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920Y1 - 사보강재 및 상기 사보강재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조립체 - Google Patents

사보강재 및 상기 사보강재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920Y1
KR200390920Y1 KR20-2005-0011752U KR20050011752U KR200390920Y1 KR 200390920 Y1 KR200390920 Y1 KR 200390920Y1 KR 20050011752 U KR20050011752 U KR 20050011752U KR 200390920 Y1 KR200390920 Y1 KR 200390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ie
support
steel
block
connect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명보
Original Assignee
심명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명보 filed Critical 심명보
Priority to KR20-2005-0011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9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라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고 사보강재 및 재키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사보강재는 굴착벽에 형성되는 벽체와 연결되는 평판 구조의 지지블록; 사보강재에 결합되어 사보강재를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버팀부재에 연결하는 재키와의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로서, 상기 지지 블록의 한 표면에 수직으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재키를 수용하고, 상기 재키와 연결되는 쪽 단부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구가 형성된 한 쌍의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키는 상기 사보강재를 상기 버팀부재에 연결하며, 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버팀부재에 결합되는 제1 연결 수단과,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나나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사보 강재의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 시 상기 연결 부재에 형성된 연결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구가 형성된 제2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는 상기 연결 부재의 연결구와 상기 재키의 연결구에 삽입되어 상기 재키 및 사보강재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키는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상기 사보강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보강재 및 상기 사보강재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SLANTING STEEL MEMBER AND SUPPORT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사보강재,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축 공사 또는 토목 공사 시 땅파기 공사에 의하여 형성된 지하 옹벽 등에 대한 흙막이 공사 시 형성되는 사이드 파일 및 띠장 파일과 상기 사이드 파일 및 띠장 파일이 무너지지 않게 지지하는 버팀부재의 연결을 제공하는 사보강재 및 상기 사보강재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의 지지 조립체에 관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건물을 건축하거나 지하철 등의 토목 공사를 진행할 경우 땅파기 공사가 진행되는데, 굴착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공사를 병행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흙막이 공사는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진행된다. 먼저, 굴착벽의 벽체 조성 공정으로서 사이드 파일을 흙막이 공사가 필요한 굴착벽의 내측 벽면을 따라서 세로방향으로 설치하고, 이들 사이드 파일 사이에 토류판이나 토류벽을 완성시킨다. 이어서 이들의 수평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해 띠장 파일을 가로방향, 즉, 상기 사이드 파일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하여 벽체를 완성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흙막이 공사 시 상기 벽체 조성 공정 만으로는 흙이 안쪽으로 무너져 내리려는 압력을 충분히 극복하기가 곤란하므로, 상기 벽체의 모서리 부분에 대하여 버팀부재 형성 공정을 추가로 실시한다.
즉, 벽체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버팀부재를 벽체의 모서리 부분에서 사이드 파일 내지 띠장 파일에 결합하는데, 버팀부재와 모서리 부분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결합되므로, 통상 H-빔과 같은 직각의 버팀부재를 직접 벽체의 모서리 부분에 시공할 수 없다. 따라서, 버팀부재가 시공되는 시공현장의 벽체의 모서리 부분에 맞게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사보강재라고 부르는 부재를 재키와 같은 연결 수단을 매개로 버팀부재와 연결한 후, 상기 사보강재를 벽체의 모서리 부분에서 결합한다.
즉, 사보강재 및 이에 결합된 버팀부재 조립체를 벽체의 모서리 주변의 사이드 파일 내지 띠장 파일에 소정의 각도, 통상적으로는 45도의 각도로 결합함으로써, 인접 벽체들이 반대 방향으로 하중을 상기 조립체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벽체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의 흙막이 공사 방법의 한 가지 실시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착벽을 따라 H-빔을 촘촘하게 매설하거나, H-빔을 일정 간격으로 세로로 매설하고 H-빔 사이에 토판을 삽입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이드 파일(110)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사이드 파일(11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이드 파일(110)에 수직으로(즉,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띠장 파일(120)을 설치하여 굴착벽 벽체(100)를 완성한다. 상기 띠장 파일(120)은 사이드 파일(110)의 높이에 따라서 1줄로 설치할 수도 있고, 여러 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어서, 원하는 시공 상황에 맞게 일정 각도를 갖도록 제조된 사보강재(210)와, 벽체(100)의 모서리 부분에서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버팀부재(230)를 연결 수단, 즉 재키(220)를 매개로 버팀부재의 양단부에서 상호 연결한 후 상기 사보강재(210)를 상기 벽체(100)의 모서리 주변의 띠장 파일(120)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버팀부재(230)를 벽체의 모서리 주변에서 띠장 파일(120)에 결합함으로써, 벽체가 모서리 부분에서 받는 하중을 버팀부재(230)를 통해 분산시킴으로써, 벽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버팀부재(230)에 의한 지지와 병행하여, 서로 마주보는 사이드 파일(110) 또는 띠장 파일(120)의 사이에 소정 갯수(도 1에서는 2개)의 지지부재(310)를 배치하여 벽체(100)가 받는 압력을 분산시킨다.
