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643B1 - 테이프 레코우더의 자동 정지기구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우더의 자동 정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643B1
KR840000643B1 KR1019800001001A KR800001001A KR840000643B1 KR 840000643 B1 KR840000643 B1 KR 840000643B1 KR 1019800001001 A KR1019800001001 A KR 1019800001001A KR 800001001 A KR800001001 A KR 800001001A KR 840000643 B1 KR840000643 B1 KR 840000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ler
cam
tape
lever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오 고다마
Original Assignee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우더의 자동 정지기구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레코우더의 자동 정지기구의 1실시예의 상면도 및 샤시를 떼어낸 상면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요부의 구성도.
제4(a)도 내지 제4(c)도는 각각 제3도에 표시한 자동정지 기구 부분의 요부의 동작 설명도.
제5도는 동 자동정지 기구부분의 다른 부분의 동작 설명도.
제6도는 빨리 보내기 및 되감기 때에 있어서의 자동정지기구의 설명도.
제7(a)도, 제7(b)도는 각각 캠 아이들러의 괘합부에서 검출레버의 검출핀이 이탈되는 동작의 설명도.
제8(a)도, 제8(b)도는 각각 캠아이들러가 플라이휘일의 아이들러부에 접촉될 때의 각도관계를 표시하는 설명도.
제9(a )도 내지 제9(c)도는 각각 포우즈기구를 동작시켰을 경우의 자동 정지기구와의 관게를 표시하는 동작 설명도.
제10도는 캠아이들러의 상세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1(a)도 내지 제11(c)도는 각각 캠 아이들러의 괘합부와 검출 핀과의 괘합관계의 설명도.
제12도는 요동레버와 검출레버를 일체화시킨 테이프 정지 검출레버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자동정지 기구의 구성도.
제13(a)도, 제13(b)도는 각각 캡스턴에 정전기를 띤 테이프가 감겨지는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
제14(a)도, 제14(b)도는 각각 테이프레코우더의 브레이크 기구를 표시하는 구성 및 동작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레코우더의 자동정지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근사에, 예를 들면 카세트 테이프레코우더 등에 있어서, 소형 경량화 및 저가격화등을 목적으로 하여 종래부터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든 샤시(chassis) 및 이샤시에 탑재되는 여러가지의 기구 부품등을, 모울드(mould) 성형에 의하여 제작하도록 한것 즉 플라스틱 메카니즘화의 개발이 성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플라스틱 메카니즘화를 도모하는 것은 소형 경량화 및 저가격화등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샤시 및 각종 기구부품의 형성이 용이함과 동시에, 특히 카세트 테이프레코우더에 있어서 특유한 조작부재의 조작시등에 발생하는 충격음이나 진동음을 흡수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메카니즘화가 베풀어진 카세트테이프레코우더에 있어서, 그 자동정지기구에 대하여서도, 오동작이 없고 확실한 동작을 기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카세트 테이프 레코우더의 다른 제기능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는 기구의 것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의거하여 된 것으로서, 오동작이 없고 확실하게 자동정지를 행할 수가 있고, 특히 플라스틱 메카니즘화가 베풀어진 테이프레코우더에 적합한 극히 양호한 테이프 레코우더의 자동정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을 플라스틱 메카니즘이 베풀어진 카세트 테이프 레코우더에 적용시켰을 경우의 1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의 기본 구성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11)은 카세트 테이프레코우더의 메인 샤시로서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샤시(11)의 앞쪽(도면중 아래쪽)에는 카세트 테이프레코우더를 소정의 동작상태로 하거나 정지상태로 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부재(12)가 화살표시 방향으로 접종자재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조작부재(12)중, (13)은 카세트 테이프레코우더의 소정의 동작상태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카세트 테이프를 는어내기 위한 이젝트(eject) 기구(14)를 동작시키는 정지겸 이젝트 조작부재이다. 또, (15)는 녹음 조작부재로서 이것이 조작되면 그 한쪽끝에 형성된 대략 L자형의 돌기편(151)(제2도 참조)에 의하여 재생조작부재(16)도 연동하여 동시에 조작되도록 되어져 있다. 또한, (17),(18)은 되감기 및 빨리 보내기 조작부재이고, (19)는 녹음 또는 재생의 동작상태를 일시정지 시키는 포우즈(Pause) 조작부재이다.
