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035B1 - 수평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버팀보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수평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버팀보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035B1
KR100714035B1 KR1020050118924A KR20050118924A KR100714035B1 KR 100714035 B1 KR100714035 B1 KR 100714035B1 KR 1020050118924 A KR1020050118924 A KR 1020050118924A KR 20050118924 A KR20050118924 A KR 20050118924A KR 100714035 B1 KR100714035 B1 KR 100714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rotation
receiving member
wristband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영
오성남
오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주)청석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주)청석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11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구조물로서 토류벽의 시공시 모서리 부분 등에서 버팀보를 경사진 형태로 띠장에 설치함에 있어서, 각 시공 현장에 맞추어 모서리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버팀보를 설치할 때 버팀보의 수평방향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버팀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토류벽의 띠장(30)을 지지하기 위하여 띠장(30)의 전면에 버팀보(20)를 설치하는 구조로서, 전면에는 반원 형태로 오목하게 만들어진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은 상기 띠장(30)의 전면에 조립 결합되는 회전수용부재(10)와; 상기 회전수용부재(10)의 오목부(11)에 대응되는 회전부(21)를 배면에 구비하고 있는 버팀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버팀보(20)를 상기 띠장(30)의 전면에 설치할 때 상기 회전부(21)가 상기 오목부(11)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버팀보(20)를 회전시킴으로써 현장에서 요구하는 수평방향 설치각도로 상기 버팀보(20)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버팀보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띠장, 버팀보, 토류벽, 흙막이

Description

수평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버팀보의 설치구조{Structure for Install Stru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토류벽에 설치된 띠장에 버팀보가 결합되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버팀보가 띠장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서 버팀보의 수평방향 설치각도가 변화된 상태로 띠장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대응되는 평면도로서, 또다른 형태의 위치고정구조를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서 버팀보를 이용하여 토류벽을 지지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수용부재
20 : 띠장
30 : 경사버팀보
본 발명은 흙막이 구조물에 설치되는 버팀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흙막이 구조물로서 토류벽의 시공시 모서리 부분 등에서 버팀보를 경사진 형태로 띠장에 설치함에 있어서, 토류벽의 모서리 부분에서 띠장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버팀보를 설치할 때 각 시공 현장상황에 맞추어 버팀보의 수평방향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버팀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지하층 시공 또는 지하철 공사 등과 같이, 터파기 공사에는 굴착된 흙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류벽이 설치되며, 토류벽을 지지하기 위하여 버팀보다 설치된다. 도 3에는 종래 기술에서 버팀보를 이용하여 토류벽을 지지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100과 110은 각각 토류벽을 형성하는 엄지말뚝(100)과 토류판(110)이고, 부재번호 120은 토류벽 전면에 설치되는 띠장(120)이다.
상기 띠장(120)의 전면에는 버팀보(200)가 설치되어 상기 버팀보(200)에 의하여 띠장(120)을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버팀보(200)를 설치함에 있어서 중앙의 작업 공간확보를 위하여 최근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버팀보(200)를 모서리 부분에서 경사진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즉, 버팀보(200)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띠장(120)의 전면에 연결부재(121)를 결합하고, 상기 버팀보(200)의 단부를 상기 연결부재(121)에 결합하여 버팀보(200)를 경사지게 설치하게 된다. 상기 버팀보(200)의 일단부에는 유압잭(122)을 설치하여 버팀보(200)가 상기 띠장(120)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지지하게 한다.
