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476B1 - 펩티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펩티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476B1
KR850000476B1 KR1019800004794A KR800004794A KR850000476B1 KR 850000476 B1 KR850000476 B1 KR 850000476B1 KR 1019800004794 A KR1019800004794 A KR 1019800004794A KR 800004794 A KR800004794 A KR 800004794A KR 850000476 B1 KR850000476 B1 KR 850000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
tyr
phe
ala
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218A (ko
Inventor
데이빗 게젤첸 폴
데오도르 슈만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아더 알. 웨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아더 알. 웨일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3000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66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derived from pro-opiomelanocortin, pro-enkephalin or pro-dynorphin
    • C07K14/70Enkephalins
    • C07K14/702Enkephalins with at least 1 amino acid in D-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펩티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진통제로 유용한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무독한 산부가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일반식에서
L 및 D는 편광성을 나타내고, R1은 수소 또는 C1-C31급 알킬이고, R2는 C1-C41급 또는 2급 알킬, 알릴, 사이클로프로필-메틸, C1-C2하이드록시알킬, 또는 -(CH2)m-U-CH3(여기서 U는
Figure kpo00002
, m은 1 또는 2이다)이고, R3는 수소, C1-C41급 또는 2급알킬, 사이클로 프로필 메틸 또는 알릴이고, R4는 수소, C-C51급 또는 2급알킬, -(CH2)m-X-(CH2)p-CH3(여기서 X는 -O-, -S-,
Figure kpo00003
, 또는
Figure kpo00004
, n은 1 또는 2이고, p는 0 또는 1이다), 페닐, 또는 일치환된 페닐(이때의 치환체는 할로, 하이드록시, C1-C3알콕시, 니트로, C1-C3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 메틸이다)이고, R5는 수소 또는 C1-C41급 알킬이며, Z는 -CH2OR6,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 R6는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R7은 C1-C3알킬이며, 단, R3및 R5중 하나가 수소가 아닐 경우, 다른 하나는 수소이다.
최근, 모르핀과 유사한 성질을 갖는 내인성(內因性)물질이 포유류의 뇌 또는 뇌척수액에서 추출되었다. 엔케파린이라고 명명되는 이들 물질은 하기 배열을 갖는 펜타펩티드로서 하기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참조 : Hughes 등의 Nature, 258, 577(1975)] :
H-Tyr-Gly-Gly-Phe-Met-OH
H-Tyr-Gly-Gly-Phe-Leu-OH
이들 화합물은 각각 메티오닌-엔케파린 및 로이신-엔케파린으로 명명된다.
메티오닌 및 류우신 엔케파린은 쥐에게 뇌실내 투여하였을 경우 진통작용을 나타내긴 하지만 [참조 : Buscher등의, Nature, 261, 423(1976)], 이들을 비경구 투여하였을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유용한 진통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엔케파린을 발견한 이후로, 비경구 또는 경구투여에 의해, 이들의 생체 유용성에 기인한 실질적 효용도 및 활성이 증가된 화합물을 찾으려는 목적으로 엔케파린 유사체의 제조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Dutta 등은 그들이 제한한 구조식 변형이 효능을 강화시킨다고 보고하였다[참조 : Life Sciences 21, pp 559-562(1977)]. 그들은 하기와 같은 변형중의 몇가지 또는 모두에 의해 활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기술하였다.
a) 2위치에 있는 Gly를 D- 또는α-아자-아미노산으로 치환시킴 ; b) 말단의 카복실을 메틸에스테르 또는 아미드로 전환시킴 ; c) 4-위치에 있는 Phe를 α-아자 치환, N-메틸화 또는 방향족 환이 수소화에 의해 변형시킴.
이외에도, Roemer 등은 Met를 상응하는 카비놀로 변형시키는 것과 Met 중의 황을 설폭사이드로 산화 변형시키는 등의 유용한 변형에 대해 기술하였다[참조 : Nature, 268, pp 547-549(1977)].
또 다른 구조적 변형은 벨기에 왕국 특허 제859,026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특허 명세서에는 D-아미노산 잔기를 2 위치에 삽입하고, 말단 카복실을 아미드로 전환시키며, 5 위치의 아미노산 잔기를 N-알킬화 시켜 엔케파린 유사체의 활성 및 생체 유용성을 강화시킨다고 기술되어 있다.
최근에, 진통작용이 우수한 엔케파린 유사체를 발명하였다. 이들 유사체는 할로겐의 확인 및 위치 양면에서 구조적으로 상당히 특수한 할로겐화된 엔케파린이다. 상기 일반식(I)의 화합물들은 펩티드의 4-위치에
Figure kpo00007
-플루오로-치환된 L-페닐알라닌 잔기를 갖고 있는 펜타펩티드이다.
공지 문헌에서는 상기와는 다른 할로겐화된 4-페닐알라닐 엔케파린 유사체가 인지되어 있지만, 이들은 일치환된
Figure kpo00008
-플루오로-4-페닐알라닐 엔케파린 유사체는 아니다. A. R. Day등의 문헌에서는 H-Tyr-Gly-Gly-
Figure kpo00009
Cl Phe-Nle-OH 가 기술되어 있고 [참조 : Res. Comm. in Chem. Path. 및 Pharmacol. 14(4), 597-603(1976)], R. J. Miller 등의 문헌에서는 H-Tyr-D-Ala-Gly-
Figure kpo00010
ClPhe-D-Leu-OH ; H-Tyr-D-Ala-Gly-
Figure kpo00011
ClPhe-D-Leu-OMe ; 및 H-Tyr-D-Ala-Gly-
Figure kpo00012
ClPhe-D-Leu-NHEt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참조 : Vitamins and Hormones 36, 297-382, Academic Press(1978)]. 1978년 9월 4일에서 9일까지 폴란드 그단스크에서 열린 제15차 유럽 펩티드 심포지움에 제출된 Pless 등의 논문에서는 H-Tyr-D-Ala-Gly-
Figure kpo00013
ClPhe-Met(O)-OL이 기술되어 있고[참조 : "Opioid Activity of Enkephalin Analogues"(엔케파린 동족체의 아편활성)], D. H. Coy 등의 문헌에는 H-Tyr-D-Ala-Gly-F5Phe-Met-NH2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참조 : BBRC 83(3), 977-983(1978)].
위의 문헌중 어느것에도 일반식(I)의 화합물에 대해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할로겐의 존재 및 그 위치가 엔케파린 유사체의 진통작용 정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본 발명에 따라, 하기 일반식(Ⅱ)의 화합물을 적절한 탈차단제와 반응시켜 상기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무독한 산부가염을 제조한다.
Figure kpo00014
상기일반식에서
R3, R4및 R5는 상술한 바와 같고, R8은 수소, C1-C3일급알킬 또는 아미노차단그룹이고, R9은 상기에서 정의한 R2또는 하이드록시-보호그룹이고, R10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보호그룹이고, Z'는 상기에서 정의한 Z, 또는 Z"이고
Z"는 수지 지지체를 포함하는 Z의 전구체이다.
단, R8, R9, R10또는 Z'중 적어도 하나는 차단부위이다.
제약학상 허용되는 무독한 산부가염에는 무기 및 유기산 부가염이 있으며, 이들은, 예를들어 염산, 황산, 설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브롬산, 글리코산, 시트르산, 말레산, 인산, 석신산, 아세트산, 니트르산, 벤조산, 아스코르브산,
Figure kpo00015
-톨루엔설폰산, 벤젠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또는 프로피온산으로 부터 제조된다 그중 바람직한 산부가염은 염산, 아세트산 또는 석신산으로 부터 제조된 화합물이다. 상기 염들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일반식(I)의 여러 종류의 치환체 정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일반식으로 정의되는 화합물은 펜타펩티드이며, 그의 C-말단 부위는 1급 알코올이냐 이의 저급알킬 에테르 유도체, 1급 또는 2급아미드, 또는 저급알킬에스테르이다.
일반식(I)화합물의 입체배열은 중요한 요건이다. 편의상, 일반식(I)의 펜타펩티드 아미노산 잔기는 말단아미노 작용기로 부터 번호를 붙인다. 1부터 4위치에 있는 아미노산 잔기의 편광성은 각각 L, D, 비편광성 및 L이다. 3위치에 있는 잔기는 글리신부위이므로, 편광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5위치(C-말단위치)의 편광성은 그 위치에서 추정되는 상응하는 L-아미노산잔기 또는 상응하는 D-아미노산잔기 및 이들의 라세미체 혼합물의 편광성과 일치한다.
그룹 R1은 그룹 "C1-C31급 알킬"이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되는데, 이 "C1-C31급알킬"이라는 용어는 메틸, 에틸 및
Figure kpo00016
-프로필을 의미한다.
그룹 R6및 R7은 그룹 "C1-C3알킬"이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되는데, 이 "C1-C3알킬"이라는 용어는 메틸에틸,
Figure kpo00017
-프로필 및 이소프로필을 의미한다.
그룹 R5는 그룹 "C1-C41급알킬"이 포함되는 것으로 제의되는데, 이 "C1-C41급알킬"이라는 용어는 메틸, 에틸,
Figure kpo00018
-프로필 및
Figure kpo00019
-부틸을 의미한다.
그룹 R2및 R3는 그룹 "C1-C41급 또는 2급알킬"이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되는데, 이 "C1-C41급 또는 2급알킬"이라는 용어는 메틸, 에틸,
Figure kpo00020
-프로필, 이소프로필,
Figure kpo00021
-부틸, 이소부틸 및 2급-부틸을 의미한다.
그룹 R4는 그룹 "C1-C51급 또는 2급알킬"이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되는데, 이 "C1-C51급 또는 2급알킬"이라는 용어는 메틸, 에틸,
Figure kpo00022
-프로필, 이소프로필,
Figure kpo00023
-부틸, 이소부틸, 2급-부틸,
Figure kpo00024
-펜틸, 이소펜틸 2-메틸 부틸 및 네오-펜틸을 의미한다.
