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236Y1 - 선박차량등의표지판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차량등의표지판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236Y1
KR830002236Y1 KR2019820003315U KR820003315U KR830002236Y1 KR 830002236 Y1 KR830002236 Y1 KR 830002236Y1 KR 2019820003315 U KR2019820003315 U KR 2019820003315U KR 820003315 U KR820003315 U KR 820003315U KR 830002236 Y1 KR830002236 Y1 KR 830002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lead
lead portion
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3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주
Original Assignee
진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주 filed Critical 진영주
Priority to KR2019820003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박, 치량등의 표지판 부착장치
제1도는 종래의 부착방법을 예시한 그림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부착상태의 예시도이며,
제3도는 부재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종단면도.
제5도는 괘지판의 편면도.
제6도는 밀판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취부볼트 3b : 리이드부
5 : 평활절삭부 6 : 계지돌기
7 : 부재 8 : 부재(7)의 윗판
9 : 부재(7)의 판부재 9a,9b : 계지편
10 : 부재(7)의 밑판 12 : 밑판(10)의 삽입공
13 : 판부재(9)의 할개공
본 고안은 선박의 표지판이나 챠량의 번호판등을 취부할 때 사용하는 부착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표지판 또는 번호판의 취부 상태의 견고성 향상과 임의 변조 및 위조 부착 행위의 예방효과를 가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써 연근해 어로용 어선등을 비롯한 소형 선박의 선적과 배수톤 수, 선주등이 표시된 표시판(2)을 부착하는 종래의 방법은 대체로 조타실 외벽에 마련된 취부판(1)에다가 장방으로 된 표지판(2)을 맞댄채 네 모서리에 구멍을 뚫고 볼트(3)로 취부한 다음 납으로 된 링(4)을 볼트(3)에 꿰어 봉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표지판 부착장치가 갖는 결점은 볼트(3)의 리이드 진원형이므로 링(4)을 역사나 방향으로 틀면 쉽게 분해되고 또한 봉인 상태가 견실해서 역사나 방향으로 트는 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링(4)을 녹이면 볼트(3)를 재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허술이다. 종래 취부 장치의 이같은 취약점을 이용, 간혹 위조한 표지판을 상기 볼트로 부착하여 어선으로 위장 침투했다가 나포된 간첩선의 예를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차량의 경우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차량 번호판을 부착할 때 단순히 볼트 너트를 이용한다든가 뒷쪽 번호판의 적어도 한개의 볼트를 너트로 체결한 다음 납으로 봉인하였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너트를 풀든지 납봉인 제거하면 번호판을 떼고 다른 번호판으로 교체할 수 있을 정도로 허술하며, 차량이 선박의 경우에 비해 달리 우려되는 것은 요즘 빈번한 차량 도난사고에도 불구하고 상기 부착장치의 결점으로 말미암아 도난당한 차량을 발견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본 고안은 이같은 종래의 선박 또는 차량의 표지판 및 번호판을 취부하는 부착장치의 결점을 해소하여 취부상태의 견고성을 향상시켜 보안유지에 만전을 기함으로써 상기 표지판 또는 번호판과 특수 제작된 취부 볼트등을 부당한 방법으로 변칙사용하는 행위등의 사전예방 효과를 거둘 수 있게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은 취부 볼트의 리이드부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평활한 절삭부가 있고 이 절삭부에는 리이드부의 나사산 같이 생긴 계지돌기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피치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볼 1의 리이드부에는 볼트 머리쪽으로는 진입이 가능하고 그 반대쪽 즉, 리이드부의 끝쪽을 향해서는역전되지 않는 부재가 끼워지게 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평활 절삭부의 계지돌기에 괘지될하나 또는 두개의 탄성 계지편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재를 볼트의 리이드부에 끼운후에 역방향으로 틀어서 뺄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부재의 밑판 중앙의 삽입공이 상기 불트리이드부의 단면 형상과 같게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중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취부볼트(3)의 리이드부(3b)에 있어서, 일측 또는 대향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평활한 절삭부(5)가 형성되며, 절삭부(5)가 하나일때는 리이드부(3b)에 있어서, 일측 또는 대항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평활한 절삭부(5)가 형성되며, 절삭부(5)가 하나일때는 리이드부(3b)의 단면 형상은모양이고, 둘이면모양의 장타원형이다. 절삭부(5)에는 리이드부(3b)의 나사(3c)피치 간격과 같게 계지돌기(6)가 다수형성 되어 있으며 이 계지돌기(6)의 골(6a)의 수직 상한선은 기존나사(3c)의 골(3d)안쪽에 설정되어야 한다. 계지돌기(6)의 골(6a) 수직 상한선이 기존나사(3c)의 골(3d)과 같은 선상에 있게되면 이후 설명될 부재(7)를 역나사 방향으로 틀경우 그 탄성 괘지편(8) 끝이 나사골(3d)을 타고 빠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지돌기(6)의 바깥끝이 절삭부(5)의 외면과 같을 경우 바람직하기로는 절삭부(5)의 면경계를 기존 나사골(3d)보다 안쪽에 두는 것이다.
