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616B1 - 테트라펩타이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테트라펩타이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616B1
KR820001616B1 KR7803010A KR780003010A KR820001616B1 KR 820001616 B1 KR820001616 B1 KR 820001616B1 KR 7803010 A KR7803010 A KR 7803010A KR 780003010 A KR780003010 A KR 780003010A KR 820001616 B1 KR820001616 B1 KR 820001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acid
added
mo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커티스 아씨 프레데릭손 로버트
테오도르 슈만 로버트
리스미스웍 쥬니어 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에버레트 에프. 스미스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레트 에프. 스미스,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에버레트 에프. 스미스
Priority to KR7803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616B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트라펩타이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진통제로 유효한 다음 구조식(I)의 테트라펩타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구조식에서 R1및 R2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1급알킬을 뜻하며; R3는 탄소수 1 내지 4의 1급 또는 2급알킬이나 -CH2CH2SCH3를 뜻하며; R4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1급알킬을 뜻하며; R5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1급알킬을 뜻하며; Y는 수소 또는 아세틸을 뜻하며; Z는
Figure kpo00002
(단, R4와 R5중의 하나가 탄소수 1 내지 3의 1급알킬을 뜻할 경우에 다른 하나는 수소이다,)
약학적으로 무독한 산부가염에는 유기 및 무기산 부가염이 있으며, 그예로는 염산, 황산,설폰산, 타타르산, 푸마르산, 브롬화수소산, 글리콜산, 구연산, 말레산, 인산, 석신산, 초산, 질산, 벤조산, 아스콜빈산, p-톨루엔설폰산, 벤젠설폰산, 나트탈렌설폰산, 프로피온산의 염이 있다. 특히 염산, 초산, 석신산의 염이 바람직하며, 상기 염들은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다.
구조식(I)의 구조로 정의되는 화합물은 1급아마이드, 1급알콜, 니트릴의 유도체로서 특히 테트라펩타이드류이다. 구조식(I)의 화합물의 입체구조는 기본적인 형태이고,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구조식(I)의 테트라펩타이드류의 아미노산 잔기의 번호는 아미노말단기에 위치한 잔기에서부터 시작하여 차례로 번호를 매긴다. 아미노산 잔기의 편광력은 1위치로부터 시작하여 3위치까지 L, D및 무(none)이다. 3위치에 있는 잔기는 글리신이므로 편광력은 존재하지 않는다. 4위치(C말단위치)에 있어서는 1급아마이드, 1급알콜, 니트릴등이 존재하므로 이곳에서의 편광력은 상응하는 아미노산 잔기로 추정하여 정의한다.
여기에 사용된 R1, R2, R4및 R5그룹은 탄소수 1 내지 3의 1급알킬그룹으로 정의되며, "탄소수 1 내지 3의 1급알킬"이란 용어는 메틸, 에틸, n-프로필을 뜻한다.
상기 구조식에서 R3그룹은 탄소수 1 내지 4의 1급 또는 2급알킬을 뜻하며, "탄소수 1 내지 4의 1급 또는 2급알킬"이란 용어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및 2급-부틸을 뜻한다. 구조식(I)의 테트라펩타이드의 각각의 위치에 있어 특정한 잔기를 생각할 때 다음의 사항을 고려해야한다
(A) 제1위치
본 위치는 펩타이드의 아미노-말단의 위치를 뜻하는데 이 잔기는 L-티로신 또는 L-(0-아세틸)티로신으로부터 생겨난다. 위의 양쪽 경우에 모두, 이 잔기는 R1및 R2가 모두 수소인 N-비치환체일 수 있으며, 더더군다나. 이 잔기는 하나 또는 2개의 탄소수 1 내지 3의 1급 알킬그룹으로 치환될 수도 있으며, 이때, R1및(또는) R2는 탄소수 1 내지 3의 1급 알킬이다. 탄소수 1 내지 3의 1급 알킬그룹의 예로는 N-메틸-N-에틸, N-n-프로필-, N, N-디메틸, N, N-디에틸, N, N-디-n-프로필, N-메틸-N-에틸, N-메틸-N-n-프로필, N-에틸-N-n-프로필이 있다. 그러나 구조식(I)의 펩타이드의 1위치에 존재하는 티로실 또는 0-아세틸티로실 잔기는 N-비치환제가 바람직하며, 특히, 그 잔기는 티로실이 바람직하다.
(B) 제2위치
구조식(J)의 펩타이드의 제2위치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잔기는 D광학적 이성질체야 하며, 이러한 아미노산 잔기중의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다. 이들의 예로는 D-알라닐(ala)(R3)는 메틸이다), D-α아미노-부티르산(Abu)(R3는 에틸이다), D-노르발린 (Nva)(R3는 n-프로필이다), D-발린(Val)(R3는 이소프로필이다), D-노르류신(Nle )(R3는 n-부틸이다.), D-류신(Leu)(R3는 이소부틸이다), D-이소류신(Ile)(R3는 2급-부틸이다), D-메티오닌(Met)(R3는 -CH2CH2SCH3이다)이 있으며, 특히 D-알라닐이 바람직하다
(C) 제3위치
이 위치에 존재하는 아미노 산 잔기는 글리신(Gly)에서 유래하는 것이다.
(D)제4위치
C - 말단위치에 존재하는 잔기는 L - 페닐알라닐(phe) 또는 이들의 1급알콜 또는 니트릴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이 잔기는 1급 아마이드
Figure kpo00003
이다.), 1급알콜(Phe-A)(Z는-CH2OH이다.)또는 니트릴(Phe-CN)(Z는-CN이다)일수 있으나 Z가
Figure kpo00004
인 화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미노 질소위치의 (R4) 잔기는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고 치환될 수도 있으며, 이경우에 잔기는 N-치환체로서, 그 예로는 N-메틸, N-에틸, N-n-프로필이 있다. 부언하여, 아미노 질소위치의 잔기가 치환되지 않은 경우에는 α-탄소(R5) 위치가 반드시 치환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R5는 메틸, 에틸 또는 n-프로필이다. 단, R4및 R5중의 하나는 1급알킬이고 다른것은 수소이어야 한다. 탄소수 1 내지 3의 1급알킬그룹으로는 메틸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R4또는 R5가, 특히 R4가 메틸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다음의 약어는 익히 잘 알려져 있어서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Figure kpo00005
구조식(I)화합물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구조식(I)의 화합물들은 통상의 펩타이드 합성법에 따라 제조되는데, 이 합성과정도중 부분적으로 라세미화가 일어난다. 그러나, 이러한 라세미화의 정도는 구조식(I)화합물의 진통효과를 변화시킬 정도는 아니다.
