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089B1 - 방전등용 점등회로 - Google Patents

방전등용 점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089B1
KR890002089B1 KR1019860007648A KR860007648A KR890002089B1 KR 890002089 B1 KR890002089 B1 KR 890002089B1 KR 1019860007648 A KR1019860007648 A KR 1019860007648A KR 860007648 A KR860007648 A KR 860007648A KR 890002089 B1 KR890002089 B1 KR 890002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ischarge lamp
capacitor
transformer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722A (ko
Inventor
유태현
Original Assignee
유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현 filed Critical 유태현
Priority to KR101986000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089B1/ko
Publication of KR880004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전등용 점등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잡음방지부 나 : 제1스위칭부
다 : 제2스위칭부 라 : 펄스발생부
마 : 제1방전등 점등부 바 : 제2반전등 점등부
A : 정류부 TR1-RT4: 트랜지스터
D1-D4: 다이오드 R1-R13: 저항
C1-C10: 콘덴서 T1,T2: 트랜스
L1-L4: 코일 FL1,FL2: 방전등
본 발명은 하나의 점등회로로써 다수개의 방전등을 점등시키고, 또한 일정 범위내에서 방전등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고역율의 다 방전등 점등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식 방전등 점등회로는 그 회로 구성이 복잡하게 됨에 따라, 제품의 원가가 고가로 됨은 물론 개개의 부품소자에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이 많아서 전력이용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방전등 점등 주파수로써 통상 50-60Hz의 상전압이나 가청주파수 범위이내의 주파수를 이용하므로, 방전등에서 발생되는 발진소음이나 플리커(깜빡거림) 현상으로 인하여 시력장애 및 청력장애를 일으킬 우려가 많았다.
한편, 종래에도 하나의 점등회로로써 2개의 방전등을 점등시키는 것이 있었으나, 어느 하나의 방전등을 뽑아 내거나 불량으로 됐을 경우에 다른 하나의 방전등도 점등되지 않게 되므로, 방전등의 유지, 보수시 양측의 방전등을 모두 점검해야 되는 불편이 따랐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주파 발진을 이용하는 하나의 점등회로로써 1개 또는 2이상의 방전등을 점등시키면서, 다 방전등 점등시, 어느 하나의 방전등에서 불량이 발생되더라도 해당 방전등을 제외한 타 방전등의 점등에 하등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며, 이때 점등회로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점등된 방전등수에 비례하며 소모되게 하므로써, 점등회로에서의 소비전력을 극소화로 되게 하고, 또한 위상제어 방식으로써 방전등의 밝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C 전원이 병렬로 접속된 코일(L1), 콘덴서(C1)와 저항(R1)을 통하여, 정류부(A)로 입력되게 접속하고, 정류부(A)의 출력이 저항(R2), 콘덴서(C2)로 된 잡음방지부(가)와 고주파 차단용 코일(L2)을 직렬로 통하여, 제1스위칭부(나)의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측과 병렬 접속의 다이오드(D3), 콘덴서(C5)로 인가되게 접속하며, 또한 저항(R11)을 통한 정류부(A)의 출력이, 각각 방전등(FL1,FL2), 저항(R12,R13), 콘덴서(C6,C8) 및 코일(L4,R5)로 구성된 제1,2방전등 점등부(마,바)를 병렬로 통하여, 트랜지스터(TR3,TR4), 콘덴서(C9,C10) 및 저항(R5-R10)으로 구성된 펄스발생부(라)의 입력단과, 코일(L2)에 접속된 다이오드(D1), 콘덴서(C5)와 접지된 다이오드(D4), 콘덴서(C7)로 인가되게 접속하고, 상기 펄스 발생부(라)의 출력이 제1트랜스(T1)의 코일(L14)로 인가되게 접속한다.
한편, 제1,2스위칭부(나,다)의 트랜지스터(TR1,TR2)의 베이스에는 트랜스(T1)의 각 코일(L11,L13)에 유기된 전압이 각각 다이오드(D1), 콘덴서(C3) 및 다이오드(D2), 콘덴서(C4)를 통하여 인가되게 접속하고,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측과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에 공통 접속된 트랜스(T2)의 코일(L11)에는 제1,2방전등 점등부(마,바)의 각 코일(L4,L5)을 공통 접속하며, 트랜스(T1,T2)의 코일(L12,L21) 사이에는 가변코일(L2)을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한다.
미설명부호 R3,R4는 각각 트랜지스터(TR1,TR2) 보호용 저항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에서, AC 입력전원은 역율 개선용 코일(L1), 콘덴서(C1) 및 저항(R1)을 통하여 정류부(A)로 입력되며, 정류부(A)의 출력전압은 저항(R2) 및 콘덴서(C2)로 된 잡음방지부(가)와 고주파 차단용코일(L2)을 통하여, 제1스위칭부(나)의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와 저항(R11)으로 인가되게 된다.
