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032B1 -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4032B1 KR100714032B1 KR1020050118913A KR20050118913A KR100714032B1 KR 100714032 B1 KR100714032 B1 KR 100714032B1 KR 1020050118913 A KR1020050118913 A KR 1020050118913A KR 20050118913 A KR20050118913 A KR 20050118913A KR 100714032 B1 KR100714032 B1 KR 1007140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ip
- belt
- receiving member
- earth
- rotation rece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류벽과 같은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시, 흙벽에 설치되는 어스앵커를 정착하고 지지하거나 경사버팀보를 지지하기 위한 띠장을 설치함에 있어서, 각 시공 현장에서의 상이한 어스앵커의 설치각도 또는 경사버팀보의 설치각도에 맞추어 띠장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띠장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토류벽의 엄지말뚝(41)의 전면에 띠장(20)을 설치하는 구조로서, 전면에는 반원 형태로 오목하게 만들어진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은 상기 엄지말뚝(41)의 전면에 조립 결합되는 회전수용부재(10)와; 상기 회전수용부재(10)의 오목부(11)에 대응되는 회전부(21)를 배면에 구비하고 있는 띠장(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띠장(20)을 설치할 때 상기 회전부(21)가 상기 오목부(11)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띠장(20)을 회전시킴으로써 현장에서 요구하는 수직방향 설치각도로 상기 띠장(20)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띠장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띠장, 어스앵커, 토류벽, 흙막이
Description
도 1은 어스앵커의 정착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토류벽에 띠장이 설치된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A부분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각각 도 2a 및 도 2b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선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b 및 도 3c는 각각 도 3a에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도 3b는 띠장(20)의 설치각도가 변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c는 후술하는 위치고정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 설치구조를 이용하여 경사버팀보를 설치하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서 토류벽의 지지를 위하여 흙벽 내에 어스앵커를 설치하고 그 어스앵커의 두부를 엄지말뚝의 전면에 설치된 띠장과 그 위에 설치된 대좌부 재에 정착한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서 경사버팀보를 설치하여 토류벽의 엄지말뚝을 지지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수용부재
20 : 띠장
30 : 경사버팀보
본 발명은 흙막이 구조물에 설치되는 띠장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토류벽과 같은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시, 흙벽에 설치되는 어스앵커를 정착하고 지지하거나 경사버팀보를 지지하기 위한 띠장을 설치함에 있어서, 각 시공 현장에서의 상이한 어스앵커의 설치각도 또는 경사버팀보의 설치각도에 맞추어 띠장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띠장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지하층 시공 또는 지하철 공사 등과 같이, 터파기 공사에는 굴착된 흙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류벽이 설치되며 토류벽을 지지하기 위하여 앵커 가 설치된다. 도 5에는 종래 기술에서 토류벽의 지지를 위하여 흙벽 내에 어스앵커(110)를 설치하고 그 어스앵커(110)의 두부를 엄지말뚝(100)의 전면에 설치된 띠장(120)과 그 위에 설치된 대좌부재(111)에 정착한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토류벽의 엄지말뚝(100) 사이에는 경사진 형태로 어스앵커(1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어스앵커(110)는 그 단부가 띠장(120)에 설치된 대좌부재(111)에서 정착구(112)에 의하여 정착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어스앵커(110)는 일반적으로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고 그 설치각도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대좌부재(111)의 정착구(112) 설치면은 상기 어스앵커(110)의 설치각도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어스앵커(110)의 설치각도는 시공현장마다 달라지므로, 시공현장마다 어스앵커(110)의 달라진 설치각도에 맞추어 대좌부재(111)를 새로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토류벽을 지지함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지면에 경사진 형태로 경사버팀보(200)를 설치하여 토류벽의 엄지말뚝(100)을 지지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사버팀보(200)를 설치하는 각도 역시 시공현장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데 그 때마다 경사버팀보(200)의 설치각도에 맞추어 연결부재(201)를 새로 제작하여 엄지말뚝(100)과 경사버팀보(200) 사이에 설치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토류벽과 같은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시, 흙벽에 설치되 는 어스앵커를 정착하고 지지하거나 경사버팀보를 지지하기 위한 띠장을 설치함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각 시공 현장에서의 상이한 어스앵커의 설치각도 또는 경사버팀보의 설치각도에 맞추어 띠장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띠장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토류벽의 엄지말뚝의 전면에 띠장을 설치하는 구조로서, 전면에는 반원 형태로 오목하게 만들어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은 상기 엄지말뚝의 전면에 조립 결합되는 회전수용부재와; 상기 회전수용부재의 오목부에 대응되는 회전부를 배면에 구비하고 있는 띠장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띠장을 설치할 때 상기 회전부가 상기 오목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띠장을 회전시킴으로써 현장에서 요구하는 수직방향 설치각도로 상기 띠장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띠장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띠장 설치구조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엄지말뚝의 