구조식(I)화합물의 제법은, 하나의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의 카복실기를 다른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의 아미노기와 커플링시켜 아마이드 결합을 생성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커플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로 모든 반응관능기를 직접 반응에 사용하지 말고 적합한 보호제를 사용하여 불성화시켜야하며, 둘째로 커플링시킬 카복실기를 커플링에 적합하도록 적당히 활성시켜야 한다. 이러한 모든 방법에는 목적하는 펩타이드가 얻어질 수 있도록 반응순서 및, 반응조건 뿐 아니라, 사용되는 특정한 보호그룹을 조심스럽게 선택하여야 한다. 구조식(I)의 펩타이드를 제조하기 위한, 특정한 보호그룹 및 활성 관능기를 지니는 몇개의 아미노산들은 본 펩타이드 화학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에 따라 제조한다.
보호그룹은, 구조식 (I)화합물을 제조하는 모든 공정의 각 시점에서 선택되어져야하며, 이러한 선택은 관능기를 더욱 안정하게 만들어준다. 예를 들어, 벤질옥시카보닐(CBz) t -부틸옥시카보닐(Boc), t -아밀옥시카보닐(Aoc), p -메톡시벤질옥시카보닐(MBOC), 아다만틸옥시카보닐(ADOC), 및 이소보르닐옥시카보닐이 본 합성에서 아미노 보호그룹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조식(I)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있어 카복실 보호그룹으로는 메틸, 에틸, 벤질, p-니트로벤질, p -메톡시벤질, 2, 2, 2,-트리클로로에틸등의 특정한 에스테르 형성그룹이 있다.
적절하게 보호된 N -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를 적절하게 보호된 카복시-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와 커플링시킬때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의 유리 카복실기를 커플링 반응에 적합하도록 활성화 시켜야 한다. 이러한 활성화 과정은 공지의 기술에 따라 수행되는데, 그 한예로는 카복실 관능기를 무수혼합물로 전환시키는 법이다. 유리 카복실관능기를 다른 산, 특히 카복실산 유도체(예 ; 이들의 산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무수 혼합물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산 클로라이드의 예로는 에틸 클로로포메이트, 페닐 클로로포메이트, 2급-부틸 클로로포메이트, 이소부틸 클로로포메이트, 피바로일 클로라이드가 있으며, 특히 이소부틸 클로로메이트가 바람직하다.
커플링 반응을 수행할 목적으로 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또 다른방법으로는 이들은 활성 에스테르 유도체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활성에스테르의 예로는, 2, 4, 5-트리클로로페닐 에스테르, 니트로페닐 에스테르, p - 니트로페닐에테테르가 있다. 또다른 커플링 방법에는 아자이드 커플링법이 있다.
구조식(I)화합물을 제조함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커플링법은 N,N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를 사용하여 유리 카복실기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등몰량의 DCC를 사용하여, 등몰량의 1-하이드록시벤조트리 아졸(HBT)중에서 반응을 수행한다. HBT는 라세미화등의 원하지 않는 부반응을 억제시켜준다.
구조식(I)화합물을 제조함에 있어 보호그룹을 선택된 특정한 시점에서,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분야에 숙련가라면,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에 존재하는 하나 또는 그이상의 보호그룹을 제거함에 있어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그룹들을 여러 대표적 보호그룹으로 부터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대하여는 다음의 참조문헌에 수록되어 있다.
[참조 : Schroder and Lubke, The Peptides, Volume I, Academic Press, New York(1965), 72∼75).
카복실 보호그룹의 분리는 알칼리성 검화법으로 수행하는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을 사용하여 강알칼리성 조건하에 보호된 카복실기를 탈에스테르시킨다. 검화반응을 수행하는 반응조건은 이 분야에서는 공지의 사실이다. 촉매성 가수소분해법, 예를 들면 Pd/C등의 촉매존재하에 가수소분해시켜 카복실 보호그룹을 제거할 수도 있으며, 또한 카복실보호그룹이 P-니트로벤질 또는 2,2,2-트리클로로에틸일 경우에는 아연과 염산 존재하에 환원시킴으로써 카복실보호그룹을 제거할 수도 있다.
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를 포름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 p-톨루엔설폰산(TSA), , 벤젠설폰산(BSA), 나프탈렌설폰산등의 산으로 처리하여 아미노 보호그룹을 분리시켜서 각각의 산부가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HBr 또는 HCl과 초산의 혼합물로 처리하여 아미노 보호그룹을 분리시켜서 상응하는 브롬화수소산 부가염 또는 염산부가염을 생성시킬 수 있다. 각각의 탈보호 반응에 사용되는 물질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성질에 따라 반응물질 또는 반응방법이 변화될 수 있다. R4가 수소가 아니고, 적어도 3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펩타이드를 탈보호시킬 경우에는, 이 펩타이드를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또는 포름산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산부가염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은 DEAE 세파덱스 A 25 및 암버리스트(Amberlyst) A 27등의 적당한 이온교환수지로 처리하여 약학적으로 좀더 무독한 염으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티로실 잔기위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 보호그룹은 본 제조과정 전반을 통하여 그대로 보존해두었다가 최종합성단계에서 아미노 보호그룹을 제거시킬 때 함께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카복실 보호그룹을 제거 시킬때의 조건에 따라 반응과정초반에 제거될 수도 있다. 카복실그룹 알칼리성 검화법으로 분리시킬 때는 하이드록시 보호그룹은 보존되어야 하는데, 그러나, 촉매성 가수소분해를 이용하여 카복실 보호그룹을 제거시킬때는 하이드록시 보호그룹도 동시이 제거된다. 후자의 경우, 구조식(I)화합물은 유리 하이드록실그룹을 갖는 티로실 잔기 존재하에 제조되므로 그리 심각한 문제성을 일으키지 않는다.
구조식(I) 화합물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각각 제조된 N-말단 트리펩타이드를 각각 제조된 C-말단 페닐알라닐 아마이드
Figure kpo00008
또는 상응하는 알콜( Z=CH2OH) 또는 니트릴(= - Z CN)과 커플링시키고, 잔존하는 보호잔기를 탈보호시켜 구조식(I)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또한 N-말단 트리펩타이드와 반응하는 각각의 C-말단=페닐알라닐 화합물은 아마이드, 알콜, 니트릴기로 전환되는 전구체를 구조내에 지닐 수도 있다. 구조식(I)의 테트라 펩타이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제조된다. 본 공정에서 "AA"는 아미노 잔기를 뜻하며, 번호는 생성된 펩타이드 안쇄내의 아미노산의 위치를 뜻한다.
A. 트리펩타이드의 제조
Figure kpo00009
B. 트리펩타이드와 말단 페닐알라닐잔기와의 커플링반응.
Figure kpo00010
상기의 반응에서 Ph는 페닐을 뜻하며, Q는
Figure kpo00011
등의 그룹을 뜻한다.
