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641Y1 - 스테레오·모노럴 자동절환장치(自動切換裝置) - Google Patents

스테레오·모노럴 자동절환장치(自動切換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641Y1
KR840002641Y1 KR2019810002915U KR810002915U KR840002641Y1 KR 840002641 Y1 KR840002641 Y1 KR 840002641Y1 KR 2019810002915 U KR2019810002915 U KR 2019810002915U KR 810002915 U KR810002915 U KR 810002915U KR 840002641 Y1 KR840002641 Y1 KR 840002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aural
sound
jack
transistor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2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059U (ko
Inventor
노부유끼 구로사와
스다가즈아끼
Original Assignee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10002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641Y1/ko
Publication of KR8300010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0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6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6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테레오·모노럴 자동절환장치(自動切換裝置)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2a도는 본 고안의 스테레오·모노럴 선택회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바이노럴플러그의 한 실시 예를나타내는 개략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스테레오·모노럴 선택회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모노럴플러그의 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6실시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제7실시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포닉 작동 상태 또는 모노럴 작동상태중 어느 것으로든지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는 스테레오·모노럴 선택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잭에 일정한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증폭기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을 스테레오 작동상태 또는 모노럴 작동상태중, 어느 것이든지 선택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스테레오·모노럴 자동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팩트 규모로 제안된 스테레오 포닉 사운드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충분한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지않았기 때문에 싱글스피이커가 설치되었으며, 또 특별히 스테레오 포닉 잭이 설치되었던 것이다.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하여 싱글스피이커를 사용할 경우에는 스테레오 포닉채널의 스테레오포닉 사운드신호의 하나가모노럴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해서 상기 스피커에 가해진다. 스테레오 포닉사운드는 스테레오 포닉 잭으로 삽입되는 바이노럴플러그를 가진 스테레오 포닉헤드폰에 의하여 재생된다.
상기 스피이커에 의하여 생기는 재생음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청취자가 L채널 및 R채널의 스테레오 포닉사운드 신호가 보통의 스테레오음악을 나타내는 경우에도 부자연스럽고, 이상한 음을 느낄 수 있으며, 또 청취자는 L 및 R 채널의 스테레오 포닉사운드 신호가 서로 상이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때 필요한 정보를 들을 수가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청취자가 듣는 이 음은 L 및 R 채널에서 송신되는 스테레오포닉사운드 신호의 한계에서만 재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피이커에 의해서 음을 재생할 경우, L및 R채널의 스테레오 포닉사운드 신호를 함께 스피이커에 가해 주고, 또 스테레오 포닉헤드폰에 의하여 음을 재생할 경우에 L및 R채널의 스테레오포 닉사운드 신호를 각각 스테레오 포닉헤드폰에 가해 주는 제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 스피이커나 스테레오 포닉헤드폰을 선택하기 위한 수동스위치장치와 회로에 대하여 모노럴 작동상태나 스테레오 포닉작동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또 다른 수동스위치장치가 본 장치의 외부에 설치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로하여 상기 두 스위치장치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는 페단이 있었다.