그룹 R2는 또한"C1- C2하이드록시알킬"로서 정의되는데, 이 "C1-C2하이드록시알킬"이라는 용어는 하이드록시메틸, 1-하이드록시에틸 및 2-하이드록시에틸을 의미한다.
그룹 R2는 그룹 "-(CH2)m-U-CH3"(여기서 U는 -S-또는
Figure kpo00025
, m은 1 또는 2이다)이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되는데, 이 "-(CH2)m-U-CH3"라는 것은 메틸티오메틸, 메틸티오에틸 및 이들의 설폭사이드를 의미한다.
그룹 R4는 그룹 "-(CH2)n-X-(CH2)p-CH3"(여기서 X는 -O-, -S-,
Figure kpo00026
또는
Figure kpo00027
n은 1 또는 2이며, p는 0 또는 1이다)가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되는데, 이 "-(CH2)n-X-(CH2)p-CH3"라는 것은 메틸티오메틸, 에틸티오메틸, 메틸티오에틸, 에틸티오에틸 및 이들 각각의 설폭사이드 및 설폰,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메톡시에틸 및 에톡시에틸을 의미한다. "할로"라는 용어에는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가 포함되며, "C1-C3알콕시"라는 용어에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및 이소프로폭시가 포함된다.
그룹 R4에는 일치환된 페닐이 포함되는데, 이것의 치환체로는 할로, 하이드록시, C1-C3알콕시, 니트로, C1-C3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 있으며, 이들에 의해 치환된 페닐 부위로는
Figure kpo00028
-클로로페닐,
Figure kpo00029
-플루오로페닐,
Figure kpo00030
-브로모페닐,
Figure kpo00031
-요오도페닐,
Figure kpo00032
-클로로페닐,
Figure kpo00033
-하이드록시페닐,
Figure kpo00034
-하이드록시페닐,
Figure kpo00035
-메톡시페닐,
Figure kpo00036
-에톡시페닐,
Figure kpo00037
-메톡시페닐,
Figure kpo00038
-프로폭시페닐,
Figure kpo00039
-이소프로폭시페닐,
Figure kpo00040
-니트로페닐,
Figure kpo00041
-니트로페닐,
Figure kpo00042
-톨릴,
Figure kpo00043
-톨릴,
Figure kpo00044
-에틸페닐,
Figure kpo00045
-큐밑,
Figure kpo00046
-큐밑,
Figure kpo00047
-프로폭시페닐,
Figure kpo00048
-에틸페닐,
Figure kpo00049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및
Figure kpo00050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 있다.
일반식(I)의 펜타펩티드의 특정 위치의 잔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
(A) 1위치
이 위치는 펩티드의 아미노-말단 부위를 나타낸다. 이 잔기는 L-티로신으로 부터 생성된 잔기이다. 이 잔기는 N-비치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R1은 수소이다. 또한, 이잔기는 C1-C31급 알킬로 치환되어 N-메틸, N-에틸, 또 N-n-프로필을 형성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시 진통작용이 우수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1위치에 존재하는 티로실 잔기가 N-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N-치환체로는 메틸이 바람직하다.
(B) 2위치
일반시(I)의 펩티드의 두번째 위치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잔기는 D입체이성체 이어야만 하며, 하기와 같은 아미노산 잔기중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 D-알라닌(Ala)(R2는 메틸), D-α-아미노부티르산(Abu)(R2는 에틸), D-노르발린(Nva)(R2는 n-프로필), D-발린(Val) (R2는 이소프로필), D-노르류우신(Nle)(R2는 n-부틸), D-류우신(Leu) (R2는 이소부틸), D-이소류우신(Ile) (R2는 2급-부틸), D-알릴글리신[Gly(Al)] (R2는 알릴), D-사이클로프로필메틸글리신[Gly(Cp)] (R2는 사이클로프로필메틸), D-메티오닌(Met) (R2는 2-메틸티오에틸), D-(S-메틸)시스테인 [Cys(Me)] (R2는 메틸티오메틸), D-메티오닌 설폭사이드 [Met(O)] (R2는 메틸설피닐에틸), D-(S-메틸)시스테인 설폭사이드 [Cys(Me)(O)] (R2는 메틸 설피닐메틸), D-세린(Ser) (R2는 하이드록시메틸), D-트레오닌(Thr) (R2는 1-하이드록시에틸) 및 D-호모세린(Hse) (R2는 2-하이드록시에틸)로 부터 유도된 잔기. 바람직한 것은 R2가 C1-C41급 또는 2급알킬, 또는 C1-C2하이드록시알킬인 것이다. 이들 두 그룹중 C1-C41급 또는 2급알킬이 더 바람직하며, 이중에서도 D-알라닌으로 부터 유도된 잔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C) 3위치
이 위치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잔기는 글리신 (Gly)으로 부터 유도된 것이다.
(D) 4위치
이 위치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잔기는
Figure kpo00051
-플루오로치환된 L-페닐알라닌[Phe(F)]으로 부터 유도된 것이다. 이 잔기는 비치환되거나 아미노질소(R3)에서 치환될 수도 있다. 잔기가 N-치환되는 경우에는 N-메틸, N-에틸, N-n-프로필, N-이소프로필, N-n-부틸, N-이소부틸, N-2급-부틸, N-사이클로프로필메틸, N-알릴이 된다. R3가 수소가 아닐 경우, C1-C41급 또는 2급알킬이 바람직하며 특히 메틸 또는 에틸이 바람직하다.
(E) 5위치
일반식(I)화합물의 C-말단위치에 존재하는 잔기는 구조적으로 그의 아미드(
Figure kpo00052
), 1급 알코올 또는 상응하는 C1-C3알킬에테르(Z=-CH2OR6), 또는 그의 C1-C3알킬에스테르(
Figure kpo00053
)로 유도된 아미노산이다. 펜타펩티드의 5위치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잔기의 편광성은 L-, D- ; 또는 D,L-혼합상태이다. 아미노산 잔기의 편광성은 L-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잔기는 하기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으며 이들 각각은 그의 아미드, 1급 알코올 에테르, 또는 에세테르로 유도된다 : 글리신(Gly)(R4는 수소), 알라닌(Ala)(R4는 메틸), α-아미노부티르산(Abu) (R4는 에틸), 노르발린(NVa) (R4는 n-프로필), 발린(Val) (R4는 이소프로필), 노르류우신(Nle) (R4는 n-부틸), 류우신(Leu) (R4는 이소부틸), 이소류우신(Ile) (R4는 2급-부틸), α-아미노헵타노산(Ahp) (R4는 n-펜틸), 호모류우신(Hle) (R4는 이소펜틸), 호모이소류우신(Hil) (R4는 2-메틸부틸), 네오펜틸글리신(Npg) (R4는 네오펜틸), 페닐글리신(Pgl) (R4는 페닐),
Figure kpo00054
-하이드록시 페닐글리신 [Pgl(OH)] (R4
Figure kpo00055
-하이드록시페닐), (S-메틸)시스테인 [Cys(Me)] (R4는 메틸티오메틸), (S-메틸)시스테인 설폭사이드[Cys(Me)(O)] (R4는 메틸설피닐메틸), (S-메틸)시스테인 설폰[Cys(Me)(O2)] (R4는 메틸설포닐메틸), (S-에틸)시스테인 [Cys(Et)] (R4는 에틸 티오메틸), (S-에틸)시스테인 설폭사이드 [Cys(Et)(O)] (R4는 에틸설피닐메틸), (S-에틸)시스테인설폰 [Cys(Et)(O2)] (R4는 에틸설포닐메틸), 메티오닌(Met) (R4는 메틸티오에틸), 메티오닌 설폭사이드 [Met(O)] (R4는 메틸설피닐에틸), 메티오닌설폰 [Met (O2)] (R4는 메틸설포닐에틸), 에티오닌(Eth) (R4는 에틸티오에틸), 에티오닌설폭사이드 [Eth(O)] (R4는 에틸설피닐에틸), 에티오닌설폰 [Eth(O2)] (R4는 에틸 설포닐에틸), (0-메틸)세린 [Ser(Me)] (R4는 메톡시메틸), (0-에틸)세린 [Ser(Et)] (R4는 에톡시메틸), (0-메틸)호모세린 [Hse(Me)] (R4는 메톡시에틸), 및 (0-에틸)호모세린 [Hse(Et)] (R4는 에톡시에틸).
본 발명 화합물중 바람직한 화합물은 R4가 C1-C51급 또는 2급알킬인 화합물이고, 이중에서도 R4가 C41급 또는 2급알킬, 특히 이소부틸인 류우신 잔기로 정의되는 화합물이 더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화합물은 R4가 -(CH2)n-X-(CH2)p-CH3인 화합물이며, 이중에서도 R4가 메틸티오에틸인 메티오닌으로 정의되는 화합물이 더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바람직한 화합물은 R5가 수소이고 R4가 페닐 또는
Figure kpo00056
-하이드록시페닐인 화합물이다.
이 말단 아미노산 잔기는 비치환되거나 이것의 아미노질소(R5)에서 치환된다. 치환될 경우, 치환체로는 C1-C41급 알킬 그룹이 있으며, 전형적인 치환체로는 N-메틸, N-에틸, N-n-프로필 및 N-n-부틸이 있다. 바람직하게, 아미노 질소는 치환된다. 즉 R5가 C1-C41급 알킬이다. 그중, 1급알킬이 메틸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R5가 수소가 아닐 경우 R3는 수소이어야만 하고, R3가 수소가 아닐 경우 R5는 수소이어야만 한다.
