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691Y1 - 탈곡기의 배진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탈곡기의 배진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691Y1
KR830001691Y1 KR2019800005201U KR800005201U KR830001691Y1 KR 830001691 Y1 KR830001691 Y1 KR 830001691Y1 KR 2019800005201 U KR2019800005201 U KR 2019800005201U KR 800005201 U KR800005201 U KR 800005201U KR 830001691 Y1 KR830001691 Y1 KR 830001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chamber
sorting
dust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5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379U (ko
Inventor
노부마사 요시다
아기라 사까이
마사미 오오사끼
Original Assignee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끼 가이샤
이세끼 마사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끼 가이샤, 이세끼 마사다까 filed Critical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00005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691Y1/ko
Publication of KR8300003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6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6Sie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4Fann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탈곡기의 배진 선별장치
제1도는 탈곡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측단면도.
제3도는 횡단면도.
본 고안은 탈곡기에서 탈곡할때 발생하는 처리물을 배출하여 선별하는 배진(排塵)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탈곡기의 일종으로서 알려져 있는 복동형(複胴型)의 탈곡기는 탈곡실과 그 측방 후방으로 위상이 어긋나게 설치된 처리실과 이들 양 실 하방으로 선별실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탈곡실내의 탈곡동체에서 탈곡된 곡립은 일부 지푸라기와 같이 탈곡동체 하방에 위치한 탈곡실 수망(受網)의 망눈을 통하여 선별실내의 선별망 위에 떨어져서 그것의 요동과 키의 불러 일으키는 선별풍에 의하여 선별된 후 회수된다.
한편 탈곡할때에 지푸라기 이삭조각등 많은 처리물이 발생하여 이들 처리물은 일부의 곡립과 같이 탈곡실내에 탈곡동체의 축방향으로 이송된 후 탈곡실 중단부의 송진구를 통해 처리실에 송입된다.
그리고 이 처리물은 처리동체에 의하여 절단되고 그 속에 포함된 곡림은 분리되어 일부는 처리실수망의 망눈을 통하여 선별망 위로 떨어져서 선별회수되지만, 대부분의 처리물과 곡립은 처리실 중단부의 배진구를 통해서 배진물이 되어 선별실의 짚받침대 내지는 거름장치의 요동에 의하여 선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탈곡선별작업을 하는 종래의 탈곡기에 있어서는 처리물이 발생한 후에 배진구로 배출될 때까지 탈곡실 및 처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아서 양 실에 처리물이 충만되어 그 처리나 곡립의 분리가 어렵게 되고 이것이 선별장치의 부담을 증대시켜 선별효율을 저하시키고 있었다. 또 곡립이 분리되지 않은 채 탈곡실 밖으로 방출되어서 손실이 많았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된 것으로서 탈곡실 종단부에 배출구를 설치하여 배진물의 선별장치를 탈곡실 배출구의 하방으로부터 처리실 배진구의 하방을 경과하여 그 후방에 설치하고, 처리물과 곡립의 일부를 처리전에 배출구로 배출하여 선별장치의 전반부에서 선별되는 동시에 처리후에 배진구를 통해 배출되는 배진물에 이것을 합류시켜 선별장치의 후반부에서 선별시키게 하여 선별효율을 향상시키고 탈곡기 밖으로 방출되는 곡립손실의 방지를 도모한 탈곡기의 배진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그 구성 등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탈곡기(1)는 탈곡실(2)과 그 측방에 설치된 처리실(3)과 이들 양 실(2,3)의 밑으로 후방에 있는 선별실(4)을 구비하고 있고 처리실(3)은 탈곡실(2)에 대하여 후방에 위상이 어긋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탈곡실(2)의 내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도면에서 화살(A)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탈곡동체(5)가 축으로 장치되어 있고 그 주면에는 다수의 탈곡급치(6)가 나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탈곡동체(5)의 상방은 탈곡실커버(7)에 의하여 덮혁 있고, 또 탈곡실(2)의 처리실(3)축 측판에는 처리실(3)과 연통하는 송진구(8)가 열려 있다. 