여기에서, 상기 샤시(11)의 상면에는 경금속제의 헤드샤시(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헤드샤시(20)는 상기 샤시(1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괘합돌부(掛合突部)(21),(22)에 그 절결부(23),(24)가 끼워 맞추어져서, 상기 재생조작부재(16)의 조작에 연동하여서 이 조작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접동자재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또, 이 헤 드샤시(20)의 소정부분에는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된 장치부재(25)(도면중 미소 점군으로 표시함)에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부재(25) 위에는 녹음재생헤드(26), 소거(消去)헤드(27) 및 스프링(28)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28)은 헤드샤시(20)와 재생조작부재(16)를 연동관계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치부재(25)에는 헤드 샤시(20)의 평면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여 직립하고 탄성을 가지는 2편으로된 협지부(挾持部)(251),(2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협지부(251), (252)는 전원계통의 접속선(도시하지 않음)을 협지하여 결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헤드 샤시(20)의 도면중 좌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된 장치부재(25)는 얇은 형상의 탄성편(253)이 형성되어 상기 샤시(1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괘합편(111)과 괘합자재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녹음재생헤드(26)는 도면중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리이드(lead)선(29),(30)을 사이에 두고 도시하지 않은 녹음재생용 회로에 접속되는 것이다.
또, 상기 헤드샤시(20)의 도면중 우측에는 이 헤드샤시(20)의 접동에 수반하여 회동국(31)을 중심으로 화살표시 A, B방향으로 회동자재하게 된 합성수지 재료로서 된 핀치레버(Pinch lever)(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핀치레버(32)의 일단에는 이 핀치레버(32)가 화살표시 A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플라이 휘일(Fly wheel)(46)과 같은 축 위에 설치된 캡스턴(Capstan)(33)과 압접되는 핀치 로울러(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샤시(11)의 후방(도면중 위쪽)에는 상기 카세트 테이프에 설치된 오소거(誤消去) 방지 갈고리의 유무를 검출하고 상기 녹음 조작부재(15)를 조작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합성수지 재료로서 된 오소거 방지기구(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36),(37)은 가이드 핀, (38),(39)는 좌우리일(reel)대, (40)은 모우터이다.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우더의 샤시(11)의 하면에 있어서의 각종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녹음, 재생, 되감기 및 빨리 보내기 조작부재(15) 내지 (18)은, 이들 각조작부재(15) 내지 (18)과 대략 직교되게 설치되고 각 조작부재(15) 내지 (18)과 괘합하여 화살표시 C, D 방향으로 접동자재한 록(lock)판(41)에 의하여, 조작위치에서 록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록판(41)과 대략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녹음, 재생, 되감기 및 빨리 보내기 조작부재(15) 내지 (18)과 괘합하여 화살표시 E, F방향으로 접동자재한 스위치슬라이더(slider)(42)는, 화살표시 E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모우터(40)의 전원공급용 스위치(43)를 온(ON)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재생 및 되감기 조작부재(16),(17)는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된 코일형상의 스프링(44)에 의하여 함께 도면중 아래쪽을 향하는 편기력이 부여되어 있다. 또, 녹음조작부재(15)는 그 대략 중간부에서 합성수지 재료로서 된 오녹음 방지 기구(45)에 의하여 다른조작부재 재생, 되감기 및 빨리 보내기 조작부재(16) 내지 (18)이 선행하여 조작된 상태에서는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어있다.
여기에서, 도면중(46)은 플라이 휘일로서 모우터(40)의 회전풀리(47)와 벨트(48)를 통하여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기본 구성으로 된 카세트 테이프 레코우더에 있어서, 다음에 그 자동정지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제2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우측 리일대(39)의 하부에는 대략 반원 형상의 마찰판(4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마찰판(49)은 우측 리일대(39)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인데, 소정이상의 힘으로 눌려지면, 우측리일대(39)가 회전하여도 이 리일대(39)와의 사이에 미끄럼이 생겨 정지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찰판(49)의 편평부분(491)과 대향하는 괘합부(501)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그 대략 중앙부에서 샤시(11)에는 돌출하는 핀(51)에 의하여 회동자재하게 지지되는 요동레버(50)가 설치된다. 이 요동레버(50)에는 대략 직교하여 검출레버(52)가 겹쳐서 설치된다. 그리고, 겸출레버(52)에 형성된 긴 구멍(521)에 상기 핀(51)이 끼워지고, 또한 검출레버(52)의 일단부에서 돌출하는 핀(522)이 요동레버(50)에 형성된 긴 구멍(502)과 끼워지는 것에 위하여, 양레버(50),(52)는 연동관계로 되어 있다. 또, 이 검출레버(52)의 타단부에는 검출핀(5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검출핀(23)은, 캠 아이들러(Cam idler)(53)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또한 그 일단이 그 내주로 향하여 돌출한 괘합부(54)를 가지는 구멍(531)과, 이 구멍(531)안에 캠 아이들러(53)와 약간 편심되어 설치된 회전 캠(55)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56) 안에 관삽(貫揷)되어있다.