Q가
Figure kpo00012
및 다른 에스테르그룹을 뜻할 경우에는 커플링 반응후에, 이를 NaBH4로 처리하여-CH2OH로 전환시킬 수도 있으며 [참조, Yamamura et al., U.S. Patent No. 3700651], Q가 벤질에스테르 또는 가수소분해에 의하여 쉽게 제거될 수도 있는 다른 에스테르그룹을 뜻할 때에는, Pd/C 존재하에 가수소분해시켜 유리산으로 전환시킬 수도 있고, 이 유리산을 DCC와 HBT 존재하에 암모니아로 처리하여 아마이드로 전화시킬 수도 있다. 아마이드 잔기는 p-톨루엔 설피닐 클로라이드 및 피리딘으로 처리하여 탈수소시킴으로써 니트릴기로 전환시킬 수 있다.[참조, Yamada et al., Bull of the Chem. Soc. of Japan 50, 1088-1093(1977)].
구조식(I)의 화합물을 제조함에 있어, C-말단 반응물질로는 목적하는 최종 생성물의 Z 그룹을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말단 그룹을 지니는 목적하는 테트라 펩타이드가 제조되면, 티로실위의 0-보호그룹은 가수분해에 의해, N-BOC 보호그룹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하여 제거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구조식(I)화합물을 제조하는 단 한가지 방법만이 제시되어 있으나, 다른 방법으로도, 이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구조내에 카복사미드, 알콜, 니트릴말단잔기로 시작되는 펩타이드 유도체나 개개의 아미노산을 차례로 계속부가하는 방법이다. 구조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은 고상(solid phase)합성법이다.
본 방법은, C-말단 잔기를 적합한 중합체 지지체에 연결시키고, 목적하는 펩타이드가 합성될 때까지 펩타이드의 길이를 연장시킨다. 이어서, 적합한 탈보호제를 사용하여 펩타이드를 지지체로부터 떼어낸다. t-예를 들어 부틸옥시카보닐 그룹에 의하여 보호된 α-아미노 위치의 C-말단잔기를 DCC의 활성화작용에 의해 벤즈히드릴아민 중합체에 커플링시키고, 중합체에 연결된 잔기를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에서 트리플루오오아세트산으로 반응시켜 N-BOC 그룹을 제거한다. 얻어지는 염을 적합한 3급아민으로 중화하고, 각각의 아미노산을 가하는 작업을 되풀이 한다. 목적하는 펩타이드 연쇄가 완전히 제조되면, 0
Figure kpo00013
C에서 HF로 처리하여 보호된 펩타이드를 중합체 지지물로부터 떼어내고 트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시킨다. 본 합성법에의 조건, 예를 들어, 반응시간, 반응온도, 세척시간, 반응물질, 보호그룹등은 고상 펩타이드 합성법의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누구나 알수 있는 것이다.
펩타이드를 중합체 지지물로부터 떼어내는 방법은 테트라펩타이드 중간물질을 형성시켜 모든 보호그룹을 제거하는 것이다. 생성물을 니트릴 화합물로 전환시키는데 있어 이와 같은 보호그룹을 존속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기 때문에, Z가 -CN인 구조식(Ι)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있어 고상 합성법은 별로 바람직한 방법이 못된다.
구조식(Ι)화합물에 있어서, R1, R2및 R4그룹중의 하나 또는 그이상은 탄소수 1 내지 3의 1급 알킬이다. 이러한 예로, 적합한 N-치환된 아미노산이 제조과정에 사용되며, N-치환된 아미노산의 몇몇은 N-보호된 아미노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똑같은 과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14
상기 공정에 지적된 바와 같이, 우선 Nα-보호된 아미노산을 2가 음이온을 방출시킬 수 있는 적합한 크라운 에테르존재하에 칼륨 하이드라이드로 처리하고, 이어서 중간물질을 적합한 알킬 요-다이드로 처리하여 목적하는 N-치환된 아미노산을 얻는다.
상기의 알킬화 공정에 사용되는 강알칼리성 조건하에서는 α-탄소원자위에서 라세미화가 일어난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며, 라세미화의 정도는 사용되는 특정한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과량의 알킬화제를 사용하고, 반응시간을 가능한 안 짧게 단축시킴으로써 이러한 라세미화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라세미화가 많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생성물을 적합한 키랄(chiral)아민의 염(예; d(+)α-페닐에틸아민의염)의 형태로 재결정시켜 정제할 수도 있다.
R4가 탄소수 1 내지 3의 1급알킬인 아미노산은 전술된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아마이드, 알콜, 니트릴로 전환시킬 수 있다.
R1및 R2가 모두, 같은 탄소수 1 내지 3의 1급알킬인 경우에는 다음 공정에 의해 목적하는 N,N-2치환된 티로신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15
상기식에서 RxCHO는 포름알데하이드, 아세트알데하이드, 프로피온알데하이드이다.
R1및 R2가 서로 다른 탄소수 1 내지 3의 1급 알킬그룹인 경우에는 적당한 N-1치환된 티로신을 전술한 바와 같이 포름알데하이드 또는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처리하여 N,N-2-치환된 티로신을 제조한다.
몇몇의 경우에는 구조식(I) 화합물에서, 그룹 R5는 탄소수 1 내지 3의 1급알킬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적합한 α-탄소 치환된 아미노산 또는 이의 상응하는 에스테르, 아마이드, 알콜, 또는 니트릴 유도체가 반응공정에 사용된다. 특정한 α-탄소 치환된 페닐알라닐은 다음의 참조문헌에 서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참조, Stein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hem. Soc. Vol 77, 700-703(1955)], 라세미체 혼합물의 분해법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참조. Turk et al., J.Org. Chem. Vol 40, No. 7, 953-955(1975)], 얻어지는 α-치환된 페닐알라닐은 전술된 방법에 따라 상응하는 아마이드, 알콜, 또는 니트릴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테트라펩타이드 연쇄를 제조한 후나 그 이전에 실시하여도 되나, 테트라펩타이드 연쇄를 제조하기에 앞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Y가 아세틸인 구조식(I)의 이러한 화합물들은, Y가 수소이고 말단의 아미노그룹이 적당히 보호된 상응하는 펩타이드를 피리딘 존재하에 초산 무수물로 처리하면 상응하는 N-보호된, 0-아세틸 펩타이드가 제조되고, 이를 염산과 초산의 혼합물로 탈보호시키면 목적하는 화합물이 얻어진다.
구조식(I)의 화합물들은 진통효과를 보여주며 특히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비경구로 투여하면 효과가 있다.
구조식(I)의 화합물을 비경구투여를 위한 단위용형(用形)으로하여 약제학적 제제로 성형 및 혼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으며, 혼합 또는 성형시에는 약학적으로 무독한 유기 또는 무기 고체 및/또는 액체 담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담체는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알 수 있는 것이다. 조성물은 정제, 과립제, 캅셀제, 현탁제, 액제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구조식(I)의 화합물을 유효량 투여하면 진통효과가 나타나는데, 일반적으로 0.1mg 내지 100mg/kg이 사용되며, 특히 1.0mg 내지 20mg/kg이 바람직하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구조식(I)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예시해 줄뿐이며, 이 범위를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Nα-메틸-L-페닐알라닐아마이드, 아세테이트염의 제조.
