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179B1 -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 Google Patents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179B1
KR101062179B1 KR1020100079885A KR20100079885A KR101062179B1 KR 101062179 B1 KR101062179 B1 KR 101062179B1 KR 1020100079885 A KR1020100079885 A KR 1020100079885A KR 20100079885 A KR20100079885 A KR 20100079885A KR 101062179 B1 KR101062179 B1 KR 101062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nchor
roller
stra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김성규
주식회사그라운드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규, 주식회사그라운드이엔씨 filed Critical 김성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연선의 힘 또는 하중의 방향을 자연스럽게 바꿔주므로 강연선의 인장 작업이 쉽고 용이하며, 브라켓을 띠장에 수평으로 설치할 경우 띠장 간격을 좁힐 수 있으므로 브라켓의 크기가 현저하게 작은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하여 상당한 브라켓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것이다.
이는 띠장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후방 면에 걸림돌기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전방 면에 로울러가 설치되는 구멍이 다수 개 형성된 내부 브라켓과, 상기 내부 브라켓의 삽입공에 설치되어서 강연선의 방향을 전환시켜 수평 또는 경사 상태로 안내하는 방향 전환 로울러와, 천공홀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후단이 브라켓에 체결되는 웨찌에 고정되는 강연선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All angle adjustment bracket}
본 발명은 앵커 천공 각도와 상관없이 모든 각도에 사용 가능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띠장인 H빔에 설치된 하중의 방향을 바꿔주는 방향 전환 로울러를 통해 강연선의 방향을 수평상태까지 바뀔 수 있어 강연선의 인장 작업이 용이하며, 천공홀의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천공 각도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건축 현장의 터파기 공사나 기초공사에서 급경사의 굴착공을 형성할 때 벽체가 굴착공 쪽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앵커 공법이 많이 이용된다.
상기 앵커 공법은 첨부된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반에 H형 강재(2) 등을 이용한 엄지말뚝을 설치하고 지정된 지반을 굴착한 후에 각각의 엄지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삽입하여 토류벽(1)을 형성한다
그리고 토류벽(1)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으로 천공홀(3)을 형성하고, 천공홀(3) 내부로 강연선(4)을 삽입 설치한 후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강연선(4)을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강연선(4)은 굴착공의 바닥면 모서리와 지반 사이에 토질에 따른 설계기준에 의해 가상붕괴선을 설정한 후 천공각과 만나는 부분을 기준으로 자유장과 정착장으로 구분되며 통상 1차 그라우트는 정착장에 대해 실시된다.
그라우트가 양생이 완료되면, 강연선(4)으로 인장력을 가한 후에 토류벽(1)의 H형 강재(2)에 설치된 브라켓(5)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브라켓(5)에 형성된 인출공으로 강연선(4)을 을 통과시킨 후에 상기 인출공보다 큰 직경의 웨찌(6)를 이용하여 강연선(4)을 정착하면, 강연선(4)의 인장력이 토압에 대응하여 토류벽(1)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강연선(4)이 삽입되는 천공홀의 각도는 일반적으로 20도~45도 이나 30도 전후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천공홀의 각도에 따라 브라켓(5)의 각도가 결정되므로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공홀로 90도 각도로 제작된 브라켓(5)을 사용해야 한다.
