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252B1 -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 Google Patents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252B1
KR102434252B1 KR1020210051098A KR20210051098A KR102434252B1 KR 102434252 B1 KR102434252 B1 KR 102434252B1 KR 1020210051098 A KR1020210051098 A KR 1020210051098A KR 20210051098 A KR20210051098 A KR 20210051098A KR 102434252 B1 KR102434252 B1 KR 102434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orizontal bar
connector
ba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배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피이엔씨
주식회사 유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피이엔씨, 주식회사 유앤씨 filed Critical (주)에스앤피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05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4Jacks with screw an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구축믈의 슬라브를 시공하는 탑다운 공법에 있어서 복수개 수직바들을 트러스체로 연결할 때 트러스체의 수평바와 수직바를 스크류잭 연결체로 연결하여 시공함에 따라 수평바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마주보는 수직바와 수직바의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트러스체를 쉽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류잭 연결체에 의해 수평바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지하층에 대한 슬라브 구축시에 각 층의 슬라브 구축시공작업이 견고하게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견고한 지지성에 의해 슬라브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도중 트러스체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시간의 단축과 시공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Top-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screw jack}
본 발명은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다운 공법으로 지하 구조물을 신축함에 있어서 승하강 이동이 가능한 트러스체를 이용하여 시공하되 수평바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함은 물론 수평바의 길이조절과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지하 구조물의 슬라브 구축작업을 견고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의 단축은 물론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다운(Top-down)공법은 도심지 공사와 같이 밀집 지역에서 주변에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상에서 지하로 내려가면서 지하 구조물을 형성하는 시공법으로, 대개 상층의 슬라브보를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한 후, 상층 슬라브보의 양생이 끝나면 거푸집을 상층 슬라브보로부터 탈형하여 형태를 유지하면서 하강시켜 지하구조물을 시공한다.
이 때 하강된 거푸집은 하층 슬라브보를 형성하기 위해 재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탑다운 공법은 슬라브보를 위한 거푸집을 반복 하강하면서 지하구조물을 신축하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2123543호인 중앙 철골기둥을 이용한 탑다운 공법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지하 구조물의 구축시 구조물을 하향식으로 축조해 나가는 탑다운 공법에 있어서, 지중에 흙막이벽체를 구축하는 흙막이벽시공단계와, 흙막이벽체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철골기둥을 지상으로부터 수직으로 박아 설치하는 기둥시공단계와, 흙막이벽체의 내측을 소정 깊이로 굴토하여 터파기 작업을 수행하고 터파기 작업에 의해 노출된 흙막이벽체의 측면에 수평으로 띠장을 설치하는 띠장설치단계와, 서로 마주보는 띠장과 그 사이의 철골기둥을 연결하는 수평보를 설치하는 수평보설치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띠장설치단계와 수평보설치단계가 반복 실시되며 내부 공간에 설계에 따라 벽체와 바닥 및 기초를 시공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중앙 기둥을 시공하지 않고 공장에서 제작되는 철골기둥을 설치함으로써 재료비가 절감되고 공정이 단순화되어 공기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철골기둥과 수평보를 용접작업에 의해 시공함에 따라 시공시간이 지연됨은 물론 시공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근자들어서는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일예로 공개특허 10-2020-0032316호인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이 안출된 바 있다.