이외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5 위치에 있는 잔기로는 아미드, 1급알코올,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가 있다. 이 잔기가 아미드, 알코올 또는 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중 아미드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아미드 중에서도, 잔기가 1급아미드, 즉 Z가
Figure kpo00057
(여기서 R6는 수소이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드가 2급아미드일 경우, R6는 C1-C3알킬그룹이다. 이 경우, 말단 아미드 그룹은 N-메틸, N-에틸, N-n-프로필 또는 N-이소프로필, 바람직하게는 N-메틸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대부분이 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며 공지된 하기 약자들을 사용한다 :
Abu-α-아미노부티르산 Hse-호모세린
Ahp-α-아미노헵타노산 Hse(Me)-(O-메틸)호모세린
Ala-알라닌 Hse(Et)-(O-에틸)호모세린
Cys-시스테인 Ile-이소류우신
Cys(Et)-(S-에틸)시스테인 Leu-류우신
Cys(Et)(O)-(S-에틸)시스테인 설폭사이드 Met-메티오닌
Cys(Et)(O2)-(S-에틸)시스테인 설폰 Met(O)-메티오닌 설폭사이드
Cys(Me)-(S-메틸)시스테인 Met(O2)-메티오닌설폰
Cys(Me)(O)-(S-메틸)시스테인 설폭사이드 Nle-노르류우신
Cys(Me)(O2)-(S-메틸)시스테인 설폰 Npg-네오펜틸글리신
Eth-에티오닌 NVa-노르발린
Eth(O)-에티오닌 설폭사이드 Pgl-페닐글리신
Eht(O2)-에티오닌 설폰 Pgl(OH)-
Figure kpo00058
-하이드록시페닐글리신
Gly-글리신 Phe-페닐알라닌
Gly(Al)-알릴글리신 Phe(F)-
Figure kpo00059
-플루오로페닐알라닌
Gly(Cp)-사이클로프로필메틸글리신 Ser-세린
Hil-호모이소류우신 Ser(Me)-(O-메틸)세린
Hle-호로류우신 Ser(Et)-(O-에틸)세린
Thr-트레오닌 S-Bu-2급-부틸
Tyr-티로신 Boc-t-부틸옥시카보닐
Val-발린 Bzl-벤질
Ac-아세틸 Cbz-벤질옥시카보닐
Al-알릴 DCC-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Cp-사이클로프로필메틸 HBT-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Me-메틸 DMF-N,N'-디메틸포름아미드
Et-에틸 TFA-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Ip-이소프로필 THF-테트라하이드로푸란
Pr-n-프로필 DEAE-디에틸아미노에틸
Bu-n-부틸 IBCF-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i-Bu-이소부틸 NMM-N-메탈모르폴린
t-Bu-t-부틸
18-크라운-6-1,4,7,10,13,16-헥사옥사사이클로 옥타데칸
전형적인 일반식(I)의 화합물에는 하기와 같은 것들이 있다 :
H-L-Tyr-D-Ala-Gly-L-(N-Me) Phe(F)-L-Met-NH2; H-L-Tyr-D-Ala-Gly-L-Phe(F)-L-(N-Me) Met-NH2; H-L-Tyr-D-Abu-Gly-L-Phe(F)-L-(N-Et) Met-NH2; H-L-Tyr-D-Abu-Gly-L-Phe(F)-D-(N-Me) Met-NH2; H-L-Tyr-D-Nva-Gly-L-Phe(F)-L-(N-Me) Met-NH2; H-L-Tyr-D-Nva-Gly-L-(N-Et) Phe(F)-L-Met-NH2; H-L-Tyr-D-Val-Gly-L-Phe(F)-D-(N-Et) Met-NH2; H-L-Tyr-D-Val-Gly-L-(M-Pr) Phe(F)-L-Met-NH2; H-L-Tyr-D-Nle-Gly-L-Phe(F)-L-(N-Bu) Met-NH2; H-L-Tyr-D-Nle-Gly-L-Phe(F)-D-(N-Et) Gly-NH2; H-L-Tyr-D-Leu-Gly-L-(N-Ip) Phe(F)-L-Met-NH22; H-L-Tyr-D-Leu-Gly-L-Phe(F)-L-(N-Pr) Met-NH2; H-L-Tyr-D-Ile-Gly-L-Phe(F)-L-(N-Bu) Met-NH2; H-L-Tyr-D-Ile-Gly-L-Phe(F)-D-(N-Pr) Met-NH2; H-L-Tyr-D-Ala-Gly-L-Phe(F)-L-(N-Et) Met-NH2; H-L-Tyr-D-Ala-Gly-L-Phe(F)-L-(N-Pr) Met-NH2; H-L-Tyr-D-Ala-Gly-L-Phe(F)-D-(N-Pr) Met-NH2; H-L-Tyr-D-Ala-Gly-L-(N-i-Bu) Phe(F)-L-Met-NH2; H-L-Tyr-D-Ala-Gly-L-Phe(F)-L-(N-Bu) Met-NH2; H-L-Tyr-D-Ala-Gly-L-(N-s-Bu) Phe(F)-D-Met-NH2; H-L-Tyr-D-Ala-Gly-L-Phe(F)-L-(N-Me) Ala-NH2; H-L-Tyr-D-Ala-Gly-L-Phe(F)-L-(N-Me) Abu-NH2; H-L-Tyr-D-Ala-Gly-L-Phe(F)-L-(N-Et) Nva-NH2; H-L-Tyr-D-Ala-Gly-L-Phe(F)-D-(N-Et) Val-NH2; H-L-Tyr-D-Val-Gly-L-Phe(F)-L-(N-Me) Nle-NH2; H-L-Tyr-D-Leu-Gly-L-Phe(F)-L-(N-Me) Leu-NH2; H-L-Tyr-D-Val-Gly-L-Phe(F)-L-(N-Et) Ile-NH2; H-L-Tyr-D-Leu-Gly-L-Phe(F)-D-(N-Me) Ahp-NH2; H-L-Tyr-D-Ala-Gly-L-(N-Cp) Phe(F)-L-Nle-NH2; H-L-Tyr-D-Ala-Gly-L-Phe(F)-L-(N-Et) Hse(Me)-NH2; H-L-Tyr-D-Ala-Gly-L-Phe(F)-L-(N-Me) Hle-NH2; H-L-Tyr-D-Ala-Gly-L-Phe(F)-D-(N-Me) Hse(Me)-NH2; H-L-Tyr-D-Ala-Gly-L-(N-Al) Phe(F)-L-Met-NH2; H-L-Tyr-D-Gly(Al)-Gly-L-Phe(F)-L-(N-Me) Met-NH2; H-L-Tyr-D-Gly(Cp)-Gly-L-Phe(F)-L-(N-Me) Hil-NH2; H-L-Tyr-D-Met-Gly-L-Phe(F)-L-(N-Me) Met-NH2; H-L-Tyr-D-Cys(Me)-Gly-L-Phe(F)-D-(N-Et) Met-NH2; H-L-Tyr-D-Met(O)-Gly-L-Phe(F)-L-(N-Et) Met-NH2; H-L-Tyr-D-Cys(Me) (O)-Gly-L-Phe(F)-L-(N-Me) Npg-NH2; H-L-Tyr-D-Ser-Gly-L-Phe(F)-L-(N-Me) Hse(Me)-NH2; H-L-Tyr-D-Ala-Gly-L-(N-Et)-Phe(F)-L-Pgl-NH2; H-L-Tyr-D-Ala-Gly-L-Phe(F)-L-(N-Me) Pgl(OH)-NH2; H-L-Tyr-D-Thr-Gly-L-(N-Et) Phe(F)-L-Met-NH2
H-L-Tyr-D-Hse-Gly-L-Phe(F)-L-(N-Me) Met-NH2
(N-Me)-L-Tyr-D-Ala-Gly-L-Phe(F)-L-(N-Me)-Cys(Me)-NH2; H-L-Tyr-D-Ala-Gly-L-Phe(F)-L-(N-Me)-Cys(Me) (O)-NH2; H-L-Tyr-D-Ala-Gly-L-Phe(F)-D-(N-Me) Cys(Et) NH2; (N-Et)-L-Tyr-D-Abu-Gly-L-Phe(F)-L-(N-Et)-Nle-NH2; H-L-Tyr-D-Val-Gly-L-(N-Et) Phe(F)-L-Hse(Me) NH2; (N-Pr)-L-Tyr-D-Leu-Gly-L-Phe(F)-L-(N-Me)-Cys(Et) (O2)-NH2; H-L-Tyr-D-Abu-Gly-L-Phe(F)-L-(N-Pr) Met(O)-NH2; H-L-Tyr-D-Nle-Gly-L-Phe(F)-L-(N-Me) Eth-NH2; H-L-Tyr-D-Ile-Gly-L-Phe(F)-D-(N-Pr) Eth(O)-NH2; (N-Me)-L-Tyr-D-Leu-Gly-L-Phe(F)-L-(N-Et)-Nle-NH2; (N-Me)-L-Tyr-D-Nve-Gly-L-Phe(F)-L-(N-Me) Hse(Et)-NH2; (N-Me)-L-Tyr-D-Ala-Gly-L-(N-Et) Phe(F)-D-Ser(Me)-NH2; H-L-Tyr-D-Ala-Gly-L-(N-Me) Phe(F)-L-Ser(Et) NH2; H-L-Tyr-D-Ala-Gly-L-(N-Me) Phe(F)-D-Leu-NH2
H-L-Tyr-D-Ala-Gly-L-(N-Et)Phe(F)-L-Pgl-NH2
H-L-Tyr-D-Ala-Gly-L-(N-Al) Phe(F)-L-Leu-NH2