또한, 스테레오 포닉사운드 재생장치는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포닉헤드폰 뿐만 아니라 모노럴 이어폰으로사운드를 재생하는데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모노럴 잭이 상기 스테레오 포닉잭 이외에 본 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본 장치의 스페이스 점유와 본 장치의 사용 가능성에 있어서 바람직스럽지 못한 문제를 일으키며, 또 상기 모노럴 이어폰에 의해서 재생되는 음은 상기 스피이커에 의하여 재생되는 음에 고유한 폐단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과 폐단은 또한 이미 제안된 스테레오 포닉사운드 재생장치에도 존재한다. 녹음될 사운드신호와 같이 공급되는 외부 플러그와 함께 사용되는, 이미 제안된 스테레오 포닉사운드 재생장치에 있어서, 각 플러그는 마이크로폰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한쌍의 독립 잭은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하여 L및 R녹음채널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또 모노럴 사운드신호를 녹음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에서 L 및 R채널에 가해지는 두 사운드신호는 혼합되거나 이들 두 신호의 한개가 선택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스테레오사운드 녹음장치는 회로구성에 있어서 복잡하며 조작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미 제안된 스테레오 포닉사운드 재생 및/또는 녹음장치에 수반되는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신규한 스테레오·모노럴 선택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동제어스위치 장치를 사용함이 없이, 자동적으로 스테레오 포닉사운드 신호출력 또는 모노럴 사운드신호 출력을 선택할 수 있는 스테레오·모노럴 선택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확실한 선택조작과 간단한 구성을 갖춘 스테레오·모노럴 선택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콤팩트 스테레오 포닉사운드 재생및/또는 녹음장치에 적합하도록 매우 제한된 스페이스를 차지하는 개량된 잭 연결회로 부분을 갖춘 스테레오·모노럴 선택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작하기 용이한 스테레오·모노럴 선택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테레오 포닉헤드폰에 사용 가능한 한쌍의 사운드 신호 출력을 조작중, 항시 발생시킬 수 있는 스테레오·모노럴 선택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노럴플러그와 모노럴플러그 중 어느 한개에 접속시킬 수 있는 잭을 갖춘 스테레오·모노럴 선택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 도면과 실시예에 명백히 나타나 있으며,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번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스테레오·모노럴 선택회로의 기본 구성예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스테레오 포닉사운드 신호의 하나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 A1예컨대, 스테레오 잭(J)의 가동접편(SL)에 입력단자(INL)에 공급되는 L체널신호를 송신하며, 스테레오 포닉 사운드신호의 다른 하나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 A2는 예컨대, 스테레오 포닉잭(J)의 가동접편(SR)에 입력단자(INR)에 가해지는 R채널신호를 송신한다. 고정접편(SLF) 및 (SRF)는 각기 가동접편(SL) 및(SR)에 대하여 위치하며, 두쌍의 가동접편(SL) 및 고정접편(SLF)과 가동접편(SR)및 고정접편(SRF)은 각기 통상적으로 닫혀 있는 스위치를 구성한다. 이들 스위치의 고정접편(SRF)은 저항기(R1)를 통하여 증폭기 A1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이들 스위치의 다른 고정접편(SLF)은 스피이커(SP)의 단자의 하나에 접속된다. 잭(J)의 접지단자(E)와 스피이커(SP)의 다른단자는 모두 접지되어 있다.
다음에, 제1도에 표시된 회로의 조작은 아래에 기술되어 있다. 잭(J)이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을 경우 가동접편(SL), 고정접편(SLF), 가동접편(SR) 및 고정접편(SRF)에 의해 형성되는 스위치들은 닫힘으로써 증폭기(A2)에서 도출되는 R채널신호는 가동접편(SR), 고정접편(SRF) 및 저항기(R1)를 통해서 증폭기(A1)에 공급된다. 그 결과 L채널신호 및 R채널신호의 혼합출력은 증폭기(A1)의 출력단에서 얻어진다. 이 혼합출력은 가동접편(SL) 및 고정접편(SLF)을 통해서 스피이커(SP)에 가해진다. 그리고 서로 혼합된 L채널신호와 R채널신호에서 재생되는 모노럴 사운드는 스피이커(SP)에서 얻어진다.
한편, 예를들면, 스테레오포닉 헤드폰에 부착되어 있는 제2a도에 표시된 바이노럴플러그의 경우를 다음에 설명한다. 바이노럴플러그(Ps)는 L채널신호를 위한 단자(CL), R채널신호를 위한 단자(CR) 및 접지단자(CE)가 이들 단자 사이에 놓여 있는 절연체(1)와 함께 설치되어 있는 싱글헤드 드리포울식으로 이루어져였다. 이 바이노럴플러그(Ps)가 잭(J)에 삽입될때, 단자(CL) 및 (CR)는 각기 이동접편(SL) 및 (SR)에 접속되며, 동시에 가동접편(SL) 및 (SR)는 고정접편(SLF)및 (SRF)에서 떨어지고 따라서 이들 접편에 의하여 형성된 스위치는 열린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증폭기(A1)의 출력은 스피이커(SP)에 가해지지 않고 가동접점(SL) 및 단자(CL)를 통하여 스테레오 포닉헤드폰내에 포함된 L채널 스피이커에 가해진다. 그리고 증폭기(A2)의 출력은 증폭기(A1)의 입력단에 가해지지 않지만, 가동접편(SR) 및 단자(CR)를 통하여 스테레오포닉헤드폰내에 포함된 R채널 스피이커에 가해진다. 그 결과, 이 바이노럴플러그(Ps)가 잭(J)에 삽입될때, 스피이커(SP)는 아무런 음도 재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스테레오 포닉헤드폰을 사용하는 청취자는 그음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고 재생스테레오 포닉사운드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제1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쪽증폭기(A1) 및 (A2)에서 나오는 출력이 스테레오 포닉잭(J) 및 스피이커(SP)이 직접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스피이커(SP)와 스테레오 포닉헤드폰 사이의 임피이던 스치의 차이에 대응하여 스피이커(SP)에 의해서 재생되는 사운드 레벨과 스테레오 포닉헤드폰에 의하여 재생면는 사운드레벨 사이에차이가 생기며, 따라서 스피이커(SP)나 스테레오 포닉헤드폰을 선택할 때는 언제나 재생음의 레벨조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제3도에 표시된 실시예는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개량이된 것을 제안하고 있다.
