에 있어서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캠 로울러(72)상에 있다.
단일 모우드에서는, 제 14 도에 도시한 공기공급원으로부터 통로(108)을 경유하여 모든 트리거 밸브에 동시에 평행하게 공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집단모우드와는 달리, 모든 밸브몸체(86')가 가압되어 물품(A)이 각각의 컨베이어 구간에 있는지 없는지에 의해 공기를 보낼 준비를 할 수 있다. 공기공급원으로 부터 구간(a)에 있어서의 파일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밸브몸체(118)에까지 뻗어있는 통로(116)도 또한, 이러한 밸브몸체에 공기를 공급하여 밸브를 여는 작용만을 하고 있다.
물품(Aa)이 구간(a)에 있어서의 캠 로울러(72)를 압하하고 있으므로, 캠 종동자 아암(96)도 또한 압하된다. 따라서, 제 9 도와 10 도에 도시한 플런저 로드(100)도 마찬가지로 압하되어 구간(a)에 있어서의 밸브몸체(86')의 밸브를 열고, 통로(110)를 경유하여 구간(a)에 있어서의 파일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파일롯 작동자(114)에 접속한 T-자형 부착통로(112)에 공기를 공급한다. 파일롯 작동자(114)에 공기가 공급되면, 파일롯 작동자(114)는 파일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밸브몸체(118)의 밸브를 작동시켜 이 밸브를 열고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뻗어있는 통로(116)로부터 통로 (40)를 경유하여 구간(a)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리더에 공기가 흐르도록 한다.
제 5 도와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38)에 공급된 공기는 피스톤로드(42)를 하방으로 운동시켜 슈즈(48)과 (50)를 함께 움직여서, 구간(a)에 있어서의 토크튜브(24a)와 슬리이브(56)을 함께 클램핑한다. 이러한 클램핑력은 토크튜브(24a)의 운동을 억제하여 중단없이 회전하고 있는 구동축(22)을 토크튜브에 상대적으로 미끄러뜨려서, 구간(a)에 있어서의 컨베이어 로울러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충분히 부가된 상태에서, 즉 구간(a)-(d)에 각각 물품(Aa)-(Ad)이 있으면, 구간(a)에 있어서의 T-자형 부착통로(112)로부터 통로(116)를 경유하여 구간(b)에 있어서의 파일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밸브몸체(118)에도 공기가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간(a)에 있어서의 T-자형 부착통로(88')로 부터 통로(108)를 경유하여 구간(b)에 있어서의 T-자형 부착통로(88')에 공기가 중단없이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구간(b)에 있어서의 물품(Ab)이 구간(b)에 있어서의 캠 로울러(72)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간(b)에 있어서의 트리거 어셈블리(16')의 캠 로울러(96)는 압하되고 구간(b)에 있어서의 밸브몸체(86')의 밸브를 열어서, 통로(110)을 경유하여 구간(a)에 있어서의 파일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파일롯 작동자(114)에 접속한 T-자형 부착통로(112)에 공기가 흐르도록 한다. 이러한 T-자형 부착통로(112)에 흐른 공기는 파일롯 작동자(114)를 작동시켜 밸브몸체(118)의 밸브를 열어서 통로(40)를 경유하여 구간(b)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에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는 구간(b)에 있어서의 실린더(38)의 피스톤로드(42)를 하방으로 운동시키고, 슬리이브(56)과 토크튜브(24b)를 클램핑하여 토크튜브(24b)의 운동을 억제하여 구동축(22)을 토크튜브에 상대적으로 미끄러뜨려서 구간(b)에 있어서의 로울러(14)를 제거한다.
이와 같은 수순이 상류쪽으로 계속함에 따라, 구간(a)-(d)에 물품이 축적되어 있으므로 구간(a)-(b)의 각각에 있어서의 로울러(14)는 전부 정지된다.
