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720B1 -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720B1
KR840001720B1 KR1019800004793A KR800004793A KR840001720B1 KR 840001720 B1 KR840001720 B1 KR 840001720B1 KR 1019800004793 A KR1019800004793 A KR 1019800004793A KR 800004793 A KR800004793 A KR 800004793A KR 840001720 B1 KR840001720 B1 KR 840001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
phe
tyr
pgl
a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217A (ko
Inventor
데이빗 게젤첸 폴
리스 마일리 데이빗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앰드 캄파니
아더 알. 웨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앰드 캄파니, 아더 알. 웨일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앰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30004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217A/ko
Priority to KR8404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07K5/1002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1016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romatic or cyclo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66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derived from pro-opiomelanocortin, pro-enkephalin or pro-dynorphin
    • C07K14/70Enkephalins
    • C07K14/702Enkephalins with at least 1 amino acid in D-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30/00Peptide or protein sequence
    • Y10S930/01Peptide or protein sequence
    • Y10S930/08Endorphin or enkephalin; related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진통제로 유용한 다음 일반식(I)의 신규 펩타이드 및 그의 약학적으로 무독한 산부가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L 및 D는 편광성을 나타내며 ;
R1은 수소 또는 C1내지 C3의 1급 알킬이고 ;
R2는 C1내지 C4의 1급 또는 2급 알킬, 알릴, 시클로 프로필메틸, C1내지 C2의 하이드록시알릴 또는 -(CH2)m-U-CH3(여기서, U는-S-또는>S-O이고 m은 1또는 2이다)이며 ;
R3는 수소, C1내지 C4의 1급 또는 2급 알킬, 시클로 프로필메틸 또는 알릴이고 ;
X는 수소, 할로, 하이드록시, C1내지 C3알톡시, 니트로, C1내지 C3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며 ;
Z는 -CH2OR4
Figure kpo00002
(여기서, R4는 수소 또는 C1내지 C3알킬이다.)또는
Figure kpo00003
(여기서, R5는 C1내지 C3의 알킬이다)이다.
최근에 포유동물의 두뇌나 수액(髓液)으로 부터 모르핀과 유사한 내생성(endogenous)물질이 추출되었다. 이 물질은 엔케팔린이라 명명되었으며 허거스 등에 의해 다음의 배열을 가지는 펜타펩타이드로 확인되었다.
[참조 Hughes et al, Nature, 258 577(1975)]
H-Tyr-Gly-Gly-Phe-Met-OH
H-Tyr-Gly-Gly-Phe-Leu-OH
이 화합물들은 각각 메티오닌-엔케팔린과 로이신-엔케팔린이다.
메티오닌 엔케팔린 및 로이신 엔케팔린은 마우스에게 뇌혈관내 투여했을때 진통작용을 나타내었으나 [참조 Buscher et al, Nature 261, 423(1976)], 비경구투여했을때는 실제상 진통작용이 없다.
따라서 엔케팔린이 발견된 이후로,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시의 생물학적 효능에 기인하는 활성 및 실용성이 증가된 엔케팔린의 동족체를 제조하기 위한 연구가 수많이 시도되었다. 듀타등은 화합물의 효력을 증진시키는 구조적 변형 방법을 제시하였다[참조 Dutta et at, Life Science 21, pp559-562(1977)], 이들은 여기서 다음과 같은 방법중 한방법, 또는 이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a) 2위치의 Gly를 특정한 D-또는 α-아자-아미노산으로 치환한다.
(b) 말단 카복실을 메틸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로 전환시킨다.
(c) 4위치의 Phe를 α-아자 치환하거나, N-메틸화시키거나 또는 방향족환을 수소화시킨다.
로메르등은 Met5를 상응하는 카르비놀로 변형시키는 방법과 Met황을 설폭사이드로 산화시키는 방법을 유용한 변형법으로 제안하였다.[참조 Roemer et al, Nature 268, pp547-549(1977)].
중요한 구조적 변형법중 또다른 방법은 벨기에 특허 제859,026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공보에는 2위치에 D-아미노산잔기를 삽입하고 말단 카복실을 아미드로 전환시키며 5위치의 아미노산 잔기를 N-알킬화시켜 엔케팔린 동족체의 활성 및 생물학적 효능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고도의 진통작용을 가지는 엔케팔린 동족체가 개발되었다. 이 동족체는 5위치에 페닐글리실이나 환-치환된 페닐글리실 부위를 함유하는 펜타펩타이드이다.
문헌에는 5위치에 방향족 아미노산 잔기를 함유하는 다른 펜타펩타이드 엔케팔린 동족체가 알려져 있다. 예를들어 [Ling et al.,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Enkephalin and Endorphin Analogs", Peptides: Proceeding of the Fifth American Peptide Symposium, John Wiley and Sons, New York(1977), pp96-99]에는 Tyr-D-Ala-Gly-Phe-D-Phe-OH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화합물은 본 발명의 5-위치에 페닐 글리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고도의 진통작용을 나타냄에 비하여 제한된 진통작용을 나타낼 뿐이다.
본 발명은 일반식(IIA)의 화합물을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 및 1-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HBT)의 존재하에 일반식(IIB)의 화합물과 반응시킨 후 차단 그물을 제거하여 일반식(I)의 화합물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산부가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R3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
R6는 아미노 차단 그룹이며 ;
R7는 상기에서 정의된 R2이거나 C1미지 C2하이드록시알킬기에 대한 하이드록시 보호그룹이고 ;
R8은 하이드록시 보호그룹이며 ;
X'는 상기에서 정의된 X이거나 하이드록시-보호그룹이고 ;
Z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약학적으로 무독한 산부가염으로는 염산, 황산, 설폰산, 타타르산, 푸마르산, 보롬화수소산, 글리콜산, 시트르산, 말레산, 인산, 석신산, 아세트산, 질산, 벤조산, 아스코르브산, P-톨루엔설폰산, 벤젠설폰산, 나프탈렌 설폰산, 프로피온산등의 산으로부터 제조된 유기 또는 무기산 부가염들이 있다. 이 산부가염물은 모두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I)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치환체에 대한 정의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식(I)의 화합물은 C-말단부위가 1급 알콜, 또는 이의 저급 알킬 에테르 유도체, 1급 또는 2급 아미드 또는 저급 알킬 에스테르인 펜타펩타이드이다.
일반식(I)화합물의 입체배치는 중요한 특징중 하나이다.
편의상 일반식(I)의 펜타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잔기에 대한 넘버링은 말단 아미노기부터 시작한다. 아미노산 잔기의 편광성은 1위치로 부터 4위치의 순서로 보면 L,D, 편광성 없음 및 L이다. 3위치의 잔기는 글리신이므로 편광성이 없다. 5위치(C-말단위치)의 편광성은 상응하게 추정되는 L-아미노산잔기 또는 상응하게 추정되는 D-아미노산잔기 및 이들의 라세믹 혼합물의 편광성과 일치하거나 상응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R1그룹에는 C1내지 C3의 1급 알킬 그룹을 포함한다. "C1내지 C3의 1급 알킬"은 메틸, 에틸 및 n-프로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R4,R5및 X의 정의에는 "C1내지 C3의 알킬" 그룹을 포함한다. "C1내지 C3의 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이소프로필을 의미한다.
상기 식에서 나타난 R2및 R3그룹의 정의에는 "C1내지 C4의 1급 또는 2급 알킬" 그룹이 포함되며 이것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및 2급-부틸을 의미한다.