종래의 흙막이 방법에 사용되는 사보강재의 구성 및 상기 사보강재가 벽체, 재키 및 버팀부재와 결합되는 구성의 한 가지 예를 도 2에 상세하게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보강재(210)는 H-빔과 같은 철판 등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각각 벽체(100)와 연결되는 제1 지지블록(211), 재키와 연결을 제공하는 제2 지지블록(212), 제1 지지블록과 제2 지지블록을 시공 현장에 맞게 소정의 각도를 두고 연결하는 복수의 각도조절용 블록(213, 214) 및 사보강재(210)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보강블록(215)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시켜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사보강재(210)의 제1 지지블록(211)과 벽체(100), 및 제2 지지블록(212)과 재키(220)를 볼트(도시 생략) 등의 연결 수단을 사용하여 결합하고, 상기 재키(220)가 제2 지지블록(212)과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와 버팀부재(230)의 일단부를 볼트 등의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버팀부재(230)의 반대측 단부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재키, 사보강재, 벽체가 차례대로 결합됨으로써, 버팀부재(230)는 벽체(100)의 지지 수단으로 기능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굴착벽 벽체(100)의 모서리 부분은 상기 도 1과 같이 완전히 정직각의 형태로만 구성되는 것이 아니고, 땅을 파는 용도, 건축물의 형상 등 각각의 상황에 따라서 여러 가지 각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사보강재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할 수도 있지만, 공사환경 및 공사 목적물에 따라서 모서리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버팀부재를 설치하는 경우, 버팀부재와 벽체가 이루는 각도, 즉 상기 사보강재와 벽체 사이의 각도는 도 1에서와 같이 항상 45°가 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30°, 55° 등과 같이 0°에서 90°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사보강재와 벽체 사이의 다양한 각도 조건을 상황에 따라 만족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사보강재를 일괄적으로 대량생산 하지 못하고, 공사현장에서 각각의 상황에 맞게 H-빔 등을 적당하게 절단한 후 용접 등에 의하여 조립하는 방법으로 사보강재를 제작한 후 시공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버팀부재(230)와 벽체(100) 사이의 각도, 즉 사보강재(210)와 벽체(100) 사이의 각도는 벽체(100)의 모서리의 각도 또는 사보강재 설치 위치에 따라 결정되므로, 상기 사보강재(210)의 각도조절 블록(213, 214)을 형성할 때 "A" 부분의 각도를 버팀부재(230)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100)의 모서리 상황 등에 맞게 90°~ 180°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가공함으로써, 벽체(100)와 사보강재(210) 사이의 각도 및 사보강재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버팀부재(230)와 벽체(1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사보강재의 경우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사보강재는 각각의 공사현장에서 형성되는 굴착벽 벽체의 모서리 부분의 각도 등에 따라서 사보강재의 형상이 달라지므로, 공장에서 대량생산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제작원가가 많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정교한 장비를 보유하고 있지 않는 공사현장에서 벽체의 모서리 각도 및 현장상황 등`에 따라서 눈대중으로 사보강재를 제작하게 되므로 사보강재와 벽체의 각도, 즉, 사보강재에 연결되는 버팀부재와 벽체가 이루는 각도가 원하는 각도대로 매칭이 잘 되지 않아 사보강재와 벽체 사이 등에 다소의 틈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처럼, 사보강재와 벽체가 밀접하게 접촉하여 연결되지 않게 되면, 버팀부재가 상기 틈새 부분에서 하중을 제대로 버텨내지 못해 파손될 수 있고, 이는 대형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틈이 발생된 사보강재의 조립 부위를 용접이나 추가 볼팅 작업또는 콘크리트 매설 작업 등을 통해 틈새를 메꾸어야 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사보강재가 변형 내지는 손상되어 차후 공사시 재활용할 수 없고, 따라서 한 번 사용한 후 폐기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의하여 제조된 사보강재는 벽체의 모서리 형상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조된 것이므로 다른 공사현장에서는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여, 하나의 공사현장에서 사용한 후 폐기하게 되므로, 비용 및 자원의 낭비 및 환경오염의 방지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사보강재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한 사보강재 및 상기 사보강재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굴착벽 벽면 모서리의 각도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고, 생산공장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하나의 공사에 사용된 후 다른 공사현장에서도 사용 가능한 사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추가 비용 없이 기존의 재키 구조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보 강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라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사보강재가 제공되는데, 이 사보강재는 굴착벽에 형성되는 벽체와 연결되는 평판 구조의 지지블록과; 상기 사보강재에 결합되어 사보강재를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버팀부재에 연결하는 재키와의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로서, 상기 지지블록의 한 표면에 수직으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재키를 수용하고, 상기 재키와 연결되는 쪽 단부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는 연결구가 형성된 한 쌍의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보강재는 상기 연결 부재 사이의 한 쪽에 제공되어, 상기 재키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어블록과, 상기 지지블록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연결 부재의 외측면에 제공되어 상기 지지블록 및 상기 연결 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보강블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블록은 상기 재키가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서 제어블록이 제공된 쪽과 반대 쪽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며, 상기 보강블록은 지지블록 및 연결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부재를 지지블록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지지블록/연결 부재와 상기 보강블록은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고, 캐스팅에 의해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양태에 따라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고 사보강재 및 재키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사보강재는 굴착벽에 형성되는 벽체와 연결되는 평판 구조의 지지블록; 사보강재에 결합되어 사보강재를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버팀부재에 연결하는 재키와의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로서, 상기 지지 블록의 한 표면에 수직으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재키를 