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626Y1 -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626Y1
KR830002626Y1 KR2019800006872U KR800006872U KR830002626Y1 KR 830002626 Y1 KR830002626 Y1 KR 830002626Y1 KR 2019800006872 U KR2019800006872 U KR 2019800006872U KR 800006872 U KR800006872 U KR 800006872U KR 830002626 Y1 KR830002626 Y1 KR 830002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hosphor
ray tube
cathode ray
ye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6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히꼬 고마쓰
Original Assignee
신닛뽄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히고 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히고 이찌로오 filed Critical 신닛뽄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00006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6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9/187Luminescent screens screens with more than one luminescent material (as mixtures for the treatment of the screens)

Landscapes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
제1도는 종래 음극선관의 중요부분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쇄선 부분의 확대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의 중요부분 단면도.
본 고안은 청색과 황색의 형광체를 혼합한 백색 발광의 형광막을 보유하는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콘트라스트(Contrast)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백색 발광의 음극선관에는 일종의 형광체로서 백색광을 얻는것과, 복수의 발광색의 형광체를 혼합하여 백색광을 얻는 것이 있다.
전자인 1종의 형광체는 후자 2종의 형광체에 비교하여 휘도(輝度)가 낮으며 가격이 높기 때문에, 후자가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예컨데, 이 후자 형광체를 사용한 음극선관의 1 예를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면
(1)은 밸브
(2) 밸브(1)의 훤넬(funnel)부
(3)은 밸브(1)의 훼이스(face)부
(4)는 훤넬부 내면에 형성한 도전막
(5)는 훼이스부 내면에 형성한 형광막
(6)은 형광막(5)위에 알미늄을 증착(蒸着)등에 의하여 형성한 메탈 백(On e tal Back)층이다.
형광막(5)은 청색을 발광하는 형광체(5B)와 황색을 발광하는 형광체(5Y)가 혼합한 것이다.
형광막(5)의 발광을 이하에 설명하면,
형광막(5) 위에 전자비임(7)을 조사하면, 그 부분의 형광체(5B)와 형광체(5 Y)와 동시에 발광하여 백색광으로 된다.
또, 형광체(5B)는 전자비임(7)이 조사되면, 청색을 발광함과 아울러 자외선 (8)을 동시에 방출하여 그리고 이 자외선(8)을 근처의 형광체(5Y)에 조사하여 형광체(5Y)를 여기(勵起)해서 황색으로 발광시킨다.
즉, 황색 발광의 형광체(5Y)는 전자비임(7)과 자외선(8)의 양자의 조사를 받아서 황색을 발광한다.
그리고 전자비임(7)의 조사가 정지하면 형광체(5B)의 발광 및 자외선(8)의 방출을 정지하고, 또 형광체(5Y)의 발광도 정지하며, 그 부분의 형광막(5)은 백색 발광 상태에서 비발광 상태로 반전한다.
그렇지만 각 형광체(5B)(5Y)에는 잔광성(殘光性)이 있으므로 전자비임(7)의 조사가 정지된 후 완전히 발광을 정지할 때까지는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형광체(5Y)는 전자비임(7) 이외에, 형광체(5B)로부터의 자외선(8)에 의해서도 여기되어 있고, 또한 자외선(8)의 조사가 정지된후의 잔광성은 전자비임 (7)의 경우보다 길다.
그 때문에 형광막(5)에 황색의 잔광이 생겨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나쁘게하고 있었다.
게다가 형광체(5Y)는 발광색에 가까운 보디칼러이기 때문에 한층더 발광상태의 화면을 밝게하여 콘트라스트를 나쁘게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황색의 잔광성 및 보디 칼러에 의한 문젯점에 비추어 이것을 해결한 것으로서 예컨데 제3도의 표시와 같이 형광체(5B)의 표면에 안료(9)를 사전에 코팅한것을 사용하여 이것을 형광체(5Y)와 혼합한 형광막(10)을 보유하는 음극선관을 제공한다.
전기한 안료(9)는 청색의 것을 형광체(5B)의 표면에 투광성을 가지고 있는 정도로 엷게 코팅하며, 이 안료(9)로서 형광체(5B)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밖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이하면 전자 비임(7)이 각 형광체(5B)(5Y)에 조사된 경우, 형광체(5B)로부터의 자외선은 안료(9)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황색 발광의 형광체(5Y)는 자외선에 의해 여거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각 형광체(5B)(5Y)는 전자 비임(7)만으로서 여기하여 발광하고 전자비임(7)의 조사가 정지하면 단시간 내에 발광을 정지한다.
즉, 형광체(5Y)의 자외선 발광에 의한 잔광이 없게된다.
또, 상기한 안료(9)를 청색으로 하였으므로 형광체(5B)의 보디칼러는 백색에서 청색으로 변하여, 형광막(10)을 어둡게하므로, 발광할 때와 발광하지 않을때의 콘트라스트 비율을 크게할 수 있다.
그리고 훼이스부(3) 외부로부터의 전등 불빛과 같은 외래광(11)에 대하여 훼이스부(3)의 내면에서 반사하는 반사광(11a)은, 종래는 각 형광체5B)(5Y)의 보디칼러가 백색과 황색이었기 때문에 외래광(11)의 광(光) 성분이 거의 반사하고 있었으나, 본 고안의 경우는 형광체(5B)의 보디칼러가 청색이기 때문에 이 형광체(5B)에서 반사하는 반사광(11a)은 청색의 광성분만으로 되고 다른 광성분은 전부 안료(9)에 흡수된다.
그 때문에 외래광(11)에 대한 반사광의 량이 적게되고, 이것에 의해서도 훼이스부(3)를 통하여 보이는 화상(畵像)의 콘트라스트가 명확하게 된다.
또한 훼이스부(3)의 외면을 반사하는 반사광(11b0은 이 바깥면을 조면(組面)으로 하는 등의 공지 기술에 의하여 임의로 감소시킬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청색 발광의 형발체에 안료를 피착하는 것에 의하여, 이 형광체로부터의 자외선 방출이 방지되기 때문에 황색 발광 형광체의 자외선 여기에 의한 잔광성이 없게 되어서, 화상 콘트라스트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안료를 청색으로 한 것에 의하여 화면자체를 어둡게 할수 있는 외에 외래광의 훼이스부에서의 반사광도 흡수하여 화상 콘트라스트가 보다 개선된다.

