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571Y1 - 재귀 반사 장치 - Google Patents

재귀 반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571Y1
KR830002571Y1 KR2019830008305U KR830008305U KR830002571Y1 KR 830002571 Y1 KR830002571 Y1 KR 830002571Y1 KR 2019830008305 U KR2019830008305 U KR 2019830008305U KR 830008305 U KR830008305 U KR 830008305U KR 830002571 Y1 KR830002571 Y1 KR 8300025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roreflective
retroreflector
reflector
cub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8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존스 케니스
Original Assignee
루카스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
레슬리 토마스 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7838779A external-priority patent/GB2006530A/en
Application filed by 루카스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 레슬리 토마스 쇼우 filed Critical 루카스 인더스트리스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5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5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G02B5/124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plate or shee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83Reflectors
    • B29L2011/0091Reflex reflecto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귀 반사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재귀 반사장치의 한 실시예의 도식적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재귀 반사기의 배면의 부분 저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재귀 반사기의 광학적 효과를 도해한 도식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재귀 반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재귀 반사장치와 재래식 재귀반사장치의 입사각에 대한 반사율의 대표적인 그래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로 연결된 두개의 재귀 반사장치의 한 실시예의 도식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제1 재귀 반사기의 모서리 입방체 배열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로 연결된 두개의 재귀 반사장치의 또 하나의 실시예의 제6도와 유사한 도식도.
제9도는 제6도의 재귀 반사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재2재귀 반사기의 경사각으로 45°의 입사각에서 반사율이 증가하는 것을 도서한 그래프.
제10도는 제6도와 유사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식도.
제1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재귀 반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 도식도.
본 고안은 재귀 반사장치 특히, 용도에 제한을 가하는 것은 아니나, 도로 차량용 재귀 반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으로 통상 사용하는 재귀 반사장치는 전면은 전반적으로 평평하고 매끄러우며 배면은 입방체 모서리(Cube corners)의 열들로 형성되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료로 주로 성형한 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재귀 반사장치는 통상 모서리 입방체 재귀반사장치라고 부르며, 그 판의 전면으로 입사해서 배면에서 반사되는 빛이 전면에서는 사실상 입사광과 평행하게 나온다는 성질이 있다. 모서리 입방체 재귀 반사장치는 빛의 입사각(즉, 반사판 전면의 법선을 기준으로 한 빛의 입사각)이 작을 경우 가장 효율적이다. 입사각이 45°일 경우, 이 재귀 반사기의 반사율은 사실상 0이다. 상술한 바가 적용되는 것은 입방체 모서리의 대각선이 반사판 전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형태의 통상의 모서리 입방체식 재귀 반사경이다. 그러나 어떤 다른 형태의 재귀 반사기에서는 특정한 방향에서 오는 빛에 대하여 입사각이 클때 높은 반사율을 얻기 위하여 입방체 모서리의 대각선이 상기한 법선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후자의 구조를 지닌 형태의 경우에 다른 방향에서 입사하는 빛에 대해서는 좁은 입사각에서 반사율이 낮아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입사각이 클때 반사율이 높은 재귀 반사장치를 제공하므로써 이러한 단점을 해소 또는 경감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재귀 반사장치는 제1 모서리 입방체 재귀 반사기 보다 모서리 입방체 반사 요소의 크기가 더 작은 제2모서리 입방체 재귀 반사기를 제1재귀 반사기 뒤에 배치 결합시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 재귀 반사기에 입사하여 그 내부에서 반사되지 못한 빛은 제1 재귀 반사기의 뒷면으로 나올때의 각도가 처음 입사 광선의 입사각 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제2 재귀반사기에 입사하는 빛의 입사각이 더 작아지기 때문에 제2 재귀반사기에서의 총 내부 반사 효율은 제1 재귀 반사기에서 보다 더욱 높아진다. 이리하여 제2 재귀 반사기에 의해 반사된 빛은 제1재귀 반사기의 뒷면으로 되반사되고, 제1재귀 반사기와 제2 재귀 반사기의 모서리 입방체 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크기로 인하여 제1 재귀 반사기의 모서리 입방체의 빛이 나온 바로 그면을 통하여 다시 들어가게 된다. 이 빛은 통상의 방식으로 굴절된후에 제1 재귀 반사기의 전면을 통하여 나오게 된다.