전면에는 부착판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수용부재는 상기 부착판에 조립 결합되며, 상기 부착판이 고르게 돌출되어 정렬할 수 있도록 상기 엄지말뚝의 전면과 부착판의 배면 사이에는 간격조절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띠장 설치구조에 있어서, 사전에 결정된 수직방향 설치각도에 맞추어 띠장이 설치된 상태에서 그 각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띠장의 상기 회전부가 상기 오목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와 오목부를 상호 고정시켜 결합하는 위치고정구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띠장 설치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위치고정구조는, 회전수용부재의 오목부에 다수개의 결합볼트공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띠장 배면의 볼록한 회전부에도 결합볼트공을 다수개 형성하여, 띠장이 소정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갖도록 상기 회전부가 상기 오목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볼트공에 볼트부재를 관통 결합하는 구조로 상기 위치고정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구조는, 회전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두고 상기 오목부에 다수개의 돌기삽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부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돌기가 돌기삽입부에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전부에는 다수개의 돌기삽입부를 형성하여 두고 상기 오목부에는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부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돌기가 돌기삽입부에 끼워지는 구조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수용부재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본체의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는데, 토류벽의 지지를 위하여 설치된 어스앵커의 정착에 적합한 방향으로 상기 띠장을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수용부재는 상기 상부 지지부가 하부 지지부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가지는 형태로 상기 부착판에 조립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설치구조가 제공된 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수용부재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본체의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는데, 토류벽의 지지를 위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버팀보의 단부가 결합되기 적합한 방향으로 상기 띠장을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수용부재는 상기 상부 지지부가 하부 지지부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는 형태로 상기 부착판에 조립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봄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어스앵커의 정착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토류벽에 띠장(20)이 설치된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A부분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에는 도 2a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c 및 도 2d는 각각 도 2a 및 도 2b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도 1의 선B-B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b 및 도 3c는 각각 도 3a에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도 3b는 띠장(20)의 설치각도가 변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c는 후술하는 위치고정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터파기 공사에서 굴착된 흙벽의 붕괴를 방지 하기 위하여 설치된 토류벽(40)은 엄지말뚝(41)과 토류판(42)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1). 토류벽(40)의 보강을 위하여 지중에 설치된 어스앵커(43)는 그 단부가 띠장(20)에서 정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각 시공현장에 따라 달라지는 어스앵커(43)의 설치각도에 맞추어 띠장(20)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지중에 설치된 엄지말뚝(41)의 전면에는 회전수용부재(10)가 조립 결합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엄지말뚝(41)에는 회전수용부재(10)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부재(44, 45)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44, 45) 사이에 회전수용부재(10)가 조립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회전수용부재(10)를 엄지말뚝(41)의 전면에 조립 결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는데,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부착판(30)을 이용하여 회전수용부재(10)를 조립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엄지말뚝(41)의 전면에 별도의 부착판(30)을 설치하고, 상기 부착판(30)에 회전수용부재(10)의 배면을 조립 결합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부착판(30)과 엄지말뚝(41) 사이에는 간격조절부재(3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엄지말뚝(41)을 시공함에 있어서 엄지말뚝(41)의 배열이 불규칙하게 시공되는 경우가 있는데 비하여 띠장(20)은 직선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엄지말뚝(41)의 불규칙한 배열로 인하여 회전수용부재(10)에 띠장(20)을 설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부착판(30)과 엄지말뚝(41)의 전면 사이에 간격조절부재(31)를 더 고정 설치하게 되면 간격조절부재(31)의 높 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부착판(30)이 일정하게 돌출되어 정렬되고 그에 따라 직선의 띠장(20)을 더욱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격조절부재(31)와 부착판(30)은 용접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엄지말뚝(4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판(30)이 엄지말뚝(41)에 고절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수용부재(10)가 상기 부착판(30)에 조립 결합된다. 