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215B1 - 이염성 단추 블랭크 - Google Patents

이염성 단추 블랭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215B1
KR840002215B1 KR7801348A KR780001348A KR840002215B1 KR 840002215 B1 KR840002215 B1 KR 840002215B1 KR 7801348 A KR7801348 A KR 7801348A KR 780001348 A KR780001348 A KR 780001348A KR 840002215 B1 KR840002215 B1 KR 840002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group
polyester
hydrogen atom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꼬 유가와
히데미쓰 다끼자와
시게오 오오니시
Original Assignee
기다노 세이이찌
닛뽕 쇼꾸바이 가가꾸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다노 세이이찌, 닛뽕 쇼꾸바이 가가꾸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기다노 세이이찌
Priority to KR780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215B1/ko

Links

Landscapes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염성 단추 블랭크
본 발명은 이염성(易染性)의 단추 블랭크, 극 단추성형용을 위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제 단추는 경화시킨 후에 염색하는 소위 후염 방법으로는 염색성이 나쁘고, 산성 염료, 일반 염기성 염료 및 카티온 염료로는 거의 염색되지 않고, 분산 염료에 의한 염색도 고온하에 강시간 염색에 의해 근소하게 염색되는 경도이다. 그러나, 후염의 방법은 선택한 색으로 필요한 수량만큼 염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유행의 변천이 격심한 단추업계에서는 특히 유리하기 때문에 개량이 시도되고는 있으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현실정을 감안하여 여러 가지로 검토함 곁과, 하기 일반식(I),(II) 또는 (III)으로 표시되는 -SO3X기(단, X는 수소원자 또는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냄)을 갖는 화합물을 성분으로 사용하여 합성된 포화폴리에스테르를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배합하여서 되는 수지조성물로 작성된 블랭크가 후염색으로 이러한 단추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냄으로써 본 발명을 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이염성의 단추 블랭크 수지조성물은, (A) 산성분 및 (또는) 알코올 성분으로서 하기 일반식(I),(II) 및 (III)으로 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식으로 표시되는 -SO3X기 함유 화합물(단, X는 수소원자 또는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냄)을 사용하고, 알코올 성분으로서 적어도 1종의 다가 알코올(단,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제외함)을 필수 성분으로서 사용하고, 이 -SO3X기 함유 화합물을 산성분 및 알코올 성분의 전체량에 대하여 0.1돌 이상의 비율로 사용하여 합성된 포화폴리에스테르(이하, -SO3X기 함유 포화폴리에스테르이라 함), (B)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및 (C) 중합성 단량체로서 이루어지고, (A)+(B)+(C)에 대하여 -SO3X기가 0.001 내자 0.4몰//kg의 범위의 비율로 함유되는 수지조성물의 경화물 염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Figure kpo00001
(단, 식중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X는 수소원자 또는 알칼리 금속 원자,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 내지 5의 정수이며, n+m≠0의 식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Figure kpo00002
(단, 식중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고, X는 수소원자 또는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03
(단, 식중 R5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6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X는 수소원자 또는 알칼리 금속 원자이고, P는 0 내지 5의 정수이며, q는 0 또는 1을 나타냄.)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가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는, 이소프탈산에틸렌글리코올모노에스테르-5-술폰산나트륨, 테레프탈산프로필렌글리코올모노에스테르-2-술폰산나트륨, 프탈산디에틸렌글리코올모노에스테르-4-술폰산칼륨, 이소프탈산에틸렌글리코올디에스테르-5-술폰산나트륨, 이소프탈산에틸렌글리코올디에스테르-5-술폰산칼륨, 이소프탈산트리에틸렌글리코올디에스테르-5-술폰산리륨, 이소프탈산디에틸렌글리코올디에스테르-5-술폰산나트륨, 이소프탈산디에틸렌글리코올디에스테르-5-술폰산칼륨, 테레프탈산에틸렌글리코울디에스테르-2-술폰산나트륨, 테레프탈산테트라에틸렌글리코올디에스테르-2-술폰산나트륨, 프탈산네오펜틸글리코올디에스테르-4-술폰산, 프탈산-1,4-부틸렌글리코올디에스테르-4-술폰산 등을 들 수가 있다.