그런데 상기 버팀보(200)의 경사각도는 설치지점마다 다르며, 굴착 시공현장이 달라지면 그에 따라 경사각도 역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설치지점마다, 그리고 시공현장마다 버팀보(200)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각각 상이한 각도를 가지는 연결부재(121)를 새로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토류벽과 같은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시 토류벽의 전면에 설치된 띠장을 지지하기 위한 버팀보를 경사지게 설치함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별도의 연결부재를 새로 제작할 필요 없이 각 설치 지점이나 시공 현장에 따라 달라지는 버팀보의 상이한 수평방향 설계각도에 맞추어 용이하게 버팀보의 수평방향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버팀보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토류벽의 띠장을 지지하기 위하여 띠장의 전면에 버팀보를 설치하는 구조로서, 전면에는 반원 형태로 오목하게 만들어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은 상기 띠장의 전면에 조립 결합 되는 회전수용부재와; 상기 회전수용부재의 오목부에 대응되는 회전부를 배면에 구비하고 있는 버팀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버팀보를 상기 띠장의 전면에 설치할 때 상기 회전부가 상기 오목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버팀보를 회전시킴으로써 현장에서 요구하는 수평방향 설치각도로 상기 버팀보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버팀보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전에 결정된 수평방향 설치각도에 맞추어 버팀보가 설치된 상태에서 그 각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버팀보의 상기 회전부가 상기 오목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와 오목부를 상호 고정시켜 결합하는 위치고정구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로서 회전수용부재의 오목부의 측면에는 측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에는 다수개의 결합볼트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버팀보 단부의 볼록한 회전부의 측면에도 결합볼트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버팀보가 소정의 수평방향 설치각도를 갖도록 상기 회전부가 상기 오목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볼트공에 볼트부재를 관통 결합하는 구조로 상기 위치고정구조를 이루는 버팀보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또다른 실시예로서, 회전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두고 상기 오목부에 다수개의 돌기삽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부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돌기가 돌기삽입부에 끼워지는 구조로 상기 위치고정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설치구조가 실시예로서 제공된다.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봄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토류벽에 설치된 띠장(30)에 버팀보(20)가 결합되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버팀보(20)가 띠장(30)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에는 버팀보(20)의 수평방향 설치각도가 변화된 상태로 띠장(30)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c는 도 2a에 대응되는 평면도로서, 또다른 형태의 위치고정구조를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터파기 공사에서 굴착된 흙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토류벽(40)의 엄지말뚝(41) 전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띠장(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띠장(30)의 전면에는 버팀보(20)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가진 상태로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버팀보(20)의 수평방향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띠장(30)의 전면에 회전수용부재(10)가 조립 결합된 상태에서 버팀보(20)가 상기 회전수용부재(1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띠장(30)의 전면에는 회전수용부재(10)가 조립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수용부재(10)는 그 배면이 상기 띠장(30)의 전면에 조립 결합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수용부재(10)가 띠장(30)의 전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나사 결합은 일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방법과 구 성을 통하여 상기 회전수용부재(10)를 띠장(30)의 전면에 조립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용부재(10)는 용이한 방법으로 버팀보(20)의 수평방향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수용부재(10)의 전면에는 반원 형태로 오목하게 만들어진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11)의 아래쪽 측면으로는 측벽(18)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오목부(11)의 상부쪽 측면에도 측벽(18)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띠장(30)을 지지하게 될 버팀보(20)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수용부재(10)의 오목부(11)에 대응되는 회전부(21)가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버팀보(20)의 단부에는 상기 오목부(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반원 형태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회전부(21)가 설치되는 것이다. 