또 탈곡동체(5)의 측방 및 하방에는 이것과 동심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송진구(8)에 거의 대응하며 탈곡실(2)의 하방이 장방형으로 절삭된 탈곡실 수망(9)이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탈곡실 수망(9)의 절삭부에는 동일하게 원호형으로 형성된 수판(受板)(1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수판(10)에는 길이가 거의 50mm 정도의 이산조각등보다는 작은 처리물이 통과할 수 있는 여러개의 배출구(11)가 탈곡실(2)과 선별실(4)을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처리실(3)내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도면에서 화살(B)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처리동체(12)가 축으로 장치되어 있고 그 주면에는 다수의 처리급치(13)가 나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처리동체(12)의 하방에는 이것과 동심원호형으로 형성된 처리실수판(14)이 장치되어 있고 이 처리실 수판(14)에는 곡립과 작은 처리물이 통과할 수 있는 여러개의 투공(1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처리실(3)의 탈곡실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는 탈곡실(2)측 측방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진구(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실(3)의 상방에는 무한궤도형으로 된 피이드체인(17)이 탈곡실(2)의 곡간삽입구(18)에 따라서 장치되어 있고 그 상방에는 압축코일스프링(19)에 의하여 피이드체인(17)축에 편향된 협지부(浹持部)(20)가 지지설치되어 있다. 또 곡간삽입구(18)의 양단부에는 곡간공급구(21)와 곡간배출구(22)가 탈곡실(2)의 측판에 열려 있다. 23은 곡간공급구(21)의 하단연부터 외방에 돌출하는 입구 받침대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탈곡부 하방의 선별실(4) 내에는 전체를 변호(24)로 표시하는 선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 선별장치(24)요동선반(25)은 거의 역삼각형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편심캠(26)으로 지지되고 또 중앙부는 요동아암(27)으로 지지되어 일단이 편심캠(26)의 회전에 의하여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요동산반(25)의 하단에는 울퉁불퉁한 판모양으로 형성된 이송선반(28)이 탈골실수망(9)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 종단이 탈곡실수망(9)의 종단보다도 편심캠(26)측에 위치하도록 탈곡실 수망(9)에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요동선반(25)의 하단 열린 곳에서는 단면 L자형으로 형성된 여러개의 경사판이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된 배진용의 선별장치인 거름장치(29)가 이송선반(28)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 선단부는 상기 배출구(11) 선단부보다 편심캠(26)측으로 위치되어 있고 또 종단부는 처리실(3)의 종단부에 거의 대응하여 위치되어 있는 동시에 선단부는 이송선반(28)의 종단부 보다도 하방에 경사되어 있다.
그리고 그 후방에는 다수의 투공을 갖는 저판이며 이것을 폭방향으로 구획하는 여러개의 톱날형 판으로 구성된 짚받침대(30)가 거름장치(29)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더우기 거름장치(29)의 하방에는 곡립용 선별장치로서 선별망(31)이 장치되어 있고, 또 짚받침대(30)의 경사진 하바에는 다수의 투공을 갖는 저판이며 이것을 폭방향으로 구획하는 여러개의 톱날형 판으로 구성된 후면짚받칩대(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별망(31) 및 후면짚받침대(32)의 하방에는 각각 요동선반(25)의 저판으로서의 1번 선별선반(33)과 2변 선별선방(34)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또 요동선반(25)의 하방에는 여러개의 날개를 구비하여 도면에서 화살(C)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키(35)와 나선형으로 형성된 1번 켄베이어(26) 및 2번 켄베이어(37)가 축방향으로 탈골동체(5)의 축방향과 직교하여 설치되고 그중 양 컨베이어(36,37)는 상기 요동선반(25)의 하단 열린 부분에 마주보고 있다. 또 2번 켄베이어(37)의 측단부에는 2번 양곡기(38)가 설치되어서 그 배기구와 탈곡실(2)과는 2번 환원통(39)에 의하여 연결되고 있다.