일반식 (Ⅱ)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는, 프탈산-4-술폰산, 이소프탈산-5-술폰산, 테레프탈산-2-술폰산나트륨, 프탈산디메틸에스테르-4-술폰산나트륨, 프탈산디메틸에스테르-4-술폰산칼륨, 프탈산디메틸에스테르-4-술폰산리튬, 이소프탈산디에틸에스테르-5-술폰산나트륨, 이소프탈산디프로필에스테르-5-술폰칼륨, 테레프탈산디-n-부틸에스테르-2-술폰산나트륨, 테레프탈산모노에틸에스테르-2-술폰산나트륨, 이소프탈산모노메틸에스테르-5-술폰산칼륨 등을 들 수가 있다.
일반식 (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는, 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3-술폰산나트륨, 안식향산-3-술폰산나트륨, 3-히드록시안식향산-2-술폰산칼륨, 4-히드록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3-술폰산나트륨, 5-히드록시안식향산-2-술폰산나트륨, 4-β-히드록시에톡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3-술폰산리튬, 5-β-히드록시에톡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2-술폰산칼륨 등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SO3X기 함유 화합물(단, X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음)의 사용량은 -SO3X기 함유포화폴리에스테르(A), 불포화폴리에스테르(B) 및 중합성 단량체(C)의 전체량에 대하여 -SO3X기가 0.001내지 0.4몰/kg의 비윤로 되는 양이다. 0.001몰/kg 미만의 소량으로는 현저한 염색성의 개량은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0.4몰/kg을 초과하는 비율로서도 사용량의 증가에 비례한 작용효과의 증대를 얻을 수 없어다같이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SO3X기 함유 화합물은 -SO3X기 함유 포화폴리에스테르(A)를 구성하는 산성분 및 알코올 성분의 전체량에 대하여 0.1몰 % 이상의 비윤로 사용하는 것이다.
-SO3X기 함유 포화폴리에스테르(A)는 불포화에스테르(B) 또는 중합성 단량체(C)의 각각에 대하여 또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B)와 중합성 단량체(C)의 혼합물에 대하여 상용성이 양호한 것이라도 좋고, 혹은 상용성이 좋지 않는 액상 또는 분말상이고 불포화폴리에스테르(B)와 중합성 단량체(C)의 혼합물에 대하여 분산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SO3X기 함유 포화폴리에스테르(A)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B)와 혼합한 후 중합성 단량체(C)와 혼합하여도 좋고, 혹은 -SO3X기 함유 포화폴리에스테르(A)와 중합성 단량체(C)를 사전에 혼합한 후 불포화폴리에스테르(B)와 혼합하여도 된다. 또한, -SO3X기 함유 포화폴리에스테르(A)와 중합성 단량체(C), 불포화폴리에스테르(B)와 중합성 단량체(C)를 각각 혼합한 후, 양자를 혼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SO3X기 함유 포화폴리에스테르(A), 불포화폴리에스테르(B) 및 중합성 단량체(C)의 혼합시의 상태 또는 혼합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SO3X기 함유 포화폴리에스테르(A)는 산성분 및 (또는) 알코올 성분으로서 일반식(I),(Ⅱ) 또는 (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되는 군에서 선택된 -SO3X기 함유 화합물과 알코올 성분으로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다가 알코올과를 필수 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포화카르본산을 병용하고, 다음에 설명하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B)의 제조와 같이 이 업계에서 종래 공지의 일반적인 제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SO3X기 함유 포화폴리에스테르(A)의 합성에 있어서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로서는 1급의 수산기만을 갖는 다가 알코올이, 에스테르화 반응시에 일반식(I),(Ⅱ) 또는 (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공존하여도 부반응이 적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다가 알코올로서는 에틸린글리코올, 디에틸렌글리코올, 트리에틸렌글리코올, 네오펜틸글리코올, 1,6-헥산디올, 1,4-부틸렌글리코올, 1,6-펜탄디올 등을 들 수가 있다.
불포화폴리에스테르(B)는 당 업계에서 종래 공지인 일반적인 제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는 것이고, 분자량 400 내지 20,000의 범위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제법을 들 수가 있다.
(가) 중합성 불포화디카르본산을 반드시 함유하는 이염기 카르본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성분과 이가 알코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알코올 성분과를 산성분 알코올 성분의 비율이 몰비로 0.6 내지 1.4가 되는 범위에서 130。C 내지 250。C의 온도에서 탄산가스 또는 질소 가스와 같은 불활성가스 기류 중에서 축합반응시켜 불포화폴리에스테르를 얻는 방법.