물품(Aa)이 컨베이어구간(a)으로부터 제거되었다고 가정하면 물품(Aa)이 지나가면, 로울러 구간(a)에 있어서 캠 로울러(72)가 상승하여 구간(a)에 있어서의 밸브몸체(86')의 캠 종동자 아암(96)도 또한 상승된다. 이렇게되면, 구간(a)에 있어서의 밸브몸체(86')의 밸브가 닫히고 파일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파일롯 작동자(114)에 접속된 T-자형 부착통로(112)에까지 뻗어있는 통로(110)의 공기를 차단한다. 이렇게 되면, 파일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밸브몸체(118)의 밸브도 또 닫히게 되어 공급원과 통로(116)로부터 통로(40)와 구간(a)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의 공기를 차단한다.
제 5 도와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어셈블리(18)에 동력이 제거되어 있으면,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피스톤로드(42)는 상향으로 운동하여 슈즈(48)(50)를 서로 떨어뜨려서 슬리이브(56)과 토크튜브(24a)를 해방하고, 이들 토크튜브와 슬리이브가 구동축(22)에 의해 다시 회전되어서 구간(a)에 있어서의 로울러(14)에 동력을 가한다.
구간(a)에 있어서의 밸브몸체(86')의 밸브가 폐쇄되면, 공기는 구간(a)에 있어서의 파일롯 작동자(114)의 T-자형 부착통로(112) 뿐만 아니라 구간(b)에 있어서의 파일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밸브몸체(118)에 까지 뻗어있는 통로(116)의 공기도 차단된다. 이와 같이 공기가 없으면, 밸브몸체(118)로부터 구간(b)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에 까지 뻗어있는 통로(40)에는 공기가 없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도 또한 동력을 잃게되어, 그것에 의해 토크튜브(24b)로부터의 억제력도 제거되며, 아울러 구동축(22)은 구간(b)에 있어서의 토크튜브(24)를 회전시키게 되어, 구간(b)에 있어서의 컨베이어 로울러(14)에 동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다음의 물품(Ab)은 구간(b)으로부터 전진되어서 구간(a)에 있어서의 제거된 물품(Aa)에 대신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때에는 구간(c), (d)에 남는 물품의 어느 것도 이동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물품은 물품(Ab)이 구간(b)에서 캠 로울러(72)를 지날때까지는 이동하지 않는다. 물품(Ab)이 존재하므로서 구간(b)에서 캠 로울러(72)와 그 캠 종동자 아암(96)을 압하하고 있는한, 밸브몸체(86')의 밸브가 열려있어서 통로(108)로부터 구간(b)에 있어서의 밸브몸체(86')와, 통로(110)와, 구간(b)에 있어서의 파일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파일롯 작동차(114)에 접속된 T-자형 부착통로(112) 및 통로(116)를 경유하여 구간(c)에 있어서의 밸브몸체(118)에 공기를 보낸다. 구간(c)에서 파일롯 밸브 어셈블리(106)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 공기는 밸브몸체(118)와 통로(40)를 경유하여 구간(c)에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에 계속 흘러서 이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작동시키고 구간(c)에서의 토크튜브(24c)의 회전을 억제 한다.