또 상기 짚받침대(30)의 경사진 상방에는 여러개의 날개를 구비한 도면에서 화살표(D)방향으로 회전하는 흡임팬(40)이 제2도의 지면 바깥쪽 프레임 측판에 부착되어 있고 그 흡기구(41)는 탈곡기 안에 열리고 또 베기구(42)는 탈곡기 밖에 열려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탈곡기(1)에 있어서 피이드체인(17)과 협지부(20)사이가 밀착되어 이삭부가 탈곡동체(5)의 상방으로 향하면서 삽입된 곡간은 탈곡동체(5)의 회전으로 인하여 탈곡된다. 탈곡된 곡립은 일부 지푸라기와 같이 탈곡실수망(9)의 망눈을 통하여 이송선반(28) 위에 떨어져서 요동선반(25)의 요동에 의하여 이송선반(28) 위를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산반(28)의 증단부에서 거름장치(29)의 선단부위에 떨어지고 그 경사판의 간격으로 선별망(31) 위에 떨어진다. 떨어진 곡립 등은 선별되는 동시에 키(35)가 불러 일으켜 요동선반(5)내에 송풍하는 선별풍에 의하여 선별된 후 1번 선별선반(33)을 경과하여 1번 컨베이어(36)상으로 떨어져서 이송 회수된다.
한편 탈곡시에 발생한 많은 지푸라기, 이삭조각 등의 처리물은 탈곡실(2) 내를 탈곡급치(6)의 나선작용에 의하여 이송된다. 그리고 탈곡실(2)의 종단부에 도달하면 처리물증의 길이 50mm정도 이하의 지푸라기나 이삭조각류는 일부 곡립과 같이 배출구(11)로 배출되어서 거름장치(29) 위에 떨어진다. 떨어진 처리물은 거름장치(29)의 요동과 키(35)의 송풍에 의하여 거름장치(29)의 중앙부분에서 선별되면서 이송된다.
이 선별에 의하여 일부의 곡립은 선별망(31) 위에 떨어져서 상기 곡립과 합류하여 선별회수되고, 또 가벼운 지푸라기 등은 흡입팬(40)에 의하여 흡입되어 탈곡기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구(11)를 통과하지 않은 큰 처리물은 송진구(8)를 통하여 처리실(3)에 들어가 처리동체(12)에 의하여 절단처리되는 동시에 처리물에 들어있는 일부 곡립이 분리된다. 분리된 곡립이나 일부의 처리물(3)은 처리실의 투공(15)으로부터 거름장치(29) 위에 떨어져서 선별되고 투공(15)을 통과하지 않은 나머지의 처리물을 처리동체(12)에 의하여 이송되어 종단부의 배진구(16)를 통해 곡진물이 되어 배출된다.
이 경우 배진구(16)에서는 거름장치(29)의 후반부가 대응하고 있으므로 배진물은 거름장치(29)의 후반부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로부터 떨어진 처리물과 동일한 선별을 받는다.
이와 같이 하여 선별된 결과 남은 처리물은 또 짚받침대(30)와 후면짚받침대(32)에 의하여 거의 동일한 선별을 받아 최종적으로 남은 처리물은 소위 2번 물이 되어서 2번 선별선반(34)을 걸쳐서 2번 컨베이어(37) 위로 떨어진다. 낙하한 2번 물은 2번 켄베이어(37)에 의하여 이송된후 이송종단부의 2번 양곡기(38)에 의하여 양상(揚上) 이송되어서 탈곡실에 환원되어 처리물과 합류하여 같은 선별이 반복된다.