상기 회전수용부재(10)의 배면을 상기 부착판(30)에 조립 결합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수용부재(10)가 부착판(30)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착판(30)에 볼트부재(32)를 설치하여 두고 상기 볼트부재(32)가 회전수용부재(10)의 관통공(12)을 관통하도록 한 후 너트부재(33)를 체결하여 상기 회전수용부재(10)가 상기 부착판(30)에 조립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일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방법과 구성을 통하여 상기 회전수용부재(10)를 상기 부착판(30)에 조립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수용부재(10)는 용이한 방법으로 띠장(20)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회전수용부재(10)의 전면에는 반원 형태로 오목하게 만들어진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수용부재(10)의 전면에 오목부(11)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띠장(20)의 기울어진 방향에 맞추어 오목부(11)를 형성하는 본체의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의 높이를 서로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띠장(20)의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어스앵커(43)의 정착을 위하여 어스앵커(43)의 설치각도에 맞추어 띠장(20)이 상부로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되므로 오목부(11)를 형성하는 본체의 상부 지지부(13)의 높이가 하부 지지부(14)의 높이보다 낮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경사버팀보의 설치를 위하여 띠장(20)이 하부로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지지부(13)의 높이가 하부 지지부(14)의 높이보다 높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후술하는 것처럼 회전수용부재(10)를 아래 위 뒤바꿔서 부착판(30)에 결합하게 되면 이러한 구성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띠장(20)은 그 배면에 상기 회전수용부재(10)의 오목부(11)에 대응되는 회전부(21)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띠장(20)의 배면에는 상기 오목부(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반원 형태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회전부(21)가 설치되는 것이다. 띠장(20)이 엄지말뚝(41)의 전면에 설치될 때 상기 회전부(21)는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오목부(11) 내에 위치하게 된다. 지반에 설치된 어스앵커(43)는 띠장(20)에 형성된 앵커관통공(24)을 관통하여 정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스앵커(43)가 띠장(20)에 정착됨에 있어서 위의 앵커관통공(24)을 이용한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종래의 다른 구성을 통하여 어스앵커(43)가 띠장(20)에 정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띠장(20)을 설치할 때 상기 회전부(21)는 오목부(11) 내에서 회전될 수 있으므로 그 설치각도를 조정하게 되면 어스앵커(43)의 설치각도에 맞추어 띠장(20)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현장이 달라져서 어스앵커(43)의 설치각도가 달라지면,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띠장(20)을 단지 회전시 키는 것만으로 어스앵커(43)의 달라진 설치각도에 맞추어 띠장(20)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시공현장에 따라 어스앵커(43)의 설치각도가 달라지면 그에 맞추어 대좌장치를 새로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띠장(20)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켜 어스앵커(43)의 설치 각도에 맞추어 띠장(20)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대좌장치의 준비 등의 불편함이 전혀 없으며, 대좌장치의 신규 제작이 필요 없으므로 그 만큼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설치작업의 번거로움도 줄여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띠장(20)의 수직방향 설치각도가 한번 결정되면 그 각도를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위치고정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띠장의 위치고정구조는 결합볼트공(15, 22)과 볼트부재로 구성된다. 즉, 회전수용부재(10)의 오목부(11)에 다수개의 결합볼트공(15)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띠장(20) 배면의 볼록한 회전부(21)에도 결합볼트공(22)을 다수개 형성하여, 상기 결합볼트공(15, 22)을 볼트부재(23)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회전부(21)와 상기 오목부(11)를 상호 고정시켜 결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스앵커(110)의 설치각도에 맞추어 띠장(20)의 수직방향 설치각도가 결정되면 그 각도에 맞도록 상기 회전부(21)가 상기 오목부(1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볼트공(15, 22)에 볼트부재(23)를 관통 결합함으로써 띠장(20)의 설치상태를 고정시켜 그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계속 유지하게 된 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시공현장이 바뀌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어스앵커(43)의 변화된 설치각도에 맞추어 띠장(20)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부재(23)를 해제하고 상기 띠장(20)을 움직여서, 상기 오목부(11) 내에서의 상기 회전부(21) 위치를 조정한 후에 다시 상기 결합볼트공(15, 22)에 볼트부재(23)를 관통 결합함으로써 띠장(20)의 설치상태를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오목부(11)에 결합볼트공(15)을 형성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것처럼 판형 부재를 구부려서 본체의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 상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오목부(11)를 구성하고, 상기 오목부(11)의 가장자리에 결합볼트공(15)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판형 부재를 구부려 오목부(11)를 형성하는 구성은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오목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띠장의 위치고정구조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3c는 도 3a에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또다른 형태의 위치고정구조를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즉,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부(21)에 돌기(16)를 형성하여 두고 상기 오목부(11)에 다수개의 