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647Y1 - 슬라이드 파스너 조립용 슬라이더 보지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 조립용 슬라이더 보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647Y1
KR840001647Y1 KR2019820002560U KR820002560U KR840001647Y1 KR 840001647 Y1 KR840001647 Y1 KR 840001647Y1 KR 2019820002560 U KR2019820002560 U KR 2019820002560U KR 820002560 U KR820002560 U KR 820002560U KR 840001647 Y1 KR840001647 Y1 KR 840001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upport
engaging plate
engag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2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497U (ko
Inventor
도시아키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34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4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62Assembling sliders in position on stringer tapes
    • A44B19/64Slider holders for assemblage of slide fas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9Work holder for specific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291Slide fastener
    • Y10T29/533Means to assemble slider onto stringer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 조립용 슬라이더 보지장치
제1도는 슬라이더를 삽입하기 직전에 있어서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보지(保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보지장치를 분해한 각각의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슬라이더를 삽입한 초기의 단계에 있어서 요부(要部)를 단면으로 한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X ―X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
제5도는 슬라이더가 완전히 삽입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요부를 단면으로 한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Y ―Y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보지장치에 고정된 슬라이더에 스트링거를 삽통하여 파스너 체인으로 하여서 슬라이드 파스너로 제조하는 작업시에 있어서 요부를 단면으로 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라이더 지지대 2 : 슬라이더 지지 겸 계합판 보지대
3 : 계합판 5 : 지축(支軸)
6,6' : 판상 스프링 7,7' : 구체(球體)
11,21 : 동체(胴體) 당접면 17 : 구체 보지공
18,28 : 홈 22 : 손잡이 삽입홈
30 : 절결 공간 31 : 계합부 편(片)
32 : 계합돌기 33 : 작동 제어편
35 : 축구멍 36 : 두부면
37 : 제1 요함부 38 : 제2 요함부
39 : 두부 경사면 S : 슬라이더
B : 동체 C : 덮개
P : 손잡이 H : 개구부
본 고안은 2개의 스트링거를 슬라이더에 삽통하여 파스너 체인으로 만들어서 슬라이더와 조합된 슬라이드 파스너로 하여줌에 있어서 슬라이더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보지(保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슬라이더 보지수단으로서 슬라이더 손잡이의 형태 및 칫수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확실한 계합기구를 설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조작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종류의 슬라이더 보지장치로서는 일본 특허 제780,293호(일본 특허공고 소 49-42009호)의 발명이 있으며, 이 장치는 슬라이더 손잡이를 삽입함으로써 이 손잡이의 선단으로 계합 레버를 탄발적으로 작동시켜 손잡이의 기부 부착구멍에 계합돌기를 돌입 탄접시켜서 슬라이드를 보지 고정하는 수단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한 칫수 및 형태의 손잡이를 갖는 슬라이더에 대해서는 고정 및 착탈(着脫)이 용이한 반면, 탄압 보지력을 높여주면, 이탈하려는 힘도 그만큼 증대되지 않으면 안되고, 더구나 슬라이더의 형식이 상이하여 이와 함께 손잡이의 칫수조건이 변동하면 이에 적합한 별도의 보지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결점이 있어서 설비상의 불리함을 피할 수가 없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을 결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스트링거의 슬라이더 삽통작업시에 있어서의 수정작업시에 발생하는 인상력(引上力)에 의하여서도 슬라이더의 이탈을 발생시키지 않는 슬라이더 보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슬라이더 보지장치에 슬라이더(S)를 뒤집어서 그 동체(B)의 하면에 손잡이(P)를 부착하기 위한 덮개(C)가 위치하며 손잡이(P)는 그 부착구멍(H)에 의하여 덮개(C)에 계착되어 늘어진 상태에서, 본 고안의 슬라이더 보지장치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28)의 손잡이 삽입홈(22)(22) 사이에 화살표 방향으로 압입함으로써 고정 보지되는 경우의 사시도이며, 제2도는 슬라이더 보지장치를 분해하여서 각각의 부품 사이의 관계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의 슬라이더 보지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지지대(1), 슬라이더 지지 겸 계합판 보지대(2), 계합판(3)의 주요 부재로 하며, 계합판 (3)은 지축(支軸)(5)에 의해 슬라이더 지지 겸 계합판 보지대(2)의 지축구멍(25) 및 계합판(3)의 하부의 축구멍(35)을 통하여서 이 계합판(3)의 판두께에 적합한 공간을 갖는 홈(28) 내로 요동 가능하게 축착(軸着)되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 겸 계합판 보지대(2)는 그 앞면과 밑면이 슬라이더 지지대(1)의 뒷면(13)과 윗평면(12)에 당접하며, 고정 나사(4)(4)를 나사구멍(24)(24)을 통해 나사구멍(14)(14)에 나착(螺着)함으로써 슬라이더 지지 겸 계합판 보지대(2)가 조립 고정된다.