R2그룹은 또한 "C1내지 C2의 하이드록시알킬"을 나타내며 이것은 하이드록시메틸, 1-하이드록시에틸 및-2하이드록시에틸을 의미한다.
상기식에서 R2그룹의 정의에는 또한-(CH2)m-U-CH3그룹(여기서 U는-S-또는
Figure kpo00006
이며 m은 1 또는 2이다)이 포함된다. "-(CH2)m-U-CH3"는 메틸티오메틸, 메틸티오에틸, 메틸설피닐메틸 및 메틸설피닐 에틸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할로"에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도가 포함되며, "C1내지 C3의 알콕시"에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및 이소프로폭시가 포함된다.
X그룹은 수소, 할로, 하이드록시, C1내지 C3의 알콕시, 니트로, C1내지 C3의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며, 페닐 치환체를 나타낸다. 페닐(X가 수소인 경우)외에도 치환된 페닐로서 P-클로로페닐, P-플루오르페닐, m-브로모페닐, P-요도페닐, O-클로로페닐, P-하이드록시페닐, O-하이드록시페닐, P-메톡시페닐, m-에톡시페닐, O-메톡시페닐, m-프로폭시페닐, P-이소프로폿기페닐, P-니트로페닐, m-니트로페닐, P-톨릴, m-톨릴, O-에틸페닐, P-큐밀, m-큐밀, P-n-프로필-페닐, P-에틸페닐, P-트리플루오로메틸, m-트리플루오로 메틸페닐등이 있다.
상기 일반식(I)의 펜타펩타이드의 특정 위치에 있는 잔기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A) 1위치
이 위치는 펩타이드의 아미노-말단부위이다. 이 잔기는 L-티로신으로 부터 생성된다. 이 잔기는 N-비치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R1은 수소이다. 또한 이 잔기는 C1내지 C3의 1급 알킬로치환될 수 있으며 따라서 N-메틸-, N-에틸-또는 N-n-프로필이 될 수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중 비경구 투여되었을 때 탁월한 진통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1위치에 있는 티로실 잔기가 N-비치환된 것이며 또한 경구투여되었을 때 탁월한 진통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1위치에 있는 티로실 잔기가 N-치환된 것이다. 티로실이 N-치환된 경우, N-치환체는 메틸 또는 에틸이 바람직하며, 메틸이 더욱 바람직하다.
(B) 2위치
본 발명의 펩타이드에서 2번째 위치에 있는 아미노산 잔기는 D-입체이성체이어야만 하며 모든 아미노산 잔기가 될 수 있다. 이 아미노산 잔기로는 D-알라닌(Ala)(R2는 메틸), D-α-아미노부티르산(Abu)(R2는 에틸), D-노르발린(Nva)(R2는 n-프로필), D-발린(Val)(R2는 이소프로필), D-노르로이신(Nle)(R2는 n-부틸), D-로이신(Leu)(R2는 이소부틸), D-이소로이신(IIe)(R2는 2급-부틸), D-알릴글리신[Gly(Al)](R2는 알릴), D-사이클로 프로필메틸글리신[Gly(Cp)](R2는 사이틸르프로필메틸), D-메티오닌(Met)(R2는 2-메틸티오에틸), D-(S-메틸)시스테인[Cys(Me)](R2는 메틸티오메틸), D-메티오닌 설폭사이드[Met(O)](R2는 메틸설피닐에틸), D-(S-메틸)-시스테인 설폭사이드[Cys(Me)(O)](R2는 메틸설피닐메틸), D-세린(Ser)(R2는 하이드록시메틸), D-트레오닌(Thr)(R2는 1-하이드록시에틸) 및 D-호모세린(Hse)(R2는 2-하이드록시에틸)등으로부터 유도된 것이있다. 바람직하게는 R2는 C1내지 C4의 1급 또는 2급 알킬 또는 C1내지 C2의 하이드록시 알킬이다. 이 그룹들 증에서 C1내지 C4의 1급 또는 2급알킬이 더 바람직하며 후자의 경우는 D-알라닌으로 부터 유도된다.
(C) 3위치
이 위치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잔기는 글리신(Gly)으로 부터 유도된 것이다.
(D) 4위치
이 위치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잔기는 L-페닐 알라닌(Phe)으로 부터 유도된 것이다. 이 잔기는 아미노질소에 비치환 또는 치환될 수 있다.(R3). 이 잔기가 N-치환된 것 일때는 N-메틸, N-에틸, N-n-프로필, N-이소프로필, N-m-부틸, N-이소부틸, N-2급-부틸, N-사이클로프로필메틸 또는 N-알릴아다. R3가 수소 이외의 것 일때는 C1내지 C4의 1급 또는 2급 알킬이 바람직하고, 메틸 또는 에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E) 5위치
일반식(I)화합물의 C-말단위치에 존재하는 잔기는 그의 아미드(Z가
Figure kpo00007
), 그의 1급 알콜 또는 상응하는 C1내지 C3알킬에테르(Z가 -CH2OR4) 또는 그의 C1내지 C3알킬 에스테르(Z가
Figure kpo00008
)로 구조적으로 유도되는 아미노산이다. 5위치의 아미노산 잔기의 편광성은 L-, D- 또는 D,L-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잔기는 아미드, 알콜 또는 에스테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드이다. 아미드로서는 1급아미드 즉 Z가
Figure kpo00009
(여기서 R6는 수소이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2급 아미드일 경우에는 R6는 C1내지 C3의 알킬 그룹이다. 이 경우 말단 아미드 그룹은 N-메틸, N-에틸, N-n-프로필 또는 N-이소프로필이며, 바람직하게는 N-메틸이다.
