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094B1 - 펜타펩타이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펜타펩타이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094B1
KR820001094B1 KR7702185A KR770002185A KR820001094B1 KR 820001094 B1 KR820001094 B1 KR 820001094B1 KR 7702185 A KR7702185 A KR 7702185A KR 770002185 A KR770002185 A KR 770002185A KR 820001094 B1 KR820001094 B1 KR 820001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added
acid
residue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스미스윔크 쥬니어 에드워드
커티스알터 프리드릭슨 로버트
레오도르 슈만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에베르트 에프 스미스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베르트 에프 스미스,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에베르트 에프 스미스
Priority to KR7702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094B1/ko

Links

Landscapes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펜타펩타이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비경구 투여시 탁월한 진통작용을 갖는 신규의 다음 일반식(I)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무독한 산부가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일반식에서
L 및 D는 이성체의 종류이며
R1은 수소, C1-C3일급 알킬 또는 알릴이고
R2는 수소 또는 C1-C3일급 알킬이고, 단 R1이 알릴일 경우에는 R2는수소이고
R3는 수소 또는 C1-C3일급알킬이고
R4는 C1-C4일급 또는 이급알킬이고
R5는 수소 또는 C1-C4일급 또는 이급알킬이고
R6는 수소 또는 C1-C3일급 알킬이고
R7는 수소 또는 C1-C4일급 알킬이고
Y는 수소 또는 아세틸이며
Figure kpo00002
여기에서 R8은 C1-C3알킬 또는 수소이고 W는 이소프로필, -VR9또는 -CH2-Z-CH3이고 여기에서 V는 산소 또는 황이고, R9은 C1-C4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고, X는 산소, 황 또는 -CH2이다. 단, W가 이소프로필이면 R7은 C1-C3일급알킬이고, W가 -VR9(여기에서 V는 황이고 R9은 메틸임)이면 R8은 C1-C3알킬이다.
최근에 몰핀과 같은 작용을 갖는 내인성(內因性)물질을 포유동물의 뇌 또는 뇌척수액으로 부터 추출해 냈다. 엔케팔린(Enkephalin)이라는 이 물질은 다음과 같은 연결 순서를 갖는 펜타펩타이드로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조 : Hughes etal., Nature, 258, 577(1975)] :
H-Tyr-Gly-Gly-Phe-Met-OH
H-Tyr-Gly-Gly-Phe-Lue-OH
이 화합물을 각각 메티오닌-엔케팔린과 루이신-엔케팔린으로 언급한다.
이 화합물을 쥐에게 뇌실내 주사하면 진통작용을 보이기는 하지만 [참조 : Buscher etal., Nature, 261 423(1976)]실제 비경구로 투여하면 유용한 진통작용이 없어진다.
신규의 화합물을 이제 발견하게 되었다. 이 화합물은 전신 투여시 유의적이며 뛰어난 진통작용을 지닌다.
본 발명은 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리하여 본 발명은 상응하는 보호시킨 일반식(I)화합물을 실질적으로 무수인 산 매질로 보호그룹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식(I)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W가-CH2-X-CH3이고 X가 황인부류의 화합물들이다.
일반식(I)범주에 속하는 약학적으로 무독한 부가염에는 유기 또는 무기 산 부가염이 있으며 이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설폰산, 타타르산, 푸마르산, 브롬화수소산, 글리콜산, 시트르산, 말레산, 인산, 석신산, 아세트산, 질산, 벤조산, 아스코르빈산, P-톨루엔설폰산, 벤젠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과 프로피온산과 같은 산으로 제조한다. 바람직한 산부가염은 염산 '아세트산 또는 석신산으로 제조한 것이다.
일반식(I)의 여러가지 치환제의 정의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일반식(I)로 정의된 화합물은 펜타펩타이드의 비치환 또는 N-치환 아마이드이다. 일반식(I)인 화합물의 입체구조는 이들의 중요한 특징이다. 편의상, 일반식(I)인 펜타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잔기는 말단아미노기에 있는 잔기부터 연속적으로 번호를 붙인다. 1번부터 5번위치까지의 아미노산의 입체 이성체의 구조(D 또는 L)는 L, D, L, L 및 L이다.
더욱이 3번위치의 잔기는 글라이신 부위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물론 이런 경우에는 이 잔기에 대해서는 D, L의 입체이성체 구조는 없다. 단지 3번 위치의 아미노산 잔기가 D, L구조를 갖을 수 있는 것으로 정의될 때는 반드시 그 구조는 L이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R8그룹은 "C1-C3알킬" 그룹을 포함한다. "C1-C3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과 이소프로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R1, R2, R3, R6와 R7은 "C1-C3일급 알킬"그룹을 포함한다. "C1-C3일급 알킬"은 메틸, 에틸과 n-프로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R4와 R5그룹은 "C1-C4일급 또는 이급알킬"그룹을 포함한다. "C1-C4일급 또는 이급 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 부틸과 2급-부틸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R9그룹은 "C1-C4알킬"과 "아르알킬"그룹을 포함한다. "C1-C4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2급-부틸과 3급-부틸이 있다. R9이 C1-C4알킬일 경우 에틸이 바람직하다. "아르알킬"이란 치환안된 또는 치환 아르알킬을 의미하며 탄소수 7내지 10인 아르알킬 그룹이 바람직하다. 아르알킬 그룹은 벤질 또는 치환된 벤질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치환제로는 불소, 염소 또는 브롬과 같은 할로겐; 메톡시; 에톡시 또는 프로폭시와 같은 C1-C3알콕시; 트리플루오로메틸; C1-C3알킬; 또는 메틸티오 또는 에틸티오와 같은 C1-C3알킬티오가 있다. 한개가 이미 있을경우의 치환체는 파라위치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치환체는 메톡시이며 가장 바람직한 아르알킬 그룹은 P-메톡시-벤질이다.
일반식(I)인 펜타아마이드의 각 번호의 잔기에 관해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가) 1번위치
이 부위는 펩타이드의 아미노-말단부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잔기는 L-타이로신 또는 L-(0-아세틸)타이로신으로부터 온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잔기는 R1과 R2가 모두 수소인 N-비치환체 일 수 있다. R1이 알릴일 경우에는 이것은 알릴 그룹으로 치환할 수 있다. 더욱이 잔기는 R1및/또는 R2가 C1-C3일급알킬일 경우 한개 또는 두개의 C1-C3일급 알킬로 치환할 수 있다. C1-C3일급 알킬 치환체의 구체적 예로는 N-메틸, N-에틸, N-n-프로필, N,N-디메틸, N,N-디에틸, N,N-디-n-프로필, N-메틸-N-에틸, N-메틸-N-n-프로필과 N-에틸-N-n-프로필이 있다. 일반식(I)인 1번위치에 펩타이드가 타이로실 또는 0-아세틸타이로실 잔기는 N-비치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잔기는 타이로실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 2번 위치
일반식(I)인 펩타이드의 2번째 위치에 있는 아미노 산 잔기는 D-입체 이성체이어야만 하며 여러가지 아미노산 잔기일 수 있다. 이 잔기에는 D-알라닌(Ala)(R4가 메틸임), D-
Figure kpo00003
-아미노 부틸산(Abu)(R4가 에틸임), D-노르발린(NVa)(R4가 n-프로필임), D-발린(Val)(R4가 이소프로필임), D-노르루이신(Nle)(R4가 n-부틸임), D-루이신(Leu)(R4가 이소부틸임)과 D-이소루이신(Ile)(R4가 2급-부틸임)로 부터 유도된 잔기가 있다. D-알라닌으로부터 유도된 잔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미노산 잔기중에서 원래 아미노산의 아미노 그룹인 질소에 있는 R3그룹은 수소 또는 C1-C3일급 알킬이다. 후자의 경우 아미노산 잔기는 N-치환된 잔기이다. 이러한 N-치환 아미노산 잔기에는 N-메틸, N-에틸과 N-n-프로필이있다. 2번위치의 아미노산은 N-비치환인것 즉 R3가 수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 3번 위치
이 위치에 있는 아미노산 잔기는 글라이신(Gly) 또는 모든 L-아미노산으로 부터 유도된 것이다. 아미노산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L-알라닌, L-(
Figure kpo00004
-아미노)부틸산, L-노르발린, L-발린, L-노르루이신, L-루이신과 L-이소루이신이 있다. 펩타이드이 위치에 있는 잔기는 글라이신으로 부터 유도된 것이 바람직하다.
(라) 4번 위치
이 위치에 있는 아미노산 잔기는 L-페닐알라닌(Phe)으로부터 유도된 것이다. 이 잔기는 아미노 그룹의 질소에 치환되지 않은 또는 치환된(R6)것 일 수 있다. 잔기가 N-치환인 경우에는 N-메틸, N-에틸 또는 N-n-프로필이다. 잔사는 N-비치환(R6가 수소임)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 5번 위치
펜타펩타이드의 5번위치에 있는 아미노산 잔기는 L-메티오닌(Met)(W가-CH2-SCH3임), L-노르투이신(Nle)(W가-CH2CH2CH3임), L-(0-메틸)호모세린([Hse(Me)](W가-CH2OCH3임), L-(0-알킬 또는 아르알킬)세린[Ser(Alk) 또는 Ser(Aralk)](W가 OR9임) 또는 L-(S-알킬 또는 아르알킬)시스테인[Cys(Alk) 또는 Cys(Aralk)](W가 SR9임)의 아마이드의 잔기이다. 5번위치의 아미노산 잔기는 L-메티오닌의 아마이드 잔기가 바람직하다. 5번위치에 잔기는 0-치환세린 또는 S-치환 시스테인 인 경우에는 치환체가 C1-C4알킬, 즉 에틸, 아르알킬인 경우에는 P-메톡시벤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말단 아미노산의 잔기는 아미노그룹의 질소에 치환안된 또는 치환된 것이다. 말단 아미노산 잔기가 L-메티오닌인 경우에는 아미노그룹의 질소위치가 치환된다. 치환체가 있는 경우에는 치환체는 C1-C3일급 알킬 그룹이다. 이 치환체로는 N-메틸, N,-에틸과 N-n-프로필이 있다. 아미노 그룹의 질소원자는, 즉 R7이 C1-C3일급 알칼로 치환된 것이 바람직하다. C1-C3일급 알킬그룹이 메틸인 경우가 더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펜타펩타이드의 5번위치에 있는 아미노산이 말단 카복실 아미노이기 때문에 아마이드로써 존재한다. 아마이드는 N-비치환, 즉 R8이 수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아마이드는 N-모노치환체일 수 있으며 치환체에는 C1-C3알킬그룹이 있다. 이 경우에 말단 아마이드 그룹은 N-메틸, N-에틸, N-n-프로필 또는 N-이소프로필과 같은 치환체를 갖는다.