(나) 상기 (가)의 방법에 있어 산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산무수물로 치환하고, 알코올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응하는 옥사이드 화합물과 치환하고 수산 주석이나 트리에틸아민 등으로 대표되는 촉매의 존재하, 70 내지 250℃의 은도 범위에서 불활성 기류 중에서 폴리에스테르화시키는 방법.
(다) 상기 (가)의 방법으로 산성분의 열부 또는 전부를 대응하는 산의 저급 알코올 에스테르로 치환하고, 알코올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응하는 알코올의 저급 카르본산 에스테르로 치환하고, 삼산화안티몬으로 대표되는 에스테르 교환촉매의 존재하에 불활성 가스기류 중에서 130 내지 250℃의 온도에서 폴리에스테르화시키는 방법.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산성분의 대표예로서는, 불포화디카르본산으로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푸마르산, 할로겐화무수말레인산, 시트라콘산, 이트콘산 등을 들 수 있고, 포화디카르본산으로 무수프탈산, 프탈산, 할로겐화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리프탈산, 데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호박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아제라인산을, 또한 변성용으로 트리메릿트산, 피로메릿트산, 아크랄산, 메타크릴산, 초산, 안식향산 등을 들 수가 있다. 또한, 이들 산의 저급 알코올도 사용할 수가 있다.
알코올 성분의 대표예로서는 이가 알코올로서 에틸렌글리코올, 디에털렌글리코올, 트리에틸렌글리코올, 프로필렌글리코올, 디프로필렌글리코올, 1,3-부틸렌글리코올, 1,4-부틸렌글리코올, 네오벤틸글리코올, 1,6-헥산디올, 수소화비스페놀 A,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시드, 에피클로로히드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아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가 있다. 변성용으로는 글리세린, 트리메틸롤프로판, 펜타에리스톨, 메타놀, 에타올, 2-에틸헥산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이들의 알코올류의 초산으로 대표되는 저급 지방산과의 에스테르류도 사용이 가능하다.
중합성 단량체(C)로서는 스틸렌, 클고로스틸렌,α-메틸스틸렌. 비닐톨루엔, 초산비닐, 아크릴산에스테르, 디아크릴프탈레이트 등을 돌 수가 있다. 이들의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가 있다.
중합성 단량체(C)는 -SO3X기 함유 포화폴리에스테르(A), 불포화폴리에스테르(B) 및 중합성 단량체(C)의 전체량에 대하여 95 내지 5중량 %, 바람직하기로는 70 내지 10중량 % 범위의 비율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염성의 단추 블랭크는 그 수지에 필요에 따라 탄산칼슘, 점토 등의 충전제, 합성 진주박, 안료, 요변제, 증점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는 바, 이들 첨가제의 사용의 유무로 본 발명이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염성의 단추 블랭크는 그 수지 조성물은 경화공정을 거쳐서 수득되고, 필요에 따라 절삭 가공, 연마를 거친 후 염색되어서 단추로 되는 것인데, 염색함에 있어 염기성염료, 분산염료 또는 카티온염료에 대하여 우수한 이염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단추 블랭크를 얻는데 있어서는 당업계에서 공지인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가) 주형용형에 이용성의 단추 블랭크 수지 조성물과 중합 개시제 및 촉진제의 혼합물을 충전하여 경화시킨 후 형에서 취출하고, 이것을 그대로 단추 블랭크로 하는 방법, 혹은 적당한 형상, 크기로 절단 또는 타발하여 단추 블랭크로 하는 방법.
(나) 회전하는 원통 내에 이염성의 단추 블랭크용 수지 조성물과 중합 개시제 및 촉진제의 혼합물을 충전하여 원심 성형에 의하여 경화 또는 반경화시켜 이를 취출한 후 적당한 형상, 크기로 절단 또는 타발하여 단추 블랭크로 하는 방법.
(다) 이염성의 단추 블랭크용 수지 조성물에 중합개시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고 프레스성형 또는 사출성형 등에 의하여 경화시켜서 단추 블랭크로 하는 방법.