물품(Ab)이 구간(b)에 있어서의 캠 로울러(72)를 이탈하면, 캠 로울러는 상방향으로 운동하여 구간(b)에서의 밸브몸체(86')의 밸브를 폐쇄시킨다. 이 밸브가 폐쇄되면, 통로(110)와, T-자형 부착통로(112)와, 구간(c)에서의 파일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밸브몸체(118)에 접속된 통로(116)에로의 공기가 차단된다. 이 밸브몸체(118)가, 구간(c)에 있어서의 밸브몸체(86')의 압하된 캠 종동자 아암(96)으로부터 뻗어있는 통로(110)로부터 공기를 수령하기 때문에 개방되어 있었다고 해도, 구간(c)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에까지 뻗은 통로(40)에는 더이상 공기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동력을 제거하고, 구간(c)에 있어서의 토크튜브(24c)의 회전을 개시하여 구간(a)에서의 로울러(14)를 회전시키고, 구간(a)으로 이동한 물품(Ab)에 대신하기 위해 물품(Ac)을 구간(b)을 향해 이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일 모우드에서는, 물품의 각각이 하나씩 개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령 물품이, 예를들어 구간(a), (b)에 축적하여 이 구간에서 로울러(14)가 정지한다 하더라도 전구간에 물품이 찰때까지 물품(Ac), (Ad)은 상류측 구간으로 계속해서 이동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제 1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뻗어있는 통로(108)가 밸브몸체(86')의 각각에 평행하게 접속되어 각각의 캠 종동자 아암(96)이 압하되지 않은때에는 밸브몸체가 언제라도 작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품(Aa), (Ab)가 구간(a), (b)에 있어서 축적된 위치에 있지만 물품(Ac)이 구간(c)에 까지는 아직 도달하지 못했다고 가정하면, 구간(c)에서의 캠 로울러(72)는 압하되지는 않다. 이 상태에서는, 구간(c)에서의 캠 로울러(96)은 인상되어 있고, 구간(c)에서의 밸브몸체(86')의 밸브는 폐쇄되고, 그것에 의해 구간(c)에서의 파일롯 밸브 어셈블리(106)의 파일롯 작동자(114)의 T-자형 부착통로(112)에 접속된 통로(110)로의 공기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공기가 없으면, 파일롯 작동자(114)는 밸브몸체(118)의 밸브를 폐쇄하고, 통로(40)와 구간(c)에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로의 공기를 차단하여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동력이 차단되고 구간(c)에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18)의 실린더(38)로의 공기를 차단하여 토크튜브(24c)가 구동축(22)에 의해 회전되어서 구간(c)에서의 컨베이어 로울러(14)에 동력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서, 물품(Ac)는 구간(c)에 있어서 캠 로울러(72)를 압하될때까지 공급되어, 이 물품이 캠 로울러(72)를 압하하면 구간(c)에서의 로울러(14)는 동력을 잃게된다.
제 11 도 내지 16 도에는 컨베이어가 4부분으로 밖에 구분되어 있지않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는 것없이 소망에 따라서 구간의 수를 증감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어회로를 공기 시스템만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 한다면, 유압, 전기 또는 기계적 제어장치여도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것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내용으로 부터, 이상 설명한 제로압력 축적 컨베이어와 트리거 어셈블리는 물품이 각각 축적위치에 도달하면, 라이브 로울러(14)를 확실하게 감속시키는 구조로된 것에 의해 축적하고 있는 물품이 상호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데 명확한 이점을 발생한다.
더우기, 컨베이어의 어떠한 로울러도 제거할 필요가 없이 트리거 어셈블리를 컨베이어에 설치할 수 있고, 컨베이어에 운송되고 있는 물품이 트리거 어셈블리에 의해 방해됨이 없이 컨베이어 위를 어느쪽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의 몇가지 응용을 예시한 것에 불과한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와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 변경을 당업자라면 행할 수 있다.

