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013B1 - 전자식 형광등 점등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형광등 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013B1
KR840002013B1 KR1019830001455A KR830001455A KR840002013B1 KR 840002013 B1 KR840002013 B1 KR 840002013B1 KR 1019830001455 A KR1019830001455 A KR 1019830001455A KR 830001455 A KR830001455 A KR 830001455A KR 840002013 B1 KR840002013 B1 KR 840002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c
fluorescent lamp
inductor
voltage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성
Original Assignee
정봉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봉성 filed Critical 정봉성
Priority to KR101983000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01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형광등 점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2도는 다이악(DIAC)의 전압-전류 특성 곡선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O : 코일 CO : 콘덴서
A : 형광등 F1, F2: 필라멘트
DIAC : 다이악 L1: 승압인덕터
ACV : 상용고류 전원
본 발명은 형광등 점등장치에서 안정기(승압 트랜스) 없이도 형광등이 즉시 점등되게 한 전자식 형광등점등 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안정기(승압 트랜스)가 없는 브릿지 정류 배전압 방식에 의한 전자식 점등장치가 있었으나, 형광등이 직류로 방전하므로 방전할때 발생되는 전리된 이온이 한쪽 극으로 몰리기 때문에 형광등의 조도가 급속히 저하되고 열화도가 심해서 수명이 짧았으며, 또한 발전 회로를 이용한 전자식 안정기는 구성이 복잡하고 방해 전파를 발생하여 다른 기기에 잡음을 일으키기 때문에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안정기와 스타트 램프로 구성된 형광등은 전력 손실이 크고 부피와 중량도 크며, 불쾌한 안정기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코일과 콘덴서 및 스위칭 소자만으로 된 전자식 점등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형광등이 즉시 점등되게 한 것으로 소령 경량이면서 전력 손실이 거의 없고 규정된 조도로 장시간 발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제1도와 같이 전원(ACV) 일측은 스위치(SW)와 콘덴서(C0)를 지나 형광등(A)의 필라멘트(F1)를 통해 다이악(DIAC) 일측에 접속되며, 타측은 코일(L0)과 필라멘트(F2)를 지나 승압 인덕터(L1)를 통해 다이악(DIAC)의 타측에 각각 접속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별첨도와 같이 형광등(A)을 켜고자 할때는 전원스위치(SW)를 온(ON)하면 콘덴서(C0)와 코일(L0)을 통해서 형광등(A) 양단(F1-F2)에 전원 전압(ACV)이 걸리게 되는데 제3a와 같이 스위치(SW)를 온하는 순간스위치(SW)의 접점 사이에서는 스파크가 발생하여 제3b와 같이 이상 고압(VH)이 짧은 순간동안 발생되므로 이 전압은 최대값으로 콘덴서(C0)에 충전된다.
따라서 콘덴서(C0)에 충전된 전압(VH)이 필라멘트(F1, F2)를 통해 다이악(DIAC) 양단에 걸리게 되는데 콘덴서(C0)에 충전된 전압이 제2도와 같은 다이악(DIAC)의 트리거 전압(Vγ)에 이르게 되는 순간 다이악(DIAC)이 도통되므로 이 순간 (c)와 같은 고압의 역기전력이 승압인덕터(L1)에서 순간적으로 발생되서 이 전압이 형광등(A) 양단(F1-F2)에 인가되어 형광등(A)이 점등된다.
즉 스위치(SW)에서 발생되는 순간적인 이상 전압을 콘덴서(C0)에 충전해서 다이악(DIAC)을 트리거시키므로써 승압 인덕터(L1)에서 발생된 고압으로 형광등(A)을 점등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형광등(A)이 점등된 후에는 다이악(DIAC)의 트리거 전압(Vγ)보다 형광등(A)의 방전 유지전압이 더 낮으므로 다이악(DIAC)은 차단되어 다이악(DIAC)과 승압 인덕터(L1)쪽으로는 전류가 전혀 흐르지 않게 되고, 또한 코일(L0)과 콘덴서(C0)는 상용 교류 전원 주파수인 60Hz에 직렬 공전시켜서 임피던스가 최소가 되게 하므로써 전력 손실이 거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 스위치를 온 하자마자 형광등이 즉시 점등되며, 규정된 조도로 장시간 발광할 수 있고, 또 스압트랜스가 없고 구성이 간단하여 사용되는 부품이 적어서 염가로 제조가 가능하므로 경제성을 높인 것이다.
그리고 부피와 중량이 적고 전력 손실이 거의 없을뿐만 아니라 안정기 소음이나 전파 방해도 전혀 없게된 것이다.

Claims (1)

  1. 전원(AC)일측은 스위치(SW)와 콘덴서(C0)를 지나 형광등(A)의 필라멘트(F1)를 통해 다이악(DIAC)일측에 접속되며, 타측은 코일(L0)과 필라멘트(F2)를 지나 승압인덕터(L1)를 통해 다이악(DIAC)의 타측에 각각 접속하여서 된 전자식 형광등 점등장치.
KR1019830001455A 1983-04-08 1983-04-08 전자식 형광등 점등장치 KR840002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1455A KR840002013B1 (ko) 1983-04-08 1983-04-08 전자식 형광등 점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1455A KR840002013B1 (ko) 1983-04-08 1983-04-08 전자식 형광등 점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013B1 true KR840002013B1 (ko) 1984-10-27

Family

ID=1922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455A KR840002013B1 (ko) 1983-04-08 1983-04-08 전자식 형광등 점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01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1120A (en) DC operated electronic ballast for fluorescent light
US4572988A (en) High frequency ballast circuit
JPS59180994A (ja) 放電灯点灯装置
US4853598A (en) Fluorescent lamp controlling
US4117377A (en) Circuits for starting and operating ionized gas lamps
KR840001992A (ko) 방전램프용 전자안정기
US5572093A (en) Regulation of hot restrike pulse intensity and repetition
KR840002013B1 (ko) 전자식 형광등 점등장치
JPH07296982A (ja) 自動点滅蛍光灯の点燈回路
KR0169164B1 (ko) 순간점등형 형광램프 점등회로
JPH0513185A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211820Y1 (ko) 고압방전램프의 안정기용 보호회로
JPH035039B2 (ko)
KR900001690B1 (ko) 형광등용 전자식냉방전 안정기
JPS5913840B2 (ja) 放電灯段調光装置
RU208805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жигания газоразрядной лампы
JPH0665175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S6366040B2 (ko)
KR940002675Y1 (ko) 전자식 형광등 스타터
US7642727B2 (en) Automotive high intensity discharge ballast
JP3427417B2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
KR890002089B1 (ko) 방전등용 점등회로
JP2000243590A (ja) 放電灯点灯装置、放電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820001517Y1 (ko) 형광등의 순간 점등장치
KR0122007Y1 (ko) 형광 램프의 고속전자 스타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