A. 벤질 D-알리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55.1g(0.29mol)의 p-톨루엔설폰산 1수화물을 함유하는 100ml의 벤질 알콜 및 200ml의 벤젠의 혼합 용액에 25g(0.281mol)의 D-알라닐을 가하고 환류시키면 딘-스타크 기구(Dean-Stark apparatus)내에 물이 공비증류되어 제거된다. 이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에테르로 희석한다. 얻어지는 침전을 모아 메탄올-에테르로부터 재결정시키면 55.3g(56%)의 표제화합물이 얻어진다.
융점 112℃ 내지 115℃
C17H21NO5S(351.42)에 대한 분석
계산치 : C 58.10, H 6.02, N 3.99
실측치 : C 58.19, H 6.06, N 3.82
B. 벤질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 -L-티로실 -D-알리네이트
200ml의 무수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중에 A에서 제조된 생성물 35.1g(0.1mol)을 가한 다음, 이 혼합물을 교반하고 0℃로 냉각시킨 후 11.2g (0.1mmol)의 디아자비사이클로옥탄(DABCO)를 가한다. 이 혼합물을 0℃에서 10분간 교반하고 37.1g(0.1mol)의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티로신, 13.5g(0.1 mol)의 1-하이드록시-벤즈트리아졸(HBT)및 20.6g(0.1mol)의 N,N'-디사이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DCC)를 순서대로 가한다. 얻어지는 혼합물을 0℃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얻어지는 현탁액을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다음, 잔유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중에 재용해시키고 1N NaHCO3, 물 0.75N냉구연산, 및 물의 순서로 세척한 다음, 유기층을 황산마네슘상에서 건조, 여과하고, 진공중에서 농축시킨다. 얻어지는 잔유물을 뜨거운 에탄올중에 용해하고 냉각시키면 결정이 석출된다. 에탄올로부터 재결정시키면 41.5g (80%)의 순수한 표제화합물이 얻어지다. 융점 121 내지 123℃
C30H36N2O6(520.63)에 대한 분석
계산치 : C 69.21, H 6.97, N 5.38.
실측치 : C 68.99, H 6.75, N 5.17.
C.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티로실-D-알라닐
B에서 제조한 생성물 31.2g(0.06mol)을 20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및 20ml의 물의 혼합물중에 가하고, 이 용액을 0℃로 냉각한 후, 13.2g(1.1mol)의 5N수산화나트륨용액을 서서히 가한다. 이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하고 5시간 후에 이 혼합물을 물과 에테르사이에 분배시킨다. 수층을 분리하여 냉각하고 구연산을 가하여 PH를 2로 조정한다음, 이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에테르로 희석한 다음 얻어지는 침전을 모으면 17.7g(67%)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융점 160 내지 162℃
C33H30N2O6(442.51)에 대한 분석
계산치 : C 65.14, H 6.63, N 6.63.
실측치 : C 64.73, H 6.70, N 6.20.
D. 벤질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티로실-D-알라닐-글리시네이트
벤질 글리시네이트의 P-톨루엔설폰산염 6.74g(0.02mol)을 70ml의 무수 DMF중에 가하고, 이 혼합물을 0℃로 냉각한 후 2.24g(0.020mol)의 DABCO를 가한다. 이 혼합물을 수분간 교반하고 C에서 제조한 생성물 8.84g(0.020mol)을 가한다음 계속하여 2.7g(0.020mol)의 HBT 및 4.12g(0.020mol)의 DCC를 가한다. 이 반응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얻어지는 현탁액을 0℃로 냉각한 후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킨다. 잔유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중에 용해 시키고, 1N탄산수소나트륨, 물 , 냉 0.75N구연산, 물의 순서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후 진공중에서 농축하여 에탄올로부터 결정화시키면 10.8g(92%)의 순수한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융점 : 145° 내지 147℃
C33H3O7(589.69)에 대한 분석
계산치 : C 67.22, H 6.67, N 7.13.
실측치 : C 67.32, H 6.83, N 6.91.
E.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티로실-D-알라닐-글리신
D에서 제조한 생성물 15.95g(27mmol)을 15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물(9 : 1)의 혼합물중에 가하고 이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0℃로 냉각하고 30ml의 1N수산화나트륨을 적가한 다음, 이 혼합물을 2시간동안 교반하고 에테르로 2번 추출한다. 수층을 분리하고 30ml의 1N염산을 가하여 pH를 2.5로 조정한 다음, 표제 혼합물이 결정으로 떨어지면 여과하여 모으고, 메탄올 및 물의 혼합물로부터 한번,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2번 재결정시키면 11.43g(85%)의 표제화합물이 얻어진다. 융점 104° 내지 107℃
Figure kpo00016
+31.4°(C=0.5, MeOH)
C26H33N3O7(499.54)에 대한 분석
계산치 : C 62.51, H 6.66, N 8.41.
실측치 : C 62.31, H 6.83, N 8.12.
F. Nα-t-부틸옥시카보닐-Nα-메틸-L-페닐알라닐, d-(+) α-메틸벤질아민염
75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중에 13.26g(0.05mol)의 Nα-t-부틸옥시카보닐 -L-페닐알라닐을 가하고, 이용액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0.15ml의 칼륨 하이드라이드 및 0.5g의 18-크라운-6-에테르를 0℃, 질소대기하에서 30분간에 걸쳐 적가한다. 이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더 교반하고 6.23ml의 메틸 요다이드를 함유하는 15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용액을 15분에 걸쳐 적가한다. 이 혼합물을 두시간 동안 방치하고 ,10ml의 초산 및 1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혼합액 및 이어서 20ml의 에탄올을 적가한다. 이 혼합물을 400ml의 얼음중에 쏟고, 2N수산화구트륨을 가하여, pH를 12 내지 13으로 맞춘다. 이 수성 혼합물을 에테르로 두번 추출한 후, 교체 구연산을 가하여 pH를 3으로 한다. 이 수성 혼합물을 20ml의 에테르로 3회 추출하고, 추출물을 모아 물로 추출한 후, 황산 마그네슘상에서 건조, 진공중에서 증발시키면 시럽상의 물질이 얻어진다. 이 시럽을 50ml의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6.44g(0.05mol)의 d(+)-α-메틸벤질아민을 가한다. 얻어지는 용액을 350ml의 헥산으로 희석하고 생성물을 여과하여 모으면 15.83g(79%)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시키면 13.70g(68%)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융점 136℃ 내지 179℃
Figure kpo00017
-28.2℃(C=1, EtOH)
C23H32N2O4(400.50)에 대한 분석
계산치 : C 68.97, H 8.05, N 6.99.
실측치 : C 68.75, H 7.81, N 6.74.