종래 공개특허 10-2020-0032316호의 경우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에 있어서, 기둥 부재를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둥 부재에 브라켓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브라켓 부재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트러스형 지지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트러스형 지지체 상부에 각형 부재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함에 따라 시공시간을 단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기둥부재에 연결된 브라켓부재에 트러스형 지지체를 복수개 연결 시공하는 과정에서 브라켓부재를 용접 또는 볼트결합에 의해 연결 시공하거나 트러스형 지지체를 용접 또는 볼트결합에 의해 연결 시공함에 따라 브라켓부재와 기둥부재 및 트러스형 지지체가 완전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둥부재와 기둥부재를 연결 시공하는 과정에서 수평이나 거리가 맞지 않을 경우 전체적으로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둥부재와 연결되는 브라켓부재 및 브라켓부재에 연결되는 트러스형 지지체가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해서만 연결 시공됨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강도를 견고하게 지지하기에 역부족인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2123543호(2020.06.10.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20-0032316호(2020.03.26. 공개)
본 발명은 트러스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지하층 슬라브를 시공하여 건물의 지하층을 구축할 때 트러스체를 그대로 하강시켜 반복 사용하여 시공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복수개 기둥바를 복수개 수평바로 연결할 때 수평바를 견고하게 연결 시공하도록 함은 물론 기둥부재에 대해 수평바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여 시공성 향상은 물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강도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은, 지중에 흙막이벽체와 띠장부를 구축하는 흙막이벽체구축단계와 구축된 흙막이벽체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수직바를 서로 마주보도록 박아 설치하는 수직바설치단계와 수직바설치단계에 의해 설치된 복수개 수직바를 트러스체로 연결하는 트러스체시공단계로 이루어진 탑다운 공법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체시공단계는, 복수개 수직바 각각에 끼워져 수직바를 포설하는 복수개 사각형 승하강가이드 각각의 4면에 복수개 스크류잭 연결체의 일측이 각각 볼트연결하는 제1공정; 복수개 수직바에 각각 끼워진 사각형 승하강가이드에 연결된 복수개 스크류잭 연결체에 각각 수평바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복수개 수직바를 연결하는 제2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정에서의 수평바 연결은, 복수개 수직바 각각에 끼워진 사각형 승하강가이드에 일측이 연결된 스크류잭 연결체의 타측에 수평바를 연결하되, 수평바가 연결되는 스크류잭 연결체가 연결된 복수개 수직바 중 서로 마주보는 수직바의 위치가 서로에 대해 틀어졌을 때, 수평바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에 대해 위치가 틀어진 수직바와 수직바에 각각 끼워진 사각형 승하강가이드에 스크류잭 연결체에 의해 수평바를 견고하게 연결 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2공정 후, 스크류잭 연결체의 회전핸들을 돌려 수평바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수평바가 사각형승하강가이드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수평바의 긴장감이 유지되어 수직바 및 수평바의 견고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수평바조임공정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사각형승하강가이드의 4면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개 스크류잭 연결체는 각각, 사각형승하강가이드에 볼팅고정되고 상하단연결편을 갖는 수직바연결브라켓과; 상기 수직바연결브라켓의 상하단연결편 내측에 인입되어 상하단연결편과 힌지핀에 의해 힌지연결되고 내측에 제1스크류가이드홈이 구비된 제1스크류연결구와; 수평바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스크류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제2스크류가이드홈이 내측에 구비되는 제2스크류연결구와; 상기 제1스크류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오른나사부와 상기 제2스크류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왼나사부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회전핸들을 갖는 스크류길이가변축으로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회전핸들은 스크류길이가변축 중앙 외면에 위치되어 용접작업에 의해 스크류길이가변축과 결합되어 회전핸들을 돌렸을 때 스크류길이가변축이 회전되면서 상기 오른나사부가 끼워진 제1스크류가이드홈이 구비된 제1스크류연결구 및 왼나사부가 끼워진 제2스크류가이드홈이 구비된 제2스크류연결구로부터 상기 스크류길이가변축이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상기 수평바가 사각형승하강가이드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에 의해 수평바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2스크류연결구와 수평바의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수평바에는, 수평바의 측단에 일측면이 제1용접부에 의해 용접되고 타측면에 제2스크류연결구가 밀착된 후 제2스크류연결구와 볼팅고정되는 고정구멍이 통공된 측단지지대와; 