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062B1 - 폴리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폴리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062B1
KR840001062B1 KR1019810002146A KR810002146A KR840001062B1 KR 840001062 B1 KR840001062 B1 KR 840001062B1 KR 1019810002146 A KR1019810002146 A KR 1019810002146A KR 810002146 A KR810002146 A KR 810002146A KR 840001062 B1 KR840001062 B1 KR 840001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cyclohexane
reaction
polyisocyanat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250A (ko
Inventor
요시오 가마다니
노리아끼 후지다
Original Assignee
다께다 야꾸힌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고니시 신베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께다 야꾸힌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고니시 신베에 filed Critical 다께다 야꾸힌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61/00 - C07D271/00
    • C07D27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61/00 - C07D271/00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ly one oxygen atom
    • C07D273/04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61/00 - C07D27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01Compounds forming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in situ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875Nitrogen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G18/7887Nitrogen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법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실시예 1 및 3에서 얻어진 생성물의 겔투과 크로마토그라피를 나타내는 도표.
본 발명은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 그 다량체 또는 그 부가체와 탄산개스를 반응시켜서 이루어진 옥사디아진 트리온 환(環)을 보유하는 폴리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리 우레탄 제조용 원료로서 순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혹은 방향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탄산개스와의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제안되어 있으나, 지환족(脂環族) 폴리 이소시아네이트, 특히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과 탄산개스와의 반응에 의한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예컨대, 종래 공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혹은 키시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부터 얻어지는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그 트리온 환을 폴리히드록시 화합물과 가열반응시켜서, 알로파네이트 결합을 생성시킴에 즈음하여, 상당한 높은온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폴리우레탄 원료로서 사용함에는 여러 가지의 제약이 있었다.
이 때문에 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반응성을 보유하는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다.
또, 이들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우레탄화 내지는 요소화하여 얻어지는 프레폴리마는 보존 안전성이 나쁘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과 탄산개스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하여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할 수가 있으며, 또한 이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이 종래의 순지방족 혹은 방향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탄산개스로 부터 유도되는 트리온 환에 비하여 보다낮은 온도에서의 반응성이 우수하며, 또, 보존안전성도 양호하다고 하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각종 폴리우레탄 원료로서 특히 바람직한 성질을 갖추고 있는 것을 발견하여, 재차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 그 다량체 또는 그 부가체와 탄산개스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으로서는 예컨대 1,4-비스 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 등이 있으며, 그 시스, 트랜스 어느 편의 이성체(異性體)라도 좋다.
또한, 이들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또, 그 이소시아네이트의 다량체로서는 예컨대 2량체, 3량체가 사용된다. 이들은 종래 공지의 2량화 혹은 3량화 촉매,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등의 3급 아민류, 예컨대 트리부틸포스핀, 디메닢페닐포스핀 등의 3급 포스핀류, 예컨대 초산칼슘, 초산칼륨, 안식향산나트륨 등의 금속유기산염류, 나트륨메톡시드 혹은 그외의 가용성금속화합물 등을 사용하여,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크로헥산에서 제조할 수가 있다.
또,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의 부가체로서는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과 활성수소화합물가의 반응생성물을 들을 수가 있으며, 예컨대 폴리올화합물(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그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롤프로판,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텔폴리올 등) 혹은 폴리아미노 화합물(예컨대 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페닐렌디아민, 폴리에테르폴리아민 등)을 통상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NCO기(基)가 과잉으로되도록 반응시켜서 얻어진 말단 NCO기를 보유하는 프레폴리마를 들수가 있다.
상술한 것같은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의 골격을 가지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는 다른 모노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고, 또 NCO기의 일부를 블럭화제로서 블럭화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 그 다량체 또는 그 부가체(이하 단순히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이라고 약칭한다)와 탄산개스와의 반응은 보통 촉매의존재하에서 실시한다.
이러한 촉매로서는 예컨대 트리에틸포스핀, 트리-n-브틸포스핀, 디메틸페닐포스핀, 디에틸시크로헥실포스핀, 1-에틸포스포란, 1-n-브틸포스포리난 등의 3급의 인화합물이 특히 요효하다. 또, 예컨대 트리-n-브틸아르신, 트리페닐아르신옥시드 등의 비소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히드로키논, 안스라히드로키논 등의 히드로키논류도 사용할 수 있다.