그리고 슬라이더 보지대(1)에는 계합판(3)의 판두께에 적합한 공간이 형성된 홈(18)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두부(頭部)(10)의 양 측면으로 관통한 구체(球體) 보지공(17)에는 강철제의 구체(7)(7')가 유전(遊轉)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이 구체 보지공(17)의 양측 개구면을 덮어주는 판상 스프링(6)(6')은 슬라이더 지지겸 계합판 보지대(2)의 두부의 양측으로 설치된 나사구멍(26)에 판상스프링(6)(6')의 기부의 나사구멍(61)(61') 및 워셔(62)(62')를 통하여 나사(63)(63')로 나착 고정됨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지장치가 구성되는 것이다.
계합판(3)은 절결 공간(30)에 의하여 대략적인 U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한쪽은 선단에 절결 공간(30)으로 돌출된 경사 하면을 갖는 계합돌기(32)가 있는 계지부 편(片)으로 되어있고, 다른쪽은 상기 계지부 편(31)의 윗면보다도 높게 돌출하여 상기 슬라이더 지지대(1), 슬라이더 지지 겸 계합판 보지대(2)의 윗면과 동일 평면으로 형성된 슬라이더 동체(B)의 당접면(11)(21)보다 약간 돌출한 높이를 갖는 두부면(頭部面) (36), 두부 경사면(39)과, 상기와 같이 탄력적으로 압착된 구체(7)(7')의 면에 당접하는 제1요함부(凹陷部)(37), 제2요함부(38)가 그 양 측면에 각각 파여져 있는 작동제어편(33)으로 되어 있다.
제3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슬라이더 보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요부를 단면으로 한 확대도면으로서, 제3도는 슬라이더(S)의 손잡이(P)를 손잡이 삽입홈 (22)(22)의 사이로 삽입하는 최초의 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슬라이더(S)의 덮개(C)의 선단(C')이 계합판(3)의 작동제어편(33)의 두부 경사면(39)에 당접하여 제2요함부(38)의 경사면으로의 구체(7)(7')의 탄압력에 의해 슬라이더 지지 겸 계합판 보지대(2)의 홈(28)의 홈 앞면(27)에 당접되어 있던 계합판(3)의 전단면(34)이 약간 이격되도록 지축(5)을 중심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제4도는 제3도의 X ―X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슬라이더 지지대(1)의 두부(10)에 설치된 구체 보지공(17)의 내부로 판상 스프링(6)(6')에 의해 안쪽방향으로 탄압된 구체(7)(7')에 대해, 계합판(3)의 근소한 경동(傾動)에 따라서 제2 요함부(38)가 우측으로 이동하여서 제1 요함부(37)와의 경계 중립점(N)의 바로 앞에 구체(7)(7')의 면이 접하고 있다.
