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600B1 - 샤도우 마스크 공급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샤도우 마스크 공급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600B1
KR830002600B1 KR1019780001406A KR780001406A KR830002600B1 KR 830002600 B1 KR830002600 B1 KR 830002600B1 KR 1019780001406 A KR1019780001406 A KR 1019780001406A KR 780001406 A KR780001406 A KR 780001406A KR 830002600 B1 KR830002600 B1 KR 830002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unformed
mold
view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8000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지 시오이
쓰네오 후마가와
히로아끼 고우찌
마쓰 가즈오 니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 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 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780001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60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도우 마스크 공급 취출장치
제1도는 성형마스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제1(a)도는 정면도, 제1(b)도는 측면도, 제1(c)도는 저면도.
제2도는 미 성형마스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제2(a)도는 정면도, 제2(b)도는 측면도, 제2(c)도는 저면도.
제3(a)도는 제2(a)도에 나타낸 스커트부의 확대 단면도.
제3(b)도는 제2(a)도에 나타낸 유공부(有孔部)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샤도우마스크 공급취출 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구성 부분의 정면도.
제5도는 취출장치의 반전부(反轉部)를 나타낸 정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패드비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제6도는 정면도, 제7도는 측면도.
제8(a)도, 제8(b)도는 각각 하(下) 금형의 위치를 결정하는 핀의 설명도.
제9도는 펠리트의 평면도.
제10도는 취출 척크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제10(a)도는 평면도, 제10(b)도는 정면도.
제11도는 반전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제11(a)도는 평면도 제11(b)도는 평면도.
제12도는 반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제12(a)도는 평면도, 제12(b)도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샤도우마스크(이하 마스크라함)를 성형하기 위하여 프레스 금형부에 자동 공급 및 금형부로부터 자동 취출하기 위한 샤도우마스크 공급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14인치 칼러 브라운관용 마스크는 판두께 0.15mm의 박판(薄板)으로 되어 있는데 그 크기는장축게(長軸系)가 300mm, 단축계(短軸系)가 200mm의 직사각형으로써 약 0.16mm×0.74mm의 슬롯형의 구멍이 약 20만개 뚫어져 있다. 그리고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성형마스크(1)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미 성형마스크(2)를 구면형(구面形)으로 성형하여 얻어진다.
제1도, 제2도에 있어서, 3은 유공부(有孔部), 4는 스커트부를 나타낸다. 또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유공부(3)에는 무수한 슬롯구멍(5)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커트부(4)는 凸凹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미 성형마스크(2)를 프레스 성형으로 구면상에 성형하는데는 예를들면 프레스 하금형(下金型)이 凹형상인 경우에는 미 성형마스크를 프레스 하금형에 고정한 2개 이상의 핀에 미 성형마스크(2)의 스커트부(4)에 설치한 2개 이상의 노치(notch)(6)를 삽입하여 위치를 결정하고, 또 하금형의 구면상의 면을 따라 미성형마스크에 만곡하여 세트하지 않으면 프레스 성형시에 슬롯구멍(5)의 피치(pitch) 혼란이 일어나 투과광(透過光)으로 보면 명암 얼룩으로 보이는 소위 성형 얼룩을 발생한다.
이 성형 얼룩을 제거하기 위에서는 노치(6)와 핀의 간겨을 0.1mm 이하의 정밀도로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금형에 고정한 핀의 간격은 미 성형마스크가 하금형의 그면상의 면을 따라 만곡한 칫수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점이 미 성형마스크의 자동공급을 곤란하게 하고있다.
또한 성형후의 마스크는 그 형상, 재질, 용도로 보아서 품질적으로 엄격한 필요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또 박판이므로 변경하기 쉽고 다루기가 곤란하다.