일반식(I)화합물은 펩타이드 합성에 적용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일반식(I)화합물을 합성하는 동안에 일부 라세메이트가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일어나는 어느 정도의 라세미화는 일반식(I)화합물의 진통효과를 심각하게 변화시킬 정도는 되지 않는다.
일반식(I)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한쪽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의 카복실기와 다른 한쪽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의 아미노기를 반응시켜 아마이드 상태로 연결시키는 커플링 반응이다. 효과적으로 커플링 반응을 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반응에 참여치 않은 모든 반응기를 적당한 보호 그룹을 사용하여 불활성화시키고, 둘째 커플링될 카복실기를 커플링이 진행되게 적당히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하는 펩타이드 생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반응 순서와 반응조건을 조심스럽게 선택해야 하며 특정 보호제를 사용해야 함은 상기 반응에 수행되어야 할 일들이다. 일반식(I)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하며 특별히 선택된 보호 그룹 및/또는 활성기를 갖는 각 아미노산은 펩타이드 계통에서 잘 이해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적당히 차단제를 선택, 짝을 맞추어 일반식(I)의 화합물의 총 합성공정의 각 단계에 사용한다. 가장 반응이 잘 되도록 차단제는 특정하게 짝을 맞추어야 한다. 비록 그밖의 상태로 짝을 맞추어도 일반식(I)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있어서는 만족스럽게 작용하지만 성공율이 훨씬 낮다. 예를 들면 일반식(I)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있어서의 아미노 보호그룹으로는 벤질옥시카보닐(CBz), t-부틸옥시카보닐(BOC), t-아밀옥시카보닐(AOC), p-메톡시벤질옥시카보닐(MBOC), 아다만틸옥시카보닐(AdOC)과 이소보닐옥시카보닐이 여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벤질(Bzl)은 일반적으로 비록 p-니트로벤질(PNB)와 p-,메톡시벤질(PMB)를 잘 사용할 수 있다 할지라도 타이로실 잔기를 위한 하이드록시-보호그룹으로 사용한다.
일반식(I)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카복실 보호그룹은 전형적인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그룹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벤질, p-니트로벤질, p-메톡시벤질과 2,2,2-트리클로로에틸이 있다.
일반식(I)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적합하게 보호된 N-보호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와 적합하게 보호된 카복시-보호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와의 커플링 반응은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의 유리 카복 실기의 커플링 반응에 대한 활성에 달려 있다. 이 반응은 잘 이해되어지고 있는 방법에 의해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활성화 방법에는 카복실기를 혼합된 무수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있다. 유리 카복실산의 유도체와 반응시켜 활성화시킨다. 혼합 무수물은 생성하는 상용하는 산 클로라이드의 예에는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2급-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와 피발로일 클로라이드가 있다.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링 반응을 진행시키기 위해 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또 다른 방법은 이의 활성에스테르 유도체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에스테르에는 예를 들면 2,4,5-트리클로로페닐에스테르, 펜타클르로페닐에스테르와 p-니트로페닐 에스테르와 같은 활성 에스테르가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커플링 방법은 잘 알려진 아자이드 커플링 반응이 있다.
일반식(I)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커플링 방법은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를 사용하여 유리 카복실기를 활성화 시켜 커플링반응을 진행시키게 한 것이다. 이 활성화 및 커플링 방법은 아미모 산또 는펩타이드에 대해 당량의 DCC를 사용하여 당량의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HBT)존재하에서 진행시킨다. HBT를 존재시키면 타세미화 가능성을 포함한 그밖의 원치 않는 부반응이 억제된다.
일반식(I)인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하는 합성 순서중의 특정 지점에서 선택된 보호그룹을 분해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펩타이드 합성에 통상의 지식을 갖인 화학자는 쉽게 대표적인 보호그룹으로부터 생성물의 선택적 분해가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에 있는 보호그룹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 그러나 보호그룹 전부보다는 작은 갯수의 보호그룹을 제거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펩타이드 계통의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이다. 선택적 분해를 위해 사용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다음 참조에 더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참조 : Schroder and Lubke, The Peptides Vol,. I Academic press, New York,(1965), 특히 72 내지 75페이지의 표 참조]카복실 보호그룹의 분해반응은 알카리 검화 반응에 의해 일으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 칼륨과 수산화리튬과 같은 알카리금속의 수산화물을 사용하는 비교적 강한 알카리 조건은 일반적으로 보호된 카복실의 탈 에스텔화에 이용된다. 검화 반응을 할 수 있는 반응 조건은 이 분야의 사람에게는 잘 이해되어진다. 역시 카복실 보호그룹은 예를 들어 팔라듐/목탄과 같은 촉매존재하에서 수첨분해시키는 것 같이 촉매적으로 수첨 분해시켜 제거할 수도 있다. 더욱이 카복실 보호크룹이 p-니트로벤질 또는 2,2,2-트리클로로 에틸일 경우에는 아연과 염산 존재하에서 환원시켜 보호그룹을 제거시킬 수 있다.
아미노 보호그룹은 98%포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p-톨루엔설폰산(TSA), 벤젠설폰산(BSA), 나프탈렌설폰산과 같은 아릴설폰산; 트리플루오로 메탄설폰산(순품(; 액체 불화수소; 메텔렌클로라이드중의 삼불화붕소와 같은 산으로 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를 처리하여 각각의 산 부가염 생성물을 생성시키며 분해한다. 역시 아미노 보호그룹의 분해 반응은 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를 브롬화 수소 또는 염화수소와 빙초산과의 혼액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브롬화수소 산 부가염 또는 염산 부가염을 생성시키며 분해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모든 보호그룹 제거제는 실질적으로 무수한 매질이다. 사용하는 특정 방법 또는 시약은 특정한 보호그룹 제거반응에 사용된 물질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특성에 달려있다. R7이 수소가 아니며 적어도 3개 아미노산 잔기가 함유된 펩타이드의 보호그룹을 제거시킬 경우에는 펩타이드를 3불화아세트산 또는 포롬산으로 상응하는 산부가염을 생성시키며 보로그룹을 제거한다. 염은 DEAE 세파덱스 A 25와 암버리스트 27과 같은 적합한 이온 교환수지로 처리하여 약학적으로 무독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아미노 보호그룹을 제거시키는 또 다른 경우에는 다음 일반식(I)인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무수 산 매질과 반응시킨다.
Figure kpo00005
상기 일반식에서 R10은 벤질옥시카보닐, t-부틸옥시카보닐, t-아밀옥시카보닐, p-메톡시벤질옥시카보닐, 아다만틸옥시카보닐 또는 이소보닐옥시카보닐이고 그밖의 다른 기호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다.
타이로실 잔기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 보호그룹은 제조서열 전체를 통해 펩타이드상에 잔류할 수 있으며 아미노 보호그롬의 분해와 함께 최종 합성단계에 제거된다.
그러나 카복실 보호그룹의 제거에 사용된 조건에 따라 더 앞단계의 제조 공정중에서 제거할 수 있다. 카복실 그룹을 알카리성 검화 반응을 시켜 분해시킬 때 하이드록시-보호그룹은 그대로 함유하나 촉매적으로 수첨분해로 카복실 보호그룹의 제거시에 사용될 때 하이드록시 보호그룹도 역시 분해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유리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 타이로실 잔기 존재하에서 일반식(I)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커다란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일반식(I)화합물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각각 제조된 N-말단 트리펩타이드를 각각 제조된 C-말단 디펩타이드 아미이드를 커플링시키고 모든 나머지 보호그룹을 적합하게 제거한다. 일반식(I)인 펜타펩타이드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반응순서를 도식하면 다음과 같다. 이 반응 순서에 AA라는 기호는 아미노산 잔기이고 번호는 최종 펩타이드 생성물의 아미노산의 연결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상기 도식은 단지 일반식(I)화합물을 제조하는 반응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그밖의 다른 반응순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카복스아마이드 말단 아미노산으로 시작되는 펩타이드체인을 연결시키는데 있어서 단일 아미노산을 단계적으로 연속적으로 부가시키는 방법이다.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고상 펩타이드 합성법이다. C-말단 잔사를 적합한 중합지지체에 붙이고 원하는 펩타이드가 될때까지 중합체가 한계의 잔기를 계속 연결한 펩타이드를 합성한다. 펩타이드는 적당한 보호 그룹 제거제로 중합체로 부터 제거한다. 예를 들어 t-부틸옥시카보닐로 N
Figure kpo00008
-질소위치가 보호된 C-말단 N-메틸 아미노산을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마이드 활성반응에 의해 벤즈하이드릴아민 중합체에 커플링시킬 수 있다.
N-t-부틸옥시카보닐그룹은 중합체에 부착된 잔기를 메틸렌클로라이드중에서 3불화 아세트산과 반응시켜 제거한다. 적당한 3급 염기에 의한 중합체 염의 중화와 2번째 잔기의 부가는 같은 방법으로 한다.