제3도에 표시된 회로에 있어서 R채널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A2)의 출력단을 보호저항기(R2)를 통하여 스테레오 포닉잭(J)에 접속되고, 또한 직렬로 연속된 저항기(R3) 및 (R4)를 통하여 L채널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A1)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그리고 또, 트랜지스터(Q1)는 저항기(R3) 및 (R4) 사이의 접속점에 연결된 그 콜렉터와 함께 설치되어 있으며, 그 에미터는 접지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저항기(R5)를 통하여 잭(J)의 고정접편(SRF)에 접속되고, 또한 캐패시터(C1)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또 증폭기(A2)의 출력단은 저항기(R6)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으며, 저항기(R5)와 고정접편(SRF) 사이의 접속점 (P)은 저항기(7)를 통하여 전원(+B)에 접속되기 때문에 회로의 각 부분에 있어서의 전위가 정해진다.
제3도에 표시된 회로의 조작은 아래와 같다. 첫째, 바이노럴플러그(PS)가 동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잭(J)에 삽입되어 있지 않는 조건하에서 저항기(R7), 그정접편(SRF), 가동접편(SR), 저항기(R2) 및 저항기(R6)로 이루어지는 직렬 접속은 전원(+B)과 접지사이에 형성된다. 저항기(R7)보다 충분히 낮은 저항기치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저항기(R2) 및 (R6)가 선택된다. 이리하여 접속점(P)의 전위는 트랜지스터(Q1)가 도통되지 않게 충분히 낮아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는 도통되지 않는 상태로 있으며, 증폭기(A2)의 출력은 저항기(R3) 및 (R4)를 통해서 증폭기(A1)의 입력단에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증폭기(A1)는 R채널신호와 L채널신호들을 혼합하며, 모노럴신호로서 혼합신호를 증폭하고, 다음에 이 신호를 가동접편(SL) 및 고정접편(SLF)를 통해서 스피이커(SP)에 가해진다. 그 결과 모노럴사운드는 스퍼이커(SP)이 의해서 재생된다. 이 경우에 캐패시터(C1)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의 전위는 증폭기(A2)에서 나오는 출력내의 사운드신호 성분에 의하여 달라지지 않는다.
한편, 제2a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즉 스테레오 포닉헤드폰에 부착되어 있는 바이노럴플러그(PS)가 잭(J)에 삽입된 조건하에서 가동접편(SL) 및 (SR)은 고정접편(SLF) 및 (SRF)에서 제거되며, 각각 바이노럴플러그(P)의 단자(CL) 및 (CR)에 접속된다. 고정접편(SRF)이서 가동접편(SR)을 제거한 결과, 전원(+B)의 전압은 저항기(R7) 및 (R5)를 통해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공급되며, 따라서 트랜지스터(Q1)는 도통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L채널신호와 R채널신호는 각각 저항기(R4) 및 (R3)를 통하여 접지되며, R채널신호는 증폭기(A1)의 L채널신호와 혼합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증폭기(A1)는 가동접편(SL)를 통해서 스테레오 포닉헤드폰에 L채널신호의 출력을 공급하고 증폭기(A2)는 가동접편(SR)을 통하여 스테레오포닉헤드폰에 R채널신호의 출력을 가하며, 따라서 이 스테레오 사운드는 이 스테레오 포닉헤드폰에 의해서 재생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항기(R4)의 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혼합게인은 모노럴사운드가 스피이커(SP)에 의하여 재생될 때 조정될 수 있으며 벨런스 게인은 스테레오 포닉사운드가 스테레오 포닉헤드폰에 의하여 재생될 때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제1도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재생음에 대한 보다 섬세한 레벨조종이 스피이커(SP)에 의한 사운드 재생동안 또는 스테레오 포닉헤드폰에 의한 사운드재생동안 달성될 수가 있다.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모노럴라우드스피이커나 스테레오 포닉헤드폰은 사운드를 재생하기위하여 선택된다. 그러나 상기 모노럴라우드스피이커 대신에 모노럴 이어폰을 사용할 수도 있다. 