H-L-Tyr-D-Ala-Gly-L-(N-Pr) Phe(F)-L-Pgl(OH)-NH2; H-L-Tyr-D-Ala-Gly-L-(N-Me) Phe(F)-L-Met-NE2; H-L-Tyr-D-Ala-Gly-L-(N-Et) Phe(F)-L-Met(O2)-NH2; H-L-Tyr-D-Ala-Gly-L-(N-Et) Phe(F)-L-Met-NH(Me) ; H-L-Tyr-D-Ala-Gly-L-Phe(F)-L-(N-Me) Met-NH(Me) ; H-L-Tyr-D-Ala-Gly-L-Phe(F)-L-(N-Et) Met-NH(Me) ; H-L-Tyr-D-Ala-Gly-L-Phe(F)-L-(N-Me) Met-NH(Et) ; H-L-Tyr-D-Ala-Gly-L-(N-Et) Phe(F)-L-Met-NH(Et) ; H-L-Tyr-D-Ala-Gly-L-Phe(F)-L-(N-Me) Nle-NH(Me) ; H-L-Tyr-D-Ala-Gly-L-Phe(F)-L-(N-Et) Pgl-NH(Pr) ; H-L-Tyr-D-Ala-Gly-L-Phe(F)-L-(N-Pr) Leu-NH(Me) ; H-L-Tyr-D-Ala-Gly-L-(N-Al) Phe(F)-L-Met-NH(Ip) ; H-L-Tyr-D-Ala-Gly-L-(N-Me) Phe(F)-L-Met-CH2OH ; H-L-Tyr-D-Ala-Gly-L-Phe(F)-L-(N-Me) Met-CH2OH ; H-L-Tyr-D-Abu-Gly-L-Phe(F)-L-(N-Et) Met-CH2OH ; H-L-Tyr-D-Abu-Gly-L-Phe(F)-D-(N-Me) Met-CH2OH ; H-L-Tyr-D-Nva-Gly-L-Phe(F)-L-(N-Me) Met-CH2OH ; H-L-Tyr-D-Nva-Gly-L-(N-Et) Phe(F)-L-Met-CH2OH ; H-L-Tyr-D-Val-Gly-L-Phe(F)-D-(N-Et) Met-CH2OH ; H-L-Tyr-D-Val-Gly-L-(N-Pr) Phe(F)-L-Met-CH2OH ; H-L-Tyr-D-Nle-Gly-L-Phe(F)-L-(N-Bu) Met-CH2OH ; H-L-Tyr-D-Nle-Gly-L-Phe(F)-D-(N-Et) Gly-CH2OH ; H-L-Tyr-D-Leu-Gly-L-(N-IP) Phe(F)-L-Met-CH2OH ; H-L-Tyr-D-Leu-Gly-L-Phe(F)-L-(N-Pr) Met-CH2OH ; H-L-Tyr-D-Ile-Gly-L-Phe(F)-L-(N-Bu) Met-CH2OH ; H-L-Tyr-D-Ile-Gly-L-Phe(F)-D-(N-Pr) Met-CH2OH ; H-L-Tyr-D-Ala-Gly-L-Phe(F)-L-(N-Et) Met-CH2OH ; H-L-Tyr-D-Ala-Gly-L-Phe(F)-L-(N-Pr) Met-CH2OH ; H-L-Tyr-D-Ala-Gly-L-Phe(F)-D-(N-Pr) Met-CH2OH ; H-L-Tyr-D-Ala-Gly-L-(N-i-Bu) Phe(F)-L-Met-(O2)-CH2OH ; H-L-Tyr-D-Ala-Gly-L-Phe(F)-L-(N-Bu) Met-CH2OH ; H-L-Tyr-D-Ala-Gly-L-(N-s-Bu) Phe(F)-D-Met-CH2OH ; H-L-Tyr-D-Ala-Gly-L-Phe(F)-L-(N-Me)Ala-CH2OH ; H-L-Tyr-D-Ala-Gly-L-Phe(F)-L-(N-Me)Abu-CH2OH ; H-L-Tyr-D-Ala-Gly-L-Phe(F)-L-(N-Et)Nva-CH2OH ; H-L-Tyr-D-Ala-Gly-L-Phe(F)-D-(N-Et)Val-CH2OH ; H-L-Tyr-D-Val-Gly-L-Phe(F)-L-(N-Me)Nle-CH2OH ; H-L-Tyr-D-Leu-Gly-L-Phe(F)-L-(N-Me)Leu-CH2OH ; H-L-Tyr-D-Val-Gly-L-Phe(F)-L-(N-Et) Ile-CH2OH ; H-L-Tyr-D-Leu-Gly-L-Phe(F)-D-(N-Me) Ahp-CH2OH ; H-L-Tyr-D-Ala-Gly-L-(N-Cp)Phe(F)-L-Nle-CH2OH ; H-L-Tyr-D-Ala-Gly-L-Phe(F)-L-(N-Et)Hse(Me)-CH2OH ; H-L-Tyr-D-Ala-Gly-L-Phe(F)-L-(N-Me)Hle-CH2OH ; H-L-Tyr-D-Ala-Gly-L-Phe(F)-D-(N-Me)Hse(Me)-CH2OH ; H-L-Tyr-D-Ala-Gly-L-(N-Al)Phe(F)-L-Met-CH2OH ; H-L-Tyr-D-Gly(Al)-Gly-L-Phe(F)-L-(N-Me)Met-CH2OH ; H-L-Tyr-D-Gly(Cp)-Gly-L-Phe(F)-L-(N-Me)Hil-CH2OH ; H-L-Tyr-D-Met-Gly-L-Phe(F)-L-(N-Me)Met-CH2OH ; H-L-Tyr-D-Cys(Me)-Gly-L-Phe(F)-D-(N-Et)Met-CH2OH ; H-L-Tyr-D-Met(O)-Gly-L-Phe(F)-L-(N-Et)Met-CH2OH ; H-L-Tyr-D-Cys(Me)(O)-Gly-L-Phe(F)-L-(N-Et)Npg-CH2OH ; H-L-Tyr-D-Ser-Gly-L-Phe(F)-L-(N-Me)Hse(Me)-CH2OH ; H-L-Tyr-D-Ala-Gly-L-(N-Et)-Phe(F)-L-Pgl-CH2OH ; H-L-Tyr-D-Ala-Gly-L-Phe(F)-L-(N-Me)Pgl(OH)-CH2OH ; H-L-Tyr-D-Thr-Gly-L-(N-Et)Phe(F)-L-Met-CH2OH ; H-L-Tyr-D-Hse-Gly-L-Phe(F)-L-(N-Me)Met-CH2OH ; (N-Me)-L-Tyr-D-Ala-Gly-L-Phe(F)-L-(N-Me)Cys(Me)-CH2OH ; H-L-Tyr-D-Ala-Gly-L-Phe(F)-L-(N-Me)-Cys(Me)(O)-CH2OH ; H-L-Tyr-D-Ala-Gly-L-Phe(F)-D-(N-Me)Cys(Et)-(O2)-CH2OH ; (N-Et)-L-Tyr-D-Abu-Gly-L-Phe(F)-L-(N-Et)-Nle-CH2OH ; H-L-Tyr-D-Val-Gly-L-(M-Et)Phe(F)-L-Hse(Me)-CH2OH ; (N-Pr)-L-Tyr-D-Leu-Gly-L-Phe(F)-L-(N-Me)Cys(Et)(O)-CH2OH ; H-L-Tyr-D-Abu-Gly-L-Phe(F)-L-(N-Pr)Met(O)-CH2OH ; H-L-Tyr-D-Nle-Gly-L-Phe(F)-L-(N-Me)Eth-CH2OH ; H-L-Tyr-D-Ile-Gly-L-Phe(F)-D-(N-Pr)Eth(O2)-CH2OH ; (N-Me)-L-Tyr-D-Leu-Gly-L-Phe(F)-L-(N-Et)-Nle-CH2OH ; (N-Me)-L-Tyr-D-Nva-Gly-L-Phe(F)-L-(N-Me)Hse(Et)-CH2OH ; (N-Me)-L-Tyr-D-Ala-Gly-L-(N-Et)Phe(F)-D-Ser(Me)-CH2OH ; H-L-Tyr-D-Ala-Gly-L-(N-Me)Phe(F)-L-Ser(Et)-CH2OH ; H-L-Tyr-D-Ala-Gly-L-(N-Me)Phe(F)-D-Leu-CH2OH ; H-L-Tyr-D-Ala-Gly-L-(N-Et)Phe(F)-L-Pgl-CH2OH ; H-L-Tyr-D-Ala-Gly-L-(N-Al)Phe(F)-L-Leu-CH2OH ; H-L-Tyr-D-Ala-Gly-L-(N-Pr)Phe(F)-L-Pgl(OH)-CH2OH ; H-L-Tyr-D-Ala-Gly-L-(M-Me)Phe(F)-L-Met-CH2OH ; H-L-Tyr-D-Ala-Gly-L-(N-Et)Phe(F)-L-Met(O)-CH2OH ; H-L-Tyr-D-Ala-Gly-L-(N-Et)Phe(F)-L-Met-CH2OMe ; H-L-Tyr-D-Ala-Gly-L-Phe(F)-L-(N-Me)Met-CH2OMe ; H-L-Tyr-D-Ala-Gly-L-Phe(F)-L-(N-Et)Met-CH2OMe ; H-L-Tyr-D-Ala-Gly-L-Phe(F)-L-(N-Me)Met-CH2OEt ; H-L-Tyr-D-Ala-Gly-L-(N-Et)Phe(F)-L-Met-CH2OEt ; H-L-Tyr-D-Ala-Gly-L-Phe(F)-L-(N-Me)Nle-CH2OMe ; H-L-Tyr-D-Ala-Gly-L-Phe(F)-L-(N-Et)Pgl-CH2OPr ; H-L-Tyr-D-Ala-Gly-L-Phe(F)-L-(N-Pr)Leu-CH2OMe ; H-L-Tyr-D-Ala-Gly-L-(N-Al)Phe(F)-L-Met-CH2OIp ; H-L-Tyr-D-Ala-Gly-L-(N-Me)Phe(F)-L-Met-OMe ; H-L-Tyr-D-Ala-Gly-L-Phe(F)-L-(N-Me)Met-OEt ; H-L-Tyr-D-Abu-Gly-L-Phe(F)-L-(N-Et)Met-OMe ; H-L-Tyr-D-Abu-Gly-L-Phe(F)-D-(N-Me)Met-OMe ; H-L-Tyr-D-Nva-Gly-L-Phe(F)-L-(N-Me)Met-OPr ; H-L-Tyr-D-Nva-Gly-L-(N-Et)Phe(F)-L-Met-OIp ; H-L-Tyr-D-Val-Gly-L-Phe(F)-D-(N-Et)Met-OMe ; H-L-Tyr-D-Val-Gly-L-(N-Pr)Phe(F)-L-Met-OEt ; H-L-Tyr-D-Nle-Gly-L-Phe(F)-L-(N-Bu)Met-OEt ; H-L-Tyr-D-Nle-Gly-L-Phe(F)-D-(N-Et)Gly-OMe ; H-L-Tyr-D-Leu-Gly-L-(N-Ip)Phe(F)-L-Met-OEt ; H-L-Tyr-D-Leu-Gly-L-Phe(F)-L-(N-Pr)Met-OPr ; H-L-Tyr-D-Ile-Gly-L-Phe(F)-L)-(N-Bu)Met-OMe ; H-L-Tyr-D-Ile-Gly-L-Phe(F)-D-(N-Pr)Met-OMe ; H-L-Tyr-D-Ala-Gly-L-Phe(F)-L-(N-Et)Met-OMe ; H-L-Tyr-D-Ile-Ala-L-Phe(F)-L-(N-Pr)Met-OEt ; H-L-Tyr-D-Ala-Gly-L-Phe(F)-D-(N-Pr)Met(O2)-OIp ; H-L-Tyr-D-Ala-Gly-L-(N-i-Bu)Phe(F)-L-Met-OMe ; H-L-Tyr-D-Ala-Gly-L-Phe(F)-L-(N-Bu)Met-OMe ; H-L-Tyr-D-Ala-Gly-L-(N-s-Bu)Phe(F)-D-Met-OEt ; H-L-Tyr-D-Ala-Gly-L-Phe(F)-L-(N-Me)Ala-OPr ; H-L-Tyr-D-Ala-Gly-L-Phe(F)-L-(N-Me)Abu-OIp ; H-L-Tyr-D-Ala-Gly-L-Phe(F)-L-(N-et)Nva-OMe ; H-L-Tyr-D-Ala-Gly-L-Phe(F)-D-(N-Et)Val-OMe ; H-L-Tyr-D-Val-Gly-L-Phe(F)-L-(N-Me)Nle-OMe ; H-L-Tyr-D-Leu-Gly-L-Phe(F)-L-(N-Me)Leu-OEt ; H-L-Tyr-D-Val-Gly-L-Phe(F)-L-(N-Et)Ile-OMe ;H-L-Tyr-D-Leu-Gly-L-Phe(F)-D-(N-Me)Ahp-OEt ; H-L-Tyr-D-Ala-Gly-L-(N-Cp)Phe(F)-L-Nle-OPr ; H-L-Tyr-D-Ala-Gly-L-Phe(F)-L-(N-Et)Hse(Me)-OIp ; H-L-Tyr-D-Ala-Gly-L-Phe(F)-L-(N-Me)Hle-OMe ; H-L-Tyr-D-Ala-Gly-L-Phe(F)-D-(N-Me)Hse(Me)-OMe ; H-L-Tyr-D-Ala-Gly-L-(N-Al)Phe(F)-L-Met-OEt ; H-L-Tyr-D-Gly(Al)-Gly-L-Phe(F)-L-(N-Me)Met-OEt ; H-L-Tyr-D-Gly(Cp)-Gly-L-Phe(F)-L-(N-Me)-Hil-OPr ; H-L-Tyr-D-Met-Gly-L-Phe(F)-L-(N-Me)Met-OMe ; H-L-Tyr-D-Cys(Me)-Gly-L-Phe(F)-D-(N-Et)Met-OPr ; H-L-Tyr-D-Met(O)-Gly-L-Phe(F)-L-(N-Et)Met-OIp ; H-L-Tyr-D-Cys(Me)(O)-Gly-L-Phe(F)-L-(N-Me)Npg-OMe ; H-L-Tyr-D-Ser-Gly-L-Phe(F)-L-(N-Me)sHse(Me)-OEt ; H-L-Tyr-D-Ala-Gly-L(N-Et)-Phe(F)-L-Pgls-OEt ; H-L-Tyr-D-Ala-Gly-L-Phe(F)-L-(N-Me)Pgls-(OH)-OEt ; H-L-Tyr-D-Thr-Gly-L-(N-Et)Phe(F)-L-sMet-OMe ; H-L-Tyr-D-Hse-Gly-L-Phe(F)-L-s(N-Me)Met-OMe ; (N-Me)-L-Tyr-D-Ala-Gly-L-Phe(F)-L-s(N-Me)Cys(Me)-OMe ; H-L-Tyr-D-Ala-Gly-L-Phe(F)-L-s(N-Me)-Cys(Me)(O)-OMe ; H-L-Tyr-D-Ala-Gly-L-Phe(F)-D-s(N-Me)Cys(Et)-OMe ; (N-Et)-L-Tyr-D-Abu-Gly-L-Phe(F)-L-s(N-Et)Nle-OEt ; H-L-Tyr-D-Val-Gly-L-(N-Et)Phe(F)-L-sHse(Me)-OMe ; (N-Pr)-L-Tyr-D-Leu-Gly-L-Phe(F)-L-s(N-Me)-Cys(Et)(O)-OMe ; H-L-Tyr-D-Abu-Gly-L-Phe(F)-L-s(N-Pr)Met(O)-OMe ; H-L-Tyr-D-Nle-Gly-L-Phe(F)-L-s(N-Me)Eth-OEt ; H-L-Tyr-D-Ile-Gly-L-Phe(F)-D-s(N-Pr)Eth(O)-OPr ; (N-Me)-L-Tyr-D-Leu-Gly-L-Phe(F)-L-s(N-Et) Nle-OIp ; (N-Me)-L-Tyr-D-Nva-Gly-L-Phe(F)-L-s(N-Me)-Hse(Et)-OIp ; (N-Me)-L-Tyr-D-Ala-Gly-L-(N-Et)Phe(F)-D-sSer(Me)-OPr ; H-L-Tyr-D-Ala-Gly-L-(N-Me)Phe(F)-L-sSer(Et)-OMe ; H-L-Tyr-D-Ala-Gly-L-(N-Me)Phe(F)-D-sLeu-OEt ; H-L-Tyr-D-Ala-Gly-L-(N-Et)Phe(F)-L-sPgl-OMe ; H-L-Tyr-D-Ala-Gly-L-(N-Al)Phe(F)-L-sLeu-OMe ; H-L-Tyr-D-Ala-Gly-L-(N-Pr)Phe(F)-L-sPgl(OH)-OMe ; H-L-Tyr-D-Ala-Gly-L-(N-Me)Phe(F)-L-sMet-OMe ; H-L-Tyr-D-Ala-Gly-L-(N-Et)Phe(F)-L-sMet(O2)-OMe 등.
일반식(I)의 화합물은 팹티드 합성을 위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일반식(I) 화합물의 합성 도중에, 부분적인 라세미화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라세미화가 일어나더라도 일반식(I)화합물의 진통 작용을 현저하게 변화시킬 정도는 아니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고상(solid phase)팹티드 합성법 또는 통상적인 액상합성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하기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Ⅳ)의 화합물을 액상법으로 커플링시키거나 하기 구조식(Ⅴ)의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Ⅵ)의 화합물을 고상법으로 커플링시킨 후, 이렇게 하여 제조한 하기 일반식(Ⅱ')의 보호된 중간 생성물을 산으로 탈보호시켜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무독한 산부가염을 제조한다.
Figure kpo00060
Figure kpo00061
상기 일반식에서, L, D, R2, R3, R4,R5, Z 및 Z'는 상술한 바와 같고,
Z"는 수지지체를 포함하는 Z의 전구체이다.
고상법에서는, 펩티드 사슬을 벤즈히드릴 아민 수지 또는 클로로 메틸화 폴리스티렌수지와 같은 수지지지체를 사용하여 연쇄적으로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생성물을 약 0℃에서 HF를 사용하여 수지로 부터 분리해 낸 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한다.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거나, 일반식(I)의 화합물 제조에는 한개의 아미노산의 카복실 작용기와 또 다른 아미노산의 아미노작용기와의 반응에 의해 이미드 결합을 생성하는 아미노산이나 펩티드분절(fragment)의 커플링 반응이 포함된다. 이 커플링 반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반응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모든 반응성 작용기를 적절한 차단그룹을 사용하여 불활성화시키고, 이어서 커플링시키려는 카복실 작용기를 적절하게 활성화시켜 커플링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든 단계에서는, 목적한 펩티드 생성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반응순서, 반응 조건 및 차단 그룹의 주의깊은 선택이 필요하다.
일반식(I)화합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며, 특별히 선택된 보호그룹 및/또는 활성화 작용기를 갖는 아미노산은 펩티드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차단 그룹의 선택전 배합이 일반식(I)화합물의 전합성의 각 단계에서 필요하다. 이러한 특정한 배합이 이루어져야 반응이 가장 순조롭게 진행된다.
그외의 배합으로도 일반식(I)화합물의 합성이 가능하지만, 만족스럽지는 못하다. 일반식(I)화합물의 합성에 사용되는 아미노 차단 그룹으로는 벤질옥시카보닐, t-부틸옥시카보닐, t-아밀옥시카보닐,
Figure kpo00062
-메톡시벤질옥시카보닐, 아다맨틸옥시카보닐 및 이소보닐옥시카보닐 등이 있다. 티로실 잔기의 하이드록시-보호그룹으로는 일반적으로 벤질(Bzl)이 사용되며, 그외에
Figure kpo00063
-니트로벤질(PNB) 및
Figure kpo00064
-메톡시벤질(PMB)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카복실차단그룹으로서 전형적인 에스테르-형성 그룹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서는 메틸, 에틸, 벤질,
Figure kpo00065
-니트로벤질,
Figure kpo00066
-메톡시벤질, 2,2,2-트리클로로에틸등이 있다.