수용하고, 상기 재키와 연결되는 쪽 단부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구가 형성된 한 쌍의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키는 상기 사보강재를 상기 버팀부재에 연결하며, 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버팀부재에 결합되는 제1 연결 수단과,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사보 강재의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 시 상기 연결 부재에 형성된 연결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구가 형성된 제2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는 상기 연결 부재의 연결구와 상기 재키의 연결구에 삽입되어 상기 재키 및 사보강재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키는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상기 사보강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체의 사보 강재는 상기 연결 부재 사이의 한쪽에 제공되어, 상기 재키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어 블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 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도록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1 부분과, 상기 사보강재의 연결 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결 수단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어블록에 대하여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재키는 제어블록과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어블록에 의하여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 수단의 제2 부분은 상기 연결 부재 사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하 좌우면이 평탄하게 가공되어 상기 제1 부분과 턱을 이루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연속하며 상기 제어블록과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선단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단부가 제어블록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선단부는 곡선 형태로 구성되고, 이 선단부가 마주하는 상기 제어블록 부분은 상기 곡선 형태와 상호 대응되는 형태를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가 제공되는데, 이 조립체는 굴착벽에 형성되는 벽체와 연결되는 평판 구조의 지지블록, 사보강재에 결합되어 사보강재를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버팀부재에 연결하는 재키와의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로서, 상기 지지 블록의 한 표면에 수직으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재키를 수용하고, 상기 재키와 연결되는 쪽 단부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구가 형성된 한 쌍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사보 강재와; 상기 사보 강재의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되는 제1 부분과, 재키와 결합되는 평판 구조의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에는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 시 상기 연결 부재에 형성된 연결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표면에는 이들 부분과 수직으로 결합되는 보강 블록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와 연결되는 재키로서, 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버팀부재에 결합되는 제1 연결 수단,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부재에 볼팅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제2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재키; 및 상기 결합 부재의 연결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 부재 및 사보강재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상기 사보강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구조의 재키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서, 기존의 재키를 별도의 구조 변화 없이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가 제공되는데, 이 조립체는 굴착벽에 형성되는 벽체와 연결되는 평판 구조의 지지블록, 사보강재에 결합되어 사보강재를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버팀부재에 연결하는 재키와의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로서, 상기 지지 블록 의 한 표면에 수직으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재키를 수용하고, 대략 반원형 도우넛 단면 형태의 제1 지지 부재가 연결 부재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사보 강재와; 상기 사보강재를 상기 버팀부재에 연결하는 재키로서, 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버팀부재에 결합되는 제1 연결 수단,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사보 강재의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 시 상기 연결 부재에 형성된 제1 지지 부재와 대응되는 단면 형상의 제2 지지 부재가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제공되어 있는 제2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재키와; 상기 연결 부재의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재키의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이들 지지 부재와 접촉하면서 삽입되어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제1 지지 부재에 대하여 지지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 부재 사이의 한 쪽에 제공되어, 상기 재키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어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재키는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상기 사보강재의 제1 지지 부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 부재가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연결 부재의 제1 부재와 연결축을 매개로 더 넓은 면적에 걸쳐 접촉하여 하중을 지탱하게 되므로,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와 연결축을 양단부에서 감싸는 보호캡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호캡과 상기 연결축은 상기 보호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체결 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공지의 장치 및 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사보강재, 재키 및 버팀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보강재(10)에는 지지블록(11)이 형성되어,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띠장 파일(50) 또는 사이드 파일(40)과 결합된다(도 5 참조).
사보강재(10)는, 지지블록(11)의 한 표면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사보강재(10)와 버팀부재(30)를 연결하는 재키(20)를 그 사이에 수용하며 상기 재키(20)와 연결되는 일단부에 각각 연결구가 형성된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를 포함한다.
