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511B1 - 가소성 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개량된 방법 - Google Patents

가소성 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개량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511B1
KR840000511B1 KR1019810001936A KR810001936A KR840000511B1 KR 840000511 B1 KR840000511 B1 KR 840000511B1 KR 1019810001936 A KR1019810001936 A KR 1019810001936A KR 810001936 A KR810001936 A KR 810001936A KR 840000511 B1 KR840000511 B1 KR 840000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ir
tubular film
blow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992A (ko
Inventor
시게오 후지다니
요우이찌 마쯔스다
Original Assignee
닙뽕 유니카 캄파니 리미티드
고바야시 고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34936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4000051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닙뽕 유니카 캄파니 리미티드, 고바야시 고레다 filed Critical 닙뽕 유니카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3000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992A/ko
Priority to KR1019830005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15Cooling of hollow articles
    • B29C48/912Cooling of hollow articles of tubular films
    • B29C48/913Cooling of hollow articles of tubular films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9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flattening, folding or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소성 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개량된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치 단면도.
제2도는 수평류(水平流) 형태의 에어링(air ring)이 설치된 필름성형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유동비(flow up ratio)와 투명도(haze)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블로운 필름(blown film) 압축에 의하여 가소성 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개량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로운 필름 압출에 의한 튜우불러 필름(tubular film)의 제조는 압출기에서 용융된 수지를 서큘러다이(circular die)로 부터 튜브형태로 압출하고, 튜우불러 필름의 외부표면에 각 공기를 분출하여 압출직후 분출된 튜우불러 필름을 냉각 및 고화시키고 또한 이 튜우불러 필름을 핀치를(pinch roll)로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가소성 필름은 포장 건축 건축설계 및 농업등 그 용도가 광범위하다.
대부분의 경우에, 가소성 필름의 정결성(clarity)이 약간만 개선되더라도 바람직하게 되는 이유는 정결성의 개선은 가소성 필름의 값어치를 높이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비교적 우수한 정결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밀도의 폴리에틸은 폴리프로필렌의 널리 시판되고 있는 지역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그 이유는 폴리프로필렌은 비록 그 가격은 비싸지만 일반용도의 수지중에서 가장 정결성이 좋기 때문이다.
블로운 필름 압출에 의해서 제조된 블로운 튜우불러 필름의 정결성 및 광택을 개선하는 일은 오랫동안 기다려온 해결해야 할 문제점의 하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예를들면 다이(die)로부터 나오는 튜우불러 필름이 열 또는 가열에 유지되도록 하는 침니(Chimeny) 또는 원통형체의 장치가 제안되었다[일본국 특허공보(소) 제37-1225호 및 (소) 제38-24593호]. 그러나 이 방법은 침니가 통상의 에어링과 결합될 경우, 최종필름의 물리적 성질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냉각을 하지 못하고 공정안정성이 만족스럽지 않고, 생산성도 또한 너무 낮기 때문에 상업용 제조에는 부착합하다. 다른 한편, 냉각을 강화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며, 이 제안된 방법중 약간은 가격인하를 필요로하는 시장성 요구에 부합하도록 "고속 블로운-필름압출법"으러써 실용화되었다. 예를들면, 에어링이 분리된 아주 가는 기류 변환실린더(air flow rectifying cylinder)에 의해서 블로운 튜브를 강하게 냉각하여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일본국 특허공보(소) 제47-4947호]. 더우기, 튜우불러 필름의 주행 방향으로 기류를 변경시키고 또한 실린더와 에어링 사이의 구멍을 통하여 제2의 냉각공기를 주입하는 팽창실린더를 사용하여 냉각을 강화시키는 개량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일본국 실용신안공보(소) 제52-12791호 및 일본국 특허공보(소) 제53-8339호 및 (소) 제54-8390호].
