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872Y1 - 엘리베이터 신호회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신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872Y1
KR840002872Y1 KR2019820008451U KR820008451U KR840002872Y1 KR 840002872 Y1 KR840002872 Y1 KR 840002872Y1 KR 2019820008451 U KR2019820008451 U KR 2019820008451U KR 820008451 U KR820008451 U KR 820008451U KR 840002872 Y1 KR840002872 Y1 KR 840002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ntact
command
door
command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8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055U (ko
Inventor
최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20008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872Y1/ko
Publication of KR840002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0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8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신호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도어 재열림 관계 신호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신호 등록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앞쪽과 뒷쪽 도어의 닫힘 지령 확인 릴레이
1F : 앞쪽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 1R : 뒷쪽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
4AF : 앞쪽 도어의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
4AR : 뒷쪽 도어의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
6HU,6HD : 앞쪽 도어의 재열림 지령 릴레이
4ARC : 뒷쪽 도어의 재열림 지령 릴레이
본 고안은 동일층에 엘리베이터 출입구가 앞쪽과 뒷쪽으로 2개소 설치된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일정층에 도착한 엘리베이터가 앞쪽과 뒷쪽의 도어를 동시에 열고나서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이경과한 후 도어가 닫히는 중에 엘리베이터를 이용 하려고 하는 승객이 승강장에 설치된 운전등록 버튼을 누르면 운전등록 버튼을 누른쪽의 도어만 다시 열리는 엘리베이터 신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관통형 엘리베이터 신호 회로에 있어서는 도어가 닫히는 중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려는 승객이 운전 등록버튼을 누르면 앞쪽과 뒷쪽의 양쪽 도어가 동시에 열리게 되므로서 필요 없는 쪽의 도어도 열리게 되어 대기 시간의 증대 및 필요없는 전력소비를 가져와 운전 효율이 낮은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엘리베이터의 앞, 뒷쪽의 문이 닫히는 도중에 운전 등록버튼을 누르면 운전 등록버튼을 누른쪽만 다시 열리게 하므로서 운전 효율이 향상되고 전력소비가 절감되는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 앞쪽과 뒷쪽 도어의 닫힘 지령 확인 릴레이.
1-1 : 닫힘 지령 확인 릴레이(1)의 b접점.
1 F : 앞쪽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
1F : -1닫힘 지령 릴레이(1F)의 a접점.
1R : 뒷쪽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
1R-1 : 닫힘 지령 릴레이(1R)의 a접점.
4AF : 앞쪽 도어의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
4AF-1,4AF-2 :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F)의 a접점.
4AR : 뒷쪽 도어의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
4AR-1,4AR-2 :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R)의 a접점.
5R-1,5R-2 : 목적층 도착직전(보통 110mm전)에 온되는 도어 열림 지역 확인 릴레이(5R : 도면에는 생략되었음)의 b접점.
4AT-1,4AT-2 : 도어가 완전히 열리고난뒤 일정 시간(보통 3초)카운트후 온(ON)되었다가 자체의 b접점에 의해 바로 오프되는 타이머(4AT : 도면에는 생략되었음)의 a접점.
6HU : 앞쪽 도어의 상방향 운전 등록버튼(7UF)에 의한 재열림 지령 릴레이.
6HU-1 : 재열림 지령 릴레이(6HU)의 b접점.
6HD : 앞쪽 도어의 하방향 운전 등록버튼(8DF)에 의한 재열림 지령 릴레이.
6HD-1 : 재열림 지령 릴레이(6HD)의 b접점.
4 : 등록된 부름에 의한 출발한 엘리베이터가 목적층에 도착 하기전(약 3,5m)에 온 되었다가 도착하면 오프되는 감속지령 릴레이.
4-1 : 감속지령 릴레이(4)의 b접점.
2-1,-2-6 : 운전 릴레이(2 : 도면에는 생략되었음)의 a,b접점.
9-1,-9-4 : 엘리베이터가 등록층에 도착했을때 온되는 릴레이(9 : 도면에는 생략되었음)이 a,b접점.
7 R : 상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7)에 직렬 연결된 리셋트 저항.
7 : 상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
7-1,7-2 : 상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7)의 a접점.
8R : 하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8)에 직렬 연결된 리셋트 저항.
8 : 하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
8-1,8-2 : 하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8)의 a접점.
7UR : 뒷쪽의 상방향 운전등록버튼.
7UF : 앞쪽의 상방향 운전등록버튼.
8DR : 뒷쪽의 하방향 운전등록버튼.
8DF : 앞쪽의 하방향 운전등록버튼.