5위치의 잔기는 페닐글리실 또는 환-치환된 페닐글리실이다. 이 환-치환된 페닐글리실의 예로는 P-클로로페닐글리실, m-브로모페닐글리실, O-플루오로페닐글리실, P-플루오로페닐글리실, m-하이드록시페닐글리실, P-하이드록시페닐글리실, O-메톡시페닐글리실, P-에톡시페닐글리실, P-메톡시페닐글리실, m-이소프로폭시페닐글리실, P-n-프로폭시페닐-글리실, m-니트로-페닐글리실, P-니트로페닐글리실, O-니트로페닐글리실, P-톨릴글리실, m-톨리글리실, O-톨릴글리실, P-에틸-페닐글리실, P-큐밀글리실, m-n-프로필페닐글리실, P-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글리실, m-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글리실, O-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글리실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공지되어 있으며 본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음과 같은 약자를 사용한다 :
Figure kpo00010
일반식(I)의 화합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H-L-Tyr-D-Ala-Gly-L-(N-Me) Phe-L-Pgl-NH2-NH2;
H-L-Tyr-D-Ala-Gly-L-Phe-L-Pgl-NH2;
H-L-Tyr-D-Abu-Gly-L-Phe-L-(o-Me) Pgl-NH2;
H-L-Tyr-D-Abu-Gly-L-Phe-D-(p-Me)Pgl-NH2;
H-L-Tyr-D-Nva-Gly-L-Phe-L-(m-Me) Pgl-NH2;
H-L-Tyr-D-Nva-Gly-L-(N-Et) Phe-L-Pgl-NH2;
H-L-Tyr-D-Val-Gly-L-(N-Al)Phe-D-(p-F) Pgl-NH2;
H-L-Tyr-D-Val-Gly-L-(N-Pr) Phe-L-Pgl-NH2;
H-L-Tyr-D-Nle-Gly-L-Phe-L-(p-Me) Pgl-NH2;
H-L-Tyr-D-Nle-Gly-L-Phe-D-(p-MeO) Pgl-NH2;
(N-Et)-L-Tyr-D-Leu-Gly-L-(N-IP) Phe-L-Pgl-NH2;
H-L-D-Leu-Gly-L-Phe-L-(m-Pr) Pgl-NH2;
H-L-Tyr-D-Ile-Gly-L-(N-Me) Phe-L-(p-OH)-Pgl-NH2;
H-L-Tyr-D-Ile-Gly-L-Phe-D-(p-Pr) Pgl-NH2;
H-L-Tyr-D-Ala-Gly-L-(N-s-Bu) Phe-L-(m-Cl) Pgl-NH2;
H-L-Tyr-D-Ala-Gly-L-Phe-L-(o-Br) Pgl-NH2;
(N-Me)-L-Tyr-D-Ala-Gly-L-Phe-D-(p-I) Pgl-NH2;
H-L-Tyr-D-Ala-Gly-L-(N-i-Bu) Phe-L-Pgl-NH2;
H-L-Tyr-D-Ala-Gly-L-(N-Cp) Phe-L-(p-EtO) Pgl-NH2;
H-L-Tyr-D-Ala-Gly-L-(N-s-Bu) Phe-D-Pgl-NH2;
H-L-Tyr-D-Ala-Gly-L-Phe-L-(m-PrO) Pgl-NH2;
H-L-Tyr-D-Ala-Gly-L-Phe-L-(p-No2) Pgl-NH2;
H-L-Tyr-D-Ala-Gly-L-(N-Pr) Phe-L-(m-IpO) Pgl-NH2;
H-L-Tyr-D-Ala-Gly-L-Phe-D-(p-CF3) Pgl-NH2;
H-L-Tyr-D-Val-Gly-L-(N-Ip) Phe-L(m-OH) Pgl-NH2;
H-L-Tyr-D-Leu-Gly-L-Phe-L-(o-OH) Pgl-NH2;
H-L-Tyr-D-Val-Gly-L-(N-Et) Phe-L-(p-Et) Pgl-NH2;
H-L-Tyr-D-Leu-Gly-L-Phe-D-(o-Me) Pgl-NH2;
H-L-Tyr-D-Ala-Gly-L-(N-Cp) Phe-L-Pgl-NH2;
(N-Me)-L-Tyr-D-Ala-Gly-L-Phe-L-(m-CF3) Pgl-NH2;
H-L-Tyr-D-Ala-Gly-L-Phe-L-(m-NO2) Pgl-NH2;
(N-Me)-L-Tyr-D-Ala-Gly-L-Phe-D-(o-NO2) Pgl-NH2;
H-L-Tyr-D-Ala-Gly-L-(N-Al) Phe-L-Pgl-NH2;
H-L-Tyr-D-Gly(Al)-Gly-L-Phe-L-(p-Br) Pgl-NH2;
(N-Et)-L-Tyr-D-Gly(Cp)-Gly-L-(N-Cp) Phe-L-(p-I) Pgl-NH2;
H-L-Tyr-D-Met-Gly-L-Phe-L-(p-Ip) Pgl-NH2;
H-L-Tyr-D-Cys(Me)-Gly-L-Phe-D-(m-Pr) Pgl-NH2;
H-L-Tyr-D-Met(O)-Gly-L-Phe-L-(o-Cl) Pgl-NH2;
(N-Pr)-L-Tyr-D-Cys(Me)(O)-Gly-L-Phe-L-(p-IpO) Pgl-NH2;
H-L-Tyr-D-Ser-Gly-L-Phe-L-(o-CF3) Pgl-NH2;
(N-Me)-L-Try-D-Ala-Gly-L-(N-Et) Phe-L-Pgl-NH2;
H-L-Tyr-D-Ala-Gly-L-(N-Et) Phe-L-(p-MeO) Pgl-NH2;
(N-Me)-L-Tyr-D-Ala-Gly-L-(N-Me) Phe-L-Pgl-NH2;
(N-Me)-L-Tyr-D-Ala-Gly-L-(N-Pr) Phe-L-Pgl-NH2;
H-L-Tyr-D-Thr-Gly-L-(N-Et) Phe-L-Pgl-NH2;
H-L-Tyr-D-Hse-Gly-L-Phe-L-(m-Cl) Pgl-NH2;
(N-Me)-L-Tyr-D-Ala-Gly-L-Phe-L-(p-OH) Pgl-NH2;
(N-Pr)-L-Tyr-D-Ala-Gly-L-Phe-L-(p-NO2) Pgl-NH2;
H-L-Tyr-D-Ala-Gly-L-Phe-D-(o-I) Pgl-NH2;
(N-Et)-L-Tyr-D-Abu-Gly-L-Phe-L(o-CF3) Pgl-NH2;
(N-Pr)-L-Tyr-D-Val-Gly-L-(N-Et) Phe-L-Pgl-NH2;
H-L-Tyr-D-Ala-Gly-L-(N-Et) Phe-L-Pgl-NH(Me);
H-L-Tyr-D-Ala-Gly-L-Phe-L-(p-MeO) Pgl-NH(Me);
H-L-Tyr-D-Ala-Gly-L-Phe-L-(p-F) Pgl-NH(Me);
H-L-Tyr-D-Ala-Gly-L-(N-Et)Phe-L-(m-Me) Pgl-NH(Et);
H-L-Tyr-D-Ala-Gly-L-(N-Et)Phe-L-Pgl-NH(Et);
H-L-Tyr-D-Ala-Gly-L-(N-Et)Phe-L-(m-OH) Pgl-NH(Me);
(N-Me)-L-Tyr-D-Ala-Gly-L-Phe-L-(p-Br) Pgl-NH(Pr);
(N-Et)-L-Tyr-D-Ala-Gly-L-Phe-L-(p-No2)Pgl-NH(Me);
H-L-Tyr-D-Ala-Gly-L-(N-Al) Phe-L-Pgl-NH(Ip);
H-L-Tyr-D-Ala-Gly-L-(N-Me) Phe-L-Pgl-CH2OH;
H-L-Tyr-D-Ala-Gly-L-(N-Me) Phe-L(P-Cl)Pgl-CH2OH;
H-L-Tyr-D-Abu-Gly-L-Phe-L-(m-Et) Pgl-CH2OH;
H-L-Tyr-D-Abu-Gly-L-(N-Al) Phe-D-(p-Me)Pgl-CH2OH;
H-L-Tyr-D-Nva-Gly-L-Phe-L-(p-MeO) Pgl-CH2OH;
H-L-Tyr-D-Nva-Gly-L-(N-Et) Phe-L-Pgl-CH2OH;
