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243Y1 - 직기에 있어서의 헬드후래임(Heald frame)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에 있어서의 헬드후래임(Heald frame)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243Y1
KR840001243Y1 KR2019810004590U KR810004590U KR840001243Y1 KR 840001243 Y1 KR840001243 Y1 KR 840001243Y1 KR 2019810004590 U KR2019810004590 U KR 2019810004590U KR 810004590 U KR810004590 U KR 810004590U KR 840001243 Y1 KR840001243 Y1 KR 840001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upport
hanging
support shaf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4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966U (ko
Inventor
시개루 다나가
요시후미 우메무라
하지메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300009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9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2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83Arrangements or means for the linking to the drive syste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969Hook-shaped projection member passing through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기에 있어서의 헬드후래임(Heald frame)의 지지장치
제1도는 헬드프레임의 부분 정면도.
제2도는 지지장치의 확대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X-X선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브라켓트에 인괘구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5도는 종래의 지지장치의 확대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직기에 있어서 경사(經)의 개구운동(開口運動)을 하는 헬드프래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지지장치로서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헬드프래임에 고정된 브라켓트(1)의 지축(5)에 인괘구(引掛具)(10)의 감합공(13)을 회동가능하게 감합시켜 브라켓트(1)에 핀(pin)(19)로 결합시키고 스프링(20)에 의하여 회동저항(回動抵抗)을 받은 레바(21)의 선단부가 전기한 지축(5)의 선단면에 접리되게 하여 브라켓트(1)의 지축(5)에 인괘구(10)을 착탈(着脫)할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있었다. 그런데 이 종래의 지지장치에 있어서는 레바(21)이나 스프링(20)을 사용하여 인괘구(1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함과 아울러 이들의 조리작업에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전기한 레바(21)의 회동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브라켓트(1)에 대한 인괘구(10)의 착탈조작이 대단히 어려웠다.
본 고안의 목적은 브라켓트(1)의 일측면에 돌설한 지축(5)에 대하여 인괘구 (10)의 기단부(基端部)에 형성한 감합공(13)을 감합했을때 인괘구(10)의 기단외주에 돌설한 괘합돌기(15)가 브라켓트(1)의 일측면에 형성한 괘지간극(9)속에 끼워들어가서 인괘구(10)이 지축(5)로부터 빠져 나가지 않도록 보지(保持)함으로써 인괘구(10)의 착탈조작이 용이하고 더욱 서로의 결합상태가 견지(堅持)될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직기에 있어서으 헬드프레임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구체화시킨 한가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에서 (1)은 경사의 개구운동을 하는 헬드프래임(2)의 상하 횡프래임에 각각 고정된 브라켓트로서,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그 대판(臺板)(3)에 지지판(支持板)(4)가 일체적(一體的)으로 돌설(突設)되어 있다. (5)는 지지판(4)의 전면 중앙부에 도럴된 통상(筒狀)의 지축으로서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그 외주에는 베어링 메달 (6)이 감착되어 있다. (7)은 지축(5)의 좌우양측을 감싸는 것처럼하여 지지판(4)의 외형을 따라서 전방에 돌설된 한쌍의 돌벽(突壁)이고, (8)은 이돌벽(7)의 선단부에서 지축(5)를 향하여 돌설된 좌우 한쌍의 괘지돌기로서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지지판(4)와의 사이에 괘지간극(9)가 형성되도록 되어있다. (10)은 선단부에 훅크(11)이 달려있는 인괘구로서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그 기단부(12)에는 감합공(13)이 형성되어있고 이 감합공(13)의 내부에는 브라켓트(1)측의 지축(5)외주의 베어링매달(6)과 감합하는 베어링메달(14)가 감착고정되어 있다. (15)는 인괘구(10)의 기단부(12)의 외주에 돌설된 좌우한쌍의 괘합돌기로서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기한 브라켓트(1)의 괘지간극(9)속에 끼워들어가도록 되어있다.