촉매의 사용량은 그 종류, 반응조건 등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에 대해서 약 0.001-10%(중량) 특히, 약 0.01-3%(중량)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반응에 사용되는 탄산개스는 반응개스중에 일부라도 용해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 한상태로서 사용해도 좋으며, 예컨대 탄산개스를 반응계내로 불어넣거나. 또 고체탄산을 반응계 중으로 공존시켜서 반응시킬 수도 있다.
또, 압력용기중에서 탄산개스, 액화탄산개스를 가압하에 반응시킬 수도 있다. 또, 반응은 용매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에서 행하여 진다. 용매로서는 소망하는 반응을 방해하지 않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으며, 예컨대 시크로헥산, 톨루엔, 초산에틸, 메틸에틸케톤, 테트라히드로퍼란, 초산 셀로솔브 등을 적당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 반응의 진행에 따라 반응액의 점도상승이 발생하므로, 반응도중에서 용매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반응온도는 촉매의 종류등에 따라서 다르나, 보통 -70℃~150℃의 사이에서 행할수 있다.
그러나, 본 반응은 특히 고온에서는 부작용,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의 중합등이 일어나기 용이하므로, -40℃~70℃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20℃~40℃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생성물은, 적외선 흡수 스펙톨, 핵자기 공명 스펙톨 등에서 옥사 디아진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통상 분자중에 1개 내지 수개(보통 2-5)의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로서 일부 미반응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한다. 사용하는 탄산개스, 촉매량 및 반응시간, 반응온도를 적당하게 조절하므로써 소망하는 반응률의 생성물을 얻을수가 있다.
일정한 반응률에 달하였을 때에는 탄산개스의 공급을 정지하고, 반응정지제를 첨가하므로써 반응을 정지 시킨다. 이와 같이 반응을 어떠한 시점에서 정지 시키는가에 따라서 저분자량의 것에서 고분자량의 것까지 얻을수가 있으나, 반응이 소망의 반응률에 달한점을 알려면, 보통 생성물을 필요한 량만큼 채취하여 NCO함량을 측정하는 방법, NMR에 의하여 NCO의 인근의 C에 결합한 H와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에 직결한 C에 결합한 H의 흡수를 측정하는 방법 혹은 점도를 측정하는 방법등이 사용된다.
또한 반응정지제로서는 예컨대 부로모초산에스텔, 트리클로로초산, 2,4-디니트로페놀, 시아노초산에스텔, 황산디메틸, 3불화붕소에테레이트, 염화벤조일, 메탄슬폰산, 옥화메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생성물을 예컨대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하기한 구조식으로서 표시되는 옥사 디아진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Figure kpo00001
n은 보통 1,2,3,4,…로서 표시되는 정수이며,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이들 정수로서 표시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생성한다.
이러한 생성물을 폴리우레탄 원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n의 평균값이 0.01-5, 특히 0.1-5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필요에 따라서 증류 혹은 추출 등의 분리방법에 의하여 모노마의 이소시아네이트를 분리하거나, 또 저분자량 부분과 고분자량 부분을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모노마에서 고분자량체까지의 혼합물인체로 이후의 폴리우레탄 제조원료로서의 반응에 사용하는 것도 물론가능하며, 목적에 따라서 적당히 처리하면 좋다. 또한, 상기한 구조식에 있어서 n이 1로서 표시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혹은 그것을 포함하는 생성물은 본 발명의 얻고자 하는 목적물의 하나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생성물은 옥사디아진트리온 환과 이소시아네이트기의 2종류의 활성인 기능기(Functional Group)를 보유하고 있으며, 물론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예컨대, 활성수소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폴리우레탄 수지로 할수가 있으나, 또 옥사디아진 트리온이 히드록시 화합물, 아미노화합물 등과 반응하는 것을 이용하여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폴리아미노화합물 등과 반응시켜서 이들의 체인연장제, 가교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다기능의 활성수소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말단에 활성수소기를 보유하는 프레폴리마로하여 이 말단기를 옥사디아진트리온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하여 자기가교형의 폴리마를 합성할 수도 있다.
이들은 어느 것이나 도료, 접착제, 성형물, 발포제(foam), 기타의 수지 등 폴리우레탄 수지의 용도에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으로 부터의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은, 히드록시화합물과의 반응에서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나, 키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에서 얻어진 옥사디아진트리온 환과 비교하면, 반응온도가 약 20℃ 낮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이 경우 3급 아민, 금속의 무기염, 금속의 유기화합물 등을 반응의 촉매로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도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으로 부터의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의 반응온도는 역시 동일하게 낮다.