G. Nα-t-부틸옥시카보닐-Nα- 메틸-L-페닐알라닐 아마이드
Nα-t-부틸옥시카보닐-Nα- 메틸-L-페닐알라닐(4.0g, 0.01mol)을 20ml의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중에 용해시키고 이 혼합물을-15℃로 냉각한 후 1.56ml (0.012mol)의 소이부틸 클로로포메이트를 가한다음 1.32ml(0.012mol)의 N-메틸모르폴린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150℃에서 10분간 교반하고 반응 혼합물중에 무수 암모니아를 1.5시간 동안 통한다. 얻어지는 혼합물을 -15℃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이 혼합물을 200ml의 얼음이 들어있는 용기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음 유기층을 분리하여 1.5N구연산, 물, 1N탄산수소나트륨 및 물의 순서로 세척한다. 이 에틸 아세테이트용액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중에서 증발시키면 시럽상의 물질이 얻어지는데, 이를 에테르 및 석유에테르혼합물로부터 결정화시키면 2.12g (76%)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융점 91° 내지 92℃
Figure kpo00018
-111.2°(C=0.5, CHCl3)
C15H22N2O3(278.33)에 대한 분석
계산치 : C 64.73, H 7.97, N 10.06.
실측치 : C 64.95, H 7.81, N 9.79.
H.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티로실-D-알라닐-글리실-Nα-메틸-L-페닐알라닐아마이드
무수 염화수소(lN) 및 2ml의 아니솔을 함유하는 20ml의 빙초산용액에 1.9.5g (0.007mol)의 Nα-t-부틸옥시카보닐 Nα-메틸-페닐-L-알라닐아마이드를 가한다. 얻어지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다음, 이 혼합물을 에테르에 쏟고, 생성된 침전을 모아 건조시킨다(1.5g). 이 염산염을 30ml의 DMF 중에 용해하고, 0℃로 냉각시킨 후 1.4ml( 0.007mol)의 디사이클로헥실아민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수분간 교반한 후, 3.5g(0.007mol)의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티로실-D-알라닐-글라신, 950mg(0.007mol)의 HBT, 1.4g(0.007mol)의 DCC를 가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4℃에서 24시간 교반한후, 0℃로 냉각시키고 여과한다.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얻어지는 오일을 에틸 아세테이트중에 재용해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1N탄산수소나트륨, 물, 냉 0.75N구연산, 및 물의 순서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중에서 농축시키면 오일이 얻어지는데, 이 오일을 40×3cm의 그레이스와 데이비손 그레이드 62실리카겔컬럼에서 클로로포름을 용출제로 하여 크로마토그라피시킨다.(이때 클로로포름중의 메탄올량을 최대로 10%까지 증가시킨다). 박층 프로파일(prfile)에 따라 분리시키면 3.55g(77%)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19
-9.2°(C=0.5, MeOH)
C36H45N4O7(659.8)에 대한 분석
계산치 : C 65.54, H 6.57, N 10.61
실측치 : C 65.46, H 6.58, N 10.36
I. Nα-t-부틸옥시카보닐-L-티로실-D-알라닐-글리실-Nα-메틸-L-페닐알라닐 아마이드
H에서 제조된 생성물(3.2g, 0.0485mol)을 60ml의 에탄올중에 용해시키고, 1.5g의 5% Pd/C를 슬러리 상태로 상기 혼합물에 가한다. 기체분산관을 통하여 5분간 질소를 통하여 거품을 일게하고, 이어서 6시간 동안 수소를 통하여 거품을 일게 한다. 반응혼합물을 질소로 가득 채운다음 pd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한다 이 혼합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얻어진 시럽을 클로로포름중에 용해시켜 그레이스와 데이비손 그레이드 62실리카겔을 함유하는 크로마토그라피컬럼(40×3cm)상에 흡착시킨다음 클로로포(름메탄올의 함량은 최대 10%까지 증가시킨다)으로 용출시키면 박층 프로파일로 분리시키면 2.0g(74%)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20
9.9°(C=0.5, MeHO)
아미노산분석, 실측치 : Gly, 1.01 Ala, 0.99 Tyr, 0.99 NH3, 1.14
J.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Nα-메틸-L-페닐 알라닌 아마이드 아세테이트염
I에서 제조한 생성물(1.6g, 0.0028mol)을 0.5ml의 아니솔을 함유하는 10ml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중에 용해시키고, 이 혼합물을 0℃에서 30분간 교반한다음 에테르중에 붓고, 생성된 침전을 모아 건조시킨다.(1.1g). 이 고체를 충분량성수의 용완충 액(1% 피리딘 및 0.05%초산)중에 용해시켜 15ml로 하고 이 용액을 사전에 등장화시킨 DEAE-세파덱스 A-25(아세테이트)의 컬럼(2.5×99cm)에서 용출시킨다. 280nm에서 용출물을 추적하여 적합한 획분이 모아지면 친액화시킨다. 10%초산으로부터 재친액화시키고 물 및 아세토니트릴(75 :25)로부터 친액화시키면 0.84g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21
+27.8°(C=1, 1N HCl)
아미노산분석, 실측치: Tyr 0.98, Ala 1.03, Gly 1.00, NH3, 1.05
[실시예 2]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L-α-메틸-L-페닐알라닐아마이드 아세테이트염
A. L-α-메틸페닐알라닐, 벤질에스테르 토실레이트염.
3.0g(0.0168mol)의 L-α-메틸페닐 알라닌을 100ml의 벤젠중에 가하고, 여기에 3.3g(1.1mol)의 P-톨루엔설폰산 수화물 및 10ml의 벤질 알콜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딘-스타크 트랩존재하에 4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에테르를 가하여 토실레이트염을 침전으로 떨어뜨린다. 얻어진 침전을 모아 건조시키면 7.0g(94%)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융점 129℃ 내지 131℃
Figure kpo00022
-10.7°(C=0.5, INMeOH)
C24H27NO5S(441.5)에 대한 분석
계산치 : N 3.17
실측치 : N 2.87
B.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티로실-D-알라닐-글리실-L-α-메틸페닐알라닐, 벤질에스테르
A에서 제조된 생성물 5.74g(0.013mol)을 80ml의 DMF중에 가하고, 이 반응혼합물을 0℃에서 5분간 냉각시킨 후, 6.5g(13mmol)의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티로실-D-알라닐-글리신, 1.8g(13mmol)의 HBT 및 2.7g(13mmol)의 DCC를 가한다. 이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생성되는 침전을 여과하여 제거한다. 여액을 진공중에서 증발시키고 얻어지는 잔유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중에 용해시킨후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1N탄산수소나트륨, 물, 0.75N구연산, 및 물의 순서로 추출한다. 이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 후, 진공중에서 증발시키면 오일이 얻어진다. 이 오일을 에테르로부터 결정화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에테르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시키면 7.9g(72%)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23
+7.9°(C=0.5, MeOH)