Claims (1)

  1. 청색을 발광하는 형광체와 황색을 발광하는 형광체를 혼합한 형광막을 보유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청색 발광의 형광체(5B)에 청색 안료를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2019800006872U 1980-10-27 1980-10-27 음극선관 KR830002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6872U KR830002626Y1 (ko) 1980-10-27 1980-10-27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6872U KR830002626Y1 (ko) 1980-10-27 1980-10-27 음극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626Y1 true KR830002626Y1 (ko) 1983-12-07

Family

ID=1921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6872U KR830002626Y1 (ko) 1980-10-27 1980-10-27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6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08326A (en) Color image reproducer having red phosphor combined with red-pass filter element
US5045750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phosphor screen with a semitransparent black light absorption
KR830002626Y1 (ko) 음극선관
US3382393A (en) Color television tube with faceplate panel of high transmittance in the red color
JPH08127769A (ja) 蛍光体及び表示装置
KR900009932A (ko) 형광물질과 그 형광물질을 사용한 음극선관
JP2751413B2 (ja) 陰極線管用蛍光体スクリーン
US2447851A (en) Luminescent screen indicating changes in image formation
KR790001429B1 (ko) 백색발광 형광체
EP0883155A1 (en) Colour picture tube
KR940007564B1 (ko) 적색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
JPH023261B2 (ko)
JPS6215221Y2 (ko)
KR790001425B1 (ko) 백색발광 형광체
JPS5918432B2 (ja) 混合螢光体
KR100240493B1 (ko) 칼라브라운관의 형광면
KR790001424B1 (ko) 백색발광 형광체
JP4431600B2 (ja) 発光装置
KR790001427B1 (ko) 백색발광 형광체
KR0152567B1 (ko) 음극선관의 형광막 및 그 형성방법
JPS5711457A (en) Cathode-ray tube
KR100240494B1 (ko) 칼라브라운관의 형광면
KR100319101B1 (ko) 내측쉴드를 구비한 음극선관
JPH0625352B2 (ja) 陰極線管
JPH05159717A (ja) 陰極線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