버팀보(20)를 띠장(30)에 설치할 때 상기 회전부(21)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오목부(11) 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21)는 오목부(11) 내에서 회전될 수 있으므로 그 설치각도를 조정하게 되면 버팀보(20)의 수평방향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현장이 달라지거나 또는 버팀보(20)의 설치위치가 달라져서 그에 따라 버팀보(20)의 수평방향 설계각도가 달라지면,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버팀보(20)를 단지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달라진 설계각도에 맞추어 버팀보(20)의 수평방향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시공현장이 달라지거나 또는 버팀보(20)의 설치위치가 달라져서 그에 따라 버팀보(20)의 수평방향 설계각도가 달라지면, 그에 맞추어 각각 상이한 각도를 가지는 연결부재를 새로 제작하여야 설치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서는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버팀보(20)의 수평방향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켜 용이하게 설계각도를 맞출 수 있으므로 별도의 연결부재의 준비 등의 불편함이 전혀 없으며 연결부재의 신규 제작이 필요 없으므로 그 만큼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설치작업의 번거로움도 줄여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버팀보(20)의 수평방향 설치각도가 한번 결정되면 그 각도를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위치고정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버팀보(20)의 위치고정구조는 측벽(18)과, 결합볼트공(15, 22)과, 상기 결합볼트공에 삽입 체결되는 볼트부재(23)로 구성된다. 즉, 회전수용부재(10)의 오목부(11)의 일측면에 형성된 측벽(18)에 다수개의 결합볼트공(15)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버팀보(20) 단부의 볼록한 회전부(21)의 측면에도 결합볼트공(22)을 다수개 형성하여, 상기 결합볼트공(15, 22)을 볼트부재(23)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회전부(21)와 상기 오목부(11)를 상호 고정시켜 결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버팀보(20)의 수평방향 설계각도가 결정되면 그 각도에 맞도록 상기 회전부(21)가 상기 오목부(1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볼트공(15, 22)에 볼트부재(23)를 관통 결합함으로써 버팀보(20)의 설치상태를 고정시켜 그 수평방향 설치각도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시공현장이 바뀌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버팀보(20)의 설계각도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부재(23)를 해제하고 상기 버팀보(20)를 움직여서, 상기 오목부(11) 내에서의 상기 회전부(21) 위치를 조정한 후에 다시 상기 결합볼트공(15, 22)에 볼트부재를 관통 결합함으로써 버팀보(20)의 설치상태를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띠장의 위치고정구조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2c는 도 2a에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또다른 형태의 위치고정구조를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2c에서는 편의상 회전수용부재(10)를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띠장의 위치고정구조는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부(21)에 돌기(16)를 형성하여 두고 상기 오목부(11)에 다수개의 돌기삽입부(17)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부(21)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돌기(16)가 돌기삽입부(17)에 끼워지도록 하여 버팀보(20)의 수평방향 설치각도를 유지하는 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와는 반대로 오목부(11)에 돌기를 형성하고 회전부(21)에 돌기삽입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통하여 상기 위치고정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팀보(20)의 수평방향 설치각도를 간편한 방법으로 자유롭게 변화시켜 현장 여건에 맞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공현장에 따라 또는 시공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버팀보(20)의 설치방향에 맞추어 연결부재를 새로 제작하여야 하는 등과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의 신규 제작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설치작업의 번거로움도 줄여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토류벽의 띠장(30)을 지지하기 위하여 띠장(30)의 전면에 버팀보(20)를 설치하는 구조로서,
    전면에는 반원 형태로 오목하게 만들어진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은 상기 띠장(30)의 전면에 조립 결합되는 회전수용부재(10)와;
    상기 회전수용부재(10)의 오목부(11)에 대응되는 볼록한 회전부(21)를 배면에 구비하고 있는 버팀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버팀보(20)를 상기 띠장(30)의 전면에 설치할 때 상기 회전부(21)가 상기 오목부(11)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버팀보(20)를 회전시킴으로써 현장에서 요구하는 수평방향 설치각도로 상기 버팀보(20)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며;
    사전에 결정된 수평방향 설치각도에 맞추어 버팀보(20)가 설치된 상태에서 그 각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버팀보(20)의 상기 회전부(21)가 상기 오목부(1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21)와 오목부(11)를 상호 고정시켜 결합하는 위치고정구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위치고정구조는, 회전수용부재(10)의 오목부(11)의 측면에는 측벽(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18)에는 다수개의 결합볼트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버팀보(20) 단부의 볼록한 회전부(21)의 측면에도 결합볼트공(22)이 다수개 형성되어 버팀보(20)가 소정의 수평방향 설치각도를 갖도록 상기 회전부(21)가 상기 오목부(1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볼트공(15, 22)에 볼트부재를 관통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설치구조.