그리고 1대의 프레스기로 수품종의 마스크를 성형해야 하기 때문에 절차상의 복잡성 때문에 자동공급취출은 매우 어렵다. 그래서 종래에는 오로지 사람의 손에 의해 마스크의 공급취출이 행해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재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마스크의 자동공급 취출을 행할수 있는 장치는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제4도에 전체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낸 바와같이, 미 성형마스크(2)를 성형하기 위한 프레스 금형부(10)과, 프레스 금형부(10)에 미 성형마스크를 공급하는 공급장치(20)와, 성형된 마스크를 프레스 금형부(10)으로 부터 취출하는 취출장치(40)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순서에 따라 그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프레스 금형부(10)를 설명한다(제4도, 제6도, 제7도, 제8도 참조) 제4도에 있어서 11은 상금형(上金型) 12는 하금형으로써, 하금형(12)에는 제6도,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금형(12)을 따라 만곡한 상태의 미 성형마스크(2)의 노치간격(L∼α)맞는 마스크 위치결정 핀(13)이 식설되어 있다.
여기서 α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평판형의 미 성형마스크(2)를 만곡시킨 경우의 노치 간격(L)의수축량이다. 또 하금형(12)에는 후술하는 공급장치(20)의 패드(pad) 비임(21)을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핀(14)이 식설되어 있다.
상기한 마스크 위치결정 핀(13)은 제8(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내측 선단부를 테이퍼로 한다던가 또는 제8(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퍼로 한 것을 외측으로 경사시키면 미 성형마스크(2)의 노치가 쉽게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하금형(12)의 외변의 곡율에 맞을 정도로 미 성형 마스크(2)를 레벨러(leveler)에 의해 제2(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단축방향으로 만곡지게 하여 사용한다.
다음 공급장치(20)를 설명한다(제4도, 제6도, 제7도, 제9도, 참조).
만곡된 미 성형마스크(2)를 재치하는 패리트(pallet)(22)는 미 성형마스크(2)의 L칫수에 맞는 마스크 위치결정 핀(23)을 가지고 있으며 위치결정 가이드(26)에 의해 약간의 유도(裕度)를 가지면서 트레버어스(traverse) 실린더(24)에 의해 좌우로 움직이는 대차(臺車)(25)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팰리트(22)상의 미 성형마스크(2)를 1개씩 흡착하기 위하여 팰리트(22)의 상방에는 패드비임(21)이 배치되어 있다. 이 패드비임(21)에는 상기한 하금형(12)의 마스크 위치결정핀(13)과 활합(滑合)하는 가이드 푸시(27), 미성형마스크(2)를 진공에 의해 흡착 및 이탈 블로우(blow)하는 기능을 가진 마스크 흡패드(28) 한쌍의 에어 블로우용 노즐(29)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패드비임(21)은 왕복실린더(30)의 선단에 볼트 너트(31)에 의해 약간의 유도(裕度)를 가지고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30)는 리프트용 실린더(39)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리프트용 실린더(39)의 상하한(上下限)위치 결정은 실린더(32) 및 패드 비임(21)에 취부한 마이크로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정된다.
또 상기한 팰리트(22)에는 가이드 푸시(27)와 활합(滑合)하는 가이드 핀(33)이 식설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공급장치(20)는, 레일 로울러(도시하지 않음)을 장비하고 있어 이동 가능하도록 바닥(34)에 설치되어 있고, 바닥(34)에 부실한 레일(35)의 레이퍼 구멍으로 트레버어스 대차(25)에 설치된 젝용(jack 用)램 실린더(36)른 삽설함으로서 위치 결정되며, 트레버어스 대차(25)에 설치된 프레임 고정용 스페이서(37)와 너트(38)로 바닥(34)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취출장치(40)를 설명한다(제4도, 제5도, 제10도, 제11도 참조).
취출장치(40)는 제4도에 나타낸 취출부(41)와 제5도에 나타낸 반전부(反轉部)(42)에 의해 구성된다. 취출부(41)는 취출실린더(43)의 선단에 취부된 적그용 실린더(44)에 의해 개폐하는 2쌍의 취출 척크(chuck)(45)와 취출 실린더(43)를 승강시키는 실린더(46)와, 취출 실린더(43)의 하강 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47)와, 취출실린더(43)를 90°선회시키는 선회부(48)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전부(42)는 제11도에 의해 상세히 나타낸 바와같이 반전축(50)에는 한쌍의 반전아암(51) 나란히 취부되어 있으며 이 반전아암(51)에 4개의 척크용 실린더(52) 및 고무재의 받침대(53)가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반전아암(51)은 반전축(50)에 대하여 척크용 실린더(52)는 반전아암(51)애 대하여 각각슬라이드시켜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취부되어 있다.