Claims (27)

  1. 일평면에 배치되어, 물품을 운송하기 위해 운송되는 물품의 운동통로의 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둔 복수의 컨베이어 로울러를 가지는 컨베이어상의 물품의 존재를 감지하는 트리거 어셈블리에 있어서, 컨베이어 로울러(14)의 회전축선(Y)의 높이 또는 그 상방에 있는 축선(X)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하도록 지지되 세장한 캠(64)과, 상기 캠(64)상에, 지지위치로부터 당해 캠의 일단을 행해서 간격진 위치에 설치되고, 한쌍의 간격진 컨베이어 로울러(14) 사이를 상방으로 뻗도록된 제 1 렉부가 있고, 물품이 없는 경우에, 렉부의 상단 단부가 컨베이어 로울러의 평면의 상방으로 뻗은 제 1 의 상방위치와, 렉부의 상단부가 컨베이어상을 어느쪽 방향으로도 운동하고 있는 물품에 의해 눌려서, 컨베이어 로울러의 상면에 형성하는 평면내에 있는 제 2 의 하방위치와의 사이를 움직이는 제 1 렉부(66)와, 컨베이어의 측부홈형 부재상에 지지된 밸브몸체(86)와, 캠 종동자 아암(96)과, 상기 캠 종동자 아암에 부착된 로울러(98)와 접촉하여, 상기 밸브몸체(86)내의 밸브를 작동하고, 캠로울러(98)를 캠(64)의 하측에 압접시키도록 컨베이어의 측부홈형부재에 피봇운동하게 지지된 플런저 로드(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렉부(66)의 일단부 부근에 지지되어 컨베어어 로울러 사이에 뻗은 캠 로울러(72)를 포함하고, 이 로울러가 컨베이어 로울러의 회전축선(Y)과 평행한 축선(Z)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이 캠 로울러(72)의 회전축선은, 캠 로울러가 그 제 1 의 상방위치에 있을때, 컨베이어 로울러의 평면의 하방에 유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64)은 컨베이어에 지지된 상방으로 뻗어있는 제 2의 렉부(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64)상에, 상기 일단과 반대방향을 향하여 지지위치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된 평형추(76)를 포함하고, 이 평형추가, 물품이 없는 경우에, 제 1의 렉부(66)를 제 1 의 위치로 이동하기위해 캠을 그 축선(X)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64)이 컨베이어 로울러(14)의 양 단부에 서로 간격진 관계로 지지된 한쌍의 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 로울러(72)는 각 캠의 제 1 렉부(66) 사이에서 컨베이어 로울러의 횡방향으로 뻗고, 상기 밸브몸체(86)의 밸브가 적어도 하나의 캠의 피봇운동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가, 컨베이어 로울러(14)의 어느것도 제거하는 것 없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렉부(66)는, 켄베이어 로울러(14) 사이에 형성된 스페이스에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64)이 컨베이어에 지지된 상방으로 뻗어있는 제 2의 렉부(68)를 포함하고, 평형추(76)가 캠상에, 상기 일단과 반대방향을 향하여 지지위치로 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물품이 없는 경우에 제 1 의 렉부(66)를 제 1 의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캠을 그 축선(X)을 중심으로 피봇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캠(64)이 컨베이어 로울러(14)의 양 단부에 서로 간격진 관계로 지지된 한쌍의 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 로울러(72)는 각 캠의 제 1 렉부(66) 사이에서 컨베이어 로울러의 횡방향으로 뻗고, 상기 밸브몸체(86)의 밸브가 적어도 하나의 캠의 피복 운동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가 컨베이어 로울러(14)의 어느것도 제거하는 것 없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로울러(72)는 컨베이어 로울러(14) 사이에 형성된 스페이스에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12. 컨베이어에 있어서, 제 1 항의 트리거 어셈블리와, 복수의 라이브 컨베이어 로울러(14)와, 상기 컨베이어 로울러를 회전하는 구동축(22)과, 상기 구동축은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 렉부(66)가 상기 제 1 의 위치에 있으면, 상기 컨베이어 로울러를 회전하고,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 렉부가 상기 제 2 의 위치에 있으면 상기 컨베이어 로울러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에 응답하여 공압적, 유압적,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공기실린더(38) 및 통로(40)가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로울러(14)는 컨베이어 로울러상의 물품의 운송경로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진 상기 로울러를 몇개의 구간(a)-(d)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동축(22)은 상기 로울러의 각 구간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트리거 어셈불리(16) 가운데 하나는 상기 각 구간상에 물품이 있는 것을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린더(38) 및 통로(40)는 트리거 어셈블리(16)의 각각과 상기 구동축(22)을 결합하여 상기 구간(a)-(d)을 집단 모우드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린더(38) 및 통로(40)는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16')의 각각과 상기 구동축(22)을 결합하여 상기 구간(a)-(d)을 단일 모우드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켄베이어.