D1,D2,D3: 역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블로킹)다이오드.
4ARC : 뒷쪽 도어의 재열림 지령 릴레이.
4ARC-1 : 재열림 지령 릴레이(4ARC)의 b접점.
4ARCR : 재열림 지령 릴레이(4ARC)에 직렬 연결된 저항.
S1…Sn : 각층용 고정접점.
F1…Fn : 엘리베이터 움직임과 동기하는 가동접점.
a접점( )은 릴레이가 동작하면 단락(Close)되고 동작하지 않으면 개방(Open)되는 접점이고,
b접점( )은 릴레이가 동작하면 개방(Open)되고 동작하지 않으면 단락(Close)되는 접점이다.
직렬 접속된 앞, 뒷쪽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1F)(1R)의 접점(1F-1)(1R-1)에 닫힘 지령 확인릴레이(1)를 직렬 접속시키고, 직렬 접속된 앞쪽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1F)의 접점(1F-2), 도어 열림 지역 확인 릴레이(5R)의 접점(5R-1) 및 운전 릴레이(2)의 접점(2-4)을 앞쪽 도어의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F)의 접점(4AF-1)에 병렬로 접속하여 이를 앞쪽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1F)에 직렬 접속시키며, 직렬 접속된 뒷쪽 도어의 닫힘 지령릴레이(1R)의 접점(1R-2), 도어 열림 지역 확인 릴레이(5R)의 접점(5R-2) 및 운전 릴레이의 접점(2-5)을 뒷쪽도어의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R)의 접점(4AR-1)에 병렬로 접속하여 뒷쪽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1R)에 직렬 접속시킨다.
또한 감속 지령 릴레이(4)의 접점(4-1)에 재열림 지령 릴레이(6HU)(6HD)의 접점(6HU-1)(6HD-1) 및 앞쪽도어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F)의 접점(4AF-2)에 병렬 접속된 타이머(AT)의 접점(4AT-1)을 직렬로 하여(4AF)에 직렬 접속시킨다.
또한, 감속 지령 릴레이(4)의 접점(4-1)에 뒷쪽 도어의 재열림 지령 릴레이(4ARC)의 접점(4ARC-1) 및 뒷쪽 도어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R)의 접점(4AR-2)에 병렬 접속된 타이머(4AT)의 접점(4AT-2)을 직렬로 하여 뒷쪽 도어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R)에 직렬접속시키며, 엘리베이터가 등록층에 도착했을때 온 되는 릴레이의 접점(9-4)은 상, 하 방향운전 지령릴레이(7)(8)의 접점(7-2)(8-2)에 각각 접속하여 재 열림 지령 릴레이(6HU)(6HD)에 각각 직렬 접속하고, 운전 릴레이(2)의 접점(2-6)은 감속 지령 릴레이(4)에 직렬로 접속하여 가동접점(Fn), 고정 접점(Sn)에 직렬 접속시켜 구성한다.
또한, 전원단자(P)(N)사이에 저항(7R)을 통하여 직렬 접속된 작은 값의 내부 저항을 가지는 상방향 운전 지령릴레이(7)는 앞, 뒷쪽의 상방향 운전 등록버튼(7UF)(7UR) 및 상방향 운전 릴레이(7)의 접점(7-1)에 일단을 접속시키고 앞, 뒷쪽의 상방향 운전 등록버튼(7UR)(7UF)사이에 다이오드(D1)를 통하여, 병렬 접속된 릴레이(9)의 접점(9-1) 및 운전 릴레이(2)의 접점(2-1)에 접속시키고, 저항(8R)을 통하여 직렬 접속된 작은값의 내부 저항을 가지는 하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8)는 앞, 뒷쪽의 하방향 운전 등록버튼(8DF)(8DR) 및 하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8)의 접점(8-1)에 일단을 접속시키고, 앞, 뒷쪽의 하방향 운전 등록버튼(8DF)(8DR)사이에 다이오드(D2)를 통하여, 병렬 접속된 릴레이(9)의 접점(9-2) 및 운전릴레이(2)의 접점(2-2)에 접속시킨다. 각각 직렬 접속된 저항(7R), 상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7), 상방향 운전 등록버튼(7UR)과 저항(8R), 하방향 운전지령 릴레이(8), 하방향 운전등록버튼(8DR)과의 병렬접속점에 릴레이(9)의 접점(9-3), 운전 릴레이(2)의 접점(2-3), 다이오드(D3), 뒷쪽 도어의 재열림 지령 릴레이(4ARC) 및 저항(4ARCR)을 직렬 접속시킨다. 전원(P)에 접속된 리셋트 저항(7R)(8R)은 고정접점(S1)(S1')에 각각 직렬 접속시키어 고정 접점(F1)(F1')에 각각 직렬 접속시키고 각 고정 접점(F1)(F1')을 공접시키어 닫힘 지령 확인 릴레이(1)의 접점(1-1)에 접속시키어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가 주행중 또는 다른층에 멈추어 있을때 운전등록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뒷쪽의 상방향 운전 등록버튼(7UR)을 누른면 주행중 일때는 운전 릴레이의 접점(2-1)및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상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7)에 전원이 인가되고, 다른층에 멈추어 있을때는 엘리베이터가 등록층에 도착했을때 온 되는 릴레이(9)의 접점(9-1)에 의해 상방향 운전 지령릴레이(7)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상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7)는 동작되고, 따라서 그의 접점(7-1)은 접속되어 상방향 운전 지령릴레이(7)는 자기 유지되어 홀 부름이 등록된 층까지 엘리베이터는 주행하게 된다.