또한, 사보강재(10)는 제1 연결 부재(12)의 외측면에 제공되어 제1 연결 부재(12) 및 지지블록(11)과 각각 결합되는 보강블록(15)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보강블록(15)은 제1 연결부재(12)를 지지블록 표면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보강재(10)가 추후 공사 현장에서 시공되었을 때 벽체로부터 받는 하중을 보다 잘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3에 명확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연결 부재(13)의 외측면에도 보강블록(도시 생략)이 제공되어, 제2 연결 부재(13)를 지지블록(11)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연결 부재(12)와 제2 연결 부재(13) 사이의 한 쪽에 제어블록(14)이 제공되어 있고, 그 일부(14-1)가 후술하는 재키(20)의 제2 부분(24)의 선단부(24-2)와 전체적으로 상응하는 형태로 가공되어 상기 재키(20)의 제2 부분(24)과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재키(2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블록(11)과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 지지블록(11)과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와 보강블록(15), 그리고 지지블록(11)과 제어블록(14)은 용접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지만, 캐스팅에 의해 이들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사보강재(10)와 버팀부재(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재키(20)는 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본체부(21) 및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21)의 양 단부에 각각 제공되는 제1 연결 수단(22) 및 제2 연결 수단(25)를 포함한다. 이들 연결 수단(22, 25)은 사보강재(10)와 재키(20) 및 버팀부재(30)의 조립체를 공사 현장에서 시공할 때, 공사 현장에 맞게 상기 조립체의 길이를 조정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재키(20)의 제2 연결 수단(25)은 버팀부재(30)에 상응하는 평판 형태로 구성되어 그 버팀부재(30)에 결합되는 지지블록과, 본체부(21)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부가 내부에 형성된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 둘레에 소정의 각도(바람직하게는 90°)를 두고 배치되는 보강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재키(20)의 제2 연결 수단(25)과 버팀부재(30)가 연결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 수단(25)의 지지블록 및 그 지지블록에 대응하는 버팀부재(30)의 단부의 소정의 위치에 각각 관통공을 형성한 후 각각의 관통공에 볼트(32)와 너트(33)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재키(20)와 버팀부재(30)가 상호 연결된다.
제2 연결 수단(25)과 반대쪽의 본체부(21)에는 재키(20)를 사보강재(10)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 수단(22)이 제공되어 있다. 재키와 사보강재가 단순히 볼팅 작업 또는 용접을 통해 상호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본 고안에 따르면 재키(20)와 사보강재(10)를 연결한 후에도 재키(20)가 사보강재(10)에 대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재키(20) 및 사보강재(10)를 구성하여, 다양한 공사환경에 맞게 사보강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키(20)의 제1 연결 수단(22)은 재키(20)의 본체부(21)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도록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제1 부분(23)과 사보강재(10)의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부분(24)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24)은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 사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하 좌우면이 평면 절삭 가공되어 제1 부분(23)과 턱(step)을 이루는 평면부(24-1)와, 상기 평면부에 연속되며 재키(20)가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제어블록(14)의 일부분(14-1)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인접하여 배치되어 재키(2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블록 부분(14-1)과 전체적으로 상응하는 형태로 가공된 선단부(24-2)로 구성된다.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단부(24-2)는 곡면 형태(예컨대, 반원형)로 가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부분(24)의 폭은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 사이의 폭과 거의 상응하는 폭으로 가공되어 있어, 재키(20)가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 사이에 삽입되어 연결되었을 때 움직임을 제한하여 제1 연결 수단(22)이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 사이에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한다.