H-L-Tyr-D-Val-Gly-L-Phe-D-(m-EtO) Pgl-CH2OH;
H-L-Tyr-D-Val-Gly-L-(N-Pr) Phe-L-Pgl-CH2OH;
H-L-Tyr-D-Nle-Gly-L-Phe-L-(p-CF3) Pgl-CH2OH;
H-L-Tyr-D-Nle-Gly-L-Phe-D-(o-NO2) Pgl-CH2OH;
H-L-Tyr-D-Leu-Gly-L-(N-Ip) Phe-L-Pgl-CH2OH;
H-L-Tyr-D-Leu-Gly-L-Phe-L-(p-Pr) Pgl-CH2OH;
(N-Me)-L-Tyr-D-Ile-Gly-L-Phe-L-(p-Meo) Pgl-CH2OH;
(N-Et)-L-Tyr-D-Ile-Gly-L-Phe-D-(o-Pr) Pgl-CH2OH;
(N-Pr)-L-Tyr-D-Ala-Gly-L-(N-Cp)Phe-L-(m-Eto)-Pgl-CH2OH;
(N-Me)-L-Tyr-D-Ala-Gly-L-Phe-L-(p-Pro) Pgl-CH2OH;
H-L-Tyr-D-Ala-Gly-L-(N-Pr) Phe-D-(p-I) Pgl-CH2OH;
H-L-Tyr-D-Ala-Gly-L-(N-1-Bu) Phe-L-Pgl-CH2OH;
(N-Me)-L-Tyr-D-Ala-Gly-L-Phe-L-(o-IpO) Pgl-CH2OH;
H-L-Tyr-D-Ala-Gly-L-(N-s-Bu)Phe-D-Pgl-CH2OH;
H-L-Tyr-D-Ala-Gly-L-(N-i-Bu) Phe-L-(o-Meo) Pgl-CH2OH;
H-L-Tyr-D-Ala-Gly-L-Phe-L-(m-F) Pgl-CH2OH;
H-L-Tyr-D-Ala-Gly-L-Phe-L-(o-OH)Pgl-CH2OH;
(N-Me)-L-Tyr-D-Ala-Gly-L-(N-Et)Phe-D-(p-OH)-Pgl-CH2OH;
H-L-Tyr-D-Val-Gly-L-Phe-L-(m-Br) Pgl-CH2OH;
H-L-Tyr-D-Leu-Gly-L-Phe-L-(o-CF3) Pgl-CH2OH;
(N-Pr)-L-Tyr-D-Val-Gly-L-Phe-L-(o-Et) Pgl-CH2OH;
H-L-Tyr-D-Leu-Gly-L-Phe-D-(p-IpO) Pgl-CH2OH;
H-L-Tyr-D-Ala-Gly-L-(N-Cp) Phe-L-Pgl-CH2OH;
H-L-Tyr-D-Ala-Gly-L-Phe-L-(o-IpO) Pgl-CH2OH;
(N-Me)-L-Tyr-D-Ala-Gly-L-Phe-L(o-F) Pgl-CH2OH;
H-L-Tyr-D-Ala-Gly-L-Phe-D-(o-NO2) Pgl-CH2OH;
H-L-Tyr-D-Ala-Gly-L-(N-Al) Phe-L-Pgl-CH2OH;
H-L-Tyr-D-Gly(Al)-Gly-L-(N-Me) Phe-L-(p-F) Pgl-CH2OH;
H-L-Tyr-D-Gly(Cp)-Gly-L-Phe-L-(m-Me) Pgl-CH2OH;
(N-Me)-L-Tyr-D-Met-Gly-L-(N-Et)Phe-L-(o-CF3)-Pgl-CH2OH;
(N-Et)-L-Tyr-D-Cys(Me)-Gly-L-Phe-D-(p-I)-Pgl-CH2OH;
H-L-Tyr-D-Met(O)-Gly-L-Phe-L(p-NO2) Pgl-CH2OH;
H-L-Tyr-D-Cys(Me)(O)-Gly-L-Phe-L-(o-Me)Pgl-CH2OH;
H-L-Tyr-D-Ser-Gly-L-Phe-L-(o-MeO) Pgl-CH2OH;
H-L-Tyr-D-Ala-Gly-L-(N-Et)-Phe-L-Pgl-CH2OH;
H-L-Tyr-D-Ala-Gly-L-(N-Et) Phe-L-Pgl-CH2OMe;
H-L-Tyr-D-Ala-Gly-L-(N-Et) Phe-L-(p-Me) Pgl-CH2OMe;
(N-Me)-L-Tyr-D-Ala-Gly-L-Phe-L-(p-Cl) Pgl-CH2OMe;
H-L-Tyr-D-Ala-Gly-L-(N-Me) Phe-L-(o-NO2) Pgl-CH2OEt;
H-L-Tyr-D-Ala-Gly-L-(N-Et) Phe-L-Pgl-CH2OEt;
H-L-Tyr-D-Ala-Gly-L-Phe-L-(p-CF3) Pgl-CH2OMe;
(N-Me)-L-Tyr-D-Ala-Gly-L-Phe-L(m-IpO) Pgl-CH2OPr;
H-L-Tyr-D-Ala-Gly-L-Phe-L-(p-Pr) Pgl-CH2OMe;
H-L-Tyr-D-Ala-Gly-L-(N-Al) Phe-L-Pgl-CH2OIP;
H-L-Tyr-D-Ala-Gly-L-(N-Me) Phe-L-Pgl-OMe;
H-L-Tyr-D-Ala-Gly-L-Phe-L-(m-Me) Pgl-OEt;
H-L-Tyr-D-Abu-Gly-L-Phe-L-(o-Et) Pgl-OMe;
H-L-Tyr-D-Abu-Gly-L-Phe-D-(p-MeO) Pgl-OMe;
H-L-Tyr-D-Nva-Gly-L-Phe-L-(m-IpO) Pgl-OPr;
(N-Me)-L-Tyr-D-Nva-Gly-L-(N-Et) Phe-L-Pgl-OIp;
H-L-Tyr-D-Val-Gly-L-Phe-D-(o-PrO) Pgl-OMe;
H-L-Tyr-D-Val-Gly-L-(N-Pr) Phe-L-Pgl-OEt;
(N-Pr)-L-Tyr-D-Nle-Gly-L-Phe-L-(p-CF3) Pgl-OEt;
H-L-Tyr-D-Nle-Gly-L-Phe-D-(m-NO2)Pgl-OMe;
H-L-Tyr-D-Leu-Gly-L-(N-Ip) Phe-L-Pgl-OEt;
(N-Me)-L-Tyr-D-Leu-Gly-L-Phe-L-(p-Cl) Pgl-OPr-Opr;
H-L-Tyr-D-Ile-Gly-L-Phe-L-L-(m-Br) Pgl-OMe;
H-L-Tyr-D-Ile-Gly-L-Phe-D-(o-F)Pgl-OMe;
(N-Pr)-L-Tyr-D-Ala-Gly-L-(N-Me) Phe-L-(p-Cl)-Pgl-OMe;
H-L-Tyr-D-Ala-Gly-L-Phe-L-(p-NO2) Pgl-OEt;
H-L-Tyr-D-Ala-Gly-L-(N-Et) Phe-D-(o-MeO)-Pgl-OIp;
(N-Et)-L-Tyr-D-Ala-Gly-L(N-i-Bu) Phe-L-Pgl-OMe;
H-L-Tyr-D-Ala-Gly-L-Phe-L-(p-Br) Pgl-OMe;
H-L-Tyr-D-Ala-Gly-L-(N-s-Bu) Phe-D-Pgl-OEt;
H-L-Tyr-D-Ala-Gly-L-Phe-L-(o-EtO) Pgl-OPr;
H-L-Tyr-D-Ala-Gly-L-(N-Me) Phe-L-(p-NO2)-Pgl-OIp;
(N-Me)-L-Tyr-D-Ala-Gly-L-(N-Et) Phe-L-(p-Pr)-Pgl-OMe;
H-L-Tyr-D-Ala-Gly-L-Phe-D-(m-IpO) Pgl-OMe;
H-L-Tyr-D-Val-Gly-L-(N-Me) Phe-L-(p-I) Pgl-OMe;
(N-Me)-L-Tyr-D-Leu-Gly-L-Phe-L-(m-Br)Pgl-OEt;
본 발명의 일반식(I)화합물을 합성할 때 부분적으로 라세미화가 일어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라세미화에 의해 일반식(I)화합물의 진통작용이 영향을 받을 정도는 아니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고체상 펩타이드합성법 또는 통상적인 액상 펩타이드 합성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고체상 합성법에서는 수지 지지체, 대표적으로는 벤즈하이드릴아민수지 또는 클로로메틸화 폴리스티렌수지 지지체를 사용하여 펩타이드 사슬을 차례로 형성시킨다. 이 생성물을 0℃ 근처에서 HF를 사용하여 수지로 부터 회수해내며 일반적으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한다.