또한, 체인연장제, 가교제 혹은 자기가교형 프레폴리마로서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을 함유하는 폴리우레탄으로 유도하였을 때에,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으로 부터의 옥사디아진트리온 유도체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키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으로 부터의 것과 비교하여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며, 또 장기간 보존하였을 때 안전성의 면에서도 우수하며, 이러한 점에서 실용성이 극히 높다고 하는 잇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시스, 트랜스혼합) 97g에 0℃에서 탄산개스를 100ml/min의 비율로서 흡입하면서 트리-n-부틸포스핀 0.4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4시간 반응한다. 탄산개스의 공급을 정지하고, 황산 디메틸 0.3g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다. 생성물의 중량은 2.6g증가하고 있으며, NCD 함유량은 36.6%이다.
이것을 박막 증발장치에 의하여 원료를 제거하면, 담황색 점성의 액체 26.5g이 얻어진다. 이것은 18.9%의 NCO함유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모노마 함유량은 1%이하이다. 이것을 5g을 10ml의 초산에틸에 용해하고, 메타놀 0.76g,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0.3mg을 첨가하여 60℃로서 2시간 반응을 행하여, NCO기는 소실시킨다.
생성물을 증발 건조경화시킨 후, 실리카겔 300g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클로로과포름초산에틸의 85:15 용출분에서 용매를 유거하여 수지상물질을 얻는다. 이것은 적외선 흡수스펙트라로서 우레탄 결합에 의한 3350, 1710 cm-1의 흡수와.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에 의한 1825, 1755, 1720cm-1의 흡수를 표시한다.
또,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제1도)로서는, 분자량 약 500(계산값 496)으로 단일의 피이크를 부여한다. 또한, 하기의 N.M.R 스펙트라 및 원소 분석값에서, 이것이 다음의 구조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Figure kpo00002
NMR(CDCl3중)
Figure kpo00003
원소분석
계산값 C 55.63 H 7.31 N 11.28
측정값 C 55.73 H 7.10 N 11.35
[실시예 2]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 582g에 10℃로서 탄산개스를 500ml/min의 비율로 불어넣으면서, 트리-n-부틸포스핀 6.0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 8시간 후, 탄산개스의 공급을 정지하고, 황산 디메틸 5.0g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다.
생성물의 점성의 액체로서 그 중량은 59g증가하고 있으며, 또 NCO 함유량은 19.4%이다. 이 적외선 흡수 스펙트라 및 NMR 스펙트라에 의하여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생성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실시예 3]
1,4-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 97g을 300ml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준비하고, 교반하며서 탄사개스를 송급한 후, 트리에틸포스핀 0.4g을 첨가하여 2-3kg/㎠의 탄산개스 압력을 유지하면서 35℃로서 반응시킨다. 6시간 후, 탄산개스를 방출한 후, 부롬초산에틸 0.3g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다.
생성물의 NCO 함유량은 20.7%이다. 적외선 흡수 스펙트라 및 NMR 스펙트라로서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생성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그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제2도에 표시한다.
[실시예 4]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 194g에 4g의 초산부틸에 용해한 트리메틸벤진 암모늄히드로시드의 40% 메타놀용액 0,04g을 첨가하여 실온하에서 3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염화 벤조일 0.2g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다.
생성물의 NCO 함유량은 39.0%(반응전은 43.2%)로 저하하고 있으며, 그 적외선 흡수스펙트라로서 1690cm-1로 흡수가 확인되는 것으로서, 이소시아누레이트가 생성하고 있는 것을 알수 있다.
여기에 20℃로서 탄산개스를 불어넣으며서, 트리-n-부틸포스핀 1.4g을 가하여 교반하면서 4시간 반응시킨다. 탄산개스의 공급을 질소로 대체한 후, 황산디메틸 1.2g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다. 생성물의 NCO 함유량은 25.9%이다.
이 적외선 흡수 스펙트라및 NMR스펙트라에 의하여 옥사디아진 트리온 환과 이소시아누레이트 환의 양자를 함유하는 생성물이 얻어지는 것이 확인된다.
[실시예 5]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크로헥산 194g과, 1,6-헥산디올 11.8g을 교반하면서 80℃로서 3시간 반응시킨다. 다음에, 30℃까지 냉각하고, 탄산개스를 통하면서, 트리엘틸포스핀 0.8g을 첨가하여 6시간 반응시킨다.