이때, 정류부(A)는 입력전압(AC)이 100V일 경우에는 배전압 정류회로를 사용하고 입력전압(AC)이 220V일 경우에는 브릿지 정류 회로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저항(R11)을 통한 정류부(A)의 DC 출력 전류는 각각 제1방전등 점등부(마)의 코일(L4), 방전등(FL2)의 일측 필라멘트, 병렬 접속의 저항(R12) 및 콘덴서(C6), 방전등(FL1)의 타측 피라멘트로 구성되는 직렬회로와, 제2방전등 점등부(바)의 코일(L5), 방전등(FL2)의 일측 필라멘트, 병렬 접속의 저항(R13) 및 콘덴서(C8), 방전등(FL2)의 타측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직렬 회로를 통하여 합류된 후 펄스발생부(라)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므로, 상기 펄스발생부(라)에서는 저항(R8) 및 콘덴서(C10)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로써 발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펄스발생부(라)의 발진출력은 콘덴서(C9)를 통하여 트랜스(T1)의 코일(L14)로 흐르게 되는데, 이때 코일(L11)에는 코일(L14)에 흐르는 전류 방향과 같은 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코일(L13)에는 코일(L14)에 흐르는 전류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제1스위칭부(나)의 트랜지스터(TR1)에는 역 바이어스가 걸리게 되고, 제2스위칭부(다)의 트랜지스터(TR2)에는 코일(L13)이 유기된 전압이 다이오드(D2) 및 콘덴서(L4)로 정류되어 순바이어스로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정류부(A)의 DC 출력전류는 코일(L2)→콘덴서(C5)→각 방전등(FL1,FL2)의 타측 필라멘트→각각 병렬접속의 저항(R12), 콘덴서(C6) 및 저항(R13), 콘덴서(C8)→각 방전등(FL1,FL2)의 일측 팔라멘트→각 코일(L4,L5)→트랜스(T2)의 코일(L22)→트랜지스터(TR2)→저항(R4)의 경로를 통하여 흐르게 되며, 이때 각 콘덴서(C6,C8)의 양단전압이 급격히 상승되어 방전등(FL1,FL2)의 관전압을 상승시키게 되므로 방전등(FL1,FL2)의 점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방전등(FL1,FL2)이 점등된 후에는 방전등(FL1,FL2)의 관저항이 급격히 줄어들게 되어, 저항(R12), 콘덴서(C6)의 병렬회로와 저항(R13), 콘덴서(C8)의 병렬회로에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게 되므로, 정류부(A)의 DC 전류는 코일(L2)→콘덴서(C5)→각 방전등(FL1,FL2)→각 코일(L4)(L5)→코일(L22)→트랜지스터(TR2)→저항(R4)의 경로로 흐르게 되며, 이때 트랜스(T2)의 코일(L21)에는 돗트측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써 트랜스(T1)의 코일(L12)로부터 유사된 코일(L11)의 전류방향은 돗트측으로 흐르게 되어, 스위칭부(나)의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는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3)로 정류된 순바이어스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정류부(A)의 DC 출력전류는 코일(L2)→트랜지스터(TR1)→저항(R3)→트랜스(T2)의 코일(L22)→각 코일(L4,L5)→각 방전등(FL1,FL2)→콘덴서(C7)의 경로로 흐르게 되며, 이때 콘덴서(C5)에 충전된 전압을 다이오드(D3)를 통하여 급격히 방전하게 된다.
한편, 제1스위칭부(나)의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므로써 트랜스(T2)의 코일(L11)에 흐르는 전류 방향이 바뀌어 돗트측에서 시작되게 되므로, 트랜스(T1)의 코일(L12)의 전류도 돗트측에서 시작되게 되고, 따라서 제1스위칭부(나)는 오프되면서 제2스위칭부(다)가 턴온되게 되며, 이때는 콘덴서(C7)에 충전된 전압이 다이오드(D4)를 통하여 급격히 방전되는 것이다.
한편, 트랜스(T1,T2)의 코일(L12,L21)에 직렬로 접속된 가변코일(L3)을 조정하게 되면, 코일(L21)로부터 코일(L12)로 유기되는 전압의 위상각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트랜스(T1)의 코일(L11,L13)에 유기되는 전압량이 가변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제1,2스위칭부(나,다)의 출력전류도 변화되어, 일정한 범위내에서 방전등(FL1,FL2)의 밝기가 가변되는 것이다.