이들 방법에서 사용되는 중합개시제 또는 촉진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다. 중합개시제로서는 예컨대, 메틸에틸케톤페르옥시드, 벤조일페르옥시드, tert-부틸페트벤조에이트,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등을 들 수가 있다. 또한, 촉진제로서는 예를 들어 옥텐산코발트, 나프텐산코발트 등의 유기금속 염류, 디메틸아닐린, 디에틸아닐린 등의 유기 아민류, 도데실메르캅탄 등의 메르캅탄류, 혹은 케토에놀형 호변이성화능(互變異性化能)을 갖는 유기화합믈 등을 들 수가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그리고, 예중의 부라함은 별도 기재가 없는 한 중량부를 의미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무수프탈산, 무수말레인산 및 프로필렌글리코올을 몰비로 각각 0.5 : 0.5 : 1.03의 비율로 혼합하고 질소기류하 200℃에서 가열 교반하여 축합 반응시켜서 산가가 30이 되었을 때 가열을 정지하고 140℃까지 빙냉한후, 얻어진 불포화폴리에스테르 65부에 스틸렌 35부, 히드로퀴논 0.005부를 첨가 혼합하고 상호 용해하여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이하 수지 I이라함)를 얻었다.
또한, 별도로 무수 프탈산, 이소프탈산-5-술폰산나트륨 및 에틸렌글리코올을 몰비로 각각 0.5 : 0.5 : 1.05의 비율로 혼합하고, 수지 I을 제조한 것과 동일한 조작으로 축합 반응시켜서 산가가 30으로 되었을 때 가열을 정지하고 빙냉하여 포화폴리에스테르(이하 폴리에스테르 I이라함)을 얻었다.
이리하여 얻은 수지 I 96부와 폴리에스테르 I 4부를 혼합하여 이염성의 단추 블랭크용 수지조성물(이하 조성물 I이라함)을 얻었다. 이 조성물 I에 옥텐산코발트 0.1부 및 메틸에틸케톤 페르옥시드의 55중량 %디메틸프탈레이트 용액 1부를 가한 것을 35。C로 한 후, 35℃로 유지된 구경 35인치의 원심 성형기를 사용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판상 경화물을 얻었다. 이 판상 경화물로부터 펀칭에 의하여 직경 10mm, 두께 2mm의 단추 블랭크를 얻었다. 이 단추 블랭크를 적색 카티 온염료(치바사제, Maxilon Red GRL)를 사용하여 통상 방법에 따라 염색하였던 바 옥은 99℃에서 4분으로 선홍색으로 염색되었다.
[비교예 1]
수지 I만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하여 단추 블랭크를 얻었다. 이 단추 블랭크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염색을 시도하였던 바 60분 후에도 기의 염색되어 있지 않았다.
[실시예 2]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에틸렌글리코올디에스테르-5-술폰산소오다의 40중량%, 에틸렌글리코올 용액(일본국 산요가세이 고오교사 제SIPE-40) 및 에틸렌글리코올을 사용하여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에틸렌글리코올디에스테르-5-술폰산나트륨 및 에틸렌글리코올의 비율이 몰비로 각각 1.0 : 0.1 : 1.0으로 되도록 혼합하고, 실시예 1에서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축합 반응시켜 산가가 35로 되었을 때 방냉하여셔 포화폴리에스테르(이하 폴리에스테르 Ⅱ라함)을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 Ⅱ 65부에 스틸렌 35부 및 히드로퀴논 0.005부를 첨가하고 상호 용해하여 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하였다.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5부와 수지 I 95부를 혼합하여서 이염성의 단추 블랭크용 수지조성물(이하 조성물 Ⅱ라함)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에 있어서와 동일하게 하여 단추 블랭크를 얻었다. 이 단추 블랭크를 청색의 분산 염료(일본국 미쓰비시 가세이사 제, Diacelliton Fast Brilliaht Brilliaht Blue B)를 사용하여 90℃의 욕온에서 염색하였던 바 7분만에 심청색으로 염색되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얻은 수지 I만의 단추 블랭크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염색을 시도하있던바 60분 후에도 약간 청색으로 염색된 정도였었다.
[실시예 3]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디에틸에스테르-5-술폰산나트륨, 이소프탈산디에틸렌글리코올디에스테르-5-술폰산나트륨 및 에틸렌글리코올을 각각 몰비로 0.5 : 0.5 : 0.5 : 0.55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 혼합물 100부에 대하여 삼산화안티몬 0.5부를 첨가하여 실시예 1에서 폴리에스테르 I을 제조한 것과 동일한 조작으로 축합 반응시켜 산가가 30으로 되었을 때 방냉하여 포화폴리에스테르(이라 폴리에스테르 Ⅲ이라함)을 얻었다. 수지 I 95부와 폴리에스테르 Ⅲ 5부를 혼합하여서 이염성의 단추 블랭크용 수지고성물(이하 조성물 Ⅲ이라함)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I에 있어서와 동일하게 하여 단추·블랭크를 얻었다. 이 단추 블랭크를 적색 카티온 염료(미쓰비시가세이사제, Diacryl Brilliant Red 3G-N)를 사용하여 욕온 90℃에서 염색하였던바 2분만에 농적색으로 염색되었다.