상기 방법중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지 일반식(I)화합물의 제조방법에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단편중 한편의 카복실기와 다른 한편의 아미노기를 반응시켜 아미드 결합을 형성시킴으로써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단편을 커플링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커플링 반응이 효과적으로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적절한 차단 그룹을 사용함으로써 반응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모든 반응성 작용기를 불활성화하며, 두번째로는 커플링될 카복실 작용기를 커플링 반응이 잘 진행되도록 적절하게 활성화 시킨다. 이러한 공정 모두에 원하는 펩타이드 생성물이 수득될 수 있도록 반응 순서와 반응 조건을 조심스럽게 선택하고 특정의 차단 그룹을 사용해야 한다.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며 특정 보호그룹 및/또는 활성화 작용기를 함유하는 각 아미노산은 펩타이드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한다.
차단 그룹을 선택 조합하여 일반식(I)화합물의 합성시 각 위치에 사용한다. 이러한 특정 조합이 가장 원활하게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조합을 일반식(I)화합물의 합성에 사용할 수도 있으나 성공도가 낮아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벤질옥시카보닐, 3급-부틸옥시카보닐, 3급-아밀옥시카보닐, P-메톡시벤질옥시카보닐, 아다만틸-옥시카보닐, 및 이소보닐옥시카보닐을 일반식(I)화합물의 합성에 아미노 차단그룹으로써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티로실 잔기의 하이드록시-보호그룹으로서 벤질(Bzl)을 사용하며 또한 P-니트로벤질(pNB), P-메톡시벤질(pMB)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제조시 카복실 차단 그룹으로는 메틸, 에틸, 벤질, P-니트로벤질, P-메톡시벤질, 2,2,2-트리클로로메틸 등의 전형적인 에스테르 형성그룹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 제조시 적절하게 보호된 N-차단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단편을 적절하게 보호된 카복시-차단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단편과 커플링시키는 공정에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단편의 유리카복실 작용기를 커플링 반응에 대해 활성인 상태로 만드는 과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활성화 방법으로는 카복실 작용기를 커플링 반응에 대해 활성인 상태로 만드는 과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활성화 방법으로는 카복실 작용기를 혼합 무수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있다. 유리 카복실 작용기는 다른 산, 전형적으로는 카본산 유도체(예 : 산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활성화한다. 혼합 무수물을 생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산클로타이드의 예로는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2급-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피발로일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사용한다.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카복실 작용기를 활성화시키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이 카복실 작용기를 활성의 에스테르 유도체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활성의 산 에스테르에는 2,4,5-트리클로로페닐에스테르, 펜타클로로페닐에스테르, P-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등이 있다. 그의 적용할 수 있는 커플링 방법은 잘 알려져 있는 아지드 커플링 법이다.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데에 바람직한 커플링 방법은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로 유리카복실 작용기를 활성화시켜 커플링이 진행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활성화 및 커플링 공정은 아미노산이나 펩타이등 단편에 대해 등몰량의 DCC를 사용하며, 등몰량의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BT)존재하에 수행한다.
HBT가 반응중에 존재하면 불필요한 부반응 및 라세미화의 가능성이 억제된다.
일반식(I)의 화합물 제조시에 사용된 차단그룹은 합성서열중 특정한 지점에서 제거해야 한다. 펩타이드 합성분야의 숙련가는 대표적인 보호그룹들 중에서 병용할 수 있는 그룹들을 쉽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므로 아미노산이나 펩타이드 단편상에 존재하는 보호그룹들을 하나 이상(그러나 전부는 아님) 제거함으로써 생성물을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펩타이드 분야에 공지된 방법이며 선택적 분리방법에 관한 것은 슈뢰더와 뤼브케에 의해 전술된 문헌[The Peptides, Vol. Academic Press, New York(1965), 특히 pp72-75의 표]을 참조하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카복실 보호그룹은 알칼리성 검화에 의해 분리해낼 수 있다. 보호된 카복실을 탈에스테르화 하려 할 때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강한 알칼리성 조건에서 수행하는데, 전형적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과 같은 알칼리금속의 수산화물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검화 반응의 반응조건은 문헌에 잘 알려져 있다. 카복실 차단그룹의 대부분은 촉매적 가수소분해, 예를들면 Pd/C 촉매 존재하에 가수소분해시킴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카복실 차단그룹이 P-니트로벤질 또는 2,2,2-트리클로로에틸일 경우, 아연과 염산의 존재하에 카복실차단그룹을 환원시킴으로서 탈차단시킬 수 있다.
아미노 차단그룹의 대부분은 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를 포름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 P-톨루엔설폰산(TSA), 벤젠설폰산(BSA), 나프탈렌설폰산 등과 같은 산으로 처리하여 각각 산부가염을 생성시킴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사용되는 방법 또는 시약은 특정한 탈 차단 반응을 시킬 물질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성질에 따라 결정된다. 생성된 산부가염은 적절한 DEAE 세파덱스 A25, 앰버리스트 A27과 같은 이온교환 수지로 처리하여 보다 더 약학적으로 무독한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하이드록시-보호그룹은 펩타이드상에 전반적인 제조과정을 통해 보존시킬 수 있으며 최종 합성단계중에 아미노 차단그룹과 함께 분리시킨다. 그러나, 카복실 차단그룹의 제거시의 반응조건에 따라 제조과정 중의 초기에서 제거할 수 있다. 카복실 보호그룹을 알칼리성 검화에 의해 분리시킬때는 하이드록시 보호그룹은 보존된다. 그러나 카복실 보호그룹을 촉매적으로 가수소 분해시켜 제거할 때는 하이드록시 보호그룹도 분리된다.
이와같은 경우에 하이드록시 보호그룹도 제거됨으로 인해 심각한 문제는 야기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일반식(I)의 화합물은 유리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티로실 잔기의 존재하에서 제조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용액법에서는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할 때 N-말단 트리펩타이드와 C-말단 디펩타이드를 각각 제조하여 커플링시키고, 이어서 잔존하는 차단된 부위를 적절히 탈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N-말단 트리펩타이드와 반응시킬 C-말단 디펩타이드는 아미드, 알콜,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부위를 함유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C-말단 디펩타이드는 원하는 C-말단 부위에 대한 전구체형태의 그룹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일반적 순서는 다음 도식과 같다. 이 순서중 "Z"는 최종형태 또는 전구체 형태로서 C-말단부위를 나타내며, "AA"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AA에 붙은 숫자는 최종 펩타이드 생성물 서열에서의 아미노산의 위치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11
상기도식은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중 한가지를 나타낸 것이며, 다른 순서에 따라 수행할 수 도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용액법으로는 C-말단 아미노산 부위로부터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단일 아미노산을 서열에 따라 첨가하여 펩타이드 사슬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중 R1과 R3중 하나 이상이 각각 알킬, 알릴 또는 사이클로프로필메틸인 것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조순서중에 적절한 N-치환아미노산을 사용한다. N-보호된 아미노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모든 N-모노치환 아미노산을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12
상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아미노산을 적합한 크라운 에테르의 존재하에 수소화칼륨으로 처리하여 2개의 음이온을 생성시킨다. 이어서 중간체를 적절한 알릴, 사이클로프로필메틸 또는 알킬 요다이드로 처리하여 목적하는 N-치환 아미노산을 수득한다.