C43H50N4O8(750.86)에 대한 분석
계산치 : C 68.78, H 6.71, N 7.46
실측치 : C 68.75, H 6.46, N 7.21
C. Nα-t-부틸옥시카보닐-L-티로실-D-알라닐-글리실-L-α-메틸페닐알라닐, 디사이클로헥실아민염.
B에서 제조한 생성물 4.0g(0.0053mol)을 50ml의 에탄올 중에 가하고 DMF중의 5% Pd/C슬러리 2.0g을 가한다. 기체분산관을 통하여 질소기체를 통하여 5분간 거품을 일으키고, 수소기체를 통하여 4시간 동안 거품을 일으킨다. 반응혼합물 중에 질소를 가득 채운 후 Pd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한다.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면 시럽상의 물질이 얻어진다. 이를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그레이스와 데이비손 그레이드 62 실시카겔 컬럼(10×2cm)에서 클로로포름 중의 메탄올의 양을 증가시키면서(9.5 : 0.5) 용출시킨다. 주획분을 모아 용매를 증발시키고 얻어지는 오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킨 후 1ml의 디사이클로헥실아민을 가한다. 얻어지는 침전을 모아 건조시키면 2.6g(65%)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융점 142℃ 내지 146℃
Figure kpo00024
+46.3°(C=0.5, MeOH)
D. Nα-t-부틸옥시카보닐-L-티로실-D-알라닐-글리실-L-α-메틸페닐알라닐 아마이드
C에서 제조한 생성물(2.0g, 0.0027mol)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0.75N 구연산 혼합액으로 중화시키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물로 추출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한 다음 진공 중에서 증발시키면 오일이 얻어진다.(1.5g). 얻어지는 유리산을 30ml의 DMF중에 용해하고 이 용액을 압력솥 중에서 0℃로 냉각시킨 다음 DCC(560mg, 0.0027mol)을 가하고 0℃에서 4시간 동안,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솥을 -78℃로 냉각하고 30ml의 무수 암모니아를 가한다. 솥을 다시 한번 봉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78℃로 냉각한 후, 뚜껑을 열어 암모니아가 실온에서 증발되도록 한다. 용매를 진공 중에서 증발시키고 얻어지는 잔유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한 후, 이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0.75N 구연산 및 물로 추출한다. 이 용액을 황산 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하고 용매를 진공중에서 증발시킨 후, 잔유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그레이스와 데이비손 그레이드 62 실리카겔 컬럼에 가하고 클로로포름 중의 메탄올의 양을 증가시키면서(9 : 1) 용출시킨다. TLC에 기준한 획분을 모아 용매를 증발시키면 1.1g(72%)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25
-26°(C=0.4, MeOH)
아미노산 분석
실측치 : Gly 0.99; Ala 1.00; Tyr 0.99; NH3, 1.12
E.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L-α-메틸-페닐알라닐 아마이드, 아세테이트염
D에서 제조된 생성물 900mg(0.0016mol)을 0.3ml의 아니솔 및 1N 염화수소기체를 함유하는 20ml의 빙초산 혼합물 중에 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에테르 중에 쏟는다. 얻어지는 침전을 모아 건조시킨다(73mg), 이 고체를 충분량의 완충수용액(1% 피리딘 및 0.05% 초산)중에 용해시켜 5ml로 한 후 사전에 완충액으로 등장화시킨 DEAE-세파덱스 A-25(아세테이트) 컬럼 (2.5×99cm)중에 가하여 용출시킨다. 용출물을 280nm에서 추척하여 적합한 획분을 모아 친액화시킨 다음 10% 초산으로부터 재친액화시키고, 물과 아세토니트릴(75 : 25)로부터 친액화시키면 400mg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26
+23.9°(C=5, 1N HCl)
C26H35N5O7(529.60)에 대한 분석
계산치 : C 58.97, H 6.66, N 13.22, O 21.15
실측치 : C 59.02, H 6.36, N 12.99, O 21.41
아미노산 분석
실측치 : Tyr, 0.96; Ala, 1.01; Gly, 1.00; NH3, 1.03
[실시예 3]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Nα-n-프로필-L-페닐알라닐 아마이드, 아세테이트임
A. Nα-t-부틸옥시카보닐-Nα-n-프로필-L-페닐알라닐
10.6g(0.04mol)의 Nα-t-부틸옥시카보닐-L-페닐알라닐을 7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에 가하고 0.12mol의 칼륨 하이드라이드를 함유하는 22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0.5g의 18-크라운-6 에테르의 현탁액을 질소기압하, 0℃에서 교반하면서 상기 용액을 30분에 걸쳐 적가한다. 이 혼합물을 0℃에서 10분간 더 교반한다. 23.3ml(0.24mol)의 1-요도 프로판을 함유하는 4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용액을 20분에 걸쳐 적가하고 이 혼합물을 0℃에서 2.5시간 동안 방치한 후 또 다른 11.5ml(0.12mol)의 1-요도프로판을 상기 혼합물 중에 적가한다. 이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더 교반하고 10ml의 빙초산을 가한 다음 10분간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얼음 중에 쏟고 얻어지는 수층에 2N 수산화 나트륨을 가하여 pH를 8.0으로 조정한 후 에테르로 2번 추출하고 냉 2N HCl을 가하여 pH를 2.5로 조정한다. 이어서 이 수성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물로 한번 추출한 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중에서 증발시키면 시럽상의 물질이 얻어진다. 이를 200ml의 에테르 중에 용해시키고 8ml(0.04mol)의 DCHA를 가한 다음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고 여액을 1.5N 구연산으로 한번, 물로 한번 추출한다. 에테르층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증발시키면 오일이 얻어지는데, 이 오일을 그레이스와 데이비손 그레이드 62 실리카겔상(40×3cm)에서 메탄올의 량을 점차로 증가시킨 클로로포름(최대 5%까지)을 용출제로 하여 크로마토그라피시킨다. 생성물을 박층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시키면 3.6g(31%)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27
-153.3°(C=1, MeOH)
NMR δ(-CO2H)=10.47; δ(Me3C-)=1.50
C16H25NO4에 대한 분석 (295.4)
계산치 : C 65.06, H 8.53, N 4.74
실측치 : C 65.26, H 8.29, N 4.69
B. Nα-t-부틸옥시카보닐-Nα-n-프로필-L-페닐알라닐 아마이드
A에서 제조한 Nα-t-부틸옥시카보닐-Nα-n-프로필-L-페닐알라닐을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DMF)중에 용해하고, 이 혼합물을 -15℃로 냉각시킨 다음 1등몰량의 이소부틸 클로로포메이트를 가한 후 1등몰량의 N-메틸모르폴린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15℃에서 10분간 교반하고, 30분간 무수암모니아를 통한다. 얻어지는 혼합물을 -1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 혼합물을 200ml의 얼음이 들어있는 용기에 쏟은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1.5N 구연산, 물, 1N 탄산수소나트륨, 물의 순서로 세척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증발시키면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C. Nα-t-부틸옥시카보닐-L-티로실-D-알라닐-글리실-Lα-n-프로필-L-페닐알라닐아마이드