상기 측단지지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측단지지대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바의 하단이 제2용접부에 의해 용접되고 상기 제2스크류연결구가 받쳐 지지되는 하단지지대를 갖는 보강연결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지하구축믈의 슬라브를 시공하는 탑다운 공법에 있어서 복수개 수직바들을 트러스체로 연결할 때 트러스체의 수평바와 수직바를 스크류잭 연결체로 연결하여 시공함에 따라 수평바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마주보는 수직바와 수직바의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트러스체를 쉽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류잭 연결체에 의해 수평바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지하층에 대한 슬라브 구축시에 각 층의 슬라브 구축시공작업이 견고하게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견고한 지지성에 의해 슬라브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도중 트러스체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시간의 단축과 시공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의 수평바를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의 수평바를 연결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의 수평바 연결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의 수직바와 수평바가 연결된 상태의 정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의 수직바와 수평바가 연결된 상태의 측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에 의해 수평바를 갖는 트러스체의 하강동작을 나타낸 개념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에 의해 복수개 수평바 연결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의 수평바 긴장상태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 수직바를 크로스 교차 연결하는 수평바 및 수평바 상단에 구비된 슬라브거푸집을 갖는 트러스체를 하강시키고 고정하는 것으로 동일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및 동일명칭을 그대로 적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중에 흙막이벽체와 띠장부를 구축하는 흙막이벽체구축단계와 구축된 흙막이벽체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수직바를 서로 마주보도록 박아 설치하는 수직바설치단계와 수직바설치단계에 의해 설치된 복수개 수직바를 트러스체로 연결하는 트러스체시공단계로 이루어진 탑다운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개 수직바(1)를 기준으로 트러스체를 구비하는 수평바(2)가 승하강구동체(101)에 의해 하강되는 것으로, 복수개 수직바(1)을 크로스 교차 연결하는 수평바(2) 및 수평바 상단에 구비된 슬라브거푸집을 갖는 트러스체를 승하강구동체(101)를 이용하여 수직바(1)에 대해 하강시켜 준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구축물의 층간슬라브를 구축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다시 수직바(1)에 대해 수평바(2) 및 수평바 상단에 구비된 슬라브거푸집을 갖는 트러스체를 다시 하강시켜 연속적으로 지하구축물의 층간슬라부를 연속하여 구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승하강구동체(101)에 의해 수직바(1)에 대해 전체적으로 하강되는 트러스체를 수직바(1)에 견고하게 연결하고 지지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트러스체시공단계(S1)는, 복수개 수직바(1) 각각에 끼워져 수직바(1)를 포설하는 복수개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 각각의 4면에 복수개 스크류잭 연결체(20)의 일측을 각각 볼트연결하는 제1공정(S11)과, 복수개 수직바(1)에 각각 끼워진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에 연결된 복수개 스크류잭 연결체(20)에 각각 수평바(2)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복수개 수직바(1)를 연결하는 제2공정(S12)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공정(S11)은, 지중에 복수개 수직되게 시공된 수직바(1)를 트러스체의 수평바(2)를 교차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 수직바(1) 각각에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를 끼워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가 수직바(1)의 둘레부를 포설하도록 구비한다.
이 때 승하강가이드(10)를 사각형으로 구비하는 이유는 수직바(1)에 수평바(2)를 교체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승하강가이드(10)의 형상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를 수직바(1)에 끼워줄 때 수직바(1)에 대해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의 하강동작이 간섭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공정(S12)은, 스크류잭 연결체(20)를 이용하여 수평바(2)를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에 연결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수평바(2)에 의해 복수개 수직바(1)가 크로스 연결시공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수직바(1) 각각에 1개의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를 구비하고 1개의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 4면에 각각 4개의 스크류잭 연결체(20)를 이용하여 4개의 수평바(2)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복수개 수직바(1)를 견고하게 연결하여 수평바(2)를 포함하는 트러스체를 연결 시공한다.