선행기술의 문헌들은 냉각기류를 증진시키고, 튜우불러필름의 불안정성을 제거하여 어느정도 고속성형이 기능한 방법들을 기술하였다. 실제로, 이들 방법증 몇가지는 최종필름의 기계적 성질을 성공적으로 개선하였지만, 이들 방법중 어느것도 광학적 성질, 특히 정결성을 크게 증진시키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블로운 필름 압출에 의해서 고도의 정결성을 갖는 극히 우수한 튜우불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이로부터 압출된 융용튜우불러 필름을 제1밀페공간에서 어니일링(annealing)시킨직후, 상기 튜우불러 필름의 주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냉각공기와 접촉하는 도중 상기 튜우불러 필름을 제2밀폐공간에서 팽창 및 고화시킴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을 첨부하여 서술한다.
제1도에 있어서, 압출기(1)는 에어포트(air port, 4)와 다이립(die lip, 3)을 갖는 다이(2)가 설치되어 있으며 융용튜브(5)에 압출된다. 150 내지 700mm의 높이와 다이립(3)의 직경보다 1.1 내지 5배의 직경을 갖는 원통형체의 어니일링 챔버(6)는 다이립(3)으로부터 압출되며 또한 다이(2)와 밀폐되게 접하는 용융튜브(5)와 동심으로 다이(2)의 출구에 위치한다. 에어링(7)은 어니일링 쳄버(6)와 동심으로 또는 밀폐되게 접하는 어니일링 챔버(6)의 출구에 위치한다. 기류 변환 실린더(11)는 에어링(7) 위에 위치한다. 가이드플레이드(giude plate, 13)과 핀치롤(14)은 냉각된 튜우불러 필름을 권취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에어링(7)은 그의 외주상의 적당한 위치에 공기입구(12)가 설치되었다. 하부 플레이트링(8)과 상부플레이트링(9)은 냉각공기가 튜우불러 필름(5)의 축과 직각에서 분출되는 불루운 오프 슬리트(blown off slit, 16)와 접하는 수평원통형 공기통로(17)를 형성한다. 상부 플레이트링(9)은 기류변환실린더(11)에 의해 둘러 싸인 부분에 구멍(10)이 있으며, 이 구멍은 다수의 슬리트 및 또는 소공(15)이 있다. 이 구멍은 그의 개구(開口)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150 내지 500의 높이와 다이립의 직경보다 1.5 내지 6.5배의 직경을 갖는 직립기류변환실린더(11)는 에어링의 상부 플레리트링(9)에 밀폐되게 위치한다. 기류변환실린더는 블로운필름이 그 속에서 주행하는 동안 이들과 접촉하지 않고, 또 튜우불러 필름이 벤튜리(Venturi) 효과에 의해 야기된 과잉의 팽창력을 받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튜우불러 필름을 안정시키기 위해 가이드롤을 핀치롤(14) 앞에 설치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장치를 사사용한 본 발명의 필름성형방법에 있어서 다이립(3)으로부터 압출된 용융튜우불러 필름(5)은 어니일링 챔버를 통과하면서 필름형체에 어떠한 변화도 없이 표면 원할성이 증진되도록 점차적으로 가열 또는 냉각된다. 융용 튜우불러필름(5)이 어니일링챔버(6)의 상단을 횡단하자마자 튜브의 축과 직각에서 에어링(7)의 블로우 오프 슬리트(blow off slit, 16)부터 분출하는 상당량의 냉각공기가 필름을 급냉시킨다. 동시에 용융튜우불러 필름(5)은 에어포트(4)로부터 주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팽창한다. 이 팽창된 튜우불러 필름은 주행함에 따라 구멍(10)으로부터 공급되어, 튜우불러 필름을 따라 유출하는 냉각공기에 의해서 더욱 냉각 및 고화된다. 마지막으로, 고화된 튜우불러 필름은 핀치롤(14)로 권취한다.
상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름은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블로운 튜브 필름과 비교해 볼때 정결성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성취된 개선된 정결성은 튜우불러 필름에 공기를 수직으로 분출하는 것이 좋지 않다는 과거의 실시경험과는 상반되는 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거의 실시경험은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에어링을 더욱 정확하게 설치한 결과로써 또는 기류변화 실린더 및 튜우불러 필름 주행과 수평방향으로 상부 플레이트링에 의해 얻어진 고정결성 필름은(1) 상술된 구멍에서 나오는 공기에 의한 강한 냉각, (2)기류변환실린더에 의해 성취된 튜우불러 필름의 개선된 안정성, (3)공기의 수직분출에 의해 성취된 급냉, 또는 (4)필름냉각의 결과로써 발생된 따뜻한 배출공기의 신속한 제거등의 공통 작용효과의 결과라 생각된다.