상기한 반전축(50) 일단에는 피니온(54)이 취부되어 있으며 이 피니온(54)과 맞물리는 랙(rack)(55)은 반전용 실린더(56)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그 반전아암(51)은 받침대(53)에 의해 이송되는 성형마스크(1)을 180°회전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랙(55)과 피니온(54)에 의해 180°반전 이송된 성형마스크(1)의 간혈적인 배달을 위해 반전부(41)에 인접하여 컨베이어(57)가 배설되어 있다.
제12도는 상기한 반전부(4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받침대(53) 대신 고무밴드(58)를 취부한것이다. 그 고무밴드(58)는 장력, 느슨한 상태, 길이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예를들면, 나비나사(59)로 반전아암(51)에 고정된다.
이와같이 받침대를 고무밴드(58)로 구성하면 여러가지형의 마스크에 따른 조정 및 성형마스크를 적당한 장력으로 받을수 있도록 된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준비 작업으로써, 하금형(12)의 가이드 핀(14)에 패드비임(21)의 가이드 푸시(27)를 세트하여 실린더(30)을 전진시킨 상태에서 그 선단에 패드 비임(21)을 볼트. 너트(31)로 고정한다. 다음에 실린더(30)를 후퇴시켜, 팰리트(22)의 가이드핀(33)이 가이드 푸시(27)에 활합하는 상태로 하여 팰리트(22)는 위치결정가이드(26)에 의해 트래버어스 대차(25)에 취부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패드비임(21)은 하금형(12)과 팰리트(22) 사이의 반복 왕복동작할때 고정밀도(0.1mm 이내)로써 미성형마스크(2)를 위치결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만곡된 복수매의 미 성형마스크(2) (예컨대, 수백매)는 팰리트(22)상에 산직되는데 이때 위치 설정핀(23)에는 성형마스크(2)의 노치(6)가 일치되게 겹쳐서 세트한다. 이 상태에서 장치를 작동시키면 패드비임(21)이 작동하여 세트된 미 성형마스크(2)는 1매씩, 4싸의 마스크 흡착패드(28)에 의해 흡착됨과 동시 전방으로 실린더(30)에 의해 이송되어 프레스기의 금형부(10)에 공급된다.
미 성형마스크(2)의 노치(6)가 위치결정핀(13)에 약간 삽입된후 마스크 흡착패드(28)의 흡착작용이 단절되어 이탈한다. 이 이탈과 동시에 한쌍의 에어블로우용 노즐(29)로 부터 크리니에어(clean air)가 분사되어 미 성형마스크(2)는 하금형(12)의 곡면에 밀어 부쳐지고 따라서 미 성형마스크(2)의 노치(6)를 위치결정핀(13)에 완전하게 삽입시킴과 동시 하금형(12)의 곡면을 따라 미 성형마스크(2)를 세트시키게 된다. 그리고 패드비임(21)은 실린더(3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후퇴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완료되면 상금형(11)이 하강하여 하금형(12)에 세트된 미성형마스크(2)를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면형(구面形)의 성형 마스크(1)로 성형한다. 유공부(3)를 아래로 스커트부(4)를 위로향한 상태로 프레스 성형된 성형 마스크(1)는 척크용 실린더(44)로 개폐되는 한쌍의 취출척크(45)에 의해 협지되는데 그 협지부는 스커트부(4)의 양측 중앙 단면이 된다. 협지된 성형 마스크는 실린더(46)에 의해 상승되고 취출실린더(43)가 후퇴하여 선회부(48)에 의해 90°선회시켜서 성형마스크(1)의 유공부의 곡율에 대응하는 받침대(53)상에 안전하게 놓여진다. 다음에 2쌍의 척크용 실린더(52)은 스커트부(4)의 측면을 협지하고, 반전용 실린더(56)가 작동하면 이에 연동 설치된 랙(55)과, 피니온(54)이 받침대(53)를 180°반전시켜 성형마스크(1)를 컨베이어(57)상에 스커트부(4)를 하측으로 하여 겹쳐 쌓이게 한다. 이와같이 순차적으로 자동공급 및 자동취출을 하여 연속적으로 미 성형마스크를 성형한다.