제5도는 슬라이더(S)가 약간 더 압압되어 덮개의 선단(C')이 계합판(3)의 작동제어편(33)의 두부 경사면(39)을 우측으로 밀어 내보내서 구체(7)(7')가 양측 요함부 (37)(38)의 경계 중립점(N)을 넘어선 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때 판상 스프링 (6)(6')의 탄압력에 의해 계지판(3)은 제5도에 도시된 상태로 급격히 경동하여 계지부 편(31)의 계합돌기(32)가 슬라이더(S)의 손잡이(P)의 구멍(H) 내로 돌입하며, 계합돌기(32)의 경사 하면은 상기 구멍(H)의 하단에 당접 압하하여 손잡이(P)를 손잡이 삽입홈(22)을 따라 하방으로 탄력적으로 밀어주어서 슬라이더(S)의 동체(B)면이 슬라이더 지지대(1) 및 슬라이더 지지 겸 계합판 보지대(2)의 윗면의 당접면(11)(21)에 압접됨으로써 슬라이더(S)가 부동(不動)의 상태로 보지되는 것이다. 제3도에서 2점 쇄선으로 표시된 계지판(3)의 위치는 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6도는 제5도에서의 Y ―Y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계지판(3)이 구체(7)(7')의 탄압력에 의하여 제1 요함부(37)외 면에 압입되어서 우측으로 크게 경동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합돌기(32)에 의해 슬라이더(S)가 탄력적으로 밀려서 계지 및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계지판(3)의 작동제어편(33)의 돌출된 두부면 (36)은 슬라이더(S)의 동체(B)에 삽통되어 이동하는 파스너 체인의 이동경로보다 밑에 위치하므로, 슬라이더에 의해 결합된 파스너 체인의 이동을 저해하지는 않는다.
제7도는 본 고안의 보지장치에 슬라이더(S)를 보지하고 2개의 스트링거(FS)를 슬라이더(S)에 삽통하여 도면의 우측으로 끌어냄으로써 스트링거(FS)가 교합 결합된 파스너 체인(F)을 얻는 경우에, 한쌍의 스트링거(FS)의 교합상태가 부적당할 때, 이것을 손으로 하살표 방향으로 끌어당겨서 수정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슬라이더(S)에 대하여 좌단부가 화살표(α)와 같이 끌어올리는 방향의 힘을 받으므로, 손잡이(P)가 약간 윗쪽으로 끌어당겨져서 계합돌기(32)의 경사 하면에 상향으로의 힘이 가하여져 계지판(3)이 지축(5)에 대하여 화살표(β)의 방향으로 회동력을 받게되지만, 작동제어편(3)의 두부 경사면(39)이 슬라이더(S)의 동체(B)의 선단에 당접함으로써 계지판(3)은 그 회동이 제지되고, 따라서 슬라이더(S)의 손잡이(P)의 구멍(H)으로 부터 게지돌기(32)가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더(S)가 본 고안의 보지장치상에 유지되는 것이므로, 스트링거(FS)의 교합을 수정하여 정상적인 슬라이드 파스너체인(F)으로서 우측으로 인출되도록 하여줄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정상적인 슬라이드 파스너의 조립이 완료되면, 슬라이더(S)를 손잡이 계지홈(22)을 따라서 수직 상방 또는 슬라이더(S)의 우측단부가 끌어 올려지도록 상방으로 인장시킴으로써 계합판(3)은 용이하게 화살표(β)의 방향으로 회동하며, 계합돌기 (32)의 선단부가 손잡이(P)의 구멍(H)으로 부터 빠져나오기 직전에 구체(7)(7')의 탄압은 제1및 제2 요함부(37)(38) 사이의 경계 중립점(N)을 넘어서서, 계합돌기(32)가 구멍(H)으로 부터 이탈된 제3도의 상태를 급속히 거치게 되고, 계합판(3)의 전단면 (34)은 홈(28)의 앞면(27)에 당접하며, 계지판(3)의 절결 공간(30)의 상부에 위치하는 계합돌기(32)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작동제어편(33)사이의 간극이 손잡이 삽입홈 (22)에 위치하므로, 슬라이더(S)는 보지장치로 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보지될 슬라이더(S)의 덮개(C)가 동체(B)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대상으로하여 설명하였으나, 덮개(C)와 동체(B)의 길이가 대략 일치하는 슬라이더의 경우에는 