또, 캠 아이들러(53)의 회전축(57)에는 도시하는 형상의 절환레버(58)가 회동자재 되어 있다. 이 절환레버(58)의 일단에는, 상기 샤기샤시(11)에 형성된 긴구멍(112)을 상통하여 헤드샤시(20)의 측측부와 접촉하는 괘합핀(581)(제1도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절환레버(58)는, 그 타단에 설치된 핀(582)에 일단이 괘지(掛止)되고, 타단이 샤시(11)에 형성된 돌부(113)를 말아감고 샤시(11)의 측벽에 괘지되는 토오션(torsion)스프링(59)에 의하여, 괘합핀(581)을 헤드샤시(20)에 압압하는 방향 즉 제2도중 화살표시 G방향의 편기력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검출레버(52)에는 검출 핀(523)의 근방에 경사부(5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사부(524)와 대향하는 괘합돌기(601)를 일단에 가지고, 타단에 구동 아이들러(61)를 회전자재하게 지지하고, 대략 L자형이고 그 모서리부로 회전축(602)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지지되는 자동정지기구레버(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동정지기구레버(60)는, 일단이 괘합돌기(601)에 괘지되고, 타단이 회동축(602)을 말아감고 샤시(11)의 측벽에 괘지되는 토오션 스프링(62)에 의하여, 도면중 반시계 방향의 회동편기력이 부여되어 있다. 상기 구동 이들러(61)에는 상기 록판(41)의 일단부와 충돌하는 괘합핀(61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자동정지기구레버(60)는, 토오션 스프링(62)의 편기력에 저항하여 도면중 기계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구동 아이들러(61)를 상기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와 접촉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검출레버(52)는 요동레버(50)에 대하여 스프링(63)에 의하여, 도면중 위쪽으로 인상되는 것과 같은 편기력이 부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진 자동정지 기구에 있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재생 및 녹음상태에서의 자동정지 기구에 대하여 기술하면, 재생조작부재(16)를 제2도중 위쪽으로 밀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여기에 연동하여 제3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헤드샤시(20)도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이때, 절환레버(58)는 토오션 스프링(59)의 편기력에 의하여 그 괘합핀(581)이 헤드샤시(20)의 일측부에 형성된 경사부(201)에 따라서 이동되는데에 수반하여, 같은 방향 즉 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한다. 그허면, 캠 아이들러(53)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고, 우측리일대(39)의 하부에 설치된 아이들러(64)와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에 접촉된다.
여기에서, 플라이 휘일(461)은 재생조작부재(46)가 조작되어 전원공급용 스위치(16)가 온이 된 시점에서 모우터(43)가 회전하므로, 여기에 연동하여 화살표시방향(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정한다. 그러면 플라이휘일(40)의 아이들러부(46)와 접촉하는 캠 아이들러(461)는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아이들러(53) 및 우측 리일대(64)를 도면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마찰판(49)도 우측리일대(39)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려고 하나, 그 편평부분(491)이 요동레버(50)의 괘합부(501)와 접촉되고, 결과로서 요동레버(50)에 핀(51)을 중심으로 도면중 시계방향의 회전 편기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 때문에, 검출레버(52)도 같은 방향의 회동 편기력이 부여되러 검출핀(523)이 회전 캠(55)에 압압되게 한다.
또한, 재생조작부재(16)가 조작되어 헤드 샤시(20)가 이동되면, 헤드샤시(20)에 장치된 토오션 스프링(65)의 작용에 의하여 핀치레버(32)가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핀치로울러(34)를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를 사이에 두고 캡스턴(33)과 접촉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통상의 안정된 재생상태에서는 검출레버(52)의 검출핀(523)은, 회동 캠(55)에 압압되어 있으므로, 캠 아이들러(53)가 회전하여도 제4(a)도→제4(b)도→제4(a)→ 제4(b)도……라는 상태를 반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테이프가 종단에 도달하여 우측리일대(39)의 회전이 정지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마찰판(49)에 의한 요동레버(50) 및 검출레버(52)의 회동 편기력이 부여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모우터(40)은 회전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플라이휘일(46)은 회전하고, 캠아이들러(53)도 회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검출레버(52)는 그 검출핀(523)이 제4(b)도에 표시하는 상태로 되어지면, 다음에 제4(a)도에 표시하는 상태로는 되지 않고, 그대로의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그리고, 제4(c)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캠 아이들러(53)가 회전하여오면, 그 괘합부(54)와 검출핀(523)이 괘합하고, 검출레버(52)를 스프링(63)(제2도 참조)의 편기력에 저항하여 도면중 아래쪽으로 끌어내린다. 이때, 검출 레버(52)의 경사부(524)와 자동정지기구 레버(60)의 괘합돌기(601)이 접촉하여, 자동정지기구 레버(60)를 토오션 스프링(62)의 편기력에 저항하여 제2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구동아이들러(61)는 플라이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와 접촉되어, 도면중 시게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구동 아이들러(61)의 괘합핀(611)이 제5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록판(41)을 충격하여 활살표시 C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그리고, 재생 조작부재(16)의 록판(41)에 의한 록이 해제되고, 여기에 자동정지기구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재생조작부재(16)의 록이 해제되면, 헤드샤시(20)는 다시 제1도에 표시하는 상태까지 되돌아간다. 그러면, 제3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절환레버(58)는 괘합핀(581)이 헤드 샤시20)의 경사부(201)에 밀려서 화살표시 G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절환레버(58)는 결국 제2도에 표시하는 상태까지 되돌려지고, 캠 아이들러(53)는 아이들러(64)와 아이들러부(461)로부터 자동정기구 동작후 즉시 이탈된다.