따라서 통상 제1 재귀 반사경을 완전히 통과함으로서 소실되는 빛이 제2 재귀 반사기에 의해서 되돌아 나오게 되므로 재귀 반사장치의 전체 효율이 개선되는 것이다.
재귀 반사장치의 효율은 제2 재귀 반사기의 모서리 입방체반사 요소의 선형적인 크기가 제1재귀 반사경에 대해서 약 1 : 5 또는 1 : 6으로 될때까지 현격히 개선된다. 그 비율이 1 : 5 또는 1 : 6미만으로 되면 그 효율이 별로 개선되지 않는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제조의 편의상 예컨대 1 : 10 정도의 낮은 비율로 선택하는 것이 좋을때도 있다.
제2 재귀 반사기는 비교적 견고한 주조 성형품이나 유연한 수지판으로 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제2 재귀 반사기는 이면판이 모서리 입방체 반사 요소가 존재하는 투명 플라스틱 판의 표면에 고착되는 유연하고 투명한 플라스틱 판의 형태로 된다.
제1 재귀 반사기는 뒷쪽에 요부가 형성된 견고한 주조 성형판의 형태로 되고 그 요부 바닥에 모서리 입방체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구조에서 제2 재귀 반사기는 상기한 요부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그 요부의 상부에서 제1 재귀 반사기에 고착되어 덮개를 형성함으로써 그 요부내로 면지같은 것들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재귀 반사장치는 전면과 다수의 모서리 입방체가 마련되어 있는 배면으로된 제1 재귀 반사기 뒤에 전면과 제1 재귀 반사기 보다 작은 모서리 입방체들이 다수 마련되어 있는 배면으로 된 제2재귀 반사기를, 제1 재귀 반사기의 전면에 입사하여 제1재귀 반사기를 통과하여 제2 재귀 반사기로 들어온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부터의 빛이 제2 재귀 반사기의 모서리 입방체의 면에서 반사되어 제2재귀 반사기에 입사할때의 방향과 사실상 평행하게 되돌아 나갈 수 있도록 제1 재귀 반사기의 전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재귀 반사기는 이 빛의 반사율에 관하여 최대의 효율로 사용되어 최적의 반사율이 얻어진다.
문제의 빛이 제1 재귀 반사기의 전면에 대해서 수직(즉 입사각이 0°)으로 입사하고 상술한 두 전면이 서로 평행할 경우, 제2 재귀 반사기의 모서리 입방체는 그 돌출한 입방체 모서리의 대각선이 상술한 두 전면에 대해서 수직이 되도록 배열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의 재귀 반사장치는 첨부 도면 제1 및 4도에 도시한 형태의 것이다. 그러나 입사각이 이러할 때는 제1 재귀 반사기의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제2 재귀 반사기는 그다지 필요없게 된다(제5도 참조). 제2반사기를 설치하므로써 효율이 대단히 개선될 수 있는 경우는 입사각이 높을(20°이상)경우에만 그러하다. 따라서 입사각이 더욱 높아질 경우에는 제2 재귀반사기의 모서리 입방체의 상기 대각선이 제1재귀 반사기의 전면에 대해 수직으로 되지 않도록 배치하면 효율이 상당히 개선된다.
일예를 들어, 제2 재귀 반사기의 입방체 모서리의 대각선은 제2재귀 반사기의 전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되지만 제2 재귀 반사기 그 자체는 그 전면으로 입사하는 문제의 빛이 입사각이 0이 되도록 제1 재귀 반사기에 대해 기울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재귀 반사기의 전면에 대한 빛의 입사각이 i일 경우에 최적의 결과를 얻으려면 제2재귀 반사기를 제1 재귀 반사기의 전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는 각도(α)만큼 기울여야 한다.
식중, μ=제1 재귀 바사기의 굴절율
i=빛의 입사각
그러나, i가 0°이 아닌 경우에는 제2 재귀 반사기의 경사각율 0°보다는 크고 α보다는 작게 함으로써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경사의 방향은 제2 재귀 반사기 전면의 경사방향에 수직인 평행선돌이 제2 재귀 반사기의 모서리 입방체 면들의 대각선에 평행하게 되는 방향이다.