이상의 설명으로써 이해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샤도우마스크 공급취출 장치는 마스크의 공급취출 작업에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미 성형마스크를 공급하는 패드비임은 진공 흡착에 의해 이송처리됨으로 박판(薄板)의 미 성형마스크를 변형시키는 일도 없다.
패드비임은 팰리트 및 하금형에 위치결정 수단에 의해 위치결정되므로 고정밀도를 가지고 미 성형마스크를 하금형에 고정밀도로 공급할 수 있을뿐 아니라 반전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성형 마스크를 안정한 상태로 컨베이어에 제치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미 성형마스크(2)를 성형하는 금형부(10)과, 미 성형마스크를 자동적으로 하금형(12)에 공급하는공급장치(20)와, 금형에 의해 성형된 성형마스크(1)를 자동적으로 프레스기 밖으로 취출하는 취출장치(40)로 이루어져, 하금형은 미 성형마스크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 수단을 가지며, 공급장치는 미 성형마스크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 수단을 갖춘 미 성형마스크 재치용의 팰리트(22)와 팰리트상의 미 성형마스크를 보지하며 금형부에 공급하는 패드비임을 가지며, 취출장치는 성형마스크를 하금형으로 부터 취출하는 취출부(41)와, 취출부를 반전시켜 컨베이어(57)상에 재치하는 반전부(42)로 이루어지는 샤도우 마스크 공급 취출장치.
KR1019780001406A 1978-05-10 1978-05-10 샤도우 마스크 공급 취출장치 KR830002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1406A KR830002600B1 (ko) 1978-05-10 1978-05-10 샤도우 마스크 공급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1406A KR830002600B1 (ko) 1978-05-10 1978-05-10 샤도우 마스크 공급 취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600B1 true KR830002600B1 (ko) 1983-11-16

Family

ID=7354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1406A KR830002600B1 (ko) 1978-05-10 1978-05-10 샤도우 마스크 공급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60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0936A (en) Apparatus for press forming shadow masks
US6305729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ieces of optical glass material
JPH09174490A (ja) シート材の加工装置
US4601627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in sheet-like article such as wafers
CN108482985B (zh) 一种环形料坯的自动送料装置
JP3075456B2 (ja) プレス加工におけるプレートの送り方法及びその機構
KR830002600B1 (ko) 샤도우 마스크 공급 취출장치
CN110911236B (zh) 磁组件焊接设备
US28313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capsules
JPH031096B2 (ko)
US5159867A (en) Core collecting tray provided with an in-built clipping system and adjustable cross travel allowing the core to be centered with the manipulator shaft
JPH0370395B2 (ko)
JPS60230812A (ja) 射出成形機の金型装置のためのインサ−ト物供給装置
CN218428841U (zh) 纸浆模塑餐具自动送料机的下切边模具
KR0164254B1 (ko) 반도체팩키지 싱귤레이션장치
CN116900736B (zh) 制动器转子塞轴加工生产线及其生产方法
CN219634681U (zh) 一种数码压痕机的载纸机构
KR900005059Y1 (ko) 투입대와 실린더가 구비된 벤딩금형장치
JPH0718675Y2 (ja) 板材供給装置
JPH044546Y2 (ko)
JPH0242288B2 (ko)
JPS5633151A (en) Metal mould replacer for casting mould making machine
JPS6235536Y2 (ko)
JPS6023079Y2 (ja) 材料搬送装置
KR890003703Y1 (ko) 프레스의 금형세팅용 다이롤러(Die Roller)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