계합판(3)의 작동제어편(33)의 두부면(36)이 반드시 지지대(1)의 윗면의 슬라이더 동체 당접면(11)보다 높게 돌출할 필요는 없으며, 이 동체 당접면 (11)과 일치하도록, 경우에 따라서는 낮게 몰입되도록 설계를 변경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나타낼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슬라이더 보지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더 지지대(1), 슬라이더 지지 겸 계합판 보지대(2)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홈(18)(18)은 계합판(3) 및 슬라이더(S)의 덮개(C)가 유감(遊嵌) 될 수 있는 간격의 형태를 갖는 것이며, 또한 슬라이더(S)의 동체(B)의 폭보다 좁을 필요가 있음은 물론이고, 또한 손잡이 삽입홈(22)의 폭이나 길이도 가능한한 크게 하여줌과 동시에 그 깊이도 계합판(3)의 절결 공간(30)의 밑바닥에 근접한 부분(23)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여줌으로써, 슬라이더(S)의 형식 변경에 따른 칫수의 변화 또는 손잡이 길이의 변동에 관계없이 상술한 바와 완전히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며,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 삽입홈(22)은 슬라이더 지지 겸 계합판 보지대(2) 쪽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것을 슬라이더 지지대(1) 쪽에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되도록 하여줄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슬라이더 보지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슬라이더의 보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강력한 스프링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슬라이더의 칫수 변경에도 광범위하게 걸쳐서 적용될 수 있고, 더구나 소정의 인발(引拔) 방향으로의 인장을 행하지 않는 한, 슬라이더의 이탈이 불가능하며, 또한 슬라이더(S)로서는 자동 정지장치의 유무에 관계 없이 유효하며 확실하고 용이하게 보지고정 및 인발 이탈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슬라이드 파스너 조립작업의 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는 적당한 작업 받침대에 장착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1)

  1. 슬라이더 지지대(1)와 계합판(3)을 하단에서 요동시킬 수 있도록 된 슬라이더 지지 겸 계합판 보지대(2)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더 지지대(1) 및/또는 슬라이더 지지 겸 계합판 보지대(2)에는 슬라이더의 손잡이 삽입홈(2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계합판(3)은 절결 공간(30)에 의해 대략적인 U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 계합판(3)의 한쪽은 계합돌기(32)가 절결 공간(30)으로 돌출한 계합부 편(31)으로 되어 있고, 다른쪽은 상기 계합부 편(31)의 윗면보다 높이 돌출한 두부 경사면(39)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그 양측면에 인접하여 제1 요함부(37)와 제2 요함부(38)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슬라이더 보지대(1)에 탄압 보지되어 있는 구체(球體)(7)(7')가 상기 계합판(3)의 경동(傾動)에 따라서 제1 요함부(37)와 제2 요함부(38)의 어느 하나에 탄접 보지되는 작동제어편(33)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조립용 슬라이더 보지(保持)장치.