한편,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 사이에 삽입되는 제1 연결 수단(22)의 제2 부분(24)의 평면부(24-1)에는 재키(20)와 사보강재(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제1 연결 수단(22)을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 사이에 삽입했을 때,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에 형성된 연결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재키(20)와 사보강재(10)의 연결 및 동작 관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재키(20)의 제1 연결 수단(22)을 사보강재(10)의 제1 및 제 2 연결 부재(12, 13) 사이에 삽입하면, 제1 연결 수단(22)의 평면부(24-2)에 형성된 연결구와 제1 및 제 2 연결 부재(12, 13)에 형성된 연결구가 일렬로 정렬되고, 이 연결구를 통해 연결축(16)을 삽입하여 고정하면 사보강재(10)와 재키(20)가 연결된다. 한편,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연결축(16)의 단부 또는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에는 적절한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삽입된 연결축(16)이 외부의 충격 또는 미끄러짐 등에 의하여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 및 제1 연결 수단(22)과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사보강재(10)와 재키(20) 및 버팀부재(30)가 결합된 구조 및 그 동작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상부 도면은 사보강재(10), 재키(20) 및 버팀부재(30)를 결합했을 때의 초기 구조, 즉 재키와 버팀부재가 사보강재에 대해 수직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하부 도면은 결합된 구조체가 연결축(16)을 축으로 하여 제어블록(14) 반대쪽으로 회전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키(20)와 재키(20)에 연결된 버팀부재(30)는 연결축(16)을 축으로 하여 사보강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으므로, 즉, 사보강재(10)와 재키(20)가 이루는 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사상황에 따라서, 굴착벽의 벽체의 모서리 부분에서 다양한 각도를 두고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사보강재의 형상 내지 구조를 변화시키는 일이 없이 버팀부재(30)를 안정적으로 벽체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수단(22) 및 제어블록(14)은 재키(20)의 제1 연결 수단(22)을 사보강재(10)의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 사이에 삽입 고정하였을 때, 재키(2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소정의 범위로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재키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비교적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블록 부분(14-1) 및 이 부분과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재키(20)의 제1 연결 수단(22)의 선단부(24-1)는 서로 상응하는 형태로 가공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분들(14-1, 24-2)은 서로 상응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한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블록(14)은 제1 및 제2 연결 부재(12, 13) 사이의 어느 한 쪽에 제공되어 있어, 사보강재(10)와 결합된 재키(20)는 제어블록(14)이 제공된 방향과 반대쪽의 방향(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지만, 제어블록(14)이 제공된 방향(도 4의 화살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어부(14)의 일부(14-1)가 평면부(24-1)의 측면에 저촉되므로, 결국 재키(2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 재키(20)의 제2 부분(24)의 선단부(24-1)는 제어블록(14)의 일부분(14-1)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재키(20)가 회전하는 회전축의 곡률반경을 선단부(24-1)의 곡률보다 다소간 크게 설정함으로써 재키(20)가 제어블록(14)이 제공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외에 제어블록(14)이 제공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도 재키(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도 있다. 즉, 중량이 무거운 사보강재와 재키 및 버팀부재를 벽측에 설치하는 경우, 공사 환경에 맞게 상기 조립 구조물의 설치 각도를 소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화시키면서 시공할 수 있지만, 공사 환경에 따라서는 상기 구조물이 지나치게 큰 각도 변화를 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을 다루기가 곤란해질 수 있으므로, 그 각도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재키(20)가 제어블록(14)이 제공된 쪽으로 계속 회전하고자 하여도, 소정 범위에서는 회전할 수가 있지만 회전 중에 선단부(24-1)에 연속된 평면부(24-2)와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의 회전은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사보강재(10) 및 재키(20)가 띠장 파일(50)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흙막이 공사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사보강재 및 재키 조립체를 이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흙막이 공사는 다음의 절차로 진행된다.
먼저, 벽체 조성 공정으로서 사이드 파일(40)을 흙막이 공사가 필요한 굴착벽의 내측 벽면을 따라서 세로방향으로 촘촘하게 설치한다. 이어서 띠장 파일(50)을 가로방향, 즉, 상기 사이드 파일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한다. 이어서, 모서리 부분의 버팀부재(30) 형성 공정으로서, 먼저 각각의 사보강재(10)에 재키(20)를 결합하거나, 일체로 형성된 재키(20)가 포함된 사보강재(10)를 준비한다. 이어서 상기 버팀부재(30)를 사보강재(10)가 결합된 재키(20)와 볼트/너트에 의한 조임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킨다. 이어서, 사보강재(10), 재키(20) 및 버팀부재(30)가 결합된 조립체를 벽체의 모서리 주변의 사이드 파일(40) 및/또는 띠장 파일(50)에 볼트/너트에 의한 조임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킴으로서 버팀부재 형성공정은 마무리된다.