탄산개스의 공급을 정지하고, 브롬초산에틸 0.6g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면 생성물의 NCO함유량은 21.7%이다. 이것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라 및 NMR 스펙트라에서 우레탄 결합과 옥사디아진 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생성물이 얻어지는 것이 확인된다.
[참고예 1]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8g에 50℃로서 탄산개스를 300ml/min의 비율로서 불어넣으면서, 트리-n-부틸포스핀 1.2g을 첨가하여 6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 탄산개스의 공급을 정지하고, 황산디메틸 1.0g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면 생성물의 중량은 22g증가하고 있으며, 그 NCO 함유량은 20.2%이다. 이것은 적외선 흡수 스펙트라 및 NMR 스펙트라로서 온사 디아진트리온 환을 가지고 있는 풀리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이 확인 돌 수 있다.
[참고예 2]
메타키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94g 및 트리-n-부틸포스핀 0.2g을 사용하여, 실내온도에서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서 8시간 반응을 행하여 생성물을 얻는다. 그 중량 증가는 8.8g이며, NCO 함유량은 22.8%이다.
[실시예 6]
실시예 2-4 및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생성물을 폴리올 성분과 혼합한 후, 용매로서 희석하고 연강판 위에 분사하여 도장한다. 이것을 20분간 가열하여 약 40μ의 막두께의 도막으로 하였을 때의 경화온도 및 막의 성질을 다음표(表 1)에 표시한다.
[표 1]
Figure kpo00004
※ 아크릴폴리올, OH값 50, 불휘발분 50%, 대일본 잉크 화학공업 제품.
※※ 폴리에스텔폴리올, OH값 141, 불휘발분 75%, 다께다 야꾸힌 고오교오 제품.
[실시예 7]
실시예 2로서 얻어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5g을 초산 셀로솔브 10g에 용해하여, 트리에티렌 글리콜 7.5g 및 디부틸 주석디라우 레이트 1mg을 첨가하여 70℃로서 3시간 반응시킨다. 생성한 프레폴리마의 적외선 흡수스펙트라에서 NCO기는 대략 완전히 소실하고,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은 안정하게 잔존하고 있는 것을 알수 있다.
여기에 사용한 실시예 2로서, 얻어진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대신으로 참고예 1로서 얻어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3.5g을 사용하고, 또 참고예 2로서 얻어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3.6g을 사용하여 각각 NCO기를 함유하지 않은 프레폴리마를 합성한다.
이것들에 경화촉매로서 1,3-디아세톡시 테트라부틸 디스타녹산을 0.03% 참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각각 유리판 위에 도포하여 20분간 가열하여 경화시험을 행하고, 또 이것들을 실내온도에서 2주간 보존하였을 때의 용액의 안정성을 비교한 결과를 다음표(표 2)에 표시한다.
[표 2]
Figure kpo00005

Claims (1)

  1. 비스(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크로헥산, 그 다량체 또는 그 부가체와 탄산개스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사디아진트리온 환을 보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법.
KR1019810002146A 1980-06-23 1981-06-13 폴리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법 KR840001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548680A JPS579773A (en) 1980-06-23 1980-06-23 Production of polyisocyanate
JP55-85486 1980-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250A KR830006250A (ko) 1983-09-20
KR840001062B1 true KR840001062B1 (ko) 1984-07-30

Family

ID=1386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146A KR840001062B1 (ko) 1980-06-23 1981-06-13 폴리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43597A (ko)
EP (1) EP0043651A3 (ko)
JP (1) JPS579773A (ko)
KR (1) KR840001062B1 (ko)
CA (1) CA11489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9528A (ja) * 1981-12-23 1983-06-29 Takeda Chem Ind Ltd ポリウレタン樹脂用組成物
JPS58142956A (ja) * 1982-02-18 1983-08-25 Takeda Chem Ind Ltd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成型物の接着用プライマー
LU84242A1 (fr) * 1982-06-29 1984-03-07 Carbochimique Sa Sels d'oxadiazines 1,3,5 triones 2,4,6,oxadiazines 1,3,5 triones 2,4,6 et leur preparation
JPS60110716A (ja) * 1983-11-18 1985-06-17 Takeda Chem Ind Ltd ポリウレタン樹脂の製造法
JPS60115615A (ja) * 1983-11-25 1985-06-22 Takeda Chem Ind Ltd ポリウレタン化合物の硬化方法
DE3902078A1 (de) * 1989-01-25 1990-07-26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odifizierten, isocyanuratgruppen aufweisenden polyisocyanaten und ihre verwendung
DE4133572A1 (de) * 1991-10-10 1993-04-15 Bayer Ag Modifizierte polyharnstoffe