천공홀의 각도로 90도가 아닌 브라켓(5)을 사용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앵커 두부에서 강연선(4)이 꺾어져서 파단되거나 슬립이 발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연선의 각도를 수평 상태까지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인장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으며, 브라켓의 상면에 각각 다른 경사면을 갖도록 제작해야 하므로 호환성이 떨어지며 브라켓의 제작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양한 각도로 형성된 천공홀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브라켓이며, 강연선의 힘 또는 하중의 방향을 자연스럽게 바꿔주므로 강연선의 인장 작업이 쉽고 용이하며, 브라켓을 띠장에 수평으로 설치할 경우 띠장 간격을 좁힐 수 있으므로 브라켓의 크기가 현저하게 작은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하여 상당한 브라켓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띠장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후방 면에 걸림돌기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전방 면에 로울러가 설치되는 구멍이 다수 개 형성된 내부 브라켓과, 상기 내부 브라켓의 삽입공에 설치되어서 강연선의 방향을 전환시켜 수평 또는 경사 상태로 안내하는 방향 전환 로울러와, 천공홀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후단이 브라켓에 체결되는 웨찌에 고정되는 강연선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첫째는 천공홀의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천공 각도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는 강연선의 힘 또는 하중의 방향을 자연스럽게 바꿔주므로 강연선의 인장 작업이 쉽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셋째는 브라켓을 띠장에 수평으로 설치하여 띠장 간격을 좁힐 수 있으므로 브라켓의 크기가 현저하게 작은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하여 상당한 브라켓 제작 비용이 절감하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종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방향 전환 로울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20은 본 발명인 방향 전환 로울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1~2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4은 본 발명인 방향 전환 로울러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5~2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4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방향 전환 로울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이하에 나타낸 도면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및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의 도면 중 부호 200은 본 발명의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의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본체(200)는 띠장의 외부에 설치되도록 걸림돌기(12)를 가지면서 후방면에 경사면 및 수직면을 갖는 외부 브라켓(10)과, 하부 띠장에 설치되면서 강연선(40)의 힘을 방향을 바꿔 수평상태로 안내하는 방향 전환 로울러(30)와, 방향 전환 로울러(30)의 안내를 받는 강연선(40)의 후단을 외부 브라켓(10)의 앵커체(20)에 체결하여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외부 브라켓(10)은 양쪽 측면에 일정 높이를 갖는 기본판재(10a)를 형성하고 기본판재(10a)의 전방 면 중간 부분에 하부 띠장으로 삽입되도록 삽입홈(11)을 갖는 ㄱ자 형태의 걸림돌기(12)를 형성하고 후방 면에는 경사면이나 수직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브라켓(10)의 후방 면의 중간 부분에는 앵커체(20)가 삽입되는 삽입공(13)이 형성된 앵커판재(14)를 설치하고, 외부 브라켓(10)의 전방 상측과 하측 면에는 하부 띠장(51)에 체결시 상,하부 띠장(55)(51) 면과 밀착 결합되도록 사각형의 밀착판재(15)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 앵커체(20)는 다수 개의 웨찌(21)가 삽입되는 웨찌삽입공(22)이 형성된 헤드(23)와 헤드(23)의 웨찌삽입공(22)으로 체결되어 강연선(40)을 고정시키는 웨찌(21)로 이루어져 있다.
또, 앵커판재(14)의 하측 면에는 외부 브라켓(10)이 외부의 힘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각 형태의 보강판재(16)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방향 전환 로울러(30)는 첨부된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ㄴ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에 삽입공(31)을 갖는 양쪽 측판(32)을 형성하고, 양쪽 측판(32)의 전방 면에 각각 회전하는 다수 개의 로울러(33)가 설치된 고정축(34)을 설치한다.
상기 고정축(34)은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 측판(32)의 삽입공(31)으로 삽입하여 반대편의 측판(32)에 형성된 삽입공(31)으로 배출시킨 다음에 너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후방 상면에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보강판(35)을 고정 설치하여 양쪽 측판(32)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방에도 수직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판(36)을 설치하여 양쪽 측판(32)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로울러(33)는 각각 별도로 회전하게 되고 그 개수는 강연선(40)의 가닥수와 같게 하거나 하나로 형성한다.
상기 강연선(40)은 선단이 천공홀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후단은 방향 전환 로울러(30)의 로울러(33)에 의해 힘의 방향이 변환되어 수평상태로 안내를 받으면서 외부 브라켓(10)의 앵커판재(14)에 설치된 앵커체(20)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외부 브라켓(10)과 하부 띠장(51)의 내측에 설치된 방향 전환 로울러(30)의 설치 및 작동 상태를 첨부된 도면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방에 다수 개의 로울러(33)가 설치된 방향 전환 로울러(30)를 하부 띠장(51)의 상측 내부 공간(52)으로 삽입 설치한다. 그리고, 하부 띠장(51)의 상측 후방 면(53)의 상단으로 외부 브라켓(10)의 ㄱ자 형태의 걸림돌기(12)를 삽입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외부 브라켓(10)의 밀착판재(15)가 상,하부 띠장(55)(51)의 전면에 밀착되어 외부 브라켓(1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도가 서로 다른 천공홀에 삽입된 강연선(40)의 후단을 방향 전환 로울러(30)에 형성된 다수 개의 로울러(33)에 올려 놓은 다음 수평상태로 방향을 전환하여 인장하게 되면, 로울러(33)가 회전하면서 강연선(40)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강연선(40)의 후단을 외부 브라켓(10)의 앵커판재(14)에 체결된 헤드(23)의 웨찌삽입공(22)으로 배출한 후 웨찌(21)를 이용하여 인장 및 정착한다.