상기 알킬화반응에 적용된 것과 같은 강알칼리성 조건하에서 α-탄소에서의 라세미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은 펩타이드 합성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라세미화의 정도는 특정 아미노산에 따라 다르다. 라세미화는 과량의 알킬화제를 사용하고 반응시간을 가능한한 단축시킴으로써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그러나, 라세미화가 과도하게 일어나더라도, 생성물은 d(+)α-페닐에틸아민염과 같은 적절한 편광성아민의 염으로 재결정화시켜 정제할 수 있다.
일반식(I)펩타이드의 C-말단부분은 그의 1급 또는 2급 아미드, 에스테르, 알콜 또는 에테르로 유도화 시킬 수 있다. 일반식(I)의 아미드펜타펩타이드에 있어서, 아미드는 N-모노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상태이다. 일반식(I)의 펩타이드를 아미드로 유도화시키기 위해서는, 아미노산의 카복실그룹을 1-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HBT)의 존재하에 N,N'-디사이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DCC)로 활성화시켜 HBT에스테르를 생성시키고, 이 에스테트를 무수 암모니아 또는 적합한 1급 아민과 반응시켜 비치환 또는 N-모노치환된 아미드를 생성시킨다. 일반식(I)의 펜타펩타이드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1급 아민에는 메틸아민, 에틸아민, n-프로필아민 및 이소프로필아민이 있다.
C-말단에스테르는 본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에 의해 상응하는 산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일반식(I)의 펩타이드를 1급 알콜로 유도화시키기 위해서는 C-말단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의 메틸에스테르를 제조하고 이 에스테르를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 및 염화리튬으로 환원시켜 상응하는 1급 알콜 유도체를 수록한다.
에테르는 공지된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중 하나는 상응하는 알콜을 수성 수산화나트륨 매질중에서 알킬브로마이드로 처리하는 것인데, 이때 알킬 그룹은 에테르 생성물의 알킬 부분에 상응한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유용한 약제로서 진통작용 및 신경안정작용을 나타내며, 특히 인체 및 포유류에 비경구 또는 경구투여할때 통증의 경감 및 정서장애의 완화에 유용하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무독한 담체와 함께 배합하여 투여할 수 있는데, 그 배합 비율은 화합물의 용해도, 화학적 특성, 투여경로 및 표준약제학적 관례에 따라 결정된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비경구투여 즉, 근육주사, 피하주사 또는 정맥주사하기에 적절한 조성물이다. 여기에는 멸균 주사액 또는 현탁제 및 멸균주사용 데포제 또는 서방성 제제가 포함된다. 특히 편리한 멸균 주사액은 등장성 식염수나 등장성 덱스트로즈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멸균 주사용 조성물은 제조하여 그 자체로 보관하거나, 성분을 멸균상태로 유지시키는 바이알 또는 앰플과 같은 용기에 밀봉된 무균성분 기지량에 물과 같은 무균매질을, 사용하기 직전에 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지량의 무균성분에는 무균매질을 첨가시킨 후에 등장용액 또는 현탁액이 생성되도록 충분한량의 무균 덱스트로즈 또는 염화나트륨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또한 경구투여에 적절한 조성물이다. 이들은 예측된 양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캡슐제정제 등과 같은 단위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산제 또는 과립제, 수성 또는 비수성 매질중의 액제 또는 현탁제 또는 유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정제는 하나 이상의 보조 성분과 함께 타정하여 제조한다.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자유-유동형태의 활성성분을 결합제, 활탁제, 불활성 희석제, 계면활성제, 완충화제, 향미제, 점증제, 방부제, 분산제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성분과 혼합하여 타정한다.
일반식(I)화합물의 가장 적절한 실제 용량은 의사가 결정한다. 용량은 투여방법, 투여화합물, 환자의 상태 및 치료 방법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근육주사 또는 피하주사시, 환자 체중 kg당 10㎍내지 2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이며, 정맥주사시에는 체중 kg당 1㎍ 20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이다. 경구투여시 용량범위는 일반적으로 체중 kg당 1mg 내지 500mg, 바람직하게는 50mg 내지 200mg, 더 바람직하게는 50mg 내지 100mg이다.
다음 실시예는 일반식(I)화합물의 제조 및 활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써 본 발명의 영역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약어들은 전술된 바와 같다.
[실시예 1]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L-페닐알라닐-L-P-메고시페닐글리신아미드, 아세테이트염의 제조
A. Nα-3급-부틸옥시카보닐-L-P-메톡시페닐-글리신아미드
Nα-3급-부틸옥시-카보닐-P-메톡시페닐글리신(5.03g, 17.9밀리몰)을 냉(-9℃) THF (50ml)에 녹여 잘 교반한 용액에 N-메틸모르플린(1.99ml; 17.9밀리몰)을 첨가하고 이어서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2.34ml, 17.9밀리몰)을 첨가한다. 2.5분후 NH3(기체)를 반응혼합물에 1시간 동안 통해준다. 이 반응혼합물을 80ml의 물고 80ml의 에틸아세테이트간에 분배시키고, 층을 분리시킨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은 1N KHCO3(80ml), 물(80ml), 1N 염산(2×80ml) 및 물(80ml)로 연속적으로 세척한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탈수시키고 여과한 후,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4.77g의 백색고체를 수득한 후 이 고체를 에틸아세테이트와 석유 에테르의 혼합물에서 재결정화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3.22g;66%)
B. L-P-메톡시페닐글리신아미드 염산염
3.32g(12밀리몰)의 상기 A의 화합물을 빙초산(6.0ml), 아니솔(4.7ml) 및 트리에틸실란(4.7ml)에 녹인 용액에 아세트산증 0.77N 염산 47ml (36밀리몰)를 첨가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 CaSO4건조관 하에서 35분간 교반한 후 600ml의 에테르로 희석한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여 에테르(50ml)로 2회 세척한 후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2.53g(75%)의 표제화합물을 수록한다.
C. Nα-3급-부틸옥시카보닐-L-페닐알라닐-L-P-메톡시 페닐글리신아미드
650mg(3.0밀리몰)의 상기 B의 생성물을 DMF(6ml)에 현탁시켜 냉각(0℃)한 현탁액에 0.52ml(3.0밀리몰)의 DIEA, 811mg(6.0밀리몰)의 HBT, 786mg(3.0밀리몰)의 Boc-L-페닐아라닌을 4ml의 DMF에 녹인 용액 및 619mg(3.0밀리몰)의 DCC를 2.5ml의 DMF에 녹인 용액을 첨가한다. 이 반응혼합물을 0℃에서 2.5시간 동안, CaSO4건조관하에서 교반하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 반응혼합물을 여과하여 디사이클로헥실우레아(DCU)를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황색의 슬러리를 얻어 200ml의 에틸 아세테이트와 100ml의 물 사이에 분배시킨다. 층을 분리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층은 100ml의 물, 400ml의 pH10의 완충화제(3회) 및 400ml의 물(3회)로 세척한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MgSO4상에서 탈수시키고 여과한후,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면 1.27g(99%)의 표제화합물이 백색 고체로서 수득된다.