또한 앞쪽의 상방향 운전 등록버튼(7UF)을 누른 경우에는 앞쪽의 상방향 운전등록버튼(7UF)을 거쳐 상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7)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상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7)는 동작되고, 이에 따라 그의 접점(7-1)은 접속되어 상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7)는 자기 유지되어 홀 부름이 등록된 층까지 엘리베이터는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뒷쪽의 하방향 운전 등록버튼(8DR)을 누르면 다이오드(D2), 운전 릴레이의 접점(2-2) 또는 릴레이가 등록층에 도착했을때 온 되는 릴레이(9)의 접점(9-2)을 통하여 하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8)에전원이 인가되므로 하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8)는 동작되고, 따라서 그의 접점(8-1)이 접속되어 하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8)는 자기 유지되며, 하방향 운전 등록버튼(8DF)을 누른 경우는 하방향 운전 등록버튼(8DF)을 통하여 하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8)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하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8)는 동작되고, 따라서 그의 접점(8-1)이 접속되어 하방향 운전지령 릴레이(8)는 자기 유지되어 홀 부름이 등록된 층까지 엘리베이터는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부름이 등록된 층에 도착하기 얼마전에 감속 릴레이(4)는 동작되고, 이에 따라 그의 b접점(4-1)이 개방 되므로, 앞, 뒷쪽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F)(4AR)는 동작을 중지하여 그의 접점(4AF-1)(4AR-1)이 개방되어도 도어 열림 지역 확인 릴레이(5R)는 동작을 하지 않아 그의 접점(5R-1)(5R-2)이 접속되어 있으므로 앞뒷쪽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1F)(1R)에는 접점(1F-2,5R-1,2-4) 및 (1R-2,5R-2,2-5)을 각각 통해 전원이 인가되므로 앞, 뒷쪽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1F)(1R)는 동작되어 도어는 계속 닫힌 상태로 있게된다. 그러다가 엘리베이터가 등록된 층에 도착하기 직전(보통 110mm)에 도어 열림 지역 확인 릴레이(5)가 동작되어 그의 접점(5R-1)(5R-2)을 개방시키므로 앞, 뒷쪽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1F)(1R)는 동작을 중지하여 닫힘 지령 확인 릴레이(1)를 오프시키므로 앞, 뒤 도어는 열리게 되는 것이다.
즉, 엘리베이터가 등록층에 도착하면 감속지령 릴레이(4)는 동작을 중지하여 그의 접점(4-1)은 접속되고, 닫힘 지령확인 릴레이(1)의 접점(1-1)이 접속되며, 또한 고정 접점(S1,S1')에 가동접점(F1,F1')이 접속되므로 상하 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7,8)는 리세트 되어 그의 접점(7-2)(8-2)은 개방된다.