입사각의 범위가 30-50°로 되는, 즉 제1 재귀 반사기의 반사율이 매우 낮게되는 경우에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입사각(i)이 약 40°되는 빛에 대해서 반사율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컨대 골절율(μ)이 1.49인 재귀 반사기를 사용할때의 각도(α)는 약 8°가 될 것이다.
물론 입사각(i)이 45°일때 최적으로 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그렇게 되면 입사각(i)이 50°일 경우에는 효율이 낮아짐과 동시에 제2 재귀 반사기의 경사가 더욱 커져서 재귀 반사장치가 두꺼워진다. 그러나 45°이상의 각에서는 효율이 개선되고, 어떤 경우에는 유리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재귀 반전기를 적절히 휘어질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 접선의 평균 입사각이 α가 되도록 휘어서 둥글게 만들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는 제2 재귀 반사기를 계단식으로 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경사각은 0°와 α°의 사이로 유지해야만 효율이 개선된다. 이런식으로 하면 본 장치의 전체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계단”이라 함은 함께 제2 재귀 반사기를 형성하는 개개의 조각을 의미한다.
상술한 두 전면을 서로 평행하게 두고 제2 재귀 반사기의 모서리 입방체를 기울여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모서리 입방체의 경사는 문제의 빛의 입사각과 제1 재귀 반사기의 굴절율에도 의존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재귀 반사장치는 제1 모서리 입방체 재귀 반사기(10), 이 반사기(10)뒤의 요부(10a)에 배치된 제2 모서리 입방체 재귀 반사기(11) 및 지지체 (12)로 구성되고, 이 지지체의 요부(13)속에 반사기(10 및 11)가 부착되어 초음파 용접이나 다른 적절한 밀폐 작업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제1 재귀 반사기 (10)는 다른 재래식 모서리 입방체 재귀 반사기와 같은 것으로서 사실상 평평한 전면(14) 및 요부(10a)의 밑바닥을 형성하는 배면(15)으를 되어있다. 배면(15)은 다수의 인접한 입방체 모서리들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 입방체 모서리에 대한 대각선은 사실상 평평한 전면(14)에 대해서 수직이 된다.
제2도에 몇개의 인접한 입방체 모서리를 도시하였는데, 입방체 모서리의 선형적인 크기는 d로 표시하였다. 각 입방체 모서리의 꼭지점은 제1 및 2도에서 참조 부호(20)로 표시하였으며, 각 입방체 모서리는 반사기(10)를 평면으로 보았을때 외형이 6각형이다. 그러나 각 6각형의 인접한 변은 제2도의 평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서로 반대로 경사져 있다. 크기(d)는 각 입방체 모서리를 나타내는 6각형의 두 대향 빈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제2 재귀 반사기(11)의 전면과 배면(16 및 17)은 각각 제1 재귀 반사기의 전면과 배면(14 및 15)과 비슷한 식으로 만드는데 단, 면(17)의 모서리 입방체의 선형적인 크기는 면(15)의 것의 1/3이다.
이 예에서 제2 재귀 반사기(11)의 전면(16)은 제1 재귀 반사기(10)의 전면 (14)에 평행하며, 배면(15)의 모서리 입방체로 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간격은 중요한 것이 아니나, 재귀 반사장치의 전체 높이를 최소로 만들기 위해서 간격을 국소화시키고 제2 재귀 반사기의 필요한 크기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 재귀 반사기(10 및 11)은 모두 비교적 강체로서 굴절율이 1.49인 아클릴 수지로 주조 성형된다. 재귀 반사기(10)는 적색인 반면 재귀 반사기(11)은 무색이다.
제3도에는 면(14)의 법선에 대해 비교적 작은 각도(i1)로 약간 경사진 빛 (R1)이 도시되어 있다. 이 빛(R1)은 제1재귀 반사기(10)로 들어가면서 골절되어 대부분이 배면(15)의 입방체 모서리에서 최소한 두번 반사되어 입사 광선(R1)의 방향과 평행하게 전면(14)으로 부터 나온다.