또한, 상기 강연선(40)은 첨부된 도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간 경사진 상태에도 적용할 수 있어 인장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브라켓 본체(100)의 다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100)는 후방 면이 수직상태를 이루는 외부 브라켓(60)과, 하부 띠장(51)의 상측 전방면 상면에 설치되는 방향 전환 로울러(70)와 방향 전환 로울러(70)의 안내를 받으면서 외부 브라켓(60)의 앵커체(20)에 고정 설치되는 강연선(80)으로 구성한다.
상기 외부 브라켓(60)은 양쪽 측면에 일정 높이를 갖는 기본판재(60a)를 형성하고 기본판재(60a)의 전방 면 중간 부분에 하부 띠장(51)으로 삽입되도록 삽입홈(61)을 갖는 ㄱ자 형태의 걸림돌기(62)를 형성하며 후방 면에는 경사면이나 수직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외부 브라켓(60)의 후방 면의 중간 부분에는 앵커체(20)가 삽입되는 삽입공(63)이 형성된 앵커판재(64)를 설치하고, 외부 브라켓(60)의 전방 면 상측과 하측에는 하부 띠장(51)에 체결시 띠장 면과 밀착 결합되도록 사각형의 밀착판재(65)을 형성하며, 앵커판재(64)의 전면에는 외부 브라켓(60)이 외부의 힘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각 형태의 보강판재(66)를 설치한다.
상기 앵커체(2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방향 전환 로울러(70)은 첨부된 도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공(73)이 형성된 양쪽 측판(74)의 내측으로 다수 개의 로울러(72)를 밀착 설치하고, 한쪽 측판(74)의 삽입공(73)으로 볼트 형태의 고정축(71)을 삽입하여 반대편의 측판(74)에 형성된 삽입공(73)으로 배출시킨 다음에 너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양쪽 측판(74)의 하측 면에는 중앙에 하부 띠장(51)으로 체결되는 삽입홈(76)이 형성되도록 고정다리(75)를 체결한다.
상기 로울러(72)는 각각 별도로 회전하게 되고 그 개수는 강연선(80)의 가닥수와 같게 하거나 하나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방향 전환 로울러(70)는 첨부된 도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 측판(74)의 전방 면이나 후방 면의 한쪽으로 보강판(77)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또, 상기 방향 전환 로울러(70)는 첨부된 도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 측판(74)의 전방 면으로 완만한 곡선을 가지면서 한 몸으로 이루어진 반원형의 고정판(79)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방향 전환 로울러(70)에 설치된 각각의 로울러(72)나 한 몸으로 된 고정판(79)을 이용하여 강연선(80)의 힘의 방향을 바꿔 수평상태로 안내하면서 인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강연선(8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하부 띠장의 전방 면에 설치되는 방향 전환 로울러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공이 형성되고 전방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판(97)이 형성된 양쪽 측판(94)을 형성하며, 양쪽 측판(94)의 삽입공으로 다수 개의 로울러(92)를 밀착 설치하고, 한쪽 측판(94)의 삽입공으로 볼트 형태의 고정축(91)을 삽입하여 반대편의 측판(94)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배출시킨 다음에 너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양쪽 측판(94)의 하측 면에는 중앙에 하부 띠장(51)의 전방 면에 체결되도록 삽입홈(96)을 갖는 고정다리(95)를 형성하며, 양쪽 측판(94)의 전면이나 후면에 사각 보강판(98)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 방향 전환 로울러(90)의 삽입홈(96)을 하부 띠장(51)의 상측 전방 면(54)에 삽입 설치하게 되면, 첨부된 도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 측판(94)에 형성된 지지판(97)의 후방 면이 상부 띠장(55)의 하측 전방 면(56)에 밀착 고정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1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향 전환 로울러(100)는 로울러(102)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양쪽 측판과 고정 다리를 ㄱ자 형태의 단일 몸체인 양쪽 측판(104)으로 형성하고, 양쪽 측판(104)의 전방 면과 내측에 지지판(105)(106)을 형성한다.