이 때 상기 제2공정(S12)에서의 수평바 연결은, 복수개 수직바(1) 각각에 끼워진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에 일측이 연결된 스크류잭 연결체(20)의 타측에 수평바(2)를 연결하되, 수평바(2)가 연결되는 스크류잭 연결체(20)가 연결된 복수개 수직바(1) 중 서로 마주보는 수직바(1)의 위치가 서로에 대해 틀어졌을 때, 수평바(2)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에 대해 위치가 틀어진 수직바(1)와 수직바(1)에 각각 끼워진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에 연결된 스크류잭 연결체(20)에 의해 수평바(2)를 견고하게 연결 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복수개 수직으로 시공된 수직바(1)와 수직바(1)의 시공된 위치가 서로 틀어져 어긋날 경우 수직바(1)와 수직바(1) 각각에 구비되는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에 연결된 스크류잭 연결체(20)들 역시 서로에 대한 위치가 동일선상에서 틀어져 어긋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류잭 연결체(20)가 서로 어긋날 경우 수평바(2)의 위치를 스크류잭 연결체(20)를 이용하여 가변시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틀어진 수직바(1)를 다시 시공하거나 또는 틀어진 수직바(1)에 무리하게 수평바(2)를 연결하지 않아도 되어 시공성이 크게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수직바(1)와 수직바(1)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더라도 스크류잭 연결체(20)를 이용하여 수평바(2)를 견고하게 연결 시공할 수 있어 기존 서로 어긋난 수직바(1)와 수직바(1)에 수평바(2)를 무리하게 연결함에 따라 수평바(2)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수평바(2)를 포함하는 트러스체의 견고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공정(S12) 후, 스크류잭 연결체(20)의 회전핸들(30)을 돌려 수평바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수평바(2)가 사각형승하강가이드(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수평바(2)의 긴장감이 유지되어 수직바(1) 및 수평바(2)의 견고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수평바조임공정(S13)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수평바조임공정(S13)에 의해 수직바(1)들에 각각 구비된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에 각각 연결된 스크류잭 연결체(20)를 수평바(2)로 연결한 후 회전핸들(30)을 돌려 수평바(2)의 양측을 각각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에 각각 연결된 스크류잭 연결체(20)측으로 강제적으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수평바(2)를 갖는 트러스체의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다시 수직바(1)에 대해 수평바(2) 및 수평바 상단에 구비된 슬라브거푸집을 갖는 트러스체를 승하강구동체(101)를 이용하여 다시 하강시켜 연속적으로 지하구축물의 층간슬라부를 연속하여 구축하는 과정에서 느슨해지는 스크류잭 연결체(20)와 수평바(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사각형승하강가이드(10)의 4면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개 스크류잭 연결체(20)는 각각, 사각형승하강가이드(10)에 볼팅고정되고 상하단연결편(21a)(21b)을 갖는 수직바연결브라켓(21)과, 상기 수직바연결브라켓(21)의 상하단연결편(21a)(21b) 내측에 인입되어 상하단연결편(21a)(21b)과 힌지핀에 의해 힌지연결되고 내측에 제1스크류가이드홈(22a)이 구비된 제1스크류연결구(22)와, 수평바(2)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스크류가이드홈(22a)과 대응되는 제2스크류가이드홈(23a)이 내측에 구비되는 제2스크류연결구(23)와, 상기 제1스크류가이드홈(22a)에 끼워지는 오른나사부(24a)와 상기 제2스크류가이드홈(23a)에 끼워지는 왼나사부(24b)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회전핸들(30)을 갖는 스크류길이가변축(24)으로 구비된다.
상기 수직바연결브라켓(21)의 상하단연결편(21a)(21b)는 상기 제1스크류연결구(22)가 인입된 후 힌지핀에 의해 제1스크류연결구(22)가 힌지연결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제2스크류연결구(23)가 연결된 수평바(2)가 제1스크류연결구(22)에 의해 수직바연결브라켓(21)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바(1)와 수직바(1)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되어 스크류잭 연결체(20)이 구비된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더라도 상기 수평바(2)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힌지 회전시켜 위치가 어긋난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에 스크류잭 연결체(20)를 이용하여 수평바(2)를 견고하게 연결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수평바(2)를 연결 한 후 상기 수평바조임공정(S13)에 의해 스크류잭 연결체(20)의 회전핸들(30)을 돌려 상기 수평바(2)가 사각형승하강가이드(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하여 수평바(2)의 긴장감이 유지되도록 하면 수직바(1) 및 수평바(2)를 견고하게 연결 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핸들(30)은 스크류길이가변축(24) 중앙 외면에 위치되어 용접작업에 의해 스크류길이가변축(24)과 결합되어 회전핸들(30)을 돌렸을 때 스크류길이가변축(24)이 회전되면서 상기 오른나사부(24a)가 끼워지는 제1스크류가이드홈(22a)이 구비된 제1스크류연결구(22) 및 왼나사부(24b)가 