보호된 펩타이드는 0℃에서 액체 불화수소로 처리하여 중합체로부터 제거하고 크로마토 그레피에 의해 정제한다. 이 합성을 위한 특징조건은 고상펩타이드 합성분야에 대해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에게 알려진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반응법은 이것에서만 아니라 그밖의 다른 기대되는 반응공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I)화합물중에는 R1, R2, R3, R6와 R7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룹은 C1-C3일급 알킬인 것이 있다. 덧붙여서 R2가 수소이면 R1은 알릴이다. 이 경우에 적당한 N-치환 아미노산을 제공공정에 사용한다.
N-모노치환 아미노산은 출발물질로 N-보호아미노산을 사용하여 다음 반응식과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9
상기 반응도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첫째 아미노산을 적당한 크라운 에테르 존재하에서 수소화칼륨으로 처리하여 2가의 음이온을 생성시킨다. 그후에 중간체는 적합한 알킬 또는 알릴 요오드로 처리하여 원하는 N-치환 아미노산을 얻는다.
Figure kpo00010
-위치의 라세미화는 상기 알킬화 반응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강 알카리 조건하에서 일어날 수 있는 펩타이드 합성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는 분명한 것이다. 라세미화 정도는 포함한 투정 아미노산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라세미화는 과량의 알킬화제를 사용하고 가능한한 반응 시간을 짧게하여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라세미화가 과대하게 일어날 경우일지라도 생성물은 예를 들어 d(+)
Figure kpo00011
-페닐에틸아민의 염과 같은 적합한 광학 이성체를 갖는 아민의 염으로 라세미화시켜 정제할 수 있다.
R1과 R2와 같은 C1-C3일급 알킬일 경우 원하는 N, N-디치환 타이로신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12
상기에서 RxCHO는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또는 프로피온 알데히드이다.
R1과 R2가 서로 다른 C1-C3일급 알킬그룹인 경우 N,N-디치환 타이로신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N-모토 치환 타이로신을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포름알데히드 또는 아세트 알데히드로 처리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반식(I)인 펜타펩타이드의 C-말단 부위는 그의 유도체로 유도시킨다. 일반식(I)인 펜타펩타이드에서 아마이드는 비치환 또는 N-모노치환된 것이다. 아마이드로의 유도반응으로 아미노산의 카복실산그룹을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BT)존재하에서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아미드(DCC)로 활성화시켜 HBT에스테르가 수득된다.
일반식(I)인 펜타펩타이드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그 후에 에스테르를 무수 암모니아 또는 적합한 일급아민과 반응시켜 비치환 또는 N-모노치환 아마이드를 얻는다. 일반식(I)인 펜타펩타이드를 제조하기 위한 적합한 일급아민은 메틸아민, 에틸아민과 n-프로필아민이 있다.
Y가 아세틸인 일반식(I)화합물은 Y가 수소인 말단 아미노그룹이 적합하게 차단된 상응하는 펩타이드로부터 제조된다. 이 후자의 화합물을 피리딘 존재하에서 무수 아세트산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N-보호 0-아세틸 펩타이드를 제조한다. 염산과 아세트산의 혼액으로 보호그룹을 제거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다음의 약어는 대부분이 공지되어 있고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명칭이다.
Figure kpo00013
일반식(I) 화합물의 전형적인 예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일반식(I) 화합물은 유효한 약물이다. 이는 진통작용을 가지며 특히 인체를 포함한 포유동물에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때 유효하다.
일반식(I)화합물은 이렇게 투여하거나 이를 혼합하여 비경구용 단위 제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혼합 또는 제제화 과정에서는 약학적으로 무독한 담체인 유기 또는 무기 고체물질 및 또는 액체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담체는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면 잘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식(I)화합물을 유효량 투여하면 진통효과가 나타난다. 용량은 환자 체중 1kg당 0.1mg 내지 100mg이다. 바람직한 용량은 1.0 내지 20mg/kg이다.
다음 실시예는 일반식(I)화합물의 제조 및 작용에 관한 것을 상술한 것이다. 이들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실-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 하이드로플로라이드의 제조.
A. 벤질 D-알리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25g(0.281몰)의 D-알라닌을 55.1g(0.29몰)을 p-톨루렌설폰 산 모노하이드 레이트를 함유한 100ml의 벤질 알콜과 200ml의 벤젠 혼액에 가해준다. 혼액을 가열, 환류시키고 물을 딘-스 타크 장치로 공비적으로 제가한다. 혼액을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테르로 희석한다. 생성된 침전을 모으고 에탄올-에테르로 재결정하여 상기 제목화합물 55.3g(56%)을 얻는다. 융점 : 112 내지 115℃
원소분석 : C17H21SNO5S(351.42)
계 산 치 : C 58.10; H 6.02; N 3.99
실 측 치 : C 58.19; H 6.06; N 3.82
B. 벤질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타이로실-D-알리네이트 200ml의 무수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35.1g(90.1몰)의 A부의 생성물을 가해준다.
생성된 혼액을 교반하고 0℃로 냉각시키고 11.2g(0.1몰)의 디아자바이사이클로옥탄(DABCD)를 가해준다. 혼액을 0℃에서 10분간 교반하고 37.1g(0.1몰)의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타이로신을 가하고 이어서 13.5g(0.1몰)의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BT)와 20.6g(0.1몰)의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를 가해준다. 생성된 혼액을 0℃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해 준다. 그후에 혼액을 0℃로 냉각하고 생생된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그후에 생성된 잔사를 다시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1N 중탄산 나트륨, 물, 0.75N 냉시트르산, 물 순으로 세척해 준다. 그후에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여과하고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그후에 얻어진 잔사를 뜨거운 에탄올에 용해시킨다. 냉각하여 결정화시킨다.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순수한 상기 제목의 화합물 41.5g(80%)을 얻는다. 융점 : 121 내지 123℃
원소분석 : C30H36N2O6(520.63)
계 산 치 : C 69.21; H 6.97; N 5.38
실 측 치 : C 69.21; H 6.97; N 5.17
C.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타이로실-D-알라닌
31.2g(0.06몰)의 B부의 생성물을 200ml의 테트라 하이드로푸란(THF)와 20ml의 물의 혼액에 가해준다. 얻어진 용액을 0℃로 냉각하고 13.2g(1.1당량)의 5N 수산화 나트륨을 서서히 가해준다. 얻어진 혼액을 교반하고 방치하여 서서히 실온으로 가온시킨다. 5시간 후 혼액을 물과 에테르에 분배시킨다. 수층을 분리하고 냉가갛고 시트르산을 가해 pH를 2로 맞춘다. 혼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건조한 후 에테르로 희석한다. 얻어진 침적을 모아 17.7g(67%)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 160 내지 162℃
원소분석 : C24H30N2O6(442.51)
계 산 치 : C 65.14; H 6.83; N 6.63
실 측 치 : C 67.73; H 6.70; N 6.20
D. 벤질 N
Figure kpo00018
-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타이로실-D-알라닌-글라이시네이트
70ml의 무수 DMF에 6.74g(0.02몰)의 벤질 글라이시네이트의 p-톨루엔설폰산염을 가해준다. 얻어진 혼액을 0℃로 냉각하고 2.24g(0.020몰)의 DABCO를 가해준다. 혼액을 수분간 교반하고 8.84g(0.020몰)의 C부의 생성물을 가하고 이어서 2.7g(0.020몰)의 HBT와 4.12g(0.020몰)의 DCC를 가해준다. 반응혼액을 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 후 24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해 준다. 얻어진 현탁액을 0℃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1N 중탄산 나트륨, 물, 냉 0.75N 시트르산, 물순으로 세척해 준다. 유기층을 황산 나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에탄올로 결정화시켜 10.8g(92%)의 순수한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 145 내지 147℃
원소분석 : C33H29N3O7(589.692)
계 산 치 : C 67.22; H 6.67; N 7.13
실 측 치 : C 67.32; H 6.8.; N 6.91
E. Nα-t-부틸옥시카보닐-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신
60ml의 DMF에 D부 생성물 10.5g(0.018몰)을 가하고 이어서 DMF 슬러리 상태로 2.5g의 5% pd/목탄을 가해준다. 이 혼액을 질소 가스를 통해주고 수로를 가스분산관을 통해 실온, 상압하에서 도입시킨다.
3.5시간후 수소주입을 끝내고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시킨다.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이 잔사를 에테르로 처리하여 5.4g(75%)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무정형 고체 물질로 얻는다.
원소분석 : C26H26N2O5(446.65)
계 산 치 : C 69.94; H 5.87; N 6.27
실 측 치 : C 70.08; H 5.82; N 6.16
F. Nα-t-부틸옥시카보닐-Nα-벤질-L-메티오닐 아마이드
17.2g(0.04몰)의 Nα-t-부틸옥시카보닐-L-메티오닌의 디사이클로헥실아민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냉 0.75N 시트르산에 분배시킨다. 얻어진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한통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진공상태에서 기름상 잔류물질로 농축한다. 잔사를 80ml의 무수 DMF와 10ml의 DMF 혼액에 용해시키고 0.5g의 18-크라운-6- 에테르를 가해준다. 수산화 칼륨 현탁액(0.12몰)을 교반하고 상기 얻어진 냉각시킨 혼액에 30분에 걸쳐 적가해준다. 2.49ml(0.04몰)의 메틸 요다이드를 가하고 혼액을 24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해 준다. 그후에 반응혼액을 냉각하고 0.75N 시트르산으로 pH를 3으로 산성화시킨 후 물과 에테르에 분배시킨다. 에테르층을 물로 여러번 세척하고 그 후에 1N 중탄산 나트륨으로 수층추출물을 합하고 pH를 2로 산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진공상태에서 증발시켜 NMR 스펙트럼 결과 원하는 N-메틸화 생성물과 일치하는 생성물 8.4g을 얻는다.