제1 재귀 반사기(10)의 전면(14)으로 비교적 큰 각도(i2)(예컨대 45°)로 입사하는 광선(R2)의 경우에는 그 대부분이 배면(15)을 통과하여 반사기(10 및 11)사이의 공국으로 들어간다. 이 광선(R2)은 재귀 반사기(10)로만 이루어진 재래식 재귀 반사장치에서는 손실될 것이나, 제2 재귀 반사기(11)의 존재로 인하여 비교적 좁은 각도(α)로 제2 재귀 반사기(11)로 들어감으로써 대부분 반사되어 배면(15)을 통하여 굴절되어 제1 재귀 반사기(10)로 다시 들어간다. 이렇게 반사 굴절된 광선은 제1 재귀 반사기에서 전면(14)을 통해 나옴으로써, 재귀 반사장치의 반사 효율은 증대된다.
제4도의 재귀 반사장치는 제1 재귀 반사기(110)의 뒤에 제2 재귀 반사기 (111)를 고정시켜 구성한 것이다. 제1재귀 반사기(110)의 구조는 뒷쪽 요부 (110a), 평평한 전면(114) 및 배면(115)이 각각 요부(10a), 전면(14) 및 배면(15)과 같다는 점에서 제1 및 2도의 제1 재귀 반사기(10)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예의 재2 재귀 반사기(111)는 유연하고 투명한 필름으로 형성되어 그 배면(117)에는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입방체 모서리들이 다수 배열되어 있다. 재귀 반사기(111)의 배면(117)에는 유연한 수지 필름(121)을 초음파 융접으로 붙였다. 제2 재귀 반사기는 그 평평한 전면(116)이 제1 재귀 반사기(110)에 부착되기 때문에 요부(110a)속으로 습기, 먼지들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의 역할도 한다.
이 예에서 제2 재귀 반사기(111)의 입방체 모서리의 제1 재귀 반사기(110)의 것에 대한 선형적인 크기의 비율은 약 1:10이며, 제1 재귀 반사기의 입방체 모서리의 선형적인 크기(d)는 0.94인치이다. 제2 재귀 반사기의 입방체 모서리의 선형적인 크기는 그 삼각형의 밑변을 측정하면 된다.
제5도의 그래프는 면(114)에 입사하는 광선의 입사각(α)에 대한 반사율을 표시한 것이다. 점선으로 표시된 곡선은 재귀 반사기(110)(즉, 공지의 재귀 반사장치)만의 성능을 나타낸 것이고 실선으로 표시된 곡선은 제1 및 제2 반사기(110 및 111)로 결합 구성된 재귀 반사장치의 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입사각이 높을 때는 제4도의 반사기(110 및 111)로 구성된 재귀 반사장치에 의한 반사율이 공지의 것보다 더 크다.
제4도를 보면 반사기(110 및 111)이 함께 고착되어 있으나, 제2 재귀 반사기(111)는 제1 바사기(110)및 지지체(12)같은 것 사이에 헐겁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한 예에서 입방체 모서리들은 그들의 대각선이 재귀 반사기의 전면에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경우에 따라서 입방체 모서리의 대각선이 반사기의 전면에 대해 경사진 재귀 반사기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재귀 반사장치는 도로 차량의 뒷쪽 등이나 옆 표시등과 관련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입사각이 높을때 반사율이 더 커기기 때문에 재래식 단일 재귀 반사기 보다 사용에 있어서 오히려 더욱 효율적이다.
예컨대 본 고안의 재귀 반사장치는 그 뒤에 전구 필라멘트와 반사경을 배치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필라멘트와 반사경으로 부터의 광선이 본 장치를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제1 재귀 반사기의 모서리 입방체들 모두 또는 몇개는 그 꼭지점을 필라멘트와 반사경이 모서리 입방체 재귀 반사기 요소 뒤에 배치 되는 전술한 조립체에 있어서와 같이, 떼어내거나 생략하여 밑둥만 남겨 놓는다. 그러나 필라멘트와 반사경에서 나온 광선은 본 고안의 장치의 제2 재귀 반사기를 통과해야 되기 때문에 제2재귀 반사기는 광선을 직접 통과시키는 부위를 갖는다. 이러한 부위는 제1재귀 반사기의 모서리 입방체와 밑둥지만 남은 부분과 일렬로 되어지며, 모서리 입방체를 데어내거나 생략함으로써 형성시 킬 수 있다. 달리 배열한다면 제1재귀 반사기의 모서리 입방체를 밑둥지만 남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제1 재귀 반사기의 인접한 모서리 입방체들 사이에 광선투과 부위를 마련하고 제2 재귀 반사기에도 그와 대응하는 부위를 정렬시킨다.