KR2019820002560U 1981-04-11 1982-04-02 슬라이드 파스너 조립용 슬라이더 보지장치 KR84000164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1051454U JPS6244654Y2 (ko) 1981-04-11 1981-04-11
JP51454 1981-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497U KR830003497U (ko) 1983-12-26
KR840001647Y1 true KR840001647Y1 (ko) 1984-09-13

Family

ID=1288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2560U KR840001647Y1 (ko) 1981-04-11 1982-04-02 슬라이드 파스너 조립용 슬라이더 보지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397454A (ko)
EP (1) EP0062879B1 (ko)
JP (1) JPS6244654Y2 (ko)
KR (1) KR840001647Y1 (ko)
AR (1) AR230156A1 (ko)
AU (1) AU532599B2 (ko)
BR (1) BR8201994A (ko)
CA (1) CA1178981A (ko)
DE (2) DE3261677D1 (ko)
ES (1) ES8302443A1 (ko)
FI (1) FI72640C (ko)
GB (1) GB2096694B (ko)
HK (1) HK63888A (ko)
MY (1) MY8700407A (ko)
SG (1) SG5787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410U (ja) * 1982-11-17 1984-05-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のスライダ保持装置
JPH074294B2 (ja) * 1986-06-25 1995-01-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ダ−保持装置
BR9916214A (pt) * 1998-12-18 2001-09-11 Alza Corp Dispositivos de distribuição de nicotina transdérmicos transparent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2009B1 (ko) * 1970-05-16 1974-11-12
JPS517420B2 (ko) * 1972-05-24 1976-03-08
JPS512028B2 (ko) * 1972-08-12 1976-01-22
GB1431748A (en) * 1973-04-19 1976-04-14 Yoshida Kogyo Kk Slider holder for the assemblage of slide fasteners
JPS5010401U (ko) * 1973-05-30 1975-02-03
NL160156C (nl) * 1973-12-28 Yoshida Kogyo Kk Werkwijze voor het monteren van een schuif op de draagbanden van een ritssluiting.
GB2006869B (en) * 1977-10-22 1982-04-28 Opti Patent Forschung Fab Device for supporting a slider for a sliding clasp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8700407A (en) 1987-12-31
FI72640C (fi) 1987-07-10
JPS6244654Y2 (ko) 1987-11-26
FI821182A0 (fi) 1982-04-05
AU532599B2 (en) 1983-10-06
EP0062879A1 (en) 1982-10-20
BR8201994A (pt) 1983-03-15
JPS57164613U (ko) 1982-10-16
FI821182L (fi) 1982-10-12
SG5787G (en) 1987-06-05
DE62879T1 (de) 1983-05-26
CA1178981A (en) 1984-12-04
AR230156A1 (es) 1984-03-01
ES511235A0 (es) 1983-02-16
ES8302443A1 (es) 1983-02-16
EP0062879B1 (en) 1984-12-27
US4397454A (en) 1983-08-09
FI72640B (fi) 1987-03-31
KR830003497U (ko) 1983-12-26
DE3261677D1 (en) 1985-02-07
AU8227382A (en) 1982-10-21
GB2096694A (en) 1982-10-20
GB2096694B (en) 1984-11-14
HK63888A (en) 198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7510B2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provided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JPH0757204B2 (ja) 停止装置付きスライダーを有する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H0716608U (ja) 自動停止装置付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H0177407U (ko)
JPH0248660B2 (ko)
KR950010184A (ko) 접속확인 기구를 가진 접소기 조립체
EP0491676A2 (en) Hose clamping device
KR840001647Y1 (ko) 슬라이드 파스너 조립용 슬라이더 보지장치
US6769156B1 (en) Zipper hand with puller fixed function
JPH06245805A (ja)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KR100298804B1 (ko)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KR100268997B1 (ko) 자동 정지장치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JPH1042913A (ja) 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EP0348857A1 (en) Buckle
JPH05331889A (ja) シャワーハンガー装置
KR200345067Y1 (ko) 낚시용 릴의 사이드 커버 시건장치
US5713230A (en) Gearshift-stick locking assembly with fluorescent shackle-positioning rubber frame
KR900006839Y1 (ko) 스피커 박스의 로킹장치
JPS5937986A (ja) ミシンの針止具
KR930002321Y1 (ko) 낚시용 스피닝릴의 스풀 고정장치
KR900004857Y1 (ko) 브이 씨 알의 전폭 소거 헤드 고정장치
KR890007719Y1 (ko) 브이씨알의 카세트 로딩 구동력 차동장치
KR920006096Y1 (ko) 비디오 카세트 역삽입 방지 장치
KR880001203B1 (ko) 버 클
JPH0633625Y2 (ja) スイツ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