모노럴 이어폰을 사용하기 위하여 스트레오포닉헤드폰의 바이노럴플러그 및 모노럴 이어폰의 모노럴플러그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잭을 설치한다.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제4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는 가동접편(SL) 및 (SR)와 접지단자(E)만을 가지며, 바이노럴플러그와 모노럴플러그중 어느 하나를 삽입할수있는 잭(J')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보호용의 저항기(R2)와 밸런스시키기 위하여 증폭기(A1)의 출력단과 상기 잭(J')의 가동접편(SL) 사이에 있는 저항기(R8)가 설치되어 있다. 회로의 다른 부분은 제3도에 표시된 제2실시예와 구성에 있어서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다음은 제4도에 표시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2A도에 표시된 바이노럴플러그(Ps)가 잭(J')에 삽입될때, 가동접편(SL) 및 (SR)는 스테레오포닉헤드폰의 부하에 접속된다. 즉 좌측 및 우측 스피이커는 각각 단자(CL) 및 (CR)를 통해서 스테레오 포닉헤드폰내에 내설되어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 있어서, 전원(+B)의전압은 가동접편(SR)에 접속된 스테레오포닉헤드폰의 부하 저항인 저항기(R7), 저항기 (R2) 및 DC 저항기분으로 분압되며, 접속점(P)의 전위는 충분히 높아지며, 이 전위는 저항기(R5)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며, 트랜지스터(Q1)는 도통상태로 된다. 따라서 L채널과 R채널의 신호는 저항기(R3)및 (R4)를 통하여 접지되며, 서로 혼합하지 않고 증폭기(A1) 및 (A2)의 출력은 각 가동접편(SL) 및(SR)을 통하여 스테레오포닉 헤드폰에 개별적으로 공급되고, 이리하여 스테레오포닉사운드는 이 스테레오 헤드폰에 의해서 재생된다.
잭(J')과 같이 사용 가능한 모노럴플러그는 제2b도에 PM)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모노럴플러그(Ps)는 바이노럴플러그(PS)의 단자(CL) 위치에 대응한 부분의 입력단자(C)와 단자(CR) 위치에 대응한 접지단자(CE)와 바이노럴플러그(PS)의 접지단자와 그 사이에 있는 절연부(I)를 갖춘 싱글헤드 투포울 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모노럴이어폰에 부착된 모노럴플러그(PM)가 잭(J')에 삽입했을 때 이 잭(J')의 가동접편(SR)은 모노럴플러그(PM)의 접지단자(CE)에 접속되어 접지되기 때문에 전원(+B)의 전압은 저항기(R7) 및 (R2)에 의하여 분할되며, 저항기(R2)에 걸쳐서 얻어진 분압에 대응한 접속점(P)의 전위는 바이노럴플러그(Ps)가 잭(J')에 삽입되었을 때의 전위에 비교하여 감소된다. 이 점(P)에 있어서의 감소전위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1)는 오프로 되고, 증폭기(A2)로 부터 나오는 R채널신호의 출력은 증폭기(A1)의 입력단에 인가된다. 증폭기(A1)는 R채널신호와 L채널신호를 혼하합여 이 혼합신호를 모노럴신호로서 증폭시킨다. 증폭기(A1)에서 나오는 혼합신호의 출력은 모노럴플러그(PM)의 입력단자(C)에 접속되어 있는 가동접편(SL)을 통하여 모노럴이어폰에 인가된다. 이리하여 모노럴 사운드는 모노럴이어폰에 의하여 재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하는 플러그를 바꿈으로써 자동적으로 스테레오사운드 재생이나 모노럴사운드 재생의 어느 것이든지 선택할 수가 있다.
제4도에 표시된 실시예에다 제1및 제3도에 표시된 것과 같은 모노럴스피이커를 추가할 수가 있다 제5도는 그와같이 추가된 모노럴스피이커(SP)를 갖춘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5도에 표시된 제4실시예에 있어서, 제1도 및 제3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고정접편(SLF) 및 (SRF)를 갖춘 잭(J)은 제 .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사용된 잭(J') 대신에사용된다. 이 고정접촉편(SLF)은 스피이커(SP)의 단자의 하나에 접속되며, 고정접편(SRF)과 접지단자(E)는 스피이커(SP)의 다른 단자와 함께 접지되어 있다. 제4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사용된 저항기(R6)는 고정접편(SRF)과 접지사이에서 직접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가 없다.
