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408Y1 - 굴착공사용 구축판(構築板) - Google Patents

굴착공사용 구축판(構築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408Y1
KR840000408Y1 KR2019830011340U KR830011340U KR840000408Y1 KR 840000408 Y1 KR840000408 Y1 KR 840000408Y1 KR 2019830011340 U KR2019830011340 U KR 2019830011340U KR 830011340 U KR830011340 U KR 830011340U KR 840000408 Y1 KR840000408 Y1 KR 840000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onstruction
plate
hollow ro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1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링스 조셉
Original Assignee
크링스 조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00004550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4503A/ko
Application filed by 크링스 조셉 filed Critical 크링스 조셉
Priority to KR2019830011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4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4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굴착공사용 구축판(構築板)
제1도는 내부구조를 보이기 위하여 일부를 절개표시한 본 고안에 따른 구축판의 부분분해사시도.
제2도는 안내봉의 사시도.
제3도는 안내봉이 착설된 구측판의 수직단면도.
제4도는 중공형 봉체(中空形棒體)와 이에 연결된 안내봉의 확대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제4도와 유사한 확대평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따른 실시형태의 중공형 봉체, 고정봉 및 안내봉의 사시도.
제7도는 제5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중공형 봉체와 이에 연결된 안내봉의 부분수직 단면도.
본 고안은 상호 견고히 연결되고 커어버판이 복착되는 종형(縱形)의 강재(鋼材)로 구성되는 굴착지구성장치를 위한 구측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축판의 협소한 측부에 강재가 중공형의 봉체형태로 착설되며 인접지지구조체 또는 구축판을 연결하기 위한 안내헤드를 가지는 구축판에 관한 것이다.
소위 구축판의 형태로 "변부지지판"이 독일(DE)특허 명세서 24 56 690으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중공형 봉체의 협소측부에 착설되고 지지구조체와 함께 지중에 교호로 그리고 단계적으로 매설될 수 있는 봉상의 안내헤드를 가진 수직지지구조체내에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축판은 예를들어 굴착지등의 지중에 매설되며, 지지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지주 또는 다른 구축판이 이에 직각으로 착설되는 그 측부에 접한 그들의 측단부에서 안내봉체를 재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구축판은 이들이 세개 또는 네개를 연결하였을 때에 구축용 축(軸)을 형성하므로 또한 "축상 구축판"으로 불러지기도 한다.
끝으로, 구축판은 그 중앙에 수직안내봉이 착설되며 지주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구축판은 "중앙지지구축판"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다른 지지구조체없이 설치될 수 있으며 안내헤드 또는 봉체를 중첩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축판은 상당한 운전비용이 소요되며 유효운전 비용이 효과적으로 소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여러 형태의 구축판이 가능한 낮은 경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능한 구축판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른 과대한 경비없이 적어도 상기 언급된 두가지 형태의 구성판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구축판의 효용을 높일 수 있는 구축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축벽에 구축벽의 한 내측부를 형성하고 수평슬로트에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중공형 봉체를 착설함으로서 이루어진다. "C"형 또는 "U"형 단면의 안내봉은 그 리브(rib)의 후측에 수평으로 배치된 연결구를 지지한다. 이 연결구는 수직중공형 봉체의 슬로트를 통하여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들은 대향배설된 수직통공을 가지고, 여기에 연결구 또는 중공형 봉체를 쐐기소자와 결합되게 하는 고정부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간의 조작으로 안내봉을 취부함으로서 변부지지판을 축상구축판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이는 굴착지를 폐쇄하거나 굴착확개지에 라이닝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 사용되는 지지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수한 판대신에 부수적인 안내봉과 고정소자만이 요구된다. 만약 구축판이 중앙에 슬로트를 가진 중공형의 형태인 경우 이 판은 중앙 지지판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필수적인 구축단위체가 얻어진다.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구축판은 주판부(主板部)(1), 적어도 하나의 수직연장된 중공형 봉체(2) 및 각 협소측부상에 취부된 하나의 안내헤드(3)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주판부(1)는 주어진 방식대로 구성된다. 예를들어 이는 도시한 바와같이 견고히 배치된 강철판재로 구성되거나 수직으로 연장된 파이프(5)에 의하여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설된 수평의 "C"형 지지체(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부재는 양측이 커어버판(6)으로 복착되고 구축판의 하측부는 칼날같이 경사져 있다.
안내헤드(3)은 "C"형 지지체의 형태, 파이프형태 또는 도시한 바와 동일형태의 지지체 또는 다른 인접구축판의 안내봉에 삽입할 수 있도록한 "T"형 지지봉의 형태로 구성된다.
수직의 중공형 봉체(2)에는 그 내측면에 상하로 수평슬로트(8)가 배설되어 있다.
제1도의 구축판을 축상구축판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안내봉(제2도)은 "U"형 또는 "C"형으로 되어 있고 그 크기는 지주(도시하지 않았음)의 슈우(shoe)또는 구축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다른 구축판의 안내헤드가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안내봉(9)의 후측 리브(10)에는 반원형의 통공(12)을 가진 수평연결구(11)이 배설되어 있다(제4도). 연결구(11)가 슬로트(8)에 삽입되었을 때에 고정봉(13)이 상하정렬될 통공(12)로 삽입된다. 캠형의 회동쐐기(14)가 고정봉(13)을 회동시 슬로트(8)가 형성된 중공형 봉체(2)의 내측벽(15)와 결합토록 연결구(11)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를 두고 고정봉에 착설된다.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하연결구(11)사이에 회동쐐기(14)가 배치되도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방사상으로 연장된 레버 암(Lever arm)(16)이 중공형 봉체(2)의 한 벽에 결합된 지지스크류(17)를 그 단부에서 지지하는 고정봉(13)의 상측단에 착설되어 회동쐐기(14)가 긴장하에 유지된다.
고정봉(13)을 위한 지지판(18)이 중공형 봉체(2)의 하측단부상의 후벽의 내측에 용착되어 있다.
제5도-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도 역시 수평연결구(12)가 중공형 봉체(2)와 슬로트(20)을 통하여 삽입가능하게된 안내봉(9)의 후벽에 용착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와는 달리 연결구(21)에는 원형의 형태로 통공이 상하로 배열되어 있으며, 안내봉(9)의 대향된 리브를 향한 측으로 경사져 있거나 중공형 봉체(2)의 전면벽(15)의 내면(19)에 중첩된다. 이 전면벽(15)에 평행하게 직각요구(25)가 각 통공(22)에 인접배설되어 있다.
제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고정봉(23)은 중공형 봉체(2)를 안내봉(9)에 연결토록 작용한다.
고정봉(23)은 상측으로 경사진 축방향 평쐐기(24)를 갖는다. 이들은 이들이 통공(22)과 요구(25)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크기도 되어 있다.
안내봉(9)을 중공형 봉체(2)에 조립후, 먼저 고정봉(23)이 상부로부터 통공(22)(25)로 밀어 넣어지고 제5도에서 보인 위치로 약 90。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고정봉(23)의 상측단에 착설된 긴장볼트(27)을 중공형 봉체(2)에 용착된 지지판(26)에 대하여 압압되게 하므로서 고정봉(23)이 중공형 봉체(2)의 전면벽(15)에 대하여 압압된다.
동시에 안내봉(9)이 중공형 봉체(2)에 견고하게 당기어진다.
기본적으로 중공형 봉체(2)가 안내헤드(3)에 매우 인접되게 배치된다. 그러나, 중공형 봉체(2)를 중앙 지지판이 안내봉(9)의 착설로 간단히 형성되도록 구축판의 다른 곳, 예를들어 중앙부에 착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