이상과 같은 탈곡선별작업에 있어서는 탈곡실(2)의 종단부에 배출구(11)를 설치하는 동시에, 거름장치(29) 및 짚받침대(30)를 이 배출구(11)에 대응하는 장소보다 약간 전방에서부터 또 배진구(16)에 대응하는 장소보다 약간 후방에 설치하므서 거름장치(29) 및 짚받침대(30)상에 있어서는 전반부에서 곡립, 중앙별효율이 향상한다. 더우기 배출구(11)를 설치하므로서 곡간배출구(22)로 곡간과 같이 지출되려고 하는 곡립이 그 배축구(11)를 통해 배출되므로 소위 4번 지출입자가 감소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구(11)의 길이방향을 탈곡실(2)의 폭방향으로 형성하였는데 이것과 직교방향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배진물의 선별장치로서 거름장치(29)와 짚받침대(30)를 설치하였는데 이들을 합친 전장의 길이로서 걸친 짚받침대 또는 거름장치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 의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복동형의 탈곡기에 있어서 탈곡실 종단부에 배출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배진물의 선별장치를 배출구의 하방부터 처리실 배진구의 하방을 거쳐 그 후방에 연하여 설치하므로서 일부의 국립과 처리물은 배출구로 배출되어 선별장치의 선별장치의 전반부에서 선별되고 또 일부의 처리실 배진구로 배출된 배진물은 선별장치의 후반부에서 선별된다 하는 것이 배진물이 긴 선별경로내에서 분산되어 선별되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선별효율이 향상되는 동시에 곡립의 일부를 배출구로 배출시키므로 탈곡실에서 곡립의 지출을 방지할 수가 있어 곡립의 손실이 감소된다.

Claims (1)

  1. 탈곡실과 그 측방에 후방으로 위상이 어긋나게 나란히 설치되며 탈곡실과 사이에 송진구에 의하여 연통된 처리실을 구비하고, 탈곡실과 처리실에는 서로가 평행인 탈곡동체와 처리동체가 설치되어 있고 처리실의 후방에 배진구가 설치된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탈곡실(2)의 종단부 하방에 선별실(4)과 연통하는 여러개의 배출구(11)를 설치하는 동시에 배진물의 선별장치(24)를 상기 배출구(11)의 하방부터 상기 배진구(16)의 하방을 거쳐서 그 후방에 연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기의 배진 선별장치.
KR2019800005201U 1980-08-13 1980-08-13 탈곡기의 배진 선별장치 KR830001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5201U KR830001691Y1 (ko) 1980-08-13 1980-08-13 탈곡기의 배진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5201U KR830001691Y1 (ko) 1980-08-13 1980-08-13 탈곡기의 배진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79U KR830000379U (ko) 1983-06-17
KR830001691Y1 true KR830001691Y1 (ko) 1983-09-09

Family

ID=1921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5201U KR830001691Y1 (ko) 1980-08-13 1980-08-13 탈곡기의 배진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6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649A1 (en) * 2020-09-02 2022-03-10 Cj Logistics Corporation Modular sorting system and product sorting method using the conveyor extens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649A1 (en) * 2020-09-02 2022-03-10 Cj Logistics Corporation Modular sorting system and product sorting method using the conveyor ext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79U (ko) 198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1691Y1 (ko) 탈곡기의 배진 선별장치
JPH0221883Y2 (ko)
JP5292800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H0333233Y2 (ko)
JP2644259B2 (ja) 脱穀機の処理胴装置
JP4623313B2 (ja) 脱穀装置
JPH0226277Y2 (ko)
JPS6222515A (ja) 脱穀装置
JPH0626138Y2 (ja) 脱穀機における未処理物処理装置
JP3670118B2 (ja) コンバインの揺動選別装置
JPH0884523A (ja) 脱穀装置
JPH0638621A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H0541659Y2 (ko)
JP2585197Y2 (ja) 脱穀装置
JPS61230752A (ja) 籾摺選別機
JPS6121961Y2 (ko)
JPS6211022A (ja) 脱穀機における選別処理装置
JPH0795814A (ja) 脱穀処理装置
JPH0638620A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H01228412A (ja) 脱穀装置の二番還元装置
JPS62198325A (ja) 脱穀機における送塵処理装置
JPH07114600B2 (ja) 脱穀装置の二番物処理構造
JPH05268823A (ja) 脱穀機における揺動選別装置
JP2008035782A5 (ko)
JPH05227827A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