그러므로 브라켓트(1)에 인괘구(10)을 착설할때는 제4도에 쇄선(鎖線)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인괘구(10)의 괘합돌기(15)를 브라켓트(1)의 지지돌기(8)에 인접시킨 상태에서 인괘구(10)의 베어링메달(14)를 브라켓트(1)측의 지축(5)의 베어링메달 (6)에 감합시켜 이상태로부터 인괘구(10)을 제4도 화살표 방향으로 약간 회동시키면 제2도와 제3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인괘구(10)의 괘합돌기(15)가 브라켓트(1)의 괘지간극(9)속에 끼워들어가서 등 괘합돌기(15)와 브라켓트(1)의 지지돌기(8)과의 감합에 의하여 인괘구(10)의 빠저나가지 않게 할수가 있다.
그리하여 사용시에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헬드프래임(2)의 상부횡프래임측의 인괘구(10)에 메어달고 스프링(16)과 연결된 와이어로우프(17)을 연결시키며, 하부횡프래임축의 인괘구(10)에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와이어로우프(1 8)이 연결되어 구동기구의 작동에 따라서 헬드프래임(2)가 상하동 한다. 이렇게하여 복수의 헬드프래임(2)의 상대적인 상하운동에 의하여 경사의 개구운동이 이루어지나, 전술한 바와같이 인괘구(10)에는 주로 상하방향의 강한 인장력이 작용하여 회동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인괘구(10)이 회동될 염려는 없다.
따라서 브라켓트(1)의 지지돌기(8)과 인괘구(10)의 괘합돌기(15)와의 감합에 의하여 인괘구(10)은 브라켓트(1)의 지축(5)으로부터 빠저나가는 일 없이 잘 보지된다.역으로 인괘구(10)을 지축(5)에서 뜯어내고저 할때에는 인괘구(10)을 제4도에서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회동시켜 이상태에서 인괘구(10)을 지축(5)로 부터 빼어내면 된다.
더욱 본 고안은 전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예를들면 지지돌기(8)과 괘합돌기(15)를 헬드프래임(2)의 지지상태에서 서로 결합하도록 브라켓트(1)과 인괘구(10)의 적당한 장소에 한개씩 설치하는 등 본 고안의 취지를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각부의 구성을 임의로 변경할수도 있다.
그리고 전기한 실시예와는 역(逆)으로 인괘구(10)의 기단부(12)에 지축(5)와 괘지돌기(8)을 형성하여 브라켓트의 연결부측에 감합공과 괘합돌기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꼭지축(5)와 지지돌기(8), 혹은 감합공(13)과 괘합돌기(15)가 동일부재(部材)로 구성되어야할 필요는 없으며, 브라켓트(1)과 인괘구(10)의 안쪽의 한쪽부재에 지축(5)를 돌설하고 다른쪽의 부재에는 괘지간극(9)를 두고 지지돌기(8)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상술한 본 고안은 하기의 효과가 있다.
ㄱ. 인괘구(10)의 착설시에는 브라켓트(1)의 지축(5)에 인괘구(10)의 감합공 (13)을 감합시키고 이 인괘구(10)을 약간 회동하여 인괘구(10)의 괘합돌기(15)를 브라켓트(1)의 괘지간격(9)속에 끼워넣고, 또 인괘구(10)을 들어낼 때에는 인괘구(10)을 약간 회동하여 전기한 감합상태로부터 해제시켜서 인괘구(10)을 지축(5)로부터 빼어내면 되므로 인괘구(10)을 약간 회동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서도 인괘구(10)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더욱 그 착탈조작은 한손만으로도 행할수 있다.
ㄴ. 브라켓트(1)의 지지돌기(8)과 인괘구(10)의 괘합돌기(15)와의 감합에 의하여 인괘구(10)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인괘구(10)이 예측불허의 상태에서 빠져나가는 염려가 없음과 동시에 착탈조작용의 특별한 부품도 필요없이 구조도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Claims (1)

  1. 헬드프래임에 고정된 브라켓트(1)의 일측면에 지축(5)을 돌설시킴과 동시에, 동지축(5)의 둘레측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브라켓트(1)의 일측면에는 괘지간극(9)를 두어 지지돌기(8)를 형성하고, 전기한 헬드프래임(2)를 지지하는 스프링(20) 또는(헬드프렘(2)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에 연결된 와이어로우프등을 걸기 위한 인괘구(引掛具)(10)의 기단부(基端部)(12)에는, 전기한 브라켓트(1)의 지축(5)에 회동자재하게 감합되는 감합공(13)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이 인괘구(10)의 기단외주에는 브라켓트 (1)의 괘지간극(9)속에 끼워들어가서 지지돌기(8)과의 협동에 의하여 인협괘구(10)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시키는 괘합돌기(15)를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 헬드후레임의 지지장치.