제6 및 7도의 일체로 결합된 두 재귀 반사장치는 기본적으로 공통 주형체 (210) 및 유연한 수지로된 공통의 이면 필름(212)이 부착된 공통 필름(211)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주형체(210)는 굴절율이 1.49인 투명한 아크릴 수지로 만들어진다. 주형체(210)의 전면(213)은 약간 블록하게 할 수 있지만 거의 평면이다. 주형체(210)의 배면(214)에는 다수의 입방체 모서리(215a 및 215b)들이 배열되어 있다. 제6도에서는 명료하게 표시하기 위해서 주형체(210)의 길이를 실제보다 훨씬 작게하였음은 물론 입방체 모서리(215a 및 215b)의 수도 비교적 작게 줄였다. 입방체 모서리(215a 및 215b)들은 직사각형 주형체(210)의 길이에 대해 수직으로 뻗어 있는 중심면(216-216)에 대해서 서로 반대쪽으로 베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 두 장치는 평면(216-216)에 대해서 반대쪽에 배치된다. 특히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조로 정렬되어 있는 입방체 모서리(215a 및 215b)의 한쪽면은 평면(216-216)을 마주하고 있으며, 각 입방체 모서리(215a 및 215b)의 열은 주형체(210)의 길이에 대해 수직으로 뻗어있다. 따라서 입방체 모서리(215a)는 입방체 모서리 (215b)의 각 방향에 대해 60°각도로 변위되어 있다. 각 입방체 모서리(215a 및 215b)의 면은 전면(213)의 평면에 대해 약 55°의 각(θ)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입방체 모서리(215a, 215b)의 꼭대기(즉, 돌출해있는 입방체 모서리)는 각각 부호 (217a 및 217b)로 표시하였다. 각 꼭대기(217a,217b)에서 입방체 모서리(215a, 215b)를 가로지르는 대각선(d)은 전면(213)에 대해 직각이다.
공통 필름(211)의 종단면 형상은 기본적으로 V-자가 도치되어 있는 것 같으며, 평면(216-216)은 V자의 꼭지점을 가로지른다. 필름(211)의 평면(216-216)양쪽의 입방체 모서리(215a 및 215b)에 마주대하는 전면(218)은 평면이다. 뒷쪽 필름 (212)의 배면(219)은 다수의 입방체 모서리(219a 및 219b)로 형성되어 있다. 입방체 모서리(220a 및 220b)의 상호 배열 및 배치방식은 입방체 모서리(215a 및 215b)에 대해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러나 입방체 모서리(220a 및 220b)의 입방체 모서리(215a 및 215b)에대한 선형적인 크기의 비율은 대략 1 : 10이며, 각 모서리(215a, 215b)의 선형적인 크기(d)(제2도 참조)는 본 예에서는 0.094인치이다. 평면(216)의 양쪽에 있는 필름9211)은 주형체(210) 전면(213)에 대해 각(α)만큼 기울어져 있다. 물론 평면(216)양측의 필름(211)부분은 서로 반대로 기울어져 있다. 본 예에서는 약 40°의 입사각(i)에서 효율을 최대로할 수 있는 각(α)은 약 8°이다. 각(α)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식중, i=입사각주
μ=주형체(10)구성 재료의 굴절율
제1 및 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평면(216)양측과 필름(211)의 경사 방향은 그 방향에 직각인 전면(218)의 평행선들이 중심면(216-216)에 마주대한 모서리 입방체(215a 또는 215b)의 상술한 한면의 방향(ℓ-ℓ 또는 ℓ1-ℓ1)으로 뻗어있는 대각선에 대해서 평행하도록 되는 방향이다.