또,첨부된 도면 도 1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일 몸체인 양쪽 측판(104)의 상측 면에 ㄷ자 형태의 걸림홈(107)을 갖는 걸림판(108)을 형성하고, 걸림판(108)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보강판(109)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ㄱ자 형태의 양쪽 측판(104)의 전방 면으로 별도의 고정판(107)을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향 전환 로울러(100)는 첨부된 도면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띠장(51)의 상측 전방 면(54)에 고정 및 삽입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방향 전환 로울러의 또 다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 도 18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방향 전환 로울러(11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양쪽 측판(114)을 일자형으로 형성하고, 로울러(112)의 하측 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판(115)을 형성하며, 가이드판(115)의 후방에는 걸림턱(116)을 형성하고 전방에는 걸림홈(117)을 형성하다.
이와 같은 방향 전환 로울러(110)는 첨부된 도면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띠장의 전방 면으로 걸림턱(116)을 고정 설치하고, 후방 면으로는 걸림홈(117)을 삽입 설치하여 방향 전환 로울러(110)가 매우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첨부된 도면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판(115)을 형성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외부 브라켓(60) 및 방향 전환 로울러(70)의 설치 및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방향 전환 로울러(70)의 고정다리(75)에 형성된 삽입홈(76)을 하부 띠장(51)의 상측 전방 면(54)으로 삽입 설치한다.
그리고, 하부 띠장(51)의 상측 후방 면(53)으로 외부 브라켓(60)의 걸림돌기(62)를 삽입 체결하여 외부 브라켓(60)을 고정한다.
이때, 외부 브라켓(60)의 밀착판재(65)가 상,하부띠장(55)(51)의 전면에 밀착되어 외부 브라켓(6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도가 서로 다른 천공홀에 삽입된 강연선(80)의 후단을 방향 전환 로울러(70)에 형성된 다수 개의 로울러(72)에 올려 놓은 다음 수평상태로 방향을 전환하여 인장하게 되면, 로울러(72)가 회전하면서 강연선(80)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강연선(80)의 후단을 외부 브라켓(60)의 앵커판재(64)에 체결된 헤드(23)의 웨찌삽입공(22)으로 배출한 후 웨찌(21)를 이용하여 인장 및 정착한다.
상기 강연선(80)은 첨부된 도면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간 경사진 상태로 인장할 수도 있다.
상기 방향 전환 로울러(70)(90)(100)(110)는 다양한 형태 중에서 사용자가 작업 현장에 적합 것을 선택하여 적용하면 된다.
상기 본 발명인 강연선의 방향을 바꿔주는 브라켓 본체(300)의 다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23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300)는 상,하부 띠장(55)(51)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브라켓(210)과, 내부 브라켓(210)의 전방 면으로 다수 개의 로울러(232)가 결합된 고정축(231)을 체결하여 각각의 로울러(232)가 강연선(240)의 힘의 방향을 전환시켜 수평 또는 약간 경사상태로 안내하는 방향 전환 로울러(230)와, 방향 전환 로울러(230)의 안내를 받는 강연선(240)의 후단을 내부 브라켓(210)의 앵커체(220)에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내부 브라켓(210)은 양쪽 측면으로 상,하부 띠장(55)(51)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기본판재(210a)를 형성하고, 기본판재(210a)의 전방과 후방 면에 하부 띠장(51)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전,후방 걸림돌기(211)(212)를 형성하며, 전방 면에 로울러(232)가 설치되는 구멍(213)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브라켓(210)의 후방 면의 중간 부분에는 앵커체(220)가 삽입되는 삽입공(214)이 형성된 앵커판재(215)가 설치하고, 내부 브라켓(210)의 전방 면 상측과 하측에는 상,하부 띠장(55)(51)의 내측에 체결시 띠장 면과 밀착 결합되도록 사각형의 밀착판재(216)을 체결한다.