D. L-페닐알라닐-L-P-메톡시페닐글리신아미드염산염
1.27g(3.0밀리몰)의 상기 C화합물을 4ml의 빙초산, 1.0ml의 아니솔과 1.0ml의 트리에틸실란에 녹인 용액에 10ml(15.8밀리몰)의 1.58N HCI(아세트산중)을 첨가한다. 이 용액을 실온에서 및 CaSO4건조관 하에서 45분간 교반하고 250ml의 에테르로 희석한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고 15ml의 에테르로 2회 세척한 후진 공하에서 35℃로 건조시켜 1.01g(92%)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한다.
E. Nα-3급-부틸옥시카보닐-L-티로실-D-알라닐-1-글리실-L-페닐알라닐-L-P-메톡시페닐글리신아미드
1.01g(2.36밀리몰)의 상기 D의 생성물을 15ml의 냉(0℃) DMF에 현탁시킨 현탁액에 640mg(4.72밀리몰)의 HBT, 1.39g(2.36밀리몰)의 Nα-3급-부틸옥시카보닐-L-티토실-D-알라닐-글리신 디사이클로헥실아민염을 10ml의 DMF에 현탁시킨 현탁액 및 490mg(2.38밀리몰)의 DCC를 2ml의 DMF에 녹인 용액을 첨가한다. 이 반응혼합물을 응용 얼음욕중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DCU를 제거한다.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황색의 잔사를 얻어 200ml의 에틸아세테이트와 200ml의 물 사이에 분배시킨다. 층을 분리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를 500ml의 pH 10인 완충액(3회), 500ml의 0.1N HCI (3회) 및 500ml의 물(3회)로 연속적으로 세척한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탈수시키고 여과하여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면 1.93g(>100%)의 표제화합물이 수득된다. 이것은 DCU를 오염물로 함유함이 TLC에 의해 확인된다. 이 생성물은 더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단계에 사용할 수 있다.
F. L-티트실-D-알라닐-글리실-L-페닐알라닐-L-P-메톡시페닐글리신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염
1.69g(2.35밀리몰)의 상기 E 생성물을 3.0ml의 아니솔과 3.0ml의 트리에틸실란에 현탁시킨 현탁액에 30ml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한다. 생성된 맑은 황색용액을 CaSO4하에서 45분간 교반한후 진공하에서 농축하여 황색오일을 얻는다. 이 오일을 1.5ℓ의 에테르와 함께 연마하고 침전물을 여과 수집한 다음 20ml의 에테르로 2회 세척하고 35℃의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1.73g(87%)의 표제화합물(DCU오염이 없음)을 수득한다.
G. L-티토실-D-알라닐-글리실 -L-페닐알라닐-L-P-메톡시페닐글리신아미드 아세테이트염을 얻기 위한 크로마토그라피 정제
상기 F의 생성물(1.50g, 2.05밀리몰)을 5.15×106dynes/cm2로 C13-실리카겔 칼럼(5×72cm)상에서 27%CH3CN-0.1N NH4OAC를 용출액으로 하여 크로마토 그라피한다. 칼럼용출물을 1,122ml가 용출된 후에 UV흡수도를 289nm에서 측정하고 용출물을 1.5분, 15.9ml씩의 분획으로 수집한다. 분획 33 내지 75를 합하여 동결건조시키면 백색 고체가 수득된다.
생성된 고체를 50% 아세트산을 용출제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G-10상에서 크로마토 그라피하여 잔존하는 완충염으로 부터 분리시킨다. 용출물의 UV 흡광도를 280nm에서 측정하고 6분(8.4ml)간에 용출된 분획을 수집한다. 분획 27 내지 46을 합치고 동결건조시켜 1.12g(75%)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13
분석, C34H42N6O9(678.743) :
계산치 : C60.17, H6.24, N12.38
실측치 : C60.41, H6.03, N12.61
아미노산 분석 : Gly, 1.02; Ala, 1.00; Tyr, 1.02; Phe, 0.98; P-(MeO)Pgl, 1.04*; NH3, 1.05; 펩타이드 %, 98.
*분석하는 동안 어떤 것은 분리되는데 그것은 P-하이드록시페닐글리신으로 분석되었다.
[실시예 2]
L-티토실-D-알라닐-글리실-L-페닐알라닐-L-페닐글리신아미드 아세테이트염의 제조
이 생성물은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며,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는 생성물 1.37g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14
분석, C33H40N6O3(648.722) :
계산치 : C61.10, H6.22, N12.96
실측치 : C61.36, H6.28, N13.17
아미노산 분석 : Gly, 1.01; Ala, 1.02; Tyr, 0.99; Phe, 1.00; Pgl, 0.98; NH3, 1.03; 펩타이드%, 93.2
[실시예 3]
L-티토실-D-알라닐-글리실-L-페닐알라닐-D-페닐글리신아미드 아세테이트염의 제조
이 생성물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며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생성물 1.38g이 수득된다.
Figure kpo00015
분석, C33H40N6O8(648.722) :
계산치 : C61.10, H6.22, N12.96
실측치 : C61.11, H5.96, N13.14
아미노산 분석 : Gly, 1.01; Ala, 1.00; Tyr, 1.00; Phe, 1.00; Pgl, 0.99; NH3, 1.00; 펩타이드 %, 89.4.
[실시예 4]
L-티토실-D-알라닐-글리실-L-페닐알라닐-D-P-하이드록시페닐글리신 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염의 제조
이 생성물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며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생성물이 수득된다.
Figure kpo00016
분석, C31H37N6O7CI
계산치 : C58.08, H5.82, N13.11, C15.53
실측치 : C56.52, H5.86, N12.32, C13.76*
*이 생성물은 염산염과 아세트산염의 혼합물이다.
[실시예 5]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L-페닐알라닐-D-페닐글리신-N-메틸아미드 아세테이트염 2수화물 제조
이 생성물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며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생성물 826mg이 수득된다.
Figure kpo00017
분석, C36H53N7O12(775.864)*:
계산치 : C55.73, H6.89, N12.64
실측치 : C55.90, H6.18, N12.59
아미노산 분석 : Gly, 1.00; Ala, 1.00; Tyr, 0.99; Phe, 0.98; NH3, 1.00; Pgl, 0.98; CH3NH2, 1.01; 펩타이드 %, 88.0.
*생성물의 2수화물로서 동몰량의 암모늄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아미노산분석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동몰량의 암모니아의 존재하에서와 일치한다.)
[실시예 6]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L-(N-메틸)페닐알라닐-L-페닐글리신아미드 아세테이트염의 제조
이 생성물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며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생성물 425mg이 수득된다.
Figure kpo00018
분석, C34H42N6O8(662.749) :
계산치 : C61.62, H6.39, N12.68
실측치 : C61.77, H6.16, N12.61
아미노산 분석 : Gly, 1.00; Ala, 1.00; Tyr, 1.01; NH3, 1.02; Pgl, 0.98; 펩타이드 %, 86.4.
[실시예 7]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L-(N-메틸페닐알라닐-D-페닐클리신아미드 아세테이트염의 제조
이 생성물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며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생성물 586mg이 수득된다.
Figure kpo00019
분석, C34H42N6O8(662.749) :
계산치 : C61.62, H6.39, N12.68
실측치 : C61.86, H6.32, N12.94
아미노산 분석 : Gly, 1.00; Ala, 1.00; Tyr, 1.00; NH3, 1.04; Pgl, 0.99; 펩타이드 %, 89.6.