비록 저밀도의 플리에틸렌이 여러가지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다른 가소성수지보다 정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적용을 할 수 없다는 관점에서 볼 때 본 발명은 저밀도의 폴리에틸렌이 정결성에 있어 다른 가소성 수지와 경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실시예 1]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장치에 설치된 40mm 압출기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은 조건하에 튜우불러 필름을 제조한다 : 서어큘러 다이 슬리트의 직경 : 75mm, 어니일링 챔버 : 높이 200mm, 직경 285mm, 에어링 : 상부 플레이트링은 15개의 소공을 갖는다.
동결선(frost line)의 위치 : 상기 에어링의 바로 위, 기류변환실린더 : 직경 300mm, 높이 200mm. 에어링의 블로우슬리트에서 공기 : 에어링의 상부링의 구멍에서 공기의 유출비=12 : 1, 에어링의 블로우 오프슬리트에서 공기속도 : 6.2m/sec, 냉각공기의 온도 : 200℃, 필름권취속도 : 12m/min, 분출비 : 2. 0, 필름두께 : 0.04mm, 원료 : 용융지수 2.4와 밀도 0.924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NUC-8150[일본유니카(주) 제품].
생성된 필름의 투명도와 광택(광학적 특성에 대한 표준도)은 다음 표 1과 같다.
[비교예]
튜우불러 필름은 에어링의 불로우오프 슬리트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조건하에서 제조된다. 변형된 블로우오프 슬리트는 소위 수평류(流) 형태(냉각 공기를 튜우불러 필름 주행과 수평방향으로 분출함)라고 불리우며, 이것은 공지된 문헌에 따르면 좋은 결과를 부여한다고 서술되어있다. 예기한 것과는 달리 생성된 필름은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것보다 투명성이 확실히 더 부족하다. 투명도에 관해서는 상기 비교예 1에 사용된 에어링은 통상의 것보다 우수하지만, 이것은 다음표 1에 나타낸 바와같이 필름광택을 증진시키지 않는다. 광택이 낮으면 육안으로 볼때 생성된 필름의 정결성이 부족하게 보인다.
[비교예 2]
어니일링 챔버와 기류변환 심린더를 사용하는 대신에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수평류 형태의 에어링과 함께 실시예에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튜우불러 필름을 제조한다. 생성된 필름은 5.2의 투명도를 가지며, 이것은 상업용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에 대한 좋은 표준치에 해당한다.
[실시예 2 내지 8]
약간 다른 조건하에서 형태가 다른 수지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한다. 압출온도는 실시예 5 및 6에서는 170℃, 실시예 7에서는 150℃로 변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160℃로 유지함). NUC-8150,-8506, 8008 및 DFD-0118은 모두 일본 유니카에서 제조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NUC-3530은 일본 유니카(주)에서 제조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이다. 울트잭스(Ultzex)는 미쯔이 석유화학(주)에서 제조한 에틸렌 공중합체이다. 또한 DGFA-7043 및 -7042는 일본 유니카(주)에서 제조한 에틸렌 공중합체이다.
[비교예 3내지 9]
블로운 튜브필름은 비교예 2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수지로부터 제조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투명도, 광택, 용융지수 및 밀도는 각각 ASTM D-1003, ASTM D-2457, ASTM D-1238 및 ASTM D-1505에 따라 측정한다. 공기속도는 신코쿠사이 뎅크(Shinkokusai Dengyo)에 의해 제조된 전자풍속계로 측정한다. 그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한편, 제3도는 실시예 2외 비교예 1 및 2에서 관찰한 분출비와 투명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1

Claims (1)

  1.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블로운 필름 압출에 의하여 가소성 필름을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이로부터 압출된 용융튜우불러 필름을 제1밀폐 공간에서 어니일링시킨 직후 튜우블러 필름의 외부표면을 급냉시키기 위해 그 외축에 수직방향으로 냉각공기를 분출시키고, 상기 튜우불러 필름의 주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냉각공기의 접촉하는 도중 상기 튜우불러 필름을 제2밀폐공간에서 팽창 및 고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성 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개량된 방법.