제1 및 2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평면(216-216)의 좌측의 장치는 제1도의 화살표(A)로 표시된 쪽에서 반사율이 개선되는 반면 평면(216-216)의 우측의 장치는 제1도의 화살표(B)로 표시된 쪽에서 반사율이 개선된다. 광선이 전면(213)에 대해 거의 90°(즉 입사각 i=∼0°)로 입사할때는 입방체 모서리(215a 및 215b)에 의해서만도 반사율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최대반사율은 주형체(210)에 의해서만 얻어진다. 그러나, 입사각(α)이 커질수록 주형체(210)를 완전히 통과하는 광선의 손실이 커진다. 따라서 필름(211)의 반사율을 최대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광선이 면(218)에 대해 가능한한 거의 90°로 입사해야 한다. 상술한 식의 거울기 각도(α)를 특정한 입사각(i)에 대하여 결정함으로써 이러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장치는 자동차에 수평으로 길게 부착시켜 사용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넓은 수평 원호내의 어느 곳으로 빛이 입사할지라도 효율적인 반사가 이루어진다. 본 장치는 자동차에 사용토록 한 것이기 때문에 수직 원호내에서의 반사 효율은 그다지 중요치 않다. 수직 방향의 높은 입사각에 대한 효율은 수직 평면에서 반사된 광선이 다른 통행자가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단히 크게 퍼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리 중요치 않다.
제8도에 도시한 예의 장치는 제6 및 7도의 것과 아주 흡사하다. 사실 제8도의 장치는 제1 및 2도 예에 사용된 주형체(10)와 똑같은 주형체(310)를 이용한다. 그러나, 종단면이 V-자형인 필름(11)대신에 원호상으로 굽어진 필름(311)에 이와 대응하는 원호상의 필름(312)을 뒤에 부착시켜 사용한다. 실제로 필름(311)의 곡선은 필름(211)의 V-자형처럼 작용한다. 필름(313)에 평행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주형체(310)의 각끝의 필름(311)의 양끝에서 표면(318)에 대한 접선은 2α각도로 부터 놓여있다. 따라서 표면(318)에 대한 접선의 평균각은 상기한 식으로 구할 수 있는 α이다.
제9도의 그래프는 입사각(i)이 45°일때 각 (α)의 변화에 따른 반사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i=45°에 대해서는 α가 13°일때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그래프는 주형체의 굴절율이 1.49인 제6도의 예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선택되는 각(α)은 전술한 이유로 인해서 8°가 되기 때문에 입사각(i)이 45°인 광선에 대해서는 최대 반사율을 얻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래프가 도시하는 바로는 α가 8°일때라도 i=45°에서 반사율이 대단히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예에서 필름(211,311)은 평면(216-216 또는 316-316)에서 뒤로 기울어지도록 즉, 상기한 평면에 놓여있는 필름(211,311)의 부분이 주형체(210,310)에 최대로 근접하도록 휘어져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필름(211,311)은 평면(216-216 이나 316-316)에 놓여있는 부분이 주형체(210,310)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도록 서로 반대로 구부릴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모서리 입방체 (215a 315a 및 215b 및 315b)의 방향은 도치된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 평면(216-216, 316-316)양쪽의 필름(211,311)부분은 서로 일체로 되지 않으나, 이와달리 개별적인 요소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제10도의 에는 제6도와 아주 유사하나 단, 연속 필름(211)대신에 앞서 계산한 바와같은 각(α)으로 기울어진 내개의 개별적인 필름 부분(411a,411b,411c, 및 411d)을 사용하였다. 필름 부분(411a 및 411b)은 필름 부분(411c 및 411d)과 같이 서로 층이져있다. 주지해야될 바로는 이 형태의 장치는 정해진 각도(α)에서 제6도의 장치보다 얇다는 것이다. 필요하다면 두개 이상의 개별적인 부분들을 평면(416-416)의 양쪽으로 비치시킬 수도 있다. 각 부분(421a-411d)은 각각 스스로의 뒤판 필름(412a-412d)을 소유한다. 필요하다면 부분(411a-411d)을 모두 일체로 단일 주조 성형할 수도 있다.