본 고안에 따른 흙막이 공사는, 사보강재(10), 재키(20) 및 버팀부재(30)가 결합된 조립체를 상기 벽체에 형성할 때 사보강재(10)와 재키(20)가 이루는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므로, 결국 모서리 부분의 각도에 상관없이 사보강재(10)를 벽체의 사이드 파일(40) 또는 띠장 파일(50)에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에 따른 흙막이 공사에서 버팀부재 형성 공정은 먼저 벽체 중 각각의 모서리 주변의 사이드 파일 및 띠장 파일에 재키(20)가 각각 결합된 적어도 한 쌍의 사보강재(10)를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한 조임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고, 이어서 사보강재(10)에 연결된 재키(20)에 버팀부재(30)를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한 조임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벽체 모서리 부분의 버팀부재 형성 공정과는 병행하여 서로 마주보는 사이드 파일(40) 또는 띠장 파일(50)의 사이에 소정 갯수(도 3에서는 4개)의 지지부재(60)를 배치하여 굴착벽의 벽체 및 버팀부재(30)가 받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는 달리, 별도의 복잡한 구성 내지 추가 비용 없이 기존 구조의 재키를 본 고안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것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 내지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는 종래 구조의 재키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재키는 전술한 구조의 사보 강재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제3 연결 수단(90)을 매개로 하여 사보 강재에 연결된다. 즉, 재키는 재키의 일단부에 제공되어 버팀 부재에 결합되는 제1 연결 수단(70)과 재키의 타단부에 제공되어 제3 연결 수단(90)과 연결되는 제2 연결 수단(80)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재키는 사보 강재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제2 연결 수단(80)과, 예컨대 볼팅에 의해 연결되는 제3 연결 수단(90)을 매개로 하여 사보 강재에 결합된다. 제3 연결 수단(90)은 전술한 구조의 사보 강재의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되고, 사보 강재에 형성된 연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축을 매개로 하여 연결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연결 수단(90)에는 보조 지지 블록(92)이 형성되어 제2 연결 수단(8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는 달리, 종래 구조의 재키를 그대로 사용하고, 본 고안의 사보 강재 사이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제3의 연결 수단만을 제공하기만 하면, 종래 구조의 재키에 대한 구조 변경 없이 재키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의 변형예가 측면도 및 부분 단면도 형태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실시예는 재키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본 고안의 경우, 재키의 제2 부분(24)이 사보 강재의 연결 부재(13) 사이에 삽입되고, 이들 두 구성 요소에 형성된 연결구에 연결축(16)이 삽입되어 제2 부분(24)의 선단부(24-1)가 제어블록의 일부(14-1)와 접촉하면서 재키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지탱한다. 이때, 재키와 제어블록이 접촉하는 면적이 제한되어 있고, 그 부분을 통해서만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재키가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하중을 보다 잘 지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재키(100)에는 재키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반원형의 제1 지지 부재(10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보 강재의 연결 부재에는 상기 접촉 부재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제2 지지 부재(104)에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1 지지 부재(102)가 구비된 재키를 사보 강재의 연결 부재에 형성된 연결구를 통해 삽입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2, 104) 사이에 연결축(106)을 삽입하게 되면, 재키(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재키와는 달리, 제1 지지 부재(102)를 통해 연결축(106)과 더 넓은 영역에 걸쳐 접촉되어 지지되므로, 재키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은 연결축(106)과 제2 지지 부재(104)에 대하여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분산되어, 더 큰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재키와 연결 부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재키의 제1 지지 부재(102)와 연결축(106) 및 제2 지지 부재(104)를 감싸는 보호캡(108)이 제공되고, 이 보호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연결축(106)과 결합시키면, 연결축(106)과 제1 지지 부재(102) 및 제2 지지 부재(104)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안정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상기 절차를 갖는 흙막이 공사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사보강재(10) 및 재키(20)를 사용할 경우 다음의 잇점을 얻을 수 있다.
띠장 파일(50)에 재키(20)가 설치된 사보강재(10)를 설치할 때, 버팀부재(30) 및 재키(20)와 사보강재(10)가 이루는 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각각의 벽체의 압력을 감안하여 사보강재(10)의 위치를 서로 대칭이 되지 않게 구성하거나, 도 6과 같이 공사현장의 특성 상 흙막이 벽체의 모서리부분이 90도가 아니고, 예를 들면 120도와 같이 다른 각도로 구성하여야 할 경우 등 사보강재(10)와 재키(20) 및 버팀부재(30)가 이루는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공사현장에서 사보강재(10)의 형성 위치 및 벽체 모서리 부분의 형상을 고려하여 재키(20)와 사보강재(10) 사이의 각도를 계산하고, 그에 따라 사보강재(10)를 직접 제작할 필요없이, 우수한 시설을 갖춘 공장에서 규격화된 사보강재 및 재키를 생산하고, 공사현장에서는 이를 단순히 조립만 하면 되므로 대량생산에 따른 비용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보 강재 시공시, 사보강재의 오차로 인하여 원하는 각도대로 벽체와 밀접하게 사보강재를 결합하지 못해 사보강재에 대해 추가 볼팅 작업이나 용접 등을 실시함으로써, 사보강재가 손상되어 재활용할 수 없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본 고안에 따르면, 사보강재에 대하여 공사현장에 맞는 각도를 갖도록 미리 제작할 필요가 없이 사보강재를 재키와 버팀부재에 단순히 결합하여 공사 현장에서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사보강재에 대하여 어떠한 손상도 일어나지 않고, 따라서 사보강재를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용 흙막이 공법에 따라서 지지체를 시공한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흑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사보강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사보강재 및 재키의 구조를 예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사보강재 및 재키의 동작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사보강재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에 따라서 지지대를 시공한 구조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사보강재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에 따라서 지지대를 시공한 다른 구조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보 강재 및 재키의 조립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보 강재 및 재키의 조립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보강재
11 : 지지블록
12, 13 : 연결 부재
14 : 제어블록
15 : 보강블록
20 : 재키

Claims (19)

  1.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사보강재에 있어서,
    굴착벽에 형성되는 벽체와 연결되는 평판 구조의 지지블록과;
    상기 사보강재에 결합되어 사보강재를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버팀부재에 연결하는 재키와의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로서, 상기 지지블록의 한 표면에 수직으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재키를 수용하고, 상기 재키와 연결되는 쪽 단부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는 연결구가 형성된 한 쌍의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보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사이의 한 쪽에 제공되어, 상기 재키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어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보강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블록의 상기 재키를 향하는 부분은 상기 재키가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되는 단부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보강재.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연결 부재의 외측면에 제공되어 상기 지지블록 및 상기 연결 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보강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보강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와 제어블록 및 보강블록은 캐스팅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보강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연결 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제어블록,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보강블록은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보강재.