[δ2.92 N-CH3; δ2.11 S-CH3; δ 1.6 C(CH3)3]
그 후에 8.4g(약 0.034몰)의 기름상물질을 60ml의 DMF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0℃로 냉각하고 4.69g(0.035몰)의 HBT와 7.0g(0.034몰)의 DCC를 가해준다. 혼액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무수 암모니아가스를 가스분산관을 통해 혼액에 45분간 도입시킨다. 그 후에 반응 혼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얻어진 잔사를 3×50cm 실리카겔(60 내지 200매쉬) 컬럼에 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하고 이어서 클로로포름/메탄올(9.75/0.25) 혼액으로 용출한다. 컬럼으로 부터 얻은 획분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분석하고 이어서 이 TLC에 준해서 획분을 합하고 에테르와 석유 에테르의 혼액으로 2회 재결정하여 4.1g(39%)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 75 내지 78℃
NMR : δ2.80 N-CH3; δ2.10 S-CH3; δ 1.48 C(CH3)3
[
Figure kpo00019
]-29.5(C=0.5, 클로로포름중에서)
원소분석 : C11H22N2SO3(262.37)
계 산 치 : C 58.36; H 8.45; N 10.68
실 측 치 : C 50.59; H 8.24; N 10.87
G. Nα-t-부틸옥시카보닐-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
20ml의 빙초산, 2ml의 아니솔, 2ml의 트리에틸실린과 3.8g(0.0144몰)의 F부의 생성물의 혼액을 제조한다. 무수 염화 수소다스를 30분간 걸쳐 이 혼액에 도입시킨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고 건조한후(2.9g) 40ml의 DMF에 다시 용해시킨다. 혼액을 0℃로 냉각하고 2.9ml(0.0146몰)의 디사이클로헥실아민을 다하고 이어서 1.97g(0.0146몰)의 HBT, 3.97g(0.0146몰)의 Nα-t-부틸옥시카보닐-L-페닐-알라닌과 3.0g(0.0146몰)의 DCC를 가해준다. 얻어진 혼액을 2시간동안 0℃로 냉각하고 여과해 준다. 얻어진 여액을 그 후에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잔사를 다시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N 중탄산 나트륨, 물, 0.75N 시트르산, 물 순으로 세척해 준다.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그후에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진공상태에서 증발시켜 석유 에테르로 결정화 되지 않는 기름상 물질을 얻는다. 그후에 잔사를 3×50cm 실리카겔(60 내지 200매쉬) 칼럼에 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시키고 이어서 클로로포름/메탄올(9.8/0.2)의 혼액으로 용출시킨다. 컬럼으로부터 얻은 혼액을 TLC 분석하고 이 TLC에 준해서 획분을 합하고 크로마토그래피용 용매를 증발시킨 후 잔사를 에테르/석유에테르로 결정화하여 3.1g(52.5%)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 99°내지 103℃
원소분석 : C20H31N3O4S(409.55)
계 산 치 : C 58.65; H 7.63; N 10.26
실 측 치 : C 58.74; H 7.47; N 10.45
H. Nα-t-부틸옥시카보닐-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실-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
20ml의 빙초산, 3ml의 아니솔과 3ml의 트리에틸 실란의 혼액에 G부로부터 얻은 2.2g(5.37밀리몰)의 생성물을 가해준다. 무수 염화수소가스를 30분간 이 혼액에 도입시킨다. 에테르를 혼액에 가하고 고체물질을 침전시키고 여과한 후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킨다. 1.75g(5밀리몰)의 고체물질을 30ml의 무수 DMF에 용해시키고 혼액을 0℃로 냉각한다. 그후에 염산염에 0.99ml(5밀리몰)의 디사이클로헥실아민을 가하여 중화시킨다. 5분 후에 E부로부터 얻은 2.05g(5밀리몰)의 생성물을 가하고 이어서 0.68g(5밀리몰)의 HBT와 1.03g(5밀리몰)의 DCC를 가해준다. 그후에 혼액을 4℃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해 준다. 생성된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증발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다시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1N 중탄산 나트륨 수용액, 냉 0.75N 시트르산, 물 순으로 세척해 준다. 그후에 용액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3×50cm의 실리카겔(60 내지 200매쉬)의 컬럼에 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하고 이어서 클로로포름/메탄올(9/1)으로 용출한다. 컬럼으로부터 얻은 획분을 TLC 분석하고 이 TLC에 준하여 획분을 합하여 각각 0.08g과 1.2g인 두 배취의 조생성물을 얻는다. 첫번째 배취는 실리카겔로 조제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9/1)로 더 정제하여 0.63g의 무정형 고체물질인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원소분석 : C34H48N6O8S(700.86)
계 산 치 : C 58.28; H 6.90; N 11.99
실 측 치 : C 58.48; H 6.64; N 11.97
아미노산 분석 :
실측치 : Tyr 0.99; Ala 1.00; Gly 1.00; Phe 1.00
두번째 배취 물질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2회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틀림없는 원소 및 아미노산 분석치를 갖는 0.74g의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다.
I. 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실-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 하이드로글로라이드
0.2ml의 아니솔에 포함된 5ml의 빙초산에 0.72g(1.03밀리몰)의 H부로부터 얻은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가한다. 무수 염화수소를 그후에 20분간 이 혼액에 도입시킨다. 혼액을 동결 건조시켜 0.74g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생성물의 분석용 시료를100℃,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킨다.
원소분석 : C29H41N6O6SCI(637.20)
계 산 치 : C 54.66; H 6.49; N 13.19
실 측 치 : C 54.36; H 6.19; N 13.00
아미노산 분석 :
실측치 : Tyr 1.01; Ala 0.99; Gly 1.00; Phe 1.00
[실시예 2]
L-타이로실-D-루이실-글라이실-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세스퀴하이드로클로라이드 모노 아세테이트의 제조
A. 벤질 D-루이시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이 화합물은 D-알리네이트 화합물을 제조키 위한 실시예 1의 A부에 기술된 방법에 상응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수율 : 73% 융점 : 155° 내지 156℃
원소분석 : C20H27NO5S(393.50)
계 산 치 : C 61.05; H 6.92; N 3.56
실 측 치 : C 61.17; H 6.68; N 3.81
B.벤질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타이로실-D-루이시네이트
50ml의 DMF에 A부로부터 얻은 7.86g(0.020몰)의 생성물을 가한다. 혼액을 0℃로 냉각시키고 2.24g(0.020몰)의 DABCO를 가해준다. 혼액을 5분간 교반하고 7.42g(0.020몰)의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타이로신을 가하고 이어서 0.7g(0.020몰)의 HBT와 4.12g(0.02몰)의 DCC를 가해준다. 얻어진 혼액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해 주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해 준다. 혼액을 그후에 0℃로 냉각하고 얻어진 현탄액을 여과해 준다.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그후에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1N 중탄산 나트륨 용액, 물, 냉 0.75N 시트르산, 물 순으로 세척해 준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얻어진 잔사를 뜨거운 에탄올로 결정화하여 9.0g(78%)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 100° 내지 103℃
원소분석 : C34H42N2O6(574.72)
계 산 치 : C 71.06; H 7.37; N 4.87
실 측 치 : C 71.30; H 7.15; N 4.79
C.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타이로실-D-루이신
80ml의 THF에 8.0g(0.0139몰)의 B부로부터 얻은 생성물을 가해준다. 20ml의 물을 가한 후 혼액을 0℃로 냉각하고 7.25ml(0.0145몰)의 2N 수산화 나트륨을 가해준다. 부가를 마친 후 혼액을 0℃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반응혼액을 그후에 물과 에테르에 분배시킨다. 수층을 분리하고 0℃로 냉각하고 냉 1N 염산으로pH2 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 테이트로 추출한다. 그후에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진공상태에서 농축시켜 시립상 잔류물을 얻는다. 잔사를 에테르-석유 에테르로 결정화시켜 6.4g(95%)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 90° 내지 94℃
원소분석 : C27H36N2O6(484.59)
계 산 치 : C 66.92; H 7.49; N 5.78
실 측 치 : C 67.14; H 7.38; N 5.76
D. 벤질N
Figure kpo00020
-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타이로실-D-루이실-글라이시네이트
25ml의 무수 DMF 중의 3.37g(0.010몰)의 벤질 글라이시네이트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염과 1.12g(0.010몰)의 DABCO의 혼액을 제조한다. 혼액에 4.84g(0.010몰)의 C부로부터 얻은 화합물을 가해준다. 그후에 혼액을 0℃로 냉각하고 1.35g(0.010몰)의 HBT와 2.06g(0.010몰)의 DCC를 가해준다. 얻어진 혼액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해 준다. 혼액을 0℃로 냉각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1N 중탄산 나트륨, 물, 냉 0.75N 시트르산, 물순으로 세척해 준다. 그후에 용액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여과하고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에탄올/물ㄹ로 결정화시켜 4.0g(63%)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 114° 내지 116℃
원소분석 : C36H45N3O7(631.77)
계 산 치 : C 68.44; H 7.18; N 6.65
실 측 치 : C 68.17; H 7.12; N 6.40
E. Nα-t-부틸옥시카보닐-L-타이로실-D-루이실-글라이신
5ml의 무수 DMF에 3.9g(0.006몰)의 D부로부터 얻은 화합물을 가하고 이어서 1.5g의 5% pd/c를 가한다. 그후에 혼액을 40ml의 에탄올을 가하고 혼액을 질소로 충진하고 수소를 5시간 동안 도입시키고 혼액을 실온, 상압하에 방치해 둔다. 그후에 촉매를 혼액으로부터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증발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로 결정화하여 2.3g(85%)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 189° 내지 190℃
원소분석 : C22H33N3O7(451.52)
계 산 치 : C 58.52; H 7.37; N 9.31
실 측 치 : C 58.79; H 7.48; N 9.39
F. Nα-t-부틸옥시카보닐-L-타이로실-D-루이실-글라이실-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
10ml의 무수 DMF에 0.692g(0.002몰)의 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의 염산(실시예 1의 H부로부터 제조함)과 0.903g(0.002몰)의 E부로부터의 생성물을 가해준다. 이 혼액을 0℃로 냉각하고 0.28g(0.002몰)의 트리에틸아민을 가하고 10분 후에 0.27g(0.002몰)의 HBT와 0.412g(0.002몰)의 DCC를 가해준다. 그후에 혼액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해 주고 4℃에서 그후에 24시간동안 교반해준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키고 이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다.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연속적으로 1N 중탄산 나트륨용액, 물, 냉 0.75N 사트르산, 물순으로 세척해 준다. 그후에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잔사를 2개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판에 가하고 이 판을 클로로포름/메탄올(9.25/0.75) 혼액으로 용출시킨다. 중요한 U.V. 양성 밴드를 각 판에서 절단해 내어 생성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실리카겔로부터 용출해낸다. 용매를 진공상태에서 제거시켜 무정형 고체물질인 1.2g(81%)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
Figure kpo00021
]D 25-31.5(C=0.5, 메탄올 중에서)
원소분석 : C37H54N6O8S(742.93)
계 산 치 : C 59.82; H 7.33; N 11.31
실 측 치 : C 59.88; H 7.06; N 11.15
아미노산 분석 :
설측치 : Tyr 1.01; Leu 1.00; Gly 1.00; Phe 0.99
G. L-타이로실-D-루이실-글라이실-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세스퀴하이드로클로라이드 모노아세테이트
0.3ml의 아니솔을 함유한 5ml의 빙초산에 0.900g(0.0021몰)의 F부의 생성물을 가한다. 무수 염화 수소를 20분간 후액에 도입시킨다. 그후에 용매를 아세트산 수용액으로부터 동결 건조시켜 제거하여 무정형고체물질인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
Figure kpo00022
]D 25-21.1(C=0.3, 메탄올 중에서)
원소분석 : C32H47N6O6S.1.5HCI.C2H4O2(757.04)
계 산 치 : C 53.93; H 6.79; N 11.00; Cl 7.02
실 측 치 : C 54.30; H 6.64; N 11.32; Cl 6.96
아미노산 분석 :
설측치 : Tyr 0.99; Leu 1.03; Gly 0.99; Phe 0.99
[실시예 4]
L-타이로실-D-알라닐-L-알라닐-L-페닐알라닐-N
Figure kpo00023
-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1.25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모노아세테이트의 제조
A. 벤질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타이로실-D-알라닐-L-알리네이트
30ml의 무수 DMF에 용해시킨 3.19g(0.010몰)의 벤질 알리네이트의 P-톨루엔설포네이트 염의 용액에 실시예 1의 B부로부터 얻은 4.43g(0.010몰)의 생성물을 가해준다. 이 혼액을 0℃로 냉각하고 1.12g(0.010몰)의 DABCO를 가해주고 10분 후에 1.135g(0.010몰)의 HBT와 2.06g(0.010몰)의 DCC를 가해준다.