[비교예 3]
비교이 1에서 얻은 경화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염색을 시도하였던 바 60분 후에도 거의 염색되지 않았다.
[실시예 4]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5-술폰산나트륨, 에틸렌글리코올 및 디에틸렌글리코올을 몰비로 각각 0.5 : 0.5 : 0.5 : 0.55의 비율로 혼합하고, 수지 I을 제조한 것과 동일하게 하여 축합 반응시켜, 산자가 30이 되었을때 반응을 정지하여 포화폴리에스테르(이하 폴리에스테르 IV라함)을 얻었다.
수지 I 96부 및 폴리에스테르 IV 4부를 혼합하여 이염성의 단추 블랭크용 수지 조성물(이하 조성물 Ⅳ라함)을 얻었다. 이어서 옥텐산 코발트 0.1부 및 메틸에틸케톤페트옥시드의 55중량 % 디메틸프탈레이트 용액1부를 가하여 3mm 두께의 스페이서를 낀 유리판 사이에서 경화시켜 판상의 경화물을 얻었다. 이 경화물을 원통상의 커터로 타발하여 직경 16mm, 두께 3mm의 단추 블랭크릍 하였다. 이 단추 블랭크를 적색 카티온염료(치바사제, Masilon Red GRL)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욕은 90℃에서 염색하였던 바 4분만에 선홍색으로 염색되었다.
[실시예 5]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에틸렌글리코올디에스테르-5-술폰산나트륨, 에틸린글리코올 및 디에틸렌글리코올의 비율이 각각 몰비로 1.0 : 0.2 : 0.5 : 0.35가 되 는 양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4에서 폴리에스테르 Ⅳ를 제조한 것과 동일한 절차로 축합 반응시켜서 산가가 35로 되었을 때 가열을 정지하여 포화폴리에스테르(이하 폴리에스테르 V라함)을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V 65부에 스틸렌 35부 및 히드로퀴는 0.005부에 첨가하여 상호 용해시켜서 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었다. 이 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5부와 수지 I 95부를 혼합하여 실시예 4에 있어서와 동일하게 하여 단추 블랭크를 얻었다. 이 단추 블랭크를 청색의 분산염료(미쓰비시가세이고오교사 제, Diacelliton Fast Brilliant Blue B)를 사용하여 통상 방법에 따라 염색하였던 바, 90℃의 욕온에서 7분만에 심청색으로 염색되었다.
[실시예 6]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디에틸에스테르-5-술폰산나트륨, 이소프탈산디에틸렌글리코올디에스테르-5-술폰산나트륨, 에틸렌글리코올 및 1,3-프로필렌글리코올을 각각 몰비로 0.5 : 0.5 : 0.5 : 0.3 : 0.25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 혼합물 100부당 삼산화안티몬 0.5부를 첨가하여 실시예 4에서 폴리에스테르 Ⅳ를 제조한 것과 같이 하여 축합 반응시켜 산가가 30이 되었을 때 반응을 정지하고 방냉하여 포화폴리에스테로(이하 폴리에스테르 Ⅵ라함)을 얻었다.
수지 I 95부 및 폴리에스테르 Ⅵ 5부를 혼합하여 이염성의 단추 블랭크용 수지 조성물(이하 조성물 Ⅵ라함)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에 있어서와 동일하게 하여 단추 블랭크를 얻었다. 이 경화물을 카티온 염료(미쓰비시가세이고오교사 제, Diacryl Brilliant Red 3G-N)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염색하였던 바 2분으로 농적색으로 염색되었다.
[실시예 7]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5-술폰산나트륨, 에틸렌글리코올디에스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코올을 몰비로 각각 1.0 : 0.04 : 1.0의 비율로 혼합하여 실시예 4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IV를 제조한 것과 같이하여 축합 반응시켜 산가가 35로 되었을 때 반응을 정지하여 포화폴리에스테르(이하 폴리에스테르 Ⅶ라함)을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 VII 70부, 스틸렌 30부 및 하이드로퀴논 0.005부를 상호 용해하여 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한후, 이 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30부와 실시예 4에서 얻은 수지 Ⅳ 70부를 혼합하여 이염성의 단추 블랭크용수지 조성물(이하 조성물 Ⅶ이라함)을 얻었다. 조성물 Ⅶ에 촉매를 가한 후, 단추 형상을 갖는 실리콘 고무형으로 주형 경화시켜서 단추상 경화물을 얻었다. 이 경화물을 실시예 6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염색욕을 사용하여 염색하였던 바 90℃의 욕온에서 4분만에 적색이 양호한 상태로 착색되었다.