  16. 컨베이어에 있어서, 제 2 항의 트리거 어셈블리와, 복수의 라이브 컨베이어 로울러(14)와, 상기 컨베이어 로울러를 회전하는 구동축(22)과, 상기 구동축은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 렉부(66)가 상기 제 1 의 위치에 있으면, 상기 컨베이어 로울러를 회전하고,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 렉부가 상기 제 2 의 위치에 있으면 상기 컨베이어 로울러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에 응답하여 공압적, 유압적,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공기실린더(38) 및 통로(40)가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로울러(14)는 컨베이어 로울러상의 물품의 운송 경로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진 상기 로울러를 몇개의 구간(a)-(d)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동축(22)은 상기 로울러의 각 구간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16) 가운데 하나는 상기 각 구간상에 물품이 있는 것을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린더(38) 및 통로(40)는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16)의 각각과 상기 구동축(22)을 결합하여 상기 구간(a)-(d)을 집단 모우드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린더(38) 및 통로(40)는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16')의 각각과 상기 구동축(22)을 결합하여 상기 구간(a)-(d)을 단일 모우드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0. 컨베이어에 있어서, 제 7 항의 트리거 어셈블리와, 복수의 라이브 컨베이어 로울러(14)와, 상기 컨베이어 로울러를 회전하는 구동축(22)과, 상기 구동축은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 렉부(66)가 상기 제 1 의 위치에 있으면, 상기 컨베이어 로울러를 회전하고,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 렉부가 상기 제 2 의 위치에 있으면 상기 컨베이어 로울러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에 응답하여 공압적, 유압적,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공기실린더(38) 및 통로(40)가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로울러(14)는 컨베이어 로울러상의 물품의 운송경로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진 상기 로울러를 몇개의 구간(a)-(d)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동축(22)은 상기 로울러의 각 구간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16) 가운데 하나는 상기 각 구간상에 물품이 있는 것을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린더(38) 및 통로(40)는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16)의 각각과 상기 구동축(22)을 결합하여 상기 구간(a)-(d)을 집단모우드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린더(38) 및 통로(40)는 상기 제어수단이 트리거 어셈블리(16')의 각각과 상기 구동축(22)을 결합하여 상기 구간(a)-(d)을 단일 모우드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4. 컨베이어에 있어서, 제 11 항의 트리거 어셈블리와, 복수의 라이브 컨베이어 로울러(14)와, 상기 컨베이어 로울러를 회전하는 구동축(22)과, 상기 구동축은 상기 캠 로울러(72)가 상기 제 1 의 위치에 있으면, 상기 컨베이어 로울러를 회전하고, 상기 캠 로울러(72)가 상기 제 2 의 위치에 있으면 상기 컨베이어 로울러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에 응답하여 공압적, 유압적,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제외되는 공기실린더(38) 및 통로(40)가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로울러(14)는 컨베이어 로울러상의 물품의 운송경로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진 상기 로울러를 몇개의 구간(a)-(d)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동축(22)은 상기 로울러의 각 구간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16) 가운데 하나는 상기 각 구간상에 물품이 있는 것을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린더(38) 및 통로(40)는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16)의 각각과 상기 구동축(22)을 결합하여 상기 구간(a)-(d)을 집단 모우드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린더(38) 및 통로(40)는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16')의 각각과 상기 구동축(22)을 결합하여 상기 구간(a)-(d)을 단일 모우드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KR1019830000315A 1982-01-27 1983-01-27 트리거 어셈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KR930008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266182A 1982-01-27 1982-01-27