KR1019810001936A 1980-05-30 1981-05-30 가소성 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개량된 방법 KR840000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5443A KR840000512B1 (ko) 1980-05-30 1983-11-16 가소성 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개량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587 1980-05-30
JP55072587A JPS6026698B2 (ja) 1980-05-30 1980-05-30 プラスチツクフイルムの成形方法および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443A Division KR840000512B1 (ko) 1980-05-30 1983-11-16 가소성 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개량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992A KR830005992A (ko) 1983-09-14
KR840000511B1 true KR840000511B1 (ko) 1984-04-17

Family

ID=1349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936A KR840000511B1 (ko) 1980-05-30 1981-05-30 가소성 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개량된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399094A (ko)
EP (1) EP0041803B1 (ko)
JP (1) JPS6026698B2 (ko)
KR (1) KR840000511B1 (ko)
AR (1) AR224823A1 (ko)
AU (1) AU541296B2 (ko)
BR (1) BR8103347A (ko)
CA (1) CA1162371A (ko)
DE (1) DE3163598D1 (ko)
DK (1) DK237381A (ko)
ES (1) ES8203264A1 (ko)
FI (1) FI811623L (ko)
IN (1) IN154865B (ko)
NO (1) NO811825L (ko)
ZA (1) ZA8136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200B1 (ko) * 2010-05-17 2012-06-18 주식회사 피에스원 열가소성 수지를 부풀려서 필름으로 성형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9420A (ja) * 1981-09-04 1983-03-08 Showa Denko Kk 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の成形方法
JPS5845026A (ja) * 1981-09-11 1983-03-16 Showa Denko Kk 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成形方法
JPS5859069A (ja) * 1981-10-05 1983-04-07 Showa Denko Kk 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成形装置
JPS5865630A (ja) * 1981-10-16 1983-04-19 Nippon Yunikaa Kk 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の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S58101716U (ja) * 1981-12-29 1983-07-11 三菱化学株式会社 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成形装置
SE437490B (sv) * 1982-10-18 1985-03-04 Unifos Kemi Ab Forfarande vid kontinuerlig filmblasning av linjera termoplastmaterial
JPS59111819A (ja) * 1982-12-17 1984-06-28 Idemitsu Petrochem Co Ltd 多層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の成形方法
SU1400497A3 (ru) * 1983-06-29 1988-05-30 Сосьете Шимик Де Шарбоннаж С.А. (Фирма)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хлаждени пластичных пленок,полученных раздувом трубчатой оболочки
US4671891A (en) * 1983-09-16 1987-06-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leaching compositions
NL8400375A (nl) * 1984-02-07 1985-09-02 Stamicarbo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blaasfolie.