DE19611849A1 (de) * 1996-03-26 1997-10-02 Bayer Ag Neue Isocyanattrimerisate und Isocyanattrimerisatmischungen,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2000297130A (ja) * 1999-04-15 2000-10-24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ポリイソシアネートプレポリマー
JPWO2002077054A1 (ja) 2001-03-21 2004-07-15 三井化学株式会社 オキサジアジン環を有する末端封止イソシアネートプレポリマー、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面被覆材用組成物
US20040087754A1 (en) * 2002-10-31 2004-05-06 Paul Foley Polyurethane compounds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CA2516089C (en) * 2003-02-28 2013-05-1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eparation of isocyanurate group containing polyisocyanate mixtures
KR101250703B1 (ko) * 2004-09-03 2013-04-03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 및 코팅 조성물에서의 이들의 용도
CN102477251B (zh) 2010-11-22 2015-05-13 罗门哈斯公司 包含源自二(异氰酸根合甲基)环己烷和源自脂族二异氰酸酯的异氰尿酸酯组合物的双组分聚氨酯涂料组合物
JP5832651B2 (ja) * 2012-07-31 2015-12-16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太陽電池部材被覆材、被覆層付太陽電池部材、マイクロカプセルおよびインキ用バインダー
CN110982034B (zh) * 2019-11-29 2021-07-23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1,3-二异氰酸甲酯基环己烷组合物及其制备的光学树脂
CN114316201B (zh) * 2022-01-27 2023-12-22 浙江天和树脂有限公司 一种双组分聚氨酯树脂体系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8329A (en) * 1970-07-08 1973-07-24 Bayer Ag Compounds containing the 2,4,6-triketo-1,3,5-oxadiazine ring
JPS493000B1 (ko) * 1970-12-28 1974-01-23
JPS5117349B2 (ko) * 1972-06-01 1976-06-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9773A (en) 1982-01-19
EP0043651A3 (en) 1982-03-31
KR830006250A (ko) 1983-09-20
US4443597A (en) 1984-04-17
EP0043651A2 (en) 1982-01-13
CA1148948A (en) 198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1062B1 (ko) 폴리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법
US416008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lophanates which contain isocyanate groups
US4910332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isocyanates containing urethane groups and the products obtained
US3645979A (en) Process for copolymerization of aromatic and aliphatic polyisocyanates to form polyisocyanurates
US5512635A (en) Process for preparing linear monofunctional and telechelic difunctional polymers and compositions obtained thereby
US3248372A (en) Glycol modified isocyanurate containing polyisocyanates
JP4490813B2 (ja) ウレトジオン基を含むイソシアネート
CA2042004C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isocyanurate polyisocyanates, the compounds obtained by this process and their use
JP5043757B2 (ja) 淡色ウレトジオンポリイソシアネートの製造方法
JP2507415B2 (ja) イソシアヌレ−ト基含有ポリイソシアネ−トの製造方法
CA2162832A1 (en) Polyisocyanates containing allophanate groups
DE4405054A1 (de) Modifizierte (cyclo)aliphatische Polyisocyanatmischung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3729857B2 (ja) ビウレット基含有ポリイソシアネートの製法
US5750629A (en) Uretdione diisocyanates and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US295436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isocyanate polymerization products
US10626293B2 (en) Acrylic polyurethane coatings including polyether polyols
US4388245A (en) Process for preparing organic polyisocyanate compositions
US20030013872A1 (en) Method of dimerizing isophorone diisocyanate
KR20170074204A (ko) 반응성 올레핀 화합물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저급-단량체 1:1 단일부가물 및 히드록시-종결 폴리부타디엔으로부터 형성되는 아크릴레이트-종결 우레탄 폴리부타디엔
US415235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isocyanates containing biuret groups
US4389519A (en) Composition for polyurethane adhesives
DE1719121B2 (de) Verfahren zum Abdichten und Ausfüllen von Fugen
US4192936A (en) Preparation of polyisocyanates containing biuret groups
JPS6335655B2 (ko)
CN113286836B (zh) 基于双重固化的氨基甲酸酯和异氰脲酸酯聚合物的复合材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