일반식(I)화합물의 제조에 있어서, 적절하게 보호된 N-차단 아미노산이나 펩티드 분절과, 적절하게 보호된 카복시-차단아미노산이나 펩티드 분절과의 커플링 반응은 아미노산이나 펩티드 분절의 유리 카복실기를 커플링 반응에 대해 활성화 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이는 공지된 몇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화 방법중의 한가지는 카복실작용 그룹을 혼합무수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유리카복실작용 그룹은 카본산 염화물과 같은 카본산 유도체 등과 반응시키므로써 활성화된다. 혼합무수물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산염화물의 예로는 에틸 클로로 포르메이트, 페닐클로로포르메이트, 2급-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이소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 피발로일클로라이드 등이 있으며, 그중 이소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서, 카복실 작용 그룹을 활성화시키는 또다른 방법은, 이를 그의 활성에스테르 유도체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이런 활성 에스테르로는 2,4,5-트리클로로페닐에스테르, 펜타클로로페닐에스테르, 및
Figure kpo00067
-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등이 있다. 유용하게 사용되는 또 다른 커플링 방법은 공지된 아지드 커플링 방법이다.
일반식(I)화합물의 제조에 있어서, 바람직한 커플링법은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를 사용하여 유리카복실 작용 그룹을 활성화시켜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활성화 및 커플링반응은 아미노산 또는 펩티드 분절에 대해 동몰량의 DCC를 사용하여, 동몰량의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BT)의 존재하에 수행한다. HBT는 라세미화의 가능성을 포함한 불필요한 부반응을 억제한다.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수행하는 연쇄합성과정중 특정 단계에서 차단 그룹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야 한다. 펩티드 합성분야의 전문가들은, 아미노산이나 펩티드 분절상에 존재하는 보호그룹을 하나이상(그러나 전부인 경우는 제외)제거하므로써 생성물의 선택적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대표적인 보호 그룹중에서 적절한 그룹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펩티드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유용한 선택적 제거방법은 하기 문헌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참조 :
Figure kpo00068
The Peptides, volume I, Academic press, New York, (1965) p72-75의 표].
카복실 보호그룹은 알칼리성 비누화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을 사용한 비교적 강알칼리성 조건하에서 보호된 카복실그룹을 탈 에스테트화시킨다. 비누화의 반응 조건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많은 카복실 차단 그룹은 또한 촉매적 가수소분해(예, 탄소상 팔라듐촉매 존재하에서의 가수소분해)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카복실 차단그룹이
Figure kpo00069
-니트로벤질 또는 2,2,2-트리클로로에틸일 경우, 아연 및 염산의 존재하에 환원시켜 제거할 수도 있다.
많은 아미노차단그룹은, 보호된 아미노산이나 펩티드를 포름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
Figure kpo00070
-톨루엔설폰산(TSA), 벤젠설폰산(BSA), 나프탈렌설폰산 등과 같은 산으로 처리하여 각각의 산부가염을 생성시킴으로써 제거된다. 그외의 차단그룹, 예를들어 벤질옥시카보닐은 차단된 아미노산이나 펩티드를 HBr 및 아세트산의 혼합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브롬산 부가염을 생성시킴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차단그룹의 제거에 사용되는 방법 또는 시약은 특정 탈차단 반응에 사용되는 물질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이 반응에 생성된 산부가염은 DEAE세파덱스 A 25, 앰버리스트 A 27 등과 같은 적절한 이온교환수지로 처리하여 제약학상 더 허용되는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하이드록시-보호그룹은 제조과정을 통해 펩티드상에 보유시키다가 아미노차단 그룹의 제거와 함께 최종 합성 단계 도중에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카복실차단 그룹의 제거 조건에 따라, 일찌기 예비 단계에서 제거할 수도 있다. 카복실 그룹을 알칼리성 비누화에 의해 제거할 경우, 하이드록시-보호그룹은 보유되나, 카복실 보호그룹을 촉매적 가수소분해에 의해 제거할 경우에는 하이드록시-보호그룹도 제거된다. 후자의 경우, 일반식(I)화합물의 제조를 유리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티로실 잔기 존재하에 수행하기 때문에 큰 문제점이 없다.
전통적인 액상 합성법 중에서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각각 제조된 N-말단 트리펩티드와 C-말단펩티드를 커플링시킨 후, 남아있는 차단부위를 탈차단시키는 것이다. N-말단트리펩티드와 반응하는 C-말단 디펩티드는 아미드, 알코올,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부위를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전구물질이 원하는 C-말단부위인 그룹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일반식(I)의 펜타펩티드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하기 반응식에서, Z는 최종형태이건 전구물질이건 간에, C-말단 부위를 나타내며, AA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AA에 붙은 숫자는 최종 펩티드 생성물에서의 아미노산의 위치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71
상기 반응식은 일반식(I)화합물을 제조하는 한가지 방법만을 나타낸 것이며, 그외의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액상합성 방법으로는 C-말단 아미노산 부위부터 시작하여 단계적이고 연쇄적으로 아미노산을 부가시켜 펩티드 사슬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반응기술은 여기뿐만 아니라 다른 예비과정에도 사용된다.
일반식(I)의 화합물중 어떤 화합물은 R1, R3및 R5중 하나 이상이 알킬, 알릴 또는 사이클로 프로필메틸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적절한 N-치환된 아미노산을 예비단계에서 사용한다. N-일치환된 아미노산류는 출발물질로서는 N-보호된 아미노산을 사용하여 하기 반응식에서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72
상기 반응식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아미노산을 먼저 적절한 크라운 에테르 존재하에 수소화칼륨으로 처리하여 2가 음이온을 생성시킨다. 그런 후, 이 중간체를 적절한 알릴, 사이클로프로필메틸 또는 알킬요오다이드로 처리하여 목적한 N-치환아미노산을 수득한다.
α-탄소에서의 라세미화가 상기 알킬화반응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강알칼리성 조건하에서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은 펩티드 합성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라세미화의 정도는 포함된 아미노산에 따라 결정되며, 과량의 알킬화제를 사용하고 반응시간을 가능한한 단축시키므로써 라세미화를 최소로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또한, 라세미화가 과도하게 일어나더라도, 생성물을 적절한 키랄아민염(예, d(+)α-페닐에틸아민염)으로 재결정화하여 정제할 수 있다.
일반식(I)의 펩티드의 C-말단부위는 그의 1급이나 2급 아미드, 에스테르, 알코올 또는 에테르로 유도된다. 일반식(I)의 아미드 펜타펩티드에 있어서, 아미드는 비치환되거나 N-일치환된 상태이다. 아미드로의 유도는, 아미노산의 카복실 그룹을 1-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HBT)의 존재하에 N,N'-디사이클로 헥실카보디이미드(DCC)로 활성화시켜 HBT에스테르를 제조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일반식(I)의 펜타펩티드 제조에 있어서, 에스테를 무수 암모니아나 적절한 1급 아민과 반응시켜 비치환되거나 N-일치환된아미드를 생성한다. 일반식(I)의 펜타펩티드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1급 아민으로는 메틸아민, 에틸아민, n-프로필아민 및 이소프로필아민 등이 있다.
C-말단에스테르는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기술에 의해 상응하는 산으로 부터 제조할 수 있다. 1급 알코올로의 유도는 C-말단아미노산이나 펩티드의 메틸에스테르를 제조하므로써 이루어지며, 이 에스테르를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 및 염화리튬으로 환원시켜 상응하는 1급 알콜올 유도체를 수득한다.
에테르는 공지된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중 하나는 상응하는 알코올을 수성 수산화나트륨 매질내에서 알킬 브로마이드로 처리하는 것이데, 이때의 알킬그룹은 에테르생성물의 알킬 부분에 상응한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유용한 약제로서 진통작용 및 신경안정작용을 나타내며, 특히 포유류 및 인체에 비경구 또는 투여하여 통증의 경감 및 정서 장애완화에 유용하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제약학상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투여할 수 있으며, 그 비율은 화합물의 용해도 및 화학적 특성, 투여 방법 및 표준약제 제조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비경구투여, 즉 근육주사, 피하주사 또는 정맥주사에 적절한 조성물이다. 여기에는 살균 주사액 또는 혁탁액, 및 살균주사용 데포 또는 서방출형 제제가 포함된다. 살균주사액은 등장성 식염수나 등장성 덱스트로오스로 제조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살균주사용 조성물은 제조하여 그 자체로 저장하거나, 성분의 살균성을 유지시키는 바이알 또는 앰플같은 용기에 공지량의 무균성분을 넣어 둔 후, 사용직전에 물과 같은 살균 매질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공지량의 살균 성분에, 살균매질의 첨가후 등장용액 또는 현탁액이 되도록, 충분한 양의 살균 덱스트로스 또는 염화나트륨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한 조성물에는 또한 경구 투여에 적절한 조성물도 있다. 이들은 캡슐제, 정제등과 같이 각각 정해진 양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단위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분말이나 과립제, 수성 또는 비수수성 매질중의 액제 또는 현탁제, 또는 유제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정제는 하나 이상의 보조성분과 함께 압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자유-유동형태의 활성성분을 결합제,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계면활성제, 완충액, 향미제, 농조화제, 방부제, 분산제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성분과 혼합하여 타정한다.
일반식(I)화합물의 가장 적절한 실제 용량은 의사가 결정한다. 선택하는 용량은 투여방법, 투여화합물, 환자의 상태 및 치료방법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근육주사 또는 피하 주사시 '환자 체중 kg당 약 10㎍ 내지 2mg,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500㎍정도이며, 정맥주사의 경우에는 환자의 체중 kg당 약 1㎍ 내지 약 200㎍,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50㎍정도이다. 경구투여시 용량범위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체중 kg당 약 1mg 내지 약 500mg, 바람직하게는 약 50mg 내지 약 200mg,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mg 내지 약 100mg 정도이다.
하기 실시예는 일반식(I)화합물의 제조 및 활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써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약자들은 상기에서 정의한 것이다.