  4. 토류벽의 띠장(30)을 지지하기 위하여 띠장(30)의 전면에 버팀보(20)를 설치하는 구조로서,
    전면에는 반원 형태로 오목하게 만들어진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은 상기 띠장(30)의 전면에 조립 결합되는 회전수용부재(10)와;
    상기 회전수용부재(10)의 오목부(11)에 대응되는 볼록한 회전부(21)를 배면에 구비하고 있는 버팀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버팀보(20)를 상기 띠장(30)의 전면에 설치할 때 상기 회전부(21)가 상기 오목부(11)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버팀보(20)를 회전시킴으로써 현장에서 요구하는 수평방향 설치각도로 상기 버팀보(20)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며;
    사전에 결정된 수평방향 설치각도에 맞추어 버팀보(20)가 설치된 상태에서 그 각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버팀보(20)의 상기 회전부(21)가 상기 오목부(1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21)와 오목부(11)를 상호 고정시켜 결합하는 위치고정구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위치고정구조는, 회전부(21)에 돌기(16)를 형성하여 두고 상기 오목부(11)에 다수개의 돌기삽입부(17)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부(21)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돌기(16)가 돌기삽입부(17)에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설치구조.
KR1020050118924A 2005-12-07 2005-12-07 수평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버팀보의 설치구조 KR100714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924A KR100714035B1 (ko) 2005-12-07 2005-12-07 수평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버팀보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924A KR100714035B1 (ko) 2005-12-07 2005-12-07 수평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버팀보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035B1 true KR100714035B1 (ko) 2007-05-04

Family

ID=3826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924A KR100714035B1 (ko) 2005-12-07 2005-12-07 수평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버팀보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2329A (zh) * 2021-04-02 2021-07-02 杨有仪 一种土木工程基坑建造加固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631A (ja) * 1992-03-10 1993-03-19 Rohm Co Ltd 抵抗内蔵型トランジスタ
JPH0853841A (ja) * 1994-08-11 1996-02-27 Hitachi Kizai Kk 山留材の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
JPH0959983A (ja) * 1995-08-24 1997-03-04 Marufuji Shiitopairu Kk ヒンジ構造部材の角度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631A (ja) * 1992-03-10 1993-03-19 Rohm Co Ltd 抵抗内蔵型トランジスタ
JPH0853841A (ja) * 1994-08-11 1996-02-27 Hitachi Kizai Kk 山留材の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
JPH0959983A (ja) * 1995-08-24 1997-03-04 Marufuji Shiitopairu Kk ヒンジ構造部材の角度固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2329A (zh) * 2021-04-02 2021-07-02 杨有仪 一种土木工程基坑建造加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331B1 (ko) 흙막이 가설 구조체의 버팀보용 회전 브라켓트 장치 및 흙막이 가설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864354B1 (ko) 조립식 옹벽 구조체
KR102074793B1 (ko) 태양광발전모듈용 지지구조물
KR100714035B1 (ko) 수평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버팀보의 설치구조
KR100714041B1 (ko)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KR101297832B1 (ko) 옹벽블록의 각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옹벽블록의 시공방법
JP2011006960A (ja) 土留構造
KR100659134B1 (ko) 식생블럭식 영구화를 위한 사면 보강장치 및 그 공법
CN211596795U (zh) 一种松软沙土边坡支护装置
KR100714042B1 (ko) 수평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버팀보의 설치구조
KR100714032B1 (ko)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JP4698437B2 (ja) 擁壁ユニットを用いた石積み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JP3121327B2 (ja) 擁壁構築用アンカー
KR20030056648A (ko)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CN211499121U (zh) 一种地漏位置调节机构及地漏
KR102497009B1 (ko) 앵커
JP7350640B2 (ja) 簡易建物
KR200403158Y1 (ko)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
KR20030014965A (ko) 블록식 옹벽의 축조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7446891B2 (ja) 簡易建物
CN218233554U (zh) 可调节的用于建筑施工的挡土墙
KR100973484B1 (ko) 굴절 고정식 지압판
JP7016587B2 (ja) 鉄筋支持金具
KR200340644Y1 (ko) 축대 및 옹벽용 블록
JP2021088838A (ja) 簡易建物および簡易建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