이 혼액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해 준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시럽상 물질로 증발시킨다. 시럽상 물질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다시 용해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용액을 연속적으로 1N 중탄산나트룸, 물, 냉 0.75N 염산, 물 순으로 세척해 준다.
유기층을 그 후에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켜 에탄올 또는 에테르로부터 결정화되지 않는 잔사를 얻는다.
불순한 무정형 고체물질(4.0g)을 3×50cm의 실리닐겔(60 내지 200매쉬)컬럼에 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용출시키고 이어서 클로로포름/메탄올(9.75/0.25)로 용출시킨다. 컬럼으로부터 얻은 획분을 TLC로 분석하고 TLC에 준하여 획분을 합하고 용매를 진공상태에서 증발시켜 시럽상 잔사를 얻는다. 이 물질을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석유 에테르로 침전시켜 3.0g(50%)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무정형 고체물질로 얻는다. 융점 : 100 내지 104℃
원소분석 : C34H41N3O7(603.72)
계 산 치 : C 67.64; H 6.85; N 6.96
실 측 치 : C 67.56; H 6.60; N 7.16
B. Nα-t-부틸옥시카보닐-L-타이로실-D-알라닐-L-알라닌.
5ml의 무수 DMF에 A부로부터 얻은 2.9g(0.0048몰)의 생성물을 가해준다. 혼액에 1.0g의 5% Pd/c를 가하고 이어서 50ml의 에탄올을 가해준다. 수소가스를 상압, 실온에서 6시간동안 가스분산관을 통해 도입시킨다. 그 후에 반응용기를 질소가스로 채우고 촉매를 여과하여 모으고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전사를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에테르로 희석시킨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여 모으고 진공 상태에서 건조시켜 무정형 고체물질로 1.5g(74%)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
Figure kpo00024
]D 2525.9°(C=5, 클로로포름)
원소분석 : C20H29N3O7(423.47)
계 산 치 : C 56.73; H 6.90; N 9.92
실 측 치 : C 56.80; H 6.95; N 9.81
C. Nα-t-부틸옥시카보닐-L-타이로실-D-알라닐-L-알라닐-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틸티오닐아마이드.
10ml의 무수 DMF에 0.692g(0.002몰)의 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틸티오닐아마이드(실시예 1의 H부로부터 제조된 것임)의 염산염을 가해준다. 혼액을 0℃로 냉각하고 0.28ml(0.002몰)의 트리에틸아민을 가해준다. 반응혼액을 10분 교반해 주고 B부로부터 얻은 0.846g(0.002몰)의 생성물을 가하고 0.270g(0.002몰)의 HBT와 0.412g(0.002몰)의 DCC를 가해준다. 이 혼액을 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해주고 실온에서 48시간동안 교반해 준다. 다시 혼액을 0℃로 냉각하고 혼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잔사를 다시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연속적으로 1N 중탄산 나트륨, 물, 냉 0.75N 시트르산, 물 순으로 세척해 준다. 그 후에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하여 1.6g의 조 생성물을 얻는다. 생성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2개의 조제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판에 가한다. 판을 클로로포름/메탄올(9 : 1)로 용출시킨다. 주요밴드를 각 판으로부터 절단해 낸다. 생성물을 클로로포름/메탄올로 추출하여 실리카겔로부터 회수한다.
용출물(1.3g)을 용해시키고 다시 한개의 후층 크로마토그래피 판에 가하고 다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1.0g(70%)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무정형 고체물질로서 얻는다.
[
Figure kpo00025
]D 2525.6°(C=0.5, 메탄올중에서)
원소분석 : C35H40N6O8S(714.88)
계 산 치 : C 58.80; H 7.05; N 11.76
실 측 치 : C 58.60; H 6.87; N 11.53
D. L-타이로실-D-알라닐-L-안라닐-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 :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모노아세테이트.
0.5ml의 아니솔을 함유한 5ml의 빙초산에 C부로부터 얻은 0.880g(0.0011몰)의 생성물을 가한다. 무수염화수소 가스를 20분간 가스분산관을 통해 도입시킨다. 그후 반응혼액을 얼리고 동결 건조시켜 0.704g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
Figure kpo00026
]D 25-16.2(C=0.5, 메탄올중에서)
원소분석 : C30H42N6O6S.1.25HCI.C2H4O2(719.14)
계 산 치 : C 53.43; H 6.45; N 11.68; Cl 6.16
실 측 치 : C 53.48; H 6.47; N 11.62; Cl 6.50
아미노산 분석 :
실측치 : Tyr 1.00; Ala 1.99; Phe 1.01
[실시예 5]
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실-L-페닐알라닐-L-Nα-메틸-S-에틸--시스테이닐아마이드 아세테이트의 제조.
A. Nα-t-부틸옥시카보닐-S-에틸-L-시스테인디사이클로 핵실아민염.
40ml의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50g(0.336몰)의 L-(S-에틸) 시스테인을 가해준다.
44.8ml(0.336몰)의 테트라메틸구 아니단과 66.8ml(0.336몰)의 디사이클로헥실아민을 반응혼액에 가해준다. 그후에 t-부틸아지도포르메이트(68ml; 0.50몰)를 반응혼액에 한 기간에 걸쳐 적가해 주고 혼액을 실온에서 48시간동안 교반해준다. 첨전된 디사이클로헥실암모늄 아자이드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증발시킨다. 잔사를 에테르와 물에 분배시킨다. 수층의 pH를 8로 맞춘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버린다. 그후에 수층을 희석시킨 냉염산으로 pH 2.0으로 산성화시키고 냉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그 후에 에틸아세테이트층을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66.8(0.336몰)의 디사이클로헥실아민을 가해준다. 생성된 침전을 모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32.8g(23%)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 156 내지 159℃
[
Figure kpo00027
]D 25-1.1°(C=1, 메탄올중에서)
[
Figure kpo00028
]D 25-7.7°(C=1, 메탄올중에서)
원소분석 : C22H42N2O4S(430.6)
계 산 치 : C 61.36; H 9.83; N 6.51
실 측 치 : C 61.37; H 9.98; N 6.62
B. Nα-t-부틸옥시카보닐-N-메틸-S-에틸-L-시스테이닐아마이드
50ml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에 18.58g(74.3밀리몰)의 Nα-부틸옥시카보닐-S-에틸-L-시스테인(A로부터 얻은 생성물을 중화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제조함) 이 혼액을 30분에 걸쳐 0.35g의 18-크라운-6-에테르를 함유한 375ml의 THF 중에서 기계적으로 교반시킨 42.45g의 수소화칼륨 현탁액(광유중의 22.1% 수소화칼륨; 0.234몰의 수소화칼륨)에 0℃에서 적가해 준다. 20ml의 THF중의 메틸 요다이드(9.25ml; 0.149몰)를 15 내지 20분에 걸쳐 적가해 준다. 혼액을 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해주고 7.5ml의 THF 중의 7.5ml의 아세트초산을 적가해주고 이어서 5ml의 에틴올을 가해준다. 이반응혼액을 그후에 얼음에 가해주고 혼액의 pH를 2N 수산화 나트륨을 가해 9로 맞춘다. 수층의 pH를 그후에 고체 시트르산을 가해 3으로 맞춘 300ml씩의 테르로 3호 재추출한다. 에테르 추출물을 합하고 물로 역추출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이 잔사를 200ml의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9.56ml(74.3밀리몰)의 d(+)-
Figure kpo00029
-메틸벤젠아민을 가해준다. 혼액을 냉각하고 500ml의 석유 에테르를 가하는데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용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키고 이를 석유 에테르에 다시 용해시킨다. 혼액을 -78℃로 냉각하고 생성된 소량의 침전을 여과하여 모은다(2.74g). 모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키고 잔사를 에테르에 다시 용해시킨다. 에테르 용액을 1N 시트르산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물로 역추출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진공상태에서 농축시켜 6.56g(33%)의 시럽상 물질을 얻는다.