  7.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로서,
    굴착벽에 형성되는 벽체와 연결되는 평판 구조의 지지블록,
    사보강재에 결합되어 사보강재를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버팀부재에 연결하
    는 재키와의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로서, 상기 지지 블록
    의 한 표면에 수직으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재키를
    수용하고, 상기 재키와 연결되는 쪽 단부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구가
    형성된 한 쌍의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사보 강재와;
    상기 사보강재를 상기 버팀부재에 연결하는 재키로서,
    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
    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버팀부재에 결합되는 제1 연결 수단,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나나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
    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사보 강재의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되고 상
    기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 시 상기 연결 부재에 형성된 연결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구가 형성된 제2 연결 수단,
    을 포함하는 재키;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연결구와 상기 재키의 연결구에 삽입되어 상기 재키 및 사보강재를 연결하는 연결축
    을 포함하고,
    상기 재키는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상기 사보강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보강재는 상기 연결 부재 사이의 한 쪽에 제공되어, 상기 재키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어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도록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1 부분과, 상기 사보강재의 연결 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수단은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어블록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연결 부재 사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하 좌우면이 평탄하게 가공되어 상기 제1 부분과 턱을 이루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연속하며 상기 제어블록과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선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곡선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선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어블록 부분은 상기 선단부의 곡선 형태와 상호 대응되는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보강재는 상기 지지블록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연결 부재의 외측면에 제공되어 상기 지지블록 및 상기 연결 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보강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보강재는 캐스팅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
  15.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및 제어블록은 용접에 의해 상기 지지블록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블록은 용접에 의해 상기 지지블록 및 연결 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
  17.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로서,
    굴착벽에 형성되는 벽체와 연결되는 평판 구조의 지지블록,
    사보강재에 결합되어 사보강재를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버팀부재에 연결하
    는 재키와의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로서, 상기 지지 블록
    의 한 표면에 수직으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재키를
    수용하고, 상기 재키와 연결되는 쪽 단부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구가
    형성된 한 쌍의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사보 강재와;
    상기 사보 강재의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되는 제1 부분과, 재키와 결합되는 평판 구조의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에는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 시 상기 연결 부재에 형성된 연결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표면에는 이들 부분과 수직으로 결합되는 보강 블록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와 연결되는 재키로서,
    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
    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버팀부재에 결합되는 제1 연결 수단,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
    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부재에 볼팅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제2
    연결 수단
    을 포함하는 재키; 및
    상기 결합 부재의 연결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 부재 및 사보강재를 연결하는 연결축
    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상기 사보강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
  18.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로서,
    굴착벽에 형성되는 벽체와 연결되는 평판 구조의 지지블록,
    사보강재에 결합되어 사보강재를 흙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버팀부재에 연결하
    는 재키와의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로서, 상기 지지 블록
    의 한 표면에 수직으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재키를
    수용하고, 대략 반원형 도우넛 단면 형태의 제1 지지 부재가 연결 부재 사이
    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사보 강재와;
    상기 사보강재를 상기 버팀부재에 연결하는 재키로서,
    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
    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버팀부재에 결합되는 제1 연결 수단,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부의 길이 방향
    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사보 강재의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되고 상
    기 연결 부재 사이에 수용 시 상기 연결 부재에 형성된 제1 지지 부재와 대
    응되는 단면 형상의 제2 지지 부재가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제공되어 있는 제2 연결 수단,
    을 포함하는 재키와;
    상기 연결 부재의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재키의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이들 지지 부재와 접촉하면서 삽입되어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제1 지지 부재에 대하여 지지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 부재 사이의 한 쪽에 제공되어, 상기 재키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제어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재키는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상기 사보강재의 제1 지지 부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와 연결축을 양단부에서 감싸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캡과 상기 연결축은 상기 보호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체결 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부재용 지지 조립체.