무수 염화수소기체를 포함하는 20ml의 빙초산 및 2ml의 아니솔 중에 1등몰량의 Nα-t-부틸옥시카보닐-Nα-n-프로필-L-페닐알라닐 아마이드를 가한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이어서 에테르 중에 쏟으면 침전이 얻어지는데, 이 침전을 모아 건조시킨다. 이 염산염을 30ml의 DMF중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0℃로 냉각시킨 다음 1등물량의 디사이클로헥실아민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몇분 동안 교반하고, 1등몰량의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티로실-D-알라닐-글리실(실시예 1에서 제조), 1등몰량의 HBT, 1등몰량의 DCC를 가한다. 이 반응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이어서 4℃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면 오일이 얻어지는데,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다. 이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1N 탄산수소나트륨, 물, 냉 0.75N 구연산, 물의 순서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사에서 건조하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면 오일이 얻어진다. 이 오일을 그레이스와 데이비슨 그레이드 62실리카겔 컬럼(40×3cm)상에서, 메탄올의 양을 차례로 증가시키면서(최대 10%까지)클로로포름을 용출제로 하여 크로마토그라피시킨다. 생성물을 박층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분리시키면 Nα-t-부틸옥시카보닐-0-벤질-L-티로실-D-알라닐-글리실-Nα-n-프로필-L-페닐알라닐 아마이드가 얻어진다. 이를 60ml의 에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1.5g의 5% Pd/C를 가하여 슬러리화시킨다. 기체분산관을 통하여 반응혼합물 중에 질소를 5시간 동안 통하고, 이어서 수소기체를 6시간 동안 통한다. 질소를 반응혼합물 중에 가득 채운 후 여과하여 Pd촉매를 제거한 다음 이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면 시럽상의 물질이 얻어진다. 이 시럽상의 물질을 클로로포름 중에 용해시키고 그레이스와 데이비손 그레이드 62 실시카겔을 함유하는 크로마토그라피 컬럼(40×3cm)에 흡수시킨 후, 메탄올의 양을 최고 10%까지 증가시키면서 클로로포름으로 용출시키고 박층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분리시키면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28
-34.8°(C=.5, MeOH).
C31H43N5O7에 대한 분석(597.7)
계산치 : C 62.29, H 7.25, N 11.72
실측치 : C 62.13, H 7.24, N 11.70
D.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Nα-n-프로필-L-페닐알라닐 아마이드, 초산염
에서 제조한 생성물(800mg, 1.34mol)을 0.5ml의 아니솔을 포함하는10ml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중에 용해시키고, 이 혼합물을 0℃에서 30분간 교반시킨 다음 친액화시킨다. 이 고체를 충분한 수성완충 용액(1% 피리딘 및 0.05% 초산)중에 용해하여 10ml로 한 후, 이를 사전에 왕충액으로 등장화시킨 DE AC-세파덱스 A-25(아세테이트) 컬럼(2 .5×99cm)에서 용출시키고 용출물을 280nm에서 추적하여, 적합한 획분을 모아 친액화시킨다. 1N 초산으로부터 재친액화시키면 655mg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C28H39N5O7에 대한 분석 (557.6)
계산치 : C 60.31, H 7.05, N 12.56
실측치 : C 60.23, H 6.98, N 12.49
아미노산 아날리시스, 실측치 : Tyr 0.99; Ala 1.00; Gly 1.01; NH30.96
[실시예 4]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Nα-메틸-L-페닐알라닐 아마이드, 초산염의제조
A. Nα-부틸옥시카보닐-Nα-에틸-L-페닐 알라닌
Nα-부틸옥시카보닐-L-페닐알라닐을 7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에 가하고, 이 혼합물을 0.12mol의 칼륨하이드라이드를 함유하는 22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0.5g의 18-크라운-6 에테르 현탁액 중에 질소대기하 0℃에서 교반하면서 30분에 걸쳐 적가한다. 이 혼합물을 0℃에서 10분간 더 교반한 후 19.4ml(0.24mol)의 에틸 요-다이드를 함유하는 4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을 20분에 걸쳐 적가한다. 이 혼합물을 0℃에서 4시간 동안 방치한 후, 또 다른 19.4ml(0.24mol)의 에틸 요-다이드를 두번에 나누어서 가한다. 이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더 교반하고, 이어서 10ml의 빙초산을 가한 다음 10분간 교반하고, 이 혼합물을 400ml의 얼음 중에 쏟는다. 얻어지는 수층에 2N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8.0으로 조정한 후, 에테르로 두번 추출하고 2N 염산을 가하여 pH2.5로 조정한다. 이 수성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물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켜 진공 중에서 증발시키면 시럽상의 물질이 얻어진다. 이 시럽상의 물질을 200ml의 에테르 중에 용해시키고 8ml(0.04mol)의 DCHA를 가한다. 침전을 여과하고 여액을 1.5N 구연산, 물로 추출한 후 에테르층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켜 진공 중에서 증발시키면 4.6g(39%)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29
B. Nα-t-부틸옥시카보닐-Nα-에틸-L-페닐 알라닐 아마이드
Nα-t-부틸옥시카보닐-Nα-에틸-L-페닐 알라닌(4.3g, 0.0146mol, A에서 제조)을 60m의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중에 용해시키고, 이 혼합물을 0℃에서 냉각시킨 다음 3.0g(0.0146mol)의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를 가한다. 이 반응혼합물을 0℃에서 2시간동안,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고 0℃로 냉각시킨 다음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면 오일이 얻어지는데, 이 오일을 에틸아세테이트중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1N 탄산수소나트륨, 물 냉 1.5N 구연산, 물의 순서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면 3.93g(91%)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30
C16H24N2O3에 대한 분석(292.4):
계산치 : C 65.73, H 8.27, N 9.58
실측치 : C 66.03, H 8.13, N 9.85
C. Nα-에틸-L-페닐알라닐아마이드 염산염
Nα-t-부틸옥시카보닐-Nα-에틸-L-페닐 알라닐 아마이드(3.5g, 11.95mmol, B에서 제조)를 무수염화수소(1N)를 함유하는 40ml의 빙초산 및 1.5ml의 아니솔, 1.5ml의 (C2H5)3SiH중에 용해시키고, 얻어지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다음, 에테르중에 가하여 얻어지는 침전을 모아 건조시키면 2.6g(96%)의 표제화합물이 얻어진다. 융점 276℃ 내지 277℃
C11H16N2OCl에 대한 분석 (227.7):
계산치 : C 58.02, H 7.08, N 12.30
실측치 : C 57.97, H 7.26, N 12.54
D. N-t-부틸옥시카보닐-L-티로실-D-알라닐-글리실-Nα-에틸-L-페닐알라닐아마이드
1.14g(0.005mol)의 Nα-에틸-L-페닐알라닐아마이드 염산염(C에서 제조)을 50ml의 DMF중에 가하고, 이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킨 다음, 이어서 2.95g(0.005mol)의 Nα-t-부틸옥시카보닐-L-티로실-D-알라닐-글리신 DCHA염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0℃에서 5분간 교반하고 이어서 675mg(0.005mol)의 HBT 및 1.03g(0.005mol)의 DCC를 가한다.