US4832897A (en) * 1984-02-07 1989-05-23 Stamicarbon B.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lown film
US4606879A (en) * 1985-02-28 1986-08-19 Cerisano Frank D High stalk blown film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US4842803A (en) * 1988-03-25 1989-06-27 Union Camp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ding blown thermoplastic film tubes
US4929162A (en) * 1989-03-09 1990-05-29 Mirek Planeta Air rings for production of blown plastic film
DE4001287A1 (de) * 1990-01-18 1991-07-25 Stefan Konerman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lasfolien in einer folienblasanlage
DE4115353C3 (de) * 1991-05-10 1998-04-09 Karl Veit Holger Prof Dr Ing Folienblasanlage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olien
US5562926A (en) * 1991-05-10 1996-10-08 Karl; Veit-Holger Film-blowing plant for manufacturing plastic films
US5310329A (en) * 1992-02-05 1994-05-10 Cree Robert E Air shroud device for a blown film extrusion line
US5207971A (en) * 1992-02-07 1993-05-04 Quantum Chemical Corporation Extrusion of wrinkle-free blown film from high modulus resin
DE4205185A1 (de) * 1992-02-20 1993-08-26 Windmoeller & Hoelscher Blaskopf fuer die herstellung von schlauchfoli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JPH0760833A (ja) * 1993-08-23 1995-03-07 Mitsubishi Chem Corp インフレーション樹脂フィルムの成形方法
US6273699B1 (en) * 1998-05-19 2001-08-14 Udo Finke Device for manufacturing plastic film
JP3710800B2 (ja) * 2003-01-31 2005-10-2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管状樹脂フィルム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US20170239867A1 (en) * 2014-05-13 2017-08-24 Brampton Engineering Inc. Pressure chamber for blown film extrus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1084A (en) * 1959-05-26 1965-11-30 Du Pont Manufacture of polyethylene film
DE1166458B (de) * 1959-09-18 1964-03-26 Krauss Maffei Ag Schneckenpresse mit einer Ringduese
BE595811A (ko) * 1959-10-06 1900-01-01
BE619725A (ko) * 1961-07-05 1900-01-01
DE1183229B (de) * 1962-05-11 1964-12-10 Reifenhaeuser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chlauchfoli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BE643186A (ko) * 1963-02-11 1900-01-01
US3363035A (en) * 1964-12-16 1968-01-09 Seikisui Chemical Co Ltd Process for stretching tubular molded articles of thermoplastic resin
US3548042A (en) * 1966-07-22 1970-12-15 Reynolds Metals Co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extruded tubing
US3888609A (en) * 1970-10-12 1975-06-10 Leco Industries Ltd Apparatus for producing films in accordance with the blown tube process
JPS538339A (en) * 1976-07-12 1978-01-25 Hitachi Shipbuilding Eng Co Means for welding narrow groove
DE2725832A1 (de) * 1977-06-08 1978-12-14 Reifenhaeuser Kg Blaskopf fuer die herstellung von schlauchfoli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4330501A (en) * 1980-06-30 1982-05-18 Union Carbid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film bubble of low strain hardening polym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200B1 (ko) * 2010-05-17 2012-06-18 주식회사 피에스원 열가소성 수지를 부풀려서 필름으로 성형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17481A (en) 1981-12-03
AR224823A1 (es) 1982-01-15
ZA813641B (en) 1982-06-30
DE3163598D1 (en) 1984-06-20
CA1162371A (en) 1984-02-21
EP0041803B1 (en) 1984-05-16
FI811623L (fi) 1981-12-01
AU541296B2 (en) 1985-01-03
IN154865B (ko) 1984-12-22
JPS6026698B2 (ja) 1985-06-25
KR830005992A (ko) 1983-09-14
US4399094A (en) 1983-08-16
ES502623A0 (es) 1982-04-01
ES8203264A1 (es) 1982-04-01
JPS56167417A (en) 1981-12-23
BR8103347A (pt) 1982-02-16
NO811825L (no) 1981-12-01
EP0041803A1 (en) 1981-12-16
DK237381A (da) 198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0511B1 (ko) 가소성 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개량된 방법
US4472343A (en) Tubular film process
US3754067A (en) Blown tube production
US4624823A (en) Blown tubing method and apparatus
JPS647576B2 (ko)
US340018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ilm from thermoplastic resins
US4000234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olyolefin film
US36945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with plastics
US3207823A (en) Production of flattened tubular plastic film
US4683094A (en) Process for producing oriented polyolefin films with enhanced physical properties
US54035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inflation film
US3956254A (en) Thermoplastic crystalline free films
US3532780A (en) Method for producing a tubular film or tubes of thermoplastic resin
US3385918A (en) Extrus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isotactic polypropylene
KR840000512B1 (ko) 가소성 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개량된 장치
US40252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plastic articles by extrusion
JPH0218972B2 (ko)
JPS6026010B2 (ja) 水冷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H0419012B2 (ko)
JP2626945B2 (ja)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S6351093B2 (ko)
JPS58212918A (ja) 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の成形法および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成形用冷却環
JP3506480B2 (ja)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S5913967B2 (ja) 管状フイルムの成形法
JP2626944B2 (ja)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