부재(7)는 절술한 바와같이 볼트(3)의 리이드부(3d)에 일방향으로만 삽입되고 역진되지 않는 것으로서 한쌍의 탄성 계지판(9a)과 밑판(10)에 상기 볼트 리이드부(3b)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삽입공(12)을 갖는다.
탄성 계지편(9a)은 판부재(9)에서 좌우 대각선상에 할 개공(13)이 뚫리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며 이들 선단간의 폭(h)은 상기 볼트 리이드부(3b)의 절삭부(5)에 형성된 계지돌기(6)의 골(6a) 간폭(h1)과 같거나 약간 작아 상기 계지돌기(6)에 계지되고 그 끝모양은 계지돌기(6)에 부합되도록 직선을 이루며 윗판(8)과 같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낮게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 이들 괘지편(9a)은 부재(7)가 상기 볼트(3)의 리이드부(3b)에 삽입될시 절삭부(5)의 계지돌기(6) 끝에 닿을 때는 삽입 반대쪽으로 벌어지고 그 끝을 벗어나면 골(6a) 깊이만큼 오므라들어서 계지된다. 일단 삽입된 상기 부재(7)를 삽입시의 역방향으로 잡아당긴다 할지라도 빠지지 않는다. 상기 부재(7)를 뺄때에도 삽입 당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계지편(9a)이 수평선 윗쪽으로 벌어져야 하는데 당초 계지편(9a)이 내향으로 경사져있는데다가 같은 쪽으로 경사진 윗판(8)이 버티고 있어서 윗쪽으로 벌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부재(7)가 삽입된 뒤에는 상기 부재(7)를 틀수가 없게되어 있다. 윗판(8)의 삽입공(11)은 볼트(3)에 있어서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머리부분(3a) 바로 아랫부분이 원형 그대로 남아 있기에 맞추기 위해서 원공으로 되어 있으나 밑판(10) 중앙에 천공된 삽입공(12)은 절삭부(5)가 형성된 리이드부(3b)의 외형과 그 크기가 동일하여 틀려고해도 삽입공(12)의 직선부(12a) 폭(d)이 리이드부(3b)의 기존 리이드경과 같은 호상부(12b)의 내경(D)에 비해 휠씬 작아서 여기에 걸리기 때문이다.
한편, 판부재(9)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계지편(9a)에 대하여 직교 방향에 위치하여 서로 맞보고 있는 또다른 한쌍의 편(9b)은 상기 계지편(9a)의 계지력 보강 목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기존나사(3c)의 골(3d)경까지 그 선단 내경(H)이 설정된다. 이 편(9b)이 기준나사(3c)에 계지될 경우에는 대향위치에 놓이기 때문에 상기 나사(3c)의 반피치에 해당하는 만큼 계지 위에 필연적으로 차이가 발생한다. 이것은 절삭기(5)의 계지돌기(6)에 계지편(9a)의 걸리는 것과 비교하면 직선과 편의 계지라는 양상의 차이만 있을 뿐 계지력을 발휘하는 목적과 작용에 있어서는 양자 모두 같다.