제11도에는 본 장치의 일부분이 제6 및 7도의 주형체(210)와 똑같이 형성된 주형체(510)로 구성되 있는 것이 도시되었다. 이 예의 장치는 주형체(510)의 전면에 평행한 전면(518)을 지닌 필름(511)을 포함한다. 필름(511)은 주형체(510)와 똑같은 1.49의 굴절율을 갖는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필름(513)배면의 모서리 입방체 (520)의 대각선이 전면(518)에 대해 수직이 아니고 경사져있다. 각 모서리 입방체 (520)의 수직에 대한 경사각은 μ=1.49인 경우에 약 5°이다. 이것의 효과는 특정한 방향으로 나와서 면(13)에 40°의 각(i)으로 입사하여 모서리 입방체(515a)에 의해 반사되지 않고 주형체(510)를 통과하는 광선이 면(518)에 약 8°의 각도로 입사하여 모서리 입방체(520)에는 그 축으로 입사함으로써 완전한 “모서리 입방체 반사효과”를 얻도록 하는데 있다. 물론 모서리 입방체(520)의 경사 방향은 제6도에서 전면(218)의 경사에 대해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제11도에는 입방체 모서리 (15a)에 대응하는 입방체 모서리와 결합된 모서리 입방체(520)들만이 도시되었으며 서로 반대로 기울어진 모서리 입방체(520)가 입방체 모서리(15b)에 대응하는 모서리 입방체와 결합되어 필름(513)에 배치되었으나 서로 유사하다.
제2 재귀 반사기의 입방체 모서리의 배향 상태는 중요한 것이 아니나 최대의 광학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배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

  1. 전면(14,114,213,313,413,513)과 다수의 모서리 입방체 반사요소가 마련된 배면(15,115,214,314,414)으로된 제1재귀 반사기(10,110,210,310,410,510)를 포함하는 및 사장치에 있어서, 전면(16,116,218,318,418,518)과 상제 기1 재귀 반사기의 모서리 입방체 반사요소보다 선형적인 크기가 작은 다수의 모서리 입방체 반사요소가 마련된 제2 재귀 반사기(11,111,211,311,411,511)가 상기 제1 재귀 반사기뒤에 배치되고, 제1 재귀 반사기의 전면으로 입사하여 제1 재귀 반사기를 통과하여 제2 재귀 반사기로 들어오는 기정 방향의 빛이 그 들어온 방향과 평행하게 되돌아 나가도록 제2 재귀 반사의 모서리 입방체 반사요소들중의 하나의 면에서 반사되기 위하여 제2 재귀 반사기의 전면이 제1 및 제2 재귀 반사기의 모서리 입방체 반사요소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귀 반사장치.
KR2019830008305U 1978-11-08 1983-09-26 재귀 반사 장치 KR83000257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7838779A GB2006530A (en) 1977-09-29 1978-11-08 A timing mechanism including manual rotation limiting means
GB38779 1978-11-08
GB7915530 1979-05-04
GB5530 1979-05-04
GB7935911 1979-10-16
GB35911 1979-10-1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796A Division KR830003085A (ko) 1978-11-08 1980-05-06 재귀 반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571Y1 true KR830002571Y1 (ko) 1983-12-06

Family

ID=5906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8305U KR830002571Y1 (ko) 1978-11-08 1983-09-26 재귀 반사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303305A (ko)
EP (1) EP0018798B1 (ko)
JP (1) JPS5937143U (ko)
KR (1) KR830002571Y1 (ko)
AU (1) AU525524B2 (ko)
BR (1) BR8002717A (ko)
CA (1) CA1126069A (ko)
ES (1) ES8105091A1 (ko)
IN (1) IN152891B (ko)
SE (1) SE4510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8258A (en) * 1983-09-12 1986-05-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ube-corner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wide angularity in multiple viewing planes
US4703999A (en) * 1986-06-16 1987-11-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ide-angle-reflective cube-corner retroreflective sheeting
JPS6395530U (ko) * 1986-12-05 1988-06-20
US5013181A (en) * 1988-09-06 1991-05-07 Harrison George M Traffic lane marking device
US4875799A (en) * 1988-09-06 1989-10-24 Harrison George M Traffic lane marking device
US5122902A (en) * 1989-03-31 1992-06-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light-transmissive surfaces
WO1991002990A1 (en) * 1989-08-25 1991-03-07 Nauchno-Proizvodstvennoe Obiedinenie Po Avtoelektronike I Avtotraktornomu Elektrooborudovaniju Double-sided cat's eye
US5340231A (en) * 1991-12-10 1994-08-23 Stimsonite Corporation Pavement marker
US5507600A (en) * 1994-08-11 1996-04-16 Miyama Kogyo Kabushiki Kaisha Reflecting body having high luminance
US6258443B1 (en) * 1994-09-28 2001-07-10 Reflexite Corporation Textured retroreflective prism structures and molds for forming same