[실시예 1]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L-p-플루오로페닐알라닐-L-(Nα-메틸)메티오닌아미드, 아세테 이트염의 제조
A.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D,L-p-플루오로페닐알라닐-L-(Nα-메틸)메티오닐 벤즈하이드릴아민 수지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펩티트 수지를 베크만 990 펩티드 합성기 내에서 4g의 벤즈하이드릴아민 수지(Beckman, 0.47밀리몰-N/g)를 사용하여 자동 고상합성법으로 합성한다. 이 수지를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녹인 4%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EA)으로 중화시킨 후, 이를 메티렌 클로라이드 내에서 BOC-(N-Me) Met-OH 및 DCC와 커플링시켜서 BOC-(M-Me)-Met-치환수지를 수득한다. BOC-D,L-(p-F)PheOH, BOC-Gly-OH, BOC-D-Ala-OH, 및 BOC-Tyr-OH를 "과정 1"에 따라 커플링시킨 후 동일 아미노산을 "과정 2"에 따라 재커플링시킨다. 이렇게하여 생성된 BOC-펜타펩티드 수지를 과정 1의 단계 1-8에 따라 탈보호시켜, 4.98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과정 1 및 2에서의 세척은 수지 g당 8ml로 수행한다.
과정 1
1. CH2Cl2로 3회 세척
2. TFA : Et3SiH : CH2Cl2(30 : 5 : 65의 용적비)
3. 단계 2를 30분간 처리
4. CH2Cl2로 2회 세척
5. 메탄올 : CH2Cl2(1 : 1)로 세척
6. 메탄올로 2회 세척
7. 메탄올 : CH2Cl2(1 : 1)로 세척
8. CH2Cl2로 2회 세척
9. 매회 CH2Cl2에 녹인 4% DIEA로 2분씩 4회 처리
10. 단계 4내지 8을 반복실시
11. CH2Cl2에 녹인 2.5당량의 목적한 아미노산 유도체와 CH2Cl2에 녹인 1.25당량의 DCC로 120분간 처리
12. CH2Cl2로 4회 세척
13. 단계 5 내지 7을 반복실시
14. CH2Cl2로 3회 세척
과정 2
1. 매회 CH2Cl2에 녹인 4% DIEA로 2분씩 4회 처리
2. CH2Cl2로 2회 세척
3. 메탄올 : CH2Cl2(1 : 1)로 세척
4. 메탄올로 2회 세척
5. 메탄올 : CH2Cl2(1 : 1)로 세척
6. CH2Cl2로 2회 세척
7. DMF : CH2Cl2(1 : 1)로 3회 세척
8. DMF : CH2Cl2(1 : 1)에 녹인 2.5당량의 목적한 아미노산 유도체와 CH2Cl2에 녹인 1.25당량의 DCC로 120분간 처리
9. DMF : CH2Cl2(1 : 1)로 4회 세척
10. 단계 4 내지 6을 반복실시
B.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D,L-p-플루오로페닐알라닐-L-(Nα-메틸) 메티오닌 아미드의 하이드로겐 플루오라이드 염
A에서 제조한 펩티드 수지를 진공하의 0℃에서, 아니솔(제거제)의 존재하에 액성무수 HF와 60분간 반응시킨다. 휘발성 성분을 진공하의 반응에서 제거하고, 펩티드-수지를 에테르로 연마한 후, 여과하여 잔류 HF 및 아니솔을 제거한다. 펩티드를 10% 아세트산으로 연마하여 수지로 부터 추출한다. 이 10%아세트산 추출물을 동결건조시켜 745mg의 조표제생성물을 수득한다.
C.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최종생성물 수득.
펩티드 디아스테레오머의 조혼합물을, 저압하에 0.1N암모늄 아세테이트에 녹인 26%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역상(C18)실리카겔걸럼(5×72cm)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한다. 2000ml의 용출물을 수집한 후 1.5분 간격으로 각각 17.0ml의 획분을 모은다. 36-65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최종생성물을 얻고, 78-110획분을 모아 동결건조시켜 상응하는 D-p-플루오로페닐알라닐 화합물을 수득한다. 이 두 생성물을, 0.2N아세트산을 사용한 세파덱스 G-10컬럼(2.5×100cm)상에서 각각 크로마토그라피하여 암모늄 아세테이트를 제거한다. 획분을 동결건조시켜 백색 무정형 고체인 펩티드를 수득한다.
(1) L-p-플루오로페닐알라닐 화합물 (253.8mg) ;
Figure kpo00073
+14.4(C=0.5, 1N HCl).
Figure kpo00074
+57.8(C=0.5, 1N HCl).
C31H43FN6O8S (678.876)의 분석치 :
계산치 : C54.85 ; H6.39 ; N12.38 ; F2.80
실측치 : C55.05 ; H6.17 ; N12.62 ; F3.07.
아미노산 분석 :
Gly Ala Tyr NH3Ph(F) 펩티드 %
(1) 0.99 1.00 1.00 0.98 1.03 97.1
(2) 1.01 1.00 1.00 1.00 1.05 96.8
(2) D-p-플루오로페닐알라닐 화합물(223.1mg) :
Figure kpo00075
+5.14(C=0.5, HCl).
C31H43FN6O8S (678.876)분석치 :
계산치 : C54.85 ; H6.39 ; N12.38 ; F2.80.
실측치 : C54.62 ; H6.58 ; N12.59 ; F2.49.
아미노산 분석 :
Gly Ala Tyr NH3Ph(F) 펩티드 %
(1) 1.00 1.00 1.01 0˙99 1.04 95.2
(2) 0.99 1.00 1.00 1.00 1.03 96.4
[실시예 2]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L-p-플루오로-페닐알라닐-L-p-메톡시페닐-글리신아미드, 아세테이트 염의 제법
A. BOC-L-p-메톡시페닐글리신 아미드
5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에 5.03g(17.9밀리몰)의 BOC-P-메톡시페닐 글리신을 첨가한다. 이 혼합물을 아세톤-얼음욕(bath)내에서 -9℃로 냉각시킨 다음, 1.99ml (17.9밀리몰)의 N-메틸모르폴린과 2.34ml(17.9밀리몰)의 이소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를 첨가한 다음, 2.5분간 교반한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에 암모니아를 1시간 동안 첨가한 후, 증류수(80ml)를 가하고 80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이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1N 중탄산칼륨, 1N 염산, 및 물로 연속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 마그네슘 존재하에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증발시켜 4.77g의 백색 고체를 수득한 다음, 이를 에틸아세테이트 및 석유에테르의 혼합물로 재결정화하여 3.32g (49%)을 수득한다.
B. L-p-메톡시페닐글리신 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A에서 제조한 생성물 32g(12.0밀리몰)을 6.0ml의 빙초산에 녹인 용액에 4.7ml의 트리에틸 실란과 4.7ml의 아니솔을 첨가한 다음, 47ml (3당량)의 0.77 HCl/아세트산 용액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35분간 교반한 후, 에테르 600ml를 첨가하여 생성된 백색 침전물을 연마한 다음, 이 혼합물을 여과하여서 모은 침전물을 에테르로 세척하여 2.53g(66%)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C. Nα-t-부틸옥시카보닐-D,L-p-플루오로페닐 알라닐-L-p-메톡시페닐 글리신 아미드.
B에서 제조한 생성물(0.65g : 3밀리몰)을 8.0ml의 냉각한(0℃) DMF에 현탁시켜 만든 현탁액에 DIEA(0.52ml, 3밀리몰)을 가한 다음, BOC-D,L-(p-F)Phe-OH (0.85g, 3밀리몰)을 DMF (8.0ml)에 녹인 용액을 첨가하고 HBT (0.81g, 6밀리몰)를 첨가한 후, DCC(0.62g, 3밀리몰)를 DMF (4ml)에 녹인 용액을 첨가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CaSO4건조튜브내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여과하여 디사이클로헥실우레아(DCU)를 제거한 다음, 여과액을 진공중에서 증발시켜 황색잔류물을 수득한다. 이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300ml) 및 물(200ml)로 분배하고 층을 분리시킨다.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pH10의 완충용액(300ml씩 3회), 0.1N HCl (300ml씩 3회) 및 물(300ml)로 세척한다. 이 에틸아세테이트를 황산마그네슘 존재하에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여 1.44g (100%)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한다. 이 물질을 박층 크로마토그라피(TLC)로 확인해본 결과 DCU가 함유되어 있음을 알았다.
D. D,L-p-플루오로페닐알라닐-L-p-메톡시 페닐글리신아미드.
C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아세트산(4ml)에 녹인 용액에, 아니솔(1.ml), 트리에틸실란(1.0ml) 및 1.54N HCl을 아세트산에 녹인 용액(10ml)을 첨가한다. 이 용액을 CaSO4건조튜브내의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에테르(600ml)로 희석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매회 25ml의 에테르로 2회 세척한 후, 진공하의 35℃에서 건조시켜 1.10g(96%)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TLC분석결과, 이 화합물이 숙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E.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D,L-p-플루오로페닐알라닐-L-p-메톡시페닐글리신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염.
D에서 제조한 생성물(1.10g : 2.89밀리몰)을 9ml의 냉각한(0℃) DMF에 현탁시켜 만든 현탁액에, 21ml의 DMF에 현탁시킨 BOC-L-Tyr-D-Ala-Gly-OH, 디-사이클로헥실아민염(1.70g, 2.88밀리몰)을 첨가한 다음, 교반한 혼합물에 HBT(770mg, 5.76밀리몰), 및 DCC (594mg, 2.88밀리몰)을 2.5ml의 DMF에 녹인 용액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1.2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여과하여 DCU를 제거한 후,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황색잔류물을 수득한다. 이 잔류물에 아니솔(6.0ml), 트리에틸실란(6.0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60ml)를 첨가한다. 이렇게 하여 만든 용액을 실온에서 CaSO4건조튜브내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이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황색오일을 수득한다. 이 황색오일에 에테르(1.5ℓ)를 첨가하여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모은 후, 진공중에서 건조시켜 2.01g(93%)의 조표제화합물을 수득한다.
F.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최종생성물을 수득.