여기에서, 녹음상태의 경우의 자동정지기구의 동작에 대하여는, 녹음 조작부재(15)와 재생조작부재(16)가 함께 조작되고 있을 뿐이고, 기구적으로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설명할 수가 있으므로 생략된다.
다음에 빨리보내기 및 되감기 상태에 있어서의 자동 정지기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빨리보내기 및 되감기의 기구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제6도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리일대(38),(39) 사이에는 대략 L자형의 빨리보내기용 부재(6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빨리보내기용 부재(66)는 그 일단부가 샤시(11)에 형성된 회동축(67)에 의하여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이 빨리보내기용 부재(66)의 모서리부에는 회동축(661)이 설치되고, 이 빨리 보내기용 부재(66)와 겹쳐서 설치되는 대략 능형(菱形)의 되감기용 부재(68)가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되감기용 부재(68)에는, 2개의 회전축(69),(70)과 이들 회전축(69),(70)에 각각 지지되어 서로 교합하는 치차(71),(7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좌측리일대(38)에는 같은축위에 치차(71)와 교합가능한 치차(73)가 설치되고, 우측리일대(39)에는 아이들러(64)의 같은축위에 치차(72)와 교합 가능한 치차(74)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플라이 휘일(46)에도 같은 축 위에 치차(72)와 교합 가능한 치차(7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되감기용 부재(68)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76)에 의하여 잡아당겨져 도시하는 위치에서 안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금 되감기 조작부재(17)를 화살표 방향으로 조작하면, 되감기 조작부재(17)의 후단부에 형성된 L자형의 괘합편(171)이 회전축(69)을 도면중 위쪽으로 밀어 올린다. 그러면, 되감기용 부재(68)가 스프링(76)의 편기력에 대항하여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치차(71),(72)가 치차(73),(75)에 교합한다. 이 때문에, 치차(75)는 플라이휘일(46)과 같은 방향 즉 화살표시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치차(73)를 사이에 두고 좌측리일대(38)는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되감기가 되어지는 것이다. 또, 빨리 보내기 조작부재(18)를 조작하면, 빨리 보내기조작부재(18)의 후단부에 형성된 경사부(181)가 빨리 보내기용 부재(66)의 타단부에 설치된 돌기(662)를 밀어, 빨리 보내기용부재(66)를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치차(72)가 치차(74)와 (75)에 교합하고, 결과로서 치차(74)를 사이에 두고 우측리일대(39)를 도면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빨리 보내기가 되어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되감기 조작부재(17)와 빨리보내기 조작부재(18) 사이에는, 샤시(11)에 형성된 회전축(77)에 지지되고, 일단이 치차(71)의 회전축(69)에 지지되고 또한 타단에 사익 캠 아이들러(53)의 회전축(57)과 접촉가능한 경사부(781)를 가지는 자동정지용부재(78)가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지금 되감기 상태로 하면, 되감기용 부재(68)가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자동정지용 부재(78)도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자동정지용 부재(78)의 경사부(781)가 캠 아이들러(53)의 회전축(57)을 도면중 아래쪽으로 압압하여, 캠 아이들러(53)를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에만 접촉시킨다.
다음에, 상기한 것과 동일하게, 테이프가 되감기 상태에 있을 때에는, 우측리일대(39)가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먼저 제2도, 제3도 및 제4(a)도, 제4(b)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하여서 안정된 되감기가 되어진다. 그리고, 테이프가 종단에 도달하면 제4(c )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하여서 되감기 조작부재(17)의 록이 해제되어 자동 정지가 되어지는 것이다. 또, 자동정지후는 자동정지용 부재(78)는 제6도에 표시하는 상태로 되고, 캠 아이들러(53)는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에서 이탈한다.
또한, 빨리보내기 상태에서도 빨리 보내기용 부재(66)가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되감기용 부재(68)와 빨리 보내기용 부재(66)와의 연결관계에 의하여, 결과로서 자동정지용 부재(78)가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캠 아이들러(53)를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에만 접촉시킨다.