Figure kpo00030
Figure kpo00031
생성물(6.5g, 0.025몰)을 80ml DMF에 용해시키고 혼액을 -15℃로 냉각시킨다.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3.6ml; 0.027몰)을 가하고 이어서 N-메틸몰핀(2.99ml; 0.027몰)을 가한다. 이 혼액을 10분간 -15℃에서 교반시키고 그 후에 무수 암모니아가스를 한시간 동안 반응혼액에 도입시킨다. 혼액을 더 4시간 동안 -15℃에서 교반해 준후 얼음과 1N 중탄산 나트륨의 혼액에 가해준다. 냉수층을 에테르로 추출한다. 그후 에테르층을 냉 0.75N 시트르산과 물로 추출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진공상태에서 농축시켜 잔사를 에테르와 석유 에테르의 혼액으로 결정화시켜서 1.7g(26%)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 56 내지 59℃
[
Figure kpo00032
]D 25-127.6°(C=0.5, 클로로포름); NMR(CDCl3)
Figure kpo00033
2.80 N-CH3;
Figure kpo00034
1.46 t-Bu;
Figure kpo00035
4.9-4.5
Figure kpo00036
-CH.
원소분석 : C11H21N2O3S(261.36)
계 산 치 : C 50.55; H 8.10; N 10.72
실 측 치 : C 50.56; H 7.93; N 10.51
C. Nα-t-부틸옥시카보닐-L-페닐알라닐-Nα-메틸-S-에틸-L-시스테이닐아마이드.
1ml의 트리에틸실란과 4ml의 아니솔을 포함한 20ml의 빙초산에 2.5g(9.5밀리몰)의 Nα-t-부틸옥시카보닐-Nα-메틸-S-에틸-L-시스테이닐아마이드를 가해준다. 무수 염화수소 가스를 30분간 혼액에 도입시키고 그후에 에테르를 가해 염산염(1.8g)을 침전시킨다. 침전을 25ml의 DMF에 용해시킨다. 혼액을 0℃로 냉각하고 1.31ml의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시킨다. Nα-t-부틸옥시카보닐-L-페닐알라닌(2.65g; 0.01몰)을 가하고 이어서 1.35g(0.01몰)의 HBT와 2.06g(0.01몰)의 DCC를 가한다. 이 혼액을 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해 준후 실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해 준다. 혼액을 0℃로 냉각하고 생성된 침전을 여과시킨다.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켜 잔사를 얻는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1N 중탄산 나트륨, 뭄, 0.75N 시트르산, 물 순으로 세척한다. 혼액을 그후에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용매를 진공상태에서 제거하여 시럽상 물질을 얻는다. 시럽상 물질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3×45cm의 62등급의 그레이스 앤드 대비드슨 실리카겔 컬럼에 가한다. 클로로포름/메탄올 경사액[CHCl3→CHCl3/MeOH(9 : 1)]으로 용출시키고 획분을 TLC를 하여 생성물을 함유한 획분을 찾아 이획분을 모으고 진공상태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3.0g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
Figure kpo00037
]D 25-77°(C=0.5, 메탄올중에서)
원소분석 : C20H31N2O4S(409.5)
계 산 치 : C 58.65; H 7.63; N 10.26
실 측 치 : C 58.87; H 7.41; N 9.81
D. Nα-t-부틸옥시카보닐-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신.디사이클로헥실아민 염.
벤질 Nα-t-부틸옥시카보닐-D-벤질-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시네이트를 수첨분해(실시예 1의 E부의 방법에 따라)하여 얻은 생성물을 150ml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용해시키고 16ml(0.081몰)의 디사이클로헥실아민을 가해준다. 에테르를 가해 1.5ℓ가 되게 한다. 반고체기를 고체가 될때까지 처리하고 생성된 침전을 모으고 건조시켜 46.04g(98%)의 생성물을 얻는다. 융점 : 194.5 내지 197℃, 고체물질을 100ml의 비등시킨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500ml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가해준다. 용액의 량을 질소 기류중에서 약 150ml로 감소시킨 다음 냉각시켜 결정화시킨다. 혼액을 밤새 방치하고 침전을 모으고 건조시켜 41.44g(88%)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 198 내지 200.5℃
[
Figure kpo00038
]D 25+17.9°(C=1, 메탄올중에서)
원소분석 : C31H50N4O7(590.8)
계 산 치 : C 63.03; H 8.53; N 9.48
실 측 치 : C 62.95; H 8.77; N 9.20
E. Nα-t-부틸옥시카보닐-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실-L-페닐알라닐-Nα-메틸-S-에틸-L-시스테이닐아마이드.
3ml의 아니솔과 3ml의 트리에틸실란을 함유한 20ml의 빙초산에 2.5g(6.1밀리몰)의 C부로부터 얻은 생성물을 가해 준다. 무수 염화 수소 가스를 25분간 반응혼액에 도입시킨다. 그후 에테르를 가하고 혼액을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1.9g(5.5밀리몰)의 염산염을 얻는다. 열을 25ml의 DMF에 용해시킨다. 혼액을 냉각하고 3.2g(5.5밀리몰)의 Nα-t-부틸옥시카보닐-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신.디사이클로헥실아민염을 가해준다. 이 혼액을 0℃에서 10분간 교반해 준다. HBT(0.74g; 5.5밀리몰)과 DCC(1.1g; 5.5밀리몰)을 가하고 반응혼액을 0℃에서 2시간 교반해주고 4℃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해준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증발시킨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1N 중탄산 나트륨, 물 0.75N 시트르산, 물순으로 세척해 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진공상태에서 증발시켜 3.5g의 상기 조목의 조생성물을 얻는다. 생성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3×45cm의 62등급의 그레이스 앤드 대비드슨 실리카겔 컬럼에 가하고 클로로포름/메탄올 경사액[CHCl3→CHCl3/MeOH(9 : 1)]으로 용출시킨다. TLC를 하여 확인한후 획분을 합하고 진공상태에서 증발시켜 2.4g(62%)의 순수한 상기 지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
Figure kpo00039
]D 25-30.7°(C=0.5, 메탄올중에서)
원소분석 : C34H48N6O8S(700.86)
계 산 치 : C 58.27; H 6.90; N 11.99
실 측 치 : C 58.14; H 6.98; N 11.94
아미노산 분석 :
설측치 : Tyr 1.01; Ala 1.00; Gly 1.00; Phe 0.98; NH31.09;
F. L-타이로실-D-알라실-글라이실-L-페닐 알라닐-L-Nα-메틸-S-에틸-시스테이닐 아마이드.아세테이트
2ml의 아니솔과 2ml의 트리에틸실란을 함유한 20ml의 빙초산에 2.2g(3밀리몰)의 E부로부터 얻은 생성물을 가한다. 무수 염화 수소가스를 25분간 반응혼액에 도입시킨다. 그후에 에테르를 혼액에 가하고 혼액을 냉각시킨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고 건조시킨다. (2.0g)
침전물의 일부(1.2g)를 충분한 완충액(물중의 1% 피리딘과 0.05% 아세트산)에 용해시켜 총 10ml가 되게한다. 용액을 먼저 같은 완충액으로 평형시킨 DEAE-세파덱스 A25(아세테이트)의 2.5×99cm 컬럼에 가한다. 용출물을 280nm에서 검지해 본다. 알맞은 획분을 합하고 동결 건조시킨다. 10% 아세트산으로 다시 동결 건조시키고 물/아세토니트릴(75/25)의 혼액으로 이어서 동결 건조시켜 0.59g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
Figure kpo00040
]D 25+9.9°(C=0.5, 염산중에서)
원소분석 : C31H44N6O8S(660.79)
계 산 치 : C 56.35; H 6.71; N 12.72; S 4.85
실 측 치 : C 56.63; H 6.72; N 12.63; S 4.69
아미노산 분석 :
설측치 : Tyr 1.00; Ala 1.01; Gly 1.00; Phe 0.98; NH31.01
[실시예 6]
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실-L-페닐알라닐-S-P-메톡시벤질-L-시스테이닐아마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A. Nα-t-부틸옥시카보닐-S-P-메톡시벤질-L-시스테이닐아마이드
15℃로 냉각시킨 80ml의 DMF에 6.82g(0.02몰)의 Nα-t-부틸옥시카보닐-S-P-메톡시-벤질-L-시스테인을 가해준다.