E에서 수득한 생성물을 실시예 1의 C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두개의 디아스테레오머를 분리한 후 763mg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76
+67.06°(C=0.375, 75% 1N HCl : 25% DMF).
Figure kpo00077
+263.88°(C=0.375, 75% 1N HCl : 25% DMF).
C34H41FN6O9(696.738)의 분석치 :
계산치 : C58.61 ; H5.93 ; N12.06 ; F2.73
실측치 : C58.90 ; H6.03 ; N12.34 ; F2.53
아미노산 분석 : Gly, 1.00 ; Ala, 1.00 ; Tyr, 0.99 ; Pgl(MeO), 1.04 ; Phe(F), 0.89 ; NH3, 0.99 ; 펩티드 %, 90.
[실시예 3]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L-p-플루오로페닐알라닐-L-페닐글리신아미드, 아세테이트 염 및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L-p-플루오로 페닐알라닐-D-페닐 글리신아미드, 아세테이트염의 제조
이들 생성물은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하기와 같은 특징을 나타낸다.
(1) L-페닐글리실아미드 화합물(1.043g) :
Figure kpo00078
+90.72°(C=0.5, 1N HCl).
Figure kpo00079
+333.33°(C=0.5, 1N HCl).
C33H39FN6O8(666.712)의 분석치 :
계산치 : C59.45 , H5.90 , N12.51 , F2.85
실측치 : C59.25 , H6.09 , N12.43 , F3.08
아미노산 분석 : Gly, 1.01 ; Ala, 1.00 ; Tyr, 1.00 ; Pgl, 0.99 ; Phe(F), 0.98 ; NH3, 1.01 ; 펩티드 %, 90.
(2) D-페닐글리신아미드 화합물(626mg) :
Figure kpo00080
+17.50°(C=0.5, 1N HCl).
Figure kpo00081
+79.76°(C=0.5, 1N HCl).
C33H39FN6O8(666.712)의 분석치 :
계산치 : C59.45 ; H5.90 ; N12.61 ; F2.85
실측치 : C59.46 ; H5.88 ; N12.35 ; F2.68.
아미노산 분석 : Gly, 0.99 ; Ala, 1.00 ; Tyr, 0.96 ; Pgl, 1.02 ; Phe(F), 1.00 ; NH3, 1.05 ; 펩티드 %, 88.
[실시예 4]
L-티로실-D-트레오닐-글리실-L-p-플루오로-페닐알라닐-L-(Nα-메틸)메티오닌아미드, 아세테이트염의 제조
이 생성물은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다음의 특성을 갖는다.
수득량 : 216mg
Figure kpo00082
+14.99°(C=0.5, 1N HCl).
Figure kpo00083
+51.28°(C=0.5, 1N HCl).
C32H45FN6O9S (708.813)의 분석치 :
계산치 : C54.23 ; H6.40 ; N11.86 ; F2.86
실측치 : C54.47 ; H6.28 ; N11.91 ; F2.51
아미노산 분석 : Thr, 0.98 ; Gly, 1.00 ; Tyr, 1.03 ; Phe(F), 0.96 ; NH3, 1.27 ; 펩티드 %, 86
일반식(I)화합물의 진통작용은 쥐의 열판 시험에 의해 측정한다. 이 시험에서, 쥐로 밑면이 522℃ 로 유지되는 열판표면으로 된수직 아크릴실린더 내부에 놓는다. 적절한 담체에 용해 또는 현탁시킨 미리 결정된 양의 시험화합물을 쥐에게 경구 또는 피하주사로 투여하고, 투여 15분후 쥐를 열판 표면위에 놓는다. 쥐가 열판표면에서 점프할 때까지의 잠복기를 초로 측정한다. 진통작용을 나타내는 약제는 담체만을 투여한 대조용 쥐와 비교하여 볼때 잠복기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증가는 운동실조 또는 불능을 나타내지 않는 용량범위내에서 일어나야만 한다. 이 시험에서 얻은 ED50결과를 하기표에 기록하였다.
[표 1]
진통작용, 열판시험
화합물 ED50, mg/kg, 피하투여
실시예 1 0.023
실시예 2 1.04
실시예 3
L-Pgl 0.063
D-Pgl 0.103
실시예 4 0.088
일반식(I)화합물의 진통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한 또 다른 시험은 쥐의 비틀림 시험이다. 이 시험에서는, 밤새도록 절식시킨 Cox표준계통 알비노 수컷 쥐(중량 20 내지 22g)를 사용한다. 55mg/kg의 아세트산(0.55%)을 복강내 투여하면 복부근육의 수축, 뒷다리 뻗침 및 몸통의 회전이 야기된다. 각 처리그룹은 5마리의 쥐를 사용한다. 처리그룹의 비틀림 총수를 아세트산 투여 5분후에 10분간 측정한다. 대조그룹은 이 측정기간동안 200 내지 350번의 비틀림 총횟수를 갖는다. 아세트산을 복강내 투여하기 30분, 90 및 180분전에 시험 화합물 100mg/kg을 경구투여하고, 아세트산투여 30분전에 피하투여한다. 하기표에 이 시험으로 얻어진 ED50치를 기록한다.
[표 2]
진통작용, 쥐의 비틀림 시험
화합물 ED50, mg/kg 피하 ED50, mg/kg 경구
실시예 2 3.7 -
실시예 3 0.25 -
(D-Pgl5) -
실시예 3 0.53 73
(L-Pgl5) (15분간 230)

Claims (1)

  1. 하기 구조식(Ⅴ)의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Ⅵ)의 화합물을 고상합성법으로 커플링시킨 다음, 제조된 하기 일반식(Ⅱ')의 보호된 중간생성물을 산으로 탈보호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무-독성 산부 가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84
    Figure kpo00085
KR1019800004794A 1979-12-17 1980-12-16 펩티드의 제조방법 KR850000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104,348 US4283329A (en) 1979-12-17 1979-12-17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US104348 1979-12-17
US104.348 1979-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218A KR830004218A (ko) 1983-07-06
KR850000476B1 true KR850000476B1 (ko) 1985-04-08

Family

ID=2230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794A KR850000476B1 (ko) 1979-12-17 1980-12-16 펩티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283329A (ko)
EP (1) EP0030848B1 (ko)
JP (1) JPS5697257A (ko)
KR (1) KR850000476B1 (ko)
BE (1) BE886677A (ko)
CH (1) CH646686A5 (ko)
DE (1) DE3070184D1 (ko)
FR (1) FR2471970A1 (ko)
GB (1) GB2065132B (ko)
HU (1) HU186375B (ko)
IE (1) IE50883B1 (ko)
IL (1) IL61703A (ko)
IT (1) IT11411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02711A1 (de) 1976-02-02 1977-08-04 Sandoz Ag Neue organische verbindungen,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3163199D1 (en) * 1980-07-17 1984-05-24 Sandoz Ag Novel pentapeptides,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id pentapeptides and their use
FR2488253A1 (fr) * 1980-08-08 1982-02-12 Roques Bernard Nouveaux peptides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US4322339A (en) * 1980-10-20 1982-03-30 Eli Lilly And Company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DK134784A (da) * 1983-03-07 1984-09-08 Lilly Co Eli Farmakologisk virksomme tripeptid-derivater og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deraf
WO1994025482A1 (en) * 1993-04-23 1994-11-10 Evans Herbert J Polypeptides that include conformation-constraining groups which flank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site
US5928896A (en) * 1993-04-23 1999-07-27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Polypeptides that include conformation-constraining groups which flank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site
US5965698A (en) * 1993-04-23 1999-10-12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Polypeptides that include conformation-constraining groups which flank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site
US6258550B1 (en) 1993-04-23 2001-07-10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Polypeptides that include conformation-constraining groups which flank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site
US5952465A (en) * 1993-04-23 1999-09-14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Polypeptides that include conformation-constraining groups which flank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site
US6084066A (en) * 1993-10-29 2000-07-04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Polypetides that include conformation-constraining groups which flank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si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77115A (en) * 1976-07-27 1980-10-22 Reckitt & Colmann Prod Ltd Container closure units
CH619686A5 (en) * 1976-02-02 1980-10-15 Sandoz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ovel peptides or peptide derivatives
US4259234A (en) * 1976-09-27 1981-03-31 Eli Lilly And Company Analgesic compounds
FR2424253A1 (fr) * 1978-04-27 1979-11-23 Brun Lab Sa Le Nouveaux derives de peptides analogues des enkephalin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therapeu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026672A0 (it) 1980-12-16
EP0030848A3 (en) 1981-12-16
CH646686A5 (fr) 1984-12-14
GB2065132A (en) 1981-06-24
FR2471970A1 (fr) 1981-06-26
EP0030848B1 (en) 1985-02-13
DE3070184D1 (en) 1985-03-28
FR2471970B1 (ko) 1984-11-16
IT1141135B (it) 1986-10-01
IL61703A (en) 1984-05-31
BE886677A (fr) 1981-06-16
GB2065132B (en) 1983-06-02
JPS5697257A (en) 1981-08-05
US4283329A (en) 1981-08-11
HU186375B (en) 1985-07-29
IE802642L (en) 1981-06-17
IE50883B1 (en) 1986-08-06
IL61703A0 (en) 1981-01-30
KR830004218A (ko) 1983-07-06
EP0030848A2 (en) 198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9234A (en) Analgesic compounds
KR850000476B1 (ko) 펩티드의 제조방법
HU184704B (en) Process for preparing biologically active encephaline analogues
EP0050503B1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ntapeptide derivatives
US4510082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EP0050502B1 (en) Pharmacologically active tetrapeptide derivatives
US4254106A (en) Biologically active amides
KR840001668B1 (ko) 펩티드의 제조방법
US4333873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CS235072B2 (en) Method of l-tyrosyl-d-alanyl-glycyl-l-phenylalanylamide's new derivatives production
CA1142514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KR840001720B1 (ko)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EP0112036A1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US4351763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EP0122018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harmacologically active tripeptide derivatives
KR820001094B1 (ko) 펜타펩타이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