돌기삽입부(17)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부(21)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돌기(16)가 돌기삽입부(17)에 끼워지도록 하여 띠장(20)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위치고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위와는 반대로 오목부(11)에 돌기를 형성하고 회전부(21)에 돌기삽입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통하여 상기 위치고정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이용하여 띠장(20)의 수직방향 설치각 도 유지를 위한 위치고정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띠장 설치구조는 어스앵커의 정착을 위하여 띠장을 설치하는 경우 이외에도 후술하는 것처럼 토류벽의 엄지말뚝(100)을 지지하는 경사버팀보(200)를 설치할 때에도 용이한 방법으로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4a에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 설치구조를 이용하여 경사버팀보(200)를 설치하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b에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경사버팀보(200)의 경우에는 어스앵커(43)와는 반대의 설치각도를 갖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회전수용부재(10)의 설치 방향을 앞서 어스앵커(43)에 대한 경우와는 반대로 설치하게 된다. 즉,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띠장(20)이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수용부재(10)의 오목부(11)를 형성하는 상부 지지부(13)의가 하부 지지부(14)의 높이보다 높도록 상기 회전수용부재(10)를 설치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띠장(20)에는 회전부(21)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21)가 상기 오목부(11)에 위치하도록 상기 띠장(20)이 설치된다. 띠장(20) 설치에 대한 기타 구성은 이미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경사버팀보(200)의 단부는 볼트결합 등의 일반적인 연결방법을 통하여 상기 띠장(20)의 전면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경사버팀보(200)의 설치각도에 맞게 띠장(20)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자유롭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시공성이 향상되며, 종 래 기술에서와 같이 연결부재(201)의 새로 제작에 따른 재료의 낭비, 공사비의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띠장(20)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켜 어스앵커(43)의 설치각도에 맞추어 띠장(20)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공현장에 따라 달라지는 어스앵커(43)의 설치각도에 맞추어 대좌장치를 새로 제작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대좌장치의 신규 제작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설치작업의 번거로움도 줄여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토류벽의 엄지말뚝(100)을 경사진 형태로 지지하는 경사버팀보(200)를 설치할 때에도 용이한 방법으로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의하여 경사버팀보(200) 설치할 때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경사버팀보(200)의 설치각도 변경에 따른 연결부재(201)의 신규 제작, 그리고 그에 따른 재료의 낭비, 공사비의 증가 등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 토류벽의 엄지말뚝(41)의 전면에 띠장(20)을 설치하는 구조로서,전면에는 반원 형태로 오목하게 만들어진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은 상기 엄지말뚝(41)의 전면에 조립 결합되는 회전수용부재(10)와;상기 회전수용부재(10)의 오목부(11)에 대응되는 회전부(21)를 배면에 구비하고 있는 띠장(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띠장(20)을 설치할 때 상기 회전부(21)가 상기 오목부(11)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띠장(20)을 회전시킴으로써 현장에서 요구하는 수직방향 설치각도로 상기 띠장(20)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띠장 설치구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엄지말뚝(41)의 전면에는 받침부재(44, 45)가 설치되고,상기 회전수용부재(10)는 상기 받침부재(44, 45) 사이에 삽입되어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설치구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엄지말뚝(41)의 전면에는 부착판(30)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상기 회전수용부재(10)는 상기 부착판(30)에 조립 결합되며,상기 부착판(30)이 고르게 돌출되어 정렬할 수 있도록 상기 엄지말뚝(41)의 전면과 부착판(30)의 배면 사이에는 간격조절부재(3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설치구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사전에 결정된 수직방향 설치각도에 맞추어 띠장(20)이 설치된 상태에서 그 각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띠장(20)의 상기 회전부(21)가 상기 오목부(1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21)와 오목부(11)를 상호 고정시켜 결합하는 위치고정구조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설치구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위치고정구조는,회전수용부재(10)의 오목부(11)에 다수개의 결합볼트공(15)을 형성하고,이에 대응하여 띠장(20) 배면의 볼록한 회전부(21)에도 결합볼트공(22)을 다수개 형성하여, 띠장(20)이 소정의 수직방향 설치각도를 갖도록 상기 회전부(21)가 상기 오목부(1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볼트공(15, 22)에 볼트부재를 관통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설치구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위치고정구조는,회전부(21)에 돌기(16)를 형성하여 두고 상기 오목부(11)에 다수개의 돌기삽입부(17)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부(21)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돌기(16)가 돌기삽입부(17)에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설치구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위치고정구조는,회전부(21)에는 다수개의 돌기삽입부를 형성하여 두고 상기 오목부(11)에는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부(21)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돌기가 