그리고, 그 다음은 되감기와 동일하게 테이프가 종단에 도달하면 빨리보내기 조작부재(18)의 록이 해제되어 자동정지가 되어지는 것이다. 또, 자동정지후는 캠 아이들러(53)는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에서 이탈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포우즈 조작부재(19)를 조작하였을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제3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녹음 또는 재생등의 테이프 정속(定速) 주행 상태에서 포우즈 조작부재(19)를 조작한다. 그러면 제2도에 표시하는 포우즈 조작부재(19)의 후단부에 형서된 절곡편(191)이 절환레버(58)의 샤시(11) 측벽으로 뻗어나오는 돌출부(583)를 제3도중 위쪽으로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하여 캠 아이들러(53)가 우측리일때(39)의 아이들러(64)와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플라이 휘일(46)의 회전력이 우측리일대(39)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테이프 정속주행의 일시정지가 되어지는 것이다.
또, 재생 빨리보내기(큐(Cue)나 재생되감기(레뷰우 (Review)) 등이 되어져 있어도, 캠 아이들러(53)와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는 결과적으로 접촉하는 것으로 되므로, 자동정지를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자동정지기구에 의하면, 녹음 또는 재생등의 테이프 정속주행상태에서는 캠아이들러(53)를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와 우측리일대(39)의 아이들러(64)에 접촉시키고, 빨리보내기 또는 되감기등의 테이프 고속주행상태에서는 캠 아이들러(53)를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에만 접촉시킬 수가 있어, 테이프 정속주행 및 테이프 고속주행의 어느 경우에도 안정되고 또한 확실하게 자동정지를 행할 수가 있다.
또, 테이프 정속주행 및 테이프 고속주행의 어느 상태에서도, 자동정지후는 캠 아이들러(53)와 플라이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는 이탈되므로, 다음의 테이프 레코우더의 동작에 영향을 주는 일도 없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테이프 정속주행 상태에서 캠 아이들러(53)를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와 우측리일대(39)의 아이들러(64)에 함께 접촉시키고, 테이프 고속주행 상태에서 캠 아이들러(53)를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 하고만 접촉시킴과 동시에, 자동정지후는 캠 아이들러(53)를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에서 이탈시키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으로 되는 부분이다.
여기에서, 자동정치 종류후의 캠 아이들러(53)의 괘합부(54)와 검출레버(52)의 검출핀(523)과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즉, 제7(a)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테이프가 종단에 도달하고, 먼저 기술한 바와 같이 하여서 캠 아이들러(53)의 괘합부(54)와 검출레버(52)의 검출핀(523)이 괘합하여 검출레버(52)를 스프링(63)의 편기력에 저항하여 도면 중 아래쪽으로 잡아당기고, 그 결과 어느 것인가의 조작부재(15),(16)(17) 또는 (18)이 해제되면, 캠 아이들러(53)는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에서 이탈하고 바같힘이 걸리지 않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이때에는 아직 검출레버(52)의 검출핀(523)이 캠 아이들러(53)의 괘합부(54)와 괘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제7(b)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스프링(63)의 편기력에 의하여 검출레버(52)가 도면중 위쪽으로 끌려진다.
따라서, 검출레버(52)의 검출핀(523)이 캠 아이들러(53)의 괘합부(54)를 밀게되고, 캠 아이들러(53)는 도면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7(b)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되면 검출레버(52)의 검출핀(523)은 괘합부(54)에서 완전히 이탈할 수가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다음 동작때에, 검출핀(523)과 괘합부(54)를 벗기지 않아도 되어 대단히 편리하다. 또 캠 아이들러(5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검출 핀(523)을 괘합부(54)에서 확실하게 벗길 수가 있고, 오동작이 생기는 일고 없다.
다음에, 먼저 제6도에서 설명한 자동 정지용 부재(78)의 경사부(781)가 캠 아이들러(53)의 회전축(57)을 밀때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 자동정지기구는, 캠아이들러(53)가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와 접촉되어 회전하고 그 회전력을 사용하여서 검출레버(52)를 이동시키는 것이므로, 캠 아이들러(53)와 플라이 휘일(16)의 아이들러부(461)와의 회전력 전달 관계를 허실없이 확실한 것으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8(a)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캠 아이들러(53)의 회전축(57)의 중심에서 자동 정지용 부재(78)의 경사부(781)로 내린수직선 Ⅰ과, 이 회전축(57)의 중심에서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의 중심으로 그은 선 Ⅱ가 이루는 각 θ1
90˚<θ1<180˚
이 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은 관계로 하면 캠 아이들러(53)를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먹혀들어간 것으로 되는 방향에서 접촉시킬 수가 있고, 아이들러부(461)의 회전력을 허심없이 확실하게 캠아이들러(53)에 전달시킬 수가 있다.
또, 환언하면 상기 θ1을 제8(b)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캠아이들러(53)가 우측 리일대(39)의 아이들러(64)와 접촉할 때의 먹혀들어간 각도 θ2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잡는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특히 상기 θ1은 110˚<θ1<130˚정도의 범위가 가장 이상적인 효과를 얻는다고 하는 것이 실험상으로 명백하게 되어 있다.