US5948488A (en) * 1996-04-30 1999-09-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littering cube-corner article
US5763049A (en) * 1996-04-30 1998-06-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ormed ultra-flexible retroreflective cube-corner composite sheeting with target optical properti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770124A (en) * 1996-04-30 1998-06-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king glittering cube-corner retroreflective sheeting
US5840405A (en) * 1996-04-30 1998-11-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Glittering cube-corner retroreflective sheeting
US5814355A (en) * 1996-04-30 1998-09-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old for producing glittering cube-corner retroreflective sheeting
US5857801A (en) * 1997-04-03 1999-01-12 The D.S. Brown Company Roadway reflector
SE514839C2 (sv) * 1998-12-18 2001-04-30 Volvo Ab Motorfordon
US6511256B1 (en) * 1999-05-27 2003-01-28 Avery Dennison Corporation Pavement marker with improved daytime visibility and fluorescent durability
US6558069B1 (en) * 1999-05-27 2003-05-06 Avery Dennison Corporation Pavement marker with improved daytime visibility
EP2567393B1 (en) 2010-05-07 2018-02-14 Pressco IP LLC Corner-cube irradiation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8092A (en) * 1960-08-29 1965-07-14 Minnesota Mining & Mfg Improvements in reflex reflectors
US3355341A (en) * 1964-07-23 1967-11-28 Gleason Corp Method of permanently joining mating plastic reflector discs
US3684348A (en) * 1970-09-29 1972-08-15 Rowland Dev Corp Retroreflective material
US3712706A (en) * 1971-01-04 1973-01-23 American Cyanamid Co Retroreflective surface
US3975083A (en) * 1974-07-24 1976-08-17 Reflexite Corporation Wide angle retrorefl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145112A (en) * 1977-07-14 1979-03-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ow-profile raised retroreflective shee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451099B (sv) 1987-08-31
AU5790180A (en) 1980-11-06
AU525524B2 (en) 1982-11-11
US4303305A (en) 1981-12-01
ES491167A0 (es) 1981-05-16
EP0018798A1 (en) 1980-11-12
EP0018798B1 (en) 1983-06-08
BR8002717A (pt) 1980-12-16
ES8105091A1 (es) 1981-05-16
CA1126069A (en) 1982-06-22
JPS5937143U (ja) 1984-03-08
IN152891B (ko) 1984-04-28
SE8003223L (sv) 198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2571Y1 (ko) 재귀 반사 장치
JPS5947089B2 (ja) 後方反射鏡
KR0152071B1 (ko) 고효율 역반사 재료
KR890007096A (ko) 전면 투사 스크린
JPH10500231A (ja) 方向性反射光学装置
US3954324A (en) Pavement marker having conical retro-reflectors
US3905681A (en) 180{20 {0 Viewable reflector
US3905680A (en) 360{20 {0 Reflex reflector
KR0125438B1 (ko) 높은 종횡비를 갖는 광고정구 및 그 광고정구용 막
JPH07168026A (ja) 導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照光装置
KR101106009B1 (ko) 표지병
KR20150033217A (ko) 광각성이 개선된 스텝 프리즘형 재귀반사체
JPS5845502U (ja) 広角反射器
US3702930A (en) Remote illuminating apparatus
US4340301A (en) Retroreflector plate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723595A (en) Reflecting device
JPS585401B2 (ja) サイキハンシヤキ
KR200371010Y1 (ko) 재귀반사체
CN220289894U (zh) 一种增光侧出光导光板和背光模组
JPH07312105A (ja) 自動車のテールランプおよびそのリフレクタ兼用型発光器
JPS585402B2 (ja) サイキハンシヤキ オヨビ ソノセイケイヨウカネガタ
JPS6348886Y2 (ko)
SU1076855A1 (ru) Двусторонний световозвращатель
JPH06273608A (ja) 逆行反射体
KR200369728Y1 (ko) 재귀반사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