돌기삽입부에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설치구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수용부재(10)는 오목부(11)를 형성하는 본체의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를 포함하는데,토류벽의 지지를 위하여 설치된 어스앵커(43)의 정착에 적합한 방향으로 상기 띠장(20)을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수용부재(10)는 상기 상부 지지부(13)가 하부 지지부(14)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가지는 형태로 상기 부착판(30)에 조립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설치구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수용부재(10)는, 오목부(11)를 형성하는 본체의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를 포함하는데,토류벽의 지지를 위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버팀보(200)의 단부가 결합되기 적합한 방향으로 상기 띠장(20)을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수용부재(10)는 상기 상부 지지부(13)가 하부 지지부(14)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는 형태로 상기 부착판(30)에 조립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설치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8913A KR100714032B1 (ko) | 2005-12-07 | 2005-12-07 |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8913A KR100714032B1 (ko) | 2005-12-07 | 2005-12-07 |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14032B1 true KR100714032B1 (ko) | 2007-05-04 |
Family
ID=3826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8913A KR100714032B1 (ko) | 2005-12-07 | 2005-12-07 |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403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3508B1 (ko) * | 2007-08-16 | 2009-06-17 | 이창남 | 지하실 외벽과 격리 시공하는 '시'형띠장 흙막이공법(='시'형띠장 흙막이공법) |
CN111636433A (zh) * | 2020-05-14 | 2020-09-08 | 广州一建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腰梁制作的可调节模具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2446A (ja) * | 1989-07-20 | 1991-03-06 | Sanyo Electric Co Ltd | 不在転送方式 |
JP2001164573A (ja) * | 1999-12-08 | 2001-06-19 | Kajima Corp | 山留め架構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切ばり端面部材 |
KR200390920Y1 (ko) * | 2005-04-27 | 2005-07-28 | 심명보 | 사보강재 및 상기 사보강재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조립체 |
KR200393178Y1 (ko) * | 2005-05-19 | 2005-08-19 | 금오금속공업 주식회사 | 회전 화타 브라켓트를 가지는 부재 고정구 |
-
2005
- 2005-12-07 KR KR1020050118913A patent/KR1007140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2446A (ja) * | 1989-07-20 | 1991-03-06 | Sanyo Electric Co Ltd | 不在転送方式 |
JP2001164573A (ja) * | 1999-12-08 | 2001-06-19 | Kajima Corp | 山留め架構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切ばり端面部材 |
KR200390920Y1 (ko) * | 2005-04-27 | 2005-07-28 | 심명보 | 사보강재 및 상기 사보강재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조립체 |
KR200393178Y1 (ko) * | 2005-05-19 | 2005-08-19 | 금오금속공업 주식회사 | 회전 화타 브라켓트를 가지는 부재 고정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3508B1 (ko) * | 2007-08-16 | 2009-06-17 | 이창남 | 지하실 외벽과 격리 시공하는 '시'형띠장 흙막이공법(='시'형띠장 흙막이공법) |
CN111636433A (zh) * | 2020-05-14 | 2020-09-08 | 广州一建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腰梁制作的可调节模具及其使用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22761B1 (en) | Laterally and vertically adjustable foundation structure | |
KR100992942B1 (ko) |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 |
KR100714041B1 (ko) |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 |
KR101062179B1 (ko) |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 |
KR20120076806A (ko) |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인장재고정용 띠장 | |
KR101093185B1 (ko) | 연속 벽체용 각도 조절 브라켓 | |
KR101127433B1 (ko) | 건축구조물의 지주 고정용 브라켓 구조 | |
KR100714032B1 (ko) |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 |
JP2011006960A (ja) | 土留構造 | |
KR101036173B1 (ko) | 구면 지지식 지압장치 | |
KR200387370Y1 (ko) | 회전 가능한 체결브라켓을 갖는 가설 흙막이 공법용경사버팀재 | |
KR100742221B1 (ko) | 가시설용 정착장치 | |
KR20180088224A (ko) | 데크로드용 멍에 고정 장치 | |
KR100899528B1 (ko) | 스토퍼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 |
KR100989023B1 (ko) | 띠장 사이로 내설되는 앵커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 |
KR100714042B1 (ko) | 수평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버팀보의 설치구조 | |
KR101633729B1 (ko) | 옹벽 구조 | |
KR100964716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옹벽구조 | |
KR200409942Y1 (ko) |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스트러트받침부재 | |
KR101705785B1 (ko) | 무띠장 흙막이 공사용 에이치형 형강 파일의 앵커 박스 설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띠장 앵커 설치 공법 | |
KR100714035B1 (ko) | 수평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버팀보의 설치구조 | |
KR101004639B1 (ko) | 앵커 브라켓 | |
JP6861991B2 (ja) | 壁構造体 | |
KR200415619Y1 (ko) | 거푸집 설치용 수평 조절장치 | |
KR100360198B1 (ko) |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