또한, 캠아이들러(53)의 회전축(57)을 압압하여서 이 캠아이들러(53)를 플라이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에 접촉시키는 부재로서는, 자동정지용 부재(78)에 한정되지 않고, 요컨대 테이프 고속 주행용의 조작부재에 연동하는 부재를 사용하면 된다고 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한 포우즈 조작부재(19)가 조작된 뒤 해제되면, 캠아이들러(53)는 먼저 우측리일대(39)의 아이들러(64)에 접촉하고 나서, 플라이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와 접촉하게 되는 위치관계로 되어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테이프가 재생상태에서 주행하고 있을 때에 포우즈조작부재(19)를 조작하면, 제9(a)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캠아이들러(53)가 우측리일대(39)의 아이들러(64)와 플라이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로부터 이탈한다. 이때 우측리일대(39)의 회전이 정지하기 때문에 검출레버(52)에는 그 검출핀(523)을 회전캠(55)에 압압하는 것과 같은 편기력이 부여되지 않게 된다. 그러면 검출핀(523)은 캠 아이들러(53)의 구멍(531)과 회전캠(55)사이의 공간(56)안의 임의의 위치에서 머물게 된다.
이 제9(a)도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포우즈 조작부재(19)를 원위치로 조작해제하였을 때, 만약 제9(b)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캠아이들러(53)가 플라이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에 먼저 접촉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플라이휘일(46)은 도면중 화살표시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그 아이들러부(461)와 접촉된 캠아이들러(53)도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이때에는 검출레버(52)에는 그 검출핀(523)을 회전캠(55)에 압압하는 편기력이 아직 부여되어 있지 않고, 또한 캠아이들러(53)가 아이들러부(461)와 접촉되기 때문에 도면중 화살표시 G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검출핀(523)은 캠아이들러(53)의 구멍(531)의 최외주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캠아이들러(53)의 괘합부(54)와 검출레버(52)의 검출핀(523)이 괘합하고 포우즈 조작부재(19)를 해제하면 즉시 자동정지가 되어져 버린다고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러나, 제9(c)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캠아이들러(53)를 먼저 우측리일대(39)의 아이들러(64)와 접촉시키도록 하면, 그후 캠아이들러(53)가 플라이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와 접촉하고, 이 회전력이 캠아이들러(53)를 통하여 아이들러(64)에 전달되면 즉시 검출레버(52)에는 그 검출핀(523)을 회전캠(55)에 압압하는 것과 같은 편기력이 부여되므로, 괘합부(54)와 검출핀(523)이 괘합되는 일없이, 안정된 재생상태에 들어갈 수가 있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캠아이들러(53)가 우측리일대(39)의 아이들러부(64)와 접촉되고 나서 플라이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와 접촉될 때까지의 시간은 예를 들면 ±0.05〔sec〕∼0.1〔sec〕정도 있으면 충분하고, 실제로는 캠아이들러(53)를 아이들러(64)와 아이들러부(641)에 대략 동시에 접촉시킨다고 생각하여도 지장이 없다.
여기에 있어서, 상기한 것을 환언하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가 있다. 즉 포우즈 조작부재(19)를 조작하였을 때의 캠아이들러(53)을 아이들러(64) 및 아이들러부(461)로 부터 떨어지게 하는 거리(스트로우크(stroke))를, 제10도에 표시하는 회전캠(55)과 괘합부(54)사이의 거리(스트로우크)
Figure kpo00001
보다도 작게 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제9(b)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캠아이들러(53)를 먼저 플라이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에 접촉시켜도, 검출레버(52)의 검출핀(532)이 구멍(531)의 최외주부분에 위치하는 일이 없으므로, 오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캠아이들러(53)의 괘합부(54)는 제11(a)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검출레버(52)의 검출핀(523)과 괘합되었을 때, 이 검출핀(523)을 구멍(531)의 최외주부분과의 사이에 끼워놓도록 한 형상으로 되어져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괘합부(54)에 의하면 제11(b)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검출핀(523)이 괘합부(54)의 선단(541)에 접촉되어도, 도면중 점선으로 표시하는 위치까지 물어 넣을 수가 있고, 확실한 괘합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검출핀(523)이 제11(b)도중 점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있는 것은, 제11도중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서 괘합되었을 때에 비하여, 이 검출핀(523)을 도면중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크게 잡을 수가 있다. 즉 캠 아이들러(53)는 그 외주부분을 구동원인 플라이 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와 접촉시켜서 회전력을 얻는 것이므로, 캠 아이들러(53)의 최외주 부분에 가까운 위치에서 검출핀(523)이 괘합된편이 보다 큰 구동력을 검출핀(523)에 줄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점에 관하여, 종래의 괘합부(1)는 제11(c)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형상이었다. 