이 제4실시예에 있어서, 회로가 제5도와 같은 상태를 취할때, 즉 잭(J)에 바이노럴플러그(Ps)나 모노럴플러그(PM)가 삽입되지 않을때, 전원(+B)의 전압은 접속점(P)에의 전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저항기(R7) 및 저항기(R2)에 의해서 분할되고 트랜지스터(Q1)는 오프로 된다. 따라서 제4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모노럴 사운드 재생중의 상대와 같은 방법으로 증폭기(A1) 는 L및 R채널신호로 이루어진 혼합신호를 발생하며, 이 신호를 가동접편(SL)과 고정접편(SLF)을 통해서 스피이커(SP)에 공급한다.
한편으로 바이노럴플러그(Ps)가 잭(J)에 삽입되었을 때 가동접편(SL) 및 (SR)은 고정접편(SLF) 및(SRF)에서 떠나고 바이노럴플러그(PS)의 단자(CR) 및 (CL)에 접속되며, 그리하여 스테레오포닉사운드는 제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스테레오포닉사운드 재생중과 같은 상태의 방법으로 재생된다.
또, 모노럴플러그(PM)가 잭(J)에 삽입되었을 때, 가동접편(SR)은 SRF에서 떠나가고, 접지될 수 있도록 모노럴플러그(PM)의 접지단자(CE)에 접속되고, 이리하여, 모노럴사운드는 제4도에 표시된 실시태양에 있어서의 모노럴사운드 재생중의 상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재생된다.
상기 각 실시예의 회로에는 싱글 잭(J) 또는 (J')이 설치되어 있으며, 잭이 플러그에 접속되었을 때 스피이커는 사운드를 재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운드신호가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한사람의 청취자는 이리하여 재생된 사운드를 즐길 수가 있는 것이다. 만약 회로가 최소한 두 사람의 청취자에 대하여 재생사운드를 갖추어야 한다면 이 회로는 최소한 두 개의 잭이 필요한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는 이와 같은 점으로부터 개량을 도모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제6도에 표시된 제5실시예 에있어서는 제1, 3 및 5도에 표시된 잭과같은 한쌍의 잭(J1) 및(J2)이 설치되어 있다. 잭(J1)은 가동접편(SL1) 및 (SR1)과 고정접편(SLF1) 및 (SRF1)을 가지고 있으며, 잭(J2)은 가동접편(SL2) 및 (SR2)과 고정접편(SLF2) 및 (SRF2)을 갖추고 있다. 접지단자(E1) 및 (E2)와 잭(J1) 및 (J2)도 각기 접지되어 있다. 가동접편(SL1) 및 (SL2)는 증폭가(A1)의 출력이 인가되어 있으며, 가동접편(SR1) 및(SR2)은 증폭기(A2)의 출력이 인가되어 있다. 또한, 스피이커(SP)는 고정접편(SLF1)과 (SRF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제3도 및 제5도의 회로에 있어서의 L 및 R채널신호를 혼합하는데 사용하는 저항기(R3) 및 (R4) 대신에 저항기(R'3) 및 (R'4)는 증폭기(A1) 및 (A2)의 입력단 사이, 즉 입력단자(INL) 및 (INR)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저항기(R'3) 및 (R'4)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추가트랜지스터(Q2)는 트랜지스로터(Q1)의 콜렉터어 있어서와 동일한 방법으. 접속된 콜렉터외 함께 두 잭(J1) 및 (J2)의 사용에 관련하여 설치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1) 및 (Q2)의 베이스는 잭(J2)의 고정접편(SLF2)과 잭(J1)의 고정접편(SRF1)의 각각에 접속되고, 또한 저항기(R7) 및 저항기(R'7)를 통하여 전원(+B)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1) 및 (Q2)의 에미터는 접지되어 있다. 또한, L및 R채널신호가 입력단에서 서로 혼합될때, 스위칭트랜지스터(Q3),(Q4), 및 (Q5)가 채널의 하나, 예컨대, L및 R채널신호의 혼합이 수행될때, R채널을 단절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는 증폭기(A2)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에미터는 접지된다.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는 저항기(R9)를 통하여 전원(+B)에 접속되며, 또한 트랜지스터(Q4) 및 (Q5)의 두 콜렉터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4) 및 (Q5)의 베이스는 잭(J1)의 고정접편(SRF1)과 잭(J2)의 고정접편(SLF2)의 각각에 즉, 트랜지스터(Q1) 및 (Q2)의 베이스에 접속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4) 및 (Q5)의 에미터는 접지된다. 다음에 제5실시의 동작은 아래에 기술한다. 