KR2019810004590U 1980-06-30 1981-06-26 직기에 있어서의 헬드후래임(Heald frame)의 지지장치 KR8400012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0092519U JPS617256Y2 (ko) 1980-06-30 1980-06-30
JP?55-92519 1980-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966U KR830000966U (ko) 1983-09-22
KR840001243Y1 true KR840001243Y1 (ko) 1984-07-16

Family

ID=14056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4590U KR840001243Y1 (ko) 1980-06-30 1981-06-26 직기에 있어서의 헬드후래임(Heald frame)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398569A (ko)
JP (1) JPS617256Y2 (ko)
KR (1) KR840001243Y1 (ko)
CH (1) CH653058A5 (ko)
CS (1) CS234026B2 (ko)
DE (1) DE3124777C2 (ko)
GB (1) GB20787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3697A (zh) * 2012-07-25 2012-11-14 浙江旷达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通丝装造的校眼设备的综眼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2503A (en) * 1916-03-06 1916-10-24 Edward Fortier Clothes-line hook.
CH391612A (de) * 1959-06-15 1965-04-30 Sdruzeni Podniku Textilniho St Einrichtung zur lösbaren, gelenkigen Verbindung des Schaftrahmens eines Webstuhles mit der ihn betätigenden Stoss- bzw. Zugstange
US3085597A (en) * 1961-10-10 1963-04-16 Crompton & Knowles Corp Harness connection for looms
US3353570A (en) * 1966-07-21 1967-11-21 Henry D Sweat Harness frame connector
CH545871A (ko) * 1971-12-14 1974-02-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78796A (en) 1982-01-13
KR830000966U (ko) 1983-09-22
GB2078796B (en) 1983-10-26
CS234026B2 (en) 1985-03-14
CH653058A5 (de) 1985-12-13
DE3124777A1 (de) 1982-03-18
JPS5718681U (ko) 1982-01-30
DE3124777C2 (de) 1985-07-25
JPS617256Y2 (ko) 1986-03-05
US4398569A (en) 198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68103B (zh) 一种半自动消化内镜诊疗辅助装置
KR840001243Y1 (ko) 직기에 있어서의 헬드후래임(Heald frame)의 지지장치
US3178821A (en) Orthodontic appliance
CN210872121U (zh) 一种半自动消化内镜诊疗辅助装置
CN213523888U (zh) 一种可调整振动器位置的排痰背心
JPH0272818A (ja) 魚釣用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装置
CN209344590U (zh) 一种电控柜
US1883627A (en) Supporting bracket for shade pulleys
CN220433255U (zh) 一种衣物影像获取装置及具有其的衣物护理机
KR880001204Y1 (ko) 에어콘 휠터판의 착탈장치
CN217244298U (zh) 一种内窥镜操控装置及内窥镜
CN220792548U (zh) 吸油烟机的安装结构
JP2007000514A (ja) 吊下げ式遮光装置
JPS6137742Y2 (ko)
JP2500495Y2 (ja) 自動いか釣機のドラム糸外れ防止装置
JPH04127128U (ja) 脱穀装置における受網の着脱構造
CN217285712U (zh) 一种内窥镜控制装置及内窥镜
CN219963118U (zh) 一种隐形矫治器
CN214858047U (zh) 一种精神科护理上臂约束装置
CN219331992U (zh) 下颌前倾位阻生智齿的拔除钳
CN212648761U (zh) 一种电气设备防尘保护装置
JPS6139235Y2 (ko)
CN218026585U (zh) 一种便于检修的纺织机罩壳
CN208338699U (zh) 一种脱钩限位系统
KR970006845Y1 (ko) 낚시대 이탈방지용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