상기 앵커체(220)의 구조는 다수 개의 웨찌(221)가 삽입되는 웨찌삽입공(222)이 형성된 헤드(223)와 헤드(223)의 웨찌삽입공(222)으로 체결되어 강연선(240)을 고정시키는 웨찌(22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방향 전환 로울러(230)는 첨부된 도면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로울러(232)가 삽입 설치된 고정축(231)으로 구성되며, 고정축(231)은 내부 브라켓(210)의 전방에 형성된 삽입공(214)으로 설치하여 고정한다.
상기 로울러(232)의 상면으로는 천공홀 내부에 삽입 설치된 강연선(240)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올려 놓고 인장한 후 그 끝단은 내부 브라켓(210)의 앵커판재(215)에 설치된 앵커체(220)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내부 브라켓(210) 및 방향 전환 로울러(230)의 설치 및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에 방향 전환 로울러(230)가 설치된 내부 브라켓(210)을 상,하부 띠장(55)(51)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내부 브라켓(210)의 전,후방 걸림돌기(211)(212)의 하측 면이 하부 띠장(51)의 상면으로 안착시켜 설치한다.
이때, 내부 브라켓(210)의 밀착판재(216)가 상,하부 띠장(55)(51)의 내측 면에 밀착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도가 서로 다른 천공홀에 삽입된 강연선(240)의 후단을 방향 전환 로울러(230)에 형성된 다수 개의 로울러(232)에 올려 놓은 다음 수평상태로 방향을 전환하여 인장하게 되면, 로울러(232)가 회전하면서 강연선(240)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강연선(240)의 후단을 외부 브라켓(210)의 앵커판재(215)에 체결된 헤드(223)의 웨찌삽입공(222)으로 배출한 후 웨찌(221)를 이용하여 인장 및 정착한다.
상기 내부 브라켓(210)은 첨부된 도면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면을 수직상태가 아닌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부 띠장의 외부나 내부로 브라켓을 설치하고, 다양한 각도를 갖는 천공홀에 삽입된 강연선의 힘 또는 하중의 방향을 쉽고 간편하게 전환시켜 수평상태로 안내하도록 하여 강연선의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인장한 후 정착할 수 있는 것이다.
200,300:본체 10:외부 브라켓
11,76,96:삽입홈 12,62:걸림돌기
13,31,73:삽입공 14,64,215:앵커판재
15,216:밀착판재 16:보강판재
20,220:앵커체 30:방향 전환 로울러
32,74,94,104,114:측판
33,72,92,102,112,232:로울러 34,91,231:고정축
35:보강판 36,97,105,106:지지판
79:고정판 40,80,240:강연선
60:외부 브라켓 70,90,100,110,230:방향 전환 로울러
65:밀착판재
75,95:고정다리 77,97:보강판
210:내부 브라켓 211,212:걸림돌기
213:구멍 214:삽입공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띠장의 외부에 설치되며 전방 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측으로 수직 또는 경사면을 가지면서 앵커체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앵커판재를 갖는 외부 브라켓과, 하부 띠장의 전방 상면에 설치되며 강연선의 힘의 방향을 전환시켜 수평 또는 경사상태로 안내하는 방향 전환 로울러와, 천공홀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후단이 브라켓의 앵커체에 고정되는 강연선으로 구성된 앵커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로울러는, 양쪽 측판의 전방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판을 형성하고, 지지판의 후방면이 상부 띠장의 전면과 맞닿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로울러는, 양쪽 측판과 고정 다리를 ㄱ자 형태의 단일 몸체인 양쪽 측판으로 형성하고, 양쪽 측판의 전방 면과 내측에 지지판이 형성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로울러는, 양쪽 측판을 일자형으로 형성하고, 로울러의 하측 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판을 형성하며, 가이드판의 양쪽으로 걸림턱과 걸림홈을 형성하여 하부 띠장의 양쪽으로 안정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9. 띠장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후방 면에 걸림돌기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전방 면에 로울러가 설치되는 구멍이 다수 개 형성된 내부 브라켓과;
    상기 내부 브라켓의 삽입공에 설치되어서 강연선의 방향을 전환시켜 수평 또는 경사 상태로 안내하는 방향 전환 로울러와;
    천공홀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후단이 브라켓에 체결되는 웨찌에 고정되는 강연선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로울러는 고정축으로 각각 별도로 회전하는 로울러가 다수 또는 한 개 설치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KR1020100079885A 2010-06-24 2010-08-18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KR101062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255 2010-06-24
KR20100060255 2010-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179B1 true KR101062179B1 (ko) 2011-09-05

Family