제6도에 표시된바와 같이, 잭(J1) 및 잭(J2)에 바이노럴플러그(Ps)가 삽입되지 않을 때, 가동접편(SL1) 및 (SR1)은 잭(J1)내의 고정접편(SLF1) 및 (SRF1) 각각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전원(+B)의 전압은 저항기(R7) 및 증폭기(A1)의 출력임피이던스 또는 저항기(R'7) 및 증폭기(A2)의 출력 임피이던스에 의하여 분할되며, 트랜지스터(Q2)및(Q4)의 두 베이스는 보통의 낮은 전위가 주어지머, 이리하여 트랜지스터(Q2) 및 (Q4)는 오프로 된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Q1) 및 (Q5)도 오프로 된다. 이에 반하여 트랜지스터(Q3)는 트랜지스터 (Q4) 및 (Q5)의 오프상태로 인하여 그 베이스에 높은 전위를 줌으로써 온으로 된다. 따라서 입력단자(INR)로 부터 나오는 R채널신호가 증폭기(A2)에 인가되지 않도록 트랜지스터(Q3)를 통해서 접지되지만, 이 신호는 저항기(R'3) 및 (R'4)를 통해서 L채널로 송신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트랜지스터(Q1) 및 (Q2)는 오프로되기 때문이다. 이 R채널신호는 입력단자(INL)에서 나오는 L채널신호와 함께 증폭기(A1)에 의하여 증폭되며, 잭(J1)의 가동접편(SL1)과 고정접편(SLF1)을 통해서 L채널신호와 더불어 스피이커(SP)의 한 단자에 인가된다 스피이커(SP)의 다른 단자는 실질적으로 접지된다. 왜냐하면, 증폭기(A2)의 입력단은 그것이 잭(J)의 고정접편(SRF2) 및 가동접편(SR2)을 통해서 증폭기(A2)의 출력단에 접속된다하더라도 트렌지스터(Q3)를 통해서접지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모노럴 사운드는 인가된 L 및 R혼합신호로부터 스피이커(SP)에 의하여 재생된다.
바이노럴플러그(Ps)가 잭(J1)에 삽입되었을때, 가동접편(SL1) 및 (SR1)은 고정접편(SLF1)및 (SRF1)에서 떠나며, 이리하여 스피이커 (SP)는 증폭기(A1)에서 분리된다. 트랜지스터(Q1) 및 (Q5)는 잭(J2)이 아무 플러그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오프상태를 유지하지만, 트랜지스터(Q2) 및 (Q4)는 온으로 되고 이리하여 트랜지스터(Q3)는 오프로 된다. 따라서 입력단자(INR)로 부터 나오는 R채널신호는 증폭기(A2)에 의하여 증폭되며, 잭(J1)의 가동접편(SR1)에 인가된다. L채널신호는 이러한 상태로 잭(J1)의 가동접편(SL1)에 인가되기 때문에 스테레오포닉사운드신호는 잭(J1)에 삽입되어 있는 바이노럴플러그(Ps)에서 도출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Q2)가 온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L널신호나 R채널신호가 모두 다른 채널에 인가되지 않는다.
바이노럴플러그(Ps)가 잭(J2)에만 삽입되거나 한쌍의 바이노럴플러그(Ps)가 잭(J1) 및 (J2) 각개에 삽입되었을 경우에 스테레오포닉사운드 신호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바이노럴플러그(Ps)의 각개로부터 도출된다.
상기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모노럴 사운드신호를 지출하기 위하여 증폭기(A1)만을 사용한다 할지라도 역상으로 R채널신호를 증폭기(A2)에 인가시킴으로써 모노럴 사운드신호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른바 BTL(Balanced transformerless)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7도는 이러한 BTL 동작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7도의 회로는 제6도에 표시된 회로와 거의 같은 기본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L 및 R채널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저항기(R'3) 및 (R'4) 대신에 위상반전회로가 설치되며, 여기에 있어서, 위상반전을 위하여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는 입력단자의 하나, 예컨대, 캐패시터(C2)를 통하여 입력단자(INR)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는 저항기(11)를 통해서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이 콜렉터는 캐패시터(C3) 및 저항기(R12) 및 (R13)를 통하여 증폭기(A2)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또한 저항기(R14)를 통하여 전원(+B)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는 저항기(R15)를 통해서 접지된다. 또한, 저항기(R12)와 (R13) 사이의 접속점은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 에미터통로를 통하여 접지된다.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는 저항기(R16)를 통해서 전원(+B)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에미터통로를 통해서 접지된다.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저항기(R17)는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와 증폭기 (A2)의 입력단 사이에 접속된다.