[비교예 4]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에틸렌글리코올디에스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코올을 각각 1.0 : 0.04 : 1.0의 몰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I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축함 반응시켜 산가가 35로 되었을때 반응을 정지하여 포화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이 포화폴리에스테르 70부와 스틸렌 30부 및 하이드로퀴논0.005부를 상호 용해하여 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하였다. 이 수지폴리에스테르 수지 30부와 수지 I을 혼합한 후, 실시예 4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염색욕을 사용하여 90℃에서 염색을 시도하였던 바 60분 후에도 거의 염색되어 있지 않았다.

Claims (1)

  1. (A) 산성분 및 (또는) 알코올 성분으로서 하기 일반식(I),(Ⅱ) 및 (Ⅲ)으로 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식으로 표시되는 -SO3X기 함유 화합물(단, X는 수소원자 또는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냄)을 사용하고 알코올 성분으로서 적어도 1종의 다가 알코올(단,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제외함)을 필수 성분으로 사용하고 이 -SO3X기 함유 화합물을 산성분 및 알코올 성분의 총량에 대하여 0.1몰 % 이상의 비율로 사용하여 합성된 포화폴리에스테르,
    (B)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및
    (C) 중합성 단량체
    로 되며 (A)+(B)+(C)에 대하여 -SO3X기가 0.001 내지 0.4몰/kg의 범위의 비율로 함유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염성 단추 블랭크.
    Figure kpo00004
    (단, 식중 R1및 R2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X는 수소원자 또는 알칼리 금속 원자이고,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또는 1내지 5의 정수이며, n+m≠0의 식을 만족시키는 것임).
    Figure kpo00005
    (단, 식중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X는 수소원자 또는 알칼리 금속원자를 나타냄)
    Figure kpo00006
    (단, 식중 R5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6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X는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 금속 원자이고, P는 0 내지 5의 정수를, q는 0 또는 1을 나타냄.)
KR7801348A 1978-05-04 1978-05-04 이염성 단추 블랭크 KR840002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1348A KR840002215B1 (ko) 1978-05-04 1978-05-04 이염성 단추 블랭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1348A KR840002215B1 (ko) 1978-05-04 1978-05-04 이염성 단추 블랭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215B1 true KR840002215B1 (ko) 1984-12-03

Family

ID=1920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1348A KR840002215B1 (ko) 1978-05-04 1978-05-04 이염성 단추 블랭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21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6992A (en) Low shrink thermosetting polyesters
US4835213A (en) Process for producing lactone polymer and an anti-shrinking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having formulated therein said lactone polymer as an anti-shrinking agent
DE69916900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theresterharzen mit hohem aromatischen Estergehalt
US4482694A (en) High molecular weight aromatic polyester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US4347343A (en) Thickened vinyl ester resin compositions
JPS628444B2 (ko)
US4141865A (en) Catalysts for reaction of carboxylic acids with polyepoxides
KR840002215B1 (ko) 이염성 단추 블랭크
FI66629B (fi) Omaettade polyesterkompositioner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dessa samt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lastiska polymerer genom att haerda dessa kompositioner
JP2004277454A (ja) 生分解性高分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体
JPS6251601B2 (ko)
US5254642A (en) Thermoplastic polyester low profile additives for vinyl ester/polyester resinous compositions
US4263198A (en) Thickening agents for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US4268431A (en) Colorant-thickener dispersions for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US3649571A (en) Cationically dyeable polyester
JP3944762B2 (ja) 不飽和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材料
EP0364257A2 (en) Use of cobalt salts to improve polyarylate color
KR810001560B1 (ko) 저수축성 수지 조성물
JP2608231B2 (ja) 硬化性塗料用組成物
US4271065A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EP0107031A1 (en) Uniformly pigmented low shrinking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s
KR100236669B1 (ko) 성형재료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및 이것을 이용한 성형재료
JP2003064114A (ja) 硬化剤組成物、熱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934725B2 (ja)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S6132328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