따라서 재 열림 지령 릴레이(6HU)(6HD)는 오프되어 그의 접점(6HU-1)(6HD-1)은 접속되며 또한 뒷쪽 도어의 재열림 지령 릴레이(4ARC)도 동작을 하지 않아 그의 접점(4ARC-1)은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이 완전히 열린 일정시간(보통 3초)후 타이머(4AT)의 접점(4AT-1)(4AT-2)이 접속되어 앞, 뒷쪽 도어의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F)(4AR)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F)(4AR)는 동작을 하고, 타이머(4AT)자체 b접점에 의해 바로 오프되나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F)(4AR)는 자체 접점(4AF-2)(4AR-2)에 의해 자기 유지되므로 계속 동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접점(4AF-1)(4AR-1)이 접속되어 앞, 뒤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1F,1R)는 동작되므로 앞뒤 도어는 닫히게 되고 또한 그의 접점(1F-1)(1R-1)이 접속되어 닫힘 지령 확인 릴레이(1)는 동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의 접점(1-1)은 개방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앞뒤 도어가 닫히고 있는 도중에 앞, 뒤 도어의 재열림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 뒤 도어가 동시에 닫히고 있는 도중에 뒷쪽의 상방향 운전 등록버튼(7UR)을 누르면 등록층에 도착하면 온되는 릴레이(9)의 접점(9-3)와, 운전 릴레이(2)의 b접점(2-3) 및 다이오드(D3)를 통하여 뒷쪽도어의 재열림 지령 릴레이(4ARC)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뒷쪽 도어의 재열림 지령 릴레이(4ARC)는 동작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뒷쪽 도어의 재열림 지령 릴레이(4ARC)의 내부 저항은 상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7)의 내부 저항 보다 2.5배 정도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7)에는 동작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뒷쪽 도어의 재열림 지령 릴레이(4ARC)만 동작되어 그의 접점(4ARC-1)을 개방시키므로 뒷쪽도어의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R)은 동작을 중지하고, 이에 따라 그의 접점(4AR-1)이 개방 되어 뒷쪽 도어의 닫힘 지령릴레이(1R)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뒷쪽 도어는 닫힘을 중지하고 다시 열리어서 승객에게 써비스를 행하며, 뒷쪽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1R)의 접점(1R-1)에 의해 닫힘 지령 확인 릴레이(1)가 동작을 중지하므로 그의 접점(1-1)이 접속되어 상방향운전 지령 릴레이(7)의 동작을 리세트 시킨다.
마찬가지로 앞, 뒤 도어가 동시에 닫히고 있는 도중에 뒷쪽의 하방향 운전 등록버튼(8DR)을 누르면 릴레이(9)의 접점(9-3), 운전 릴레이(2)의 접점(2-3), 다이오드(D3)를 통하여 뒷쪽 도어의 재열림 지령 릴레이(4ARC)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뒷쪽 도어의 재열림 지령 릴레이(4ARC)는 동작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이 뒷쪽 도어의 자동 닫힘 지령릴레이(4AR), 닫힘 지령 릴레이(1R) 및 닫힘 지령 확인 릴레이(1)는 동작을 중지하므로 뒷쪽 도어는 닫힘을 중지하여 다시 열리게 되고, 접점(1-1)의 접속에 의해 하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8)의 동작을 리세트 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뒷쪽 도어가 다시 완전히 열린 일정 시간후에는 상기에서와 같이 타이머(4AT)의 접점(4AT-2)이 접속되므로 뒷쪽 도어의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R)는 동작되고, 그의 접점(4AR-2)에 의해 자기 유지되므로 뒷쪽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1R), 닫힘 지령 확인 릴레이(1)는 동작되어 뒷쪽 도어는 다시 닫히는 것이다.
또한 앞, 뒤 도어가 동시에 닫히고 있는 도중에 앞쪽의 상방향 운전 등록버튼(7UF)을 누르면 상방향 운전 등록 릴레이(7)는 동작하여 그의 접점(7-1)이 접속되어 자기 유지되고, 또한 그의 접점(7-2)이 접속되어 앞쪽도어의 재열림 지령 릴레이(6HU)는 동작되므로 그의 접점(6HU-1)이 개방되어 앞쪽 도어의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F)는 동작을 중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앞쪽 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1F)와 닫힘 지령 확인 릴레이(1)는 차단 되어 앞쪽 도어는 다시 열리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어가 닫히고 있는 도중에 앞쪽의 하방향 운전등록버튼(8DF)을 누르면 상기에서와 같이 하방향 운전지령 릴레이(8)의 접점(8-2)이 접속되어 하방향 재열림 지령 릴레이(6HD)가 동작되므로 그의 접점(6HD-1)이 개방되어 앞쪽 도어의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F), 닫힘지령 릴레이(1F), 닫힘지령 확인 릴레이(1)의 동작을 중지시키므로 앞쪽 도어는 다시 열리는 것이다.