또한, 제1,2방전등 점등부(마,바)의 1개 또는 2개 이상의 방전등 점등부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방전등(FL1,FL2) 중 어느 하나가 불량으로 되거나 불필요하게 뽑아 놓았을 경우라도, 나머지 타 방전등의 점등에는 하등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고, 상기 불량난 방전등이나 방전등을 사용하지 않는 방전등 점등부에는 직렬회로가 구성되지 않게 되는 것이므로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는 일은 전혀 없게 된다.
한편, 코일(L2)은 제1,2스위칭부(나,다)에 의해서 발생되는 주파수가 고주파수(40-45KHz)이므로, 이러한 고주파수가 상전원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주파 차단용 필터의 역활을 하는 것이며, 역율 개선용 코일(L1)도 포함, 상기 고주파 차단용 코일(L2)을 통과한 일부 고주파가 정류부(A)내의 다이오드의 극간 용량을 통하여 상전원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점등회로로써 1개 또는 2개 이상의 방전등을 동시에 점등시킬 수 있는 것이며, 전력소모 또한 점등되는 방전등수에 비례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없는 것이고, 가변코일을 조정함으로써 일정 범위내에서는 방전등의 밝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방전등의 점등 주파수가 고주파수이므로, 일반 방전등에서 나타나는 발진소음이나 플리커(깜박거림) 현상은 거의 느낄 수 없는 것이며, 고주파수 발진 방식에 따른 방전등의 점등회로를 채택한 것으로 전력이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특이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전자식 다 방전등 점등회로에 있어서, 정류부(A)의 입, 출력단에 각각 코일(L1), 콘덴서(C1)와 잡음방지부(가), 코일(L2)을 접속하고, 병렬로 접속된 제1,2방전등 점등부(마,바)의 일단을 코일(L2)에 접속된 저항(R11)과, 제1,2스위칭부(나,다)의 출력단과 공접된 트랜스(T2)의 코일(L11)에 접속하고, 그의 타단은 트랜스(T1)의 코일(L14)에 접속된 펄스발생부(라)와, 코일(L2)에 접속된 다이오드(D3), 콘덴서(C5)와, 접지된 다이오드(D4), 콘덴서(C7)에 접속하며, 제1,2스위칭부(나,다)의 각 베이스측에는 트랜스(T1)의 각 코일(L11,L13)을 접속하고, 트랜스(T1,T2)의 코일(L12,L21) 사이에는 가변코일(L3)을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용 점등회로.
KR1019860007648A 1986-09-11 1986-09-11 방전등용 점등회로 KR890002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7648A KR890002089B1 (ko) 1986-09-11 1986-09-11 방전등용 점등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7648A KR890002089B1 (ko) 1986-09-11 1986-09-11 방전등용 점등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722A KR880004722A (ko) 1988-06-07
KR890002089B1 true KR890002089B1 (ko) 1989-06-16

Family

ID=1925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648A KR890002089B1 (ko) 1986-09-11 1986-09-11 방전등용 점등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0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722A (ko) 198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2126C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arc discharge lamp
US6724152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with variable arc control including start-up circuit for providing a bias voltage supply
US5396155A (en) Self-dimming electronic ballast
US5262699A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arc discharge lamp
EP0171108B1 (en) Dc/ac converter for feeding a metal vapour discharge tube
US5142202A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arc discharge lamp
KR830002758B1 (ko) 전자식 형광등 발라스트
JPH0831357B2 (ja) 放電ランプの光度調整用回路
US5138235A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arc discharge lamp
US5747941A (en) Electronic ballast that monitors direct current through lamp filaments
US5438243A (en) Electronic ballast for instant start gas discharge lamps
US4320325A (en) Circuit for starting and ballasting arc discharge lamps
US4340843A (en) Keep-alive circuit for gas discharge lamp
US6194843B1 (en) HID ballast with hot restart circuit
KR890002089B1 (ko) 방전등용 점등회로
US5440475A (en) Electronic Ballast with low harmonic distortion
KR900015582A (ko) 전원 공급회로
EP0198632A2 (en) Electronic ballast for fluorescent lamps
KR0169164B1 (ko) 순간점등형 형광램프 점등회로
KR920001703Y1 (ko) 형광등 순시 점등장치
GB2049318A (en) Voltage doubler starting circuit for arc lamp
US6356034B1 (en) Low voltage discharge lamp power supply
GB2050090A (en) Circuit for starting and ballasting arc discharge lamps
RU5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жигания и питания газоразрядных ламп низкого давления
EP0379729A2 (en) Improvements in frequency converter circuits for powering cold cathode fluorescent tub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