이 반응혼합물을 0℃에서 6.5시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고, 0℃로 냉각시킨 후 여과한다.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면 오일이 얻어지는데,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중에 재용해시키고, 1N 탄산수소나트륨, 물, 냉 1.5N 구연산, 물의 순서로 추출한다음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중에서 농축시키면 오일이 얻어진다. 이 오일을 그레이스와 데이비손 그레이드 62 실리카겔 컬럼(40×3cm)상에서, 메탄올의 양을 최고 15%까지 증가시키면서 클로로포름으로 용축시켜 크로마토그라피시킨다. 박층크로마토그라피로 생성물을 분리시키면 1.13g(39%)의 표제 화합물이 얻어진다.
C30H41N5O7에 대한 분석(583.7):
계산치 : C 61.73, H 7.08, N 12.00
실측치 : C 60.35, H 7.26, N 11.25
E.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Nα-에틸-L-페닐알라닐 아마이드 초산염
D에서 제조한 생성물(1g, 1.71mmol)을 3ml의 아니솔 및 3ml의 (C2H5)3SiH를 함유하는 20ml의 트리플루오토아세트산중에 용해시키고, 이를 0℃에서 30분간 교반시킨다. 이 혼합물을 에테르중에 쏟고, 얻어지는 침전을 모아 건조시킨다.(660mg). 이 고체를 충분한 수성완충용액(1% 피리딘 및 0.05% 초산)에 용해시켜 10ml로 하여, 사전에 같은 완충용액으로 등장화시킨 DEAE-세파덱스A-25(초산염)의 컬럼(2.5×90cm) 에서 용출시켜, 용출물을 280nm에서 추적하여 적합한 획분을 모아 친액화시킨다. 이 고체를 0.2M초산(10ml)중에 용해하고, 사전에 등장화시킨 G-10세파덱스컬럼(2.5×99cm)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 시킨다. 용출물을 280nm에서 추적하여, 적합한 획분을 모아 친액화시키면 448mg(48%)의 표제화합물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31
C2NH75O7에 대한 분석 (543.6):
계산치 : C 59.65, H 6.86, N 12.88
실측치 : C 59.41, H 7.26, N 13.18
아미노산 분석, 실측치 : Tyr 1,03; Ala 0.99; Gly 0.97; NH30.98
구조식(I)의 화합물은 진통제로서 유효하다. 구조식(I)의 화합물의 진통효과는 생쥐를 이용한 열판시험으로 입증되었다. 이 실험은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쥐를 아크릴 실린더에 넣고 열판의 표면을 52℃로 유저한다. 적합한 담체중에 일정량의 시험화합물을 용해 또는 현탁시켜 쥐에게 정맥주사하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쥐를 열판표면위에 놓는다. 두개의, 별개의 현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기가 초단위로 기록된다. 첫째로, 쥐가 뒷발을 핥기 시작할 때까지의 잠복기를 측정하고, 둘째로, 쥐가 열판위로 점프할 때까지의 잠복기를 측정한다. 진통효과를 갖는 화합물을 투여하면 담체만을 주사한 대조군의 쥐에 있어서의 잠복기에 비해 이러한 잠복기가 길어진다. 다음의 표에 본 실험에 따른 결과가 염수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기록되어 있다. 표 1에는 뒷발을 핥는데 요하는 잠복기가 나타나 있으며, 표 2에는 점프하는데 요하는 잠복기가 나타나 있다.
[표 1]
Figure kpo00032
[표 2]
Figure kpo00033
각주 :
a : 1,2,3이란 숫자는 각각 결과가 P<0.001, P<0.01, P<0.05의 유의성을 갖는다는 뜻이다.
b : 각각의 명칭은 다음 화합물을 뜻한다.
A.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Nα-메틸-L-페닐알라닐아마이드. 초산염
B.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Nα-n-메틸-페닐알라닐아마이드. 초산염
C.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Nα-n-프로필-L-페닐알라닐아마이드. 초산염
D. L-티로실-D-알라닐-글리실-Nα-에틸-n-페닐알라닐아마이드. 초산염

Claims (1)

  1. 일반식(II)의 화합물과 일반식(III)의 화합물을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및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존재하에 0 내지 4℃에서 액상 커플링시켜 일반식(I')의 화합물을 얻은 다음, 이를 산으로 처리하여 보호그룹을 제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테트라펩타이드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6
    Figure kpo00037
    상기 식에서 L 및 D는 편광력을 의미하며, R4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이고, R5는 수소 또는 메틸인데, 단, R4와 R5중의 하나가 알킬일 때 다른 하나는 수소이다.
KR7803010A 1978-10-02 1978-10-02 테트라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820001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010A KR820001616B1 (ko) 1978-10-02 1978-10-02 테트라펩타이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010A KR820001616B1 (ko) 1978-10-02 1978-10-02 테트라펩타이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616B1 true KR820001616B1 (ko) 1982-09-11

Family

ID=1920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010A KR820001616B1 (ko) 1978-10-02 1978-10-02 테트라펩타이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61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9916A (en) Tripeptide compounds containing pyroglutamic acid and tryptophan,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JPH06340691A (ja) ペプチド類
US4259234A (en) Analgesic compounds
US4386073A (en) Tripeptides acting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6235876B1 (en) Liquid phas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GNRH peptides
US4264491A (en) Analgesic compounds
US4407746A (en) Cyclohexyl and phenyl substituted enkephalins
KR840001668B1 (ko) 펩티드의 제조방법
US4322342A (en) Analgesic compounds
CA1059994A (en) Histidine derivatives
HU185022B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iologically active tetrapeptide derivatives
EP0136720B1 (en) Enkephalin analogs
US6265381B1 (en) Orally-active elastase inhibitors
HU185230B (en) Process for producing pharmacologically active encephaline analogous peptides
KR820001616B1 (ko) 테트라펩타이드의 제조방법
EP0080283B1 (en) N-carboxyalkylproline-containing tripeptides
US4456594A (en) N-Carboxyalkylproline-containing tripeptides
SE461042B (sv) Peptider med tillvaextbefraemjande aktivitet jaemte veterinaera kompositioner innehaallande naemnda peptider
US4331593A (en) Analgesic compounds
SU664560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ептидов или их солей
KR860001909B1 (ko) 트리펩티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US5276137A (en) Analgesic peptides with a trifluoronorvaline modification
US4199568A (en) Tetrapeptide amides
CA1131217A (en) Psycho-pharmacological peptides
JP3554399B2 (ja) ペプチド誘導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