앞쪽 도어가 다시 완전히 열린 일정 시간 후에는 상기에서와 같이 타이머(4AT)의 접점(4AT-1)이 접속되어 앞쪽 도어의 자동 닫힘 지령 릴레이(4AF)를 동작시키고 그의 접점(4AF-2)에 의해 자기 유지되므로 앞쪽도어의 닫힘 지령 릴레이(1F) 및 닫힘 지령 확인 릴레이(1)는 동작되어 앞쪽 도어는 다시 닫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회로는 한층에 대한 것이나 각층수에 맞게 본 고안의 제2도의 회로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앞, 뒷쪽 도어가 동시에 닫히고 있는 도중에 운전 등록 버튼을 누르면 운전 등록 버튼을 누른쪽의 도어만 열리어 승객에게 서어비스를 행하므로 운전효율이 향상되고 필요 없는 전력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의 출입구가 앞쪽과 뒷쪽으로 2개소 설치된 관통형 엘리베이터 신호 회로에 있어서, 상, 하 방향 운전지령 릴레이(7),(8)의 일단에 리셋트 저항(7R),(8R)과, 고정접점, 가동 접점(S1,F1),(S1',F1')을 통하여는 앞뒤쪽 도어 닫힘 지령확인 릴레이(1)의 접점(1-1)을 공접하고, 뒷쪽의 상, 하 방향 운전등록버튼(7UR)(8DR)의 각 일단에 상기한 릴레이(7),(8)의 타단과, 상기 등록 버튼(7UR)(8DR)에 각각병렬 접속된 등록 버튼(7UF)릴레이(7)의 접점(7-1) 및 등록버튼(8DF), 릴레이(8)의 접점(8-1)을 접속하고, 상기 등록버튼(7UR),(8DR)의 각 타단에 릴레이(9)의 접점(9-3), 릴레이(2)의 접점(2-3), 다이오드(D3) 릴레이(4ARC) 및 저항(4ARCR)을 직렬로 접속하고, 다이오드(D1)를 통하여는 릴레이(9)의 접점(9-1)과 릴레이(2)의 접점(2-1)을 병렬 접속하고, 다이오드(D2)를 통하여는 릴레이(9)의 접점(9-2)과 릴레이(2)의 접점(2-2)을 병렬 접속하며, 재열림 지령릴레이(6HU),(6HD)에 각각 상기 릴레이(7), (8)의 접점(7-2),(8-2)을 공접하여 릴레이(9)의 접점(9-4)에 접속하고, 앞, 뒤쪽 도어의 자동 닫힘지령 릴레이(4AF),(4AR)에 각각 병렬 접속된 그의 접점(4AT-1),(4AT-2)과 접점(4AT-2),(AR-2)에 각각 릴레이(6HU)(6HD)의 접점(6HU-1),(6HD-1)과 재열림 지령릴레이(4ARC)의 접점(4ARC-1)을 직렬 연결시켜 공접하고, 이를 릴레이(4)의 접점(4-1)에 접속시키어 운전등록 버튼을 누른쪽의 도어만 다시 열리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신호회로.
KR2019820008451U 1982-10-27 1982-10-27 엘리베이터 신호회로 KR840002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8451U KR840002872Y1 (ko) 1982-10-27 1982-10-27 엘리베이터 신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8451U KR840002872Y1 (ko) 1982-10-27 1982-10-27 엘리베이터 신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055U KR840002055U (ko) 1984-05-28
KR840002872Y1 true KR840002872Y1 (ko) 1984-12-29

Family

ID=7214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8451U KR840002872Y1 (ko) 1982-10-27 1982-10-27 엘리베이터 신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8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055U (ko) 198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2872Y1 (ko) 엘리베이터 신호회로
US3376952A (en) Elevator "wild car" system in which one car is always the wild car
JP2569988B2 (ja) エレベーターの戸開閉装置
JPS5945585B2 (ja) エレベ−タの故障検出装置
JPS6346447Y2 (ko)
JPH0530070Y2 (ko)
JPS6149235B2 (ko)
JPH0114625Y2 (ko)
JP2619002B2 (ja) エレベータの戸制御装置
KR820000545Y1 (ko) 엘리베이터 귀빈 운전회로
JPS60306B2 (ja) エレベ−タの運転装置
JPS6139737Y2 (ko)
KR840002452Y1 (ko) 비상시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회로
KR940004407Y1 (ko)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승객 탑승 방지회로
US2501170A (en) Automatic elevator
JPS592057Y2 (ja) エレベ−タの呼び登録装置
US1777131A (en) Push-button elevator-control system
JPH0141749Y2 (ko)
JPH0535968Y2 (ko)
JP2866235B2 (ja) 車椅子用エレベータの戸の制御装置
KR890007325Y1 (ko) 입체 주차장의 광전장치 고장시 구동회로
KR940000680Y1 (ko) 엘리베이터 정전시 구출운전회로
JPS5911974Y2 (ja) エレベ−タ
JPH04191286A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US3298464A (en) Elevator control 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