끼워지는 제2스크류가이드홈(23a)이 구비된 제2스크류연결구(23)로부터 상기 스크류길이가변축(24)이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상기 수평바(2)가 사각형승하강가이드(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에 의해 수평바(2)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회전핸들(30)을 돌려 제2스크류연결구(23)가 스크류길이가변축(24)으로 전진하거나 스크류길이가변축(2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여 수평바(2)를 견고하게 연결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크류연결구(23)와 수평바(2)의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수평바(2)에는, 수평바(2)의 측단에 일측면이 제1용접부(41a)에 의해 용접되고 타측면에 제2스크류연결구(23)가 밀착된 후 제2스크류연결구(23)와 볼팅고정되는 고정구멍(41b)이 통공된 측단지지대(41)와, 상기 측단지지대(4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측단지지대(41)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바(2)의 하단이 제2용접부(42a)에 의해 용접되고 상기 제2스크류연결구(23)가 받쳐 지지되는 하단지지대(42)를 갖는 보강연결대(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보강연결대(40)가 구비됨에 따라 수평바(2)와 제2스크류연결구(23)를 더욱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보강연결대(40)의 하단지지대(42)에 의해 수평바(2)의 하단과 제2스크류연결구(23)의 하단이 받쳐 지지되기 때문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1 : 트러스체시공단계 S11 : 제1공정
S12 : 제2공정 S13 : 수평바조임공정
1 : 수직바 2 : 수평바
10 : 사각형 승하강가이드 20 : 스크류잭 연결체
21 : 수직바연결브라켓 21a : 상단연결편
21b : 하단연결편 22 : 제1스크류연결구
22a : 제1스크류가이드홈 23 : 제2스크류연결구
23a : 제2스크류가이드홈 24 : 스크류길이가변축
24a : 오른나사부 24b : 왼나사부
30 : 회전핸들 40 : 보강연결대
41 : 측단지지대 41a : 제1용접부
41b : 고정구멍 42 : 하단지지대
42a : 제2용접부

Claims (5)

  1. 지중에 흙막이벽체와 띠장부를 구축하는 흙막이벽체구축단계와 구축된 흙막이벽체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수직바를 서로 마주보도록 박아 설치하는 수직바설치단계와 수직바설치단계에 의해 설치된 복수개 수직바를 트러스체로 연결하는 트러스체시공단계로 이루어진 탑다운 공법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체시공단계(S1)는,
    복수개 수직바(1) 각각에 끼워져 수직바(1)를 포설하는 복수개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 각각의 4면에 복수개 스크류잭 연결체(20)의 일측을 각각 볼트연결하는 제1공정(S11);
    복수개 수직바(1)에 각각 끼워진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에 연결된 복수개 스크류잭 연결체(20)에 각각 수평바(2)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복수개 수직바(1)를 연결하는 제2공정(S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정(S12)에서의 수평바 연결은,
    복수개 수직바(1) 각각에 끼워진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에 일측이 연결된 스크류잭 연결체(20)의 타측에 수평바(2)를 연결하되,
    수평바(2)가 연결되는 스크류잭 연결체(20)가 연결된 복수개 수직바(1) 중 서로 마주보는 수직바(1)의 위치가 서로에 대해 틀어졌을 때, 수평바(2)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에 대해 위치가 틀어진 수직바(1)와 수직바(1)에 각각 끼워진 사각형 승하강가이드(10)에 연결된 스크류잭 연결체(20)에 의해 수평바(2)를 견고하게 연결 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S12) 후,
    스크류잭 연결체(20)의 회전핸들을 돌려 수평바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수평바(2)가 사각형승하강가이드(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수평바(2)의 긴장감이 유지되어 수직바(1) 및 수평바(2)의 견고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수평바조임공정(S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승하강가이드(10)의 4면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개 스크류잭 연결체(20)는 각각,
    사각형승하강가이드(10)에 볼팅고정되고 상하단연결편(21a)(21b)을 갖는 수직바연결브라켓(21)과;
    상기 수직바연결브라켓(21)의 상하단연결편(21a)(21b) 내측에 인입되어 상하단연결편(21a)(21b)과 힌지핀에 의해 힌지연결되고 내측에 제1스크류가이드홈(22a)이 구비된 제1스크류연결구(22)와;
    수평바(2)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스크류가이드홈(22a)과 대응되는 제2스크류가이드홈(23a)이 내측에 구비되는 제2스크류연결구(23)와;
    상기 제1스크류가이드홈(22a)에 끼워지는 오른나사부(24a)와 상기 제2스크류가이드홈(23a)에 끼워지는 왼나사부(24b)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회전핸들(30)을 갖는 스크류길이가변축(24)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핸들(30)은 스크류길이가변축(24) 중앙 외면에 위치되어 용접작업에 의해 스크류길이가변축(24)과 결합되어 회전핸들(30)을 돌렸을 때 스크류길이가변축(24)이 회전되면서 상기 오른나사부(24a)가 끼워지는 제1스크류가이드홈(22a)이 구비된 제1스크류연결구(22) 및 왼나사부(24b)가 끼워지는 제2스크류가이드홈(23a)이 구비된 제2스크류연결구(23)로부터 상기 스크류길이가변축(24)이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상기 수평바(2)가 사각형승하강가이드(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에 의해 수평바(2)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크류연결구(23)와 수평바(2)의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수평바(2)에는,