이 때문에 검출핀(523)이 도시하는 위치에서 괘합되었다고 하면, 괘합이 벗겨지기 쉽고 오동작을 초래하기 쉬움과 동시에 캠아이들러(2)의 최외주 부분에서 가장 먼 위치에서 괘합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력을 충분히 잡을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괘합부(54)를 제11(a)도, 제11(b)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하면 검출핀(523)과 괘합부(54)와의 괘합을 확실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검출핀(523)에 충분한 구동력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우측리일대(39)의 회전이 정지한것을 검출하기 위하여, 요동레버(50)와 검출레버(52)의 2개의 레버를 사용하였으나, 이것은 1개의 레버라도 동작이 가능한 것이다. 제12도는 요동레버(50)와 검출레버(52)를 일체화 시킨 경우의 자동 정지기구의 1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즉, 우측리일대(39) 제12도에서는 도시하지 않음과 같은 축위에 설치된 마찰판(49)의 편평부분(491)과 대향하는 괘합부(791)가 돌출 형성되고, 도면중 상단부에서 상기 샤시(11)에 형성된 회동축(80)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되는 테이프 정지 검출레버(79)가 설치된다. 이 테이프 정지검출 레버(79)의 도면중 하단부에는, 상기 자동 정지기구 레버(60)의 괘합돌기(601)와 괘합되는 괘합부(792) 및 선단부에 검출핀(81)이 형성된 검출부(79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검출핀(81)은, 캠아이들러(82)의 중앙부에 약간 편심하여 형성되는 구멍(821)과, 이 구멍(821)안에 설치되고 일단에 괘합부(83)가 형성된 회전 캠(84)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85)안에 관삽되어 있다. 이 캠아이들러(82)는 상기한 캠 아이들러(53)와 동일하게 그 회전축(82)을 도시하지 않은 절환레버에 장치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예를들면 테이프 레코우더를 재생상태로 하면, 캠 아이들러는 제12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우측 리일대의 아이들러(64)와 플라이휘일(46)의 아이들러부(461)에 접촉된다. 그러면, 아이들러(64)가 화살표시 방향으로 회전하고 마찰판(49)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나. 그 편평부분(491)이 테이프정지 검출레버(79)의 괘합부(791)와 접촉되고, 결과로서 테이프 정지 검출레버(79)를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때문에, 테이프 정지 검출 레버(79)의 검출핀(81)에 캠아이들러(82)의 구멍(821)의 최외주면과 접촉되고, 이 검출핀(81)은 회전캠(84)의 괘합부(83)와는 괘합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테이프고 종단에 도달하고, 마찰판(49)에 의한 테이프 정지 검출레버(79)로의 도면중 시계방향의 회동 편기력이 부여되지 않게되면, 검출핀(81)은 캠 아이들러(82)의 구멍(821)의 최외주면에 따라서 이동되고, 이 구멍(821)의 가장 안쪽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정지된다. 그러면, 검출핀(81)에 회전 캠(84)의 괘합부(83)가 괘합되고, 전체적으로 테이프 정지 검출레버(79)를 도면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테이프 정지 검출레버(79)의 검출부(792)가 자동정지기구 레버(60)의 괘합돌기(601)와 괘합되고, 이 자동정지기구레버(60)를 제2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여기에 자동정지가 되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1개의 테이프 정지 검출레버(79)를 사용하여도,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요동레버(50)와 검출레버(52)를 사용하여도, 이 자동정지기구는 동작하는 것이나, 2개의 레버(50),(52)를 사용한편이 서로의 레버(50),(52)의 자유도를 크게 잡을 수가 있고, 동작을 무리없이 원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라스틱 메카니즘화가 베풀어진 카세트 테이프 레코우더에서는, 특히 테이프에 정전기가 괴이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제13(a)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캡스턴(33)에 접촉되고 화살표시 H방향으로 테이프(86)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지겸 이젝트 조작부 재(13)(제1도 참조)를 조작하여 테이프(86)의 주행을 정지시키면, 도시하지 않은 플라이 휘일이 관성에 의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이 플라이 휘일과 같은 축위에 설치된 캡스턴(33)도 회전을 계속한다. 이때, 제13(b)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테이프(86)에 정전기가 괴어있으면, 캡스턴(33)에 테이프(86)가 잡아 당겨져 감겨지는 등의 원하지 않는 사태를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제14(a)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스위치 슬라이더(42)에, 대략 <자형으로 일단에 브레이크 슈우(shoe)(87)가 장치되고, 또한 그 모서리부가 스위치 슬라이더(42)에 형성된 회동축(421)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되는 브레이크 레버(88)를 설치한다. 이 브레이크 레버(88)는 타단에 장치된 스프링(89)에 의하여 도면중 반시계 방향의 편기력이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녹음. 