US342661 1982-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208A KR840003208A (ko) 1984-08-20
KR930008964B1 true KR930008964B1 (ko) 1993-09-17

Family

ID=2334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315A KR930008964B1 (ko) 1982-01-27 1983-01-27 트리거 어셈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S58135024A (ko)
KR (1) KR930008964B1 (ko)
AU (1) AU563485B2 (ko)
CA (1) CA1201678A (ko)
DE (1) DE3237598C2 (ko)
GB (1) GB2113638B (ko)
MX (1) MX1587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2644A (en) * 1982-01-27 1991-08-27 Ermanco Incorporated Zero pressure accumulation conveyor and trigger assembly
US4817784A (en) * 1982-05-27 1989-04-04 Figgie International Inc. Zero pressure accumulating conveyor control
JPH0213378Y2 (ko) * 1984-11-12 1990-04-13
US4854445A (en) * 1985-11-12 1989-08-08 Figgie International Inc. Wide range accumulator conveyor
JP2539666B2 (ja) * 1988-06-23 1996-10-02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循環式物品収納装置
JPH0620741Y2 (ja) * 1989-01-31 1994-06-01 株式会社ダイフク ローラコンベ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6788A (en) * 1960-08-25 1962-12-04 Western Electric Co Apparatus for advancing articles
DE2029395A1 (de) * 1970-06-15 1971-12-23 Stöhr Förderanlagen Salzer GmbH, 6050 Offenbach Rollenbahn-Förderer
US3643788A (en) * 1970-07-06 1972-02-22 Alvey Inc Accumulation live roller conveyor
US3840110A (en) * 1972-07-24 1974-10-08 Ermanco Inc Conveyor apparatus
US4103769A (en) * 1976-07-06 1978-08-01 Stone Conveyor, Inc. (Entire) Live roller conveyor
US4164998A (en) * 1977-02-16 1979-08-21 David A. DeGood Accumulation live roller conveyor
JPS56149906A (en) * 1980-04-23 1981-11-20 Okura Yusoki Co Ltd Transf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785182A (en) 1983-08-04
DE3237598C2 (de) 1996-05-30
JPH0251804B2 (ko) 1990-11-08
DE3237598A1 (de) 1983-08-04
GB2113638A (en) 1983-08-10
GB2113638B (en) 1986-02-12
CA1201678A (en) 1986-03-11
AU563485B2 (en) 1987-07-09
MX158747A (es) 1989-03-10
KR840003208A (ko) 1984-08-20
JPS58135024A (ja) 198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2644A (en) Zero pressure accumulation conveyor and trigger assembly
US4096942A (en) Roller type of conveyor
US5117961A (en) Conveying apparatus and article diverter
US3724642A (en) Accumulator with braking
US3768630A (en) Accumulator with automatic override
CA1046972A (en) Accumulating conveyor
US4819788A (en) Zero pressure accumulation conveyor and brake assembly
CA2216710C (en) Powered conveyor belt turn
US4264005A (en) Powered roller conveyor with drive disengaging means
US5445493A (en) Apparatus for palletizing/unitizing easily compressible products
RU223069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тары на линии конвейера
US20050095114A1 (en) Pallet stacker system
US7748520B1 (en) Slip roller conveyor
CA1151581A (en) Drive/take-up assembly for accumulating live roller conveyor systems
US4372441A (en) Accumulating conveyor
US4609098A (en) Zero pressure accumulating conveyor and module
KR930008964B1 (ko) 트리거 어셈블리 및 그것이 장착된 컨베이어
US4301914A (en) Accumulating conveyor
US5220996A (en) Conveyor system
US3631967A (en) Accumulator conveyor system
US4238029A (en) Accumulating conveyor
CA1271154A (en) Wide range accumulator conveyor
CA1312632C (en) Right angle flow-through jump transfer conveyer system
US20030079958A1 (en) Sorting system
US3269519A (en) High speed take-o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