KR20-2005-0011752U 2005-04-27 2005-04-27 사보강재 및 상기 사보강재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조립체 KR200390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752U KR200390920Y1 (ko) 2005-04-27 2005-04-27 사보강재 및 상기 사보강재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752U KR200390920Y1 (ko) 2005-04-27 2005-04-27 사보강재 및 상기 사보강재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920Y1 true KR200390920Y1 (ko) 2005-07-28

Family

ID=4369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752U KR200390920Y1 (ko) 2005-04-27 2005-04-27 사보강재 및 상기 사보강재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920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259B1 (ko) 2006-02-08 2006-05-08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상수도 곡선관의 이탈 방지 장치
KR100714032B1 (ko) * 2005-12-07 2007-05-04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KR100714041B1 (ko) * 2006-01-18 2007-05-04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KR101328212B1 (ko) 2013-09-30 2013-11-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흙막이벽용 강관 버팀보의 지압형 경사 접합부재 및 이 접합부재를 이용한 띠장과 강관 버팀보의 경사 접합구조
KR101826475B1 (ko) * 2017-06-14 2018-02-07 황규철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
KR101826476B1 (ko) * 2017-06-14 2018-02-07 황규철 스트러트 지보구조를 이용한 대면적 터파기 시공방법
KR101838684B1 (ko) * 2017-06-23 2018-03-14 신의페트라 주식회사 다단 지지식 장주형 파일드라이버
KR101926160B1 (ko) * 2017-11-14 2019-02-26 한빛건설주식회사 흙막이 가시설용 띠장 설치공법 및 띠장
KR102434252B1 (ko) * 2021-04-20 2022-08-19 (주)에스앤피이엔씨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032B1 (ko) * 2005-12-07 2007-05-04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KR100714041B1 (ko) * 2006-01-18 2007-05-04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KR100576259B1 (ko) 2006-02-08 2006-05-08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상수도 곡선관의 이탈 방지 장치
KR101328212B1 (ko) 2013-09-30 2013-11-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흙막이벽용 강관 버팀보의 지압형 경사 접합부재 및 이 접합부재를 이용한 띠장과 강관 버팀보의 경사 접합구조
KR101826475B1 (ko) * 2017-06-14 2018-02-07 황규철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
KR101826476B1 (ko) * 2017-06-14 2018-02-07 황규철 스트러트 지보구조를 이용한 대면적 터파기 시공방법
KR101838684B1 (ko) * 2017-06-23 2018-03-14 신의페트라 주식회사 다단 지지식 장주형 파일드라이버
KR101926160B1 (ko) * 2017-11-14 2019-02-26 한빛건설주식회사 흙막이 가시설용 띠장 설치공법 및 띠장
KR102434252B1 (ko) * 2021-04-20 2022-08-19 (주)에스앤피이엔씨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920Y1 (ko) 사보강재 및 상기 사보강재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조립체
KR101687005B1 (ko) 흙막이용 l형강 합성 버팀보 구조물
KR100675985B1 (ko) 버팀보 수평수직 보강용 브레이싱
KR102611776B1 (ko)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CA2885091C (en) Ground engaging shaft
AU2019444153B2 (en) Strut connector
JP2018188874A (ja) 土留め構造および施工方法
JP5559123B2 (ja) 梁受け回転ピース
KR102274384B1 (ko) 강관 이음장치
KR101074699B1 (ko) 흙막이파일의 십자형 버팀기구
KR20050073776A (ko) 지반안정공법용 조립식 파일
KR100797185B1 (ko) 옹벽용 또는 흙막이용 토류벽 조성장치 및 방법
JP2022171931A (ja) 杭と上部構造との接合構造及び構造物
JP6745573B2 (ja) ロックボルト保持用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吹付工法
KR100837340B1 (ko) 지하 구조물 강관용 보강 조립체
JP6556061B2 (ja) 補強部材保持用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吹付工法
KR100900995B1 (ko) 곡선부 굴착시공을 위한 메서실드 굴착장치 및 이를이용한 지중터널굴착공법
JP7450417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セグメント
JP7413091B2 (ja) 鋼材の組合せ構造体,土留め壁の構築方法,及び土留め壁用上杭の撤去方法
JP3098695U (ja) H形鋼のスティフナーに代わる補強構造
JP2003020657A (ja) 杭と杭頭構造物の接続部の構造
JP5819279B2 (ja) 連壁構築方法
KR102349869B1 (ko) 원심다각 버팀보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구조
KR200420018Y1 (ko) 흙막이용 에이치빔 구조체
KR102554428B1 (ko) 흙막이 벽체용 프리스트레스 띠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