  1. 상호 건고히 연결되고 커어버판(6)으로 복착되는 "C"자형 지지체(4)와 파이프(5)로 구성되고, 협소측부에 중공형 봉체(2)가 착설되며, 인접구축판의 연결을 위한 안내헤드(3)를 갖는 굴착공사용 구축판에 있어서, 중공형 봉체(2)의 내측면에는 "C"자형 또는 "U"자형 안내봉(9)을 취부하기 위한 수개의 수평슬로트(8, 20)가 형성되어 있고, 안내봉(9)의 후측 리브(10)에는 슬로트(8, 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는 통공(12, 22)을 갖는 수개의 연결구(11. 21)가 수평으로 배설되어 있으며, 안내봉(9)의 연결구(11, 21)가 중공형 봉체(2)의 슬로트(8, 20)를 통하여 삽입되었을 때에 쐐기(14, 24)를 갖는 고정봉(13, 23)이 연결구(11, 21)의 통공(12, 22)을 통하여 삽입되어 중공형 봉체(2)에 계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 공사용 구축판.
KR2019830011340U 1980-11-28 1983-12-29 굴착공사용 구축판(構築板) KR840000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340U KR840000408Y1 (ko) 1980-11-28 1983-12-29 굴착공사용 구축판(構築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550A KR830004503A (ko) 1980-11-28 1980-11-28 굴착공사용 구축판(構築板)
KR2019830011340U KR840000408Y1 (ko) 1980-11-28 1983-12-29 굴착공사용 구축판(構築板)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550A Division KR830004503A (ko) 1980-11-28 1980-11-28 굴착공사용 구축판(構築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408Y1 true KR840000408Y1 (ko) 1984-03-12

Family

ID=2662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1340U KR840000408Y1 (ko) 1980-11-28 1983-12-29 굴착공사용 구축판(構築板)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4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42144B2 (ja) 土留め支保装置の矢板
US3953949A (en)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structure
US4982539A (en) Grid girder for raised floors
KR101699204B1 (ko) 옹벽용 연결장치
JP2007518901A (ja)
US6446398B2 (en) Universal direction post and wall panel adapter
KR840000408Y1 (ko) 굴착공사용 구축판(構築板)
US2875478A (en) Building wall structure
CN112360857A (zh) 便于安装的组合式膨胀螺栓
EP0265859A1 (en) A device for joining together building units
KR100714041B1 (ko)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BG63756B1 (bg) Устройство за укрепване на канали
KR102206890B1 (ko)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KR102191389B1 (ko) 보강토 옹벽 설치용 바 연결장치
JPS6136589Y2 (ko)
KR101920874B1 (ko) 반사부재 및 광파거리측정기를 이용한 지반침하 측정시스템
CN213014994U (zh) 一种墙架柱及其连接结构
KR100714042B1 (ko) 수평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버팀보의 설치구조
JP3541237B2 (ja) トレンチカット工法用の土留めパネル
JPH0626580Y2 (ja) 土留装置用サポート
KR100714032B1 (ko)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KR200143184Y1 (ko) 거푸집용 지지장치
SU1726661A1 (ru) Опускное сооружение
JP2860508B2 (ja) ドライエリアを備えた地下室
KR20240023841A (ko) 온실 구조물 보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