제6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 기술한다. 제7도에 표시된 바와같은 상태하에서 트랜지스터(Q4)및 (Q5)는 제6도의 경우에 있어서와 같은 방법으로 오프상태이며, 따라서 트랜지스터(Q5)는 온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비반전위상으로 채널신호에 대한 송신로는 트랜지스터(Q3)를 통하여 접지된다. 트랜지스터(Q7)는 트랜지스터(Q8)가 온일때 오프를 유지한다. 따라서 캐패시터(C2)를 통해서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인가된 R채널신호는 트랜지스터(Q6)에 의하여 위상 반전되고, 캐패시터(C3), 저항기(R12) 및 (R13)를 통해서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로부터 증폭기(A2)에 인가되고, 이에 대하여, L채널신호는 비반전위상으로 증폭기(A1)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증폭기(A1)에서 도출된 비반전위상으로 L채널신호가 한 단자로부터 스피이커(SP)에 인가된다. 그리고 또 증폭기(A2)에서 도출된 반전위상으로 R채널신호가 다른 단자로부터 인가되며, L및 R신호는 모두 모노럴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하여 스피이커(SP)의 보이스코일에서 서로 합해 진다. 이 경우에 스피이커(SP)에서 나오는 출력사운드는 제6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출력사운드에 비하여 훨씬 확대된다. 왜냐하면 증폭기(A1) 및 (A2)가 둘다 효과적으로 이용이 되기 때문이다.
, 편으로, 바이노럴플러그(Ps)가 잭(J1) 또는 잭(J2)의 어느 것에 삽입되었을 때, 트랜지스터(Q4) 또는(Q5)는 온으로 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3) 및 (Q8)는 모두 프오로 되고, 이리하여 반전위상으로 R채널신호를 위한 송신로는 트랜지스터(Q7)를 통해서 접지된다. 결과적으로, 모두 비반전위상을 가진 L 및 R채널신호는 가동접편(SL1) 및 (SL2)과 가동접편(SR1) 및 (SR2)의 각각에 나타낸다.
제 1, 3, 5 및 제7도에 표시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모노럴스피커(SP) 대신에 모노럴사운드신호를 위한출력단자를 설치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모든 실시예는 스테레오포닉사운드 재생장치에 사용이되지만, 이것은 또한 스테레오 포닉사운드 녹음장치에 본 고안에 의한 스테레오모노럴선택회로를 사용할 수가 있다. 즉, 본 고안은 또한,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에 부착된 플러그가 잭이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녹음장치로 하여금 스테레오사운드 신호를 녹음시키며, 모노럴마이크로폰에 부착된 플러그의 잭에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모노럴사운드 신호를 녹음시킬수 있는 잭을 갖춘 스테레오·모노럴선택회로를 제공한다.
제8도는 스테레오포닉사운드 녹음장치에 사용되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회로에 있어서 제4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가동접편(SL) 및 (SR)과 접지단자(E)만을 가지고 있는 잭(J' )이 사용된다. 가동접편(SL) 및 (SR)은 L 및 R채널의 입력단자(IN'L)와 (IN'R)에 각기 접속된다. 이들 입력단자(IN'L) 및 (IN'R)는 각 저항기(R8) 및 (R2)를 통하여 증폭기(A1) 및 (A2)에 접속된다. 저항기(R3) 및(R4)는 L 및 R채널신호를 혼합하기 위하여 증폭기(A1) 및 (A2)의 입력단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며, 저항기.(R3)와 (R4) 사이의 접속점은 스위팅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에미터로를 통하여접지된다.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저항기(R5) 및 (R7)를 통하여 그리고 이들 저항기 사이에 있는 접속점(P)는 입력단자(IN'R)에 접속케 함으로써 전원(+B)에 접속된다.
제8도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a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스테레오마이크로폰에 부착된 바이노럴플러그가 잭(J')에 삽입되었을 때, 전원(+B)의 접속점(P)의 전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저항기(R7)과 가동접편(SR)에 접속된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출력 DC 저항기에 의하여 분할된다.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출력 DC 저항기는 저항기(R7)보다 더 큰 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접속점(P)의 전위는 비교적 높은 상태를 유지한다.이와 같이 비교적 높은 전위는 저항기(R5)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1)는 온으로 된다. 따라서, 가동접편(SL) 및 (SR)을 각기 통과한 L 및 R채널신호는 서로 혼합되지 않고 저항기(R3) 및 (R4)를 통하여 접지되며, 녹음하기 위하여 증폭기(A1) 및 (A2)에 의해서 증폭된다.