냉각시킨 이 혼액에 2.88ml(0.022몰)의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와 2.42ml(0.022몰)의 N-메틸몰핀을 가해준다. 10분 후에 무수 암모니아가스를 1.5시간 동안 반응 혼액에 도입시킨다. 그후에 -15℃에서 다시 2시간 더 계속시킨다. 반응혼액을 얼음과 1N 중탄산 나트륨의 혼액에 가해준다. 이 현탁수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물, 0.75N 시트르산, 물 순으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그후에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키고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이 잔사를 에탄올과 물의 혼액으로 재결정시켜 4.9g(72%)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 138 내지 140℃
[
Figure kpo00041
]D 25-12.8°(C=5, 메탄올중에서);
원소분석 : C26H24N2O4S(340.4)
계 산 치 : C 56.45; H 7.11; N 8.23
실 측 치 : C 56.58; H 6.97; N 8.07
B. Nα-t-부틸옥시카르보닐-L-페닐알라닐-S-P-메톡시벤질-L-시스테이닐아마이드
무수염화 수소가스를 A로부터 얻은 생성물 4.1g(0.012몰)을 45ml의 빙초산, 5ml의 아니솔과 5ml의 트리에틸실란에 용해시킨 용액에 도입시킨다. 20분 후에 에테르를 가하고 생성된 침전을 모으고 건조시킨다(3.3g). 모은 염산 염을 50ml의 DMF에 용해시키고 2.92g(0.012몰)의 디사이클로헥실아민, 3.19g(0.012몰)의 Nα-t-부틸옥시카보닐-L-페닐알라닌과 1.62g(0.012몰)의 HBT를 가해준다. 혼액을 10분간 0℃에서 교반해주고 2.47g(0.012몰)의 DCC를 가해준다. 0℃에서 2시간 후에 반응혼액을 24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0℃로 다시 냉각시킨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시킨다.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사를 n-부틸 알코올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1N 중탄산 나트륨과 물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키고 진공상태에서 증발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에탄올 재결정시켜 4.95g(85%)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
Figure kpo00042
]D 25-35.1(C=0.5, DMF중에서)
원소분석 : C25H33N3O5S(487.6)
계 산 치 : C 61.58; H 6.82; N 8.62
실 측 치 : C 61.58; H 6.78; N 8.28
C. Nα-t-부톡시카보닐-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실-L-페닐알라닐-S-P-메톡시벤질-L-시스테이닐아마이드
아미노산 분석
실 측 치 : Tyr 1.00; Ala 1.01; Gly 0.99; Phe 1.00; nh31.01;
E. 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실-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아세테이트
15ml의 티오 아니솔에 8.3g(0.012몰)이 D부로부터 얻은 생성물을 가해준다. 혼액을 0℃로 냉각하고 50ml의 냉 TFA를 가해준다. 혼액을 0℃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배용량의 에테르로 희석시킨다. 생성된 침전을 모으고 건조시켜 8의 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을 얻는다. 이 염을 1% 피리딘과 0.05% 아세트산을 함유한 충분량의 완충 수용액에 용해시켜 60ml가 되게 한다. 용액을 미리 같은 완충액으로 평형시킨 5×138cm인 DEAE세파렉스 A-25(아세테이트형) 컬럼에 가한다. 280mμ에서 U.V. 스펙트럼으로 흡사상태를 검지하여 1270ml와 1950ml 사이에서 용출되는 생성물을 모은다. 완충액을 동결 건조시킨다. 잔수를 200ml의 1N아세트산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동결 건조시킨다. 물/아세토니트릴(3 : 1)로 최종 동결 건조하여 6.64g(83%)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무수 염화수소 가스를 40ml의 빙초산 4ml의 아니솔과 4ml의 트리에틸실란중에 용해시킨 B부로부터 얻은 1.3g(0.027몰)의 생성물 용액에 도입시킨다. 20분 후에 에테르를 혼액에 가하고 생성된 침전을 모으고 건조시킨다(1.1g). 모은 염산염을 10ml의 DMF에 용해시키고 혼액을 0℃로 냉각한다. 트리에틸아민(0.34ml; 0.0026몰)을 가한다. 10분 후에 1.06g(0.0026몰)의 Nα-t-부틸옥시카보닐-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신을 가하고 이어서 0.35g(0.0026몰)의 HBT와 0.536g(0.0026몰)의 DCC를 가해준다. 이 반응 혼액을 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고 4℃에서 72시간동안 교반시킨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1N 중탄산나트륨, 물, 0.75N 시트르산, 물 순으로 세척한다. 그 후에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진공상태에서 농축시ㅋ니다. 생성된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62등급 그레이스 앤드 대비드슨 실리카겔로 충진된 무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획분에 TLC에 준하여 합하고 농축시켜 1.1g(52%)의 에틸 아세테이트 소량으로 결정화시킨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
Figure kpo00043
]D 25-4.3°(C=0.5, DMSO중에서)
원소분석 : C39H50N6O9S(778.9)
계 산 치 : C 60.14; H 6.47; N 10.79
실 측 치 : C 59.95; H 6.24; N 10.53
아미노산 분석 :
실측치 : Tyr 0.98; Ala 1.03; Gly 1.01; Phe 0.98; NH30.99
D. 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실-L-페닐알라닐-S-P-메톡시 벤질-L-시스테이닐아마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0.5ml의 아니솔을 포함한 20ml의 빙초산에 C부로부터 얻은 0.90g(0.0012몰)의 생성물을 가한다. 무수염화수소 가스를 30분간 이 혼액에 도입시킨다. 그후에 혼액을 동결 건조시켜 0.862g(100%)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
Figure kpo00044
]D 25+2.6(C=0.5, 1N 염산중에서)
원소분석 : C34H43N6O7S(715.2)
계 산 치 : C 57.09; H 6.06; N 11.75; Cl 4.96
실 측 치 : C 56.85; H 6.06; N 11.48; Cl 5.21
아미노산 분석 :
설측치 : Tyr 0.99; Ala 1.01; Gly 1.01; Phe 0.98; NH30.99;
[실시예 7]
L-타이로실-D-알라닐 -글라이실-L-페닐 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 아세테이트의
A. Nα-t-부틸옥시카보닐-Nα-메틸-L-메티오닌,d(+)
Figure kpo00045
-메틸벤질아민염 86.13g(0.2몰)의 Nα-t-부틸옥시카보닐-L-메티오닌의 디사이클로헥실 아민염을 600ml의 냉 에테르에 현탁시킨다. 현탁액을 100ml씩의 1.5N 냉 시트르산과 물로 4회 추출한다. 얻어진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킨다. 잔사를 150ml의 THF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30분에 걸쳐 기계적으로 교반한 1.0g의 18-크라운-6 에테르를 함유한 100ml의 무수 THF중의 0.6몰의 수산화칼륨 현탁액에 30분에 걸쳐 적가해 준다. 25ml(0.4몰)의 메틸 요다이드를 15분에 걸쳐 적가해 준다. 메틸 요다이드를 가한후 2시간 후에 20ml의 아세트산과 20ml의 THF 혼액을 적가해 주고 40ml의 에탄올을 가해준다. 혼액을 30분간 교반하고 그후에 2ℓ의 얼음에 가해준다. 수용성 혼액의 pH를 2N 수산화 칼륨으로 7로 맞춘다. 수용성 혼액을 400ml씩의 에테르로 3회 추출한후 고체 시트르산으로 pH3으로 산성화시킨다. 혼액을 500ml씩의 에테르로 3회 추출한다. 에테르 추출물을 합하고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한후 진공상태에서 증발시켜 시럽상 물질을 얻는다(44.76g; 84%). 시럽상 물질을 450ml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25.78ml(0.2몰)의 d(+)
Figure kpo00046
-메틸벤질아민을 가을준다. 냉각시키고 기벽을 긁어 주어 결정화시킨다.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여과하여 모아 51.05g(66%)를 얻는다. 융점 : 131 내지 134℃
[
Figure kpo00047
]D 25-18.9°(C=1, 에탄올중에서)
원소분석 : C19H32N2O4S(384.54)
계 산 치 : C 59.35; H 8.39; N 7.29
실 측 치 : C 59.15; H 8.12; N 7.21
B. Nα-t-부틸옥시카보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
33.3g(0.127몰)의 Nα-t-부틸옥시카보닐-Nα-메틸-L-메티오닐(A부로부터 d(+)
Figure kpo00048
-메틸 벤질아민 염을 산성화하고 에테르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임)을 160ml의 DMF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15℃로 냉각하고 18.3ml(0.14몰)의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와 15.4ml(0.14몰)의 N-메틸몰핀을 가해준다. 혼액을 -15℃에서 10분간 교반해 주고 무수 암모니아가스를 가스분산관을 통해 1시간 동안 혼액에 도입시킨다. 반응혼액에 -15℃에서 4시간 교반해주고 그후에 300ml의 1N 냉 중탄산 나트륨 용액에 가해준다.
현탁 수용액을 에테르로 추출한다. 에테르 추출물을 물, 냉 0.75N 시트르산, 물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진공상태에서 증발시켜 시럽상 물질을 얻는다. 시럽상 물질을 에테르/석유 에테르로 재결정시켜 16g(48%)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75 내지 77℃
[
Figure kpo00049
]D 25-117.3°(C=0.5, 클로로포름중에서)
원소분석 : C11H22N2SO3(262.37)
계 산 치 : C 50.36; H 8.45; N 10.68
실 측 치 : C 50.63; H 8.57; N 10.45
C. Nα-t-부틸옥시카보닐-L-페닐알라닐-N
Figure kpo00050
-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
70ml의 빙초산, 5ml의 아니솔, 7ml의 트리에틸 실란과 13.15g(0.05몰)의 B부로부터 얻은 생성물의 혼액을 제조한다. 무수 염화 수소가스를 이 혼액에 25분간 도입시킨다. 그후에 혼액을 에테르에 가하고 생성된 침전을 모으고 건조시킨다(9.9g). 염산염을 200ml의 DMF에 용해시킨다. 혼액을 0℃로 냉각하고 9.9ml(0.05몰)의 디사이클로 헥실아민을 가해준다. 10분간 교반한 후 6.8g(0.05몰)의 HBT, 13.3g(0.05몰)의 N
Figure kpo00051
-t-부틸옥시카보닐-L-페닐알라닌과 10.3g(0.05몰)의 DCC를 가해준다. 이 여액을 그후에 진공상태에서 농축시켜 오일상 물질을 얻는다. 이 오일상 물질을 에틸아세테이트에 다시 용해시키고 1N 중탄산 나트륨, 물, 0.75N 시트르산, 물 순으로 세척한다.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그후에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진상태에서 증발시켜 잔사를 얻고 이 잔사를 에테르로 결정화시켜 16.4g(80%)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114 내지 115℃
[
Figure kpo00052
]D 25-43.4°(C=0.5, 메탄올중에서)
원소분석 : C20H31N3O4S(409.55)
계 산 치 : C 58.65; H 7.63; N 10.26
실 측 치 : C 58.96; H 7.42; N 10.30
D. Nα-t-부틸옥시카보닐-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실-L-페닐 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
20ml의 빙초산, 2ml의 아니솔과 2ml의 트리에틸 실란의 혼액에 3.5g(8.56밀리몰)의 C로부터 얻은 생성물을 가해 준다.