이러한 구조와 작용을 가진 본 고안의 실제 사용에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볼트(3)로 표지판(2)을 꿴 다음 부재(7)를 삽입하고 통상의 너트(14)에 의하여 견실하게 체결되고 캡링(15)으로써 봉인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표지판 부착 장치에 의하면 납링에 의한 봉인과 너트는 손쉽게 풀어 헤칠 수 있으나 부재(7)는 볼트상에서 삽입의 역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하므로 표지판을 함부로 뗄수도 없거니와 특수 표시가 된 볼트를 다른 곳에 재사용할 수가 없으며 따라서 표지판의 안전 부착에 만전을 기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취부 볼트(3)의 리이드부(3b)에 있어서, 그 일측 또는 대향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평활한 절삭부(5)를 형성하고 이 절삭부(5) 전반에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계지돌기(6)를 기존나사(3c)의 피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하며, 할개공(13)에 의하여 분할된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탄성 계지편(9a)(9b)을 갖는 판부재(9)와 상기 계지편 (9a)(9b)을 내향 경사지도록 지탱하는 상판(8')과 중앙에 상기 절삭부(5)가 형성된 리이드부(5)의 단면형상 및 크기와 동일한 삽입공(12)을 천설한 밀판(10)으로 구성된 부재(7)를 상기 취부 볼트(3)의 리이드부(3b)에 계합토록 하여서 된 선박 또는 차량의 표지판 부착장치.
KR2019820003315U 1982-04-28 1982-04-28 선박차량등의표지판부착장치 KR830002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315U KR830002236Y1 (ko) 1982-04-28 1982-04-28 선박차량등의표지판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315U KR830002236Y1 (ko) 1982-04-28 1982-04-28 선박차량등의표지판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236Y1 true KR830002236Y1 (ko) 1983-10-19

Family

ID=1922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3315U KR830002236Y1 (ko) 1982-04-28 1982-04-28 선박차량등의표지판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2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4282A (en) Office equipment locking device
DE1777005A1 (de) Befestigungseinrichtung zum Befestigen von Werkstuecken zwecks maschineller Bearbeitung
KR830002236Y1 (ko) 선박차량등의표지판부착장치
DE3407723A1 (de) Diebstahlsicherung fuer finnen und surfbretter
US5213023A (en) Hammer
US5205194A (en) Can opener apparatus
DE202018101491U1 (de) Halteelement für Wandhalterung und entsprechende Wandhalterung
DE20000417U1 (de) Magazinvorrichtung für an umlaufenden Behälterbehandlungsmaschinen anbringbaren Bauteilen
JPS5930A (ja) トイレツトペ−パ−を簡単に補充することができるペ−パ−ホルダ−
DE4115153C2 (ko)
KR920008126Y1 (ko) 낚시바늘 풀개
JPS6020554Y2 (ja) 索取り用金物
JP3115886U (ja) 吊り下げボルト係止用インサート
DE20209770U1 (de) Rahmentragwerk
CN206859867U (zh) 一种插芯门锁防钻盖结构
JPS59186882A (ja) 保護キャップ付き吊り具
JP2024064836A (ja) 塁ベース構造体
JPS5830515A (ja) フツク
JPH0119713Y2 (ko)
KR910002541Y1 (ko) 수석 가공통의 뚜껑 괘정장치
FR2774273A1 (fr) Tringles a rideaux
KR910007410Y1 (ko) 기타걸이
JP3016923U (ja) 商品吊り下げ係止枠体の盗難防止用止め具
DE202022102974U1 (de) Schutzpfahlschalung für den Pfahlfundamentbau
DE3637416A1 (de) Schluessel fuer schraubverschlues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