재생, 빨리보내기 또는 되감기의 어느 조작부재(15),(16),(18) 또는 (17)도 조작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14(a)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브레이크 슈우(87)가 스프링(89)의 편기력에 의하여 플라이 휘일(46)을 압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예를들면 되감기 조작부 재(17)를 조작하였다고 하면, 제14(b)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스위치 슬라이더(42)가 도면중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브레이크 슈우(87)와 플라이 휘일(46)이 이탈된다. 이때, 브레이크 레버(88)는 스프링(89)의 편기력에 의하여 도면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려고 하나, 그 회동은 브레이크 레버(88)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절곡편(881)이 스위치 슬라이더(42)의 일측면과 접촉될때까지를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정지겸 이젝트 조작부재(13)를 조작하여서 되감기 조작부 재(17)를 원위치에 조작합제 하였다고 하면, 다시 제14(a)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브레이크 슈우(87)와 플라이 휘일(46)이 접촉되고, 플라이 휘일(46)의 관성에 의한 회전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테이프(86)에 정전기가 괴어있어도 캡스턴(33)에 테이프(86)가 감겨진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외에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시켜서 실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동작 없이 확실하게 자동정지를 행할수가 있고, 특히 플라스틱 메카니즘화가 베풀어진 테이프 레코우더에 적합한 극히 양호한 테이프 레코우더의 자동정지 기구를 제공할수가 있다.

Claims (1)

  1. 테이프 주행에 연동하는 아이들러(64)와, 테이프 주행에 관계없이 회전하는 아이들러부(461)와, 재생조작부 재(16) 또는 되감기 조작부 재(17) 및 빨리 보내기 조작부 재(18)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아이들러(64) 및 아이들러부(461)에 함께 또는 상기 아이들러부(461)에 접촉하는 캠아이들러(53)와, 상기 아이들러(64)의 회전력에 의하여 일방향의 편기력을 받는 마찰판(49)및 상기 캠아이들러(53)에 연동하여 상기 마찰판(49)의 편평부분(491)이 접촉되는 회전 캠(55) 및 상기 캠 아이들러(53)에 연동하여 상기 마찰판(49)의 편평부분(491)과 괘합자재한 요동레버(50)로서된 테이프 정지검출 기구와, 이 테이프 정지 검출기구로부터의 검출출력에 응동하여서 테이프 레코우더를 소정의 동작 상태로 하는 조작부재(16,17,18)를 조작 위치에서 해제시키는 해제기구(583,60,61)로 되는 테이프 레코우더의 자동정지기구에 있어서, 상기 재생조작부 재(16) 또는 고속주행용 조작부 재(17,18)가 조작 위치에서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캠 아이들러(53)를 상기 아이들러부(461)에서 이탈시키는 기구(20,581)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우더의 자동 정지기구.
KR1019800001001A 1980-03-11 1980-03-11 테이프 레코우더의 자동 정지기구 KR840000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001A KR840000643B1 (ko) 1980-03-11 1980-03-11 테이프 레코우더의 자동 정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001A KR840000643B1 (ko) 1980-03-11 1980-03-11 테이프 레코우더의 자동 정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643B1 true KR840000643B1 (ko) 1984-05-02

Family

ID=19215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001A KR840000643B1 (ko) 1980-03-11 1980-03-11 테이프 레코우더의 자동 정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64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46055B2 (ja) 記録再生装置
US4329720A (en) Cassette tape recorder with stop mechanism which detects the stop of a tape run
US4018404A (en) Automatic tape stopping detective device in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150983B2 (ko)
KR840000643B1 (ko) 테이프 레코우더의 자동 정지기구
WO1990004250A1 (en) Driving mechanism of tape recorder
JPH0150984B2 (ko)
JPS6020177Y2 (ja) テ−プレコ−ダの連結機構
US4805044A (en) Idler gear cut-off mechanism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US4455002A (en) Tape guide device of a magnetic tape driving apparatus
US4646174A (en) Magnetic tape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utomatic stop mechanism
JPS6013069Y2 (ja) テ−プレコ−ダの自動停止機構
JPS6037704Y2 (ja) テ−プレコ−ダの自動停止機構
EP0045328B1 (en) A loading mechanism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JP3072739B2 (ja) 操作レバー装置
JP2667843B2 (ja) テープレコーダ
JPH033296B2 (ko)
JPS5923239Y2 (ja) テ−プレコ−ダの可動部材摺動機構
JP266984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10587Y2 (ko)
JPS6349869Y2 (ko)
JPH05135451A (ja) 磁気記録及び再生機のデツキ機構
KR86000174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구동장치
US4597024A (en) Tape recorder having soft-touch control of an erase head
JPH0739082Y2 (ja) カセットテーププレー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