일반식(I)화합물의 진통작용은 마우스에 대한 열판 시험에 의해 알수 있다. 이 시험에서, 마우스를 52℃로 유지시킨 열판표면으로된 수직 아크릴 실린더 내부에 놓는다. 마우스에게 적당한 담체에 용해 또는 현탁시킨 미리 측정된 양의 시험화합물을 경구 또는 피하주사로 투여하고 시험화합물 투여 15분후 쥐를 열판표면 위에 놓는다. 쥐가 열판표면으로부터 뛰어 오를 때까지의 잠복기간을 초로 측정한다. 진통작용을 나타내는 약제는 담체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마우스와 비교하여 볼 때 이 잠복기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작용은 운동실조 또는 불능을 나타내지 않는 용량범위내에서 일어나야만 한다. 다음 표에서는 이 시험에서 얻은 ED50을 나타낸다.
[표 1]
진통작용, 열판 시험
Figure kpo00020
일반식(I)화합물의 진통작용을 평가하기 위한 또다른 시험은 마우스의 비틀림 시험이다. 이 시험에서는 절식시킨 Cox표준 알비노 숫컷 마우스(체중20 내지 22g)를 사용한다. 55mg/kg의 아세트산(0.55%)을 복강내 투여하면 복부근육의 수축, 뒷다리뻗침 및 몸통의 회전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이 유발된다. 각 처리군은 5마리의 마우스로 구성된다. 처리군의 마우스중 비틀림 종수를 아세트산을 투여하고 5분후부터 10분간 측정한다. 비교군은 이 측정기간동안 비틀림의 총횟수가 200 내지 350이었다.
시험화합물 100mg/kg을, 아세트산을 복강내 투여하기 30분, 90 및 180분전에 경구투여하거나, 아세트산을 복강내 투여하기 30분전에 피하투여 한다. 다음 표는 이 시험에서 얻어진 ED50을 나타낸다.
[표 2]
진통작용, 마우스 비틀림 시험
Figure kpo00021

Claims (1)

  1. 일반식(IIA)의 화합물을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 및 1-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HBT)의 존재하에 일반식(IIB)의 화합물과 반응시킨 후, 차단 그룹을 제거함을 특징으로하여 일반식(I)의 화합물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산부가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상기식에서 L 및 D는 편광성을 나타내며 ; R1은 수소 또는 C1내지 C3의 1급 알킬이고 ;
    R2는 C1내지 C4의 1급 또는 2급 알킬, 알릴, 시클로-프로필메틸, C1내지 C2의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CH2)m-U-CH3(여기서, U는 -S- 또는
    Figure kpo00024
    이고 m은 1 또는 2이다.)이며 ; R3는 수소, C1내지 C4의 1급 또는 2급 알킬, 시클로-프로필메틸 또는 알릴이고 ; X는 수소, 할로, 하이드록시, C1내지 C3알콕시, 니트로, C1내지 C3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며 ; Z는 -CH2OR4, -
    Figure kpo00025
    NHR4(여기서, R4는 수소 또는 C1내지 C3알킬이다.) 또는
    Figure kpo00026
    (여기서, R5는 C1내지 C3알킬이다.)이고 ; R6는 아미노 차단 그룹이며 ; R7은 상기에서 정의된 R2이거나 C1내지 C2하이드록시알킬기에 대한 하이드록시 보호그룹이고 ; R8은 하이드록시 보호그룹이며 ; X'는 상기에서 정의된 X이거나 하이드록시-보호그룹이다.
KR1019800004793A 1979-12-17 1980-12-16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84000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404642A KR840001735B1 (en) 1979-12-17 1984-08-03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104,345 US4251439A (en) 1979-12-17 1979-12-17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US104345 1987-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217A KR830004217A (ko) 1983-07-06
KR840001720B1 true KR840001720B1 (ko) 1984-10-17

Family

ID=223000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793A KR840001720B1 (ko) 1979-12-17 1980-12-16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8404642A KR840001735B1 (en) 1979-12-17 1984-08-03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404642A KR840001735B1 (en) 1979-12-17 1984-08-03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251439A (ko)
EP (1) EP0030846B1 (ko)
JP (1) JPS5697258A (ko)
KR (2) KR840001720B1 (ko)
AR (1) AR230261A1 (ko)
BE (1) BE886676A (ko)
CA (1) CA1140539A (ko)
CH (1) CH646685A5 (ko)
DE (1) DE3067790D1 (ko)
FR (1) FR2471969A1 (ko)
GB (1) GB2065134B (ko)
HU (1) HU185230B (ko)
IE (1) IE50798B1 (ko)
IL (1) IL61701A (ko)
IT (1) IT11411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63199D1 (en) * 1980-07-17 1984-05-24 Sandoz Ag Novel pentapeptides,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id pentapeptides and their use
WO1983002272A1 (en) * 1981-12-28 1983-07-07 Beckman Instruments Inc Synthetic peptides having pituitary growth hormone releasing activity
DK134784A (da) * 1983-03-07 1984-09-08 Lilly Co Eli Farmakologisk virksomme tripeptid-derivater og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deraf
US5952465A (en) * 1993-04-23 1999-09-14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Polypeptides that include conformation-constraining groups which flank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site
US5965698A (en) * 1993-04-23 1999-10-12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Polypeptides that include conformation-constraining groups which flank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site
US6258550B1 (en) 1993-04-23 2001-07-10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Polypeptides that include conformation-constraining groups which flank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site
CA2161108A1 (en) * 1993-04-23 1994-11-10 Herbert J. Evans Polypeptides that include conformation-constraining groups which flank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site
US5928896A (en) * 1993-04-23 1999-07-27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Polypeptides that include conformation-constraining groups which flank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site
US6084066A (en) * 1993-10-29 2000-07-04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Polypetides that include conformation-constraining groups which flank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si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77115A (en) * 1976-07-27 1980-10-22 Reckitt & Colmann Prod Ltd Container closure units
CH619686A5 (en) * 1976-02-02 1980-10-15 Sandoz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ovel peptides or peptide derivatives
FI770219A (ko) * 1976-02-02 1977-08-03 Sandoz Ag
US4259234A (en) * 1976-09-27 1981-03-31 Eli Lilly And Company Analgesic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30846A3 (en) 1981-12-23
IT8026671A0 (it) 1980-12-16
HU185230B (en) 1984-12-28
GB2065134A (en) 1981-06-24
DE3067790D1 (en) 1984-06-14
IT1141134B (it) 1986-10-01
EP0030846A2 (en) 1981-06-24
CA1140539A (en) 1983-02-01
US4251439A (en) 1981-02-17
IE50798B1 (en) 1986-07-23
FR2471969A1 (fr) 1981-06-26
AR230261A1 (es) 1984-03-01
BE886676A (fr) 1981-06-16
KR830004217A (ko) 1983-07-06
FR2471969B1 (ko) 1982-11-05
IL61701A0 (en) 1981-01-30
EP0030846B1 (en) 1984-05-09
GB2065134B (en) 1983-06-02
KR840001735B1 (en) 1984-10-18
JPS5697258A (en) 1981-08-05
CH646685A5 (fr) 1984-12-14
IE802641L (en) 1981-06-17
IL61701A (en) 198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0082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EP0050503B1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ntapeptide derivatives
KR840001720B1 (ko)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EP0050502B1 (en) Pharmacologically active tetrapeptide derivatives
KR850000476B1 (ko) 펩티드의 제조방법
KR840001668B1 (ko) 펩티드의 제조방법
CA1142514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US4333873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US4309343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US4448717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US4473497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EP0122018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harmacologically active tripeptide derivatives
US4351763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US4199568A (en) Tetrapeptide amides
KR820001616B1 (ko) 테트라펩타이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