한편으로, 모노별 마이크로폰에 부착된 제2b도에 표시된 모노럴 플러그(PM)가 잭(J')에 삽입되었을때, 잭(J')의 가동접편(SR)은 접지될 플러고(PM)의 접지단자(CE)이 접속되기 때문에 전원(+B)은 저항기(R1)에 가해지며, 접속점(P)의 전위는 접지레벨로 되며, 이리하여 트랜지스터(Q1)는 오프로 된다. 따라서, 모노럴 접편(SL)으로 부터 저항기(R2)를 통과한모노럴 사운드신호는 저항기(R4) 및 (R3)를 통하여 증폭기(A2) 및 증폭기(A1)에 가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8도에 표시된 회로는 잭, 즉 스테레오포닉 잭 또는 모노럴잭에 플러그를 삽입하는것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스테레오포닉 사운드신호의 녹음 또는 모노럴사운드신호의 녹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1증폭기(A1) 및 제2증폭기(A2)를 제2증폭기(A2)및 제1증폭기(A1)와 바꿀 수 있고, 또 스위칭트랜지스터(Q1)∼(Q8)를 다른 스위칭 장치와 바꿀 수가 있다.

Claims (1)

  1. 제1 및 제2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및 제2신호송신채널과, 상기 제1 및 제2신호송신채널에 설치된 제1 및 제2증폭장치(A1, A2)와, 상기 제1 및 제2증폭장치 (A1, A2)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및 제2신호단자(SL, SR)와 기준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접지단자(E)를 가진 접속장치(J)와, 상기 제1 및 제2신호를 혼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신호송신채널내에 설치된 혼합회로장치(R3, SP)와, 그리고상기 제1바이노럴 접속장치(J)가 제1 및 제2신호단자(CL, CR) 및 접지단자(CE)를 가진 바이노럴접속장치(PS)에 접속하고 상기 혼합회로장치(R3, R4)를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회로장치(R3, R4)에 접속된 회로장치(SLF, SRF, R2)로 이루어지는 스테레오· 모노럴 자동절환장치
KR2019810002915U 1981-04-23 1981-04-23 스테레오·모노럴 자동절환장치(自動切換裝置) KR840002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2915U KR840002641Y1 (ko) 1981-04-23 1981-04-23 스테레오·모노럴 자동절환장치(自動切換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2915U KR840002641Y1 (ko) 1981-04-23 1981-04-23 스테레오·모노럴 자동절환장치(自動切換裝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059U KR830001059U (ko) 1983-09-22
KR840002641Y1 true KR840002641Y1 (ko) 1984-12-10

Family

ID=1922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2915U KR840002641Y1 (ko) 1981-04-23 1981-04-23 스테레오·모노럴 자동절환장치(自動切換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6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646A (ko) * 2002-06-17 2003-12-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일 음성 신호 분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059U (ko) 198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3209A (en) Stereo/monaural selecting circuit
US4245136A (en) Monitor ampliphones
GB2078463A (en) Headphones
US4968154A (en) 4-Channel surround sound generator
JPS6017052Y2 (ja) テ−プレコ−ダ
KR840002641Y1 (ko) 스테레오·모노럴 자동절환장치(自動切換裝置)
US4406920A (en) Monitor ampliphones
JPH05151703A (ja) 音声出力装置
JPS6022710Y2 (ja) 増幅器の出力回路
JPH0127353Y2 (ko)
JPH08205276A (ja) 音声出力装置
JPS6040969Y2 (ja) 携帯用テ−プ再生装置
JP2544441Y2 (ja) 小型再生機器
JPS5928502Y2 (ja) テ−プレコ−ダ
JPS6324676Y2 (ko)
JPS5923280Y2 (ja) ラジオ付テ−プレコ−ダ
KR870000996Y1 (ko) 음성 다중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폰 및 스피커분리 수신장치
JPH0629824Y2 (ja) テ−プ再生回路
JP2519030Y2 (ja) 重低音発生回路付音響機器
JPH0316156Y2 (ko)
JPS599450Y2 (ja) 増幅装置
JPS6138087Y2 (ko)
JPS6115671Y2 (ko)
JPH0718236Y2 (ja) ステレオ音声信号再生装置
JPH0127354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