ID=4495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885A KR101062179B1 (ko) 2010-06-24 2010-08-18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17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991B1 (ko) * 2013-09-10 2015-04-07 김경윤 어스앵커용 브래킷
KR20230030562A (ko) * 2022-12-09 2023-03-06 오용환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030596A (ko) * 2023-01-11 2023-03-06 오용환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030595A (ko) * 2023-01-11 2023-03-06 오용환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030555A (ko) * 2022-09-07 2023-03-06 오용환 깊은 굴착의 단계별 지보를 위한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WO2024039157A1 (ko) * 2022-08-19 2024-02-22 오용환 가이드 브라켓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7517A (ja) 2005-12-28 2007-07-12 Tanaka Juken:Kk アースアンカー工法
KR100964258B1 (ko) 2010-01-27 2010-06-16 (주)서림건설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7517A (ja) 2005-12-28 2007-07-12 Tanaka Juken:Kk アースアンカー工法
KR100964258B1 (ko) 2010-01-27 2010-06-16 (주)서림건설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991B1 (ko) * 2013-09-10 2015-04-07 김경윤 어스앵커용 브래킷
WO2024039157A1 (ko) * 2022-08-19 2024-02-22 오용환 가이드 브라켓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WO2024039010A1 (ko) * 2022-08-19 2024-02-22 오용환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20230030555A (ko) * 2022-09-07 2023-03-06 오용환 깊은 굴착의 단계별 지보를 위한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55541B1 (ko) * 2022-09-07 2023-07-12 오용환 깊은 굴착의 단계별 지보를 위한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WO2024053817A1 (ko) * 2022-09-07 2024-03-14 오용환 깊은 굴착의 단계별 지보를 위한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030562A (ko) * 2022-12-09 2023-03-06 오용환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26432B1 (ko) * 2022-12-09 2024-01-16 오용환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030596A (ko) * 2023-01-11 2023-03-06 오용환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030595A (ko) * 2023-01-11 2023-03-06 오용환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10817B1 (ko) * 2023-01-11 2023-12-05 오용환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26433B1 (ko) * 2023-01-11 2024-01-16 오용환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179B1 (ko)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KR100652530B1 (ko) 어스 앵커 브라켓
KR101352188B1 (ko) 원터치식 재인장 정착구
KR100992942B1 (ko)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KR101093185B1 (ko) 연속 벽체용 각도 조절 브라켓
KR100793743B1 (ko)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
KR100964258B1 (ko)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KR101040038B1 (ko) 암반층 정착용 쐐기식 확장형 앵커
KR20070080253A (ko)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KR20120076806A (ko)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인장재고정용 띠장
KR20130023331A (ko)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KR100950683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
KR100715098B1 (ko) 흙막이 구조물
KR200354027Y1 (ko) 어스앵커 브라켓 지지구조
KR101287687B1 (ko)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인장재고정용 띠장
KR100899528B1 (ko) 스토퍼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KR200428745Y1 (ko) 그라운드 앵커용 브라켓 장치
JP2007126934A (ja) 土木施設用ロープのアンカー装置
KR101060287B1 (ko) 각도조절 브래킷
KR100714041B1 (ko)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KR200457659Y1 (ko) 어스 앵커용 브래킷
KR20090020073A (ko) 계단식 옹벽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소일 네일링 인장재와의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식 옹벽의 축조방법
KR20050099067A (ko) 흙막이 구조물의 앵커 지지체 및 이를 구비한 띠장
JP2004211459A (ja) 土留め構造
KR101298020B1 (ko) 가설 토류벽 지지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