    수평바(2)의 측단에 일측면이 제1용접부(41a)에 의해 용접되고 타측면에 제2스크류연결구(23)가 밀착된 후 제2스크류연결구(23)와 볼팅고정되는 고정구멍(41b)이 통공된 측단지지대(41)와;
    상기 측단지지대(4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측단지지대(41)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바(2)의 하단이 제2용접부(42a)에 의해 용접되고 상기 제2스크류연결구(23)가 받쳐 지지되는 하단지지대(42)를 갖는 보강연결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KR1020210051098A 2021-04-20 2021-04-20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KR102434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098A KR102434252B1 (ko) 2021-04-20 2021-04-20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098A KR102434252B1 (ko) 2021-04-20 2021-04-20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252B1 true KR102434252B1 (ko) 2022-08-19

Family

ID=8311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098A KR102434252B1 (ko) 2021-04-20 2021-04-20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25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070A (ja) * 2000-09-05 2002-03-22 Kajima Corp スライド式山留め支保工システム
KR200390920Y1 (ko) * 2005-04-27 2005-07-28 심명보 사보강재 및 상기 사보강재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조립체
KR20090119504A (ko) * 2008-05-16 2009-11-19 김영수 버팀부재 지지용 스크류잭
KR20100137084A (ko) * 2009-06-22 2010-12-30 이창남 지하실 하향 공법 과정에서 편심, 경사, 비틀리게 시공된 기둥을 수정하는 공법
KR20200032316A (ko) 2018-09-18 2020-03-26 (주)삼호언더폼이엔지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102123543B1 (ko) 2019-11-20 2020-06-16 (주)에스앤피이엔씨 중앙 철골기둥을 이용한 탑다운 공법
KR20210044991A (ko)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서린디앤씨 흙막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070A (ja) * 2000-09-05 2002-03-22 Kajima Corp スライド式山留め支保工システム
KR200390920Y1 (ko) * 2005-04-27 2005-07-28 심명보 사보강재 및 상기 사보강재를 포함하는 버팀부재용 지지조립체
KR20090119504A (ko) * 2008-05-16 2009-11-19 김영수 버팀부재 지지용 스크류잭
KR20100137084A (ko) * 2009-06-22 2010-12-30 이창남 지하실 하향 공법 과정에서 편심, 경사, 비틀리게 시공된 기둥을 수정하는 공법
KR20200032316A (ko) 2018-09-18 2020-03-26 (주)삼호언더폼이엔지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20210044991A (ko)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서린디앤씨 흙막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2123543B1 (ko) 2019-11-20 2020-06-16 (주)에스앤피이엔씨 중앙 철골기둥을 이용한 탑다운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400B1 (ko)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JP2002081070A (ja) スライド式山留め支保工システム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34252B1 (ko) 스크류잭 연결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KR102001526B1 (ko) 하향식 공법용 수직구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JP2002081069A (ja) スライド式切梁支保工のコーナー火打ち切梁架設装置
JP2002121747A (ja) 鉄骨柱の半固定直接基礎および杭基礎構造
KR102213656B1 (ko) 가변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변단면 수직구 시공방법
KR20190142546A (ko) 외곽부 현수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KR102254227B1 (ko) Pc 말뚝캡이 구비된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314170B1 (ko) 탑사일로시공방법
KR10062632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KR101234201B1 (ko) 탑사일로시공방법
KR102504211B1 (ko) 지하구조물의 개량 다운업 시공방법
JP5130137B2 (ja) 木造建築の既存基礎の改修工法
KR100583774B1 (ko) 가변형 합벽지지대
CN215519924U (zh) 沉降缝两侧混凝土剪力墙浇筑模板
KR102607923B1 (ko) 중공형 pc 기둥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17305Y1 (ko) 가변형 합벽지지대
JP7364105B2 (ja) 位置調整装置及び構真柱の位置調整方法
CN215442360U (zh) 一种键槽节点预制框架梁的底部钢筋连接结构
KR102244674B1 (ko) 프리캐스트 장스팬 다중 보
KR102484762B1 (ko) 지하구조물의 개량 다운업장치
KR20170029871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의 브라켓 장치
CN210396116U (zh) 一种木模板加固辅助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