무수 염화 수소 가스를 25분에 걸쳐 이 혼액에 도입시킨다. 에테르를 혼액에 가하여 염산염을 침전시키고 여과하여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킨다. 40ml의 DMF중의 5.0g(8.47밀리몰)의 Nα-t-부틸옥시카보닐-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신의 디사이클로헥실아민 염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상기 염산염을 가해준다. 0℃에서 수분간 교반한 후 1.1g(8.47밀리몰)의 HBT와 1.7g(8.47밀리몰)의 DCC를 가해준다. 그후에 혼액을 4℃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해 준다. 생성된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상태에서 증발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다시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연속적으로 1N 중탄산 나트륨 수용액, 물, 0.75N 냉 시트르산, 물 순으로 세척한다. 그후에 용액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진공상태에서 증발시킨다. 잔사를 62등급 그레이스 앤드 대비드슨, 실리카겔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4.1g(69%)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
Figure kpo00053
]D 25-13.1°(C=0.5, 메탄올중에서)
원소분석 : C34H48N6O8S(700.86)
계 산 치 : C 58.27; H 6.90; N 11.99
실 측 치 : C 58.05; H 6.62; N 11.73
아미노산 분석 :
설측치 : Tyr 1.00; Ala 1.01; Gly 0.99; Phe 1.00; NH31.01
E. 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실-L-페닐알라닐-N
Figure kpo00054
-메틸-L-메타오닐아마이드아세테이트
15ml의 티오아니솔에 8.3g(0.012몰)의 D 부로부터 얻은 생성물을 가해준다. 혼액을 0℃로 냉각하고 50ml의 냉 TFA를 가해준다. 혼액을 0℃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배용량의 에테르로 희석시킨다. 생성된 침전을 모으고 건조시켜 8g의 조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을 얻는다. 이 염을 1% 피리딘과 0.05% 아세트산을 함유한 충분량의 완충 수용액에 용해시켜 60ml가 되게 한다. 용액을 미리 같은 완충액으로 평형시킨 5×138cm인 DEAE세파렉스 A-25(아세테이트 형)컬럼에 가한다. 280nm에서 U.V.스펙트럼으로 흡수상태를 검지하여 1270ml와 1950ml사이에서 용출되는 생성물을 모은다. 완충액을 동결 건조시킨다. 잔사를 200ml의 1N 아세트산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동결 건조시킨다. 물/아세토니트릴(3 : 1)로 최종 동결건조하여 6.64
Figure kpo00055
(83%)의 상기 제목의 화합물을 얻는다.
[
Figure kpo00056
]D 25+21.7(C=1, 1N염산중에서)
원소분석 : C31H44N6O8S(660.79)
계 산 치 : C 56.35; H 6.71; N 12.72; O 19.37.
실 측 치 : C 56.50; H 6.46; N 12.62; O 19.25.
아미노산 분석 :
설측치 : Tyr 1.00; Ala 1.01; Gly 1.00; Phe 0.99; NH31.03
일반식(I)인 화합물은 유용한 진통제이다. 일반식(I)화합물의 진통작용은 생쥐의 일반시험에 의해 입증할 수 있다. 이 시험에서는 생쥐를 52℃를 유지하는 열판이 장치된 위로 향한 아크릴 실린더안에 놓는다.
이 시험은 쥐에게 적합한 담체중에 용해 또는 현탁시킨 미리 정한 량의 시험 화합물을 피하주사 한다. 이어서 시험화합물을 투여한 후 미리 정한 시간이 경과한후 생쥐를 염판표면에 올려 놓는다. 그후에 2가지의 분리된 현상이 일어날 때까지의 각각의 잠복시간을 초로 기록한다. 첫째 생쥐가 자기의 뒷다리 발바닥을 핥을 때까지의 잠복시간을 측정하고 둘째로 쥐가 열판으로 부터 뛰어 오를 때까지의 잠복시간을 측정한다. 진통작용을 갖는 약물을 단지 담체만을 주사한 대조용 생쥐에 대한 잠복시간보다 이 잠복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이것은 운동능력을 일으키지 않거나 또는 불능케하는 용량에서만 일어난다. 다음 표는 대조용천연의 엔케팔린을 그의 아마이드로 전환시킨것과 본 발명의 화합물과를 이 시험을 하여 얻은 결과를 기록한 것이다. 표 1은 뒷다리 발바닥을 핥기 전의 잠복시간을 기록한 것이고 표 2는 뛰어오르기 전의 잠복시간을 기록한 것이고 표 3은 각 시험 그룹에 있어서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동물의 백분율을 기록한 것이다. 진통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는 한계지점은 다음과 같다. 처치한 물동에 대한 뒷다리 발바닥 핥기 또는 뛰어오르기 전에 대한 잠복시간은 대조용에 대한 평균 잠복시간 ±2
Figure kpo00057
보다 같거나 커야 한다.
다음 표 1과 표2에 기록된 각 결과는 평균의 ±평균 오차를 나타내고 이 표 3에서의 백분율은 적어도 9마리의 생쥐 내지 40마리의 생쥐로 부터 얻은 것이다.
[표 1]
Figure kpo00058
[표 2]
Figure kpo00059
Figure kpo00060
[표 3]
Figure kpo00061
주 : a.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으면 시험은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한 것이다. 위에 "1" 또는 "2"라는 숫자로 표기된 것은 각각 결과의 유의성이 P<0.01과 P<0.05임을 나타낸 것이다.
b. 시험용과 대조용 동물에 대해 현탁액 인화합물을 아카시아와 혼합하여 시험을 실시한다.
c. 상기에서 표기된 각 문자는 다음 화합물을 표시한 것이다.
A : 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실-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하이드클로라이드(실시예 1)
B : L-타이로실-D-알라닐-L-알라닐-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1.25하이드클로라이드 모노아세테이트(실시예 4)
C : L-타이로실-D-루이실-글라이실-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세스퀴하이드클로라이드 모노아세테이트(실시예 2)
D : 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실-Nα-메틸-L-페닐알라닐-Nα-메틸-L-메티오닐아마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트리하이드테리트(실시예 3)
E : L-타이로실-D-알라닐-글라이실-L-페닐알라닐-L-Nα-메틸-S-에틸-시스테이닐아마이드 아세테이트(실시예 5)
d. HPL=뒷다리 발바닥 핥기
ET=뛰어 오름
e. 0.3mg/kg을 투여하여 시험할 때 뒷다리 발바닥 핥기전의 잠복 시간은 33.9±2.3초이고 뛰어오르기 전의 잠복 시간은 129.0±11.5초이고 진통작용에 대한 반응은 뒷다리 발바닥 핥기에 대해서는 10%이고 뛰어오르기에 대해서는 60%이다.

Claims (1)

  1. 일반식(II) 화합물과 일반식(III)화합물을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및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존재하에 0 내지 4℃에서 액상 커플링시켜 일반식(1')의 화합물을 얻은 다음 이를 산으로 처리하여 보호그룹을 제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펜타펩타이드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62
    Figure kpo00063
    Figure kpo00064
    Figure kpo00065
    상기 일반식에서
    L 및 D는 키랄성을 나타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이고
    R5및 R6는 각기 수소 또는 메틸이고
    W는 -CH2SCH3, -SCH2CH3또는 -CH(CH3)이다.
KR7702185A 1977-09-15 1977-09-15 펜타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820001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185A KR820001094B1 (ko) 1977-09-15 1977-09-15 펜타펩타이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185A KR820001094B1 (ko) 1977-09-15 1977-09-15 펜타펩타이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094B1 true KR820001094B1 (ko) 1982-06-25

Family

ID=19204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185A KR820001094B1 (ko) 1977-09-15 1977-09-15 펜타펩타이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09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7589B1 (fr) Dérivés de tachykinines,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EP0490667B1 (en) HIV protease inhibitors
US4259234A (en) Analgesic compounds
EP0618223A2 (en) Peptides inhibiting interleukin 1-bêta release useful as antiinflammatory agents
US4199499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GB1585061A (en) Synthesis of peptides
US4322339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EP0001684B1 (en) Tetrapeptides,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analgesic compositions
EP0030847B1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4322342A (en) Analgesic compounds
US4333873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EP0030848B1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4309343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HU185022B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iologically active tetrapeptide derivatives
KR840001720B1 (ko)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FR2557114A1 (fr) Nouveaux derives de la gonadoliberine,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IE42785B1 (en) L-3-(3,4-dihydroxyphenyl)-2-methyl-alanine peptides
US5516759A (en) LHRH antagonists having lactam groups at the N-terminus
KR820001094B1 (ko) 펜타펩타이드의 제조방법
EP0112036A1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US4579841A (en) Dipeptide derivatives having opiate activity
US4247543A (en) Organic compounds
US4331593A (en) Analgesic compounds
US4351763A (en) Pharmacologically active peptides
Chauhan et al. HYDROXY‐AND AMINO‐PROTECTION BASED ON THE 4‐DIMETHYLCARBAMOYLBENZYL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